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547A -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547A
KR20140055547A KR1020120122578A KR20120122578A KR20140055547A KR 20140055547 A KR20140055547 A KR 20140055547A KR 1020120122578 A KR1020120122578 A KR 1020120122578A KR 20120122578 A KR20120122578 A KR 20120122578A KR 20140055547 A KR20140055547 A KR 20140055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m
production
hdw
design
sub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1372B1 (ko
Inventor
송문민
장기삼
김명엽
조정래
김대진
서흥원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3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확정계약으로 잠수함을 건조함에 있어서 발주처로부터 제공받은 건조일정계획, 생산문서목록, BOM 정보를 이용하여 조선업체에서 수립된 작업일정과 연계된 생산 BOM의 생성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생산 BOM의 생성방법은, 잠수함 전문설계회사에 의해 제작된 도면/자료를 일정 기간 단위로 접수 받는 단계와, 잠수함의 생산 설계에서 설계공정 별로 도면과 BOM에 대해 접수된 정보를 검토하여 설계시스템에 등록 및 확정하는 단계, 및 확정된 BOM을 조선업체에 구축된 ERP로 전송하여 SAP 시스템에 의해 생산 및 조달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Manufacturing-BOM Generation Method For Construction Submarine}
본 발명은 일반확정계약으로 잠수함을 건조함에 있어서 발주처로부터 제공받은 건조일정계획, 생산문서목록, BOM 정보를 이용하여 조선업체에서 수립된 작업일정과 연계된 생산 BOM의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및 해양구조물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수주(견적 단계)된 선박의 종류별(상선, 특수선 등), 크기 별(배수량) 등에 따라 영업설계(설계 단계)를 시작함과 더불어 생산 계획에서 선표 계획(생산단계)을 수립하게 된다.
종래 잠수함의 건조 방식은 설계와 생산이 일원화된 조선업체에서 발주처와 직접 계약 하에 설계, 자재조달, 생산, 건조로 진행하는 절차를 따르게 되므로 각 조선업체의 생산환경에 맞도록 발행한다.
한편 일반확정계약(제품 생산 후 인도만을 위한 계약)으로 잠수함을 생산함에 있어 조선업체의 ERP 도입과 생산조직 및 작업방식의 변화에 따라 잠수함 전문설계회사로부터 받은 자료를 활용하여 건조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음의 문제점이 있다. 즉, 건조를 담당하는 조선업체는 생산환경과 실정에 맞는 제작과 설치로 구분되는 생산 BOM 정보를 잠수함 전문설계회사로부터 제공받을 수 없고, 설계와 생산을 동시에 진행하는 방식을 적용 시 설계 개정이 발생하거나 제품생산 오류가 발생하면 생산일정에 차질이 생기게 되며, 잠수함 전체의 생산 BOM을 제공받아서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자재소요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없음
없음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잠수함의 발주처에서 잠수함 전문설계회사와 설계 자재구입 계약을 맺고 조선업체와 건조계약하여 생산하는 방식에서 건조회사의 생산환경에 맞는 BOM을 생성하고 효율적으로 생산 BOM을 생성 및 관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은, 잠수함 발주처가 잠수함 전문설계회사와 설계 및 자재구입 계약을 맺고 조선업체와 건조계약하여 잠수함을 생산하기 위한 BOM 생성 방법에 있어서, 잠수함 전문설계회사에 의해 제작된 도면/자료를 상기 잠수함 발주처 컴퓨터를 통해 일정 기간 단위로 접수 받는 단계; 상기 컴퓨터를 통해 잠수함의 생산 설계에서 설계공정 별로 도면과 BOM에 대해 접수된 정보를 검토하여 설계시스템에 등록 및 확정하는 단계; 확정된 BOM을 조선업체에 구축된 ERP로 전송하여 SAP 시스템에 의해 생산 및 조달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수단계는 잠수함 전문설계회사에서 제공된 MDB 형태 설계정보를 임시 BOM에 저장하고, 저장된 임시 BOM을 일정 기간 단위로 생산 BOM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설계시스템에 등록 및 확정하는 단계는, 잠수함을 건조하는 업체에서 ERP 시스템의 흐름에 맞도록 설계시스템에서 설치 BOM과 제작 BOM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생산 BOM의 데이터베이스는 잠수함 전문설계회사(HDW)에서 제공된 건조일정계획(HDW-CTS)과 생산문서목록(HDW-BUV)과 BOM(HDW-BOM)을 각각 저장하는 단계, 잠수함 전문설계회사(HDW)에서 제공된 도면을 파일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생산문서목록(HDW-BUV)으로부터 생산공종을 정의한 BOM HEADER을 생성하고 BOM(HDW-BOM)와 BOM HEADER을 이용하여 미 발행된 BOM(HDW-BOM)을 저장하는 단계, BOM(HDW-BOM)의 강재절단가공 BOM을 생성하여 가공절단계획과 가공절단신청관리를 생성하고 잔재는 잔재관리에 저장하는 단계, BOM(HDW-BOM)의 생산 BOM을 생성하기 위해 자재 MASTER 특성치를 입력하여 자재master특성치값에 저장하고 자재master특성치값으로부터 배관 JOINT/NDE와 배관 절단 벤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OM(HDW-BOM)의 모함선 기준으로 BOM(HDW-BOM)에 자함선의 BOM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상기 생산 BOM 구조는 접수 받은 BOM을 분석하여 최상위 BOM이 설치 단위의 BOM인지 확인하고, 최상 BOM으로 트리 RP층 구조로 나타내고 생산문서목록(HDW-BUV)과 제작 수량을 곱하여 제작 소요 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설계회사로부터 제공된 설계자료를 건조회사의 생산 환경에 맞도록 최소한의 가공작업으로 생산 BOM을 생산함으로써 설계 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작업으로 BOM을 관리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건조회사의 ERP 시스템을 활용하여 생산 BOM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기존 건조 회사의 생산 및 작업 환경에 맞추어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BOM 관리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모함선 BOM을 활용하여 자함선을 건조 시 발생할 수 있는 생산 오류를 줄이고 생산 기일을 단축하며 설계 및 생산의 오류 감소를 통해 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잠수함을 생산하기 위한 일반확정계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 BOM 생성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 BOM을 생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제작 BOM의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정보를 임시 BOM에 저장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BOM을 생산 BOM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 BOM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JOB NO별 생산 BOM의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작/설치 BOM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 BOM의 ERP 시스템에 전송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 BOM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BOM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화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면 BOM의 검토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BOM 상태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함선을 이용한 자함선 BOM 복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화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절단 배치 BOM 생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의 생성 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확정계약으로 잠수함을 생산하는 분야에 적용한다. 여기서 일반확정계약은 잠수함을 발주하는 발주처(10)가 점수함 전문설계회사(20)와 설계 및 자재구입 계약을 맺고 조선 업체와 건조계약하는 방식으로 잠수함을 생산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 BOM 생성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로서, 발주처로부터 건조일정계획(CTS: Construction Time Schedule), 생산문서목록(BUV), BOM 정보를 일정 기간(2개월) 단위로 제공받아 설계와 제품생산을 동시에 진행하는 방식(concurrent engineering and production)으로 잠수함을 생산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잠수함 전문설계회사에 의해 제작된 도면/자료를 일정 기간(2개월) 단위로 접수 받고, 잠수함의 생산 설계에서 설계공정 별로 도면과 BOM에 대해 접수된 정보를 검토하여 설계시스템에 등록/확정한다. 확정된 BOM은 ERP로 전송되어 SAP 시스템에 의해 생산/조달이 진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제작 BOM의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잠수함 전문설계회사에 의해 제작된 건조일정계획(CTS), 생산문서목록(BUV), BOM 정보를 일정 기간(2개월) 단위로 제공받고, 잠수함을 건조하는 업체에서 ERP 시스템의 흐름에 맞도록 설계시스템에서 제작 BOM과 설치 BOM을 생성하여 ERP 시스템(SAP)으로 전송한다.
잠수함 전문설계회사(HDW)에서 제공된 MDB 형태 설계정보가 일정 기간(2개월) 단위로 접수되면 임시 BOM(ZSMT0004)에 저장한다(도 5 참고). 임시 BOM을 일정시간(2개월) 단위로 생산 BOM으로 전송한다(도 6 참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 BOM 데이터베이스 구조도이다.
잠수함 전문설계회사(HDW)에서 제공된 건조일정계획(CTS)은 ZSMT0001(HDW-CTS)에 저장하고, 생산문서목록(BUV)은 ZSMT0002(HDW-BUV)에 저장하며, BOM은 ZSMT0004(HDW-BOM)에 저장한다. 그리고 잠수함 전문설계회사(HDW)에서 제공된 도면은 파일서버에 저장한다. ZSMT0002(HDW-BUV)로부터 생산공종을 정의한 ZSMT0101(BOM HEADER)을 생성하고, ZSMT0004(HDW-BOM)와 ZSMT0101(BOM HEADER)을 이용하여 미 발행된 BOM을 ZSMT0003(HDW-BOM)에 저장한다. ZSMT0003(HDW-BOM)의 강재절단가공 BOM을 생성하여 ZSMT0020(가공절단계획)와 ZSMT0021(가공절단신청관리)을 생성하고 잔재는 ZSMT0012(잔재관리)에 저장한다.
또한, ZSMT0003(HDW-BOM)의 생산 BOM을 생성하기 위해 자재 MASTER 특성치를 입력하여 ZSMT0011(자재master 특성치값)에 저장한다. ZSMT0011(자재master 특성치값)로부터 ZSMT0013(배관 JOINT/NDE)과 배관 절단 벤딩정보(ZSMT0014)를 생성한다.
또한, ZSMT0003의 모함선 기준으로 ZSMT0003에 자함선의 BOM을 생성한다.
도 8을 참고하여, CTS, BUV, DSME-PROD(BOM HEADER)와 생산제작의 DSME 실행계획과 설계에서 확정된 BOM을 설계회사에서 제공받은 원본 BOM과 비교하여 유효한 BOM을 JOB NO별로 구성한다.
도 9를 참고하여, 설계에서 확정한 BOM 대상(ZSMT0003)으로 제작/설치 BOM을 구성한다.
도 10을 참고하여, 설계에서 확정된 생산 BOM은 ERP시스템으로 전송된다.
도 11은 생산 BOM의 구조를 나타낸다. 제작 소요 수량의 파악을 위해 설치단위의 BOM이 구성되면 BOM을 확정한다. 따라서 잠수함 설계회사로부터 접수 받은 BOM을 분석하여 최상위 BOM이 설치 단위의 BOM인지 확인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최상위 BOM을 확인하기 위해 BOM 자신을 참조하는 BOM이 없는 최상위 BOM으로 트리 계층 구조로 나타내며 제작 소요 수량 파악은 BUV의 수량과 제작 수량을 곱하여 산출한다.
도 12는 BOM 관리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로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도록 검색 할 수 있는 기능(삭제항목, 확정항목, 개정번호, 도면번호, BOM번호로 검색)과, BOM 발행 REPORT를 EXCEL 또는 PDF로 생성하는 기능, BOM HEAD 정보 조회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BOM 관리시스템은 BOM의 생산정보인 절단/벤딩 정보, NDT검사정보, 단중, 자재변환율, 개정항목여부, 절단배치정보의 원자재 입력기능 등 BOM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BOM 관리시스템은 BOM의 계층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13을 참고하여, BOM 관리시스템에서 BOM 목록 또는 도면 목록을 선택하여 해당 도면을 조회 할 수 있고, 도면에 포함되는 BOM 목록을 도면 하위의 PART LIST 창에서 조회 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여, BOM 관리시스템에서 잠수함 설계회사에서 일정 기간(2개월) 단위로 BOM을 접수 받는다. 따라서 기존 접수 받은 BOM과 새로 받은 BOM의 개정 사항을 비교할 수 있는 기능과 이미 ERP로 전송되어 제작된 BOM과 ERP 전송이전 BOM, 설계 미검토 BOM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다. 또한 BOM 관리시스템은 미확정 BOM만을 생산 BOM으로 만들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BOM 관리시스템에서는 미확정 BOM만으로 생산 BOM을 만들 수 있는 기능과 개정된 BOM의 재확정 기능, 오류 BOM의 수정 기능을 구비한다.
도 15를 참고하여, BOM 관리시스템은 동일한 함선인 경우 모함선의 BOM을 자함선 BOM으로 복사하여 자함선을 건조할 수 있는 BOM 생성기능을 구비한다.
도 16을 참고하여, BOM 관리시스템은 절단부재의 BOM을 필요 시점에 따라 원자재 별로 NESTING될 수 있도록 절단배치 도면을 자동 작성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잠수함 발주처에서 잠수함 전문설계회사와 설계 및 자재구입 계약을 맺고 조선업체와 건조계약하여 잠수함을 생산함에 있어서 건조회사의 생산환경에 맞는 BOM을 생성하고 생산 BOM을 효율적으로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10 : 발주처
20 : 잠수함 전문설계 회사
30 : 조선업체의 생산 부서

Claims (5)

  1. 잠수함 발주처가 잠수함 전문설계회사와 설계 및 자재구입 계약을 맺고 조선업체와 건조계약하여 잠수함을 생산하기 위한 BOM 생성 방법에 있어서,
    잠수함 전문설계회사에 의해 제작된 도면/자료를 상기 잠수함 발주처 컴퓨터를 통해 일정 기간 단위로 접수 받는 단계;
    상기 컴퓨터를 통해 잠수함의 생산 설계에서 설계공정 별로 도면과 BOM에 대해 접수된 정보를 검토하여 설계시스템에 등록 및 확정하는 단계;
    확정된 BOM을 조선업체에 구축된 ERP로 전송하여 SAP 시스템에 의해 생산 및 조달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단계는 잠수함 전문설계회사에서 제공된 MDB 형태 설계정보를 임시 BOM에 저장하고, 저장된 임시 BOM을 일정 기간 단위로 생산 BOM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시스템에 등록 및 확정하는 단계는, 잠수함을 건조하는 업체에서 ERP 시스템의 흐름에 맞도록 설계시스템에서 설치 BOM과 제작 BOM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BOM의 데이터베이스는
    잠수함 전문설계회사(HDW)에서 제공된 건조일정계획(HDW-CTS)과 생산문서목록(HDW-BUV)과 BOM(HDW-BOM)을 각각 저장하는 단계,
    잠수함 전문설계회사(HDW)에서 제공된 도면을 파일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생산문서목록(HDW-BUV)으로부터 생산공종을 정의한 BOM HEADER을 생성하고 BOM(HDW-BOM)와 BOM HEADER을 이용하여 미 발행된 BOM(HDW-BOM)을 저장하는 단계,
    BOM(HDW-BOM)의 강재절단가공 BOM을 생성하여 가공절단계획과 가공절단신청관리를 생성하고 잔재는 잔재관리에 저장하는 단계,
    BOM(HDW-BOM)의 생산 BOM을 생성하기 위해 자재 MASTER 특성치를 입력하여 자재master특성치값에 저장하고 자재master특성치값으로부터 배관 JOINT/NDE와 배관 절단 벤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OM(HDW-BOM)의 모함선 기준으로 BOM(HDW-BOM)에 자함선의 BOM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BOM 구조는
    접수 받은 BOM을 분석하여 최상위 BOM이 설치 단위의 BOM인지 확인하고, 최상 BOM으로 트리 RP층 구조로 나타내고 생산문서목록(HDW-BUV)과 제작 수량을 곱하여 제작 소요 수량을 파악할 수 있는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




KR1020120122578A 2012-10-31 2012-10-31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 KR101451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578A KR101451372B1 (ko) 2012-10-31 2012-10-31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578A KR101451372B1 (ko) 2012-10-31 2012-10-31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547A true KR20140055547A (ko) 2014-05-09
KR101451372B1 KR101451372B1 (ko) 2014-10-15

Family

ID=5088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578A KR101451372B1 (ko) 2012-10-31 2012-10-31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3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8415A (zh) * 2017-07-24 2017-11-17 隆鑫通用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sap外协下阶物料采购与管控方法
KR20180053925A (ko) * 2016-11-14 2018-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KR20200076120A (ko) * 2018-12-19 2020-06-29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전자 도면의 자재목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56A (ko) * 2006-07-04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선박설계를 위한 사전 프로젝트 자재목록 작성 시스템 구축방법
KR101006986B1 (ko) 2008-10-29 2011-01-1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생산을 위한 프로젝트 관리방법
KR20110044007A (ko) * 2009-10-22 2011-04-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Erp시스템을 이용한 선박건조를 위한 생산지원 물량 관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925A (ko) * 2016-11-14 2018-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CN107358415A (zh) * 2017-07-24 2017-11-17 隆鑫通用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sap外协下阶物料采购与管控方法
CN107358415B (zh) * 2017-07-24 2021-01-12 隆鑫通用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sap外协下阶物料采购与管控方法
KR20200076120A (ko) * 2018-12-19 2020-06-29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전자 도면의 자재목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372B1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3258B2 (ja) オブジェクト管理システム
Hamdi et al. BIM and Lean interactions from the bim capability maturity model perspective: A case study
US20110054652A1 (en) Building Construction Software and System
Abualdenien et al. Consistent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building models in the early design stages
KR102168440B1 (ko) 플랜트 입찰 프런트 엔드 공학 설계 검증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2008052719A (ja) 入力製品を定義するコンピュータで実施される方法
JP2008084051A (ja) プラント総合エンジニアリング支援システム
Brooks et al. A study to support BIM turnover to facility managers for use after construction
KR101451372B1 (ko) 잠수함 건조를 위한 생산 bom 생성 방법
KR100982527B1 (ko)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Guerra et al. Bridging the gap betwee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3D models in support of advanced work packaging
Akhavan et al.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tegrating BIM in project management and IOT in supply chain management
Whyte et al. Digital model data distribution in civil engineering contracts
Fallon et al. General Buildings Information Handover Guide:.
No Specification for information management for the capital/delivery phase of construction projects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JP5630771B2 (ja) 工程管理システム
Hiekata et al. Shipbuilding
KR20170091802A (ko) 측정 정도 통합 관리시스템
Mazzanti The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 A case study in the Aerospace Industry
Richard et al. Raw Material Usage and Process Order Module Development using SAP: A Case Study from General Packaging Manufacturer
Lässig et al. The ArchIBALD Data Integration Platform: Bridging Fragmented Processes in the Building Industry
Love et al. Safeguarding the integrity of Liquefied Natural Gas infrastructure assets with digitization: Case of a domestic gas metering upgrade project
Dutta Importanc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industry
Ahmad et al. Application of 5D BIM to improve the oil and gas project cost performance
Annex et al. National BIM Standard-United States® Version 3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