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895A -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 Google Patents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895A
KR20140055895A KR1020120143539A KR20120143539A KR20140055895A KR 20140055895 A KR20140055895 A KR 20140055895A KR 1020120143539 A KR1020120143539 A KR 1020120143539A KR 20120143539 A KR20120143539 A KR 20120143539A KR 20140055895 A KR20140055895 A KR 20140055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ase plate
force receiving
contact
connectio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3308B1 (ko
Inventor
케푸 왕
하이키우 루
Original Assignee
센젠 썬웨이 커뮤니케이션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썬웨이 커뮤니케이션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센젠 썬웨이 커뮤니케이션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055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제1연결 암, 접촉암, 제2 연결 암, 및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에서 제1 단부와 제2 단부로 정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밑면에 홈이 형성된다. 제1 연결 암의 제1 단부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단부가 연결되어 제1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제1 연결 암의 제1 단부에 대하여 상부로 연장된다. 접촉 암의 제1 단부와 제1 연결 암의 제2 단부와 연결된다. 제2 연결 암의 제1 단부와 접촉 암의 제2 단부와 연결되어 제2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하방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로 연장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촉 가능하다.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는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긴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너비 방향에서 이격되며,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짧은 부분은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가 짧은 부분의 자유 단부는 서로 마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는 두개의 연결 통로를 가지므로 전체적 강도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ANTI-IMPACT TYPE DOUBLE CHANNEL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또는 이런 탄성편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들은 널리 사용되며, 예를 들어 전자 부품들을 회로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전기 커넥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모양의 몸체(10') 및 몸체(10')의 일 단부로부터 상부로 올려지는 탄성 암(elastic arm; 11')을 포함하고, 탄성 암(11')의 일 단부는 몸체(10')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대체로 아크(arc) 형상을 가진다. 사용시, 몸체(10')는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납땜되고, 전자 부품은 탄성 암(11')에 접촉하며 탄성 암(11')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전자 부품은 회로기판과 연결된다. 한편, 탄성 암(11')의 상부방향 탄성력에 의해 탄성 암(11')과 전자 부품 사이의 접촉의 신뢰도를 보증한다.
종래의 커넥터는 다음의 단점들을 가진다.
먼저, 종래의 커넥터는 탄성 암(11')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연결 통로만을 가지고, 이는 유일한 연결 통로이다. 고주파 전류는 이 유일한 연결 통로만을 통해 전자 부품과 회로기판 사이에서 흐르므로, 커넥터의 고주파 연결특성이 부족하다.
두 번째로, 탄성 암(11')과 전자 부품 사이의 접촉의 신뢰도가 탄성 암(11')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보증되기 때문에, 탄성 암(11')의 변형이 크고 그 내부 응력이 커지며, 게다가 탄성력은 제한된 범위 내에 있어서, 접촉의 신뢰도가 저하되고, 탄성 암(11')의 내구성이 차하다.
세 번째로, 전자 부품이 하방으로 탄성 암(11')을 가압할 때, 만일 과도하게 하방으로 가압하면 탄성 암(11')은 회로기판과 접촉할 수 있고, 단락과 같은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암(11')이 과도하게 하부방향으로 가압되면,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전자 부품을 제거하여도 회복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다시 전자 부품을 연결할 때, 탄성 암(11')은 상부방향으로 탄성력을 잃어 탄성 암(11')과 전자 부품 사이의 접촉 신뢰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네 번째로, 탄성 암(11')은, 하부방향으로 눌려질 때, 도 11에 도시된 전방 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암(11')에 비틀림력(twisting force)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몸체(10') 및 회로기판 사이의 연결을 파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존재하는 문제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두 개의 연결 통로를 가지고 전체적 강도가 우수하며 강성이 뛰어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정의하고 밑면에 상기 제1 단부와 인접하고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됨;
제1 연결 암, 상기 제1 연결 암의 제1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단부에 연결되고, 해당 제1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상기 제1 연결 암의 제1 단부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연장됨;
접촉 암, 상기 접촉 암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연결 암의 제2 단부와 연결됨;
제2 연결 암, 상기 제2 연결 암의 제1 단부는 상기 접촉 암의 제2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하방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촉할 수 있음; 및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 상기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긴 부분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너비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짧은 부분은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짧은 부분의 자유 단측은 서로 마주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는 두 개의 연결 통로를 가지므로, 고주파 전류는 저항이 제일 작은 통로로 흐르게 되어 고성능의 고주파 연결 특성을 갖게 되고 고주파 노이즈의 생성을 피면할 수 있다. 또한 더블 채널 커넥터의 탄성력이 크므로, 전자부품과 회로기판 사이의 연결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연장하며, 또한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제1 연결 암, 접촉 암, 및 제2 연결 암이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강도가 높고, 강성이 훌륭하며 더블 채널 커넥터가 조립과 사용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을 것을 충분히 보증할 수 있다. 따라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는 보다 우수한 전체적 강도를 가지게 되고,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회로기판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납땜할 때 땜납이 홈으로 들어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로기판 사이을 더욱 견고하게 납땜할 수 있다.
또한, 볼 발명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부가 기술적 특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홈은 너비 방향과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과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회로기판 사이의 납땜을 보다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L형 힘받이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 홈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강성과 강도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긴 부분에 길이 방향의 보강 리브 홈이 설치되고, 상기 L형 힘받이 플레이트에 상기 길이가 짧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길이가 긴 부분까지 연장된 수평 방향의 보강 리브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는 여러 개의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여러 개의 스토퍼의 하단부는 각각 상기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여러 개의 스토퍼의 상단부는 상기 접촉 암과 상기 제1 연결 암이 연결되는 부분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상기 접촉 암과 상기 제2 연결 암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한다. 따라서, 여러 개의 스토퍼가 설치됨에 따라, 접촉 암이 상부방향으로 향하는 당기는 힘을 받을 경우, 제2 연결 암이 끌려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2 연결 암에 대하여 보호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가 조립과 사용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도록 보증하고,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가 더 훌륭한 전체적 강도를 갖게 한다.
또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대체로 평행되는 제3 연결 암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연결 암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연결 암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상기 접촉 암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의 상단부는 상기 제3 연결 암의 제2 단부의 상방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더블 채널 커넥터의 가공 형성이 편리하고 또한 더블 채널 커넥터의 탄성력을 한층 더 증가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토퍼의 상단부와 상기 제3 연결 암의 제2 단부의 상부 표면이 접촉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가 효과적으로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토퍼는 거꾸로 된 L형이고, 상기 스토퍼의 수직 부분은 상기 대응되는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긴 부분의 상부 변두리와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의 수평 부분은 상기 제3 연결 암의 상부 표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스토퍼의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 형성이 편리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L형 힘받이 플레이트와 상기 대응되는 스토퍼는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는 길이 방향에서 각각 상기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긴 부분을 초과하도록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 암은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2 연결 암의 일측을 향하여 개구된 C형, U형, 또는 V형이다. 따라서, 제1 연결 암의 탄성을 증가하여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의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 암에는 그 제1 단부에 인접하고 상부 방향으로 향하여 요입된 블록 노치가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밑 표면과 회로기판의 납땜의 신뢰도를 보증하고 제1 연결 암의 탄성이 영향받지 않도록 보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 노치는 하방으로 개구된 아크형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 암의 제2 단부는 상기 접촉 암의 제1 단부에 대하여 먼저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다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접촉 암의 탄성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암의 제2 단부는 아크 형상으로 굴절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먼저 하부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된 후, 굴절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부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아크 형상으로 굴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늘 접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 암의 제2 단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늘 떨어져 있고, 상기 접촉 암이 하부방향으로 가압될 때에만 상기 제2 접촉 암의 제2 단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접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는 탄성 금속 시트를 굴절시켜 통합적으로 제작된다. 때문에,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의 제조가 매우 간단하고 코스트가 낮다.
본 발명의 추가적 방면과 우점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일부 제시하고, 일부는 아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하게 될 것이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의 상술한 방면과/ 및 추가적 방면과 우점들은 도면과 연관하여 주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들로부터 명백해지고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의 정면도로서, 이중 L형 힘받이 플레이트에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와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연결하는 예시도로서, 여기서 접촉 암은 하부방향으로 향하는 작용력을 받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와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연결하는 예시도로서, 여기서 접촉 암은 하부방향으로 향하는 작용력을 받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와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압력-압축양의 그래프이다.
도 11은 종래의 커넥터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참조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고, 이 중에서 시종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요소를 표시한다. 이하 도면의 도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설명하기 위함일 뿐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중심", "길이 방향", "너비 방향", "위", "아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꼭대기", "밑", "내", "외" 등과 같은 방위나 위치를 가리키는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이고, 이는 발명에 대한 설명을 편리하게 하고 설명을 간략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 중요성을 가리키거나 암시하지는 않는다.
따로 명확하게 구체적 제한을 하지 않은 이상, 본 발명에서 기술적 용어 "장착", "상호 연결", "연결", "고정" 등은 넒은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 혹은 일체성 연결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 상호 연결일 수도 있고,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 상호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 부품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에 속한 자는 구체적 정황에 따라 상기한 기술적 용어가 본 발명에서 나타내는 구체적인 뜻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따로 명확하게 구체적 제한을 하지 않은 이상, 본 발명에서 "여러 개"의 뜻은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아래의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회로기판(200)과 전자 부품(300)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 제1 연결 암(2), 접촉 암(3), 제2 연결 암(4), 및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7)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단부(도 1에 도시된 우측 단부) 및 제2 단부(도 1에 도시된 좌측 단부)가 정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의 밑면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제1 단부와 인접하고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0)이 형성된다. 제1 연결 암(2)의 제1 단부(도 1에 도시된 하부 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으 제2 단부와 연결되고, 제1 연결 암(2)의 제2 단부(도 1에 도시된 상부 단부)는 제1 연결 암(2)의 제1 단부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연장한다. 여기서 "상부 방향"이란 용어는 수직으로 위쪽 방향, 비스듬한 위쪽 방향 및 구부러진 상부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연결 암(2)의 제2 단부는 아크 형상으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부 방향을 연장됨"은 제1 연결 암(2)의 제2 단부가 제1 연결 암(2)의 제1 단부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접촉 암(3)의 제1 단부(도 1에서의 좌측 하단부)는 제1 연결 암(2)의 제2 단부와 연결된다. 제2 연결 암(4)의 제1 단부(도 1에서의 상단부)는 접촉 암(3)의 제2 단부(도 1에서의 우측 상단부)와 연결되어 제2 연결 암(4)의 제2 단부(도 1에서의 하단부) 하방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를 향하여 연장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와 접촉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암(4)의 제2 단부는 경사지게 좌측 하방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까지 연장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연결 암(4)의 제2 단부는 수직되게 하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7)는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에 설치되고,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길이가 긴 부분(7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너비 방향을 따라 격리되며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길이가 짧은 부분(71)은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고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길이가 짧은 부분(71)의 자유 단측은 서로 마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7)는 두 개이며 도 2의 예에서 제1 L형 힘받이 플레이트(7a)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후측에 설치되고, 제2 L형 힘받이 플레이트(7b)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전측에 설치된다. 제1 L형 힘받이 플레이트(7a)의 길이가 짧은 부분(71)은 제1 L형 힘받이 플레이트(7a)의 길이가 긴 부분(70)의 우측 단부에 수직되게 전방으로 연장되고, 제2 L형 힘받이 플레이트(7b)의 길이가 짧은 부분(71)은 제2 L형 힘받이 플레이트(7b)의 길이가 긴 부분(70)의 우측 단부에 수직되게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1 L형 힘받이 플레이트(7a)의 길이가 짧은 부분(71)의 자유 단측과 제2 L형 힘받이 플레이트(7b)의 길이가 짧은 부분(71)의 자유 단측 사이는 일정한 거리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두 개의 연결 통로를 가진다. 예를 들면,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200)은 베이스 플레이트(1)의 하부 표면에 납땜되고, 전자 부품(300)은 접촉 암(3)과 접촉되고 하방으로 접촉 암(3)을 가압하고, 접촉 암(3)과 제1 연결 암(2)은 변형되어 제2 연결 암(4)의 제2 단부와 베이스 플레이트(1)는 접촉된다. 접촉 암(3)과 베이스 플레이트(1) 사이, 즉 전자 부품(300)과 회로기판(200) 사이에 두 개의 연결 통로가 있고, 첫 번째 연결 통로는 접촉 암(3)-제1 연결 암(2)-베이스 플레이트(1)이고, 두 번째 연결 통로는 접촉 암(3)-제2 연결 암(4)-베이스 플레이트(1) 이다. 동시에, 더블 채널 커넥터(100)와 전자 부품(300) 사이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탄성력은 접촉 암(3)과 제1 연결 암(2)의 변형에 의해 생성되므로, 탄성력이 증가되어 전자 부품(300)과 회로기판(200) 사이의 연결의 신뢰도를 제고하고, 또한 동일한 탄성력에 있어서, 접촉 암(3)과 제1 연결 암(2)의 내부 응력이 작고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 중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부품(300)이 하방으로 접촉 암(3)을 가압하는 압력이 클 경우, 제2 연결 암(4)은 변형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상부 표면에 붙게 된다. 이때,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7)를 설치함으로써 접촉 암(3), 제1 연결 암(2), 제2 연결 암(4)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성 변형에 대하여 지지 및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L형 힘받이 플레이트(7)가 하방으로 가압하는 압력(즉 충격력)을 받아 0Nf로부터 200Nf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압축량 즉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변형량이 0㎜로부터 0.6㎜로 변화되어 변형량이 매우 작다. 즉, 각 L형 힘받이 플레이트(7)는 200Nf 이하의 압력을 감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두 개의 연결 통로를 가지므로, 고주파 전기 에너지는 임피던스가 가장 작은 경로를 따라 흐를 수 있어서, 고성능 고주파 연결 특성이 실현될 수 있고, 고주파 노이즈는 피할 수 있다. 한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 의 탄성력이 크므로 전자 부품과 회로기판 사이의 연결의 신뢰도를 제고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7)가 설치되므로 제1 연결 암(2), 접촉 암(3), 제2 연결 암(4)의 과도한 압축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연결 암(2), 접촉 암(3), 제2 연결 암(4)이 탄성을 잃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강도가 높으므로 더블 채널 커넥터(100)가 조립과 사용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도록 보증하여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가 더 훌륭한 전체적 강도를 갖게 하고,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에 홈(10)이 형성되어 회로기판(200)을 베이스 플레이트(1)의 하부 표면에 납땜할 때 땜납이 홈(10)에 유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와 회로기판(200) 사이의 납땜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홈(10)은 길이 방향과 너비 방향을 따라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를 통과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에 너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멍(10)이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와 회로기판(200) 사이의 납땜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 홈(72)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길이가 긴 부분(70)에 길이 방향의 보강 리브 홈(72a)이 설치되고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에 길이가 짧은 부분(71)으로부터 길이가 긴 부분까지 연장되는 수평 방향의 보강 리브 홈(72b)이 설치된다. 우선적으로, 수평 보강 리브 홈(72b)은 L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강도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여러 개의 스토퍼(5)를 더 포함하며 여러 개의 스토퍼(5)의 하단부는 각각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와 연결되고 여러 개의 스토퍼(5)의 상단부는 접촉 암(3)과 제1 연결 암(2)이 연결되는 부분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접촉 암(3)과 제2 연결 암(4)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여러 개의 스토퍼(5)는 두 개이고,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스토퍼(5a)의 하단부는 제1 L형 힘받이 플레이트(7a)와 연결되고 제2 스토퍼(5b)의 하단부는 제2 L형 힘받이 플레이트(7b)와 연결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스토퍼(5)가 설치됨에 따라, 접촉 암(3)이 상부방향으로 향하는 당기는 힘을 받을 경우, 제2 연결 암(4)이 끌려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2 연결 암(4)에 대하여 보호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가 조립과 사용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도록 보증하고,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가 더 훌륭한 전체적 강도를 갖게 한다.
또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와 대체로 평행되는 제3 연결 암(6)을 더 포함한다. 제3 연결 암(6)의 제1 단부(도 1에서의 좌측 단부)는 제1 연결 암(2)과 서로 연결되고, 제3 연결 암(6)의 제2 단부(도 1에서의 우측 단부)는 접촉 암(3)과 서로 연결되며, 스토퍼(5)의 상단부는 제3 연결 암(6)의 제2 단부의 상방까지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스토퍼(5)의 상단부와 제3 연결 암(6)의 제2 단부의 상부 표면이 접촉된다. 즉, 정상 상태에서, 스토퍼(5)는 제3 연결 암(6)의 제2 단부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거나 작은 틈을 둘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할 것은, 제3 연결 암(6)은 접촉 암(3)의 일부분으로 볼 수 있다. 제3 연결 암(6)을 설치함으로써, 더블 채널 커넥터(100)의 가공 형성을 편리하게 하고 더블 채널 커넥터(100)의 탄성력을 더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첫 번째 연결 통로는 접촉 암(3)-제3 연결 암(6)-제1 연결 암(2)-베이스 플레이트(1)이고, 두 번째 연결 통로는 접촉 암(3)-제2 연결 암(4)-베이스 플레이트(1)이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는 거꾸로 된 L형이고, 스토퍼(5)의 수직 부분(50)은 대응되는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길이가 긴 부분(70)의 상부 변두리와 연결되고, 스토퍼(5)의 수평 부분(51)은 제3 연결 암(6)의 상부 표면과 접촉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5a)의 수직 부분(50)은 제1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길이가 긴 부분(70)의 상부 변두리와 연결되고, 제2 스토퍼(5b)의 수직 부분(50)은 제2 L형 힘받이 플레이트(7b)의 길이가 긴 부분(70)과 연결된다. 따라서 스토퍼(5)의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 형성이 편리하다. 또한, L형 힘받이 플레이트(7)는 대응되는 대응되는 스토퍼(5)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즉, 제1 스토퍼(5a)는 제1 L형 힘받이 플레이트(7a)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스토퍼(5b)는 제2 L형 힘받이 플레이트(7b)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합된 탄성 금속 시트에 대한 펀칭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는 길이 방향에서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길이가 긴 부분(70)을 초과하도록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연결 암(2)은 길이 방향에서 제2 연결 암(4) 측을 향하여 개구된 C 형상, U 형상, V 형상과 같이 형성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암(2)은 개구가 우측으로 향한 C형상 아크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연결 암(2)의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전자 부품(300)과 접촉 암(3) 사이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탄성력은 제1 연결 암(2)과 접촉 암(3)에 의해 공동으로 제공된다. 제1 연결 암(2) 및 접촉 암(3) 각각의 내부 응력은 동일한 탄성력의 조건 하에서 감소되어서, 커넥터(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암(2)에 제1 단부와 인접되고 상방으로 요입된 블록 노치(block notch; 2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블록 노치(21)는 아크 형상이다. 도 1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록 노치(21)는 수직되게 상부방향으로 요입된다. 다시 말해서, 블록 노치(21)의 개구는 수직되게 하방 방향으로 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블록 노치(21)의 개구는 우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요입될 수 있고 블록 노치(21)의 개구는 좌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요입될 수도 있다.
블록 노치(21)를 설치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가 회로기판(200)과 납땜될 때, 블록 노치(21)는 땜납이 제1 연결 암(2)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땜납이 블록 노치(21) 내에 남게 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의 하부 표면과 회로기판(200) 사이의 납땜의 신뢰도를 보증할 수 있고 제1 연결 암(2)의 탄성력이 영향받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암(3)의 제2 단부는 접촉 암(3)의 제1 단부에 대하여, 우선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굴절된다. 구체적으로, 접촉 암(3)의 제2 단부는 아크 형상으로 굴절된다. 즉, 접촉 암(3)의 제2 단부는 우선 우측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아크 형상으로 하부 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접촉 암(3)의 탄성을 증가할 수 있다.
도 1-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부품(300)과의 접촉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촉 암(3)의 꼭대기 부분에 접촉부(31)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접촉부(31)는 접촉 암(3)의 꼭대기 부분에 도금을 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을 효율적으로 제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연결 암(4)의 제2 단부는 우선 베이스 플레이트(1)로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굴절되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로부터 멀어진다. 또한, 제2 연결 암(4)의 제2 단부는 아크 형상으로 굴절된다. 즉, 제2 연결 암(4)의 제2 단부는 우선 좌측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베이스 플레이트(1)로 연장된 다음 아크 형상으로 굴절되어 좌측 상방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제2 연결 암(4)의 제2 단부는 변화(transition) 아크를 가진 실질적으로 L 형상을 가진다.
이 중, 제2 연결 암(4)의 제2 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와 늘 접촉된다. 즉 접촉 암(3)이 전자 부품(300)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는 여부에 관계없이, 제2 연결 암(4)의 제2 단부는 항상 베이스 플레이트(1)의 상부 표면과 접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연결 암(4)의 제2 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와 늘 떨어지고 접촉 암(3)이 하부로 가압될 때에만 한하여 제2 연결 암(4)의 제2 단부와 베이스 플레이트(1)가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벨리륨(beryllium) 구리 시트 또는 슈퍼 티탄 구리 시트와 같은 굽어진 단일 탄성 금속 시트에 의해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의 제조는 쉽고 저가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예를 들어, 0.05μm-1.5μm의 도금 두께로 그것의 표면상에 도금될 수 있다. 도금 재료를 절약하고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 베이스 플레이트(1) 및 접촉 암(3)의 꼭대기부분의 접촉 부분(31)에만 도금될 수 있다. 이때 접촉부(31)의 도금 두께는 0.075-1.5μm로 플레이트(1)의 납땜 성능을 향상시키고 접촉 암(3)과 전자 부품(300) 사이의 전기 전도 성능 및 접촉 성능을 개선하여서, 전기 전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에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의 폭(즉 너비 방향에서의 사이즈)은 약 1-3.0㎜이고; 그것의 높이(즉 상하 방향의 사이즈)는 약 0.8-5.0㎜ 이며; 그것의 길이(즉 길이 방향에서의 사이즈)는 약 2.0-7.0㎜ 이고; 압축된 후의 높이는 약 0.3-3.5㎜이다. 본 발명의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베릴륨 구리 시트 또는 슈퍼 티탄 구리 시트는 약 0.05-0.2㎜의 두께를 가져서, 제조 정확도가 높다. 그것의 형상 및 위치 공차는 ±0.10㎜ 이하이고, 전체 치수 CPK(Process Capability index)는 1.33이며, 그것의 MP(mass production) 정합성(consistency)은 양호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전체적으로 후크(hook) 및 예각 각도들이 없는 아크-변화(arc-trensited)여서, 대량 제조 공정(전-도금 스탬핑(stamping) 및 도금 공정 후의 펀칭 생산 시)에서 서로 걸리지 않을 것이다. 또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가 회로기판(200) 상에서 납땜될 때,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역시 다른 부품들에 걸리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REACH 표준(화학품의 등록, 평가, 허가 및 제한;Concerning the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에 따른다. 따라서, 부식, 충격 및 충돌에 양호한 저항성을 가진다. 농도 5% 및 pH7.0에서의 48시간 소금-분무(salt-spray) 테스트; 진동 테스트 IEC68-2-36; 충돌 테스트 IEC 68-2-27; 작동 온도 -40℃-+85℃에서 상기 더블 채널 커넥터(100)의 작동 정격 전류는 3A이고 최대 전류는 3.5A이며, 접촉 저항은 15 mΩ보다 작다.
이하, 도 1-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의 작동 원리 설명할 것이다. 상기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에 스토퍼(5)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를 거쳐 회로기판(200)에 납땜된다. 전자 부품(300)은 접촉 암(3) 위로 위치된다. 접촉 암(3)이 하부방향으로 가압될 때 접촉 암(3) 및 제1 연결 암(2)은 압축되여 상부방향 탄성력이 생성된다. 전자 부품(300)은 접촉 암(3) 및 제1 연결 암(2)의 탄성력에 의하여 접촉 암(3)의 접촉 부분(31)과 접촉된다. 동시에, 제2 연결 암(4)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그것의 하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와 접촉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한다. 접촉 암(3)의 제2 단부 및 제2 연결 암(4)은 하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를 이동한 후에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막힘으로 인해 추가적 하부방향 이동을 멈추게 되어, 접촉 암(3)과 제1 연결 암(2), 및 제2 연결 암(4)이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전자 부품(300)과 회로기판(200) 사이에(즉, 접촉 암(3)의 접촉부(31)과 베이스 플레이트(1) 사이에) 두 개의 연결 통로를 가진다. 제1 연결 통로는 접촉 암(3)-제3 연결 암(6)-제1 연결 암(2)-베이스 플레이트(1)이고, 제2 연결 통로는 접촉 암(3)-제2 연결 암(4)-베이스 플레이트(1)이다. 그러므로, 종래 커넥터보다 하나 더 많은 연결 통로를 가져서, 베이스 플레이트(1)와 접촉 부분(31) 사이의 고주파 전류를 위해 하나 더 많은 연결 통로를 제공한다. 고주파 전류는 임피던스가 가장 작은 경로를 따라 흐를 수 있어서, 고주파수 장애 없이 양호한 고주파 특성을 실현한다. 게다가, 커넥터(100)와 전자 부품(300) 사이의 접촉이 유지되는, 탄성력이 접촉 암(3)과 제1 연결 암(2)의 공통 변형에 의해 제공되어서, 탄성력을 증가시키고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동일한 탄성력일 경우, 응력은 분산되고, 접촉 암(3)과 제1 연결 암(2) 내의 내부 응력은 결과적으로 감소되며, 내구성은 향상된다.
또한,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7)를 설치함으로써, 제1 연결 암(2)과 제2 연결 암(4)에서 생성될 수 있는 소성 변형에 대하여 지지 및 제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연결 암(2)과 제2 연결 암(4)이 과도하게 압축되어 탄성을 잃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L형 힘받이 플레이트(7)가 L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강도를 제고한다. 또한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 홈(72)을 설치함으로써, L형 힘받이 플레이트(7)의 강도를 더 제고하여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가 조립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비정상적인 힘을 받을 때 파손되지 않도록 보증한다(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50Nf 이상의 하부 방향의 충격력을 감당할 수 있다). 전체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가 더욱 우수한 강도를 갖도록 보증하고 하방으로의 충격력을 해제한 후,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가 여전히 압축되기 전의 작동 높이까지 회복될 수 있어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보증한다.
동시에, 스토퍼(5)를 설치함으로써, 제2 연결 암(4)이 상부 방향으로 향하는 당기는 힘을 받을 겨우, 제2 연결 암(4)이 당겨져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제2 연결 암(4)에 대하여 보호 기능을 수행하며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가 조립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도록 보증하고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가 더 좋은 전체적 강도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100)는 전체적으로 예각 각도가 없는 아크-변화이고, 단일 조각의 금속 시트를 굴절하여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조는 간단하고, 조립 과정에서 다른 부품들에 걸리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를 통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성 실시예", "예시", "구체적 예시", 및 "일부 예시" 등의 참조는 구체적 특징, 구조, 재료, 또는 실시예나 예시들과 결합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나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의 예시적 표현은 꼭 동일한 실시예나 예시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나 예시들 내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설명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보여졌더라도, 당업자라면 변형들, 대체들 및 변경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들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변형들, 대체들, 및 변경들 모두는 청구범위들 및 등가의 것의 범위 내에 있다.
100: 커넥터
200: 회로기판
300: 전자 부품
1: 베이스 플레이트
2: 제1 연결 암
3: 접촉 암
4: 제2 연결 암
5: 스토퍼
6: 제3 연결 암
7: L형 힘받이 플레이트
7a: 제1 L형 힘받이 플레이트
7b: 제2 L형 힘받이 플레이트
10: 홈
21: 블록 노치
31: 접촉부
50: 수직 부분
70: 긴 부분
71: 짧은 부분
72: 보강 리브 홈

Claims (20)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정의하고 밑면에 상기 제1 단부와 인접하고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됨;
    제1 연결 암, 상기 제1 연결 암의 제1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단부에 연결되고, 해당 제1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상기 제1 연결 암의 제1 단부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연장됨;
    접촉 암, 상기 접촉 암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연결 암의 제2 단부와 연결됨;
    제2 연결 암, 상기 제2 연결 암의 제1 단부는 상기 접촉 암의 제2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하방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촉할 수 있음; 및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 상기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긴 부분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너비 방향에서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짧은 부분은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짧은 부분의 자유 단측은 서로 마주함;
    을 포함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너비 방향과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형 힘받이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 홈이 설치되어 있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긴 부분에 길이 방향의 보강 리브 홈이 설치되고, 상기 L형 힘받이 플레이트에 상기 길이가 짧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길이가 긴 부분까지 연장된 수평 방향의 보강 리브 홈이 형성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러 개의 스토퍼의 하단부는 각각 상기 여러 개의 L형 힘받이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여러 개의 스토퍼의 상단부는 상기 접촉 암과 상기 제1 연결 암이 연결되는 부분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상기 접촉 암과 상기 제2 연결 암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대체로 평행되는 제3 연결 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 암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연결 암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상기 접촉 암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의 상단부는 상기 제3 연결 암의 제2 단부의 상방까지 연장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상단부와 상기 제3 연결 암의 제2 단부의 상부 표면이 접촉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거꾸로 된 L형이고, 상기 스토퍼의 수직 부분은 상기 대응되는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긴 부분의 상부 변두리와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의 수평 부분은 상기 제3 연결 암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형 힘받이 플레이트와 상기 대응되는 스토퍼는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는 길이 방향에서 각각 상기 L형 힘받이 플레이트의 길이가 긴 부분을 초과하도록 연장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암은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2 연결 암의 일측을 향하여 개구된 C형, U형, 또는 V형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암에는 그 제1 단부에 인접하고 상부방향으로 향하여 요입된 블록 노치가 형성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노치는 개구가 하방으로 향하는 아크형인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암의 제2 단부는 상기 접촉 암의 제1 단부에 대하여 먼저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후, 다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암의 제2 단부는 아크 형상으로 굴절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먼저 하부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된 후, 굴절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아크 형상으로 굴절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암의 제2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늘 접촉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암의 제2 단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늘 떨어져 있고, 상기 접촉 암이 하부방향으로 가압될 때에만 상기 제2 접촉 암의 제2 단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접촉하는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20. 제1항에 있어서,
    탄성 금속 시트를 굴절시켜 통합적으로 제작된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KR1020120143539A 2012-10-29 2012-12-11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KR101463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420901.7 2012-10-29
CN2012104209017A CN102938512A (zh) 2012-10-29 2012-10-29 抗冲击式双通路连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895A true KR20140055895A (ko) 2014-05-09
KR101463308B1 KR101463308B1 (ko) 2014-11-18

Family

ID=4769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539A KR101463308B1 (ko) 2012-10-29 2012-12-11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3308B1 (ko)
CN (1) CN1029385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66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기가레인 접속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2675A (zh) * 2014-04-09 2014-08-06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天线连接器端子
CN106099481A (zh) * 2016-08-15 2016-11-09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弹片结构及pcb板
CN106838081A (zh) * 2017-04-06 2017-06-13 江苏艾锐博精密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双回路弹片
CN107394446B (zh) * 2017-08-09 2019-06-18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弹片及包括其的电子设备
CN107785677B (zh) * 2017-10-27 2020-03-06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和弹性连接件状态检测方法
JP7154579B2 (ja) * 2018-11-08 2022-10-18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
CN113783012A (zh) * 2021-09-28 2021-12-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弹片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5564B2 (ja) * 2000-12-28 2004-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接続用端子及びこの端子の回路基板への取付け方法
CN100454670C (zh) * 2002-07-11 2009-01-21 Itt制造企业公司 弹性电端子及其形成方法
JP4170278B2 (ja) * 2004-03-19 2008-10-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CN201289923Y (zh) * 2008-09-28 2009-08-12 Fci连接器新加坡有限公司 接触端子和电连接器
JP5228232B2 (ja) * 2009-01-09 2013-07-03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
CN101728682A (zh) * 2010-01-04 2010-06-09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多通路连接器
CN202487800U (zh) * 2011-12-14 2012-10-10 龙友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手机弹性连接器
CN102629712A (zh) * 2012-04-25 2012-08-08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双通路连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66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기가레인 접속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308B1 (ko) 2014-11-18
CN102938512A (zh)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308B1 (ko)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US8517780B2 (en) Connector having a contact arm connected in between two connecting arms
US1038905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116080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826772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high intensity contacts
US10003150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20090047846A1 (en) Battery connector with a block portion defined a curved surface
US10784606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090280689A1 (en) Electrical contact with x-y offsets
US20190140382A1 (en)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00220291A1 (en) Terminal
US9761980B2 (en) Battery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90140383A1 (en)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30964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reduced height
US1094419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971464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chip module connection device
KR20150003367U (ko) 내충격형 더블 채널 커넥터
CN102629712A (zh) 双通路连接器
CN108470999B (zh) 电连接器
US8657636B2 (en) Metal clamp
US20140080330A1 (en)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used thereof
CN113078522B (zh) 一种连接器屏蔽导通结构
CN208608365U (zh) 接触稳定可靠且带保护结构的天线端子
CN209561664U (zh) 一种接线母端子
US20110034046A1 (en) Electrical connector retaining a print circuit board at a middle high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