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969A - 차량의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영상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영상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969A
KR20140054969A KR1020120121110A KR20120121110A KR20140054969A KR 20140054969 A KR20140054969 A KR 20140054969A KR 1020120121110 A KR1020120121110 A KR 1020120121110A KR 20120121110 A KR20120121110 A KR 20120121110A KR 20140054969 A KR20140054969 A KR 20140054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ehicle
glare
illuminanc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4969A/ko
Publication of KR20140054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3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7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vehicle security, e.g. parked vehicle surveillance, burglar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카메라 장치와 그의 영상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 유리의 반사율을 조절하고, 영상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가 블랙박스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운전자에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영상 촬영 방법{CAMERA APPARATUS IN VEHICLE AND METHOD FOR TAKING IMAGE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영상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영상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룸미러(room mirror)나 사이드미러(side mirror)와 같은 차량 미러는 차량의 내외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전자가 후방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즉 차량의 운전자는 차량 미러를 통해,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후방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블랙박스(blackbox)는 카메라를 구비하며, 차량의 주변 상황을 기록한다. 즉 차량의 운전자는 블랙박스를 통해, 차량의 주행 상태나 사고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차량 미러가 후방의 빛을 반사함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에 눈부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차량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미러로부터 차량의 운전자에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은 블랙박스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 미러의 반사율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메라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유리의 반사율을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도 및 글레어를 측정하고, 상기 조도와 상기 글레어를 비교하여, 상기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조도 또는 상기 글레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메라 장치는, 상기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글레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메라 장치는, 상기 글레어를 측정하기 위한 글레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레어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글레어를 측정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룸미러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영상 촬영 방법은,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유리의 반사율을 조절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절 과정은, 조도 및 글레어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조도 및 상기 글레어를 비교하여, 상기 반사율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 과정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조도 또는 상기 글레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 과정은,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글레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영상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 과정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조도를 측정하고, 글레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글레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영상 촬영 방법은, 차량 내외부의 영상을 저장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서 빛의 양을 조절하는 데 이용한다. 즉 카메라 장치가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 유리의 반사율을 조절함으로써, 차량 내부에서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카메라 장치가 블랙박스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운전자에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메라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촬영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도 3에서 제 1 영상 촬영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5는 도 3에서 제 2 영상 촬영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차량 유리’라는 용어는 차량의 내외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내부로 빛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모든 구성을 나타낸다. 이 때 차량 유리는 룸미러, 사이드미러, 전방 유리, 선루프(sun roof)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룸미러와 사이드미러의 반사율이 높을수록, 차량의 내부에 많은 양의 빛이 존재한다. 그리고 전방 유리와 선루프의 반사율이 낮을수록, 차량의 내부에 적은 양의 빛이 존재한다. ‘조도’라는 용어는 주변광에 의한 차량 내부의 밝기를 나타낸다. ‘글레어’라는 용어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부적절한 휘도 분포를 나타낸다. 이 때 글레어는 주변광에 대비되어, 대상물의 지각능력을 저하시키는 시각 조건을 제공한다. 이러한 글레어는 자연광 또는 조명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레어는 차량의 외부에서, 다른 차량의 헤드라이트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카메라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때 도 2의 (a)는 룸미러의 후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의 (b)는 룸미러의 전면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룸미러의 후면이 차량의 후방을 향하고, 룸미러의 전면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10)은 카메라 장치(100)를 구비하며, 카메라 장치(100)는 룸미러(11) 및 전방 유리(15)와 연결되어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차량(10)에서 카메라 장치(100)를 제외한 구성은 일반적인 차량에서 대응하는 구성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차량(10)에서, 룸미러(11)는 후방 미러(12)와 미러 본체(13)을 포함한다. 후방 미러(12)는 룸미러(11)의 후면에서, 차량(10)의 후방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후방 미러(12)는, 반사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즉 후방 미러(12)는 ECM(Electronic Chromic Mirror)과 같은 감광식 미러일 수 있다. 미러 본체(13)는 룸미러(11)의 전면에서 후방 미러(12)의 배면을 둘러싼다. 그리고 미러 본체(13)가 차량(10)의 내부에 장착된다. 전방 유리(15)는, 투과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즉 전방 유리(130)는 감광식 유리일 수 있다. 이 때 전방 유리(15)는 룸미러(11)의 전면에 대향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차량(10)의 카메라 장치(100)는 메모리(110), 키 입력부(120), 센서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카메라부(150), 영상 처리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메모리(110)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차량(1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 입력부(120)는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거나 실행하기 위한 키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키 입력부(120)는 룸미러(11)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키 입력부(120)는 룸미러(11)의 후면, 전면 또는 후면과 전면을 연결하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차량(10)에 인가되는 물리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이 때 센서부(130)는 차량(10)의 속도, 이동, 충격 등을 감지한다. 여기서, 센서부(130)는 속도 센서, 자이로(Gyro) 센서 또는 충격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차량(10)의 내외부에서 오디오 신호를 수집한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40)는 마이크(MIC; 141)를 포함한다. 마이크(141)는 룸미러(11)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마이크(141)는 룸미러(11)의 후면, 전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141)는 룸미러(11)의 후면에서, 후방 미러(1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부(150)는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카메라부(150)는 후방 카메라부(151)와 전방 카메라부(153)를 포함한다. 후방 카메라부(151)는 차량(10)의 후방 영상을 촬영하고, 전방 카메라부(153)는 차량(10)의 전방 영상을 촬영한다. 이러한 카메라부(150)는 룸미러(11)에 장착된다. 이 때 후방 카메라부(151)는 룸미러(11)의 후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후방 카메라부(151)는 룸미러(11)의 후면에서, 후방 미러(1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카메라부(153)는 룸미러(11)의 전면에 배치된다.
즉 후방 카메라부(151)는 룸미러(11)의 후면을 기준으로, 후방 영상을 촬영한다. 이 때 후방 영상은 후방 유리(도시되지 않음) 이전의 차량(10)의 내부 및 후방 유리 이후에서 차량(10) 외부의 후방을 나타낸다. 그리고 전방 카메라부(153)는 룸미러(11)의 전면을 기준으로, 전방 영상을 촬영한다. 이 때 전방 영상은 전방 유리(15)를 경계로 차량(10) 외부의 전방을 나타낸다.
영상 처리부(160)는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영상 처리부(160)는 영상 코덱을 포함한다. 영상 코덱은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차량(10)의 후방 영상과 전방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에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부(150)를 제어하여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촬영한다. 또한 차량(10) 주행 시, 제어부(170)는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을 조절한다. 이 때 키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요청이 발생되면, 제어부(170)가 그에 대응하여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차량(10)의 운전자를 향하여,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부(170)는 빛의 양을 감소, 유지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카메라부(150)의 영상을 이용하여, 룸미러(11)의 반사율을 조절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차량(10)의 후방으로부터 빛이 입사됨에 따라,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으면, 제어부(170)는 룸미러(11)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한편,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지 않았으면, 제어부(170)는 룸미러(11)의 반사율을 유지 또는 증가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전방 영상 또는 후방 영상에서 차량(10) 내부의 조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후방 영상에서, 차량(10) 후방으로부터의 글레어를 측정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조도와 글레어를 비교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조도와 글레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게다가, 조도와 글레어의 차이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제어부(170)가 룸미러(11)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한편, 조도와 글레어의 차이값이 임계값 이하이면, 제어부(170)는 룸미러(11)의 반사율을 유지 또는 증가시킨다.
또는 제어부(170)는 후방 영상에서 안면을 인식한다. 예를 들면, 후방 영상에서 안면의 특징, 예컨대 눈의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안면의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안면의 변화가 있으면, 제어부(170)는 룸미러(11)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한편, 안면의 변화가 없으면, 제어부(170)는, 룸미러(11)의 반사율을 유지 또는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후방 영상의 안면에서 눈의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기준 사이즈 미만이면, 제어부(170)가 룸미러(11)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후방 영상에서 눈의 사이즈가 기준 사이즈 이상이면, 제어부(170)가 룸미러(11)의 반사율을 유지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70)는 조도와 글레어의 차이값 또는 안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룸미러(11)의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조도와 글레어의 차이값 및 안면의 변화를 조합하여, 룸미러(11)의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방 영상의 후방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를 초과하면, 제어부(170)가 룸미러(11)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후방 영상의 안면에서 눈의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기준 사이즈 미만이면, 제어부(170)가 룸미러(11)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후방 영상의 후방 조도가 기준 조도 이하이면, 제어부(170)가 룸미러(11)의 반사율을 유지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후명 영상에서 눈의 사이즈가 기준 사이즈 이상이면, 제어부(170)가 룸미러(11)의 반사율을 유지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카메라부(150)의 영상을 이용하여,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조절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차량(10)의 전방으로부터 빛이 입사됨에 따라,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으면,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증가시킨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15)의 투과율을 감소시킨다. 한편,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증가하지 않았으면,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유지 또는 감소시킨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의 튜과율을 유지 또는 증가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전방 영상 또는 후방 영상에서 차량(10) 내부의 조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전방 영상에서, 차량(10) 전방으로부터의 글레어를 측정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조도와 글레어를 비교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조도와 글레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게다가, 조도와 글레어의 차이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제어부(170)가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증가시킨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170)가 전방 유리(15)의 투과율을 감소시킨다. 한편, 조도와 글레어의 차이값이 임계값 이하이면,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유지 또는 감소시킨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170)가 전방 유리(15)의 투과율을 유지 또는 증가시킨다.
또는 제어부(170)는 후방 영상에서 안면을 인식한다. 예를 들면, 후방 영상에서 안면의 특징, 예컨대 눈의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안면의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안면의 변화가 있으면,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증가시킨다. 한편, 안면의 변화가 없으면,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유지 또는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후방 영상의 안면에서 눈의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기준 사이즈 미만이면, 제어부(170)가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후방 영상에서 눈의 사이즈가 기준 사이즈 이상이면, 제어부(170)가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유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70)는 조도와 글레어의 차이값 또는 안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조도와 글레어의 차이값 및 안면의 변화를 조합하여,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차량(10)의 후방 영상과 전방 영상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오디오 신호와 함께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영상의 촬영 시점과 오디오 신호의 수집 시점이 일치하도록 영상과 오디오 신호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센서부(130)에서 물리량의 변화를 감지함에 따라,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차량(10)의 충격이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의 충격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촬영할 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키 입력부(120)에서 사용자 요청이 발생됨에 따라,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영상 촬영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차량(10)의 영상 촬영 절차는, 제어부(170)가 311단계에서 차량(10)의 주행을 감지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여기서, 차량(10) 주행 시, 차량(10)은 전기적으로 구동하여, 이동 또는 정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10) 주행 시, 제어부(170)는 313단계에서 제 1 영상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제 1 영상 촬영 모드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차량(10)의 주행이 종료될 때까지, 제 1 영상 촬영 모드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제 1 영상 촬영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 1 영상 촬영 모드 수행 절차는, 제어부(170)가 411단계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카메라부(150)를 제어하여, 차량(110)의 내외부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후방 카메라부(151)가 차량(10)의 후방 영상을 촬영하고, 전방 카메라부(153)가 차량(10)의 전방 영상을 촬영한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70)는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하여, 차량(110)의 내외부에서 오디오 신호를 수집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413단계에서 영상을 분석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차량(10)의 후방으로부터 빛이 입사됨에 따라,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어부(170)는 차량(10)의 전방으로부터 빛이 입사됨에 따라,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70)는 415단계에서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을 조절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차량(10)의 운전자를 향하여,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70)는 빛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룸미러(11) 또는 전방 유리(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으면, 제어부(170)는 룸미러(11)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지 않았으면, 제어부(170)는 룸미러(11)의 반사율을 유지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급격히 증가했으면,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15)의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이 증가하지 않았으면,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15)의 반사율을 유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의 튜과율을 유지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170)는 417단계에서 영상을 저장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센서부(130)에서 감지되는 물리량의 변화값이 미리 설정됨 임계치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물리량의 변화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10)의 충격이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물리량의 변화값이 임계치 이하이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10)의 충격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키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요청이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요청이 발생되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요청이 발생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417단계에서 영상을 저장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419단계에서 영상을 저장한 다음, 도 3으로 리턴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메모리(110)에 영상을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차량(10)의 후방 영상과 전방 영상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오디오 신호와 함께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영상의 촬영 시점과 오디오 신호의 수집 시점이 일치하도록 영상과 오디오 신호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한편, 417단계에서 영상을 저장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도 3으로 리턴한다. 즉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하지 않고, 도 3으로 리턴한다.
한편, 311단계에서 차량(10)의 주행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315단계에서 제 2 영상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 이 때 차량(10)이 전기적으로 구동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제 2 영상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 2 영상 촬영 모드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차량(10)의 주행이 시작될 때까지, 제 2 영상 촬영 모드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제 2 영상 촬영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 2 영상 촬영 모드 수행 절차는, 제어부(170)가 511단계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카메라부(150)를 제어하여, 차량(110)의 내외부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후방 카메라부(151)가 차량(10)의 후방 영상을 촬영하고, 전방 카메라부(153)가 차량(10)의 전방 영상을 촬영한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70)는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하여, 차량(110)의 내외부에서 오디오 신호를 수집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70)는 513단계에서 영상을 저장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센서부(130)에서 감지되는 물리량의 변화값이 미리 설정됨 임계치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물리량의 변화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10)의 충격이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물리량의 변화값이 임계치 이하이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10)의 충격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키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요청이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요청이 발생되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요청이 발생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513단계에서 영상을 저장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515단계에서 영상을 저장한 다음, 도 3으로 리턴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메모리(110)에 영상을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차량(10)의 후방 영상과 전방 영상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오디오 신호와 함께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영상의 촬영 시점과 오디오 신호의 수집 시점이 일치하도록 영상과 오디오 신호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한편, 513단계에서 영상을 저장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도 3으로 리턴한다. 즉 제어부(170)는 영상을 저장하지 않고, 도 3으로 리턴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 차량(10) 주행 시, 제어부(170)가 계속해서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을 조절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키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요청이 발생되면, 제어부(170)가 그에 대응하여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차량(10)이 주행 중이더라도 사용자 요청이 발생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차량(10)의 내외부 영상을 분석하지 않으며, 빛의 양을 조절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 카메라부(150)가 후방 카메라부(151)와 전방 카메라부(153)를 포함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카메라부(150)가 적어도 하나의 측방 카메라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 때 측방 카메라부는 룸미러(1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방 카메라부는 차량(10)의 측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 카메라 장치(100)가 카메라부(150)의 영상으로부터 조도 및 글레어를 모두 측정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카메라 장치(100)가 영상으로부터 조도 또는 글레어 중 어느 하나만을 측정하더라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메라 장치(100)에서, 센서부(130)가 차량(10) 내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30)는 조도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도 센서는 룸미러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100)에서, 제어부(170)는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10) 내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부(170)는 카메라부(150)의 영상으로부터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글레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70)는 조도와 글레어를 비교하여,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장치(1000에서, 센서부(130)가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글레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30)는 글레어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글레어 센서는 룸미러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100)에서, 제어부(170)는 글레어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글레어를 측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부(170)는 카메라부(150)의 영상으로부터 차량(10) 내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 장치(100)는 조도와 글레어를 비교하여,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 제어부(170)가 룸미러(11) 또는 전방 유리(15)를 제어하여,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을 조절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부(170)가 룸미러(11), 전방 유리(15), 선루프(도시되지 않음) 또는 사이드미러(도시되지 않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에 따라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제어부(170)는 후방 영상, 전방 영상 또는 측방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룸미러(11), 전방 유리(15), 선루프 또는 사이드미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룸미러(11)와 함께, 사이드미러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룸미러(11)를 대신하여, 사이드미러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15)와 함께, 선루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전방 유리(15)를 대신하여, 선루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100)가 카메라부(150)에서 촬영되는 차량(10) 내외부의 영상을 저장할 뿐만 아니라,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을 조절하는 데 이용한다. 즉 카메라 장치(100)가 룸미러(11)의 반사율을 조절하거나, 전방 유리(15)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차량(10) 내부에서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카메라 장치(100)가 블랙박스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차량(10)의 운전자에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 유리의 반사율을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메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도 및 글레어를 측정하고, 상기 조도 및 상기 글레어를 비교하여, 상기 반사율을 조절하며,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조도 또는 상기 글레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메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글레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메라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글레어를 측정하기 위한 글레어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레어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글레어를 측정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조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메라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서 안면을 인식하고,
    상기 안면의 변화를 파악하여, 상기 반사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메라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유리는 룸미러 또는 사이드미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와 상기 글레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반사율을 하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메라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유리는 전방 유리 또는 선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와 상기 글레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반사율을 상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메라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룸미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메라 장치.
  9.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 유리의 반사율을 조절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촬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과정은,
    조도 및 글레어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조도 및 상기 글레어를 비교하여, 상기 반사율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 과정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조도 또는 상기 글레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촬영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과정은,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글레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촬영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과정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조도를 측정하고, 글레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글레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촬영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과정은,
    상기 영상에서 안면을 인식하고,
    상기 안면의 변화를 파악하여, 상기 반사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촬영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유리는 룸미러 또는 사이드미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과정은,
    상기 조도와 상기 글레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반사율을 하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촬영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유리는 전방 유리 또는 선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과정은,
    상기 조도와 상기 글레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반사율을 상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영상 촬영 방법.
KR1020120121110A 2012-10-30 2012-10-30 차량의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영상 촬영 방법 KR20140054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110A KR20140054969A (ko) 2012-10-30 2012-10-30 차량의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영상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110A KR20140054969A (ko) 2012-10-30 2012-10-30 차량의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영상 촬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969A true KR20140054969A (ko) 2014-05-09

Family

ID=5088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110A KR20140054969A (ko) 2012-10-30 2012-10-30 차량의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영상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49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44A (ko) 2017-12-20 2019-06-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눈부심 방지 장치
KR20220086750A (ko) 2020-12-16 2022-06-24 에이테크솔루션(주) 눈부심 저감 차량용 사이드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눈부심 저감 방법
EP4328090A1 (en) 2022-08-22 2024-02-28 Seeing Machines Limited Auto dimming mirr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44A (ko) 2017-12-20 2019-06-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눈부심 방지 장치
KR20220086750A (ko) 2020-12-16 2022-06-24 에이테크솔루션(주) 눈부심 저감 차량용 사이드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눈부심 저감 방법
EP4328090A1 (en) 2022-08-22 2024-02-28 Seeing Machines Limited Auto dimming mirr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032B1 (ko) 카메라 영상의 반사광 제거 장치 및 방법
JP2013175914A (ja) 撮像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10035099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he same
US20180131877A1 (en) Image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image display program for vehicle
TWI593578B (zh) 車輛及應用於該車輛之自動調節系統及自動調節方法
US20160063334A1 (en) In-vehicle imaging device
JP4770385B2 (ja) 自動サンバイザ
US20170057414A1 (en) Monito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 image switching
US9369665B2 (en) Video 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ideo recording method for vehicle
KR20140054969A (ko) 차량의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영상 촬영 방법
JP2013196331A (ja) 撮像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79004A (ko) 차량용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0179817A (ja) 車両用防眩装置
EP3547676B1 (en) 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vehicle display control system, vehicl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660878B1 (ko) 차량용 카메라의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5196597B2 (ja) 移動体における透過光量制御装置
JP5352266B2 (ja) 防眩装置
US2017036476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vehicle, imag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010407B1 (ko) 스마트 리어뷰 시스템
KR101561535B1 (ko) 운전자 시야 추적형 블랙 박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8229B1 (ko) 차영상 취득 장치 및 방법
US9781337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trimming an image based on motion information
JP6763324B2 (ja) 画像表示装置
KR20120057450A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23775A (ko) 모션 인식 기능을 갖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의 데이터 처리 개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