KR20140056438A -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438A
KR20140056438A KR1020120119047A KR20120119047A KR20140056438A KR 20140056438 A KR20140056438 A KR 20140056438A KR 1020120119047 A KR1020120119047 A KR 1020120119047A KR 20120119047 A KR20120119047 A KR 20120119047A KR 20140056438 A KR20140056438 A KR 20140056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oil
gas
steam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520B1 (ko
Inventor
이동조
최훈희
이종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5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54Details of the absorption canis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16Other apparatus for heating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유 공급원으로부터 제1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 저장 탱크와, 상기 연료유 저장 탱크 상부에 구비되는 제1 가스 배출관을 포함하는 연료유 주 저장부; 상기 연료유 주 저장부로부터 제2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와, 상기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 상부에 구비되는 제2 가스 배출관과, 제2 공급관을 통과하는 연료유를 가열하는 공급관 가열 장치를 포함하는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 상기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로부터 제3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 버퍼 탱크와, 상기 연료유 버퍼 탱크 상부에 구비되는 제3 가스 배출관을 포함하는 연료유 중간 저장부; 상기 연료유 중간 저장부로부터 제4 공급관을 통해 공급받은 연료유에 함유된 불순물 및 수분 등을 제거하는 연료유 정화부; 상기 연료유 정화부로부터 제5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와, 연료유를 엔진에 공급하는 부스터를 포함하는 연료유 급유부; 상기 제1 내지 제4 가스 배출관 각각에 연결되는 가스 포집관을 통해 폐가스를 포집하는 가스 포집기; 및 상기 가스 포집기로부터 폐가스를 공급받아 스팀을 생산하는 가스 보일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은,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물리적으로 강제 분리시키도록 구성하여,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제거된 가스를 별도로 포집하도록 구성하여, 폐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A fuel oil supply system of a crude oil engine}
본 발명은 원유 엔진(crude oil engine)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운반선과 같은 대형 선박에는 중유(Heavy Fuel Oil; HFO)나 경유(Diesel Oil; DO)와 같은 연료유(fuel oil)를 사용하는 엔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중유 및 경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료유에 포함하고 있는 가스량이 극소량이므로 자연 배출을 위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원유(Crude Oil)를 연료유로 사용하는 엔진의 경우, 원유(Crude Oil)에는 일정부분 가스를 함유하고 있어, 가스를 포함한 원유로 엔진을 가동하게 되면 엔진구동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가스가 제거된 연료유를 엔진측으로 공급시켜야 한다.
그런데, 종래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은 탱크에 저장된 연료유로부터 자연 발생되는 가스를 가스 배출부를 통해 제거하기 때문에,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고, 이에 따라 가스가 함유된 상태의 연료유가 연료유 급유 탱크를 통해 최종적으로 엔진에 공급되어, 엔진 구동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거된 가스를 별도로 포집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은, 연료유 공급원으로부터 제1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 저장 탱크와, 상기 연료유 저장 탱크 상부에 구비되는 제1 가스 배출관을 포함하는 연료유 주 저장부; 상기 연료유 주 저장부로부터 제2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와, 상기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 상부에 구비되는 제2 가스 배출관과, 제2 공급관을 통과하는 연료유를 가열하는 공급관 가열 장치를 포함하는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 상기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로부터 제3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 버퍼 탱크와, 상기 연료유 버퍼 탱크 상부에 구비되는 제3 가스 배출관을 포함하는 연료유 중간 저장부; 상기 연료유 중간 저장부로부터 제4 공급관을 통해 공급받은 연료유에 함유된 불순물 및 수분 등을 제거하는 연료유 정화부; 상기 연료유 정화부로부터 제5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와, 연료유를 엔진에 공급하는 부스터를 포함하는 연료유 급유부; 상기 제1 내지 제4 가스 배출관 각각에 연결되는 가스 포집관을 통해 폐가스를 포집하는 가스 포집기; 및 상기 가스 포집기로부터 폐가스를 공급받아 스팀을 생산하는 가스 보일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은,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물리적으로 강제 분리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제거된 가스를 별도로 포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폐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1)은, 연료유 주 저장부(10),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20), 연료유 중간 저장부(30), 연료유 정화부(40), 연료유 급유부(50), 가스 포집기(gas receiver; 60), 가스 보일러(gas boiler; 70)를 포함한다.
연료유 주 저장부(10)는, 연료유 공급원(2)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유(fuel oil)인 원유(crude oil)를 저장하며, 연료유 저장 탱크(fuel oil storage tank; 11), 제1 가스 배출관(12), 제1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 13), 제1 연료유 예열 장치(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료유 저장 탱크(11)는, 연료유 공급원(2)에 연결된 제1 공급관(3a)을 통해 연료유를 공급받아 저장되도록 구성되며, 대용량이다. 연료유 저장 탱크(11)의 상부에는 후술할 제1 가스 배출관(12)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연료유 저장 탱크(11) 내의 상부 공간 부분에는 후술할 제1 배플 플레이트(13)가 설치될 수 있고, 연료유 저장 탱크(11) 내의 하부에는 후술할 제1 연료유 예열 장치(1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공급관(3a)은, 일단부가 연료유 공급원(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연료유 저장 탱크(11) 내의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스 배출관(12)은, 연료유 저장 탱크(11)에 저장된 연료유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연료유 저장 탱크(11)의 상부에 연결되며, 배출되는 폐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타단부가 후술할 가스 포집관(61)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 포집관(61)은 후술할 가스 포집기(60)에 연결된다. 제1 가스 배출관(12)의 일부분에는, 연료유 저장 탱크(11)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 데미스터(demister; 15)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배플 플레이트(13)는, 연료유 저장 탱크(11) 내의 상부 공간 부분에 설치되되, 연료유 저장 탱크(11) 내부로 연장된 제1 공급관(3a)의 토출구 아래에 위치된다. 제1 배플 플레이트(13)는 제1 공급관(3a)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료유가 통과되면서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가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가스 제거 효율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 연료유 예열 장치(14)는, 연료유 저장 탱크(11)에 저장된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거나, 원유와 같이 점성이 높은 연료유의 점성을 낮추기 위하여, 연료유 저장 탱크(11) 내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1 연료유 예열 장치(14)는, 연료유 저장 탱크(11) 외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산시키는 스팀 히터(14a)와, 스팀 히터(14a)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통과하면서 연료유 저장 탱크(11)내의 연료유를 예열하는 스팀 관(14c)과, 연료유 저장 탱크(11) 외부에 구비되어 스팀 관(14c)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을 응축시키는 응축기(1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팀 히터(14a)는 후술할 가스 보일러(70)의 스팀 배출부(73)에 연결되어 가스 보일러(70)에서 생산된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응축기(14b)는 후술할 가스 보일러(70)의 급수부(71)에 연결되어 응축기(14b)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가스 보일러(70)에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20)는, 연료유 주 저장부(10)에서 1차로 가스가 제거된 연료유가 제2 공급관(3b)을 통과할 때 가열시켜 연료유를 저장함과 동시에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fuel oil/gas separator tank; 21), 제2 가스 배출관(22), 공급관 가열 장치(23), 제1 노즐(nozzle; 24), 제2 배플 플레이트(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는, 1차로 가스가 제거된 연료유를 연료유 저장 탱크(11)에 연결된 제2 공급관(3b)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의 상부에는 후술할 제2 가스 배출관(22)이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공급관(3b)이 통과하는 연료유 가스 분리 탱크(21)의 입구에는 제2 공급관(3b)을 감싸도록 후술할 공급관 가열 장치(2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 내의 상부 공간 부분에는 후술할 제1 노즐(24)과 후술할 제2 배플 플레이트(25)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 공급관(3b)은, 일단부가 연료유 저장 탱크(1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 내의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연료유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일부분에 제1 연료유 이송 펌프(4a)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스 배출관(22)은,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에 저장된 연료유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의 상부에 연결되며, 배출되는 폐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타단부가 후술할 가스 포집관(61)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 포집관(61)은 후술할 가스 포집기(60)에 연결된다. 제2 가스 배출관(22)에는,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2 데미스터(26)를 설치할 수 있다.
공급관 가열 장치(23)는, 연료유가 제2 공급관(3b)을 통과할 때 가열시켜 연료유를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 저장함과 동시에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제2 공급관(3b)이 통과하는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의 입구에 제2 공급관(3b)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스팀 히터(23a)와, 스팀 히터(23a)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을 응축시키는 응축기(2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팀 히터(23a)는 후술할 가스 보일러(70)의 스팀 배출부(73)에 연결되어 가스 보일러(70)에서 생산된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응축기(23b)는 후술할 가스 보일러(70)의 급수부(71)에 연결되어 응축기(14b)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가스 보일러(70)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노즐(24)은,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 내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 공급관(3b)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공급관 가열 장치(23)를 통해 기액 분리가 용이한 온도로 가열된 연료유를 분사시킴으로써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가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제2 배플 플레이트(25)는,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 내의 상부 공간 부분에 설치되되,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 내부로 연장된 제2 공급관(3b)에 설치된 복수 개의 제1 노즐(24) 아래에 각각 위치된다. 제2 배플 플레이트(25)는 제1 노즐(24)을 통해 분사되는 연료유가 통과되면서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가 다시 한번 분리되도록 하여, 가스 제거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연료유 중간 저장부(30)는, 제3 공급관(3c)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20)에서 2차로 가스가 제거된 연료유를 저장하며, 연료유 버퍼 탱크(fuel oil buffer tank; 31), 제3 가스 배출관(32), 제2 노즐(33), 제3 배플 플레이트(34), 제2 연료유 예열 장치(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료유 버퍼 탱크(31)는, 2차로 가스가 제거된 연료유를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에 연결된 제3 공급관(3c)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연료유 버퍼 탱크(31)의 상부에는 후술할 제3 가스 배출관(32)이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연료유 버퍼 탱크(31) 내의 상부 공간 부분에는 후술할 제2 노즐(33)과 후술할 제3 배플 플레이트(34)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고, 연료유 버퍼 탱크(31) 내의 하부에는 후술할 제2 연료유 예열 장치(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3 공급관(3c)은, 일단부가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2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연료유 버퍼 탱크(31) 내의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연료유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일부분에 제2 연료유 이송 펌프(4b)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가스 배출관(32)은, 연료유 버퍼 탱크(31)에 저장된 연료유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연료유 버퍼 탱크(31)의 상부에 연결되며, 배출되는 폐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타단부가 후술할 가스 포집관(61)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 포집관(61)은 후술할 가스 포집기(60)에 연결된다. 제3 가스 배출관(32)에는, 연료유 버퍼 탱크(31)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3 데미스터(36)를 설치할 수 있다.
제2 노즐(33)은, 연료유 버퍼 탱크(31) 내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3 공급관(3c)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며, 제3 공급관(3c)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유를 분사시킴으로써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제3 배플 플레이트(34)는, 연료유 버퍼 탱크(31) 내의 상부 공간 부분에 설치되되, 연료유 버퍼 탱크(31) 내부로 연장된 제3 공급관(3c)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노즐(33) 아래에 위치된다. 제3 배플 플레이트(34)는 제2 노즐(33)을 통해 분사되는 연료유가 통과되면서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가 다시 한번 분리되도록 하여, 가스 제거 효율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 연료유 예열 장치(35)는, 연료유 버퍼 탱크(31)에 저장된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거나, 원유와 같이 점성이 높은 연료유의 점성을 낮추기 위하여, 연료유 버퍼 탱크(31) 내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2 연료유 예열 장치(35)는, 연료유 버퍼 탱크(31) 외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산시키는 스팀 히터(35a)와, 스팀 히터(35a)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통과하면서 연료유 버퍼 탱크(31)내의 연료유를 예열하는 스팀 관(35c)과, 연료유 버퍼 탱크(31) 외부에 구비되어 스팀 관(35c)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을 응축시키는 응축기(3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팀 히터(35a)는 후술할 가스 보일러(70)의 스팀 배출부(73)에 연결되어 가스 보일러(70)에서 생산된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응축기(35b)는 후술할 가스 보일러(70)의 급수부(71)에 연결되어 응축기(35b)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가스 보일러(70)에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연료유 정화부(40)는, 3차로 가스가 제거된 연료유를 연료유 버퍼 탱크(31)에 연결된 제4 공급관(3d)을 통해 공급받아 연료유에 함유된 불순물 및 수분 등을 제거하여 후술할 연료유 급유부(50)에 공급한다.
연료유 공급원(2)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유는 가스뿐만 아니라 불순물 및 수분 등이 포함되어 있어, 연료유 주 저장부(10),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20), 연료유 중간 저장부(30)를 통해 엔진(5)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가스가 제거되었지만, 연료유 정화부(40)를 통해 연료유에는 함유된 불순물 및 수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연료유 정화부(40)는 연료유 청정기(fuel oil purifi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4 공급관(3d)은, 일단부가 연료유 버퍼 탱크(3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연료유 정화부(4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연료유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일부분에 제3 연료유 이송 펌프(4c)가 구비될 수 있다.
연료유 급유부(50)는, 연료유 정화부(40)로부터 제5 공급관(3e)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 연료유를 저장하여 엔진(5)에 공급하며, 연료유 서비스 탱크(fuel oil service tank; 51), 제4 가스 배출관(52), 제3 연료유 예열 장치(53), 부스터(booster; 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료유 서비스 탱크(51)는, 연료유 주 저장부(10),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20), 연료유 중간 저장부(30)를 통해 3차에 걸쳐 가스가 제거되고, 연료유 정화부(40)를 통해 불순물 및 수분이 제거된 청정 연료유를 연료유 정화부(40)에 연결된 제5 공급관(3e)을 통해 공급받아 엔진(5)으로 공급하기 전에 일시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연료유 서비스 탱크(51)의 상부에는 후술할 제4 가스 배출관(52)이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연료유 서비스 탱크(51) 내의 하부에는 후술할 제3 연료유 예열 장치(5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5 공급관(3e)은, 일단부가 연료유 정화부(4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연료유 서비스 탱크(51) 내의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연료유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일부분에 제4 연료유 이송 펌프(4d)가 구비될 수 있다.
제4 가스 배출관(52)은, 연료유 서비스 탱크(51)에 저장된 연료유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연료유 서비스 탱크(51)의 상부에 연결되며, 배출되는 폐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타단부가 후술할 가스 포집관(61)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 포집관(61)은 후술할 가스 포집기(60)에 연결된다. 제4 가스 배출관(52)에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51)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4 데미스터(55)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연료유 서비스 탱크(51)에 저장된 연료유는 가스, 불순물 및 수분 등이 제거된 청정 연료유로서, 가스의 발생이 적을 것인 바, 제4 가스 배출관(52)을 가스 포집관(61)까지 연장시키는 설비작업에 따른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제4 가스 배출관(52)의 설치를 생략할 수도 있다.
제3 연료유 예열 장치(53)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51)에 저장된 청정 연료유에 함유되어 있을 수 있는 가스를 분리시키거나, 원유와 같이 점성이 높은 연료유의 점성을 낮추기 위하여, 연료유 서비스 탱크(51) 내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3 연료유 예열 장치(53)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51) 외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산시키는 스팀 히터(53a)와, 스팀 히터(53a)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통과하면서 연료유 서비스 탱크(51)내의 연료유를 예열하는 스팀 관(53c)과, 연료유 서비스 탱크(51) 외부에 구비되어 스팀 관(53c)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을 응축시키는 응축기(5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팀 히터(53a)는 후술할 가스 보일러(70)의 스팀 배출부(73)에 연결되어 가스 보일러(70)에서 생산된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응축기(53b)는 후술할 가스 보일러(70)의 급수부(71)에 연결되어 응축기(53b)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가스 보일러(70)에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부스터(54)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51)와 엔진(5) 사이에 설치되며, 연료유 서비스 탱크(51)와 연결된 제6 공급관(3f)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유의 압력을 높여 제7 공급관(3g)을 통해 엔진(5)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스 포집기(60)는, 제1 내지 제4 가스 배출관(12, 22, 32, 52) 각각에 연결된 가스 포집관(61)을 통해 폐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스 포집기(60)에 포집된 폐가스는 가스 공급관(62)을 통해 후술할 가스 보일러(70)에 공급되어 재활용된다. 가스 포집관(61)에는, 제1 내지 제4 가스 배출관(12, 22, 32, 52)을 통해 유입되는 폐가스를 가스 포집기(60)에 원활하게 공급을 위해 일부분에 가스 이송 펌프(63)가 구비될 수 있다.
가스 보일러(70)는, 가스 포집기(60)에 포집된 폐가스를 가스 공급관(62)을 통해 공급받아 스팀을 생산하며, 급수부(feed water; 71), 수관(water pipe; 72), 스팀 배출부(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급수부(71)는, 제1 내지 제3 연료유 예열 장치(14, 35, 53)의 응축기들(14b, 35b, 53b) 및 공급관 가열 장치(23)의 응축기(23b)와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응축기(14b, 23b, 35b, 53b)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급수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스팀 배출부(73)는, 제1 내지 제3 연료유 예열 장치(14, 35, 53)의 스팀 히터들(14a, 35a, 53a) 및 공급관 가열 장치(23)의 스팀 히터(23a)와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가스 보일러(70)에서 생산된 스팀을 이들 스팀 히터(14a, 23a, 35a, 53a)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연료유 주 저장부(10),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20), 연료유 중간 저장부(30) 각각에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물리적으로 강제 분리시킬 수 있는 수단이 포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제거된 가스를 별도로 포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가스 포집기(60)와 가스 보일러(70)를 구비함으로써, 폐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탱크에 저장된 연료유로부터 자연 발생되는 가스를 가스 배출부를 통해 제거함으로써, 연료유에 함유된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종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연료유 공급 시스템 2: 연료유 공급원
3a, 3b, 3c, 3d, 3e, 3f, 3g: 공급관 4a, 4b, 4c, 4d: 연료유 이송 펌프
5: 엔진 10: 연료유 주 저장부
11: 연료유 저장 탱크 12, 22, 32, 52: 가스 배출관
13, 25, 34: 배플 플레이트 14, 35, 53: 연료유 예열 장치
14a, 23a, 35a, 53a: 스팀 히터 14b, 23b, 35b, 53b: 응축기
14c, 35c, 53c: 스팀 관 15, 26, 36, 55: 데미스터
20: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 21: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
23: 공급관 가열 장치 24, 33: 노즐
30: 연료유 중간 저장부 31: 연료유 버퍼 탱크
40: 연료유 정화부 50: 연료유 급유부
51: 연료유 서비스 탱크 54: 부스터
60: 가스 포집기 61: 가스 포집관
62: 가스 공급관 63: 가시 이송 펌프
70: 가스 보일러 71: 급수부
72: 수관 73: 스팀 배출부

Claims (7)

  1. 연료유 공급원으로부터 제1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 저장 탱크와, 상기 연료유 저장 탱크 상부에 구비되는 제1 가스 배출관을 포함하는 연료유 주 저장부;
    상기 연료유 주 저장부로부터 제2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와, 상기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 상부에 구비되는 제2 가스 배출관과, 제2 공급관을 통과하는 연료유를 가열하는 공급관 가열 장치를 포함하는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
    상기 연료유/가스 분리 저장부로부터 제3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 버퍼 탱크와, 상기 연료유 버퍼 탱크 상부에 구비되는 제3 가스 배출관을 포함하는 연료유 중간 저장부;
    상기 연료유 중간 저장부로부터 제4 공급관을 통해 공급받은 연료유에 함유된 불순물 및 수분 등을 제거하는 연료유 정화부;
    상기 연료유 정화부로부터 제5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와, 연료유를 엔진에 공급하는 부스터를 포함하는 연료유 급유부;
    상기 제1 내지 제4 가스 배출관 각각에 연결되는 가스 포집관을 통해 폐가스를 포집하는 가스 포집기; 및
    상기 가스 포집기로부터 폐가스를 공급받아 스팀을 생산하는 가스 보일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 주 저장부, 상기 연료유 중간 저장부 및 상기 연료유 급유부는,
    상기 연료유 저장 탱크, 상기 연료유 버퍼 탱크 및 상기 연료유 서비스 탱크 각각에 저장된 연료유를 예열하는 연료유 예열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 예열 장치는,
    상기 탱크들 각각의 외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산시키는 스팀 히터;
    상기 스팀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통과하면서 상기 탱크들 내의 연료유를 예열하는 스팀 관; 및
    상기 탱크들 각각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 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을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보일러는,
    급수부, 수관 및 스팀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급수부는, 상기 연료유 예열 장치의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급수로 사용하고,
    상기 스팀 배출부는, 상기 연료유 예열 장치의 상기 스팀 히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 보일러에서 생산된 스팀을 상기 스팀 히터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 가열 장치는,
    상기 제2 공급관이 통과하는 상기 연료유/가스 분리 탱크의 입구에 상기 제2 공급관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스팀 히터; 및
    상기 스팀 히터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을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보일러는,
    급수부, 수관 및 스팀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급수부는, 상기 공급관 가열 장치의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급수로 사용하고,
    상기 스팀 배출부는, 상기 공급관 가열 장치의 상기 스팀 히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 보일러에서 생산된 스팀을 상기 스팀 히터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가스 배출관 각각에는,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데미스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KR1020120119047A 2012-10-25 2012-10-25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KR101882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047A KR101882520B1 (ko) 2012-10-25 2012-10-25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047A KR101882520B1 (ko) 2012-10-25 2012-10-25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438A true KR20140056438A (ko) 2014-05-12
KR101882520B1 KR101882520B1 (ko) 2018-07-27

Family

ID=5088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047A KR101882520B1 (ko) 2012-10-25 2012-10-25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52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158U (ko) * 2006-11-30 2006-12-20 주식회사 동화엔텍 가스운반선의 이중연료엔진용 압력보상시스템
JP2007331670A (ja) * 2006-06-16 2007-12-27 Oshima Shipbuilding Co Ltd 船舶の燃料供給装置
JP2009241903A (ja)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舶用燃料油供給装置
JP2011025878A (ja) * 2009-07-29 2011-02-10 Kita Engineering:Kk 小型船舶の燃料油加熱供給システム
KR20110090038A (ko) * 2010-02-02 2011-08-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장치
KR20110092740A (ko) * 2010-02-10 2011-08-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엔진 운전장치
KR20120049731A (ko) * 2010-11-09 2012-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1670A (ja) * 2006-06-16 2007-12-27 Oshima Shipbuilding Co Ltd 船舶の燃料供給装置
KR20060000158U (ko) * 2006-11-30 2006-12-20 주식회사 동화엔텍 가스운반선의 이중연료엔진용 압력보상시스템
JP2009241903A (ja)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舶用燃料油供給装置
JP2011025878A (ja) * 2009-07-29 2011-02-10 Kita Engineering:Kk 小型船舶の燃料油加熱供給システム
KR20110090038A (ko) * 2010-02-02 2011-08-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장치
KR20110092740A (ko) * 2010-02-10 2011-08-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엔진 운전장치
KR20120049731A (ko) * 2010-11-09 2012-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520B1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7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carbon dioxide from flue gas
CN102796537A (zh) 一种组合式焦炉荒煤气余热回收过热蒸汽的系统及方法
CN108096999B (zh) 一种再沸器法负压粗苯蒸馏工艺
CN101586037A (zh) 一种实现催化裂化回炼油浆选择性回炼的方法
CN104560105A (zh) 一种延迟焦化吹汽放空冷却系统及其应用
CN204034296U (zh) 一种蒸馏提取装置
RU86948U1 (ru) Установка улавливания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з реакторов коксования
KR101882520B1 (ko)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CN107890734A (zh) 一种废气脱白净化装置及其处理方法
CN202638033U (zh) 苯加氢尾气处理消烟装置
KR100935829B1 (ko) 이원화된 패킹을 구비한 폐유 정제 장치
CN206295742U (zh) 一种含尘热解油气全油洗系统
KR20140056612A (ko)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KR20140056463A (ko) 원유 엔진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
CN103523841B (zh) 高温高压废水热量回收装置
RU2367494C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схема улавливания углеводородных паров при наливе в цистерны
CN202398263U (zh) 一种低温甲醇洗尾气洗涤塔洗涤水再利用装置
CN204973481U (zh) 一种尾气排放系统
RU268326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жидких углеводородов
CN211936332U (zh) 一种含油污泥处理工艺用水洗塔
RU47487U1 (ru) Блок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а
RU85900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отработанных промышленных масел
CN105698556A (zh) 蒸汽余热回收器及其余热回用节能装置
US20170058707A1 (en) Flash tank design
CN202297297U (zh) 一种工业锅炉冷凝水净化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