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103A - Scribing wh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cribing wh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103A
KR20140056103A KR1020130130911A KR20130130911A KR20140056103A KR 20140056103 A KR20140056103 A KR 20140056103A KR 1020130130911 A KR1020130130911 A KR 1020130130911A KR 20130130911 A KR20130130911 A KR 20130130911A KR 20140056103 A KR20140056103 A KR 20140056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wheel base
hole
cob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9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토시오 후쿠니시
미츠루 기타이치
나오코 도메이
Original Assignee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39835A external-priority patent/JP5942783B2/en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6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1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03B33/105Details of cutting or scoring means, e.g. tips
    • C03B33/107Wheel design, e.g. materials, construction,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26Deposition of carbon only
    • C23C16/27Diamond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ibing wheel without a cobalt cemented layer in a through-hole by performing a cementation of cobalt on the surface of the scribing wheel. As a disc-shaped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used is a hard metal which is composed of tungsten carbide particles as the main component and cobalt as a binder, and on a surface layer of which cobalt cementation is performed. The cobalt cementation is performed by immersing the base material in an acidic fluid after applying a sealing material in the through-hole or removing the cobalt cemented layer in the through-hole. Thereafter, a diamond film is formed at a cutting edg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by a CVD method and a ridge part is ground. Accordingly, the adhesion of the diamond film is promoted and the possibility of exfoliation is reduced, thereby enabling the scribing wheel to have a longer life.

Description

스크라이빙 휠 및 그의 제조 방법{SCRIBING WH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0001] SCRIBING WH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취성 재료 기판에 압접ㆍ전동(rolling)시켜 스크라이브하기 위한 스크라이빙 휠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ibing wheel for scribing a brittle material substrate by press-contact, rolling,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종래의 스크라이빙 휠은, 특허문헌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초경합금제 또는 다결정 소결 다이아몬드(이하, PCD라고 함)제의 원판(圓板)을 기재(基材)로 하고 있다. PCD 원판은 다이아몬드 입자를 코발트 등과 함께 소결시킨 것이다. 스크라이빙 휠은 기재가 되는 원판의 양측으로부터 원주(圓周)의 에지를 서로 비스듬히 깎아, 원주면에 V자형의 날끝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스크라이빙 휠을 스크라이브 장치의 스크라이브 헤드 등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착(軸着)하여 취성 재료 기판에 소정의 하중으로 밀어 붙이고, 취성 재료 기판의 면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라이브할 수 있다. As shown in Patent Documents 1 to 3, a conventional scribing wheel is made of a base plate made of a cemented carbide or polycrystalline sintered diamo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D). The PCD disk is obtained by sintering diamond particles with cobalt or the like. The scribing wheel is formed by obliquely cutting the edges of the circumference from both sides of the original plate as a substrate to form a V-shaped edge of the circumference. The scribing wheel thus formed can be scribed by rotating the scribing wheel of the scribing device or the like in a rotatable manner, pushing the brittle material substrate with a predetermined load, and moving the brittle material substrate along the surface of the brittle material substrate.

특허문헌 2에는, 취성 재료 기판, 특히 유리판과의 슬립(slip)을 없애기 위해, 회전축의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날끝에 대하여 축방향으로부터의 방사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마하여 조흔(條痕)을 형성한 유리 커터가 나타나 있다. In order to eliminate a slip with a brittle material substrate, particularly a glass plate,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method of polishing a brittle material substrate, particularly a glass plate, by polishing the blade end in a direction forming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axial direction, ) Are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특허문헌 3에는 세라믹스제의 유리 절단용의 휠 커터에 있어서 연마 방향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마함으로써 깊은 수직 크랙을 형성할 수 있는 휠 커터가 제안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3 proposes a wheel cutter which can form a deep vertical crack by polish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inding direction in a wheel cutter for glass cutting made of ceramics.

또한, 특허문헌 4에는 유리 절단용 날의 수명을 길게 하기 위해, V자형 형상의 날끝 표면을 다이아몬드로 피막한 유리 절단용 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유리 절단용 날은, 다이아몬드와 상성(相性)이 좋은 세라믹으로 형성된 날끝 표면에 다이아몬드막을 피복하고, 이 다이아몬드막을 표면 연마 처리하여 정형된다. 이러한 유리 절단용 날을 이용함으로써, 날의 수명이 길고, 또한 절단면이 평활해지도록 고(高)경도 유리를 절단할 수 있다고 나타나 있다. 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glass cutting blade in which a blade surface of a V-shaped edge is coated with diamond in order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glass cutting blade. This glass cutting blade is formed by covering a diamond surface with a surface of a blade formed of a ceramic having good affinity with diamond and polishing the diamond surface by surface polishing. By using such a glass cutting blade, it is possible to cut a high hardness glass so that the blade has a long life and the cut surface is smoothed.

특허문헌 5에는, 초경합금의 절삭 공구의 표면에 다이아몬드막을 피막하기 전에, 초경합금의 표면 부분에 코발트의 함유량을 저하시킨 탈(脫)코발트층을 형성함으로써 초경합금과 다이아몬드막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절삭 공구가 제안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특허문헌 6에는 날끝에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한 스크라이빙 휠이 제안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5 discloses a method for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a cemented carbide and a diamond film by forming a de-cobalt layer having a reduced content of cobalt on the surface portion of the cemented carbide before coating the diamond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cutting tool of the cemented carbide A cutting tool has been proposed. Similarly, Patent Document 6 proposes a scribing wheel in which a diamond film is formed at the end of a blad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6-056451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6-056451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5-254865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05-254865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4-224128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04-224128 국제공개 WO2003/51784호 공보International Publication WO2003 / 51784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7-223101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7-223101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012675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012675

다결정 소결 다이아몬드(PCD)로 형성된 종래의 스크라이빙 휠은, 다이아몬드 입자와 결합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히 세라믹 등의 경도가 높은 취성 재료 기판을 스크라이브하면 결합재가 표면에 노출된 부분으로부터 마모가 급격하게 진행되어, 수명이 짧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유리의 박형화, 대형화에 의해, 취성 재료 기판을 스크라이브하고, 브레이크했을 때의 취성 재료 기판의 단면(端面) 강도가 요구되고 있다. Since a conventional scribing wheel formed of polycrystalline sintered diamond (PCD) is composed of diamond particles and a binder, scribing a brittle material substrate having high hardness, such as ceramics, There was a drawback that the lifetime was short. Recently, the thickness of the glass has been made thinner and larger, and a brittle material substrate has been required to be scribed and the strength of the end face of the brittle material substrate at the time of braking has been demanded.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리판을 스크라이브하는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시에 그 능선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날끝을 연마하면, 능선 부분에 깨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when a blade is polished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idgelin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scribing wheel for scribing a glass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dgeline portion is likely to be broken.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휠 커터는, 세라믹스제의 휠 커터로서, 표면에 다이아몬드막을 붙인 것이 아니다. 그 때문에 세라믹 등의 경도가 높은 취성 재료 기판을 스크라이브하면 마모가 급격하게 진행되어, 수명이 짧다는 결점이 있었다. The wheel cutte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is a wheel cutter made of ceramics and does not have a diamond coating on its surface. Therefore, when scribing a brittle material substrate having high hardness such as ceramic, the abrasion proceeds sharply and the life is short.

한편, 초경합금의 표면에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하면 절삭 공구의 내구성은 높아지지만, 초경합금에 포함되는 코발트가 다이아몬드막의 밀착성을 저하시키고 있어, 막의 박리가 발생하고 있었다.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 5에서는, 표면의 코발트의 함유량을 적게 하기 위해, 절삭 공구를 HNO3 등의 산성액에 침지하여 공구의 기재의 표면에 탈코발트층을 형성하여, 막의 밀착성을 높이고 있었다. 스크라이빙 휠에 있어서도, 특허문헌 4에 나타나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에 다이아몬드막을 피복하기 위해, 초경합금을 소재로 이용하면, 다이아몬드막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한편 특허문헌 6과 같이 스크라이빙 휠 기재에 이러한 탈코발트층을 형성하고자 한 경우에는, 스크라이빙 휠의 중심의 관통구멍의 내벽에도 탈코발트 처리가 이루어져 버린다. 이러한 탈코발트 처리가 행해져 날끝 부분에 다이아몬드 피막이 형성된 스크라이빙 휠을 이용하여 취성 재료 기판을 스크라이브하면, 관통구멍의 내벽 표면으로부터 코발트가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탄화 텅스텐 입자가 탈락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관통구멍에 마모 가루가 발생하고 이것이 핀에 부착되어 회전 저항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새롭게 판명되었다. 또한 코발트가 탈락한 면이 거친면이 되거나,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되어 버리거나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amond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mented carbide, the durability of the cutting tool is increased, but the cobalt contained in the cemented carbide deteriorates the adhesion of the diamond film, and peeling of the film occurs.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Patent Document 5, in order to reduce the content of cobalt on the surface, the cutting tool is immersed in an acidic solution such as HNO 3 to form a decalcobalt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tool,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of the film. Also in the scribing wheel, when a cemented carbide is used as a material for covering the diamond film on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4, the adhesion of the diamond film is deterior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ttempting to form such a decalobalt layer on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s in Patent Document 6,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at the center of the scribing wheel is subjected to decarburization treatment. When such a brittle material substrate is scribed by using a scribing wheel having a diamond coating formed on the tip end portion of the decarburization treatment, the tungsten carbide particles tend to fall off because cobalt is removed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For this reason, a problem has arisen that a wear powder is generated in the through hole and attached to the pin to increase the rotational resistance.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face where the cobalt is dropped off becomes a rough surface, or the mechanical strength is lower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크라이빙 휠의 기재의 탈코발트 처리에 수반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크라이빙 휠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ribing whe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cribing wheel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involved in the de-cobalt treatment of the substrate of the scribing wheel.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다이아몬드막을 피복한 스크라이빙 휠에 있어서, 다이아몬드막의 깨짐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어, 스크라이빙 휠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크라이빙 휠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ibing wheel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or peeling of a diamond film in a scribing wheel coated with a diamond film,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ncrease the life span of the scribing whe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스크라이빙 휠은, 원판 형상이고 중심 위치에 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와,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부분에 형성된 다이아몬드막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는, 탄화 텅스텐 입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코발트를 결합재로서 포함하는 초경합금을 이용한 것으로, 상기 관통구멍의 내벽을 제외한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표면의 적어도 상기 다이아몬드막이 형성되는 날끝 부분에 평균 두께가 1∼15㎛의 깊이의 탈코발트층을 갖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cribing whe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having a disc shape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in is inserted at a central position; Wherein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is made of a cemented carbide mainly composed of tungsten carbide particles and containing cobalt as a binder.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is a cemented carbide material containing tungsten carbide particles as a main component, And at least a de-cobalt layer having an average thickness of 1 to 15 탆 at the tip of the diamond film is formed.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은, 원판의 중심 위치에 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고, 원주부를 따라 날끝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으로서, 탄화 텅스텐 입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코발트를 결합재로서 포함하는 초경합금을 이용한 원판의 중심 위치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의 원주부에 날끝 부분을 형성하여 스크라이빙 휠 기재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관통구멍의 개구에 시일재를 도포하여 탈코발트 처리를 행하고,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부분에 화학 기상 성장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cribing whe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cribing wheel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in is inserted at a center position of a disk and has a blade tip along a circumference,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center position of the original plate using cemented carbide containing cobalt as a binder and a sharp edge portion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original plate to form a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 seal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opening of the through hole of the substrate to perform decalcification treatment and a diamond film is form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은, 원판의 중심 위치에 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고, 원주부를 따라 날끝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으로서, 탄화 텅스텐 입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코발트를 결합재로서 포함하는 초경합금을 이용한 원판의 중심 위치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의 외주부에 날끝 부분을 형성하여 스크라이빙 휠 기재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에 탈코발트 처리를 행하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벽의 탈코발트층을 연삭하여 탈코발트층을 제거하고,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부분에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해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cribing whe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cribing wheel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in is inserted at a center position of a disk and having a blade tip along a circumference, Forming a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by forming a through hole at a center position of the original plate using a cemented carbide containing cobalt as a binder and forming a sharp edge portion on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riginal plate, Cobalt layer is removed by grinding the decalburized layer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to form a diamond film on the edg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여기에서 상기 탈코발트층의 제거 공정은,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관통구멍에 표면에 지립(abrasive grain) 이 고착된 핀을 삽입하여 더미 스크라이브를 행함으로써 탈코발트층을 제거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Here, the step of removing the dec-cobalt layer may be performed by removing the dec-cobalt layer by inserting fins to which abrasive grains are fixed on the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nd performing dummy scribing.

여기에서 상기 탈코발트층의 제거 공정은,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관통구멍에 지립을 포함하는 유체를 유통시킴으로써 탈코발트층을 제거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Here, the step of removing the dec-cobalt layer may be performed by flowing a fluid including abrasive grains in the through-hol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thereby removing the dec-cobalt layer.

여기에서 상기 탈코발트층의 제거 공정은,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관통구멍에 호닝(honing) 가공을 행함으로써 탈코발트층을 제거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Here, in the step of removing the dec-cobalt layer, honing may be performed on the through-hol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to remove the dec-cobalt layer.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스크라이빙 휠은, 원주부를 따라 능선이 형성되고, 상기 능선과 상기 능선의 양측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날끝을 갖고, 상기 능선의 양측의 영역에 상기 능선에 평행한 연삭 조흔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와,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표면에 형성된 다이아몬드막을 갖는 것이다. A scribing wheel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ridge line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portion and has a blade edge formed by both the ridge line and the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ridge line, A scribing wheel substrate having a grinding streak, and a diamond film formed on a surface of the edg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여기에서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에 형성하는 연삭 조흔은, 상기 능선의 양측의 경사면에 능선을 중심으로 하여 폭 20㎛ 이상의 범위에 형성한 것으로 해도 좋다. Here, the grinding streaks formed on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may be formed in a range of 20 mu m or more in width around the ridgeline on both sides of the ridgeline.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은, 원판의 원주부를 따라 능선과 상기 능선의 양측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날끝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으로서, 날끝 부분을 상기 능선에 평행하게 연마하여 스크라이빙 휠 기재를 구성하고,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부분에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해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cribing wheel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cribing wheel having a ridge along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a disk and an edge formed by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ridge, To form a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nd a diamond film is form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여기에서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부분에, 상기 능선을 중심으로 하여 폭 20㎛ 이상의 범위를 상기 능선에 평행하게 연마함으로써 스크라이빙 휠 기재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Here,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may be constituted by polishing the edg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in parallel with the ridgeline in a range of 20 mu m or more in width around the ridge line.

여기에서, 능선이란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능선 부분이 만곡되어 있는 경우, 혹은 능선 부분이 소정의 폭을 갖는 경우에는, 2개의 경사면이 연장되어 교차하는 가상의 능선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Here, the ridgeline means a ridgelin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is curved, or, when the ridgeline portion has a predetermined width, it also includes a virtual ridge extending and intersecting the two inclined surfaces.

본 발명의 제1∼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크라이빙 휠 기재로서 소정의 범위의 입경의 탄화 텅스텐 입자에 코발트를 결합재로 하는 초경합금을 이용하여, 그 표면에 탈코발트 처리를 행하여 다이아몬드막을 성막하고 연마하여 스크라이빙 휠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다이아몬드막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크라이빙 휠의 내마모성이 향상되어, 장수명화할 수 있다. 또한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내경 부분에서는 탈코발트 처리된 층이 없기 때문에, 마모 가루가 핀에 부착되어 회전 저항이 커지거나,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되는 일이 없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 cemented carbide containing cobalt as a binder is used as tungsten carbid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surface thereof is subjected to decarburization treatment to form a diamond film And is polished to form a scribing wheel. Therefore, the adhesion of the diamond film can be improved,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scraping wheel can be improved, and the longevity can be increased. Further, since there is no de-cobalt treated layer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there is obtained an effect that the wear resistance is not adhered to the pin, and the rotational resistance is not increased or the mechanical strength is not lowered.

본 발명의 제4∼제5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을 그 능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마하면, 능선에 대하여 평행한 미세한 조흔이 남게 된다. 이 스크라이빙 휠 기재에 다이아몬드막을 성막하여 스크라이빙 휠로 한다.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능선에 평행하게 연마한 것으로, 다이아몬드막의 깨짐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 스크라이빙 휠을 이용하여 취성 재료 기판을 스크라이브하고 브레이크하면, 다이아몬드막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경도가 높은 취성 재료 기판을 스크라이브하는 경우에도 스크라이빙 휠의 마모가 적어, 스크라이빙 휠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dg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is polished parallel to the ridgeline, fine scratches parallel to the ridgeline are left. A diamond film is formed on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to form a scribing wheel. An effect that cracking or peeling of the diamond film is less likely to occur is obtained by polishing in parallel with the ridgelin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When the brittle material substrate is scribed and braked by using the scribing wheel, since the diamond film is used, even when scribing a brittle material substrate having a high hardness, the wear of the scribing wheel is reduced and the life of the scribing wheel .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제1,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의 날끝을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능선을 횡방향으로 했을 때의 도 1b에 나타내는 원형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a는 제1,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능선 부분의 정면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 4b는 제1,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측방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의 날끝을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능선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마한 스크라이빙 휠 기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b는 제1,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능선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a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관통구멍의 양단에 시일재를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복수의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관통구멍에 핀을 통하여 양단에 시일재를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제1, 제2 실시 형태의 스크라이빙 휠의 날끝의 연마 전의 능선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b는 제1, 제2 실시 형태의 연마 후의 능선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 및 탈코발트 처리 전후와 제1, 제2 실시 형태의 관통구멍 내의 코발트의 중량 퍼센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각 휠에 대해서 100m의 스크라이브를 행했을 때의 스크라이브 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A is a side view of a scribing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front view of the scraping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dge of the scribing wheel is polishe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ircular portion shown in Fig. 1B when the ridgeline is in the lateral direction.
Fig. 4A is an enlarged view of the ridgelin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viewed from the front. Fig.
4B is an enlarged view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s seen from the sid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lade edge of a scribing wheel is polished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cribing wheel substrate which is obliquely polished with respect to a ridge line of a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ridg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7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ling material is applied to both ends of a through hole of a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Fig. 7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ling material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through holes of a plurality of scribing wheel base materials through a fin. Fig.
8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dge portion before the polishing of the edge of the scribing wheel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8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dge portion after polishing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weight percentage of cobalt in the through-holes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nd the through-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before and after the de-cobalt treatment.
Fig. 10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scribe resistance when scribing 100 m for each wheel shown in Fig. 9; Fig.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의 측면도, 도 1b는 그 정면도이다. 스크라이빙 휠을 제조할 때에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11)가 되는 원판의 재료에 초경합금을 이용한다. 이 초경합금은, 탄화 텅스텐(WC) 입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코발트(Co)를 결합재로서 이용해 소결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 초경합금제의 원판의 중앙에, 우선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구멍이 되는 관통구멍(12)을 형성한다. Fig. 1A is a side view of a scraping wheel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front view thereof. In manufacturing the scribing wheel, a hard metal is used as a material of the disk serving as the scribing wheel base 11. [ The cemented carbide is formed by sintering tungsten carbide (WC) particles as main components and cobalt (Co) as a binder. At the center of the disk made of the cemented carbide, a through hole 12 to be a shaft hole is formed as shown in Fig. 1A.

다음으로 이 관통구멍(12)에 모터 등의 회전축을 연통하고, 관통구멍(12)의 중심축(12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원판의 전체 원주를 양측으로부터 연마하여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과 능선을 갖는 수직 단면 대략 V자형의 날끝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한 V자형의 경사면을 연마면(13)으로 한다. Next,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disk is polished from both sides while the rotation shaft of a motor or the like is communicated with the through hole 12 and rotated about the center axis 12a of the through hole 12, And a substantially V-shaped edge having a vertical section having a ridge line. The V-shaped inclined surface thus formed is referred to as a polishing surface 13.

도 2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11)를 연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방법에서는 연마시에 스트레이트 숫돌(stright-type wheel;20)을 이용한다. 이 숫돌은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400번에서 1000번,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번에서 800번의 거칠기의 것을 이용한다. 스트레이트 숫돌(20)은 원기둥 형상으로서, 원주면에 숫돌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트레이트 숫돌(20)을 숫돌 회전축(20a)을 따라 회전시켜, 스크라이빙 휠 기재(11)를 연마한다. 이때 스트레이트 숫돌(20)을 일정 속도로 숫돌 회전축(20a)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숫돌 회전축(20a)과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의 회전축(12a)이 1개의 평면(지면(紙面))을 이루도록 스크라이빙 휠 기재(11)를 밀어 붙이고, 스크라이빙 휠 기재(11)도 그 회전축(12a)을 따라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의 경사면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 형상의 다수의 연삭 조흔(14)이 형성된 연마면(13)이 된다. 한쪽면의 연마를 끝내면, 다른 한쪽면에 대해서도와 동일하게 연마한다. 이렇게 하여 연마를 끝내면, V자형의 연마면에는 능선에 평행한 다수의 미세한 연삭 조흔(14)이 형성된 상태가 된다. 2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polishing the scribing wheel base 11. In this method, a stright-type wheel 20 is used in polishing. The grindstone preferably has a roughness of 400 to 1000, more preferably 600 to 800, for example. The straight grinding wheel 2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grindstone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traight grinding wheel 20 is rotated along the grinding wheel shaft 20a to polish the scribing wheel base 11. The grinding wheel 20a and the rotating shaft 12a of the scribing wheel base 11 are rotated in a single plane (a paper surface) while the straight grinding wheel 20 is rotated along the grinding wheel 20a at a constant speed And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11 is also rotated along its rotation axis 12a. Thu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cribing wheel base 11 becomes the abrasive surface 13 having a plurality of concentric grinding streaks 14 formed around the rotation axis. When the polishing of one side is finished, the other side is polished as well. When polishing is finished in this manner, a plurality of fine grinding streaks 14 parallel to the ridgelines are formed on the V-shaped polishing surface.

도 3은 능선을 횡방향으로 했을 때의 도 1b에 나타내는 원형 부분의 확대도이다. 여기에서 연마면(13)의 전체면에 미세한 연삭 조흔이 형성되도록 해도 좋지만, 그 능선의 주변 부분만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심원 형상의 연삭 조흔이 형성되도록 연삭함으로써,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의 능선은 도 4a에 능선 부분의 정면으로부터 본 확대도를 나타내도록 약간 만곡된 것이 된다. 도 4b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측방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 4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능선에는 요철이 있어, 횡방향의 가상적인 능선(15)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다수의 연삭 조흔(14)이 형성되어 있다.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ircular portion shown in Fig. 1B when the ridgeline is in the lateral direction. Here, fine grinding marks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olishing surface 13, but only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ridgeline may be formed. Thus, the ridgeline of the scribing wheel base 11 is slightly curved so as to show an enlarged view as seen from the front of the ridgeline portion in Fig. 4A by grinding so as to form a concentric grinding ridge around the rotation axis. 4B is an enlarged view of the scribing wheel base as seen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 4B, the ridges have irregularities, and a plurality of grinding streaks 14 are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imaginary ridgelines 15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과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제1, 제2 실시 형태와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의 연마 공정만이 상이하다. 이 실시 형태의 연마 공정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원판 형상의 컵 숫돌(21)을 이용한다. 컵 숫돌(21)은 원판의 면에 연마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컵 숫돌(21)의 숫돌 회전축(21a)을 향하여 기울인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의 선단면을 연마하는 것이다. 이때 컵 숫돌(21)을 숫돌 회전축(21a)을 중심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숫돌 회전축(21a)과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의 회전축(12a)이 1개의 평면(지면과 직교하는 면)을 이루도록 스크라이빙 휠 기재(11)를 밀어 붙이고, 회전축(12a)을 따라 회전시켜 연마한다. 이와 같이 연마한 경우라도, 컵 숫돌(21)의 외주부라면 연마 영역의 원과 비교하여 스크라이빙 휠 기재는 충분히 작기 때문에, 능선에 거의 평행하게 연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능선에 평행한 다수의 연삭 조흔이 형성된다. 그 후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에 다이아몬드 박막을 형성하여 스크라이빙 휠에 마무리하는 것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Next, a scribing whe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modified example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is modified example differs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nly in the polishing process of the scribing wheel base 11. In the polishing step of this embodiment, a disk-shaped cup grindstone 21 shown in Fig. 5 is used. The cup grindstone (21) has a polished surfa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sk. In this embodiment,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scribing wheel base 11 is tilted toward the grinding wheel shaft 21a of the cup grinding wheel 21. At this time, while rotating the cup grinding wheel 21 at a constant speed around the grinding wheel shaft 21a, the grinding wheel shaft 21a and the rotating shaft 12a of the scribing wheel base 11 are rotated in one plane ), And the scribing wheel base 11 is rotated and rotated along the rotating shaft 12a. Even in this case, since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is sufficiently small as compared with the circle of the polishing are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grinding wheel 21, polishing can be per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idgeline. Therefore,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grinding streaks parallel to the ridgeline are formed. Thereafter, a diamond thin film is formed on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11 to finish the scribing wheel, the same effect as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다음으로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연삭 조흔의 방향과, 이것에 기초하는 효과에 대해서 구체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연삭 조흔이 능선에 대하여 약 30°의 각도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능선 부근을 정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비교예의 확대 사진이고, 도 6b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능선에 거의 평행한 연삭 조흔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능선 부근을 정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확대 사진이다. Next, the directions of the grinding streaks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nd the effects based thereon will be described using specific examples. 6A is an enlarged view of a comparative example showing the vicinity of the ridge lin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obliquely formed at an angle of about 30 DEG with respect to the ridge line from the ridge line,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vicinity of the ridge lin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having a grinding streak from the front. Fig.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막을 성장시키기 전의 스크라이빙 휠 기재에 연삭 조흔이 능선폭 d1의 능선에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6a의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능선 부분은 보다 예리해진다. 또한, 능선의 선단에는 A1로 나타내는 부분 등, 군데군데 깨짐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 깨짐에 의한 요철의 선단도 비교적 예리해진다. 즉, 능선 부분의 표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다이아몬드의 밀착성이 낮고, 경질의 취성 재료 기판을 스크라이브할 때에 다이아몬드막이 박리되기 쉬워진다. As shown in FIG. 6A, when the grinding streaks are formed on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before the diamond film is grown so as to cross the ridgeline of the ridgeline width d1, the ridgelin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of FIG. 6A becomes sharper. In addition, although cracks are generated somewhere at the tip of the ridgeline, such as a portion indicated by A1, the tip of the concavity and convexity due to this fracture becomes comparatively sharp. That is, since the surface area of the ridgeline portion is small, the adhesion of diamond is low, and the diamond film tends to peel off when scribing a hard brittle material substrate.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능선폭 d2의 능선에 거의 평행한 연삭 조흔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능선을 예리하게 하는 것은 어려워, 그 선단 부분은 연삭 조흔이 능선에 교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능선폭 d2가 넓은 형상이 된다. 그 때문에, 날끝 부분에 다이아몬드막을 성장시키면, 스크라이빙 휠 기재와 다이아몬드막과의 접착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다이아몬드막의 밀착성이 높아진다. 또한 능선 부분에는 타원으로 나타내는 영역 A2 등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재의 소재나 숫돌에 유래하는 미소하고 불규칙한 요철이 남기 때문에, 더욱 다이아몬드막과의 접착 면적이 커진다. 그 때문에 스크라이브시에 다이아몬드막에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스크라이빙 휠 기재로부터 다이아몬드막이 박리되기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스크라이빙 휠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B, a grinding strip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idge line of the ridge line width d2 is formed.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sharpen the ridgeline, and the ridge line width d2 becomes wide in comparison with the case where the grinding streaks cross the ridgeline. Therefore, if a diamond film is grown on the edge of the blade, the adhesion area between the scraping wheel base material and the diamond film can be increased, and the adhesion of the diamond film can be enhanced. In addition, as shown in the area A2 and the like indicated by ellipses in the ridgeline portion, small and irregular unevenness derived from the base material or the grindstone is left, and thus the area of adhesion with the diamond film becomes larger. Therefore,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the diamond film during scribing, the diamond film is hardly peeled from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nd as a result, the life of the scribing wheel can be prolonged.

또한 이 효과를 얻기 위해, 연마면(13)의 연삭 조흔은 다이아몬드막이 취성 재료 기판에 접촉하는 범위이면 충분하다. 따라서 V자형의 날끝을 형성한 후에 연삭 조흔(14)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연삭 조흔을 형성하는 범위는 적어도 능선으로부터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다이아몬드막이 박리되기 어려워, 스크라이빙 휠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In order to obtain this effect, it is sufficient that the grinding streak of the polishing surface 13 is in a range in which the diamond film contacts the brittle material substrate. Therefore, the grinding streak 14 may be formed after the V-shaped edge is formed. The range in which the grinding streaks are formed is at least 20 mu m or more, preferably 100 mu m or more, from the ridge line. In this case, the diamond film is hardly peeled off, and the life of the scraping wheel can be prolonged.

여기에서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의 초경합금에 대해서는, 주성분인 탄화 텅스텐(WC) 입자의 평균 입경은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이고, 또한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의 미립자를 이용한 초경합금을 선택한다. 초경합금의 재료인 탄화 텅스텐 입자의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초경합금을 형성하기 위해 소결했을 때에 탄화 텅스텐 입자끼리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초경합금의 강도가 저하된다. 이 때문에, 초경합금 상에 형성된 다이아몬드막이 초경합금의 표층과 함께 박리되기 쉬워져, 막의 수명이 저하된다. 또한 텅스텐 입자의 입경이 지나치게 크면, 탄화 텅스텐 입자의 간극이 커지기 때문에, 코발트가 제거됨으로써 초경합금 표층에 있어서 강도가 저하되어, 마찬가지로 다이아몬드막이 박리되기 쉬워진다. Here, as for the cemented carbid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11,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ain component tungsten carbide (WC) particles is 0.5 占 퐉 or more, preferably 0.7 占 퐉 or more and 2.0 占 퐉 or less, preferably 1.2 占 퐉 or less Of the cemented carbide is selected. If the particle size of the tungsten carbide particles as the material of the cemented carbide is too small, the strength of the cemented carbide is lowered becaus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tungsten carbide particles is weak when sintering to form the cemented carbide. For this reason, the diamond film formed on the cemented carbide tends to peel off together with the surface layer of the cemented carbide, so that the lifetime of the film deteriorates. If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tungsten particles is too large, the gap of the tungsten carbide particles becomes large, so that the strength is lowered in the surface layer of the cemented carbide by removing the cobalt, and the diamond film is easily peeled off likewise.

또한 초경합금의 결합재인 코발트의 중량비는, 예를 들면 3% 이상, 바람직하게는 4% 이상으로 하고, 또한 8% 이하, 바람직하게는 6% 이하로 한다. 코발트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코발트가 제거됨으로써 초경합금 표층에 있어서 강도가 크게 저하되어, 다이아몬드막이 박리되기 쉬워진다. 또한 코발트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코발트가 제거된 후에 텅스텐 입자의 간극이 작아지기 때문에,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할 때에 핵이 되는 다이아몬드 입자를 충분히 부착시키는 것이 어렵고, 균일하게 막을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The weight ratio of cobalt as a binder of the cemented carbide is, for example, 3% or more, preferably 4% or more, and 8% or less, preferably 6% or less. If the content of cobalt is excessively large, the cobalt is removed, and the strength of the cemented carbide surface layer is greatly lowered, and the diamond film is liable to peel off. If the content of cobalt is too small,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adhere the diamond particles to be nuclei when forming the diamond film, because the gap of the tungsten particles becomes small after the removal of cobalt, and it becomes difficult to uniformly form the film.

다음으로 탈코발트 처리와 다이아몬드막의 형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의 날끝의 연마면(13)을 미리 거친면으로 한다. 연마면(13)을 거친면으로 함으로써, 핵이 되는 다이아몬드 입자가 부착되기 쉬워진다.Next, the decalcification treatment and the formation of the diamond film will be described. First, the polishing surface 13 of the blade edge of the scribing wheel base 11 is previously roughened. By making the surface roughened by the polishing surface 13, diamond particles becoming nuclei are easily attached.

그런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표층에 코발트가 존재하면,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할 때에, 다이아몬드가 그래파이트(graphite)화하여 막을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코발트가 제거되면 텅스텐 입자의 간극이 미소한 요철이 되기 때문에, 핵이 되는 다이아몬드 입자가 부착되기 쉬워진다. 그래서 연마면(13)의 적어도 다이아몬드막이 형성되는 부분의 표층의 코발트를 제거하는 탈코발트 처리를 행한다. 이때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의 관통구멍(12)의 개구 부분의 양측에 시일재(30)를 도포하고, 관통구멍(12)의 내부에는 산성액이 침투하지 않도록 미리 전(前)처리를 행한다. 또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의 측벽을 맞추어 접촉시키고, 그 내부에 핀(31)을 관통시켜 고정한 후, 그 양단의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의 벽면에만 시일재(30)를 도포해 두어도 좋다. However, when cobalt is present in the surface layer of the edg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diamond is graphitized when the diamond film is formed,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 film.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balt is removed, the gaps between the tungsten particles become minut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so that the diamond particles becoming nuclei are easily attached. Thus, a decarburization treatment is performed to remove at least the surface layer of the polishing surface 13 where the diamond film is to be formed. 7A, the sealing material 30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through-hole 12 of the scribing wheel base 11, and the acidic liquid does not penetrate into the through-hole 12 The pre-processing is performed in advance. As shown in Fig. 7B, the side walls of the scribing wheel base 1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ins 31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sidewalls of the scribing wheel base 11, Only the sealing material 30 may be applied.

여기에서 시일재(30)는 높은 내산성을 갖는 한편, 용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수지를 이용한다. 그리고 스크라이빙 휠 기재(14)를 HNO3 등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산용액 중에 침지하고, 탈코발트층을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표면에 형성한다. 이때 형성되는 탈코발트층의 두께는 산용액 중에 침지하는 시간이 길수록 두꺼워지지만, 평균 두께를 예를 들면 1∼15㎛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7㎛의 두께로 한다. 이 경우 스크라이빙 휠 기재(11)를 산용액에 담가도, 관통구멍(12)의 내부에는 액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관통구멍 내면에서는 탈코발트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탈코발트 처리는 적어도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하는 날끝 부분에만 행해지면 좋고, 관통구멍의 주위 등,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에 시일 처리를 행해도 좋다. Here, the sealing material 30 has a high acid resistance, while a resin such as acrylic resin, epoxy resin, phenol resin, nitrocellulose, etc. which can be easily removed by using a solvent is used. Then,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14 was immersed in HNO 3 Or the like, to form a decalbalt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cribe wheel base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dec-cobalt layer formed at this time is thicker as the immersion time in the acid solution becomes longer, but the average thickness is set to, for example, 1 to 15 탆, preferably 1 to 10 탆, more preferably 1 to 7 탆 Thickness. In this case, even i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11 is immersed in the acid solution, since the liquid does not enter into the through hole 12, the decarburization treatment is not per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The decalcifica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at least only on the edge portion where the diamond film is to be formed, and the seal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portion where the diamond film is not formed, such as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이렇게 하여 탈코발트 처리를 행한 후, 스크라이빙 휠 기재(11)를 수지를 용융하는 용제 중에 담가, 시일재(30)를 제거한다. After the decarburization treatment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11 is immersed in a solvent for melting the resin, and the sealing material 30 is removed.

다음으로 도 8a의 날끝의 능선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미크론(submicron) 이하의 입경의 핵이 되는 다이아몬드를 연마면(13)에 형성한 후, 화학 기상 성장법(CVD법)에 의해 다이아몬드 박막을 성장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스크라이빙 휠의 V자형의 사면(斜面) 부분에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해, 막두께가 예를 들면 20∼30㎛인 다이아몬드막(16)을 형성한다. 이 후, 적어도 선단 부분이 날카로워지도록 연마한다. 연마는 기계 연마 등 각종 연마 방법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연마재를 이용하여 기계 연마에 의해 실행해도 좋다. 도 8b는 이 연마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연마시에는 원래의 다이아몬드막(16)보다도 예를 들면 5˚ 정도 둔각이 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연마한 후의 능선으로 이루어지는 원이 포함되는 면을 관통구멍(12)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연마하는 영역은 능선을 중앙에 포함하는 띠 형상의 부분만이라도 좋다. 도 8b의 폭(w)의 영역은 이 선단 부분의 연마 영역을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면 폭(w)은 10∼20㎛로 한다. Next, as shown in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dge portion of the blade edge of FIG. 8A, a diamond serving as a nucleu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submicron or less is formed on the polishing surface 13, follow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The diamond thin film is grown. In this way, a diamond film 16 having a film thickness of, for example, 20 to 30 占 퐉 is formed on the V-shaped slop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Thereafter, polishing is performed so that at least the tip portion is sharpened. The polishing is carried out by various polishing methods such as mechanical polishing. For example, it may be carried out by mechanical polishing using an abrasive. 8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the polishing. As described above, the diamond film 16 may have an obtuse angle of about 5 degrees when polished, for example. Then, the surface including the circle formed by the ridges after polishing is made perpendicular to the through hole 12. Here, the area to be polished may be only the strip-shaped portion including the ridgeline at the center. The region of width w in Fig. 8B represents the polishing region of this tip portion, and for example, the width w is 10 to 20 mu m.

이와 같이 연마함으로써 종래의 스크라이빙 휠에 비하여, 취성 재료 기판에 접하는 부분의 모두가 다이아몬드로 되어, 능선의 거칠기를 세밀하게 할 수 있다. 스크라이빙 휠 기재(11)의 표면의 코발트를 제거함으로써 핵이 되는 다이아몬드 입자가 부착하기 쉬워짐으로써, 다이아몬드막이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스크라이빙 휠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스크라이빙 휠을 이용하여 취성 재료 기판을 스크라이브하고, 분단(dividing)하면, 취성 재료 기판의 절단면의 단면 정밀도가 향상하고, 이에 수반하여 단면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스크라이빙 휠은 세라믹스 기판과 같은 경질의 취성 재료 기판을 스크라이브하는 데에 적합하다. By polishing in this way, all of the portions in contact with the brittle material substrate become diamon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cribing wheel, and the roughness of the ridgeline can be made finer. By removing the cobalt on the surface of the scribing wheel base 11, the diamond particles becoming nuclei are easy to adhere, so that the diamond film is difficult to peel off. Therefore,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scraping wheel can be improved. Therefore, by scribing and dividing the brittle material substrate by using the scribing wheel, the cross-sectional precision of the cut surface of the brittle material substrate is improved, and consequently the cross-section strength can be improved. Therefore, the scribing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scribing a hard brittle material substrate such as a ceramic substrat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 전체를 산성액에 담글 때에 액이 관통구멍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11) 전체를 산성액에 담근 후, 관통구멍(12)의 내면을 연마함으로써 내벽의 표면의 탈코발트층을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연마하는 층의 두께는 코발트가 제거된 부분의 깊이에 따르지만, 예를 들면 표면으로부터 1∼15㎛의 두께이고, 바람직하게는 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7㎛의 두께이다. 탈코발트층의 제거 이외의 공정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 연마에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이 있지만, 관통구멍 내면의 탈코발트층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면, 이하의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ext,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craping whe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liquid does not enter the through hole when the entir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is immersed in the acidic liquid. In this embodiment, the entir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11 is immersed in the acidic liqui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2 is polished to remove the decalcobalt layer on the inner wall surface. The thickness of the layer to be polished depends on the depth of the portion where the cobalt is removed, but is, for example, 1 to 15 μm thick from the surface, preferably 1 to 10 μm, more preferably 1 to 7 μm. The process other than the removal of the dec-cobalt layer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is polishing may be carried out,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manner. However, the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method as far as it can remove the decalcified lay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제1 방법은 지립을 표면에 고착시킨 핀을 이용하여 더미(dummy) 스크라이브를 행하는 방법이다. 핀의 표면에 지립을 고착시키는 방법에는,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 입자를 분산시킨 니켈 도금 용액으로 표면을 전기 도금함으로써 지립인 다이아몬드 입자를 표면에 고착시키는 방법(전착)이 있다. 이하, 전착에 의해 지립을 표면에 고착시킨 핀을 전착 핀이라고도 한다. 이 전착 핀을 스크라이빙 휠(10)의 관통구멍(12)에 관통시켜 소정의 거리 더미 스크라이브를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관통구멍(12)의 내벽에 예를 들면 내벽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5㎛ 정도의 연마를 행하여, 관통구멍(12) 내의 표층의 탈코발트층을 제거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처리 후의 표층의 표면 거칠기(산술 평균 거칠기(Ra))를 0.35㎛ 이하, 바람직하게는 0.30㎛ 이하로 한다. 이것은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0.35㎛보다 큰 경우에는 통상의 핀을 삽입하여 스크라이브했을 때 회전 저항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The firs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dummy scribe is performed by using a pin fixed to the surface of the abrasive grains. As a method for fixing the abrasive grains on the surface of the fin, there is a method (electrodeposition) in which abrasive grains are fixed on the surface by, for example, electroplating the surface with a nickel plating solution in which diamond grains are dispersed. Hereinafter, the pin having the abrasive grains adhered to the surface by electrodeposition is also referred to as an electrodeposition pin. The electrodeposition pin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 of the scribing wheel (10) to per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dummy scribe. Thus, polishing can be per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2 from the surface of the inner wall toward the inner side, for example, to a depth of about 5 탆 to remove the surface decolorization layer in the through hole 12. The surface roughness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surface layer after this treatment is set to 0.35 탆 or less, preferably 0.30 탆 or less. This is because when the arithmetic average roughness Ra is larger than 0.35 mu m, the rotational resistance is increased when scribing is performed by inserting a normal pin.

제2 방법은 와이어 랩 등 유리(遊離) 지립을 이용하여 연마하는 방법이다. 스크라이빙 휠(10)의 관통구멍(12)에 연마재를 포함하는 유체(슬러리)를 흘려 넣고, 와이어 등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내벽을 연마하여, 탈코발트층을 제거할 수 있다. The second method is a method of grinding using free abrasive grains such as wire wraps. A fluid (slurry) containing an abrasive is flowed into the through hole 12 of the scribing wheel 10 and the inner wall is polished by sliding a wire or the like to remove the decobalt layer.

제3 방법은 고정 지립을 이용한 호닝 가공에 의한 것이다. 관통구멍 내벽을 연마하기 위한 호닝 가공을 행하여 내벽의 표면의 탈코발트층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도 스크라이빙 휠(10)의 관통구멍(12)의 내벽으로부터 탈코발트층을 제거할 수 있다. The third method is a honing process using fixed abrasive grain. And a honing process is performed to polish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to remove the decalcobalt layer on the inner wall surfac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ecalcified layer from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2 of the scribing wheel 10.

다음으로 도 9는 제1,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탈코발트 처리를 행하는 전후의 표면 부분의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코발트의 중량 퍼센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면에 시일재를 행한 후에 탈코발트 처리를 행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 및, 탈코발트층을 관통구멍의 내부를 전착 핀을 이용해 연마하여 제거한 제2 실시 형태의 경우의 관통구멍 내의 코발트의 중량 퍼센트에 대해서도 도 9에 나타내고 있다. 이 측정 결과에 의하면, 스크라이빙 휠 기재(11) 그 자체에서는 예를 들면 약 4%의 코발트량이 있고, 탈코발트 처리를 행함으로써 1% 미만이 된다. 도 9에 있어서는 탈코발트 처리를 한 후의 코발트량의 측정값이 1개밖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코발트량이 적어, 검출할 수 없는 시료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관통구멍 내에 산성액이 들어가지 않도록 시일을 행했을 때의 관통구멍 내의 코발트량은 2% 전후가 되고, 또한 관통구멍 내를 연마한 경우에는 코발트량은 3.5% 전후가 된다. Next, Fig. 9 shows the weight percentage of cobalt in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 portions where the decarburization treatment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carried out.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de-cobalt treatment was performed after the sealing material was applied to the surface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de-cobalt layer was polished and removed by using the electrodeposition fin, the weight of the cobalt in the through- The percentage is also shown in Fig. According to this measurement result,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11 itself has a cobalt content of, for example, about 4%, and it becomes less than 1% by performing the decarburization treatment. In FIG. 9, there was only one measurement value of the amount of cobalt after the decolorization treatment, but there was a sample in which the amount of cobalt was small and could not be detected. The amount of cobalt in the through hole when sealing was performed so that the acid solution did not enter the through hole was about 2%, and when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was polished, the amount of cobalt was about 3.5%.

도 10은 이들 스크라이빙 휠 기재를 이용해 다이아몬드막을 부착되어, 구성된 스크라이빙 휠을 이용하여 500g의 스크라이브 하중으로 스크라이브했을 때의 0m(스크라이브 개시시)의 스크라이브 저항값과 100m 스크라이브한 후의 스크라이브 저항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스크라이빙 휠의 관통구멍 내에도 탈코발트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는, 도 10의 직선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거리가 100m가 되면 스크라이브 저항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스크라이빙 휠에 탈코발트 처리를 행하지 않은 경우(직선 A)나, 관통구멍 내에 탈코발트의 시일을 행한 경우(직선 C), 또는 연마한 경우(직선 D)에는 그만큼 스크라이브 저항이 변화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마모 가루가 핀에 부착하여 회전 저항이 커지거나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되는 일이 없는 스크라이빙 휠을 실현할 수 있다. 10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ribe resistance value at 0 m (at the start of scribing) and the scribing resistance after scribing at 100 m when scribing with a scribing load of 500 g using a scribing wheel equipped with a diamond film using these scribing wheel substrates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a value. When the decalcification treatment is also perform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scribing wheel, as shown by the straight line B in FIG. 10, when the scribing distance becomes 100 m, the scribing resistance increases greatly. However, when the scribing wheel is not subjected to the decarburization treatment (straight line A), when the de-cobalt seal is performed in the through hole (straight line C), or when the polishing is performed (straight line D) not.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craping wheel in which abrasive powder adheres to the fin, and the rotational resistance is not increased or the mechanical strength is not lowered.

본 발명에 의한 스크라이빙 휠은 내마모성이 높고, 단면 강도가 높은 취성 재료 기판을 잘라낼 수 있는 스크라이빙 휠을 제공할 수 있어, 스크라이브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The scrib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cribing wheel capable of cutting a brittle material substrate having high abrasion resistance and a high section strength, and can be suitably used in a scribing apparatus.

10 : 스크라이빙 휠
11 : 스크라이빙 휠 기재
12 : 관통구멍
13 : 연마면
14 : 연삭 조흔
15 : 능선
16 : 다이아몬드막
20 : 스트레이트 숫돌
21 : 컵 숫돌
30 : 시일재
31 : 핀
10: Scraping wheel
11: Scribing wheel substrate
12: Through hole
13: Polishing surface
14: Grinding streak
15: ridge
16: Diamond film
20: Straight grindstone
21: Cup grinding wheel
30: Seal material
31: pin

Claims (10)

원판(圓板) 형상이고 중심 위치에 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基材)와,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부분에 형성된 다이아몬드막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는,
탄화 텅스텐 입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코발트를 결합재로서 포함하는 초경합금을 이용한 것이며,
상기 관통구멍의 내벽을 제외한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표면의 적어도 상기 다이아몬드막이 형성되는 날끝 부분에 평균 두께가 1∼15㎛ 깊이의 탈(脫)코발트층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
A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having a circular plate shape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in is inserted at a center position,
And a diamond film formed on a blade edg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may further comprise:
A cemented carbide mainly composed of tungsten carbide particles and containing cobalt as a binder,
And a de-cobalt layer having an average thickness of 1 to 15 mu m in depth at a tip portion where at least the diamond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cribing wheel base excluding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원판의 중심 위치에 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고, 원주부(圓周部)를 따라 날끝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으로서,
탄화 텅스텐 입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코발트를 결합재로서 포함하는 초경합금을 이용한 원판의 중심 위치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의 원주부에 날끝 부분을 형성하여 스크라이빙 휠 기재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관통구멍의 개구에 시일재(sealing material)를 도포하여 탈코발트 처리를 행하고,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부분에 화학 기상 성장법(CVD;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cribing wheel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in is inserted in a center position of a disk and having a blade tip along a circumference,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disk using cemented carbide mainly composed of tungsten carbide particles and containing cobalt as a binder,
Forming a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o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disk,
A seal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opening of the through hol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to perform decalcification treatment,
Wherein a diamond film is form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원판의 중심 위치에 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갖고, 원주부를 따라 날끝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으로서,
탄화 텅스텐 입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코발트를 결합재로서 포함하는 초경합금을 이용한 원판의 중심 위치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의 원주부에 날끝 부분을 형성하여 스크라이빙 휠 기재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에 탈코발트 처리를 행하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벽의 탈코발트층을 연삭하여 탈코발트층을 제거하고,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부분에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해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cribing wheel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pin is inserted in a center position of a disk and having a blade tip along a circumference,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disk using cemented carbide mainly composed of tungsten carbide particles and containing cobalt as a binder,
Forming a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o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disk,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is subjected to decarburization treatment,
Cobalt layer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is ground to remove the decalobalt layer,
Wherein a diamond film is formed on a blade edg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코발트층의 제거 공정은,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관통구멍에 표면에 지립(abrasive grain)이 고착된 핀을 삽입하여 더미 스크라이브(dummy scribe)를 행함으로써 탈코발트층을 제거하는 것인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removing the dec-cobalt layer comprises:
Wherein a pin having an abrasive grain fixed on a surface thereof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nd a dummy scribe is performed to remove the decarburized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코발트층의 제거 공정은,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관통구멍에 지립을 포함하는 유체를 유통시킴으로써 탈코발트층을 제거하는 것인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removing the dec-cobalt layer comprises:
Wherein the de-cobalt layer is removed by flowing a fluid including abrasive grains in the through hol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코발트층의 제거 공정은,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관통구멍에 호닝(honing) 가공을 행함으로써 탈코발트층을 제거하는 것인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removing the dec-cobalt layer comprises:
And removing the dec-cobalt layer by performing a honing process on the through hol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원주부를 따라 능선이 형성되고, 상기 능선과 상기 능선의 양측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날끝을 갖고, 상기 능선의 양측의 영역에 상기 능선에 평행한 연삭 조흔(條痕)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 기재와,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표면에 형성된 다이아몬드막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
A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having a ridge lin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and having a blade edge formed by the ridge line and sloped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ridge line and having grinding streaks parallel to the ridge line on both sides of the ridge line, ,
A scribing wheel having a diamond film formed on a blade surface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에 형성하는 연삭 조흔은, 상기 능선의 양측의 경사면에 능선을 중심으로 하여 폭 20㎛ 이상의 범위로 형성한 것인 스크라이빙 휠.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rinding streaks formed on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are formed in a range of 20 mu m or more in width around the ridge line on both sides of the ridge line.
원판의 원주부를 따라 능선과 상기 능선의 양측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날끝을 갖는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으로서,
날끝 부분을 상기 능선에 평행하게 연마하여 스크라이빙 휠 기재를 구성하고,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부분에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해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
There is provide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cribing wheel having a ridge along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a disk and a blade tip composed of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ridge,
The edge of the blade is polished parallel to the ridgeline to constitute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Wherein a diamond film is formed on a blade edg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빙 휠 기재의 날끝 부분에, 상기 능선을 중심으로 하여 폭 20㎛ 이상의 범위를 상기 능선에 평행하게 연마함으로써 스크라이빙 휠 기재를 구성하는 스크라이빙 휠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is constituted by polishing the edge portion of the scribing wheel base material in parallel with the ridgeline in a range of 20 占 퐉 or more in width around the ridge line.
KR1020130130911A 2012-10-31 2013-10-31 Scribing wh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5610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9835A JP5942783B2 (en) 2012-10-31 2012-10-31 Scribing wh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JP-P-2012-239835 2012-10-31
JPJP-P-2012-254012 2012-11-20
JP2012254012 2012-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103A true KR20140056103A (en) 2014-05-09

Family

ID=5088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911A KR20140056103A (en) 2012-10-31 2013-10-31 Scribing wh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40056103A (en)
CN (1) CN104261667A (en)
TW (1) TW201416201A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4128A (en) * 1990-12-20 1992-08-13 Idemitsu Petrochem Co Ltd Glass cutting blade
JPH05254865A (en) * 1992-03-11 1993-10-05 Ookubo Seisakusho:Kk Wheel cutter for cutting glass and method for grinding the same
JPH0656451A (en) * 1992-08-05 1994-03-01 Mitsuboshi Daiyamondo Kogyo Kk Glass cutter
US5855974A (en) * 1993-10-25 1999-01-0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producing CVD diamond coated scribing wheels
JPH07223101A (en) * 1994-02-07 1995-08-22 Mitsubishi Materials Corp Surface covered sintered hard alloy cutting tool
CN200951985Y (en) * 2006-06-15 2007-09-26 王光 Dia mond coating glass c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16201A (en) 2014-05-01
CN104261667A (en)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0742B2 (en) Scribing wheel
KR101642863B1 (en) Scribing wh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99857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cribing wheel
JP6656327B2 (en) Work processing equipment
JP7385985B2 (en) Blade processing equipment and blade processing method
KR20140056103A (en) Scribing wh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00406A (en) Scribing wh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915346B2 (en) Scribing wheel
JP5942783B2 (en) Scribing wh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16029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cribing wheel
KR101779056B1 (en) Scribing wh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942602B2 (en) Scribing wh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234534B2 (en) Scribing wheel
JP6234418B2 (en) Scribing wheel
KR102381646B1 (en) Scribing wh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25546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cribing wheel
JP2016106046A (en) Producing method of scribing wheel
JPH08216021A (en) Truing method for and manufacture of grinding wheel
JP2013184388A (en) Scribing wh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