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122A -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122A
KR20140056122A KR1020130143844A KR20130143844A KR20140056122A KR 20140056122 A KR20140056122 A KR 20140056122A KR 1020130143844 A KR1020130143844 A KR 1020130143844A KR 20130143844 A KR20130143844 A KR 20130143844A KR 20140056122 A KR20140056122 A KR 2014005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meju
weight
parts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재
강혜숙
김학종
박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씨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씨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씨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3014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6122A/ko
Publication of KR2014005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초를 이용한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함초를 세척한 후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과 함초 아임계추출물이 함유되도록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황국균이나 고초균에 의해 숙성되는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함초 메주는 메주콩 94.295~99중량%, 함초 0.99~4.715중량%, 황국균 0.01~0.99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를 위해 메주콩을 세척하는 메주콩 세척단계와, 수확한 함초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함초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한 함초를 30~6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함초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한 함초를 100~200mesh로 분쇄한 함초분말 제조단계와, 상기 함초분말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함초분말을 1g 당 물 10~40mL로 0.5~5MPa의 압력에서 100~210℃의 온도로 1~2시간 아임계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함초 아임계추출물 제조단계와, 정제수 100중량부에 상기 함초 아임계추출물 제조단게에서 제조된 함초 아임계추출물을 0.1~5중량부 첨가한 혼합물에 상기 세척한 메주콩을 6~16시간 침지하는 침지단계와, 상기 침지단계에서 침지한 메주콩을 상기 아임계추출물의 혼합물에서 90~100℃에서 삶는 증자단계와, 상기 증자단계에서 증자된 메주콩에 상기 함초분말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함초분말을 증자된 메주콩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를 첨가하여 메주를 일정 크기로 성형하는 메주성형단계와, 상기 메주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메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국균 0.01~1중량부를 첨가하여 발효실에서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발효단계에서 성형된 메주를 볏짚으로 묶어서 발효실에서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함초를 세척한 후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과 함초 아임계추출물이 함유되도록 제조함으로써, 함초의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황국균이나 고초균에 의해 숙성된 메주가 제조되어 상기 메주를 이용한 간장이나 된장을 제조하였을 때 보다 항산화 등 생리활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는 고부가가치 장류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The Meju containing Salicornia herbacea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it}
본 발명은 함초를 이용한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함초를 세척한 후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과 함초 아임계추출물이 함유되도록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황국균이나 고초균에 의해 숙성되는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대표적인 한국의 발효식품인 된장, 간장 그리고 고추장은 자연적으로 고초균등의 미생물들이 접종되어 만들어진 메주를 이용하여,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밥상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식품이다. 된장의 경우 주원료인 대두의 풍부한 단백질로 인하여 육류 섭취가 부족한 한국의 식단에서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의 역할을 하며, 이미 학술적으로 항암효과, 고혈압 치료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는 웰빙 식품이다. 간장은 기본적으로 음식의 맛을 살려 식욕을 증진시켜주며, 혈관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간장 속의 메티오닌은 담배, 술에 의한 니코틴과 알코올 해독작용이 있다.
메주콩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성분은 단백질로 보통 30~50% 정도를 차지한다. 콩단백질의 단백가는 73으로 달걀 100, 쇠고기 83, 쌀 72에 비하면 그리 높은 수치는 아니지만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 식생활에서 부족하기 쉬운 아미노산을 보충해주기 때문에 함께 섭취했을 때 이용률이 높아져 동물성 단백질과 다를 바 없는 영양 상태가 된다. 그 다음으로 많이 들어 있는 것은 지방과 탄수화물, 무기질과 비타민인데 지방은 평균 15~20%, 탄수화물은 약 25% 정도를 차지한다. 콩에 들어있는 지방은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산과 리놀렌산이 대부분이며, 혈관 벽에 콜레스케롤이 쌓이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뿐만 아니라 동맥 혈관 벽에 침착한 콜레스테롤을 녹이는 작용도 한다.
함초(Salicornia herbacea L.)는 명아주과(Chenopodiacead)에 속하는 일년초(一年草)로서 우리말로 '퉁퉁다미'라고 부른다. 함초의 자생기는 우리나라 남해안과 서해안 간척지 바닷가의 염습지대 및 염류 농도가 높은 갯벌근처에서 자라는 염생식물로 다량의 염분을 흡수하여 체내에 저장 및 축적하고 있다. 또한 K, Mg, Ca 등의 천연 미네랄이 다른 식물에 비하여 풍부할 뿐 아니라 필수 아미노산 및 필수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풍부하여 숙변, 변비, 항당뇨, 항고지혈증, 항산화작용 등 다양한 생리적 작용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함초를 천연기념물로, 프랑스 및 지중해에서는 어린줄기를 샐러드로 먹기도 하며, 멕시코, 이집트 및 아랍에서 식용이나 기름으로, 혹은 가축의 먹이로도 사용하였다.
국내 공개특허 제2003-0043224호에서는 함초 분말이 첨가된 곡자를 이용하여 장류를 만드는 방법이 게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10-0587399호에서는 함초 건조분말을 희석한 함초수용액을 된장, 간장 제조시 소금물 대용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대두박 및 함초를 이용한 메주의 제조방법 및 그 메주를 이용한 재래식 간장의 제조방법(공개특허 제10-2012-0110243호)에서는 대두박과 함초혼합물을 증숙하여 메주를 제조하였으며, 공개특허 제10-2011-0116337호에서는 함초누룩을 이용한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함초를 세척한 후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과 함초 아임계추출물이 함유되도록 제조하여, 함초의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황국균이나 고초균에 의해 숙성되어 생리활성 성분이 많이 함유된 함초 메주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함초 메주는 메주콩 94.295~99중량%, 함초 0.99~4.715중량%, 황국균 0.01~0.99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를 위해 메주콩을 세척하는 메주콩 세척단계와, 수확한 함초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함초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한 함초를 30~6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함초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한 함초를 100~200mesh로 분쇄한 함초분말 제조단계와, 상기 함초분말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함초분말을 1g 당 물 10~40mL로 0.5~5MPa의 압력에서 100~210℃의 온도로 1~2시간 아임계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함초 아임계추출물 제조단계와, 정제수 100중량부에 상기 함초 아임계추출물 제조단게에서 제조된 함초 아임계추출물을 0.1~5중량부 첨가한 혼합물에 상기 세척한 메주콩을 6~16시간 침지하는 침지단계와, 상기 침지단계에서 침지한 메주콩을 상기 아임계추출물의 혼합물에서 90~100℃에서 삶는 증자단계와, 상기 증자단계에서 증자된 메주콩에 상기 함초분말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함초분말을 증자된 메주콩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를 첨가하여 메주를 일정 크기로 성형하는 메주성형단계와, 상기 메주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메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국균 0.01~1중량부를 첨가하여 발효실에서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발효단계에서 성형된 메주를 볏짚으로 묶어서 발효실에서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효단계에서 성형된 메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국균 0.01~1중량부를 첨가하고, 볏짚으로 묶어서 발효실에서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함초를 세척한 후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과 함초 아임계추출물이 함유되도록 제조함으로써, 함초의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황국균이나 고초균에 의해 숙성된 메주가 제조되어 상기 메주를 이용한 간장이나 된장을 제조하였을 때 보다 항산화 등 생리활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는 고부가가치 장류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함초 아임계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비교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함초 메주 제조시 함유된 함초분말 함양에 따른 황국균의 증식에 관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함초 메주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다.
함초를 이용한 메주나 된장, 간장의 제조방법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함초의 기능성 성분이 보다 충분히 함유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함초분말과 함초 아임계추출물을 메주 제조시에 첨가하였다.
다음은 아임계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함초분말이 함유된 메우? 황국균 증식에 과한 시험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5~5MPa의 압력에서 추출한 함초 아임계추출액을 각 추출물이 갖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하였을 때, 압력 180℃이상의 이온 추출물에서는 열수 및 에탄올(EtOH), 메탄올(MeOH) 추출물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며, 210℃까지 온도 증가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여 SC50 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열수추출이나 에탄올,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아임계추출법에 의해 항산화 성분이 보다 많이 추출되었음을 나타낸다. 240℃ 함초 아임계추출물에서도 항산화 활성은 증가하였으며 탄내가 나고 색이 검은 특징을 보였다.
도 2를 참조하여, 메주 100중량부에 대하여 함초분말을 1~5중량부까지 첨가하여 메주를 제작하였으며 함초분말 함량이 1~3중량부까지 증가함에 따라 균주의 번식이 빠르게 이루어져 1중량부보다 3중량부에세 황국균의 증식이 다욱 빨라 노란색을 띠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이는 함초에 함유된 아미노산, 미네랄 등이 미생물 생육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며, 5중량부의 함초분물이 함유된 경우 매주 내의 수분활성도가 떨어져 미생물 생육이 저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함초 메주는 메주콩 9.295~99중량%, 함초 0.99~4.715중량%, 황국균 0.01~0.99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함초 메주의 제조방법은 메주콩 세척단계와, 함초 세척단계와, 함초 건조단계와, 함초분말 제조단계와, 함초 아임계추출물 제조단계와, 침지단계와, 증자단계와, 메주성형단계와, 발효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함초 메주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메주콩 세척단계에서는 메주콩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함초 세척단계에서는 수확한 함초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함초 건조단계에서는 상기 함초 세척단계에서 세척한 함초를 30~60℃의 온도에서 건조한다. 함초분말 제조단계에서는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한 함초를 100~200mesh로 분쇄한다. 함초 아임계추출물 제조단계에서는 상기 함초분말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함초분말을 1g 당 물 10~40mL로 0.5~5MPa의 압력에서 100~210℃의 온도로 1~2시간 아임계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침지단계에서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상기 함초 아임계추출물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함초 아임계추출물을 0.1~5중량부 첨가한 혼합물에 상기 세척한 메주콩을 6~16시간 침지한다. 증자단계에서는 상기 침지단계에서 침지한 메주콩을 상기 아임계추출물의 혼합물에서 90~100℃로 삶는다. 메주성형단계에서는 상기 증자단계에서 증자된 메주콩에 상기 함초분말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함초분말을 증자된 메주콩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를 첨가하여 메주를 일정 크기로 성형한다. 발효단계에서는 상기 메주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메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국균 0.01~1중량부를 첨가하여 발효실에서 발효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초 메주 제조방법에서는 메주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메주를 볏짚으로 묶어서 발효실에서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한다. 볏짚에 서식하는 고초균이 활성하여 메주의 발효숙성을 돕게된다. 발효단계 이전의 단계는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함초 메주 제조방법은 일실시예의 발효단계에서와 같이 성형된 메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국균 0.01~1중량부를 첨가하고, 볏짚으로 묶어서 발효실에서 발효시킨다.

Claims (4)

  1. 메주콩 94.295~99중량%, 함초 0.99~4.715중량%, 황국균 0.01~0.99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 메주.
  2. 이물질 제거를 위해 메주콩을 세척하는 메주콩 세척단계와,
    수확한 함초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함초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한 함초를 30~6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함초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한 함초를 100~200mesh로 분쇄한 함초분말 제조단계와,
    상기 함초분말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함초분말을 1g 당 물 10~40mL로 0.5~5MPa의 압력에서 100~210℃의 온도로 1~2시간 아임계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함초 아임계추출물 제조단계와,
    정제수 100중량부에 상기 함초 아임계추출물 제조단게에서 제조된 함초 아임계추출물을 0.1~5중량부 첨가한 혼합물에 상기 세척한 메주콩을 6~16시간 침지하는 침지단계와,
    상기 침지단계에서 침지한 메주콩을 상기 아임계추출물의 혼합물에서 90~100℃에서 삶는 증자단계와,
    상기 증자단계에서 증자된 메주콩에 상기 함초분말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함초분말을 증자된 메주콩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를 첨가하여 메주를 일정 크기로 성형하는 메주성형단계와,
    상기 메주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메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국균 0.01~1중량부를 첨가하여 발효실에서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 메주의 제조방법.
  3. 이물질 제거를 위해 메주콩을 세척하는 메주콩 세척단계와,
    수확한 함초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함초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한 함초를 30~6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함초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한 함초를 100~200mesh로 분쇄한 함초분말 제조단계와,
    상기 함초분말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함초분말을 1g 당 물 10~40mL로 0.5~5MPa의 압력에서 100~210℃의 온도로 1~2시간 아임계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함초 아임계추출물 제조단계와,
    정제수 100중량부에 상기 함초 아임계추출물 제조단게에서 제조된 함초 아임계추출물을 0.1~5중량부 첨가한 혼합물에 상기 세척한 메주콩을 6~16시간 침지하는 침지단계와,
    상기 침지단계에서 침지한 메주콩을 상기 아임계추출물의 혼합물에서 90~100℃에서 삶는 증자단계와,
    상기 증자단계에서 증자된 메주콩에 상기 함초분말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함초분말을 증자된 메주콩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를 첨가하여 메주를 일정 크기로 성형하는 메주성형단계와,
    상기 메주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메주를 볏짚으로 묶어서 발효실에서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 메주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주성형단계에서 성형된 메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국균 0.01~1중량부를 첨가하고, 볏짚으로 묶어서 발효실에서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함초 메주의 제조방법.
KR1020130143844A 2013-11-25 2013-11-25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56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844A KR20140056122A (ko) 2013-11-25 2013-11-25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844A KR20140056122A (ko) 2013-11-25 2013-11-25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092A Division KR20140054520A (ko) 2012-10-29 2012-10-29 함초 메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122A true KR20140056122A (ko) 2014-05-09

Family

ID=5088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844A KR20140056122A (ko) 2013-11-25 2013-11-25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61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136B1 (ko) 2020-11-16 2021-03-08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초 참숭어 반건정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136B1 (ko) 2020-11-16 2021-03-08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초 참숭어 반건정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8211A (zh) 一种食品调味料及其制备方法
KR101549391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저염간장 및 그 제조방법
CN105533068B (zh) 一种辣木固体发酵茶的加工方法
KR101613840B1 (ko) 상황버섯 아임계 추출물이 첨가된 쌈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3433A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전복장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황칠나무를 이용한 전복장조림
CN107822107A (zh) 一种海鲜菇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1762569B1 (ko) 아미노산 함량이 증진된 모링가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KR20140056122A (ko)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1075B1 (ko) 고압 열수추출 함초 분말을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KR20140056123A (ko) 어성초, 무화과, 유자를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613839B1 (ko) 상황버섯 아임계 추출물이 첨가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2296716B1 (ko) 아로니아 조미액의 제조방법
KR20140054520A (ko) 함초 메주 및 그 제조 방법
WO2015093662A1 (ko) 함초 메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613841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저염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1242A (ko) 양파소금 제조방법
KR101735666B1 (ko) 동충하초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8087A (ko) 고품질 건멸치의 제조방법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6134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조릿대 된장의 제조방법
KR102275341B1 (ko) 연자육 된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4860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저염 간장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72080A (ko) 함초 추출물이 코팅된 쌀
KR101801201B1 (ko) 마름 죽과 이의 제조방법
KR100925160B1 (ko) 연간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