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065B1 -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065B1
KR102404065B1 KR1020200078430A KR20200078430A KR102404065B1 KR 102404065 B1 KR102404065 B1 KR 102404065B1 KR 1020200078430 A KR1020200078430 A KR 1020200078430A KR 20200078430 A KR20200078430 A KR 20200078430A KR 102404065 B1 KR102404065 B1 KR 102404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ox
merging unit
electronic device
underground cable
phas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598A (ko
Inventor
이지훈
이건우
훈 이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06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G01R31/127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e.g.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25Measuring very high resistances, e.g. isolation resistances, i.e. megohm-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88Measuring quality factor or dielectric loss, e.g. loss angle, or power factor
    • G01R27/2694Measuring dielectric loss, e.g. loss angle, loss factor or power fa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4Circuits therefor, e.g. for generating test voltages, sensing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르면, 송전단 변전소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실에 배치되며, 지중 케이블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머징 유닛; 수전단 변전소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실에 배치되며, 지중 케이블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머징 유닛; 상기 제1머징 유닛과 상기 제2머징 유닛 사이의 지중 케이블 접속함에 각각 배치되며, 지중 케이블 접속함 양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제3머징 유닛; 및 상기 제1머징 유닛과 상기 제2머징 유닛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지중 케이블 전체 선로 구간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고, 인접한 머징 유닛간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지중 케이블 선로 구간별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NALYSING DEGRADATION OF A UNDERGROUND CABL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 케이블은 지중에 포설 후 수년이 경과하면 열화가 발생하기 시작하지만, 전력 케이블의 열화는 외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서서히 진행되는 경향이 있어서 예측하기에 곤란한 점이 있다.
전력 케이블의 열화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이상전압, 개폐서지, 뇌서지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요인, 열에 의한 케이블의 수축 및 팽창과 변형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적인 요인, 케이블의 포설시 기계적인 인장, 충격, 굴곡 및 외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계적 요인, 토양중에 함유된 수분 및 화학물질의 침투 등으로 발생하는 화학적인 요인 등이 있다.
이러한 전력 케이블의 열화는 전력 케이블의 운영 신뢰성 측면 및 케이블의 보수나 교체시기 판정에 대하여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전력 케이블의 열화를 감시하는 방법으로 케이블 접속부 주위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접속부의 온도를 수시로 측정하여 감시함으로써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온도 센서만을 이용하여 열화 상태를 검출하는 경우 대기온도의 상승이나 주변 기기의 온도 등에 의한 주변 환경 요인에 의하여 열화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와 케이블 자체의 문제로 인하여 열화가 발생하는 경우와 구분짓기가 힘들어지게 된다.
이렇게 열화 상태가 발생한 요인을 정확하게 분석하지 못하게 되면 케이블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지, 주변 기기의 이상을 점검해야 하는지와 같이 유지 보수에 있어서도 시간, 비용 면에 있어서 많은 손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중 케이블의 각 구간별 세분화된 열화 상태 및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는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송전단 변전소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실에 배치되며, 지중 케이블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머징 유닛; 수전단 변전소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실에 배치되며, 지중 케이블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머징 유닛; 상기 제1머징 유닛과 상기 제2머징 유닛 사이의 지중 케이블 접속함에 각각 배치되며, 지중 케이블 접속함 양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제3머징 유닛; 및 상기 제1머징 유닛과 상기 제2머징 유닛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지중 케이블 전체 선로 구간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고, 인접한 머징 유닛간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지중 케이블 선로 구간별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선로구간의 절연저항 변화량, 정전용량 변화량, 유전접접(tanδ) 변화량 및 유전체 손실 변화량을 연산하여 상기 지중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절연저항 변화량, 상기 정전용량 변화량, 상기 유전접접(tanδ) 변화량 및 상기 유전체 손실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지중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함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1머징 유닛, 상기 제2머징 유닛 및 상기 제3머징 유닛간의 지중 케이블 영역을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지중 케이블 선로 구간별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인접한 머징 유닛에서 계측한 지중 케이블 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제1접속함을 중심으로 한 제1구역의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인접한 머징 유닛에서 계측한 지중 케이블 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제2접속함을 중심으로 한 제1구역의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송전단 변전소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실에 배치되는 제1머징 유닛이 지중 케이블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수전단 변전소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실에 배치되는 제2머징 유닛이 지중 케이블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머징 유닛과 상기 제2머징 유닛 사이의 지중 케이블 접속함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3머징 유닛이 지중 케이블 접속함 양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지능형 전자 장치가 상기 제1머징 유닛과 상기 제2머징 유닛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지중 케이블 전체 선로 구간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고, 인접한 머징 유닛간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지중 케이블 선로 구간별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선로구간의 절연저항 변화량, 정전용량 변화량, 유전접접(tanδ) 변화량 및 유전체 손실 변화량을 연산하여 상기 지중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절연저항 변화량, 상기 정전용량 변화량, 상기 유전접접(tanδ) 변화량 및 상기 유전체 손실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지중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지중케이블 접속함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1머징 유닛, 상기 제2머징 유닛 및 상기 제3머징 유닛간의 지중 케이블 영역을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지중 케이블 선로 구간별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인접한 머징 유닛에서 계측한 지중 케이블 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제1접속함을 중심으로 한 제1구역의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인접한 머징 유닛에서 계측한 지중 케이블 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제2접속함을 중심으로 한 제1구역의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은 지중 케이블 각 구간별로 세분화된 열화 상태의 변화 추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접속함별 정확한 사고지점 판별이 가능하다,
또한, 사고 발생시 출동 시간 및 사고 복구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이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지중 케이블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3은 실시예에 따른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이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1)은 제1머징 유닛(10), 제2머징 유닛(20), 복수개의 제3머징 유닛(30), 복수개의 지능형 전자 장치(40) 및 상위 서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머징 유닛은 디지털 변전소에 적용되는 전류/전압 측정 장치로, 국제 표준인 IEC61850 통신 프로토콜을 포맷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머징 유닛 간의 IEEE1588 시각 동기화 방식을 적용하여 수 ns 단위의 데이터 시각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능형 전자 장치는 디지털 변전소에 적용되는 장치(Intelligent Local Station)로, 국제 표준인 IEC61850 통신 프로토콜을 포맷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머징 유닛(10)은 송전단 변전소(2)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실 (GIS, Gas Insulated Switchgear)에 배치되며, 지중 케이블(L)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머징 유닛(10)은 송전단 변전소(2)측에 위치한 지중 케이블(L)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할 수 있다. 제1머징 유닛(10)은 IEC61850 통신 프로토콜을 포맷으로 하여 지중 케이블(L)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인접한 지능형 전자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머징 유닛(20)은 수전단 변전소(3)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실에 배치되며, 지중 케이블(L)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2머징 유닛(20)은 수전단 변전소(3)측에 위치한 지중 케이블(L)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할 수 있다. 제2머징 유닛(20)은 IEC61850 통신 프로토콜을 포맷으로 하여 지중 케이블(L)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인접한 지능형 전자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머징 유닛(30)은 제1머징 유닛(10)과 제2머징 유닛(20) 사이의 지중 케이블 접속함(4)에 각각 배치되며, 지중 케이블 접속함(4) 양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3머징 유닛(30)은 제1머징 유닛(10)과 제2머징 유닛(20) 사이에서 상호간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머징 유닛(30)은 각각 지중 케이블 접속함(4)에 배치되어, 지중 케이블 접속함(4) 양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할 수 있다. 제3머징 유닛(30)은 IEC61850 통신 프로토콜을 포맷으로 하여 지중 케이블 접속함(4) 양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인접한 지능형 전자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제1머징 유닛(10)과 제2머징 유닛(20)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지중 케이블(L) 전체 선로 구간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고, 인접한 머징 유닛간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지중 케이블(L) 선로 구간별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지중케이블 접속함(4)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머징 유닛(10)과 제2머징 유닛(20)은 각각 송전단 변전소(2)와 수전단 변전소(3)에 위치한 지중 케이블(L)의 3상 전류 및 전압값을 계측하여 지능형 전자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제1머징 유닛(10)과 제2머징 유닛(20)의 지중 케이블(L)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이용하여 송전단 변전소(2)와 수전단 변전소(3)를 거치는 지중 케이블(L) 전체 선로 구간의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지중 케이블(L) 선로 구간을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특정 구간에 인접한 머징 유닛의 계측값을 이용하여 해당 구간의 지중 케이블(L)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제1머징 유닛(10), 제2머징 유닛(20) 및 제3머징 유닛(30)간의 지중 케이블(L) 영역을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지중 케이블(L) 선로 구간별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선로 구간의 절연저항 변화량, 정전용량 변화량, 유전접접(tanδ) 변화량 및 유전체 손실 변화량을 연산하여 지중 케이블(L)의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절연저항 변화량, 정전용량 변화량, 유전접접(tanδ) 변화량 및 유전체 손실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지중 케이블(L)의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실제 부하단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를 지중 케이블(L)의 모든 구간에서 동기화하여 계측하고, 계측된 전압 및 전류값을 기준으로 지중 케이블(L) 선로 구간의 절연저항, 정전용량, 유전접접(tanδ) 및 유전체 손실 연산을 통해 열화상태 파라미터인 변화량을 연산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각 구간별 열화 파라미터와 열화 상태 판단 결과를 주기적으로 상위 서버(5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위 서버(50)는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고, 각 구간별 열화 파라미터 및 열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지중 케이블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2는 물리적인 지중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표현한 등가 회로이며, 케이블(선로)의 경우 R(저항성분)과 C(커페시터)로 표현된다. 3상 선로의 경우 전압 불평형 현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도2와 같이 연가(A상을 B상과 연결, B상을 C상과 연결, C상을 A상과 연결)를 하여 선로를 구성한다, PT와 CT는 전압변성기(Voltage Transformer)와 전류변성기(Current Transformer)를 나타내며 계측장치(MU)에서 선로의 높은 전류 전압 신호(345kV, 1000A)를 직접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도2에서와 같이 변전소 단에서 변성기를 통해 낮은신호(110V/5A)로 낮춰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도2를 참조하면, 지능형 전자 장치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절연저항을 연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절연저항이란, 절연체에 전압을 가했을 때 절연체가 나타내는 전기 저항으로써,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절연물 변화에 의해 절연 성능이 떨어져 절연저항 값이 일정 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열화에 의한 기기 소손이나 감전재해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는 머징 유닛으로부터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신할 때 절연저항 값을 연산하고, 시간에 따른 절연저항 변화량을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r1은 제1구역에서의 절연저항 값이고, Y1은 제1구역에서의 어드미턴스 값이고, θ1은 제1구역에서의 전력의 위상값이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66169363-pat00001
지능형 전자 장치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정전용량을 연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전용량이란, 절연된 도체간에서 전위를 주었을 때 전하를 축척 하는 능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양으로써, 정전용량이 클 경우, 선로 간 또는 선로와 대지간에 전하를 축척 할 수 있는 능력이 크다는 의미이며, 정전용량이 떨어질 경우 전하를 축척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져 축척하지 못하는 전하는 열로 발산하게 된다. 지능형 전자 장치는 머징 유닛으로부터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신할 때 정전용량 값을 연산하고, 시간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량을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c1은 제1구역에서의 정전용량 값이고, ω는 제1구역에서의 전력의 각속도이고, Y1은 제1구역에서의 어드미턴스 값이고, θ1은 제1구역에서의 전력의 위상값이다.
[수학식 2]
Figure 112020066169363-pat00002
지능형 전자 장치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유전접접을 연산할 수 있다. 실싱예에서 유전접점이란 절연체의 손실의 정도를 나타내는 양으로써, 절연체의 손실은 열로 발생하게 되며 유전접점의 값이 상승하면 온도가 상승하여 열화 현상이 진행된다. 지능형 전자 장치는 머징 유닛으로부터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신할 때 유전접접 값을 연산하고, 시간에 따른 유전접접 변화량을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3에서 tanδ1은 제1구역에서의 유전접점 값이고, f는 제1구역에서의 전력의 주파수 값이고, r1은 제1구역에서의 절연저항 값이고, c1은 제1구역에서의 정전용량 값이다.
[수학식 3]
Figure 112020066169363-pat00003
지능형 전자 장치는 하기 수학식 4에 따라 유전체 손실을 연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유전체 손실이란 절연체에 교류 전기장을 걸었을 경우에 절연체 속에서 열로 없어지는 에너지 손실 양으로써, 그 변화량을 통해 열화의 진행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는 머징 유닛으로부터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신할 때 유전체 손실 값을 연산하고, 시간에 따른 유전체 손실 변화량을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4에서, W1은 제1구역에서의 유전체 손실값이고, Va'1은 제1구역에서 a상의 전압값이고, I1은 제1구역에서의 전류값이고, θ1은 제1구역에서의 전력의 위상값이다.
[수학식 4]
Figure 112020066169363-pat00004
지중 케이블의 열화가 진행될 경우, 절연저항의 값은 감소하고, 정전용량. 유전정점 및 유전체 손실 값은 중가하게 된다.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각 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지중 케이블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이용하여 열화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파라미터의 변화량을 각각 연산하여, 지중 케이블 전체 선로 및 지중 케이블 구간별 열화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인접한 머징 유닛에서 계측한 지중 케이블 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제1접속함을 중심으로 한 제1구역의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인접한 머징 유닛에서 계측한 지중 케이블 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제2접속함을 중심으로 한 제1구역의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중 케이블 접속함의 일단은 송전단 변전소 방향의 접속점이고, 지중 케이블 접속함(4)의 타단은 수전단 변전소 방향의 접속점일 수 있다. 또한, 제1접속함은 제2접속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송전단 변전소에 인접한 접속함 일 수 있다. 제1구역은 제1접속함과 제2접속함 사이의 지중 케이블 선로 구간일 수 있다.
이 때,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송전단 변전소 방향의 접속점에서 계측된 3상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송전단 변전소에 인접한 제1접속함을 중심으로 한 제1구역의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는 수전단 변전소 방향의 접속점에서 계측된 3상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수전단 변전소에 인접한 제2접속함을 중심으로 한 제1구역의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지능형 전자 장치(40)는 머징 유닛이 배치된 위치와 접속점의 위치를 판별하여, 송전단 변전소측 접속함 또는 수전단 변전소측 접속함으로 구별하여 특정 구역의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3은 실시예에 따른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제3머징 유닛은 3개의 머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머징 유닛의 머징 유닛 A는 제1접속함에 배치되고, 머징 유닛 B는 제2접속함에 배치되고, 머징 유닛 C는 제3접속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3개의 지능형 전자 장치가 머징 유닛 A, 머징 유닛 B, 머징 유닛 C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중 케이블은 4개의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구역은 제1머징 유닛과 머징 유닛 A사이의 구간이고, 제2구역은 머징 유닛 A와 머징 유닛 B사이의 구간이고, 제3구역은 머징 유닛 B와 머징 유닛 C사이의 구간이고, 제4구역은 머징 유닛 C와 제2머징 유닛 사이의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머징 유닛은 송전단 변전소측에 위치하여, 지중 케이블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지능형 전자 장치 A로 전송한다.
제2머징 유닛은 수전단 변전소측에 위치하여, 지중 케이블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지능형 전자 장치 C로 전송한다.
머징 유닛 A는 제1접속함 일단의 일단의 3상(A1, B1, C1) 전류 및 전압값과 타단의 3상(A2, B2, C2) 전류 및 전압값을 계측하여 지능형 전자 장치 A로 전송한다.
머징 유닛 B는 제2접속함 일단의 일단의 3상(A3, B3, C3) 전류 및 전압값과 타단의 3상(A4, B4, C4) 전류 및 전압값을 계측하여 지능형 전자 장치 B로 전송한다.
머징 유닛 C는 제3접속함 일단의 일단의 3상(A5, B5, C5) 전류 및 전압값과 타단의 3상(A6, B6, C6) 전류 및 전압값을 계측하여 지능형 전자 장치 C로 전송한다.
각 지능형 전자 장치는 환형(ring)의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포워딩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제1머징 유닛과 제2머징 유닛의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해당 케이블 전체 선로 구간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한다. 열화 파라미터는 선로구간의 절연저항 변화량, 정전용량 변화량, 유전접접(tanδ) 변화량 및 유전체 손실 변화량을 포함한다.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케이블 전체 선로 구간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면 해당 케이블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제1머징 유닛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머징 유닛A의 제1접속함 타단의 3상(A2, B2, C2)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제1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한다.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제1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면 해당 케이블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 B는 머징 유닛 A의 제1접속함 일단의 3상(A1, B1, C1)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머징 유닛B의 제2접속함 일단의 3상(A3, B3, C3)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제1접속함 중심의 제2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한다. 지능형 전자 장치 B는 제1접속함 중심의 제2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면 제1접속함을 중심으로 제2구역의 케이블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 B는 머징 유닛 A의 제1접속함 타단의 3상(A2, B2, C2)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머징 유닛B의 제2접속함 타단의 3상(A4, B4, C4)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제2접속함 중심의 제2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한다. 지능형 전자 장치 B는 제2접속함 중심의 제2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면 제2접속함을 중심으로 제2구역의 케이블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머징 유닛 B의 제2접속함 일단의 3상(A3, B3, C3)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머징 유닛C의 제3접속함 일단의 3상(A5, B5, C5)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제2접속함 중심의 제3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한다.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제2접속함 중심의 제3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면 제2접속함을 중심으로 제3구역의 케이블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머징 유닛 B의 제2접속함 타단의 3상(A4, B4, C4)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머징 유닛C의 제3접속함 타단의 3상(A6, B6, C6)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제3접속함 중심의 제3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한다.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제3접속함 중심의 제3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면 제3접속함을 중심으로 제3구역의 케이블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머징 유닛 C의 제3접속함 일단의 3상(A5, B5, C5)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제2머징 유닛의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제3접속함 중심의 제4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한다.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제3접속함 중심의 제4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면 제3접속함을 중심으로 제4구역의 케이블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각 지능형 전자 장치는 각 구간별 열화 파라미터와 열화 상태 판단 결과를 주기적으로 상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위 서버는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고, 각 구간별 열화 파라미터 및 열화 상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3의 실시예에서, 열화 파라미터에 대한 임계 변화량은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임계 변화량은 각각의 열화 파라미터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각 구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 또는 상위 서버는 지중 케이블 전체 구간에서 열화가 발생한 것인지, 그리고 어떠한 구간에서 열화가 발생한 것인지에 따라 열화 상태의 최종 위험도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화 파라미터의 임계 변화량과 최종 위험도는 하기 표1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표1]
Figure 112020066169363-pat00005
표1을 참조하면,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케이블 전체 선로 구간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면 해당 케이블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절연저항 변화량이 임계값의 40%이하로 감소하면 해당 케이블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정전용량 변화량이 임계값의 40%이상 증가하면 해당 케이블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유전접점 변화량이 임계값의 40%이상 증가하면 해당 케이블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유전체손실 변화량이 임계값의 40%이상 증가하면 해당 케이블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 A 또는 상위 서버는 케이블 전체 선로 구간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최종 위험도를 '위험'단계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제1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면 제1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절연저항 변화량이 임계값의 20%이하로 감소하면 제1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정전용량 변화량이 임계값의 20%이상 증가하면 제1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유전접점 변화량이 임계값의 20%이상 증가하면 제1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A는 유전체손실 변화량이 임계값의 20%이상 증가하면 제1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 A 또는 상위 서버는 제1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최종 위험도를 '주의'단계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 B는 제1접속함 또는 제2접속함 중심의 제2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면 제2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 B는 절연저항 변화량이 임계값의 40%이하로 감소하면 제2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B는 정전용량 변화량이 임계값의 40%이상 증가하면 제2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B는 유전접점 변화량이 임계값의 40%이상 증가하면 제2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B는 유전체손실 변화량이 임계값의 40%이상 증가하면 제2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 B 또는 상위 서버는 제2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최종 위험도를 '위험'단계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제2접속함 또는 제3접속함 중심의 제3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면 제3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절연저항 변화량이 임계값의 20%이하로 감소하면 제3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정전용량 변화량이 임계값의 20%이상 증가하면 제3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유전접점 변화량이 임계값의 20%이상 증가하면 제3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유전체손실 변화량이 임계값의 20%이상 증가하면 제3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 C 또는 상위 서버는 제3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최종 위험도를 '안전'단계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제4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면 제4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절연저항 변화량이 임계값의 20%이하로 감소하면 제4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정전용량 변화량이 임계값의 20%이상 증가하면 제4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유전접점 변화량이 임계값의 20%이상 증가하면 제4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 C는 유전체손실 변화량이 임계값의 20%이상 증가하면 제4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능형 전자 장치 C 또는 상위 서버는 제4구역에 열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최종 위험도를 '안전'단계로 판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10: 제1머징 유닛
20: 제2머징 유닛
30: 제3머징 유닛
40: 지능형 전자 장치
50: 상위 서버

Claims (15)

  1. 송전단 변전소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실에 배치되며, 지중 케이블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머징 유닛;
    수전단 변전소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실에 배치되며, 지중 케이블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머징 유닛;
    상기 제1머징 유닛과 상기 제2머징 유닛 사이의 지중 케이블 접속함에 각각 배치되며, 지중 케이블 접속함 양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개의 제3머징 유닛; 및
    상기 제1머징 유닛과 상기 제2머징 유닛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지중 케이블 전체 선로 구간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고, 인접한 머징 유닛간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지중 케이블 선로 구간별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송전단 변전소측으로부터 상기 수전단 변전소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마련되는 제1접속함, 제2접속함 및 제3접속함에 각각 배치되는 제1지능형 전자 장치, 제2지능형 전자 장치 및 제3지능형 전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1머징 유닛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상기 제1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제1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하고,
    상기 제2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1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상기 제2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상기 제1접속함 중심의 제2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하고,
    상기 제2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1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상기 제2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상기 제2접속함 중심의 상기 제2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하고,
    상기 제3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2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상기 제3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3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상기 제2접속함 중심의 제3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하고,
    상기 제3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3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상기 제3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3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상기 제3접속함 중심의 상기 제3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하고,
    상기 제3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3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3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상기 제2머징 유닛의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상기 제3접속함 중심의 제4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하며,
    상기 제1구역은 상기 제1머징 유닛과 상기 제1접속함 사이의 구간이고, 상기 제2구역은 상기 제1접속함과 상기 제2접속함 사이의 구간이고, 상기 제3구역은 상기 제2접속함과 상기 제3접속함 사이의 구간이고, 상기 제4구역은 상기 제3접속함과 상기 제2머징 유닛 사이의 구간이고,
    상기 각 접속함의 일단은 각 접속함을 중심으로 송전소 변전소측 방향이고, 타단은 각 접속함을 중심으로 수전소 변전소측 방향인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선로구간의 절연저항 변화량, 정전용량 변화량, 유전접접(tanδ) 변화량 및 유전체 손실 변화량을 연산하여 상기 지중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절연저항 변화량, 상기 정전용량 변화량, 상기 유전접접(tanδ) 변화량 및 상기 유전체 손실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지중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송전단 변전소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실에 배치되는 제1머징 유닛이 지중 케이블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수전단 변전소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실에 배치되는 제2머징 유닛이 지중 케이블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머징 유닛과 상기 제2머징 유닛 사이의 지중 케이블 접속함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3머징 유닛이 지중 케이블 접속함 양단의 3상 전류 및 전압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지능형 전자 장치가 상기 제1머징 유닛과 상기 제2머징 유닛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지중 케이블 전체 선로 구간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고, 인접한 머징 유닛간의 계측정보를 이용하여 지중 케이블 선로 구간별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중 케이블 선로 구간별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1머징 유닛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상기 제1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제1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2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1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상기 제2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상기 제1접속함 중심의 제2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2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1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상기 제2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상기 제2접속함 중심의 상기 제2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3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2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상기 제3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3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상기 제2접속함 중심의 제3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3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3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상기 제3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3접속함 타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상기 제3접속함 중심의 상기 제3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제3접속함에 배치된 제3머징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3접속함 일단의 3상 전류 및 전압 계측값과, 상기 제2머징 유닛의 전류 및 전압 계측값을 수집하여 상기 제3접속함 중심의 제4구역에 대한 열화 파라미터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역은 상기 제1머징 유닛과 상기 제1접속함 사이의 구간이고, 상기 제2구역은 상기 제1접속함과 상기 제2접속함 사이의 구간이고, 상기 제3구역은 상기 제2접속함과 상기 제3접속함 사이의 구간이고, 상기 제4구역은 상기 제3접속함과 상기 제2머징 유닛 사이의 구간이고,
    상기 각 접속함의 일단은 각 접속함을 중심으로 송전소 변전소측 방향이고, 타단은 각 접속함을 중심으로 수전소 변전소측 방향인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선로구간의 절연저항 변화량, 정전용량 변화량, 유전접접(tanδ) 변화량 및 유전체 손실 변화량을 연산하여 상기 지중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전자 장치는 상기 절연저항 변화량, 상기 정전용량 변화량, 상기 유전접접(tanδ) 변화량 및 상기 유전체 손실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 변화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지중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판단하는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078430A 2020-06-26 2020-06-26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404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430A KR102404065B1 (ko) 2020-06-26 2020-06-26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430A KR102404065B1 (ko) 2020-06-26 2020-06-26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98A KR20220000598A (ko) 2022-01-04
KR102404065B1 true KR102404065B1 (ko) 2022-05-31

Family

ID=7934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430A KR102404065B1 (ko) 2020-06-26 2020-06-26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329B1 (ko) * 2023-04-28 2023-06-16 (주)선진하이테크 케이블 시스유기전압 저감장치용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330Y1 (ko) * 2003-10-31 2004-01-24 한국전력공사 지중 송전선로용 전압검출장치
JP2010237028A (ja) 2009-03-31 2010-10-21 Yamatake Corp 湿度計測装置
KR101984432B1 (ko) * 2017-12-05 2019-05-30 전명수 케이블의 열화상태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171A (ja) * 1993-06-30 1995-01-24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電力ケーブルの絶縁診断・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330Y1 (ko) * 2003-10-31 2004-01-24 한국전력공사 지중 송전선로용 전압검출장치
JP2010237028A (ja) 2009-03-31 2010-10-21 Yamatake Corp 湿度計測装置
KR101984432B1 (ko) * 2017-12-05 2019-05-30 전명수 케이블의 열화상태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98A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1074B2 (en) Electric power monitoring and response system
US20240142509A1 (en) Online monitoring method for dynamic changes in positions of transmission line conductors based on electromagnetic signals of ground wires
RU239425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аварийного заземления
KR101330091B1 (ko) 운전중인 고전압 케이블의 수명 판정 방법
CN112036449A (zh) 基于智能电缆的故障分析决策平台及故障分析方法
CN103278743A (zh) 一种基于故障信息的高阻接地故障辨识与定位方法
KR102404065B1 (ko) 지중 케이블 열화 상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Davis Analysis of faults in overhead transmission lines
CN109932615A (zh) 单相电缆故障测距方法及装置
CN109387733A (zh) 一种配电线路单相接地故障定位方法及系统
US10267842B2 (en) Method for identifying a faulted DC power transmission medium in a multi-terminal DC electrical network
EP2482090A1 (en) System for measuring partial discharges in power lines
CN205581192U (zh) 高压换流站直流场暂态电压监测装置
US20220357387A1 (en) Monitoring the state of overvoltage protection components
CN103683231A (zh) 一种具有智能开关柜的配电网开关站
CN114384352B (zh) 基于地线电磁信号的架空线路覆冰监测方法及装置
CN114396859B (zh) 基于地线电磁信号的架空线路风偏监测方法及装置
CN117501135A (zh) 对绝缘电力电缆系统的功能可靠性评估
CN105988061B (zh) 一种高压单芯电缆保护层故障定位的方法
KR101101938B1 (ko) 직류 전기철도 고저항 지락 검출 방법
KR101984432B1 (ko) 케이블의 열화상태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KR20220055323A (ko) 전기선로의 열화 위험도 판단 방법 및 장치
Liu et al. Reliability evaluation of distribution networks incorporating cable electro-thermal properties
CN221078805U (en) Capacitor bank on-line monitoring device
KR102512148B1 (ko) 배전선로 지락 고장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