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101A -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101A
KR20140055101A KR1020120121454A KR20120121454A KR20140055101A KR 20140055101 A KR20140055101 A KR 20140055101A KR 1020120121454 A KR1020120121454 A KR 1020120121454A KR 20120121454 A KR20120121454 A KR 20120121454A KR 20140055101 A KR20140055101 A KR 20140055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tension sensor
unit
tension
sens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6926B1 (ko
Inventor
최종필
장준용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926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는 철탑 고정부에 절연애자를 통해 송전선을 고정하며 내장된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송전선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부 상기 장력센서부에서 측정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송전선로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MONITORING APPARATUS AND MANEGEMENT SYSTEM OF POWER TRANSMISSION LINE USING LOAD CELL}
본 발명은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빙설, 풍압 등에 의하여 송전선로에 야기될 수 있는 위험 등을 감시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장력센서를 이요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로에는 동절기 착설현상과 하절기 태풍등의 강력한 바람에 의한 송전선로 피해발생이 잦아 착설하중과 풍압을 상정한 철탑 보강, 할입철탑 설치를 통한 경간 축소 등의 방법으로 설비를 보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는 한계가 있고 가공지선 및 전선에 불균형 착설시 또는 착설 탈락시 이도 차이가 발생하므로 가공지선과 전선간 또는 전선과 전선간에 혼촉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착설시 혼촉고장 방지 대책으로는 경간 축소 또는 철탑 Off-Set 및 상간거리 증대 등의 방법이 있겠으나 지형여건, 경제성 등 현실적으로 적용에 한계가 있고 운전중인 송전선로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약 또는 갤러핑에 의한 전선의 진동을 방지하고, 가공지선 및 상간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간스페이서가 사용되고 있지만 과중한 빙설 등으로 인하여 실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위험을 감지하고 신속하게 출동하여 재해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송전선로에 흡착된 빙설과 강력한 바람 등으로 전선 및 절연물의 기계적 손상을 방지하고, 착빙과 풍압에 의한 선로하중 증가로 선로 단선 및 철탑 붕괴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빙설해의 상태를 송전선로의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위험도를 파악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한 재설 작업 및 철탑보강, 선로보강 등의 계획 수립에 사용되기 위한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철탑 고정부에 절연애자를 통해 송전선을 고정하며 내장된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송전선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부 상기 장력센서부에서 측정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송전선로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력센서부는, 상기 철탑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절연애자를 통해 상기 송전선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서로 핀 결합하며, 상기 송전선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는 핀 형상의 장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위험도 정보 및 상기 장력센서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디지털 주파수공용통신(DTRS, Digital Trunked Radio Service)방식을 포함한 기타 유무선 통신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위험도에 따라 외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철탑 고정부에 절연애자를 통해 송전선을 고정하며 내장된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송전선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부와 상기 장력센서부에서 측정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감시부 및 상기 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장력센서부에서 측정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송전선로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장력센서부는, 상기 철탑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절연애자를 통해 상기 송전선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서로 핀 결합하며, 상기 송전선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는 핀 형상의 장력센서를 포함하는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는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방식을 포함한 유무선통신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송전선로 감시부는 상기 송전선로 주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촬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lple Access)방식을 포함한 유무선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관리서버 또는 운영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송전선로 감시부는 경고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위험도에 따라 상기 경고발생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송전선로 감시부에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은 송전선로에 흡착된 빙설 및 태풍등에 의한 풍압력 증가로 인한 전선 및 절연물의 기계적 손상을 방지하고, 착빙에 의한 선로하중 증가로 선로 단선 및 철탑 붕괴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빙설해 및 풍압의 상태를 송전선로의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위험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감시장치의 설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감시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센서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센서부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를 Ⅳ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감시 시스템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감시부의 블록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감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감시장치의 설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감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센서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센서부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송전선로 감시 장치(10)는 장력센서가 내장된 금구류를 통하여 송전선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송전선로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동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0958945호의 "송전선로의 장력센서용 철탑부착 금구"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감시 장치(10)는 철탑 고정부에 절연애자(212)를 통해 송전선을 고정하며 내장된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송전선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부(11), 장력센서부(11)에서 측정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송전선로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판단부(12), 판단부(12)에서 판단한 위험도 정보 및 장력센서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13) 및 판단부(12)에서 판단한 위험도에 따라 외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및 도4를 참조하면, 장력센서부(11)는 상기 철탑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111), 절연애자(212)를 통해 송전선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112) 및 제1연결부재(111)와 제2연결부재(112)를 서로 핀 결합하며, 송전선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는 핀 형상의 장력센서(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전선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력센서(113)는 송전선을 통해 전송되는 고전압에 의한 파손 및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철탑 고정부와 절연애자(212)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연결 부재(111)는 철탑 고정부에 연결되는 앵커쇄클이고, 제2 연결 부재(112)는 절연애자(212)를 통해 송전선 측에 연결되는 삼각 형상의 요크 플레이트인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송전선은 압축 인류 클램프(213)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장력센서(113)는 앵커쇄클(111)과 요크 플레이트(112)의 결합부에 핀 타입으로 끼워져 앵커쇄클과 요크 플레이트를 결합하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장력센서(113)는 2련 절연 애자가 적용된 154kV의 1도체 송전선로의 내장 철탑의 철탑 고정부와 절연애자(212) 사이를 연결하는 앵커쇄클(111)과 요크 플레이트(112)의 결합부에 핀 타입으로 끼워져 설치됨에 따라, 장력센서(113)의 설치에 따른 송전선의 길이 증가에 따른 이도 증가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4의 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를 Ⅳ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송전선로의 장력센서용 철탑부착 금구는 장력센서의 일측에서 앵커쇄클(111)과 요크 플레이트(112)를 핀 결합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 부재는 코터 핀(114)인 것을 예시한다.
이때, 코터 핀(114)은 장력센서(113)를 기준으로 절연애자(212)측에 체결되어, 송전선에 작용하는 장력이 앵커쇄클(111)과 요크 플레이트(112)의 전단부를 체결하는 장력센서(113)에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장력센서(113)는 앵커쇄클(111) 사이에서 끼워지는 요크 플레이트(112)에 의해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반경 방향으로 전달되는 송전선의 장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앵커쇄클(111)과 요크 플레이트(112) 사이에서 작용하는 장력센서(113)의 항복값(safe overload rating)이상의 장력에 의해 굴절 및 절단되는 경우 코터 핀(114)은 안전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요크 플레이트(112)에는 장력센서(113)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회전 가능하도록 코터 핀(114)의 체결부에 장공형의 가이드 홈(116)이 구비되며, 이 가이드 홈(116)은 요크 플레이트(112)가 장력센서(113)를 중심으로 자유도를 갖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송전선로의 장력센서용 철탑부착 금구는 장력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제1연결부재(111) 및 제2 연결 부재(112)를 기존 송전선로의 철탑 고정부와 절연애자(212) 사이를 연결하는 앵커쇄클과 요크플레이트의 형상을 최소로 변경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연결부재(111)가 앵커쇄클, 제2연결부재(112)가 삼각형상의 요크플레이트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연결부재(111)로 암플레이트, 크레비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연결부재(112)로 이도 조정 플레이트, 이도 조정 금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압, 도체수, 절연애자의 종류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판단부(12)는 저전력 MCU(Micro Control Unit)로 구성될 수 있다. 판단부(12)는 장력센서부(11)에서 취득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취득하여 송전선로의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2)는 장력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송전선로의 위험을 감지한다. 송전선로는 흡착된 빙설 등으로 전선 및 절연물이 기계적으로 손상될 뿐만 아니라, 착빙에 의한 선로하중 증가로 선로 단선 및 철탑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판단부(12)는 송전선로에 가해지는 장력을 기 설정된 임계 수치와 비교하여 그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13)는 판단부(12)에서 판단한 위험도 정보 및 장력센서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3)는 위험도 정보 및 장력센서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일정 주기에 따라 외부의 관리서버나 또는 운영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3)는 디지털 주파수공용통신(DTRS, Digital Trunked Radio System)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표준 규격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경고음 발생부(14)는 판단부(12)의 제어에 따라 외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감시부의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관리 시스템은 철탑 고정부에 절연애자(212)를 통해 송전선을 고정하며 내장된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송전선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부(110), 장력센서부(110)에서 측정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120)와 경고음 발생부(130)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감시부(100) 및 감시 장치로부터 장력센서부(110)에서 측정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송전선로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력센서부(110)는 상기 철탑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111), 절연애자(212)를 통해 송전선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112) 및 제1연결부재(111)와 제2연결부재(112)를 서로 핀 결합하며, 송전선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는 핀 형상의 장력센서(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력센서부(110)는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20)는 장력센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장력센서 데이터를 일정 주기에 따라 외부의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장력센서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디지털 주파수공용통신(DTRS, Digital Trunked Radio System)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표준 규격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경고음 발생부(130)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경고신호에 따라 외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장력센서부(110)에서 취득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받고 이를 이용하여 송전선로의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장력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송전선로의 위험을 감지한다. 송전선로는 흡착된 빙설 등으로 전선 및 절연물이 기계적으로 손상될 뿐만 아니라, 착빙에 의한 선로하중 증가로 선로 단선 및 철탑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관리서버(300)는 송전선로에 가해지는 장력을 기 설정된 임계 수치와 비교하여 그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송전선로의 위험을 감지한 경우에 송전선로 감시부(100)에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경고음 발생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관리 시스템은 철탑 고정부에 절연애자(212)를 통해 송전선을 고정하며 내장된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송전선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부(110), 장력센서부(110)에서 측정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송전선로 주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촬영부와 경고발생부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감시부 및 감시 장치로부터 장력센서부(110)에서 측정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송전선로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촬영부(2000)는 송전철탑(3000)에 설치되어 송전철탑 주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부는 장력센서 데이터 및 영상촬영부에서 획득한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장력센서 데이터 및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일정 주기에 따라 외부의 관리서버나 또는 운영자 단말기(50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장력센서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디지털 주파수공용통신(DTRS, Digital Trunked Radio System)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표준 규격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는 영상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lple Access)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0)는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 등을 통하여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송전선로 감시 장치
20, 200: 송전철탑
100, 1000: 송전선로 감시부
111: 제1연결부재
112: 제2연결부재
113: 장력센서
114: 코터 핀
116: 가이드 홈
210: 송전선로
212: 절연애자
213: 압축 인류 클램프
300: 관리서버

Claims (11)

  1. 철탑 고정부에 절연애자를 통해 송전선을 고정하며 내장된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송전선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부 및
    상기 장력센서부에서 측정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송전선로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센서부는,
    상기 철탑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절연애자를 통해 상기 송전선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서로 핀 결합하며, 상기 송전선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는 핀 형상의 장력센서를 포함하는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위험도 정보 및 상기 장력센서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디지털 주파수공용통신(DTRS, Digital Trunked Radio Service)방식을 이용하는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위험도에 따라 외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6. 철탑 고정부에 절연애자를 통해 송전선을 고정하며 내장된 장력센서를 이용하여 송전선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부와 상기 장력센서부에서 측정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감시부 및
    상기 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장력센서부에서 측정한 장력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송전선로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센서부는,
    상기 철탑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절연애자를 통해 상기 송전선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를 서로 핀 결합하며, 상기 송전선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는 핀 형상의 장력센서를 포함하는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관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선로 감시부는 상기 송전선로 주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송전선로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lple Access)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관리서버 또는 운영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전선로 관리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선로 감시부는 경고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위험도에 따라 상기 경고발생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송전선로 감시부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관리 시스템.
KR1020120121454A 2012-10-30 2012-10-30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 KR10141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454A KR101416926B1 (ko) 2012-10-30 2012-10-30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454A KR101416926B1 (ko) 2012-10-30 2012-10-30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101A true KR20140055101A (ko) 2014-05-09
KR101416926B1 KR101416926B1 (ko) 2014-07-08

Family

ID=5088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454A KR101416926B1 (ko) 2012-10-30 2012-10-30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92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6863A (zh) * 2014-11-04 2015-01-21 国家电网公司 输电线路振动监测装置
CN104897337A (zh) * 2015-07-03 2015-09-09 国网河南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输电导线表面风压测量仪
CN104913900A (zh) * 2015-06-03 2015-09-16 西安工程大学 输电线路覆冰导线舞动空气动力参数的测定方法
KR101597259B1 (ko) * 2015-10-05 2016-02-25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송전선의 장력 완화 장치
CN105680994A (zh) * 2016-01-28 2016-06-15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用于输电线路监测数据传输链路的ldpc编码方法
CN106768084A (zh) * 2017-03-10 2017-05-31 国网山东省电力公司龙口市供电公司 一种覆冰在线监测装置
KR20200140173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팀콥일렉트로닉스 철탑 금구
CN112782541A (zh) * 2020-12-30 2021-05-1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常山县供电公司 一种高压电力系统绝缘性能检测装置
KR102341099B1 (ko) * 2021-10-21 2021-12-21 유형석 선로 진단 시스템
CN114526807A (zh) * 2022-02-14 2022-05-24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架空导线微风振动的动态监测装置及监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2480B (zh) * 2015-04-01 2016-09-07 国家电网公司 输电线路上异物种类检测方法
KR102154496B1 (ko) * 2019-02-07 2020-09-10 한국전력공사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위험도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619B1 (ko) * 2008-11-11 2011-01-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의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6863A (zh) * 2014-11-04 2015-01-21 国家电网公司 输电线路振动监测装置
CN104913900A (zh) * 2015-06-03 2015-09-16 西安工程大学 输电线路覆冰导线舞动空气动力参数的测定方法
CN104897337A (zh) * 2015-07-03 2015-09-09 国网河南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输电导线表面风压测量仪
KR101597259B1 (ko) * 2015-10-05 2016-02-25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송전선의 장력 완화 장치
CN105680994A (zh) * 2016-01-28 2016-06-15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用于输电线路监测数据传输链路的ldpc编码方法
CN105680994B (zh) * 2016-01-28 2020-12-04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用于输电线路监测数据传输链路的ldpc编码方法
CN106768084A (zh) * 2017-03-10 2017-05-31 国网山东省电力公司龙口市供电公司 一种覆冰在线监测装置
KR20200140173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팀콥일렉트로닉스 철탑 금구
CN112782541A (zh) * 2020-12-30 2021-05-1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常山县供电公司 一种高压电力系统绝缘性能检测装置
CN112782541B (zh) * 2020-12-30 2022-04-0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常山县供电公司 一种高压电力系统绝缘性能检测装置
KR102341099B1 (ko) * 2021-10-21 2021-12-21 유형석 선로 진단 시스템
CN114526807A (zh) * 2022-02-14 2022-05-24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架空导线微风振动的动态监测装置及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926B1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926B1 (ko) 장력센서를 이용한 송전선로 감시 장치 및 관리 시스템
US201401237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ower transmission line of power grid
US8868360B2 (en) System and device for detecting defects in underground cables
US20160209445A1 (en) Wireless Power Line Sensor
KR100826856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연결장치
CN104266683A (zh) 一种超高压输电线路的监测装置
US11289900B2 (en) Broken conductor detector
DK2636894T3 (en) Offshore wind power SYSTEM
KR100958945B1 (ko) 송전선로의 장력 센서용 철탑부착 금구
CN116567566B (zh) 基于多源信息融合的陡坡防滑危险监测方法及系统
JP7206051B2 (ja) 監視システム
CN106814281A (zh) 一种基于gsm的接地线信息检测装置
CN206540618U (zh) 基于4g通信的分布式输电线路风害监测系统
CN108362977B (zh) 一种超特高压输电工程线路故障成因辨别方法及系统
CN106655061B (zh) 一种架空地线的智能耐张线夹
KR20150084198A (ko) 송전철탑의 상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4065B1 (ko)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228197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장력 균형유지 조절장치가 구비된 철탑
CN201289512Y (zh) 一种电缆拖链断裂检测装置
CN103904602B (zh) 输配电线路弃线保杆装置以及弃线保杆装置的安装方法
KR102029360B1 (ko)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CN111308266A (zh) 一种输电线路故障检测系统及方法
CN209910632U (zh) 外力导致架空线路停电故障的预警装置及预警设备
CN107181242A (zh) 一种用于输变电线路的保护装置
CN110011730B (zh) 基于激光光栅螺丝的adss光缆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