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822A -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제조방법 및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용도 - Google Patents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제조방법 및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822A
KR20140053822A KR1020137017462A KR20137017462A KR20140053822A KR 20140053822 A KR20140053822 A KR 20140053822A KR 1020137017462 A KR1020137017462 A KR 1020137017462A KR 20137017462 A KR20137017462 A KR 20137017462A KR 20140053822 A KR20140053822 A KR 20140053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hlorophenyl
azabicyclo
hexan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소니 알렉산더 맥키니
프랭크 바이매스터
월터 피스코르스키
Original Assignee
유티믹스 바이오사이언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티믹스 바이오사이언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유티믹스 바이오사이언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5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Abstract

본 발명은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의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 및
이들의 단독 용도 또는 추가적인 정신요법 조성물과 조합하여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병태를 치료, 예컨대 난치성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제조방법 및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용도{PREPARATION AND USE OF (+)-1-(3,4-DICHLOROPHENYL)-3-AZABICYCLO[3.1.0]HEXANE IN THE TREATMENT OF CONDITIONS AFFECTED BY MONOAMINE NEUROTRANSMITTERS}
관련출원
[0001] 본 출원은 2010년 12월 3일자 미국 가특허출원 No. 61/419,769에 기초한 우선권 주장 출원으로서, 상기 출원은 그 개시 내용 전체가 본 발명에 참조 병합되었다.
기술분야
[0002] 본 발명은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의 흡수의 선택적 억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병태를 치료하는데 있어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0003] 일반적으로 약물 개발은 부작용 감소 및 효능 증가를 위해, 특이적인 표적 분자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데 촛점이 맞춰저 있다. 그러나, 암으로부터 정신분열병에 이르는 질병에 대한 임상연구 결과 다양한 표적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들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Frantz 외, 2005).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를 사용할 경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관해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hase 외, 2001)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 억제제와 병용할 경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단독으로 투여할 경우에 비해 훨씬 더 효과적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rivedi 외, 2006).
[0004] 3원 재흡수 억제제(3원 재흡수 억제제s)는 다제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세로토닌 전달체, 노르에피네프린 전달체 및 도파민 전달체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5-히드록시트립타민(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및 도파민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몇몇 3원 재흡수 억제제가 우울증, 불안, 공황장애, 강박장애, 정신분열병 및 연합장애, 중독, 비만, 틱장애, 주의력 부족 행동 과다 장애(ADHD), 파킨슨병, 만성통증 및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다양한 병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되기 위해 연구 조사 중에 있다 (예컨대, Mcmillen 외, 2007; Gardner 외, 2006; Tizzano 외 2008; Basile 외, 2007).
[0005]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은 현재 연구 되고 있는 3원 재흡수 억제제이다. 이것은 키랄성을 나타내며 2개의 에난티오머가 존재한다. 에난티오머들은 생물학적 대상체에 대해 같거나 다른 영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요망되는 활성 또는 약리 활성이 오직 어느 하나의 에난티오머에만 존재하는 경우에도 많은 의약 제제들이 라세메이트로서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S(+)- 메타콜린 에난티오머는 R(-) 에난티오머에 비해 효능이 250배 더 강하다. 케타민의 경우, (S)-에난티오머는 마취제이지만 (R)-에난티오머는 환각제이다. 어떤 약물의 라세미 혼합물을 투여할 경우, 메타콜린의 경우처럼, 에난티오머들 중 어느 하나보다 약리 활성이 약할 수 있기 때문에, 또는 케타민의 경우처럼 독성이 증가되거나 다른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라세미 혼합물을 투여하는 것이 불리할 수 있다.
[0006]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우울증은 무력감의 가장 큰 원인이고 전세계적으로 4번째로 높은 질병에 대한 부담 원인이 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전세계적으로 1억2천1백만명 이상이 이 질환을 앓고 있다. 조기에 항우울제를 처방받은 환자들의 2/3가 시의적절한 관해를 경험하지 못한다 (Fava 외, 1996). 조기치료에 대한 응답에 실패한 환자들의 경우 명쾌한 치료 프로토콜이 존재하지 않는다. 잔류 증상은 재발 위험성 증가, 사회적 및 직업적 기능 장애, 및 질병 경과의 만성화와 연관이 있다(Judd 외, 1998). 따라서, 우울증 및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른 병태, 특히 초기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던 개체들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의약을 동정하는 것이 여전히 시급하다.
예시적인 실시상태의 개요
[0007] 본 발명에 따라 비제한적인 예로서 우울증, 불안, 공황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강박증, 정신분열병 및 연합 장애, 중독, 비만, 틱장애, 주의력 부족 행동 과다 장애 (ADHD), 파킨슨병, 만성 통증 상태, 및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일반적으로 3원 재흡수 억제제로 치료되는 질환의 징후와 증상으로 고통받는,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을 치료하기 위한, 하기와 같은 불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unbalanced triple reuptake inhibitor),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이용한 조성물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불균등(unbalanced)이라 함은 각각의 모노아민 전달체들에 대한 상대적 효과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 경우 세로토닌 전달체에 대하여 가장 강한 활성, 노르에피네프린 전달체에 대하여는 그 절반의 활성 및 도파민 전달체에 대하여는 1/8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균등(balanced) 3원 재흡수 억제제는 3가지 모노아민 전달체 각각에 대해 유사한 활성을 나타낼 것이다.
Figure pct00001
[0008]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에는 실제로 대응하는(-) 에난티오머,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이 함유되어 있지 않다. 에난티오머 형태에 더해,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은 적어도 3가지 결정다형(polymorphic forms)으로 존재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각각 결정다형체 A, B 및 C라 칭한다. 이들 결정다형체들은 의약 조성물 중에 조합체 형태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결정다형체들 중 1가지 이상이 실제로 없는 형태로 사용된다.
[0009] 또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의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약리활성 유기 화합물들은 혼입되는 제2의 외래 분자, 특히 용매 분자들을 주요 약리활성 화합물의 결정 구조 내로 규칙적으로 결정화시켜, 의사결정다형체(pseudopolymorphs)를 형성한다. 상기 제2 분자가 용매 분자일 경우, 의사결정다형체를 용매화물로 칭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형태들은 염산염과 같은 무기산 및 유기산 부가염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10] 바인딩에 관한 연구와 같은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과 관련한 부가적인 배경 정보가 미국특허 Nos. 4,435,419, WO/20040466457, WO2007127396, WO02066427, WO2006023659, 미국특허출원 No. 11/740,667, 및 미국특허 No. 6,372,919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 각각은 그 개시내용 전체가 본 발명에 참조 병합되었다.
[0011] 이에 더해 본 발명에 따라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비롯하여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와 병용되는 부가적이거나 또는 2차적인 정신질환 치료제를 이용하는 조합 조성물 및 조직화된 치료법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2차적인 정신질환 치료약물의 예로는 일반적인 부류의 진경제, 기분안정제, 정신병 치료제, 항불안제, 벤조디아제핀, 칼슘채널 차단제, 소염제 및 항우울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R J. Baldessarini,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1th Edition, Chapters 17 및 18, McGraw-Hill, 2005를 참조할 것). 항우울제의 예로는 트리-사이클릭 항우울제(TCAs), 특이적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다중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 비정형 항우울제, 비정형 정신병 치료제, 진경제, 또는 아편성 작동제를 들 수 있다.
[0012] 본 발명에 따라,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또는 생체 아민(biogenic amines)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질환, 특히 도파민 및/또는 노르에피네프린 및/또는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완화되는 질환을 치료, 예방, 완화 또는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병태의 예로는 우울증, 불안, 공황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강박증, 정신분열병 및 연합 장애, 비만, 틱장애, ADHD, 물질남용 질환, 파킨슨병, 만성 통증 상태, 및 알츠하이머병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수준을 증가시키고 및/또는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및/또는 생체 아민의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0013]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불균등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억제율이 1:2:8임으로 해서, 이것과 억제 비율을 달리하는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 또는 불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를 유사한 투여량으로 투여할 경우 관찰되는 심박수 증가, 혈압 증가, 위장(구역질/구토 및 변비/설사) 효과, 구강건조증, 불면증, 불안, 경조와 같은 도파민성 또는 노르에피네프린성 부작용을 촉발시킴이 없이,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더 높은 투여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Skolnick , 2003).
[0014]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질환, 특히 우울증과 관련하여 이전에 1회 이상 치료 경험이 있는 개체를 치료하는데 있어 예기치않게 유용하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질환에 대한 이전의 치료법으로 치료하기 어려웠던 개체, 즉, 비제한적인 예로서 특히 트리-시클릭 (TCAs), 특이적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예컨대 시탈로프람,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다중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 비정형 항우울제, 비정형 정신병 치료제, 진경제, 소염제 또는 아편성 작동제를 비롯한 항우울제를 이용한 다른 치료법에 대해 반응하지 않았거나 반응했다 하더라도 불충분한 방식으로 반응한 개체들을 치료하는데도 예기치않게 유용하다. 개체들은 어떤 이유로든 이전의 치료법(들)로는 치료하기 어려웠을 수 있다. 몇몇 실시상태에서, 난치성 개체 (refractory individuals)들은 이전의 치료법에 대해 응답하지 못하였거나 충분히 응답하지 못하였을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서, 난치성 개체는 치료 내성 우울증에 걸렸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상태에서, 난치성 개체는 초기 치료에는 응답하였으나, 치료에 따른 관해 단계에 진입하는데는 성공하지 못하였을 수 있다. 몇몇 실시상태에서, 난치성 개체들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성기능 장애, 체중증가, 불면증, 구강건조증, 변비, 구역질 및 구토, 현기증, 기억력 손상, 초조, 불안, 진정, 두통, 요폐 또는 복부통증과 같은, 약물로 인한 부작용을 인내하지 못함으로써 약물 투여를 지속하지 못하였을 수 있다. 불만족스러운 응답 또는 응답 실패 여부는 환자 자신의 리포트, 임상적 관찰 및 우울증 등급을 비롯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0015]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유효량 함유하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예컨대 몽고메리 아스버그 우울증 척도 (Montgomery 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MADRS), 해밀턴 우울증 척도 (Ha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17), 임상총괄심각도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Scale: CGI-S) 및 임상총괄개선도 (Clinical Global Impression-Improvement Scale: CGI-I)와 같은 개체의 우울증 듣급 점수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몇몇 실시상태에서, 본 발명에서 상정된 의약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개체의 병태를 관해시키는데 충분하다. 관해(remission)는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MADRS 점수 ≤ 12, HAMD-17 점수 ≤ 7 또는 CGI-S 점수 ≤ 2이면 우울증으로부터 관해된 것으로 측정될 수 있다.
[0016] 본 발명에 따라,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질환, 특히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활성 성분의 장기간 동안의 서방형 전달 또는 연장 방출 전달을 위한 제형이 개발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활성 성분은, 그의 조성물로서 활성성분을 약 25 mg 내지 약 200 mg,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조성물 중량의 3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서방형 매트릭스를 조성물 중량의 약 15 중량% 내지 40 중량%을 함유하는 경구용 단위 투여 제형을 1일 1회 또는 2회 투여하는 투여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우울증을 서서히 경감시키는데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0017]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상태들을 예시하도록 의도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를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온전히 이해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18] 도 1은 6주일간의 이중맹 연구 및 1주일의 치료후 연구 (변형된 치료의향분석, n=56) (혼합-효과 모델 반복 측정 접근법(MMRM) 최소제곱(LS) 평균)에 있어서 위약(placebo)과 비교한 EB-1010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치료군의 몽고메리 아스버그 우울증 치료 척도에 있어서의 환자 점수 저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0019] 도 2는 6주일간의 이중맹 연구 및 1주일의 치료후 연구 (변형된 치료의향분석, n=56) (MMRM LS 평균)에 있어서, 위약과 비교시, EB-1010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를 이용한 치료에 의해 해밀턴 우울증 척도(HAM-D)가 저하되었음을 보여주는그래프이다.
[0020] 도 3은 6주일간의 이중맹 연구 및 1주일의 치료후 연구에 있어서, EB-1010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를 이용한 치료가 임상총괄개선도(CGI-I)를 저하시켰다는 것과 이는 6주일간의 이중맹 연구 및 1주일의 치료후 연구 (변형된 치료의향분석, n=56) (MMRM LS 평균)에 있어서 환자 상태가 개선되었음을 가리키는 그래프이다.
[0021] 도 4는 6주일간의 이중맹 연구 및 1주일의 치료후 연구에 있어서, 위약에 비해 EB-1010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으로 치료된 환자의 상태가 임상총괄심각도(CGI-S) (변형된 치료의향분석, n=56) (MMRM LS 평균)를 이용한 평가에서 더 개선되었음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0022] 도 5는 EB-1010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이용한 치료가 임상총괄심각도(CGI-S)에 의해 측정된 평가에서 위약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큰 관해율을 결과시켰음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최후관측값 선행대체법:LOCF).
[0023] 도 6은 6주일간의 이중맹 연구 및 1주일의 치료후 연구 (변형된 치료의향분석, n=56) (MMRM LS 평균)에 있어서 위약에 비해 EB-1010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치료군이 MADRS의 무쾌감 인자(anhedonia factor)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개선을 결과시켰음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0024] 도 7은 저평균 베이스라인 점수와 고평균 베이스라인 점수에 의해 계층화된, 성기능에 관한 데로가티스 인터뷰-자가보고서(DISF-SR)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EB-1010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처리군 또는 위약 처리군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EB-1010 치료가 세로토닌성 및 세로토닌성 조합 항우울증제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성기능 장애의 발생과 아무 관련이 없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상태의 상세한 설명
[0025] 본 발명에 따라, 비제한적인 예로서 우울증, 불안, 공황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강박증, 정신분열병 및 연합 장애, 비만, 틱장애, 중독, 주의력 부족 행동 과다 장애 (ADHD), 파킨슨병, 만성 통증 및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병태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에난티오머가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비제한적인 예로서 우울증을 비롯한,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병태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합 치료법 및 복합 약물 조성물, 투여 제형, 패키지 및 키트도 제공된다.
[0026]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은 3원 재흡수 억제제 (TRI), 또는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SNDRI)이다. 이것은 엡스타인 등의 미국특허 No. 4,435,419에서 최초로 항우울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기재된 바 있다. 이 물질은 바람직한 불균등 3원 모노아민 흡수 억제 비율을 나타내는데, 즉, 고도로 강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능과 이보다 약한 노르에피네프린 및 특히 약한 도파민 재흡수 억제능을 ~ 1:2:8의 비율로 나타낸다 ([3H]세로토닌, [3H]노르에피네프린, 및 [3H]도파민에 대한 대응하는 인간 재조합 전달체를 발현하는 인간 태아 신장(HEK) 293 세포에서 각각 IC50 값이 12, 23 및 96 nm임)(Skolnick , 2003).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및 도파민의 시냅스 이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작용하는 항우울증제가 세로토닌 및/또는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에만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항우울제에 비해 더욱 우수하리라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전임상 증거가 있다 (Skolnick , 2003). 보다 낮은 도파민 재흡수 억제 정도로도, 무쾌감증(주요우울증 질환에 있어서 중뇌피변연 도파민성 기능저하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핵심 증상) 및 인지장애를 치료하는데 이로운 효과를 부여하는데 충분할 것으로 여겨지는 한편, 경조증, 구역질, 불면증 또는 과도하게 유희를 구하는 행동과 같이 도파민성의 과도한 자극에 의해 촉발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더해, 불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는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에 비해 더 낮은 부작용 프로파일을 제공하며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 또는 억제비율을 달리하는 불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를 사용할 경우 종종 관찰되는 도파민성 및/또는 노르아드레날린성 부작용을 일으킴이 없이, 사용될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과 같은 불균등 억제제를 더 높은 농도로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0027] 본 발명에 따라 비제한적인 예로서 우울증, 불안, 공황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강박증, 정신분열병 및 연합 장애, 중독, 비만, 틱장애, 주의력 부족 행동 과다 장애 (ADHD), 파킨슨병, 만성 통증 및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3원 재흡수 억제제로 일반적으로 치료되는 질환의 징후와 증상으로 고통받는,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하기와 같은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이용하는 조성물 및 방법이 제공된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은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병태, 특히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치료법과 같은 항우울증 치료의 초기 치료 경과에서 실패한 환자에 있어서 우울증을 치료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Figure pct00002
[0028]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은 이러한 화합물의 제조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활성 시약, 기질, 촉매 또는 용매를 이용한 비대칭 합성법에 의해, 또는 비대칭 트랜스포메이션에 의해 하나의 에난티오머를 다른 에난티오머로 전환시킴으로써, (+) 에난티오머를 합성할 수 있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제조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미국특허출원 No.11/740,667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의 개시 내용으느 그 전체가 본 발명에 참조 병합되었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제조하기 위한 그 밖의 예시적인 부가례들을 미국특허출원 Nos. 10/920,748, 11/205,956; 12/208,284; 12/428,399, WO20040466457, WO2007127396, WO02066427, WO2006023659, 및 미국특허 No. 6,372,919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상기 문헌 각각은 그 내용 전체가 본 발명에 참조 병합되었다.
[0029] 별법으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제조하는 방법은 예컨대 미국특허 No. 4,435,419 및 미국특허출원 Nos. 10/920,748, 11/205,956; 12/208,284; 12/428,399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들 각각은 그 내용 전체가 본 발명에 참조 병합되었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에난티오머들은 에난티오머 형태를 분리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단의 예로서 특히 결정화, 키랄산의 이용, 대응하는 키랄 아미노 알코올의 산화 (Berrang, B.D., , 1982), BH3-THF에 의한 환원,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키랄 컬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오보뮤코이드 컬럼의 사용, 동전기 크로마토그래피, 한가지 에난티오머와 에난티오머-특이 시약간의 한가지 반응의 선택적 반응, 및 고도 설페이트화된 시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실질적으로 순수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에난티오머적으로 순수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이라 함은 그 조성물이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보다 더 많이 함유함을 가리킨다. 특히, 그 조성물은 입체배열 및/또는 광학활성에 의해 측정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80% 보다 많은 양, 좋기로는 90%보다 많은 양, 더욱 좋기로는 95% 보다 많은 양, 및 가장 좋기로는 98% 보다 많은 양으로 함유하는 에난티오머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은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약 5 % w/w 이하, 더욱 좋기로는 약 2% 이하, 더욱 좋기로는 약 1% w/w 이하의 양으로 함유한다.
[0030]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은 결정다형이다. 본 발명은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1 이상의 결정다형, 특히 본 발명에 그 내용 전체가 참조 병합된, 미국특허출원 Nos. 11/205,956, 12/208,284 및 12/428,399 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결정다형 A, B 및 C의 용도를 제공한다.
[0031] 결정다형 A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산 부가염의 반수화물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산 부가염의 결정다형들은 X선 분말회절 패턴 (XRPD) 및/또는 그들의 라만 분광학에 따른 피크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보고된 X선 분말 회절 패턴 측정에 사용된 쉬마즈(Shimadzu) 시스템을 포함하는 브라그-브렌타노 장비는, Chen 등의 문헌[J Pharmaceutical 및 Biomedical Analysis, 2001; 26, 63]에 설명된 바와 같은 샘플 제조 오차로부터 야기되는 시스템 피크 쉬프트 (모든 피크들은 주어진 "o2θ" 각도에서 쉬프트될 수 있음)를 나타낸다. 따라서, 어떤 피크값의 "o2θ" 각도 판독값은 약 (±) 0.2o의 오차가 날 수 있다.
[0032] 다음 표 1에 결정 크기가 약 10 내지 40 마이크론인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염산염의 정제된 결정다형 A의 S선 분마라 회절 패턴 피크들의 상대 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표 1에 주어진 상대강도 (I/Io)의 백분율 값과 관련하여, Io는 모든 "o2θ" 각도에서의 샘플에 대한 XRPD에 의해 측정된 최대 피크값을 나타내고 I는 주어진 "o2θ" 각도에서 측정된 피크의 강도에 대한 값으르 나타낸다. 각도 "o2θ"는 입사된 X선과 회절된 X선 간의 각도인 회절각도이다.
표 1
Figure pct00003
[0033] 다음 표 2는 결정 크기가 약 10 내지 40 마이크론인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염산염의 정제된 결정다형 B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피크에 대한 상대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표 2
Figure pct00004
[0034] 다음 표 3은 결정 크기가 약 10 내지 40 마이크론인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염산염의 정제된 결정다형 C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의 피크에 대한 상대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표 3
Figure pct00005
[0035] 주어진 각각의 결정다형에 독특한 이들 X선 분말 회절 패턴에 있어서, 주어진 각도에서 가장 중요한(key major) 피크들이 존재한다. 이들 피크들은 결정 크기가 약 10 내지 40 마이크론인 결정다형들 각각의 XRPD 패턴 내에 존재한다. 이들 주요 피크들은 단독으로든 또는 여하한 식별성있는 조합 형태로든, 하나의 결정다형을 다른 2개의 결정다형으로부터 구별짓는데 충분하다. 결정다형 A에 있어서, 결정다형 A를 특징짓는 이들 주요 피크들의 "o2θ" 각도는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오차가 있을 수 있다: 17.14; 19.62; 21.96; 24.52; 및 26.74. 결정다형 B의 경우, 결정다형 B를 특징짓는 이들 주요 피크들의 "o2θ" 각도는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오차가 있을 수 있다: 15.58; 17.52; 21.35; 23.04; 25.43; 및 30.72. 결정다형 B의 경우, 결정다형 B를 특징짓는 이들 주요 피크들의 "o2θ" 각도는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오차가 있을 수 있다: 13.34; 17.64; 20.07; 21.32; 22.97; 24.86; 26.32; 및 27.90. 이들 메이저 피크들 모두는 단독으로든 식별력있는 조합형태로든, 하나의 결정다형을 나머지 두개의 결정다형으로부터 구별시키기에 충분하다.
[0036]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3가지 결정다형들을 특징짓는 또 다른 방법은 라만 분광법이다. 라만 분광법을 수행하는 절차는 Skoog 및 West의 문헌 [Principles of Instrumental Analysis (2nd Ed.); Saunders College, Philadelphia (1980)]의 260-275 페이지에 잘 설명되어 있다.
[0037]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염산염의 결정다형 A, B 및 C의 파수 (cm-1)에 있어서의 라만 스펙트럼 피크 위치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ct00006
[0038] 표 4는 각각의 결정다형 A, B 및 C의 염산염과 관련한 라만 피크 위치의 완벽한 패턴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피크들 가운데, 결정다형의 염산염 각각에 대해 독특한 어떤 주요 피크들 (key peaks)이 존재한다. 이들 주요 피크들은 단독으로든 식별력있는 조합 형태로든, 결정다형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 2개의 결정다형들로부터 구별짓는데 충분하다. 결정다형 A의 염산염에 있어서 파수 (cm-1)로 표현된 이들 피크 위치들은 다음과 같다: 762; 636; 921; 959; 1393; 1597; 2890; 2982; 및 3064. 결정다형 B의 염산염에 있어서 파수 (cm-1)로 표현된 이들 피크 위치들은 다음과 같다: 1245; 1380; 2963; 2993; 3027; 및 3066. 결정다형 C의 염산염에 있어서 파수 (cm-1)로 표현된 이들 피크 위치들은 다음과 같다: 1059; 1094; 1266; 1343; 1595; 2900; 2966; 및 3070. 이들 주요 피크들은 단독으로든 식별력있는 조합 형태로든 각각의 결정다형을 다른 2가지 결정다형으로부터 구별하는데 충분하다.
[0039] 특히 염산 부가염으로서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결정다형 A, B 및 C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공정에 의해 제조된 결정다형 A 및 B의 혼합물의 재결정을 통해, 실제로 그의 다른 에난티오머 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및 결정다형 이성질체가 없도록 제조될 수 있다. 결정다형 A 및 B의 혼합물을 재결정하는데 이용된 특정 용매, 조건 및 물질의 농도에 따라, 목적하는 결정다형 형태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실제로 다른 에난티오머 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및 결정다형 이성질체 없이 제조할 수 있다. 그의 다른 에난티오머 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및 결정다형 이성질체가 "실제로 없다"라는 표현은 그 결정성 물질 중의 다른 에난티오머 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및 결정다형 이성질체 형태의 함량이 약 5 % w/w 미만이라는 점에서, 즉 그 결정성 물질이 적어도 약 95 중량% 순수함을 가리키는 것이다.
[0040] 결정다형들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예컨대, 다른 결정다형이 없는 결정다형 A 및 B를 제조함에 있어서, A와 B의 혼합물로부터 결정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결정다형이 실제로 없는 이들 결정다형 각각을 제조하는 결정화 기술은 다르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산 부가염의 반수화물인 결정다형 A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물을 함유하는 유기 용매 중에 결정다형 A와 B의 혼합물로서 결정다형 A를 함유하는 고체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 매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부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저급 알칸올 용매 및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및 테트라히드로퓨란과 같은 기타 용매를 들 수 있다.
[0041] 결정다형 B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산 부가염의 무수물 형태이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산 부가염의 결정다형 B는 결정다형 A 또는 결정다형 A 및 B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고체로부터, 무수 조건 하에 결정다형 A 또는 결정다형 A 및 B의 혼합물을, 좋기로는 염산염 형태로서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0042] 결정다형 C는 결정다형 A 또는 결정다형 B 또는 그의 혼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결정다형 C는 결정다형 A 또는 결정다형 B,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적어도 50℃, 좋기로는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집중 가열함으로써 제조한다. 가열은 다른 결정다형이 실제로 없는 결정다형 C가 형성될 때까지 계속할 수 있다.
[0043] 상기 제시된 기술들을 이용함으로써 각 결정다형들을 특정량으로 함유하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산 부가염의 개별적인 결정다형들의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결정다형 B 또는 결정다형 C 중 어느 하나와 결정다형 A와의 혼합물; 결정다형 B와 결정다형 C와의 혼합물; 및 결정다형 A, 결정다형 B 및 결정다형 C와의 혼합물은 각각의 결정다형들을 원하는 양만큼 이용함으로써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을 이용하여,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산 부가염의 개별적인 결정다형들을 특별한 백분율로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약 10% 내지 약 10-20%, 20-35%, 35-50%, 50-70%, 70-85%, 85-95% 및 최대 95-99% 이상 (중량 기준)의 결정다형 A와, 잔량의 결정다형 B 및 결정다형 C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약 10% 내지 약 10-20%, 20-35%, 35-50%, 50-70%, 70-85%, 85-95% 및 최대 95-99% 이상 (중량 기준)의 결정다형 B와, 잔량의 결정다형 A 및 결정다형 C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약 10% 내지 약 10-20%, 20-35%, 35-50%, 50-70%, 70-85%, 85-95% 및 최대 95-99% 이상 (중량 기준)의 결정다형 C와, 잔량의 결정다형 A 및 결정다형 B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0044] 이에 더해, 많은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유기 화합물들이 제2의 외래 분자들, 특히 용매 분자들을 주된 약리활성 화합물의 결정 구조 내로 정규적으로 결정화시켜 의사결정다형체를 형성한다. 이 제2의 분자가 용매 분자일 경우, 의사결정다형체는 용매화물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이들 모든 부가적인 형태들 역시도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것으로 고려된다.
[0045] 본 발명의 결정다형 A, B 및 C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산 및 염기성 질소기로부터 형성되는 산 부가염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산 부가염은 비독성 염을 형성하는 산으로부터 형성되는데, 상기 비독성 염의 예로는 염산염, 히드로브로마이드, 히드로요오다이드, 설페이트, 황산수소,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히드로겐 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가염의 예로는 무기산 및 유기산 부가염을 들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세슘임 등과 같은 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과 같은 알칼리토 금속; 트리에틸아민염, 피리딘염, 피콜린염, 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디시클로헥실아민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 등과 같은 유기 아민염;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숙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말리에이트, 푸마레이트, 만델레이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옥살레이트, 포르메이트 등과 같은 유기산염; 메탄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등과 같은 설포네이트; 및 아르기네이트, 아스파르기네이트, 글루타메이트, 타르트레이트, 글루코네이트 등과 같은 아미노산염을 들 수 있다. 염산과 함께 형성된 염산염은 유용한 염의 일례이다.
[0046] 본 발명에 개시된 바와 같이,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우울증, 불안, 공황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강박증, 정신분열병 및 연합 장애, 중독, 비만, 틱장애, 파킨슨병, ADHD, 만성 통증 및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다양한 병태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순수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단독으로 또는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또는 생체 아민에 의해 영향을 받는 증상이나 병태를 조절, 예방, 경감, 완화, 감소 또는 치료하기 위한 다른 정신병 치료약물과 조합 사용하는 조합 포뮬레이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 순응가능한 대상으로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우울증, 불안, 공황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강박증, 정신분열병 및 연합 장애, 비만, 틱장애, 중독, ADHD, 파킨슨병, 만성 통증 및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다양한 병태에 걸렸거나 걸릴 위험이 있는,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을 들 수 있다.
[0047]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은 단독으로 또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진경제, 기분안정제, 정신병 치료제, 항불안제, 벤조디아제핀, 칼슘채널 차단제, 및 항우울제를 비롯한 1종 이상의 다른 정신병치료 약물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예컨대, R J. Baldessarini in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1th Edition, Chapters 17 및 18, McGraw-Hill, 2005 참조). 이에 더해,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은 소염제와 조합하여 투여될 수도 있다.
[0048] 본 발명의 공조(coordinate) 투여방법에서, 표적 질환의 1 이상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제2의 치료약물 및/또는 정신병치료 약물을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한다. 동시 투여될 경우, 부가적인 치료약물 및/또는 정신병 치료제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은 단일 조성물 또는 조합 투여 제형으로서 조합투여될 수 있다. 별법으로, 조합적으로 효과적인 부가적인 치료제 및/또는 정신병치료 약물과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한다)를 별개의 투여 제형으로서 동시에 투여할 수도 있다. 공조 투여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행해질 경우, 본 발명의 모든 공조 치료법의 차별화되는 측면은 치료된 대상자가 긍정적인 치료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부가적인 치료제 및/또는 정신병 치료제와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상이한 기간 동안 각각의 생물학적 활성 및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0049] 적합한 대상자에게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투여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공조 치료법 또는 조합 약물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위약 처리군이나 기타 적절한 대조군 치료 대상자에 비해, 선택된 질병 또는 질병의 발달과 관련된 1 이상의 표적 증상(들)이 적어도 2%, 5%, 10%, 20%, 30%, 50% 이상, 최대 75-90%, 또는 95% 이상까지 감소될 것이다. 상정가능한 모든 신경질환과 정신질환 및 관련된 병태와 증상을 비롯하여, 본 발명에 개시된 전 범위의 질병들에 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방법을 이용하여 치료 또는 예방할 경우 상당한 수준의 효능이 얻어질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효능값은 치료/연구 경과에 걸쳐 특정 테스트 및 대조군 개체들에 대한 허용된 치료 지수 또는 임상 값들을 비교하거나,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표준 인간 임상시험 설계 및 구현예를 이용하여 개체들의 대조군과 검사법 간의 임상값 또는 허용된 치료 지수를 비교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0050] 본 발명에서, 질병 또는 증상과 관련하여 "예방" 또는 "예방하다"라 함은 포유동물 대상체가 본 발명에 따른 치료를 받은 후 상기 질병, 증상, 병태 또는 지시자를 발병시킬 위험성 또는 가능성이 감소되었음을 가리키는 것이거나 또는 포유동물 대상자가 일단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되어 치유 또는 정상 상태 (예컨대 표적 질환으로부터 관해 상태에 놓임)로 복귀한 경우, 상기 질병, 증상, 병태 또는 지시자의 반복 또는 재발이 일어날 위험성 또는 가능성이 감소되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표적 질환과 관련하여 "치료" 또는 "치료하다"라는 표현은, 주제의 병태의 진행, 특성 또는 위중도를 억제 똔느 경감하거나 병태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0051] 본 발명에 따라, 도파민 재흡수 및/또는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및/또는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완화되는 질병의 1 이상의 증상(들)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로서 부가적인 성분들과 함께 임의로 조성된,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을 예컨대 인간 환자와 같은 포유동물 대상자에게 투여한다. 특정 실시상태에서, "치료" 또는 "치료하다"라 함은 질병의 1 이상의 증상(들)을 경감시킴으로써, 증상(들)이 도파민 재흡수 및/또는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및/또는 세로토닌 재흡수의 억제에 의해 경감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상태에서, "치료" 또는 "치료하다"라 함은 질병과 연관된 1 이상의 측정가능한 물리적 변수의 경감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상태에서, "치료" 또는 "치료하다"라 함은 예컨대 물리적, 생리학적 및/또는 정신적인 변수들에 기초하여 인식되는 바와 같이, 도파민 재흡수 및/또는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및/또는 세로토닌 재흡수의 억제에 의해 경감되는 질병 (또는 질병의 1 이상의 증상(들))의 진행 또는 위중도를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부가적인 실시상태에서, "치료" 또는 "치료하다"라 함은 도파민 재흡수 및/또는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및/또는 세로토닌 재흡수르르 억제함으로써 경감되는 질병 (또는 질병의 1 이상의 증상(들))의 발병을 지연시키느느 것을 의미한다.
[0052]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한다) 및/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부가적인 정신병 치료제의 "유효량", "치료량", "치료적 유효량" 또는 "유효 투여량"이라는 표현은 인간 대상자에서 소망하는 약리 효과 또는 치료 효과를 이끌어내는데 충분한, 본 발명에 설명된 활성 화합물의 유효량 또는 투여량을 의미한다. 항우울증 치료제의 경우, 이들 용어들은 가장 흔하게는, 표적 질병에 의해 야기되거나 표적 질병과 연관된 신경학적 및/또는 정신적 증상, 질환 또는 병태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여 특정 질병의 1 이상의 증상(들)의 발생, 빈도 또는 위중도를 측정가능하게,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도로 감소시키는 것 및/또는 표적 집단에서의 우울증의 발달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이다.
[0053] 치료 효능은 또한, 치료된 병태 또는 질병과 연관된 증상의 빈도 또는 위중도의 감소에 의해 또는, 치료된 병태 또는 질병과 연관된 증상의 성질, 발생, 반복 또는 기간의 변경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부가적인 정신병 치료 약물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한다)의 "유효량", "치료량", "치료적 유효량" 및 "유효 투여량"은 종종, 보통 행해지는 임상시험 또는 환자-특이적인 인자에 기초하여,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도구와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ㄹ명의 교시 내용에 따라 당업자가 쉽게 결정할 수 있다.
[0054] 본 발명의 공조 치료방법 및 약물 조성물의 효능은 대상자에 있어서 질병의 임상 지표를 측정하기 위한 통상적인 환자 조사(surveys) 또는 임상 척도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검사 대상자가 완성한 그러한 조사 또는 척도로부터 생성된 1 이상의 점수 또는 선택된 값을, 위약 처리군 또는 기타 적절한 대조군 처리군으로 치료된 대조군 대상자에서 관찰되는 상관 점수 또는 값에 비해, 적어도 5%, 10%, 20%, 30%, 50% 이상, 최대 75-90%, 또는 95%까지 감소시킬 것이다. 위험 집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과 조성물은 검사 대상자에 의해 완성된 그러한 조사 또는 척도로부터 생성된 1 이상의 점수 또는 선택된 값의 안정한 또는 최소한도로 변동가능한 변화를 나타낼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의 효능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데이터는 별법의 임상시험 설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0055]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을 이용하여 처리된 정신질환의 임상적 지표의 비교 측정을 위한 유용한 환자 조사 및 임상 척도로는 널리 사용되고 잘 알려진 조사 및 임상 척도를 들 수 있다. 이들 가운데 유용한 도구로는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Sheehan 외, 1998); 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 (CGI) (Guy, W., ECDEU Assessment Manual for Psychopharmacology, DHEW Publication No. (ADM) 76-338, rev. 1976); Clinical Global Impression Severity of Illness (CGI-S) (Guy, 1976); Clinical Global Impression Improvement (CGI-I) (Guy, 1976);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2006); 개정된 해밀턴 우울증 척도 (RHRSD) (Warren, 1994); Major Depressive Inventory (MDI) (Olsen 2003); 및 Children's Depression Index (CDI) (Kovacs, 1981); 해밀턴 우울증 척도ⓒ (HDRS) (Hamilton, M., J. Neurol. Neurosurg. Psychiatr. 23:56-62, 1960; Hamilton, M., Br. J. Soc. Clin. Psychol. 6:278-296, 1967); 몽고메리-아스버그 우울증 척도 ⓒ(MADRS) (Montgomery and Asberg, 1979); Beck Scale for Suicide Ideation
Figure pct00007
(BSS) (Beck 및 Steer, 1991 Columbia-Suicide Severity Rating Scaleⓒ(C-SSRS) 또는 Columbia Classification Algorithm of Suicide Assessmentⓒ(C CASA) (Posner, K, 외, 2007); Sheehan-Suicidality Tracking Scaleⓒ(S-SST) (Coric 외, 2009); Beck Hopelessness Scaleⓒ(BHS) (Beck, Steer, 1988); Geriatric 우울증 Scale (GDS) (Yesavage, J. A. 외, J. Psychiatr. Res. 17:37-49, 1983); 및 우울증에 대한 HAM-D 척도 (Hamilton, 1960)를 들 수 있다.
[0056]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이들 임상 조사 (단일 척도 또는 조사를 이용하거나, 전술한 조사법을 1 이상 조합하여 이용함)로부터 생성된 1 이상의 점수 또는 값을, 위약 또는 기타 적절한 대조군 처리된 대조군 대상자들에서 관찰된 상관 대응 점수 또는 값에 비해, 적어도 10%, 20%, 30%, 50% 이상, 최대 75-90%, 또는 95% 까지 감소시킬 것이다. 예방적 치료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과 조성물은 이들 임상 조사법으로부터 생성된 점수 또는 값을 안정화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변화를 나타낼 것이다.
[0057] 몇몇 실시상태에서, 개체에 있어서 특히 우울증과 같은 병태를 관해시키는데 본 발명에 설명된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우울증으로부터의 관해는 예컨대 환자 조사 및 임상 척도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가능하다. 관해의 한가지 지표는 예컨대, MADRS ≤ 12, HAMD-17 ≤ 7 또는 CGI-S ≤ 2이다.
[0058] 상기한 도면에 관한 설명과 후술하는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6주일간의 이중맹 연구에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투여할 경우, 몽고메리-아스버그 우울증 척도 (도 1, 혼합-효과 모델 반복 측정 접근법 최소제곱 평균 (MMRM LS)을 이용하여 분석된 데이터), 해밀턴 우울증 척도 정의 (도 2, 혼합-효과 모델 반복 측정 접근법 최소제곱 평균을 이용하여 분석된 데이터), 임상총괄개선도 (CGI-I) (도 3, 혼합-효과 모델 반복 측정 접근법 최소제곱 평균 (MMRM LS)을 이용하여 분석된 데이터), 및 임상총괄심각도 (CGI-S) (도 4, 혼합-효과 모델 반복 측정 접근법 최소제곱 평균을 이용하여 분석된 데이터)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환자에서의 우울증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이용한 치료는 위약에 비해 MADRS의 무쾌감증 인자 점수 상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개선과도 관련이 있다 (도 6, 혼합-효과 모델 반복 측정 접근법 최소제곱 평균 (MMRM LS)을 이용하여 분석된 데이터). 이에 더해,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이용한 치료는 성기능 장애 평가에 있어서는 위약과 아무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도 7, 최후관측값 선행대체법(LOCF)을 이용하여 분석된 데이터), 이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이 성기능 장애의 발생과는 관련이 없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른 3원 재흡수 억제제들에 비해 놀라운 효능을 입증하는 것이다. 예컨대, 세프레이코(Sepracor)사가 수행한 II상 임상시험의 SEP-225289는 임상의 등급 17-항목 HAM-D 척도 (Sepracor Press Release, July 1, 2009)를 이용하여 평가시, 위약에 비해 8주간의 치료 후 우울증 증상의 감소에 해당하는 1차 유효성 평가변수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마찬가지로, 글락소스미쓰클라인(GlaxoSmithKline)사가 개발한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인 GSK372475 역시도 위약에 비해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증되지 못하였다 (Graff, Ole 2009).
[0059] 이에 더해,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불균등 재흡수 억제제 프로파일은 GSK372475와 같은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의 효능을 제약하는 부작용을 일으킴이 없이,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고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GSK372475와 대조적으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은 잘 관용되며 위약과 유사한 부작용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실시예 IX 및 Graff, 2009 참조). 또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사용한 경우, GSK37425의 사용시 관찰되는 심박수의 유의적 증가 및 확장기 및 수축기 혈압 증가와 같은 노르아드레날린성 부작용 (표 11 및 표 12, Graff, 2009 참조) 또는 구역질, 구토 및 경조증과 같은 도파민성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0060] 5-HT, NE 및 DA (IC50', SEP-289: 15, 4 및 3 nM (Schrieber, 2009))에 대한 SEP-22589 억제 프로파일은 노르에피네프린 및 도파민 재흡수 억제에 대하여는 대략 동등한 효력을 나타내며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에 대하여는 효력이 덜함으로 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유사한 항우울증 유효량에 비해 노르아드레날린성 또는 도파민성 부작용률이 더 높다.
[0061]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사용하면 유사한 투여량으로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도파민성 또는 노르아드레날린성 부작용이 실제로 덜 나타날 것이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사용하면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부작용을 비롯한 악영향이 1%, 3%, 10%, 20%, 30%, 50% 이상, 최대 75%, 80%, 90%, 또는 95% 이상까지 감소될 것이다. 이에 더해,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사용하면 도파민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율이 높은 3원 재흡수 억제제에 비해 도파민성 또는 노르아드레날린성 부작용이 줄어들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순수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사용함으로써 5-HT (세로토닌)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는 비교적 더 높게, NE (노르에피네프린)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는 덜하게, 그리고 DA (도파민)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는 이보다 더 낮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파민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에 대한 억제율이 더 높은 불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에 비해, 부작용을 비롯한 도파민성 또는 노르아드레날린성 약영향을 1%, 3%, 10%, 20%, 30%, 50% 이상, 최대 75%, 80%, 90%, 또는 95% 이상까지 감소시키는 한편 정신질환 증상을 최대로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0062]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사용하면 개체에 있어서 5-HT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를 NE 전달체 또는 DA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보다 약 10%,15 %, 20%, 30%, 50% 이상, 최대 75%, 80%, 90%, 또는 95% 이상 더 높인다. 몇몇 실시상태에서 특정 개체의 경우 5HT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는 DA 또는 NE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보다 약 100% 더 클 것이다. 몇몇 구체예에서, 5-HT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는 DA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또는 8배 더 높을 것이다. 다른 실시상태에서, 5-HT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는 NE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의 1.5배 또는 2배가 될 것이다. NE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는 DA 전달체의 재흡수보다 약 10%, 15%, 20%, 30%, 50% 이상, 최대 75%, 80%, 90%, 또는 95% 이상 더 높을 수 있다. 몇몇 실시상태에서, NE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는 DA 전달체의 재흡수 억제보다 2배, 3배 또는 4배 더 클 수 있다.
[0063]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사용하면 개체에 있어서 5-HT 전달체의 결합 수준이 NE 전달체 또는 DA 전달체의 결합 수준의 약 10%,15 %, 20%, 30%, 50% 이상, 최대 75%, 80%, 90%, 또는 95% 이상으로 될 것이다. 몇몇 실시상태에서, 5-HT 전달체의 결합은 NE 전달체 또는 DA 전달체의 결합에 비해 약 100% 이상 더 높을 것이다. 몇몇 실시상태에서, 5-HT 전달체의 결합은 DA 전달체의 결합보다 2배, 3배, 4배, 5배, 6배, 7배 또는 8배 더 클 것이다. 다른 실시상태에서, 5-HT 전달체의 결합은 NE 전달체의 결합의 1.5배 또는 2배가 될 것이다. NE 전달체의 결합은 치료된 개체에 있어서 DA 전달체의 결합보다 약 10%, 15%, 20%, 30%, 50% 이상, 최대 75%, 80%, 90%, 또는 95% 이상 더 클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NE 전달체의 결합은 개체에서 DA 전달체의 결합의 2배, 3배 또는 4배 더 높을 수 있다. K i 에 의해 측정된 5-HT의 상대적 결합은 DA 전달체 또는 NE 전달체 단독 또는 조합의 결합보다 약간 더 높거나, 실질적으로 더 높거나, 또는 유의적으로 더 높을 수 있다.
[0064]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결정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은 도파민 및/또는 노르에피네프린 및/또는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완화되는 내인성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질병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주의력-결핍 질환, 우울증, 불안증, 공황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강박증, 정신분열병 및 연합 장애, 불안, 비만, 틱장애, 파킨슨병, 틱장애, 파킨슨병, 만성 통증, 주의력 부족 행동 과다 장애 (ADHD) 및 중독증상 및 물질 남용 질환을 들 수 있다.
[0065] 도파민 및/또는 노르에피네프린 및/또는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완화되는 질병은 본 발명에 설명된 특정 질병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방법은 그 밖의 광범위한 질환 또는 연관 증상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데 유효한 치료제로서 제공될 수 있음이 명확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우울증,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증후군 및 관련 증상 뿐 아니라, 알코올 중독, 약물 중독, 인지 장애, 강박증, 학습장애, 난독증, 도박중독, 조증, 혐오증, 공황발작, 적대적 반항행동, 행동장애, 학교에서의 아카데믹한 문제점, 습연, 비정상적인 성도착, 분열적 행동, 신체화 장애, 우울증, 수면장애, 일반적인 불안증, 말더듬증, 및 틱장애를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데 유망한 후보물질을 제공한다 (예컨대 미국특허 6,132,724 참조).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되는 부가적인 질병들은 예컨대 Quick Reference to the Diagnostic Criteria From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ashington, D.C., 2000, 358 페이지)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치료 및/또는 예방되는 인지 장애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지배적 주의력 장애유형;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지배적 과잉행동-충동적 유형;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복합 유형; 달리 분류되지 않는(NOS)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행동장애; 적대적 반항행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는(NOS) 파괴적 행동 장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치료 및/또는 예방될 수 있는 우울증 질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재발성, 주요우울장애; 기분저하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NOS) 우울장애; 및 주요우울장애, 단일 에피소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과 조성물을 이용하여 치료 및/또는 예방될 수 있는 중독 장애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섭식장애, 충동조절장애, 알코올-관련 장애, 니코틴-관련 장애, 암페타민-관련 장애, 대마-관련장애, 코카인-관련 장애, 환각제 사용 장애, 흡입제-관련 장애 및 아편유사물질-관련 장애를 들 수 있다.
[0066]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들은 그들의 다중 재흡수 억제제 활성에 힘입어, 광범위한 수의용 및 인간용 의약 적용분야, 특히 도파민 및/또는 노르에피네프린 및/또는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완화되는 광범위한 질병 및/또는 관련된 증상(들)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불균등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억제 비율이 각각 ~ 1:2:8임으로 해서 (Skolnick , 2003)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에 비해 몇가지 장점이 제공되며 유사한 투여량의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를 투여할 경우 관찰되는, 심박수 증가, 혈압 증가, 구역질, 구토, 불면증 및 경조증과 같은 도파민 또는 노르에피네프린성 부작용을 촉발시킴이 없이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더 많은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0067]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울증과 같은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질병에 대해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있는 대상자를 치료하는데도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전의 치료에 대해 거부 경험이 있었던 대상자, 즉 비제한적인 예로서 트리-시클릭 항우울증(TCAs), 특이적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다중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 비정형 항우울제, 비정형 정신병 치료제, 진경제, 또는 아편성 작동제와 같은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의약에 대하여 이전에 응답하지 않았거나, 불충분하게 응답하였거나, 이러한 치료를 관용하지 못하였거나, 또는 기타 불충분한 방식으로 응답한 개체를 치료하는데도 효과적이다. 개체들은 어떠한 이유로든 이전 치료(들)에 대해 불응 반응을 나타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상태에서, 이러한 불응 개체들은 이전의 치료에 대해 전혀 또는 충분히 응답하지 못하였을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서, 불응 개체는 치료에 내성을 갖는 우울증에 걸렸을 수 있다. 다른 실시상태에서, 불응 개체는 초기 치료에 응답하였으나 치료가 관해 상태로 이어지지는 못하였을 수 있다. 몇몇 실시상태에서 불응 개체들은 비제한적인 에로서 성기능 장애, 체중증가, 불면, 구강건조증, 변비, 구역질 및 구토, 현기증, 기억력 손상, 초조, 진정, 두통, 요폐 또는 복부 통증과 같은 부작용을 비롯하여 약물에 대한 불내성으로 인해 약물 투여를 지속하지 못하였을 수 있다.
[0068] 본 발명의 부가적인 측면에서 유효량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효과적인 염, 용매화물, 수화물, 결정다형 또는 전구약물) 및 본 발명의 화합물과 조합적으로 조성되거나 공조 투여되어 포유동물 대상자에서 표적 질환 또는 1 이상의 그의 증상(들)을 조절, 완화,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조합 포뮬레이션 또는 공조 투여방법을 제공하는 1종 이상의 부가적인 활성 물질(들)을 이용하는, 조합 포뮬레이션 및 공조 투여방법이 제공된다.
[0069] 본 발명의 관련 실시상태에서,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합물들은 1종 이상의 다른 치료제 또는 방법과 복합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제2 치료제와 동시에 투여되거나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컨대,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투여하여 치료 또는 예방하고자 하는 질병이나 증상(들)과 같거나 다른 질병 또는 증상(들)에 대해 작용하는 제2 치료제를 투여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제2 치료제 및/또는 정신병 치료제는 단일 조성물 내에 조합될 수도 있고 따는 서로 다른 조성물 형태로 투여될 수도 있다. 제2 치료제 및/또는 정신병 치료제는 도파민 및/또는 노르에피네프린 및/또는 세로토닌 재흡수의 억제에 의해 질환 또는 관련 증상(들)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공조 투여는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어떤 순서로든 순차로 투여하여 행할 수 있으며, 두가지 (또는 모든) 활성 치료제 중 오직 1종만이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그들의 생물학적 활성과 치료효과를 발휘하는 기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공조 치료방법의 독특한 측면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제2 치료제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임상 반응과 연계될 수도 또는 연계되지 않을 수도 있는, 본 발명에 설명된 바와 같은, 표적 질환 또는 증상(들)을 완화 또는 경감하거나 및/또는 바람직한 임상반응을 유도하는 쪽으로 적어도 검출가능한 치료 활성을 발휘한다는 것이다. 종종, 본 발명의 화합물을 본 발명에서 상정된 바와 같이 제2 치료제와 함께 공조 투여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제2 치료제 단독에 의해 유도되는 치료 응답을 뛰어넘는 향상된 반응이 유도될 것이다.
[0070] 일 실시상태에서, 복합 치료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제2 치료제를 번갈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2가지 약물을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또는 1년 간격으로 교대로 투여함). 이와 관련하여 교대로 약물투여함으로써 1가지 또는 2가지 약물 모두를 단독으로 장기간 투여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독성과 같은 부작용도 종종 감소되거나 사라진다.
[0071]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부가적인 정신병 치료제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아미트립틸린, 이미프라민, 클로미프라민, 또는 데시프라민과 같은 트리-시클릭 항우울증제(TCAs0; 특이적인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비제한적인 예로서 에시탈로프람, 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 세트랄린, 시탈로프람, 빌라조돈 및 파록세틴과 같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 비제한적인 예로서 3차 아민 트리시클릭 예컨대 아미트립틸린, 클로미프라민, 독세핀, 이미프라민, (+)-트리미프라민 및 제 아민 트리시클릭 예컨대 아목사핀, 아토목세틴, 데시프라민, 마프로틸린, 노르트립틸린 및 프로트립틸린과 같은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비제한적인 예로서 벤라팍신, 둘록세틴, 밀나시프란, 시부트라민, SEP-227162, LY 2216684를 비롯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양자 모두를 억제하거나(SNRIs), 세로토닌과 도파민 양자 모두를 억제하는, 다중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MAOIs); 및 부정형 (비정형) 항우울제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항우울증 약물이다. 또 다른 정신병 치료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리피프라졸, 지프라시돈, 리스페리돈, 퀘티에핀 또는 올나자핀을 비롯한 비정형 항정신변 약물 또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가보펜틴, 프레가발린, 라모트리진, 카르바마제핀, 옥스카르바제핀, 발프로에이트, 레베트리아세탐 및 토피라메이트를 비롯한 진경제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정신병 치료제의 부가적인 예로는 부프레노르핀, 메타돈 및 LAAM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항불안제의 예로는 부스피론, 벤조디아제핀, 선택적-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아자피론, 바비투레이트, 히드록시진 및 프레가발린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0072] 본 발명에 설명된 조합 포뮬레이션 및 공조 투여법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서, 제2의 정신병 치료제는 항-주의력결핍-장애 치료제이다. 이들 실시상태에서 사용가능한 항-주의력결핍-장애 치료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틸페니데이트; 덱스트로암페타민 및 기타 암페타민; 트리시클릭 항우울증제, 예컨대 이미프라민, 데시프라민 및 노르트립틸린; 및 정신흥분제, 예컨대 페몰린 및 데아놀을 들 수 있다.
[0073] 여기에서 제공되는 복합 제제 및 협력 치료 방법의 부가적인 실시 형태에서, 제2 정신치료제는 항 중독성 장애 또는 항 약물 남용 제제이다. 유용한 항 중독성 장애 제제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트리시클릭 항우울제; 글루타메이트 길항제, 예를 들면 케타민 HCl, 덱스트로메소르판, 덱스트로판 타르타레이트 및 디조실핀 (MK801); 분해 효소, 예를 들면 마취제 및 아스파르트산염 길항제; GABA 작용제, 예를 들면 바클로펜 및 무시몰 HBr; 재흡수 차단제; 분해 효소 차단제; 글루타메이트 작용제, 예를 들면 D-시클로세린, 카르복시페닐글리신, L-글루탐산 및 시스-피페리딘-2,3-디카르복실산; 아스파르트산염 작용제; GABA 길항제, 예를 들면 가바진 (SR-95531), 사클로펜, 바이쿠쿨린, 피크로톡신 및 (+) 아포모르핀 HCl; 및 도파민 길항제, 예를 들면 스피페론 HCl, 할로페리돌 및 (-) 설피리드 및; 디설피람 및 날트렉손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항알코올제; 비제한적으로 클로니딘을 포함하는 항니코틴제; 비제한적으로 메타돈, 클로니딘, 로펙시딘, 레보메타딜 아세테이트 HCl, 날트렉손 및 부프레노르핀을 포함하는 항아편제; 비제한적으로 데시프라민, 아만타딘, 플루옥시딘 및 부프레노르핀을 포함하는 항코카인제; 비제한적으로 디아제팜을 포함하는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제 ("항-LSDD"); 비제한적으로 할로페리돌을 포함하는 항-1-(1-페닐시클로헥실)피페리딘 ("항-PCP")제가 포함된다.
[0074] 여기서 제공되는 복합 제제 및 협력 치료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제2 치료제는 식욕 억제제이다. 유용한 식욕 억제제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펜플루라민, 페닐프로판올아민, 부프로피온 및 마진돌이 포함된다.
[0075] 여기서 제공되는 복합 제제 및 협력 치료법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제2 치료제는 항피킨슨병 제제이다. 유용한 항파킨슨병 제제에는 비제한적으로, 도파민 전구체, 예를 들면 레보도파, L-페닐알라닌 및 L-티로신; 뇌신경 보호제; 도파민 작용제; 도파민 재흡수 저해제; 항콜린제, 예를 들면 아만타딘 및 메만틴; 및 1,3,5-삼치환된 아다만탄, 예를 들면 1-아미노-3,5-디메틸-아다만탄. (미국 특허 제 4,122,193호 참조)
[0075] 여기서 제공되는 복합 제제 및 협력 치료법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제2 치료제는 항염증제이다. 유용한 항염증제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셀레콕시브,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나프록센 소듐, 피록시캄, 설린닥, 아스피린 및 나부메톤이 포함된다.
[0077] 본 발명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적절한 투여 경로에는 비제한적으로 경구, 구강, 비강, 에어로졸, 국부, 경피, 경피 패치, 점막, 주사, 서방성, 제어 방출, 이온도입, 초음파 도입 ( sonophoresis) 및 다른 종래의 전달 경로 및 장치 방법이 포함된다. 주사 전달법은 또한 비제한적으로,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척수내, 척수강내, 뇌실내, 동맥내 및 피하 주사를 포함한다.
[0078] 본 발명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포유 동물 대상에 대한 적절한 유효 단위 복용량은 약 5 내지 1800 mg, 약 10 내지 약 1800 mg, 25 내지 약 1800 mg, 약 50 내지 약 1000 mg, 약 75 내지 약 900 mg, 약 100 내지 약 750 mg, 또는 약 150 내지 약 500 mg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효 복용량은 더 좁은 범위 안에서, 예를 들면 약 5 내지 약 10 mg, 10 내지 약 25 mg, 약 30 내지 약 50 mg, 약 10 내지 약 300 mg, 약 25 내지 약 300 mg, 약 75 내지 약 100 mg, 약 100 내지 약 250 mg, 또는 약 250 내지 약 500 mg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유효 단위 복용량은 단일 복용, 또는 다수의 일, 주, 또는 월 복용량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일당, 주당 또는 월당 1 내지 5, 2-3 복용량을 포함하는 복용 요법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 형태에서, 약 10 내지 약 25 mg, 약 30 내지 약 50 mg, 약 25 내지 약 150, 약 75 내지 약 100 mg, 약 100 내지 약 250 mg, 또는 약 250 내지 약 500 mg의 복용량이 하루에 1, 2, 3, 또는 4회 투여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복용량은 체중에 따라 계산되며, 예를 들면 하루에 약 0.5 mg/kg 내지 약 20 mg/kg, 하루에 1 mg/kg 내지 약 15 mg/kg, 하루에 1 mg/kg 내지 약 10 mg/kg, 하루에 2 mg/kg 내지 약 20 mg/kg, 하루에 2 mg/kg 내지 약 10 mg/kg 또는 하루에 3 mg/kg 내지 약 15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0079] 본 발명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전달량, 타이밍 및 방식은 체중, 나이, 성별 및 개인의 상태, 치료될 질환 및/또는 관련 증상의 정도, 투여가 예방용인지 치료용인지 등의 요인에 따라, 또한 약물 전달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요인들, 흡수, 반감기 및 약효를 포함하는 약동학 등에 따라 개인별로 통상적으로 조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 복용량 또는 다회 복용 치료 요법은 여기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상의 신경 또는 정신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실질적으로 예방 또는 완화하기에 필요하고 충분한 대략 최소 복용량으로 통상 선택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의 제제 및 방법에 따른 본 발명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투여 후, 시험 대상은 목표로 하는 모노아민 신경 전달 물질에 영향을 받는 질환 또는 다른 신경 또는 정신 질환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에 있어서, 위약 치료 또는 다른 적절한 대조 대상과 비교해서 10%, 20%, 30%, 50% 또는 그 이상의 감소, 75-90%까지의 감소 또는 95% 이상의 감소를 나타낼 것이다.
[0080]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복용 형태는 선택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용 단위의 제조에 적절한 것으로 제약 분야에서 인식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부형제에는 비제한적으로, 결합제, 충전제, 윤활제, 유화제, 현탁제, 감미제, 향미제, 보존제, 버퍼, 습윤제, 붕해제, 발포제 및 다른 종래의 부형제 및 첨가제가 포함된다.
[0081]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 제형은 무기산 부가염 및 유기산 부가염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비제한적으로, 금속염, 예를 들면 소듐염, 포타슘염, 세슘염 등; 알칼리토금속, 예를 들면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 유기아민염,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염, 피리딘염, 피콜린염, 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디시클로헥실아민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 등; 유기산염,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숙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만델레이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옥살레이트, 포르메이트 등; 설포네이트, 예를 들면 메탄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등; 아미노산염, 예를 들면 아르기네이트, 아스파르지네이트, 글루타메이트, 타르트레이트, 글루코네이트 등을 포함한다.
[0082] 본 발명의 다양한 복합 또는 협력 치료의 범위 내에서, 부가 정신치료제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는 각각의 제제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다양한 전달 경로와 방식으로 각각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는 선택적으로 캐리어 또는 다른 첨가제 (들)과 함께 경구 제형으로 제제화 및 투여될 수 있다. 제약 분야에서 통상적인 적절한 캐리어는 비제한적으로, 미정질 셀룰로오스,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프락토오스, 글루코스, 덱스트로스, 또는 다른 슈가류, 이염기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설페이트,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셀루로오스 유도체, 카올린, 만니톨, 락티톨, 말티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또는 다른 슈가 알콜, 건조 전분,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또는 다당류, 이노시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경구 제형은 경구 단위 제형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종래의 제약 경구 단위 제형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정제 및 캡슐을 포함한다. 경구 단위 제형, 예를 들면 정제 또는 캡슐은 하나 이상의 종래의 부가 제제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비제한적으로, 방출 조절제, 활택제, 압축 보조제, 붕해제, 결합제, 향료, 향료 강화제, 감미제 및/또는 보존제를 포함한다. 적절한 윤활제는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칼슘 스테아레이트, 경화 식용유, 소듐 벤조에이트, 류신 카보왁스, 마그네슘 라우릴 설페이트,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및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적절한 활택제는 비제한적으로, 콜로이드성 실리카, 퓸드 이산화규소, 실리카, 탈크, 퓸드 실리카, 석고 및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코팅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루로오스, 티타늄 옥사이드, 탈크, 감미제 및 착색제가 포함된다. 상술한 발포제 및 붕해제는 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신속 붕해 정제의 제제화에서 유용하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입 안에서 1분 이내에 붕해되며, 바람직하게는 30초 미만 이내에 붕해된다. 발포제는 전형적으로 유기산과 카보네이트 또는 비카보네이트의 결합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신속 작용 제형은 예를 들면 조광 (mania)의 급속한 상태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할 것이다.
[0084] 본 발명의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는 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흡입 또는 비강 전달 형태 중 하나로서 제조되고 투여될 수 있다. 환자의 부비강 (sinus cavity) 또는 폐포에서 본 발명의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에어로졸화된 제제가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는 정량 흡입기, 네뷸라이저, 건조 분말 생성기, 분무기 등이 포함된다. 폐포 상피를 통과하여 혈류 안으로의 신속한 이동을 위한 폐 전달은 특히 우울증의 임박한 상태 (impending episode)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전신 효과를 위한 약물의 폐 전달에 적합한 방법 및 조성물은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캐리어는 액체이며, 예를 들면 코 스프레이 또는 점비액으로 투여되는 적절한 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수성 또는 유성 용액과 부가적인 활성 또는 비활성 성분 (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85] 비강 전달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코에 투여한 후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이, 폐에 침착시키는 제품이 없이도 직접 혈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강 전달은 유효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이 중추 신경계로 직접 또는 강화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및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비강 투여는 신속한 흡수 및 전달을 제공함으로써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질환의 치료에 유리할 수 있다.
[0086] 비강 및 폐로의 투여를 위해, 액체 에어로졸 제제는 종종 분산제 및/또는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와 결합된 본 발명의 유효 화합물을 함유한다. 또는 건조 분말 에어로졸 제제는 건조 분말 입자의 신속한 분산을 가능하게 하는 대상 화합물과 분산제의 미세 분할 고체 형태를 함유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분말 에어로졸 제제의 경우, 비강 또는 폐의 점막에 에어로졸화된 제형이 도달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제제는 반드시 액체 또는 고체 소입자로 에어로졸화되어야 한다. "에어로졸 입자"라는 용어는 여기서 목표로 하는 점막 또는 폐포막으로의 비강 또는 폐 분배를 위해 충분히 작은 입자 지름을 갖는, 예를 들면 2-5 미크론의 범위의 액체 또는 고체 입자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달 장치의 구성, 제제에서 부가 성분 및 입자 특성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약물의 비강 또는 폐 투여의 이들 측면은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제제의 처리, 에어로졸화 수단 및 전달 장치의 구성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 수준에 포함된다.
[0087]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 조성물 및 방법은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본 발명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국부 투여를 위해 제공된다. 국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피부과적으로 또는 점막 허용가능한 캐리어와 복합된 다른 활성 또는 비활성 성분 (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말, 피부 패치, 스틱스, 과립, 페이스트, 젤, 로션, 시럽, 연고, 침지 스폰지, 코튼 어플리케이터의 형태로서, 또는 수용성 액체, 비수용성 액체, 수중유 에멀전 또는 유중수 액체 에멀절 중의 용액 또는 서스펜션의 형태를 포함한다. 이들 국부 조성물은 국부 조성물 또는 전달 장치에 포함되는 물 또는 다른 용매 또는 액체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 패치와 같은 피부 경로의 투여는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피부 투여 강화제를 사용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와 같은 제형에 적절한 제제는 거기에 통상 사용되는 부형제, 특히 연장된 시간 동안, 예컨대 24시간 동안 약물의 흡수를 지연시키기 위한 구조 또는 매트릭스와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88] 본 발명의 화합물의 또 다른 부가 제제가 비경구 투여를 위해 제공되며, 수성 및 비수성 무균 주사액을 포함하며, 상기 주사액은 선택적으로 항산화제, 버퍼, 세균발육저지제 및/또는 제제를 포유동물 대상의 혈액과 등장성으로 만드는 용질; 현탁제 및/또는 농후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무균 서스펜션; 분산물 및 에멀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단일 복용량 또는 다회 복용량 용기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제제 및 성분은 전형적으로 무균 또는 용이하게 무균화될 수 있고, 생물학적으로 비활성이며 용이하게 투여된다. 비경구 제제는 전형적으로 버퍼링제 및 보존제를 함유하고, 투여 시 재구성을 위해 동결건조화된다.
[0089] 비경구 제제는 또한 비경구 투여 후 연장된 방출을 위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폴리머성 재료는 제약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즉석 주사 용액, 에멀젼 및 서스펜션이 무균 분말, 과립 및 전술한 종류의 정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단위 제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효 성분(들)의 일일 복용량 또는 단위 또는 일 서브-복용량을 함유한 것이거나 또는 그들의 적절한 분획이다.
[0090] 본 발명의 예시적 조성물 및 제형의 범위 내에서, 여기에 기재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는 연장된 방출 또는 지연 방출 제제로 투여된다. 이들 제제에서, 제제의 지연된 방출 조성물은 약 8시간 또는 그 이상의 지연된 전달 기간 또는 약 18시간 또는 그 이상의 지연된 전달 기간, 약 24시간 또는 그 이상까지의 지연된 전달 기간 동안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치료적 유효 혈장 농도를 제공한다.
[0091] 예시적 실시 형태에서,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는 지연된 방출 비히클, 매트릭스, 결합제 또는 코팅재와 결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지연된 방출 비히클, 매트릭스, 결합제 또는 코팅재"는 유효 화합물의 동일 복용량을 상술한 바와 같이 "즉시 방출" 제제에 의해 제공된 용출 및/또는 전달과 비교해서 인 비트로에서 유효 화합물의 용출을 효과적으로, 상당하게 지연시키거나 및/또는 대상에 대한 투여 후 유효 화합물의 혈류 (또는 활성의 다른 인비보 타겟 위치)로의 전달을 지연, 변형 또는 연장시키는 비히클, 매트릭스, 결합제 또는 코팅재를 일컫는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되는 "지연 방출 비히클, 매트릭스, 결합제 또는 코팅재"는 이 기술 분야에서 "지속 방출", "지연 방출", "서방", "연장 방출", "제어 방출", "변형 방출" 및 "박동 방출" 비히클, 매트릭스 및 코팅으로 알려진 비히클, 매트릭스, 결합제 및 코팅을 모두 포함하는 의도로서 사용되었다.
[0092]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 투여를 위한 경구 지연 방출 투여 조성물을 포함한다. 관련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지연된 방출 제제를 사용함으로써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경구 제형의 투여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는 지연된 방출 경구 제형으로 제공되고, 제형은 대상이 제형을 삼킴으로써, 대상 치료 약물을 사용한 치료를 받아들일 수 있는 질환을 나타내는 포유 동물 대상의 위장관 내로 도입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유효 부가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이, 환자의 혈장, 조직, 장기 또는 다른 활성 목표 위치 (예를 들면 중추신경계 조직, 유액 또는 구획 (compartment))에서의 치료적 농도에 도달하거나 및/또는 지연되는 동안의 기간에 걸쳐 대상의 위장관 (예를 들면, 장관내)로의 유효 부가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지속된, 지연된, 점진적인 또는 변형된 방출 전달 모드로 방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 이후의, 유효 부가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부작용 프로파일은 즉시 방출 경구 제형으로 투여된 유효 부가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부작용 프로파일보다 적었다.
[0093] 일부 실시 형태에서는,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은 적어도 약 6시간, 종종 적어도 약 8시간, 적어도 약 12시간, 또는 적어도 약 18시간 동안,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24시간 이상 동안 지연된 치료 수준으로, 지연 방출 조성물과 본 발명의 제형으로부터 방출되어 대상의 혈장 또는 다른 타겟 위치로 전달된다. 지연된 치료 수준이라함은 여기서 예시화한 치료적 복용 범위의 적어도 하한의 혈장 농도 수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 형태에서, 지연된 방출 조성물과 제형은 여기서 예시된 치료 복용량 범위의 적어도 하한의 최소 혈장 농도를 얻는 바람직한 복용량 (예를 들면, 5, 10, 15, 25, 50, 100, 200, 400, 600 또는 800 mg)으로 포유동물 대상에 투여된 후,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치료적 수준을 적어도 약 6시간, 적어도 약 8시간, 적어도 약 12시간, 적어도 약 18시간, 23시간 이상 동안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지연된 방출 조성물 및 제형은 임상 효능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최소 혈장 농도를 얻는 바람직한 복용량 (예를 들면, 5, 10, 15, 25, 50, 100, 200, 400, 600 또는 800 mg)으로 포유동물 대상에 투여 후, 적어도 약 6시간, 적어도 약 8시간, 적어도 약 12시간, 적어도 약 18시간, 또는 24시간 이상 동안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치료적 수준을 얻을 수 있다.
[0094] 일부 실시 형태에서,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형으로 대상의 혈장 또는 다른 활성 타겟 위치 (비제한적으로 시상, 선조체, 복층 피개 영역, 피질 영역, 해마, 시상하부 또는 측좌핵과 같은 두뇌 영역을 포함하는)로 지연된 방출 프로파일로서 방출되며, 상기 프로파일은 유효 화합물의 약 0 % 내지 20 %가 0 내지 2 시간 이내에 (예를 들면 혈장 수준을 측정하여 결정) 방출 및 전달되고, 유효 화합물의 20 % 내지 50 %가 2 내시 12 시간 이내에 방출 및 전달되고, 유효 화합물의 50 % 내지 85 %가 약 3 내지 20 시간 이내에 방출 및 전달되며, 유효 화합물의 75 % 이상이 약 5 내지 18 시간 이내에 방출 및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95]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 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조성물 및 경구 제형이 제공되며, 상기 조성물 및 제형은 소화된 후, 시간에 대해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 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농도의 곡선을 제공하며, 상기 곡선은 대략 투여된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복용량에 비례하는 곡선 아래 면적 (AUC)과, 투여된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복용량에 비례하는 최대 농도 (Cmax)를 가진다.
[0096]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제형의 경구 전달 후 제공된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Cmax는 약 80% 미만, 종종 약 75% 미만, 일부 실시 형태에서는 즉시 방출 경구 제형에서 유효 화합물의 복용량과 동등한 복용량의 투여 후 약 60% 또는 50% 미만의 Cmax가 얻어진다.
[0097]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형태에서,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제형과 지연 방출 비히클, 매트릭스, 결합제 및 코팅은 포유 동물 치료 대상에게 조성물 또는 제형의 투여 후 치료 대상의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Cmax가, 즉시 방출 제형으로서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동일 량을 투여 후 대조군 대상에서 제공된 Cmax의 약 80 % 미만이 되도록 유효 화합물의 지연된 방출을 제공한다.
[0098] 여기서 사용되는 "즉시 방출 제형"이라는 용어는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제형으로서, 유효 화합물이 액상 생리 매체, 예를 들면 인산 완충 염수 (PBS) 또는 천연 또는 인공 위액과 접촉 즉시 용출되는 것을 말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즉시 방출 제형은 유효 화합물의 적어도 70 %가 제형이 액상 생리 매체와 접촉한 후 30분 이내에 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이 기술 분야에서 용인되는 인 비트로 용출 시험에서 즉시 방출 제형의 유효 화합물의 적어도 80 %, 85 %, 90 % 이상 또는 100 % 까지가 제형이 액상 생리 매체와 접촉 한 후 30분 이내에 용출될 것이다. 이들 즉시 방출 제형의 일반적인 특징들은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 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분말화된 또는 과립화된 조성물의 캡슐화된 제형, 예를 들면 젤라틴 캡슐화된 제형과 관련이 있으며, 용출은 젤라틴 캡슐의 용출/붕해 후 상대적으로 즉시 일어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즉시 방출 제형은 압축 정제, 과립 제제, 분말 또는 액체 제형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 경우 용출 프로파일은 더욱 더 빠르게 된다 (예를 들면 유효 화합물의 적어도 85 % - 95 %가 30분 이내에 용출).
[0099] 본 발명의 부가 실시 형태에서, 즉시 방출 제형은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은 유효 화합물의 인비트로 또는 인비보 용출을 실질적으로 지연 및/또는 인비보 생체이용가능성을 실질적으로 지연시키는 제제 성분과 혼합, 결합 또는 관련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는 지연 방출 비히클, 매트릭스, 결합제 또는 코팅재의 유의한 양을 함유하지 않는 즉시 방출 제형으로서 제공된다. 이 맥락에서, "지연된 방출 비히클, 매트릭스, 결합제 또는 코팅제의 유의한 양"은 그와 같은 물질의 모든 함량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그와 같은 물질을 함유하는 제제에서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인비트로 또는 인비보 용출을, 그와 같은 물질이 실질적으로 없는 조성물로 제공될 때의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 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용출과 비교해서 적어도 5%, 때로는 적어도 10% 및 적어도 15 %- 20 %까지 지연시키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는 것을 의도한다.
[001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즉시 방출 제형은 "신속 용출 제제에서 고용해도 물질"에 대한 FDA Biopharmaceutics Classification System (BCS) 가이던스 정의에 부합하는 유효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http://www.fda.gov/cder/OPS/BCS_guidance.htm 참조).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이 측면에 의한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즉시 방출 제제는 BGS 가이던스 파라미터에 따른 신속 용출 특성을 나타낼 것이며, 이에 의하면 제제에서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의 적어도 약 85 %가 pH 1, pH 4.5, 및 pH 6.8에서 약 30분 이내에 시험 용액으로 진행될 것이다.
[00101]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 제형 및 방법은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 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지연된 방출 및/또는 지연된 전달을 제공함으로써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이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조정하기 위한 신규한 도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지연된 방출" 및 "지연된 전달"은 지속된, 지연된, 연장된 또는 변형된 인비트로 또는 인비보 용출 속도, 인비보 방출 및/또는 전달 속도 및/또는 인비보 약동 값 또는 프로파일에 의해 확인된다.
[00102] 본 발명의 지연된 방출 제형은 상기 정의된 용출, 방출, 전달 및/또는 약동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한다면 어떤 형태라도 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 또는 제형은 약물 방출 폴리머, 매트릭스, 비드, 마이크로캡슐, 또는 다른 고체 약물 방출 비히클; 약물 방출 소형 지연-방출 알약 (drug-releasing tiny timed-release pills) 또는 미니-정제; 압축 고체 약물 전달 비히클; 제어 방출 결합제; 다층 정제 또는 다른 다층 정제 또는 다성분 제형; 약물 방출 지질; 약물 방출 왁스 및 여기서 설명되거나 또는 삼투성 제형으로 제제화된 다수의 기타 지연 약물 방출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과 결합된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 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포함할 수 있다.
[00103] 본 발명은 따라서 부가적인 정신 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전구약물을 포함)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지연된 방출 조성물 및 제형을 포함하며,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이들은 예를 들면 경구 투여 후 유효 화합물의 지연된 방출을 제공하기 위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지연된 방출 비히클, 매트릭스, 결합제 및 코팅은 유효 제제에 대해 불활성이고, 유효 화합물과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혼합되거나 그 일부가 될 수 있는 생분해성 지연 방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지연 방출 물질은 전달 후의 생리적 조건 (예를 들면 대상의 위장관 내, 또는 위액과의 접촉 후 또는 다른 체액과의 접촉 후) 하에서 서서히 용해, 분해, 붕해 및/또는 대사될 수 있다. 유용한 지연 방출 물질은 전형적으로 포유동물 대상의 체액과 조직에 접촉했을 때 비독성 및 비활성이며, 염증, 면역 반응, 감염 등의 유의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생분해성이며, 신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는 대사 산물로 대사된다.
[00104] 일부 실시 형태에서, 지연된 방출 폴리머성 재료가 지연된 방출 비히클, 매트릭스, 결합제 또는 코팅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Langer and Wise (eds.), CRC Press., Boca Raton, Fla. (1974); "Controlled Drug Bioavailability," Drug Product Design and Performance, Smolen and Ball (eds.), Wiley, N.Y. (1984); Ranger and Peppas, 1983, J Macromol. Sci. Rev. Macromol Chem. 23:61; Levy et al., 1985, Science 228: 190; During et al., 1989, Ann. Neurol. 25:351; Howard et al, 1989, J. Neurosurg. 71:105, 참조. 이들은 모두 참고로서 원용된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지연된 방출 조성물 또는 제형을 만들기 위해 부가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와 함께 제제화되기에 유용한 폴리머에는 비제한적으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오로스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루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멜리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비닐 알콜의 코폴리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00105] 실시예 XII에서 설명한 특정 실시 형태에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HCl 염의 경구 단위 제형의 연장된 방출을 위한 제제가 제공된다. 상기 제제에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가 지연된 방출 비히클로서 사용되고, 비정질 셀룰로오스 및 전분이 캐리어로서 사용되었다. 특히, 350 mg 정제의 상기 제제는 100 mg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HCl 염), 105 mg의 메토셀 프리미엄 CR K4 또는 K100, 71.5 mg 미정질 셀룰로오스, 70 mg 알파 전분 1500, 1.75 mg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1.75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선택적으로 Opadry II White와 같은 코팅을 함유한다. 따라서, 상기 제제는 30%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정제 성분의 전체 중량%)를 사용한다. 따라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센 HCl 또는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경구용 지연된 방출 정제는 정제 성분의 전체 중량의 약 15-45%, 25-35%, 또는 30%의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것이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센 HCl 또는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경구용 지연 방출 정제는 유효 성분인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센 HCl 또는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 25 내지 200 mg, 50 내지 150 mg, 또는 100 mg함유할 것이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센 HCl 또는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경구용 지연된 방출 정제는 또한 약 30-50% 또는 40%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캐리어를 함유한다. 실시예 XII의 제제의 지연된 방출 프로파일은 실시예 XIII에서 도시된 용출 연구에서 제시되었다. 이들 연구는 실시예 XII의 제제가 실제로 하루에 한 번 투여된 정제와 부합하는 지연된 방출을 달성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00106] 본 발명의 조성물 및 투여 형태 중의 서방성 부형제, 매트릭스, 바인더 또는 코팅으로서 사용되기 위한 추가적인 고분자 물질은, 추가적인 셀룰로오스 에테르, 예컨대 문헌(Alderman, Int. J. Pharm. Tech. & Prod. Mfr., 1984, 5(3) 1-9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에 기술되는 것과 같은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유용한 고분자 물질 및 매트릭스가 가수분해가능한 에스테르 연결을 가진 코폴리머 및 호모폴리머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다. 이들 중 몇몇은 생물학적으로 분해가능하고 독성이 없거나 낮은 독성을 갖는 분해 산물을 야기하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시적인 고분자로는 PGA(폴리글리콜산) 및 PLA(폴리락트산), DL PLGA(폴리(DL-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D-락트산-코-글리콜산)(D PLGA) 및 폴리(L-락트산-코-글리콜산)(L PLGA)을 포함한다. 본 발명 중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생분해성 또는 생부식성 고분자로는 폴리(ε-카프로락톤), 폴리(ε-아프로락톤-CO-락트산), 폴리(ε-아프로락톤-CO-글리콜산), 폴리(β-하이드록시 부티르산), 폴리(알킬-2-시아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폴리머, 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하이드로겔,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노산(예컨대, 폴리-L-루이신, 폴리-글루타민산, 폴리-L-아스파르트산 등), 폴리(에스테르 우레아), 폴리(2-하이드록시에틸 DL-아스파르트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머,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말레아미드, 다당류 및 그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폴리머 물질을 사용하여 약학적 제제를 만드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숙련된자들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참조로, 예컨대 Sustained and Controll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s, J. R. Robinson,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78,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
[00107]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조성물 및 투여 형태는 추가적인 폴리머 기질 상에 코팅된 추가의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를 포함한다. 폴리머는 부식성 또는 비부식성 폴리머일 수 있다. 코팅된 기질은 자신 위로 접히어 이중 겹의 폴리머 약물 투여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는 폴리펩타이드, 콜라겐, 젤라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아세틸 또는 폴리오르토카보네이트와 같은 폴리머 상에 코팅될 수 있으며, 코팅된 폴리머는 그 자신 위로 접히어 이중라미네이트화된 투여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조작에서, 생부식성 투여형태는 통제된 비율로 부식하여 활성 물질을 증가된 방출 기간에 걸쳐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사용 및 다른 관점에서의 사용을 위한 대표적인 생분해성 폴리머는 예컨대 당업계에 알려진 생분해성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노산),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탄수화물),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오르토카보네이트), 폴리(아세틸), 폴리(무수물), 생분해성 폴리(디하이드로파이란) 및 폴리(디옥시논) (참조로 예컨대, Rosoff, Controlled Release of Drugs, Chap. 2, pp. 53-95 (1989); 및 미국특허번호 3,811,444; 3,962,414; 4,066,747, 4,070,347; 4,079,038; 및 4,093,709, 이들 각각은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00108]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투여 형태는 폴리머를 통한 확산 또는 폴리머 매트릭스의 구멍을 통한 또는 파열에 의한 유출에 의하여 약물을 방출하는 폴리머 속에 탑재되는 추가의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의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를 포함한다. 약물 전달 폴리머 투여 형태는 폴리머 중에 또는 상에 함유되는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투여 형태는 투여 전달 초기에 적어도 하나의 노출되는 표면을 포함한다. 노출되지 않는 표면은, 존재하는 경우, 약물의 통과에 대하여 비투과성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투여 형태는 당업계에 알려진 절치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승된 온도(예컨대, 37℃)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미리 결정된 활성 화합물의 투여량과 혼합하고, 이것을 예컨대 옥타노에이트와 같은 가교결합제와 함께 실라스틱 의료 등급 엘라스토머에 첨가한 다음, 형틀에 캐스팅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단계는 임의의 연속되는 층 각각을 위하여 반복된다. 시스템은 투여 형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1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와 같이 서방성 투여 형태를 제조하기 위한 대표적인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 알기네이트, 폴리아미드 및 폴리실리콘에 의하여 대표되는 바와 같은, 올레핀 및 비닐 폴리머, 첨가 폴리머, 압축 폴리머, 탄수화물 폴리머 및 실리콘 폴리머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폴리머들 및 그들을 제조하는 절차는 당업계에서 기술되어 왔다(참조로 예컨대, Coleman et al., Polymers 1990, 31, 1187-1231; Roerdink et al., Drug Carrier Systems 1989, 9, 57-10; Leong et al., Adv. Drug Delivery Rev. 1987, 1, 199-233; and Roff et al., Handbook of Common Polymers 1971, CRC Press; U.S. Pat. No. 3,992,518).
[00109]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조성물 및 투여 형태는, 증가된 시간, 예컨대 적어도 6 시간, 적어도 8 시간에 걸쳐, 적어도 12 시간의 기간에 걸쳐, 또는 24시간 또는 그 이상에 달하는 기간에 걸쳐 활성 화합물을 방출하는 용해 또는 확산 상의 비드와 결합되거나 또는 이에 함유된 추가의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의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를 포함한다. 약물-방출 비드는 윤활제, 항산화제, 분산제 및 완충제와 같은 1종 이상의 임의의 부형제와 함께, 추가의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중심 조성물 또는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비드는 약 1 내지 2 mm의 직경을 갖는 의학적 제조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위장관으로부터의 그들의 방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그들은 비 가교 결합된 물질로 형성된다. 비드는 시한의 방출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부여하는 방출 비율 조절 고분자로 코팅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비드는 약학적으로 효과적인 약물의 투여를 위하여 정제 속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비드는 예컨대 아크릴 레진에 의하여 코팅되고,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부형제와 혼합된 비드 다수개의 직접적인 압착에 의하여 매트릭스 정제 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 중의 사용을 위한 비드의 제조 및 가공은, 정제 제조법(Pharmaceutical Sciences, by Remington, 17th Ed, Ch. 90, pp1603-1625, 1985,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처럼, 당업계에 기술되어 있다(참조로 예컨대, Lu, Int. J. Pharm., 1994, 112, 117-124; Pharmaceutical Sciences by Remington, 14th ed, pp1626-1628 (1970); Fincher, J. Pharm. Sci. 1968, 57, 1825-1835; 및 미국특허 4,083,949, 이들 각각은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
[00110]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투여 형태는 복수 개의 작은 알약 또는 미니-정제를 포함한다. 작은 알약 또는 미니-정제는 24 시간까지 증가된 기간에 걸친 서방성 약물 전달 프로파일을 얻기 위한 다양한 시간 용량을 제공하기 위한 개별적인 용량의 다수를 제공한다. 작은 알약 또는 미니-정제는 다당류, 아가, 아가로스, 천연검, 알긴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알칼리 알기네이트 카라기난, 후코이단(fucoidan), 퍼셀라란(furcellaran), 라미나란(laminaran), 히프니아(hypnea), 검 아라빅(Gum Arabic), 검 가티(gum ghatti), 검 카라야(gum karaya), 트라가칸트검(gum tragacanth), 로커스트 콩 검, 펙틴, 아밀로펙틴, 젤라틴 및 친수성 콜로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친수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친수성 폴리머는 복수(예컨대 4 내지 50개)의 작은 알약 또는 미니-정제 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각각의 작은 알약 또는 미니-정제는 추가적인 정신치료 약제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의 미리 정해진 용량, 예컨대 약 10 ng, 0.5 mg, 1 mg, 1.2 mg, 1.4 mg, 1.6 mg, 5.0 mg 등의 용량을 포함한다. 작은 알약 또는 미니-정제는 0.001 내지 10 mm까지의 두께를 갖는 방출 속도 조절 벽을 추가로 포함하여 활성 화합물의 시간이 정해진 방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벽 형성 물질은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디팔미테이트,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글리세릴 디데세노에이트 및 글리세릴 트리데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트리글리세릴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다른 벽 형성 물질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및 마이크로기공 올레핀을 포함한다. 작은 알약 및 미니-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참조로 예컨대, 미국특허번호 4,434,153; 4,721,613; 4,853,229; 2,996,431; 3,139,383 및 4,752,470, 이들 각각은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 작은 알약 및 미니-정제는 추가적인 입자 혼합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크기 및/또는 방출 특성의 입자들을 포함하며, 입자들은 경질 젤라틴 또는 비-젤라틴 캡슐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 중에 포함될 수 있다.
[00111]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약물 방출 액상 매트릭스는 추가의 정신치료 약제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형태를 조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활성 화합물의 고형 마이크로입자는, 문헌(Farah et al., 미국특허번호 6,375,987 및 Joachim et al., 미국특허번호 6,379,700, 이들 각각은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에 기술된 바와 같은, 얇게 조절된 지질 방출층에 의하여 코팅된다. 지질 코팅된 입자는 임의로 압축되어 정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성 조성물 및 투여 형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또 다른 통제된 방출 지질계 매트릭스 물질은 폴리글리콜화 글리세라이드, 예컨대 문헌(Roussin et al., 미국특허번호 6,171,615,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에 기술된 바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00112]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추가적인 정신치료 약제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를 포함하는 서방성 조성물 및 투여 형태를 제조하는데 약물 방출 왁스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서방성 약물 방출 왁스의 예로는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에스파르토 왁스(esparto wax), 오우리쿠리 왁스(ouricury wax), 수소화 식물 오일, 밀납(bees wax), 파리핀,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캐스터 왁스(castor wax) 및 이들의 혼합물 (참조로 예컨대, Cain et al., 미국특허번호 3,402,240; Shtohryn et al. 미국특허번호 4,820,523; 및 Walters, 미국특허번호 4,421,736, 이들 각각은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00113] 또 다른 구현예에서, 추가적인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의 서방성 전달을 위하여 삼투성 전달 시스템이 사용된다 (참조로 예컨대 Verma et al., Drug Dev. Ind. Pharm., 2000, 26:695-708,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삼투성 전달 시스템은 OROS® 시스템(Alza Corporation, Mountain View, Calif.)이고, 약물의 서방성 경구 전달을 위하여 적합하다(참조로 예컨대, 미국특허번호 3,845,770; 및 미국특허번호 3,916,899,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
[00114]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투여 형태는 추가적인 정신치료 약제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둘러싸는 반투막성 벽을 포함하는, 삼투성 투여 형태를 포함한다. 환자 내 사용에 있어서, 균일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삼투성 투여 형태는, 반투과성 벽에 걸친 농도 구배에 반응하여 반투과성 벽을 통하여 투여 형태 속으로 액체를 흡수한다. 투여 형태 중의 치료적 조성물은 24 시간까지 (또는 심지어 몇몇 경우에는 30 시간까지) 연장된 기간에 걸쳐, 치료적 조성물이 투여 형태로부터 출구를 통하여 투여되도록 하는 삼투성 에너지를 발전시키어, 서방성의 통제된 약물 방출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달 플랫폼은 즉각적인 방출 제제의 대못 프로파일과 반대되는, 영차 (zero order) 전달 프로파일을 필수적으로 제공한다.
[00115] 본 발명의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투여 형태는 벽이 둘러싼 구획을 포함하는 또 다른 삼투성 투여 형태를 포함하는데, 상기 벽은 유체의 통과에 대해서는 투과성이고 구획 내에 존재하는 활성 화합물의 통과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비투과성인 반투과성 폴리머 조성물, 구획 내의 약물 함유층 조성물, 추가적인 정신치료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 조성물 층을 투여 형태로부터 밀어내기 위한 것으로서 크기 확장을 위하여 유체 흡입 및 흡수를 위한 삼투성 제제를 함유하는 구획 중의 하이드로겔 푸시 (push) 층, 및 약물 조성물의 방출을 위한 벽 내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삼투성 시스템은, 반투과성 벽의 투과성 및 반투과성 벽을 가로지르는 삼투압에 의하여 결정되는 유체 흡입 속도로 반투막성 벽을 통하여 유체를 흡입하여 푸시층이 확장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활성 화합물이 출구 통로를 통하여 증기된 시간 (24 시간 또는 심지어 30 시간까지)에 걸쳐 환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활성 화합물을 전달한다. 하이드로겔 층 조성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00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분자량 2,000,000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 분자량 4,000,000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분자량 5,000,000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분자량 7,000,000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00 내지 8,000,000의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000,000 내지 8,000,000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멤버와 같은 하이드로겔 10 mg 내지 1000 mg; 또는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포타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 내지 6,000,000의 알칼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 mg 내지 1000 mg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로겔 확장층은, 중량 평균 분자량 7,500 내지 4,500,00의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예컨대,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부틸셀룰로오스 또는 하이드록시펜틸셀룰로오스); 삼투제(osmagent) (예컨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칼륨,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라피노스(raffinose), 황산 마그네슘, 염화 마그네슘, 우레아, 이노시톨,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 및 다른 제제 (예컨대, 수 평균 분자량 9,000 내지 225,000의 하이드록시프로필알킬셀룰로오스(예로, 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펜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부틸셀룰로오스), 산화 제2철, 항산화제(예로, 아스코르브산,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 부틸화 하이드록시퀴논,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하이드록시코마린,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세팔름(cephalm), 갈르산 에틸(ethyl gallate), 갈르산 프로필(propyl gallate), 갈르산 옥틸(octyl gallate), 갈르산 라우릴(lauryl gallate),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트리하이드록시부틸로페논, 디메틸페놀, 디부틸페놀, 비타민 E, 레시틴 및 에탄올아민), 및/또는 윤활제 (예로,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올레이트, 칼슘 팔미테이트, 소듐 수버레이트, 포타슘 라우레이트, 지방산의 염, 지환족 산의 염, 방향족 산의 염, 스테아르산, 올레인산, 팔미트산, 지방산, 지환족 산 또는 지방족 산의 염)를 포함할 수 있다.
[00116] 삼투성 투여 형태 중에서, 반투과성 벽은 유체의 통과에 대해서는 투과성이고 추가의 정신치료 약제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의 통과에 대해서는 비투과성인 조성물을 포함한다. 벽은 비독성이고 셀룰로오스 아크릴레이트, 셀룰로오스 디아크릴레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크릴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벽은 전형적으로 셀룰로오스성 벽-형성 폴리머 75 중량% (중량 퍼센트)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하거나; 또는 벽은 추가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0.01 중량% 내지 80 중량% 또는 셀룰로오스 에테르(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하이드록시프로필알킬셀룰로오스) 1 중량%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성분을 포함하는 벽의 총 중량%는 100 중량%와 동일하다. 내부 구획은 약물 함유 조성물 단독 또는 층진 위치 내에 확장가능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함께 포함한다. 구획 내의 확장가능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반투과성 벽을 통과한 액체를 흡입하여 부피가 증가하여 하이드로겔이 확장하여 구획 내 공간을 차지하게 하고, 이에 의하여, 약물 조성물이 투여 형태로부터 밀려나오게 한다. 약학적 층 및 확장가능한 층은, 시간에 걸쳐 환자에게 약물을 방출하는 투여 형태의 작동 동안에 함께 작용한다. 투여 형태는 투여 형태의 외부와 내부 구획을 연결하는 벽 중의 통로를 포함한다. 삼투성 힘을 받은 투여 형태는, 약 24 시간까지의 기간에 걸쳐 방출되는 영차의 속도로, 추가적인 정신치료 약제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를 투여 형태로부터 환자에게로 전달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통로"는 추가적인 정신치료 약제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가 삼투성 투여 형태의 구획으로부터 계량되어 방출되는데 적합한 수단 및 방법을 포함한다. 출구 수단은 오리피스, 구멍(bore), 간극(aperture), 기공(pore), 기공성 요소, 빈 섬유, 모세 튜브, 채널, 기공성 오버레이 또는 활성 화합물의 삼투성 통제된 방출을 제공하는 기공성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한다. 통로는 사용되는 유체 환경 중에서 벽으로부터 부식하거나 침출되어 적어도 하나의 통제된 방출 측량된 경로를 생산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통로를 형성하는데 또는 통로의 다양성을 위하여 적합한 대표적인 물질은 벽 중의 여과성 폴리(글리콜)산 또는 폴리(락트)산 폴리머, 젤라틴성 필라멘트, 폴리(비닐 알코올), 여과성 다당류, 염 및 ㅅ사산화물을 포함한다. 기공 통로 또는 1 이상의 기공 통로는 소르비토과 같이 여과가능한 화합물을 벽으로부터 여과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통로는 투여 형태로부터 프로드럭의 계량된 방출을 위하여,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타원형과 같은 통제 방출 용적을 소유한다. 투여 형태는 벽의 단일 표면 또는 1 이상의 표면 상에 공간적으로 떨어진 관계를 갖는 1 이상의 통로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용어 "유체 환경"은 위장관을 포함하는 인간 환자 중의 수용성 또는 생물학적 유체를 일컫는다. 통로 및 통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는,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미국특허번호 3,845,770; 3,916,899; 4,063,064; 4,088,864; 4,816,263; 4,200,098; 및 4,285,987에 기술되어 있다.
[00117] 본 발명의 다른 관점 중에서, 추가적인 정신치료 약제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의 서방성 전달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 형태 및 방법 중에 마이크로입자, 마이크로캡슐 및/또는 마이크로스피어 약물 전달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정신치료 약제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를 마이크로입자의 형태 중에 캡슐화하는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예컨대 활성 화합물을 생적합성, 생분해성 벽 형성 물질(예컨대 폴리머) 중에 캡슐화하는 것에 의하여 활성 화합물의 서방성의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활성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벽 형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매 중에 용해, 분산 또는 에멀젼화 된다. 그 다음 용매를 마이크로입자로부터 제거하여 완결된 마이크로입자 생산물을 형성시킨다. 통상적인 마이크로캡슐화 과정은 미국특허번호 3,737,337; 4,389,330; 4,652,441; 4,917,893; 4,677,191; 4,728,721; 5,407,609; 5,650,173; 5,654,008; 및 6,544,559 (이들 각각은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문헌은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제제 중에 추가적인 정신치료 약제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방법들을 개시하고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예컨대 미국특허번호 5,650,173에서, 폴리머 물질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마이크로입자 제제가 만들어 질 수 있는데, 여기서 생성된 마이크로입자는 확산 방출 및 생분해성 방출 특성 모두를 나타낸다. 방출의 확산 기전의 경우, 폴리머의 서방성 분해에 앞서 활성 제제가 마이크로입자로부터 방출된다. 또한 활성 제제는 폴리머 부형제가 부식됨에 따라 마이크로입자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미국특허번호 6,596,316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은 마이크로입자로부터의 활성 제제 방출 프로파일을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선별된 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마이크로입자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00118]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장용성 코팅된 조합물이 서방성 경구 투여에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코팅 물질은 pH-의존성 용해성을 갖는(즉, pH-통제 방출) 폴리머, 느린 또는 pH-의존성 부풀음, 용해 또는 부식 속도를 갖는(즉, 시간-통제 방출) 폴리머, 효소에 의하여 분해되는(즉, 효소-통제 방출) 폴리머 및 압력 증가에 의하여 분해되는 견고한 층을 형성하는(즉, 압력-통제 방출) 폴리머를 포함한다. 장용성 코팅은 1 이상의 장벽층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추가적인 정신치료 약제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의 서방성 방출을 매개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상기 장벽층은 다층의 고체 투여 형태의 층 사이에서(하기 참조) 및/또는 다층의 고체 투여 형태의 1 이상의 다수의 층의 1 이상의 외부 표면상에서(예컨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정제의 층의 말단 면), 활성 화합물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면서 위치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장벽층은 예컨대 실질적으로 또는 완벽하게 물 또는 수용성 매질에 대하여 불투과성이거나 또는 물 또는 수용성 매질 또는 생물학적 액체 중에서 서서히 부식되는 폴리머 및/또는 물 또는 수용성 매질과의 접촉시 부푸는 폴리머로 구성될 수 있다. 장벽층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및 에틸셀룰로오스와 같은 그의 유도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 등을 포함한다. 물 또는 수용성 매질과 접촉하여 부풀어지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장벽층은 부풀은 층이 상대적으로 큰 부풀어진 부피를 형성할 정도로 부풀어질 수 있는데, 그와 같은 크기는 그것이 위로부터 장 속으로 즉각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지연시킨다. 장벽층은 그 자체로 활성 물질 성분을 함유할 수 있는데, 예컨대 장벽층은 늦은 또는 지연된 방출 층일 수 있다. 장벽층은 전형적으로 10 마이크론부터 2 mm까지의 개별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물에 불투과성인 장벽층으로 적합한 폴리머는 폴리머의 메토셀TM(Methocel) 시리즈를 포함하는데, 단독으로 또는 에토셀TM 폴리머와 조합으로 사용된다. 그와 같은 폴리머는 수소화된 피마자 기름(castor oil)같은 가소화제와의 조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장벽층은 또한 통상적인 바인더, 필러, 윤활제 및 압축 산 등, 폴리비돈 K30 (상표명),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이산화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00119] 추가적인 정신치료 약제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 제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바이사이클로[3.1.0]헥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활성 염 다형체,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체, 용매화물, 수화물 및/또는 프로드럭 포함)의 서방성 방출을 매개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용성 코팅 물질은 폴리머 멤브레인의 형태 중에 있는 코팅을 포함하는데, 이는 반투과성, 다공성 또는 비대칭성 멤브레인일 수 있다(참고로 예컨대, 미국특허번호 6,706,283,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통합됨). 본 발명 내에 사용되기 위한 이러한 형태 또는 다른 형태의 코팅은 또한 코팅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전달 포트 또는 포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수용성 물질의 충전물의 레이저 구멍 뚫기 또는 부식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다른 유용한 코팅은 사용의 환경 중에서 파열되어 방출 또는 전달 포트의 부위를 형성하는 코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에 속하는 예시적인 코팅은 폴리(아크릴)산 및 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산 및 에스테르;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및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테르를 포함한다.
[00120] 추가의 정신요법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다형 활성염, 글리코실레이트 유도체, 대사 산물들, 용매 화합물, 수화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전구약물(prodrug)을 비롯한 것) 의 지속적인 배출을 매개하기 위한 고형제(solid dosage form)를 구성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추가 코팅 물질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에틸 셀룰로오스, 녹말, 덱스트란, 덱스트린, 키토산, 콜라겐, 젤라틴, 브로멜라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비가소성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가소성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강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멜리테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멜리테이트, 셀룰로오스 니트레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에이가(agar) 아세테이트, 아밀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베타 글루칸 아세테이트, 베타 글루칸 트리아세테이트, 아세트알데하이드 디메틸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틸 카바메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메틸 카바메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디메트아미노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틸 카보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클로로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틸 옥살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메틸 술포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 술포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p-톨루엔 술포네이트, 메뚜기콩검(locust gum bean)의 트리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가 아세틸화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실화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폴리알켄류, 폴리에테르류, 폴리술폰류, 폴리에테르술폰류, 폴리스티렌류, 폴리비닐 할라이드류, 폴리비닐 에스테르류 및 에테르류, 천연 왁스류 및 합성 왁스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00121] 본 발명의 추가의 구현예에 있어서, 추가의 정신요법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다형 활성염, 글리코실레이트 유도체, 대사산물들, 용매 화합물, 수화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전구약물(prodrug)을 비롯한 것)의 지속적인 배출은 다층 정제(錠劑; tablet) 또는 기타의 다층 또는 다성분 복용 형태(dosage form)를 포함하는 복용 형태에 있어서 활성 화합물을 제형화하여 제공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활성 화합물은, 예컨대 즉각성 배출층(immediate release layer)인 제1층과 완행성 배출층(slow release layer)인 제2층을 가지는 적층된 정제로 제형화된다. 본 발명의 기타의 다층 복용 형태는 즉각성, 연장성(extended) 및/또는 지연성(delayed) 배출 메카니즘으로부터 선택된 다양한(즉, 선택 가능한) 배출 물성을 가지는 압축된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정신요법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형 활성염, 글리코실레이트 유도체, 대사산물들, 용매 화합물, 수화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전구약물(prodrug)을 비롯한 것)의 지속적인 배출 복용 형태를 생산하기에 유용한 다층화(multi-layered) 정제 기술은, 예컨대 국제공개공보 WO 95/20946; WO 94/06416; 및 WO 98/05305 (각각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에서 설명된다. 추가의 정신요법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형 활성염, 글리코실레이트 유도체, 대사산물들, 용매 화합물, 수화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전구약물(prodrug)을 비롯한 것)의 지속적인 전달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타의 다성분 복용 형태는 배출 억제제로 코팅되고, 외부 포장층 (필요에 따라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으로 둘러싸인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코어를 갖는 정제 제형(tablet formulation)을 포함한다(예로써,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되는 국제공개공보 WO 95/28148 참조). 상기 배출 억제제는 장용성 코팅제(enteric coating)로, 외부 코어의 함유물을 즉각적으로 배출하고, 상기 코어가 장에 도달할 때까지, 지연성인 코어로부터 제2상을 뒤따른다. 추가로, 국제공개공보 WO 96/04908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은 즉각성 배출을 위하여, 매트릭스 내에서 활성제를 포함하는 정제 제형과, 상기 활성제를 포함하는 지연성 배출 형태인 과립제(granulse)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립제는 장용성 코팅제로 코팅되므로, 배출은 상기 과립제가 장에 도달할 때까지 지연된다. 국제공개공보 WO 96/04908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은, 활성제를 포함하는 코어를 가지는 과립제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활성제를 포함하는 층에 의하여 둘러싸인 지연성 및 지속성 배출 제형을 설명한다.
[00122] 추가의 정신요법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형 활성염, 글리코실레이트 유도체, 대사 산물들, 용매 화합물, 수화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전구약물(prodrug)을 비롯한 것)의 지속적인 전달을 위한 또 다른 유용한 다성분(복층 정제(bi-layer tablet)) 복용 형태는 미국 특허 번호 제6,878,386호(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에서 설명된다. 요약하면, 상기 복층 정제는 즉각성 배출층 및 완행성 배출층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즉각성 배출층은, 예컨대 즉각적이고 급격하게 붕괴되는 층일 수 있고, 즉각적이고 급격하게 붕괴되는 공지의 정제와 유사한 조성을 가진다. 즉각성 배출층의 대체 타입은 물 또는 수용성 매체와 접촉하여 즉각적이고 광범위하게 팽윤하는 고분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팽윤 가능한 층일 수 있어, 물이 투과 가능한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크게 팽윤된 덩이(mass)를 형성한다. 활성 물질 함유물은 즉각적으로 이러한 덩이 밖으로 침출된다. 상기 완행성 배출층은 상기 활성 화합물의 더딘 배출을 허용하는 배출 억제 부형제(vehicle), 매트릭스, 결합제, 코팅제, 또는 첨가제(excipient)와 함께 추가의 정신요법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형 활성염, 글리코실레이트 유도체, 대사산물들, 용매 화합물, 수화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전구약물(prodrug)을 비롯한 것)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적절한 배출 억제 첨가제는 pH 감응성 고분자, 예컨대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기반 고분자로, 가소제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물 또는 수용성 매체, 예컨대 복부(stomach) 함유물과 접촉하여 높은 팽윤도(degree of swelling)를 가지는 배출 억제 고분자; 물 또는 수용성 매체에 접촉하여 겔을 형성하는 고분자성 물질; 그리고, 물 또는 수용성 매체에 접촉하여 팽윤 및 겔화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성 물질을 포함한다. 높은 팽윤도를 가지는 배출 억제 고분자는, 그 중에서도, 가교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가교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고분자량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아마이드, 포타슘 메타크릴레이트디비닐벤젠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고분자량 폴리비닐알콜류 등을 포함한다. 겔화 가능한 배출 억제 고분자는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저분자량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저분자량 폴리비닐알콜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류, 비가교 폴리비닐피롤리돈, 잔탄 검(xanthan gum) 등을 포함한다. 팽윤 및 겔화 성질을 동시에 가지는 배출 억제 고분자는 중점도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중점도 폴리비닐알콜류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배출 억제 고분자는 잔탄 검, 특히 잔탄 검의 미세 메쉬 정도가 200 메쉬, 약학적인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Xantural 75 (Keltrol CRTM 잘 알려짐, Monsanto, 800 N Lindbergh Blvd, St Louis, Mo. 63167, USA) 생산품이 있다. 잔탄 검은 다당류로, 수화로써 상기 정제 주위에 점성의 겔층을 형성하고, 이 층을 통하여 활성이 확산되어야 한다. 이는 입자 크기가 더 작을수록 배출 속도가 더 느려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게다가, 활성 화합물의 배출 속도는 사용된 잔탄 검의 양에 의존하고, 원하는 프로파일 (profile)을 얻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을 내재하면서 이용되는 기타의 고분자들의 예시는 메토셀(Methocel) K4MTM 메토셀 E5TM 메토셀 E5OTM 메토셀 E4MTM 메토셀 K15M and 메토셀 K100MTM 포함한다. 추가의 정신요법 화합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지속적인 배출 조성물 또는 복용 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기타의 구현예를 내재하면서 통합될 수 있는 기타 공지의 배출 억제 고분자는, 하이드로콜로이드류, 예컨대 천연 또는 합성 검류, 상기 나열된 것들 이외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탄수화물 기반 물질, 예컨대 아카시아, 검 트래거캔스(gum tragacanth), 메뚜기콩검, 구아 검(guar gum), 에이가, 펙틴, 카라기닌, 가용성 및 불용성 알긴산염(alginate), 카복시폴리메틸렌, 카제인, 제인 및 기타 그 밖의 유사한 것, 그리고 단백질성 물질, 예컨대 젤라틴을 포함한다.
[00123]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 내에서, 지속성 배출 전달 장치 또는 시스템이 상기 활성 화합물의 목표에 근접한 대상이 되므로, 침투성 복용량의 부분만이 요구된다. [참조예: Goodson, in "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supra, vol. 2, pp. 115-138, 1984; 및 Langer, 1990, Science 249:1527-1533.] 각각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경구의 지속적인 배출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참조예: Langer, supra; Sefton, 1987, CRC Crit. Ref. Biomed. Eng. 14:201; 및 Saudek 외., 1989, N. Engl. J. Med. 321:574] 각각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00124]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인 조성물 및 복용 형태는 관리를 위하여 통상 살균 상태 또는 살균이 용이하고, 생물학적으로 불활성이며, 쉽게 투여될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될 것이다.
[00125]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우울증을 비롯한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장애로부터 고통받는 인간 피험체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약학적인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효율적인 양으로 상기 대상에의 투여를 조정하기 위하여 추가의 정신요법 제제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형 활성염, 글리코실레이트 유도체, 대사산물들, 용매 화합물, 수화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전구약물(prodrug)을 비롯한 것)로서의 치료제, 그리고 추가의 정신요법 제제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형 활성염, 글리코실레이트 유도체, 대사산물들, 용매 화합물, 수화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전구약물(prodrug)을 비롯한 것)를 함유하기 위한 용기 수단(container means)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수단은 키트 함유물의 다양한 사용을 위한 설명을 제공하는 라벨 또는 삽입체가 있는 패키지를 포함하여, 상기 장애를 치료하고 상기 피험체의 증상을 완화시킨다. 더욱 상세한 구현예에 있어서, 추가의 정신요법 제제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형 활성염, 글리코실레이트 유도체, 대사산물들, 용매 화합물, 수화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전구약물(prodrug)을 비롯한 것)는 단일, 복합적인 복용 형태, 예컨대 액체 또는 고체 경구 복용 형태로 혼합 또는 공제형화(共劑形化; co-formulation)된다. 대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추가의 정신요법 제제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형 활성염, 글리코실레이트 유도체, 대사산물들, 용매 화합물, 수화물, 및/또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전구약물(prodrug)을 비롯한 것)는 투여를 조정하기 위해 별도의 복용 형태로 키트 내에 함유된다. 이러한 키트의 예시로 소위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이 있다. 포장 산업에 있어서, 블리스터 팩은 잘 알려져 있고, 약학적인 복용 형태 (정제, 캡슐, 그 밖의 유사한 것)를 포장하기 위해 폭넓게 사용된다.
[00126]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걸쳐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는 한, "포함한다", "포함하는", 그 밖의 유사한 단어들은 제외하는 또는 완전한 의미의 반대되는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말하자면,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은"의 의미이다. 단수형 또는 복수형의 수를 사용하는 단어 또한 각각 단수형 또는 복수형을 포함한다. 추가로,"본 명세서에서", "상기의", "하기의" 및 그 밖의 유사한 단어들은 본 출원에서 사용될 경우, 본 출원의 특정 일부분이 아닌 전체로서의 본 출원을 언급하는 것이다. 청구범위에서 2 이상의 항목 리스트에 관하여 "또는"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경우, 그 단어는 후술하는 모든 해석을 아우른다: 리스트 내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리스트 내 항목들 전부, 그리고 리스트 내 항목들의 어떠한 조합.
[00127]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특정 제형화, 공정 단계 및 물질로 한정되어 이해되어서는 안되는데, 이러한 제형화, 공정 단계 및 물질은 어느 정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특별한 구현예를 설명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한정하려는 의도인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는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첨부되는 청구항 및 이들의 균등물에 의하여 한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00128]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어떠한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3,4- 디클로로페닐 )-3- 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제조
[00129] 미국 특허 번호 제4,231,935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3,4-디클로로페닐아세트산 59.5 g을 순수한 에탄올 500 ml에 녹인 용액을 무수염화수소로 포화시키고, 이후 2시간 동안 환류 가열한다. 상기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200 ml로 농축시키고, 물 200 ml로 희석시킨 후, 농축된 수산화 암모늄으로 중화시킨다. 이러한 수성 혼합물을 클로로폼으로 3회에 걸쳐 추출한다. 상기 클로로폼에 의한 농축과 탈색으로, 황색 오일로 나타나는 에틸 3,4-디클로로페닐아세테이트인 추출액을 얻는다.
[00130] 니크롬 교반기와 환류 응축기가 고정된 3-목 플라스크(three-necked flask)에 에틸 3,4-디클로로페닐아세테이트 7.0 g, N-브로모숙신이미드 5.9 g, 벤조일 퍼옥사이드 0.1 g 및 사염화탄소 150 ml를 넣는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고, 냉각 및 여과한다. 사염화탄소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진한 오렌지 색 액체를 얻는다. 115 내지 120℃에서의 진공 증류(0.5 mm)로 연한 황색 액체로 나타나는 에틸 α-브로모-3,4-디클로로페닐아세테이트를 얻는다.
[00131] 이러한 생성물은 [L. L. McCoy, J.A.C.S., 80, 6568 (1958)]의 방법에 의해 디에틸-시스-1-(3,4-디클로로페닐)-1,2-시클로프로판디카복실레이트로 전환된다.
[00132] 물 500 ml와 에탄올 500 ml 내의 이러한 디에스테르 150 g과 85% KOH 66 g의 혼합물을 6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얼음으로 냉각한다. 오일성 물질을 에테르 내에서 추출하고, 수성층을 12 N 염산 100 ml를 이용하여 산성화한다. 상기 오일성 하부층은 서서히 결정화하여 무색 결정성 케익을 얻는다. 이 케익을 에탄올과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1-(3,4-디클로로페닐)-1,2-시클로프로판디카복시산의 무색 결정을 얻는다.
[00133] 상기 이산 (diacid) 30.3 g과 12.6 g 우레아의 1 리터 자일렌 중의 혼합물을 6 시간 동안 환류한다. 용매를 감압하에 날리고 결정성 잔여물을 물로 슬러리화한다. 여과, 물로 수세 및 외기 건조하여 모은 무색의 결정은 1-(3,4-디클로로페닐)-1,2-시클로프로판디카르복시이미드이다.
[00134] 1 몰의 보란-테트라하이드로퓨란 40 ml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 ml 중의 상기 이미드 2.56 g 용액을 15 분간 0℃에서 질소 조건하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이 용액을 스트림 수조에서 1 시간 데운 후 아이스에서 냉각한 이후, 20 ml의 6 N 염산을 첨가하고 감압하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제거한다. 잔류물을 75 ml의 5 N 수산화나트륨으로 염기화하고, 에테르로 추출한다.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 여과하고 여과물을 염화수소로 포화시킨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으고 이소프로필 알코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무색 결정인 1.70 g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염화수소, m.p. 180℃-181℃를 얻는다.
실시예 II
(+) 1(3,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로[3.1.0]헥산
[00135] 전술한 방법 또는 문헌 [Epstein et al., J. Med. Chem., 24:481-490 (1981)]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 1.0]헥산 염화수소 279 mg에 7 mL의 9:1 헥산: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첨가한 후, 8 방울의 디에틸아민을 첨가하였다.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상기 혼합물에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첨적하였다. 엘륨 가스 스트림을 이용하여 상기 용액을 6 mL 부피로 농축하고 상기 농축물을 6개의 1-mL 분획으로 나누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고, 1 cm x 25 cm Daicel CHIRALPAK AD 컬럼 (Chiral Technologies, Inc., Exton, Pa.)을 구비한 HPLC 기기를 이용하였다. 이동상으로 95:5 (v/v) 헥산:0.05% 디에틸아민을 함유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용액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6 mL/min 유속으로 용리를 수행하였다. 약 21.5 내지 26 분에 용리된 분획을 모아 농축하여 제1 잔여물로 하여 최소량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켰다. 질소 스트림을 이용하여 상기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증발시켜 제2 잔여물을 얻고 이것을 1 mL의 디에틸 에테르에 용해시켰다. 상기 디에틸 에테르 용액에 1 mL의 가스상 염산으로 포화된 디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였다. 무색 침전이 형성되었고, 이것을 여과, 2 mL의 디에틸 에테르로 수세 후 건조하여 73.4 mg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염화수소를 얻었다: 2 mg/mL 메탄올에서의 선광도 [α]25D =+60°; 99.7% 거울상 초과량. (미국 특허 No. 6,372,919 참조)
실시예 III
(1R,5S)-(+)-1-(3,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로[3,10]헥산의 제조
[00136] -15℃, N2 조건하에서 3,4-디클로로페닐아세토니트릴 (3.50 kg)과 S-(+)-에피클로로히드린 (2.22 kg)의 THF (18.5 L) 용액에 NaHMDS (16.5 L, THF 중 2M)를 3 시간에 걸쳐 첨적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15℃에서 교반한 후, -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2 시간에 걸쳐 BH3-Me2S (니트 (neat), 10M, 4.4 L)를 첨가하였다. 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차차 40℃까지 데웠다. 40℃에서 1.5 시간 방치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20-25℃로 냉각시키고, 서서히 2N HCl 용액 (27.7 L)에 퀀칭하였다. 그 후, 퀀칭된 혼합물을 40℃에서 1 시간 방치하였다. 농축 NH4OH (6.3 L)를 첨가하고 수층을 제거하였다. i-PrOAc (18.5 L) 및 5%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18.5 L)을 충전하였다. 그 후, 유기층을 포화 브린 (18.5 L)으로 수세, 공비 건조하여 진공하 i-PrOAc (약 24.5 L)로 용매 스위치하였다.
[00137] 실온에서 2 시간에 걸쳐, 상기 i-PrOAc 중의 원료 아미노 알코올 용액을, i-PrOAc (17.5 L) 중의 SOCl2 (22.1 mol, 1.61 L) 용액에 서서히 표면하 첨가하였다. 추가로 1.5 시간을 방치한 후, 외부 냉각으로 배치 온도를 <30℃로 유지하면서 5.0 N NaOH (16.4 L)를 1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NaOH pH 적정하면서 pH가 안정화되도록 (보통 8.5-9.0) 상기 2-상 반응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40% 수성 i-PrOH (21 L)으로 수세 후 물 (10.5 L)로 수세하였다. 농축 HCl (1.69 L)을 첨가하였다. 상기 수성 i-PrOAc를 약 24.5 L로 진공하 공비 농축하였다. 2 시간에 걸쳐 메틸시클로헥산 (17.5 L)를 첨적하였다. 웨트 케이크를 7 L의 40% 메틸시클로헥산/1-PrOAc으로 치환 수세하고, 슬러리 수세한 후 (7 L, i-PrOAc) 치환 수세하였다 (7 L, i-PrOAc). 일반적인 단리율: 57-60% wt %로 수정: 87-99.5% (HCl 염 기초).
[00138] (1R,5S)-(+)-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HCl 염 (5.0 kg)을 55℃에서 i-PrOH (14.25 L)와 물 (0.75 L)에 용해시켰다. 씨드 (50 g)를 48-50℃에서 첨가하였다. 2-4 시간에 걸쳐 뱃치를 실온 (20℃)으로 냉각시켰다. MeOBu-t (37 L)를 2 시간에 걸쳐 첨적하였다. 20℃에서 1 시간 방치한 후, 뱃치를 여과하였다. 웨트 케이크를 10 L의 MeOBu-t 중의 30% i-PrOH로 치환 수세한 후, 2x7.5 L의 MeOBu-t 중의 10% i-PrOH로 수세하였다 (슬러리 수세 후, 치환 수세). 상기 웨트 케이크를 실온에서 N2 (10-50 RH %) 석션 건조하여 (1R,5S)-(+)-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반수화 HCl염을 얻었다. 통상 수율: 92%. 1H-NMR (400 MHz, d4-MeOH): Δ7.52 (d, J=2.2 Hz, 1H), 7.49 (d, J=8.4 Hz, 1H), 7.26 (dd, J=2.1, 8.4 Hz, 1H), 3.78 (d, J=11.4 Hz, 1H), 3.69 (dd, J=3.9, 11.3 Hz, 1H), 3.62 (dd, J=1.4, 11.3 Hz, 1H), 3.53 (d, J=11.4 Hz, 1H), 2.21 (m, 1H), 1.29 (t, J=7.5 Hz, 1H), 1.23 (dd, J=4.9, 6.5 Hz, 1H). 13C-NMR (100 MHz, d4-MeOH): Δ141.0, 133.7, 132.2, 132.0, 130.6, 128.4, 51.7, 49.1, 31.8, 24.9, 16.5. 산술값 C11H13Cl3NO0 .5: C, 48.29; H, 4.79; N, 5.12; Cl, 38.88. 실측: C, 48.35; H, 4.87; N, 5.07; 38.55. (미국 특허 출원 No. 11/740,667 참조)
실시예 IV
(+)-1-(3,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로 [3.1.0] 헥산 염화수소의 제조 방법
[00139]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 헥산 염화수소는 하기와 같은 미국 특허 출원 No. 12/428,399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서도 제조될 수 있다:
스텝 1: α- 브로모 -3.4- 디클로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합성
[00140] 12 kg의 물과 140 kg의 98% 황산의 혼합물에 1.25 시간에 걸쳐 100 kg의 3,4-디클로로페닐아세토니트릴을 나누어 첨가하였다. 최대 65℃로 발열을 허용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을 60-65℃로 30 분간 유지하였다. 50℃까지 냉각 후, 80 kg의 메탄올을 25-30 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92-98℃로 데워 이 온도에서 3 시간 더 유지시켰다. 35℃로 냉각 후, 150 L 에틸렌 디클로라이드와 250 L 물의 진탕 혼합물 (0-5℃로 미리 냉각)에 상기 반응 혼합물을 퀀칭시켰다. 반응기 및 라인을 물로 수세하여 퀀칭 혼합물 내로 넣고, 이것을 5 분간 진탕, 층을 이루도록 하였다. 아래쪽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층을 2 x 150 L의 에틸렌 디클로라이드로 수세하였다. 배합 유기층을 100 L의 물로 물로 수세한 후, 수성 탄산나트륨 (100 L 물 중 3 kg 탄산나트륨)으로 수세하였다. 원료 에스테르 용액을 60-62℃의 진공에서 공비 "건조"하고, 그 결과 100 L의 에틸렌 디클로라이드를 모았다. 이론적인 수율을 분리 없이 가정하여, 상기 용액을 "그대로" 하기 브롬화 반응에 사용하였다.
[00141] 원료 메틸 3,4-디클로로페닐아세테이트 용액 (라인-여과)(상기)와 88 kg의 1,3-디브로모-1,3-디메틸히단토인 (DBDMH)의 혼합물을 80℃로 데워, 85-90℃를 유지하면서 (환류 조건하) 15 L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중의 2.5 kg VAZO 52 용액을 5 시간에 걸쳐 나누어 첨가하였다. 그 후, 8.8 kg의 DBDMH를 추가로 첨가하고, 85-90℃를 유지하면서 (환류 조건하) 4 L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중의 0.5 kg VAZO 52 용액을 2.5 시간에 걸쳐 나누어 첨가하였다. 그 후, 가열을 중단하고, 진탕하면서 350 L의 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에서 층이 나뉘도록 하여, 아래쪽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층을 50 L의 에틸렌 디클로라이드로 수세하였다. 배합 유기층을 수성 티오술페이트 (150 L 물 중의 5.0 kg 티오술페이트나트륨), 수성 탄산나트륨 (150 L 물 중의 2.5 kg 탄산나트륨) 및 희석 염산 (100 L 물 중의 5.4 L 32% HCI)으로 수세하였다. 유기층을 라인-여과하고 "건조"되도록 진공 증류하였다 (83℃로 최대 진공). 남은 에틸렌 디클로라이드를 20 kg 톨루엔 (83℃로 최대 진공)으로 날렸다. 원료 α-브로모-3,4-디클로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82 kg의 톨루엔에 넣어 40℃로 냉각하고 스틸 드럼으로 방출시켰다. 생성물은 분리되지 않았고 스텝 2에서 "그대로" 사용되었다. 이론적인 수율은 산술 목적으로 가정되었다.
스텝 2: 1-(3,4- 디클로로페닐 -1,2- 시클로프로판 - 디카르복시산 디메틸 에스테르
[00142] 스텝 1의 원료 α-브로모-3,4-디클로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55.6 kg의 메틸 아크릴레이트와 잘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잘 진탕하면서 미리 냉각된 (-2℃) 500 L 톨루엔 중의 54.4 kg 칼륨 메톡사이드 혼합물 (아르곤 블랭킷)에 5.5 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 +10℃로 유지시켰다. 브린 냉각 (-5℃)하며 밤새 둔 후 (5 psig 아르곤), 냉각 반응 혼합물을 250 L의 물과 30 kg의 32% 염산에 잘 진탕하면서 퀀칭시켰다. 추가 30 분간 잘 진탕하면서 상기 혼합물에 200 L의 물과 2.5 kg의 탄산칼륨을 첨가하였다. 층 분리 후, 아래쪽 수층을 분리하고 150 L의 물과 1.0 kg의 탄산칼륨을 유기층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 분간 진탕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아래쪽 수층 뿐 아니라 계면 에멀전도 분리 제거하였고, 유기층을 1 L의 32% 염산을 함유하는 100 L의 물로 수세하였다. 아래쪽 수층의 층분리 ㅁ미및 분리 후, 유기 층을 라인-여과하고 "건조"되도록 진공 증류하였다 (65℃로 최대 진공). 진탕하면서 상기 뜨거운 잔여물에 70 kg의 메탄올을 첨가하였다. 상기 ㅎ호혼합물을 -5℃로 냉각시키고 (+10℃에서 씨딩) 이 온도에서 밤새 유지시켰다. 농후한 냉각 현탁액을 석션-여과하고 (Nutsche), 1-(3,4-디클로로페닐)-1,2-시클로프로판-디카르복시산 디메틸 에스테르의 케이크를 석션 건조하고, 2 x 20 L 헥산 수세하여, 30 분간 석션 건조하고 실온에서 2 일간 종이에서 (랙) 외기 건조하였다.
[00143] 8 시간에 걸쳐 잘 진탕하면서 상기 메탄올 액상에 50 kg의 가성 소다 플레이크를 나누어 첨가하였다. 가싱 (gassing) 및 느린 발열 (최대 60℃)이 멈춘 후, 진한 현탁액은 1 시간 동안 50℃에서 방치되었다. 100 L의 이소프로판올을 10 분에 걸쳐 서서히 첨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서서히 진탕하였다. rhc를 석션-여과하고 (Nutsche) 80 L의 메탄올로 재차 슬러리화하였다. 결과물 1-(3,4-디클로로페닐)-1,2-시클로프로판-디카르복시산 이나트륨염을 석션-여과하고 (Nutsche), 메탄올로 수세 (40 L), 1 시간 동안 석션 건조하고 종이 (랙) 위에서 외기 건조하였다.
스텝 3: 1-(3.4- 디클로로페닐 )-1,2- 시클로프로판 - 디카르복시산의 합성
[00144] 42.0 kg의 1-(3,4-디클로로페닐)-1,2-시클로프로판-디카르복시산 이나트륨염 (스텝 2)과 120 L의 탈이온수의 현탁액을 30-35℃로 데우고, 상기 용액을 라인-여과하고 30 kg의 32% 염산으로 중화하여 유리 디카르복시산을 침전시켰다. 120 kg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40-50℃로 데워 용액을 만들었다. 아래쪽 수층을 분리하여 20 kg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수세하였다. 배합된 유기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30 L 물 중의 3 kg)으로 수세한 후, "건조"되도록 진공 증류하였다 (70℃로 최대 진공). 따뜻한 잔여물에 60 kg의 에틸렌 디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서서히 진탕하면서 -5℃로 밤새 냉각하였다. 남은 에틸 아세테이트를 날려 (43℃로 최대 진공) 농후한 현탁액을 얻었고, 이것을 그 후 -5℃로 최대 진공하에 2.5 시간에 걸쳐 냉각한 후 석션-여과하였다 (Nutsche). 1-(3,4-디클로로페닐)-1,2-시클로프로판-디카르복시산 케이크를 냉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2 x 5 L)로 수세하고, 실온의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4 x 5 L)로 수세하였다. 디카르복시산 생성물을 15 분간 석션 건조하고 종이 (랙) 상에서 외기 건조하였다.
[00145] 31.0 kg의 1-(3,4-디클로로페닐)-1,2-시클로프로판-디카르복시산 디메틸 에스테르 (스텝 2), 40 L의 물, 35 kg의 메탄올 및 18.0 kg의 50% 가성 소다의 혼합물을 70-75℃ (환류 조건하)로 데워 70-75℃에서 1.5 시간 유지시켰다. 그 후, 10 L의 물을 첨가하고 추가 2 시간 동안 상기 혼합물을 75-77℃에서 유지하였다. 70℃ 진공에서 메탄올을 서서히 증류해 내어 진한 현탁액을 얻었고, 이것을 그 후 80 L의 물과 혼합하여 용액을 만들었다. 유리 디카르복시산을 31 kg의 32% 염산으로 침전시켜 100 kg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아래쪽 수층을 분리하고 20 kg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수세하였다. 배합된 유기층을 50 L의 물로 수세한 후,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수세하였다. 최대 진공 80℃의 진공 증류로 농축 1-(3,4-디클로로페닐)-1,2-시클로프로판-디카르복시산을 얻었고, 이것을 다음 스텝, 이미드로의 결정화에 "그대로" 사용하였다. 디에스테르로부터의 정량적 수율은 ㅅ산술적 목적으로 가정되었다.
스텝 4: 1-(3,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로 [3.1.0] 헥산 -2,4- 디온의 합성 및 재결정화
[00146] 1-(3,4-디클로로페닐)-1,2-시클로프로판-디카르복시산의 슬러리 (스텝 3)를 45.6 kg의 따뜻한 (68℃) 포름아마이드에 첨가하고, 남은 에틸 아세테이트를 68-73℃의 최대 진공으로 증류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14.4 kg의 포름아마이드를 추가로 첨가한 후, 11.2 kg의 디카르복시산 (스텝 3, 이나트륨염으로부터 유래)를 첨가하였다. 이하 과정 중에는 상기 혼합물 상에 아르곤 블랭킷을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73-75℃에서 15 분간 진탕하여 완전히 용액으로 만든 후, 140-145℃까지 1 시간에 걸쳐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추가로 2.25 시간 유지시켰다. 가열을 중단하고, 상기 혼합물을 70℃로 냉각하여 30 분에 걸쳐 20 ml 32% HCI를 함유하는 10 L의 물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씨딩하였고 결정화가 개시되었다. 상기 진한 현탁액에 2 시간에 걸쳐 추가로 20 L의 물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실온 조건에서 밤새 둔 후, 상기 실온에서 1.25 시간 진탕 후 석션-여과하였다 (Nutsche). 원료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2,4-디온의 케이크를 물 (3 x 20 L)로 수세, 30 분간 석션-건조 및 실온에서 2 일간 종이 (랙) 위에서 외기-건조하였다.
[00147] 37 kg의 눅눅한 원료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2,4-디온 (상기 스텝 4)과 120 L의 톨루엔의 혼합물을 75-80℃로 데워 용액으로 만들었다. 층을 나누고 남은 물 (3.3 kg)을 분리한 후, 1 kg의 Darco G-60 활성화 카본 (American Norit Co.) (5 L 톨루엔에 현탁)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80℃에서 30 분간 진탕한 후 10 μm 인-라인 필터로 폴리싱된 예열 Sparkler (필터에이드로 미리 코팅됨)를 통하여 가압 여과하였다. 투명한 연황색 용액을 75-80℃에서 진공 농축하여 최종 부피 100 L로 맞추고 70℃에서 씨딩, 서서히 냉각하였다. 진한 결정 현탁액을 -5℃로 냉각하여 이 온도에서 30 분간 방치하고 석션-여과하였다 (Nutsche). 정제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2,4-디온의 케익크를 2 x 10 L의 냉톨루엔 (-10℃)로 수세한 후, 2 x 20 L의 헥산으로 수세하였다. 30 분간 석션 건조한 후, 2,4-디온 생성물을 진공 건조하였다 (≤62℃).
스텝 5: (±)-1-(3.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로 [3.1.0] 헥산 염화수소의 합성 및 정제
[00148] BH3-THF 복합체를 2 L의 첨가 깔대기 (9 x 2 L, 그 후 1 x 1.5 L)에 충전하고 50 L 플라스크에 붓는다.
[00149] 1000 g의 (±)-1-(3,4 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2,4-디온을 2 L의 THF에 용해시키고 BH3-THF에 2 시간에 걸쳐 첨적한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도록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밤새 둔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10℃로 냉각, <20℃에서 1200 mL의 6N HCI을 추가로 첨적하여 pH 2로 맞추고, 최소 1 시간 교반한다.
[00150] 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을 10 L 부치 플라스크로 옮겨 우유와 같은 흰색 페이스트로 농축하고 다시 5 갤런 컨테이너로 옮긴다. 혼합물을 4 L의 냉수로 희석하고 2000 mL의 25%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pH 10으로 맞춘다. <20℃의 온도를 유지한다. 이후, 4.5 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5 분간 교반한다. 그 후, 이 용액을 필터 클로스를 갖는 10 인치 깔대기로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250 mL)로 수세한다.
[00151] 그 후, 여과물을 40 L의 분별 깔대기로 옮기고 층이 분리되도록 한다. 그 후, 각 층을 개별적인 5 갤런 컨테이너로 붓는다. 수층은 40 L 분별 깔대기로 돌려보내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2 L)로 추출한다. 유기층은 배합된다. 수층은 폐기된다.
[00152] 배합된 유기물에 250 g의 황산마그네슘과 250 g의 숯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잘 교반한다. 그 후, 필터 패드를 이용하여 이 용액을 18.5 cm 깔대기로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250 mL)로 수세한다. 그 후, 여과물을 10 L 부치 플라스크로 옮기고 건조 농축한다. 결과물인 누르스름한 오일을 에틸 아세테이트 (2.25 mL/g)로 희석한다.
[00153] HCI 가스를 10 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담고 있는 12 L 플라스크를 통하여 기포화하여 대략 2.3 M의 HCI/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제조한다. 아이스/수조를 이용, <20℃의 온도를 유지하는 속도로 상기 오일에 이 HCI/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첨적한다. 그 후, 최소 2 시간 동안 용액을 아이스/수조에서 <10℃로 교반한다. 상기 물질은 밤새 콜드룸에서 냉각된다.
[00154] 그 후, 필터 클로스를 이용, 10 인치 깔대기로 결과물 고체를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200 mL) 및 에틸 에테르 (3 x 500 mL)로 수세한다. 원료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염화수소 생성물을 그 후, 파이렉스 건조 트레이로 옮겨 4 시간 건조한다.
[00155] 1900 g의 상기 원료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염화수소 및 15.2 L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22 L 플라스크에 충전한다. 혼합물을 가열하여 모든 물질을 용해시킨다.
[00156] 그 후, 필터 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물질을 18.5 cm 깔대기로 여과하고 22 L 플라스크로 옮긴다. 그 후, 이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한다. 교반 후, 아이스/수조를 이용하여 상기 용액을 4℃로 냉각시키고 3.75 시간 동안 교반한다. 그 후, 생성물을 밤새 콜드룸에 방치한다.
[00157] 그 후, 상기 고체를 필터 클로스를 이용하여 13 인치 필터로 여과하고 에틸 에테르 (3 x 633 mL)로 수세한다. 그 후, 상기 생성물을 2 시간 동안 외기 건조한다.
[00158] 순수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염화수소인 생성물을 깨끗한 파이렉스 건조 트레이로 옮기고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한다.
스텝 6: (±)-1-( S3 ,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로[3.1.0]헥산 염화수소의 (+)-1-(3,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로[3.1.0]헥산 염화수소로의 분리
[00159] 60 L의 15% NaOH를 담고 있는 50 갤런 반응기에, 대략 20℃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13.6 kg의 순수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염화수소 (상기 스텝 5)를 첨가한다. 일단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염화수소의 첨가가 완료되면, 최소 8 시간 동안 실온에서 상기 반응 혼합물이 교반되도록 한다.
[00160] 상기 반응기에 40 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맑은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2-상 혼합물을 교반한다 (약 2 시간). 상이 분리되도록 하고 유기층을 다른 50 갤런 반응기로 옮긴다. 남은 수층은 에틸 아세테이트 (6 x 6 L)로 추출한다. 모든 유기층을 50 갤런 반응기 내로 배합한다. 유기상을 건조하고 4000 g의 황산마그네슘과 250 g의 숯을 첨가하여 탈색화한다. 그 후, 혼합물을 인-라인 필터로 여과한다. 여과물을 인-라인 필터를 통하여 50 갤런 반응기로 옮긴다.
[00161] 다른 50 갤런 반응기에서, 71 L의 메탄올에 23,230 g의 L-(-)-디벤조일 타르타르산을 교반하면서 용해시킨다 (대략 30 분). 필요하다면 상기 용해는 가열로 보조된다.
[00162] 상기 여과물을 담고 있는 반응기에, 대략 1 시간에 걸쳐 15-2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첨가 깔대기를 통하여 상기 L-(-)-디벤조일 타르타르산 메탄올 용액을 첨가한다. 첨가가 완료된 후, 15-25℃에서 대략 16 시간 동안 상기 혼합물을 교반한다. 교반 후, 혼합물에 50 L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추가 30 분간 다시 교반한다. 플레이트 필터 상에서 결과물인 고체를 여과한다. 그 후, 고체를 메탄올 (3 x 5 L)로 수세하고 가압 건조한다. 원료 고체를 칭량하고 80 L의 메탄올이 더해진 50 갤런 반응기로 옮긴다. 혼합물이 환류되도록 가열하고 대략 30 분간 환류하면서 교반한다. 그 후, 혼합물을 15-20℃로 냉각하고 이 온도에서 대략 2 시간 교반한다. 폴리프로필렌 필터 클로스를 이용하여 결과물인 고체를 플레이트 필터 상에서 여과한다. 케이크를 메탄올 (3 x 5 L)로 수세하고 가압 건조한다. 고체를 타르를 칠한 5 갤런 컨테이너에 옮겨 칭량한다 (수율 ~ 20 kg).
[00163] 그 후, 대략 2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고체를, 60 L의 15% NaOH를 담고 있는 50 갤런 반응기 베젤에 첨가한다 (대략 1 시간에 걸쳐). 일단 고체의 첨가가 완료되면 상기 반응 혼합물을 대략 19 시간 동안 교반한다.
[00164] ≤3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40 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반응기로 충전하고, 맑은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대략 2 시간) 2-상 혼합물을 교반한다. 상이 분리되도록 하고, 유기층을 다른 50 갤런 반응기로 옮긴다. 남은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6 x 6 L)로 추출한다. 모든 유기층을 50 갤런 반응기에 배합한다. 그 후, 5000 g의 황산마그네슘을 상기 유기상에 첨가한다. 그 후, 인-라인 필터를 통하여 상기 혼합물을 여과한다. 인-라인 필터를 통하여 50 갤런 반응기로 상기 여과물을 옮긴다. 총부피 20-30 L로 상기 여과물을 농축한다.
[00165] 22 L 쓰리 목 라운드 바텀 플라스크에서, 12 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통하여 HCl 가스를 기포화하여 대략 2.3 M의 HCI/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제조한다. 적정 분석 후,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HCI 가스 중 하나를 첨가함으로써 용액을 정확히 2.3 M로 맞춘다.
[00166] ≤20℃의 온도를 유지하고 pH 2가 되도록 하면서 상기 2.3 M의 HCI/에틸 아세테이트 용액 8.2 L를 여과물 (상기)에 첨가한다 (대략 1.5 시간에 걸쳐). 일단 첨가가 완료되면 16 시간 동안 0 내지 -5℃에서 상기 혼합물을 교반한다.
[00167] 폴리프로필렌 필터 클로스를 이용하여 결과물 고체인 원료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염화수소를 플레이트 필터 상에서 여과한다. 그 후, 상기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2 x 2 L), 아세톤 (2 x 2 L) 및 에틸 에테르 (2 x 2 L)로 수세하고 진공하에서 건조한다. 상기 물질을 타르를 칠한 5 갤런 폴리에틸렌 컨테이너로 옮기고 칭량한다.
스텝 6a: 이소프로판올로부터 (+)-1-(3.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로3 .1.01헥산 염화수소의 재결정화
[00168] 고체 (상기 스텝 6)를 50 갤런 반응기로 옮기고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한다 (고체 g당 8-10 mL). 혼합물이 환류되도록 가열한다. 인-라인 필터로 용액을 여과하여 다른 50 갤런 반응기로 넣는다. 용액을 0 내지 -5℃로 냉각하고 약 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이 온도를 유지한다. 결과물인 고체를 폴리프로필렌 필터 ㅋ클로스를 이용, 플레이트 필터 상에서 여과한다. 그 후,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2 x 2 L), 아세톤 (2 x 2 L) 및 에틸 에테르 (2 x 2 L)로 수세한다. 진공하에서 상기 고체를 건조한다.
[00169] 생성물,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염화수소를 타르를 칠한 깨끗한 건조 트레이로 옮긴다. 이 트레이를 진공의 깨끗한 건조 오븐에 넣는다. 일정 중량까지 이 생성물을 50℃에서 건조한다. 이 물질은 < 10mm Hg에서 최소 12 시간 동안 건조된다. 이 생성물은 각 다형이 혼합물 내에서 약 50 중량%로 존재하는 다형 A와 다형 B의 혼합물이었다. 이 생성물을 하기 실시예 V,VI, 및 VII에서 출발 물질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V
(+)-1-(3,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로[3.1.0]헥산의 다형 B의 제조
[00170] 미국 특허출원 No. 12/428,399에서와 같이, 실시예 IV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염화수소염의 다형 A 및 다형 B 50 중량% 혼합물 시료 20 mg을 0.5 ml의 수성 에탄올에 용해시켰다. 이 혼합물 20 mg을 0.5 mL의 물에 용해시켜 다른 시료를 제조하였다. 2 가지 용액 모두를 0.2 미크론 나일론 필터로 여과하였다. 그 후, 여과된 2 가지 용액을, 일부 시료는 부분적으로 커버를 덮고 나머지 시료는 완전히 열어 실온하에서 증발되도록 두었다. 6 일 후, 열어두거나 부분적으로 덮어둔 2 가지 에탄올 용액 시료 모두가 증발되었다. 7 일 후, 열어둔 수용액이 증발되었다. 15 일 후, 부분적으로 덮어둔 수용액이 증발되었다. 각 시료에 대하여, 용매가 완전히 증발된 후 (수성 에탄올 또는 물 중 어느 하나), 20 mg의 건조 고체 잔여물이 남았다. 생성된 모든 시료 중의 고체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염화수소염의 순수한 다형 A였고 전술한 레이만 분광분석 및 XRPD 분석으로 증명되었다.
실시예 VI
(+)-1-(3,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로[3.1.0]헥산의 다형 B의 제조
[00171] 미국 특허출원 No. 12/428,399에서와 같이, 실시예 IV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염화수소염의 다형 A 및 다형 B 50 중량% 혼합물 시료 40 mg을 0.5 mL의 무수 아세토니트릴과 혼합하여 약 80-100 mg/mL의 농축물을 제조하고, 결과물 시료를 50℃ 내지 80℃ 사이의 다양한 온도에서 다양한 시간 동안 (일부는 약 50℃에서 4 일 및 6 일, 일부는 약 80℃에서 1 일) 교반하였다. 결과물 시료는 각각 맑은 액체와 일부 고체의 혼합물이었다. 맑은 액체 중의 가스를 날리고, 남은 고체를 실온에서 1 시간 내지 2 일 (50℃ 시료), 또는 6 일 (80℃ 시료)간 진공 건조하여 순수한 다형 B 결정을 얻었다. 생성된 모든 시료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염화수소염의 순수한 다형 B 결정이었고 전술한 레이만 분광분석 및 XRPD 분석으로 증명되었다.
실시예 VII
(+)-1-(3,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로[3.1.0]헥산의 다형 C의 제조
[00172] 실시예 IV에서 제조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염화수소염의 다형 A 및 다형 B 50 중량% 혼합물 51 mg을 바이알 내로 넣었다. 핀홀 구멍을 낸 알루미늄 호일로 바이알을 덮고 4 일간 80℃의 오븐에 두어 (+)-1-(3, 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염화수소염의 순수한 다형 C 결정을 생성시켰고, 전술한 레이만 분광분석 및 XRPD 분석으로 증명되었다.
실시예 VIII
(+)-1-(3,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로[3.1.0]헥산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 시클로[3.1.0]헥산의 활성 비교
노르에피네프린 트랜스포터 결합 분석
[00173] 문헌 [Raisman et al., Eur. J. Pharmacol. 78:345-351 (1982)] 및 [Langer et al., Eur. J. Pharmacol. 72:423 (1981)]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노르에프네프린 결합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용체 제공원은 래트 전뇌 막 (membranes)이었고; 방사선 리간드는 최종 리간드 농도 1.0 nM의 [3 H]-니조젝틴 (60-85 Ci/mmol); 비특이적 결정자 [1.0 μm]; 레퍼런스 화합물 및 양성 대조군은 (±)-데스메틸이미프라민 HCl이었다. 전술한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HCl을 얻었다. 반응은 0℃ 내지 4℃에서 4 시간 동안 300 mM NaCl 및 5 mM KCl 함유 50 mM TRIS-HCl (pH 7.4)에서 수행되었다. 글래스 섬유 필터상에서 신속 진공 여과함으로써 반응을 종결시켰다. 시험 화합물과 노르에프네프린 흡수 위치 사이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필터에 걸린 방사선활성을 측정하고 대조군 값과 비교하였다. 하기 표 5에서와 같이 데이터가 보고되었다.
표 5
노르에피네프린 트랜스포터 결합 분석
Figure pct00008
[00174] 표 5에 나타난 결과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HCl이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HCl보다 노르에피네프린 흡수 위치에 대하여 현저히 큰 친화력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노르에프네프린 재흡수를 성공적으로 저해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우울증 증상 치료와 관련되어 있다 (문헌 [R. J. Baldessarini, Drugs and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Depression and Mania, in Goodman&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431-459 (9th ed. 1996)] 참조). 그러므로, 환자의 우울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그의 약학적 허용염은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그의 허용염보다 그 활성이 더욱 현저할 것이다.
세로토닌 트랜스포터 결합 분석
[00175] 문헌 [D'Amato et al., J. Pharmacol. Exp. Ther. 242:364-371 (1987)] 및 [Brown et al., Eur. J. Pharmac. 123:161-165 (1986)]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세로토닌 결합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용체 제공원은 래트 전뇌 막 (membranes)이었고; 방사선 리간드는 최종 리간드 농도 0.7 nM의 [3 H]-시탈로프람 (70-87 Ci/mmol); 비특이적 결정자는 클로미프라민 [10 μm]; 레퍼런스 화합물 및 양성 대조군은 (±)-데스메틸이미프라민 HCl이었다. 전술한 실시예 5의 방법에 따라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HCl을 얻었다. 반응은 25℃에서 60 분 동안 120 mM NaCl 및 5 mM KCl 함유 50 mM TRIS-HCl (pH 7.4)에서 수행되었다. 글래스 섬유 필터상에서 신속 진공 여과함으로써 반응을 종결시켰다. 액체 신틸레이션 분광분석으로 필터에 걸린 방사선활성을 측정하고 시험 화합물과 세로토닌 트랜스포터 결합 위치 사이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조군 값과 비교하였다. 하기 표 6에서와 같이 데이터가 보고되었다.
표 6
세로토닌 트랜스포터 결합 분석
Figure pct00009
[00176] 표 6의 결과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HCl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HCl보다 세로토닌 흡수 위치에 대하여 현저히 큰 친화도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세로토닌 재흡수를 성공적으로 저해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우울증 증상 치료와 관련되어 있다 (문헌 [R. J. Baldessarini, Drugs and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Depression and Mania, in Goodman&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431-459 (9th ed. 1996)] 참조). 그러므로, 환자의 우울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그의 약학적 허용염은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그의 허용염보다 그 활성이 더욱 현저할 것이다 (미국 특허 No. 6,372,919).
실시예 IX
주요 우울증 장애 치료에 있어서 (+)-1-(3,4- 디클로로페닐 )-3-아자비 시클 로[ 3.1.0]헥산의 효능
[00177] 18-65세 (inclusive)의 대상자를 찾았으며, 정신과 장애-IV-TR의 진단 및 통계 매뉴얼에 따른 주요 우울증 장애 기준에 해당하였고 MINI 국제 신경정신과 인터뷰로 확인하였다. 스크리닝 방문시, 대상자들은 베이스라인의 해밀튼 우울증 비율 스케일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AMD-17) ≥22였고, 항목 1에 대하여 중증도 ≥2, 해밀튼 불안 스케일 비율 (rating on the Hamilton Anxiety Scale)(HAM-A) < 17이었다. 또한, 이들에게는 스크리닝 방문시 BMI ≤35이고 체중 > 45 kg일 것이 요구되었다.
[00178] 항우울제 치료 내성인 것으로 알려지거나 공황 장애, 사회 공포증, 범 불안 장애, 강박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약물 남용, 식욕 부진, 식욕 이상 항진, 반사회적 인격 장애 또는 양극성 장애등 기타 주요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료 및/또는 기타 정신 질환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자살 위험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이들은 제외되었다. 또한, 위약 런-인 (run-in) 방문과 베이스라인 방문 사이에 HAMD-17 스코어가 15% 이상 감소한 환자들은 제외되었다.
[00179] 대상자들은 연구 2 주 전부터 시작하여 추적 (follow-up) 방문 이후까지 항우울제, 가바펜틴과 프레가발린 등의 항경련제, 신경 이완제, MAO 억제제, 바르비투르산염, 벤조디아제핀, 자극제, 항정신성 약물, 리튬, 항불안제 및 베타 차단제의 복용을 삼가할 것을 요구받았다.
[00180] 대상자들은 다양한 수단, 예컨대 심전도, 신체 검사, 활력 징후와 체중, 그리고 지질 패널을 포함하는 임상 실험실 테스트, 일반혈액검사 (CBC with differential) 및 소변 검사로 시험 전 및 시험 과정을 통하여 안전성 파라미터에 대하여 평가되었다. 총 빌리루빈,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 (alkaline phosphatase), ALT (SGPT), AST (SGOT), 혈중 요소 질소 (BUN), 크레아티닌, 글루코오스, 요산, 칼슘, 인, 총 단백, 알부민, 총 콜레스테롤, LDL, HDL, 트리글리세리드, 나트륨, 칼륨, 중탄산염, 염소, GGT 및 크레아틴 키나아제, 헤파티티스 B, C 및 HIV 혈청학, TSH, 여성에 대한 약물 스크리닝 및 혈청 임신 테스트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 안전성 파라미터에 의하여 제외되지 않은 63 명의 가능한 대상자가 선정되었다. 이들 63 명의 대상자들은 주요 결과 측정치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조합된 (위약 및 EB-1010) 평균 베이스라인 스코어를 나타내었다: MADRS (31.4) (1차); HAMD-17 (29.6) (2차); 및 DISF-SR (25.38). 63명의 대상자들은 무작위로 25 mg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2 주간 하루에 2회 투여받은 후 4 주간 50 mg을 하루에 2회 투여받던지, 또는 하기의 스케쥴에 따라 위약을 투여받았다:
표 7
투여 스케쥴
Figure pct00010
[00181] 하기 사건 스케쥴에 따라 방문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00182] 방문 1: 스크리닝 방문:
[00183] 스크리닝 방문 (방문 1)시, 하기의 것을 얻거나/수행하였다.
[00184] * 서면 동의
[00185] * 다음을 포함하는 의료 기록:
[00186] - 관련 통계 정보
[00187] - 세부 의료 및 수술 기록, 전신 검토 등
[00188] 가능하다면, 환자의 의료 기록은 의료 기록에 의해 확인되었다.
[00189] * 종전 약물 : 스크리닝 방문 전 30 일간 환자가 섭취한 약물이 기록되었다.
[00190] * AE 평가
[00191] * 키 (cm)
[00192] * 체중 (kg) BMI를 측정하였고 무작위 대상 환자는 ≤ 35이었다.
[00193] * 신체 검사 완료
[00194] * MINI 진단 시험
[00195] * 바이탈 사인 (호흡 속도, 구강 온도 (℃), 혈압, 맥박). 혈압과 맥박은 두 번 측정: 누운 자세로, 5 분 이상 누워서 휴식한 후 일어서고 2 분 이상 3 분 미만에 측정.
[00196] * 금식 임상 실험실 검사 (화학, 일반혈액검사 및 소변 검사)
[00197] * 헤파티티스 B, C 및 HIV 혈청학, TSH
[00198] * 휴식 12 - 리드 ECG
[00199] * 소변 약물 검사
[00200] * 임신 검사 (여성; 혈청)
[00201] * 포함 및 배제 기준 검토
[00202] * HAM-A (등록시 스코어 <17이 필요)
[00203] 방문 2 : 위약 런-인 방문:
[00204] 다음 과정이 수행되었다:
[00205] * 병용 약물 기록
[00206] * AE 평가
[00207] * 포함 및 배제 기준 검토
[00208] * HAMD-17 : 연구에 적당하려면, 총 HAMD-17 스코어 ≥ 22이고 항목 1의 HAMD-17 스코어 ≥ 2여야 한다.
[00209] * 적당하다고 여겨진 환자는 하나의 맹검 위약 블리스트 패키지 (방문 2 블리스터)를 소비하였다. 베이스라인/1일 방문 (방문 3) 전 7 일간 캡슐을 섭취하였다. 위약의 제1 투여는 가벼운 식사 후 물 240 mL과 함께 병원에서 이루어졌다.
[00210] * 환자는 날짜, 시간 및 각 복용시 복용량을 기록하는 다이어리를 제공받았다.
[00211] 환자 약물 다이어리: 마지막 방문 (추적 방문, 방문 9)을 제외한 위약 런-인 방문 (방문 2) 및 이후의 각 방문시 환자들은 다이어리를 제공받았다. 환자들은 날짜, 시간 및 각 연구 약물 복용의 복용량을 다이어리를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다음 스케쥴 방문시 다이어리를 모아 복용 준수 사항을 검토하고 새로운 다이어리를 배부하였다.
표 8
스크리닝 후 사건 스케쥴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00212] 몽고메리 아스베르그 우울증 평가 척도 (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MADRS), HAMD-17, 임상 글로벌 인상 글로벌 개선 척도 (Clinical Global Impression Global Improvement Scale, CGI-I), 임상 글로벌 인상-중증도 척도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scale, CGI-S) 및 자가 성기능 보고서에 대한 데로가티드 인터뷰 (Derogatis Interview for Sexual Functioning Self-Report, DISF-SR)에 있어서 베이스라인으로부터의 변화를 측정하여 효능을 결정지었다. 2 개의 연구군이 연구되었다: 임의의 확인된 복용을 하고 1회 이상의 베이스라인 방문 후 MADRS 데이터가 있는 모든 무작위 대상자 (EB-1010-치료 환자 30 명 및 위약 투여 환자 26 명)에 대하여 정의된 수정 치료 목적 (Modified Intent to Treat, MITT, N = 56), 6 주간의 치료를 완료한 MITT 대상자 EB-1010 환자 20 명 및 위약 치료 환자 19 명)의 하부세트로 정의되는 완성자들 (N = 39). 공변량으로 대상자, 방문, 치료 가지 및 베이스라인 값에 대한 인자를 ㅍ포DR함하는 혼합 반복 측정 (MMRM)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MADRS (1차 효능 파라미터), HAMD-17, 쾌락불감증, DISF-SR, CGI-I 및 CGI-S 스코어에 기초한 치료군들 간의 비교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들 모델의 조정된 최소 제곱 평균이 제시되어 있다. 군들간의 비교는 모델 기반의 대조와 조정된 자유도를 이용하여 각 베이스라인 방문 후에 이루어졌다. 이 분석에 대하여, 어떠한 명시적 데이터 귀속도 분석 전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응 및 감소 범주 데이터는 카이 제곱 테스트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안전 데이터의 추론 분석은 ANOVA 모델이나 카이 제곱 테스트를 사용하여 시행되었다. 투-테일 알파 (two-tail alpha)는 0.05로 설정하였다. 모든 분석을 SAS 9.2 버전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00213] 치료 목적 (intent-to-treat, ITT) 군 (n=56)은 주요 결과 측정치에 대하여 하기의 조합된 (위약 및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평균 베이스라인 스코어를 보여주었다: MADRS (31.4) (1차); HAMD-17 (29.5) (2차); 및 DISF-SR (25.8).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중 맹검 처리 (6주) 마지막에, MADRS 총 스코어에 있어서 베이스라인으로부터의 추정 LS 평균 변화 (MMRM 또는 조합된 모델 반복 측정치)는 위약과 비교하였을 때 총 통계 효ㄱ과 사이즈 0.63 (Cohen’s d)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에 대하여 통계학적으로 현저히 우수하였다 (18.16 vs 21.99; p=0.028).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선 상태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변화에 민감한 글로벌 임상 척도인 CGI-1으로 평가했을 때,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이용한 치료가 역시나 위약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우수하였다 (p=0.03; 6주; MMRM).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DRS의 쾌락불감 인자 스코어 그룹화 항목 1 (슬픔이 드러남), 2 (슬프다고 보고함), 6 (집중이 어려움), 7 (나른함) 및 8 (무기력감) (반복된 측정 LS 평균에 대한 혼합 모델 이용 분석)은 위약과 비교하여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에 우세하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입증하였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이 비교적 더 용인되었다. 각 치료군에서 2명의 환자들이 AE를 이유로 초기에 연구를 중단하였으나 어떠한 심각한 AE는 보고되지 않았다.
표 9
1차 및 2차 효능 측정의 차이를 갖는 최소 제곱 조정 평균
방문 8일에 측정 (MMRM,MITT)
Figure pct00013
[00214] 표 10 및 도 5 (추진된 방법의 마직막 관찰을 이용하여 분석된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 mg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이용한 치료가, 위약과 비교해 CGI-S 스코어 ≤2를 달성함으로써 정의되는 현저히 높은 감소율과 관련이 있었다.
표 10
반응 및 감소율 (방문 8, LOCF, 완성자들)
Figure pct00014
[00215] 또한, 많은 항우울제와는 달리, 도 7에서 나타난 것처럼, DISF-SR 스코어는 낮은 평균 베이스라인 스코어 (<25, 베이스라인에서 열악한 성기능을 표시) 대 높은 평균 베이스라인 스코어 (≥25, 베이스라인에서 성기능이 보존됨을 표시)로 나뉘었다. 낮은 베이스라인군 및 높은 베이스라인군 양자 모두에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100 mg과 위약 사이의 어떠한 차이점은 없고, 이것은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이용한 치료가 성기능장애의 발생과는 관련이 없음을 나타낸다.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처리의 효능은 1차 및 2차 표준 검증 우울증 결과 측정 (MADRS; 글로벌 중중도 및 개선) 뿐 아니라 MADRS의 쾌감불감 인자에 대하여도 관찰되었다. 또한, 표 11 및 12에서 보여지는 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이용한 치료는, 위약에 비하여 잘 용인되고 심박 속도, 수축기 또는 이완기의 혈압에 큰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부작용이 보고된 환자의 수 및 백분율은 2개의 치료군들 사이에 비슷했다 (EB-1010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에 대하여 10 또는 30.30% 대 위약에 대하여 11 또는 39.28%).
표 11
치료가 필요한 응급 이상 반응* (환자 %)
Figure pct00015
표 12
안전 군 (n=61)에서 방문 8에 선별된 바이탈 사인 및 실험실 수치에 있어서 베이스라인의 차이
Figure pct00016
또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이용한 치료는 체중 중가 또는 성기능 장애와는 관련이 없었다 (예컨대, 도 7 참조).
[00216] 이러한 2 기 연구 (phase 2 study)의 결과는 50 mg/일의 투여 복용량 이후 100 mg/일의 투여 복용량으로 EB-1010을 투여하면 MDD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효능은 1차 및 2차 표준 검증 우울증 결과 측정 (MADRS; 글로벌 중증도 및 개선) 뿐 아니라 MADRS의 쾌감불감 인자에 대하여도 관찰되었다. 결국, EB-1010을 이용한 치료가 잘 용인되었다. AE로 인한 중단율이 위약 및 EB-1010 치료군에서 유사하였고 체중 증가 또는 성기능 장애와는 무관하였다.
실시예
50 Mg . (+)-1-(3,4- 디클로로페닐 )-3- 아자비시클로[3.1.0]헥산 HCl 정제의 제조
[00217]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HCl의 염 50mg을 함유하는 즉시 방출 정제를 다음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하기의 표 13에서 "% 조성"은 조성 전체 중량에 대한 성분의 중량%이다.
Figure pct00017
실시예 XI
50 Mg . (+)-1-(3,4- 디클로로페닐 )-3- 아자비시클로[3.1.0]헥산 HCl 캡슐의 제조
[00219]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HCl의 염 50mg을 함유하는 즉시 방출 캡슐을 다음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하기의 표 14에서 "% 조성"은 조성 전체 중량에 대한 성분의 중량%이다.
실시예 XII
100 Mg . (+)-1-(3,4- 디클로로페닐 )-3- 아자비시클로[3.1.0]헥산 HCl 연장 방출 정제의 제조
[00221] 하루에 한 번,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HCl의 염 100mg을 함유하는 연장 방출 캡슐을 다음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하기의 표 15에서 "% 조성"은 조성 전체 중량에 대한 성분의 중량%이다.
Figure pct00018
[00222]상기 정제는 3/8" 둥근 형태의 표준 양면 볼록 정제로의 직접 압축에 의해 제조되었다. 사용된 미정질 셀룰로오스는 90 미크론 수준이다. 알파 전분이 정제에서 사용되었다. 메토셀 프리미엄 PR은 메토셀 K4 또는 메토셀 K100일 수도 있다. 각각의 정제는 예를 들면 5.5% Opadry II White (85F18422)로 코팅될 수도 있다.
실시예 XIII
100 Mg . (+)-1-(3,4- 디클로로페닐 )-3- 아자비시클로[3.1.0]헥산 HCl 연장 방출 정제의 용출
[00223] 실시예 II에 따라 제조된 정제의 용출 시험이 메토셀 K4 또는 K100을 함유하는 정제에 대해 수행되었다. 용출 시험은 37℃, 900 ml 물, USP 장치 2, 50 rpm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Figure pct00019
[00224] 용출 시험 결과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HCl의 염 형태의 연장 방출 정제에 대해 지연 용출 프로파일이 달성되었음을 확인한다. 상기 결과는 또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이 24시간 동안 거의 지속적인 또는 거의 동일 속도로 방출되었으며, 특히 2-12 시간 (120-720 분) 사이에 지속적인 또는 거의 지속/동일 속도로 방출되었음을 나타낸다. 24시간 동안 방출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양은 약 65% (K100M 코팅된 예에서는 68%) 내지 100%이고, 최초에 함유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이 78, 83 및 100 % 방출된 3개의 정제에 대해 전체 평균 83%가 방출되었다. 투여 12시간 후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양은 약 55% 내지 약 70% 이다.
[00225] 여기에 인용된 모든 문헌과 특허들은 예컨대 본 발명과 관련되어 이용된, 문헌에서 설명된 재료와 방법을 설명하고, 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기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상술한 문헌 및 문서 전체는 모두 본 출원의 출원일 이전에 공개되으며, 이들은 본 발명자들이 선행 발명에 의해 그와 같은 공개 내용을 예상할 수 없었음을 인정하는 것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참조
"Depress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Basile, A. S., et al., J. Pharmacol. Exp. Ther., 321:1208-1225 (2007)
Basile, A.; Janowsky, A.; Golembiowska, K.; Kowalska, M.; Tam, E.; Benveniste, M.; Popik, P.; Nikiforuk, A. et al. (2007). "Characterization of the antinociceptive actions of bicifadine in models of acute, persistent, and chronic pain".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321 (3): 1208-1225.
Beck, A.T., R.A Steer (1988) Manual for Beck Hopelessness Scale. Psychological Corp., Harcourt Brace Jovanovich San Antonio, TX
Beck, A.T., R.A Steer (1991) Manual for Beck Scale For Suicide Ideation.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Briley, M., Hum. Psychopharmacol. Clin. Exp. 19:S21-S25 (2004) [0449]Skolnick, P. in "Dopamine and glutamate in psychiatric disorders," W. Schmidt, Editor; Humana Press, Totowa, Chapter 9, pp. 199-214 (2005) [0450]Atkinson, J. H. et al., Pain 83:137-145 (1999)
Chandler GM, Iosifescu DV, Pollack MH, Targum SD, Fava M Validation of the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Antidepressant Treatment History Questionnaire (ATRQ) CNS Neurosci Ther. 2009 Sep 21. [Epub ahead of print]
Coric, Vladimir Stock, Elyse G Pultz, Joseph Marcus, Ronald Sheehan, David V. Sheehan Suicidality Tracking Scale (Sheehan-STS): Preliminary Results from a Multicenter Clinical Trial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sychiatry (Edgmont (Pa. : Township)) 2009 6 (1): 26-31.
Eshleman, A. J. et al., Journal of Pharmacology & Experimental Therapeutics 289:877-885 (1999)
Fava M, Davidson KG. Definition and epidemiology of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Psychiatr Clin North Am. 1996;19:179-200
Fava M, Evins AE, Dorer DJ, Schoenfeld DA. The problem of the placebo response in clinical trials for psychiatric disorders: culprits, possible remedies, and a novel study design approach. Psychother Psychosom. 2003;72(3):115-27
Fava M, Iosifescu DV, Pedrelli P, Baer 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ing questionnaire. Psychother Psychosom. 2009;78(2):91-7
Fava M, Rush AJ, Thase ME, Clayton A, Stahl SM, Pradko JF, Johnston JA. 1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ith bupropion HCl: from bupropion to bupropion SR to bupropion XL. Prim Care Companion J Clin Psychiatry. 2005;7(3):106-13
Fava M. Diagnosis and definition of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Biol Psychiatry. 2003;53(8):649-59
Fava M. Prospective studies of adverse events related to antidepressant discontinuation. J Clin Psychiatry. 2006;67 Suppl 4:14-21
First, Michael B., Williams, Janet B.W., Spitzer, Robert L., and Gibbon, Miriam: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TR Axis I Disorders, Clinical Trials Version (SCID-CT). New York: Biometrics Research, New York State Psychiatric Institute, 2007.
Frantz S. Drug discovery: playing dirty. Nature. 2005;437:942-3.
Graff, Ole et al. Results of two double blind Placebo and Active-controlled Studies of GSK372475, a Triple Monoamine Reuptake Inhibitor, in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CNP 2009)
Gardner, E.; Liu, X.; Paredes, W.; Giordano, A.; Spector, J.; Lepore, M.; Wu, K.; Froimowitz, M. (2006). "A slow-onset, long-duration indanamine monoamine reuptake inhibitor as a potential maintenance pharmacotherapy for psychostimulant abuse: effects in laboratory rat models relating to addiction". Neuropharmacology 51 (5): 993-1003.
Green, T. W. and Wuts, P. G. M.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N.Y., 1999
Gu, H., et al. J. Biol. Chem. 269:7124-7130 (1994)
Guy W. Clinician Global Impression (CGI). ECDEU Assessment Manual for Psychopharmacology. 1976. Rockville, MD, U.S. Department of Health,Education, and Welfare.
Hamilton M.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 1960, 23, 56.
Hamilton M.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for primary depressive illness. Br J Soc Clin Psychol. 1967;6(4):278-96
Hamilton, M. (1959). The assessment of anxiety states by rating.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32, 50-55.
Judd LL, Akiskal HS, Maser JD, Zeller PJ, Endicott J, Coryell W, Paulus MP, Kunovac JL, Leon AC, Mueller TI, Rice JA, Keller MB. Major depressive disorder: a prospective study of residual subthreshold depressive symptoms as predictor of rapid relapse. J Affect Disord. 1998;50(2-3):97-108
Judd LL, Paulus MJ, Schettler PJ, Akiskal HS, Endicott J, Leon AC, Maser JD, Mueller T, Solomon DA, Keller MB. Does incomplete recovery from first lifetime major depressive episode herald a chronic course of illness Am J Psychiatry. 2000;157(9):1501-4.
Keller MB, Shapiro RW, Lavori PW, Wolfe N. Relapse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alysis with the life table. Arch Gen Psychiatry. 1982;39(8):911-5
Labbate LA, Lare SB. Sexual dysfunction in male psychiatric outpatients: validity of the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Sexual Functioning Questionnaire. Psychother Psychosom. 2001;70(4):221-5
Mcmillen, B.; Shank, J.; Jordan, K.; Williams, H.; Basile, A. (2007). "Effect of DOV 102,677 on the volitional consumption of ethanol by Myers' high ethanol-preferring rat".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31 (11): 1866-1871.
Miller IW, Keitner GI, Schatzberg AF, Klein DN, Thase ME, Rush AJ, Markowitz JC, Schlager DS, Kornstein SG, Davis SM, Harrison WM, Keller MB. The treatment of chronic depression, part 3: psychosocial functioning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sertraline or imipramine.J Clin Psychiatry. 1998;59(11):608-19
Montgomery SA, Asberg M. A new depression scale designed to be sensitive to change. Br J Psychiatry 1979;134:382-9
Montgomery, S.A. & Asberg, M. (1979) A New Depression Scale Designed To Be Sensitive To Chang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134, pp. 382-389.
Nitrogen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 1981, Chapter 7; “Nitrogen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Chemistry”, Plenum Press, New York, N.Y., 1973, Chapter 2; See also, T. W. Green and P. G. M. Wuts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 1999.
Olsen, L. R., et al.,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of the Major Depression Inventory in measuring severity of depressive states Psychological Medicine (2003), 33 : 351-356 Cambridge University Press.
Papakostas GI, Fava M, Thase ME. Treatment of SSRI-resistant depression: a meta-analysis comparing within- versus across-class switches. Biol Psychiatry. 2008 Apr 1;63(7):699-704
Paykel ES, Ramana R, Cooper Z, Hayhurst H, Kerr J, Barocka A.Residual symptoms after partial remission: an important outcome in depression. Psychol Med. 1995 Nov;25(6):1171-80
Posner , K. (2008) Suicidality Across Drug Indications: Columbia Suicidal Adverse Event Identification and FDA Safety Concerns: The Issues and the Answers, From Outcomes to Feasibility. Invited presentation to the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CDER) at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ilver Spring, MD
Posner K, Oquendo M, Gould M, et al. Columbia Classification Algorithm of Suicide Assessment (C CASA): classification of suicidal events in the FDA’s pediatric suicidal risk analysis of antidepressants. Am J Psychiatry. 2007; 165:1035-1043.
Posner K, Oquendo MA, Gould M, Stanley B, Davies M (2007). Columbia Classification Algorithm of Suicide Assessment (C-CASA): Classification of Suicidal Events in the FDA’s Pediatric Suicidal Risk Analysis of Antidepressants. Am J Psychiatry; 164:1035-1043
Povlock, S. L. and Amara, S. G., in "Neurotransmitter transporters: structure, function, and regulation," Reith M E A, Editor, Humana Press, Totowa, pp. 1-28 (1997)
Quick Reference to the Diagnostic Criteria From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ashington, D.C., 1994 [0457]Perovic, S. and Muller, W. E., Arzneimittelforschung 45: 1145-1148 (1995)
Roth, B.; Sheffler, D.; Kroeze, W. (2004). "Magic shotguns versus magic bullets: selectively non-selective drugs for mood disorders and schizophrenia".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3 (4): 353-359.
Rush AJ, Trivedi MH, Wisniewski SR, Nierenberg AA, Stewart JW, Warden D, Niederehe G, Thase ME, Lavori PW, Lebowitz BD, McGrath PJ, Rosenbaum JF, Sackeim HA, Kupfer DJ, Luther J, Fava M. Acute and longer-term outcomes in depressed outpatients requiring one or several treatment steps: a STAR*D report. Am J Psychiatry. 2006 Nov;163(11):1905-17
Rush AJ, Trivedi MH, Wisniewski SR, Stewart JW, Nierenberg AA, Thase ME, Ritz L, Biggs MM, Warden D, Luther JF, Shores-Wilson K, Niederehe G, Fava M; STAR*D Study Team. Bupropion-SR, sertraline, or venlafaxine-XR after failure of SSRIs for depression. N Engl J Med. 2006 Mar 23;354(12):1231-42.
Schrieber, R., R. Lew, L. Hardy, T. Cremers, K. Fang, U. Campbell; Poster 549.8/X2 Pharmac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triple monoamine transporter uptake inhibitor SEP225289. October 20, 2009.
Sepracor Press Release, July 1, 2009 http://www.fiercebiotech.com/press-releases/sepracor-provides-update-clinical-trials-sep-225289-and-lunesta-r-pediatrics.
Sheehan DV, Y Lecrubier, KH Sheehan, P Amorim, J Janavs, E Weiller, T Hergueta, R Baker, GC Dunbar.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tructured diagnostic psychiatric interview for DSM-IV and ICD-10. J Clin Psychiatry. 1998; 59 Suppl. 20:22-33; quiz 34-57.
Skolnick M, Popik P, Janowsky A, Beer B, Lippa A: Antidepressant-like actions of DOV 21,947: A triple reuptake inhibitor.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003 461:99-104
Skolnick, P. et al., Life Sci. 73: 3175-3179 (2003) [0447]Skolnick, P., et al., CNS Drug Reviews (2006)
Targum SD, Pollack MH, Fava M. Redefining affective disorders: relevance for drug development. CNS Neurosci Ther. 2008 Spring;14(1):2-9
Thase ME, Entsuah AR, Rudolph RL. Remission rates during treatment with venlafaxine or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Br J Psychiatry. 2001;178:234-41
Thase ME, Simons AD, McGeary J, Cahalane JF, Hughes C, Harden T, Friedman E. Relapse after cognitive behavior therapy of depression: potential implications for longer courses of treatment. Am J Psychiatry. 1992;149(8):1046-52
Thase ME. Evaluating antidepressant therapies: remission as the optimal outcome. J Clin Psychiatry. 2003;64(Suppl 13):18-25
Tizzano, J.; Stribling, D.; Perez-Tilve, D.; Strack, A.; Frassetto, A.; Chen, R.; Fong, T.; Shearman, L. et al. (2008). "The triple uptake inhibitor (1R,5S)-(+)-1-(3,4-dichlorophenyl)-3-azabicyclo3.1.0 hexane hydrochloride (DOV 21947) reduces body weight and plasma triglycerides in rodent models of diet-induced obesity".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324 (3): 1111-1126.
Trivedi MH, Fava M, Wisniewski SR, Thase ME, Quitkin F, Warden D, Ritz L, Nierenberg AA, Lebowitz BD, Biggs MM, Luther JF, Shores-Wilson K, Rush AJ; STAR*D Study Team. Medication augmentation after the failure of SSRIs for depression. N Engl J Med. 2006 Mar 23;354(12):1243-52
Trivedi MH, Rush AJ, Ibrahim HM et al. The Inventory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Clinician Rating (IDS-C) and Self-Report (IDS-SR), and the Quick Inventory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Clinician Rating (QIDS-C) and Self-Report (QIDS-SR) in public sector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a psychometric evaluation. Psychol Med 2004;34(1):73-82
U.S. Pat. No. 4,122,193; Scherm et al.; Oct. 24, 1978
U.S. Pat. No. 6,132,724; Blum; Oct. 17, 2000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11/371,178; Skolnick, et al.; filed Mar. 7, 2006
Van Londen L, Molenaar RP, Goekoop JG, Zwinderman AH, Rooijmans HG.Three- to 5-year prospective follow-up of outcome in major depression. Psychol Med. 1998;28(3):731-5
Warren, W.L. Revised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RHSD). (1994)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Zajecka JM.Treating depression to remission. J Clin Psychiatry. 2003;64(Suppl 15):7-12

Claims (92)

  1.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우울증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에 있어서 우울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인, 인간에 있어서 우울증을 치료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조성물은 부가적인 정신병 치료제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부가적인 정신병 치료제는 항우울증제, 항정신병제, 진경제 또는 항불안제인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정신병 치료제는 트리시클릭 항우울증제, 특이적인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다중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 비정형 항우울제, 비정형 정신병 치료제, 진경제, 또는 아편성 작동제인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2% w/w 이하로 함유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1% w/w 이하로 함유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그의 다른 기하이성질체, 광학이성질체 및 결정다형 이성질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결정 형태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 [3.1.0] 헥산의 산 부가염의 결정다형 A인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 부가염은 염산염인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그의 다른 기하이성질체, 광학이성질체 및 결정다형 이성질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결정 형태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 [3.1.0] 헥산의 산 부가염의 결정다형 B인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 부가염은 염산염인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그의 다른 기하이성질체, 광학이성질체 및 결정다형 이성질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결정 형태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 [3.1.0] 헥산의 산 부가염의 결정다형 C인 것인 방법.
  11. 제0항에 있어서, 상기 산 부가염은 염산염인 것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용매화물인 것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상기 경구 단위 투여제형 중에 약 10 mg 내지 약 300 mg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유효량은 우울증 증상을 저감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인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유효량은 몽고메리 아스버그 우울증 척도에 있어서 인간 점수를 12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인 것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유효량은 해밀턴 우울증 척도에 있어서 인간 점수를 7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인 것인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유효량은 임상총괄개선 점수에 있어서 인간 점수를 2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인 것인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우울증 치료를 필요로 하는 상기 인간은 다른 항우울증제를 이용하여 이전에 행하여진 치료 경과에 대하여 무응답이었던 것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다른 항우울증제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인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시탈로프람인 것인 방법.
  21.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유효량을,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의 수준 증가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인,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22.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유효량을, 생체 아민의 수준 증가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생체 아민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인 생체 아민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방법.
  23.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우울증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에 있어서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고, 여기서 우울증 치료를 필요로 하는 상기 인간은 이전에 우울증을 치료받은 적이 있는 인간인 것인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조성물은 부가적인 정신병 치료제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부가적인 정신병 치료제는 항우울증제, 항정신병제, 진경제 또는 항불안제인 것인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정신병 치료제는 트리시클릭 항우울증제, 특이적인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다중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 비정형 항우울제, 비정형 정신병 치료제, 진경제, 또는 아편성 작동제인 것인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2% w/w 이하로 함유하는 것인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1% w/w 이하로 함유하는 것인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그의 다른 기하이성질체, 광학이성질체 및 결정다형 이성질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결정 형태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 [3.1.0] 헥산의 산 부가염의 결정다형 A인 것인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산 부가염은 염산염인 것인 방법.
  30. 제23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상기 경구 단위 투여 제형 중에 약 10 mg 내지 약 300 mg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방법.
  31. 제23항에 있어서, 유효량은 우울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인 것인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유효량은 몽고메리 아스버그 우울증 척도에 있어서 인간 점수를 12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인 것인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유효량은 해밀턴 우울증 척도에 있어서 인간 점수를 7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인 것인 방법.
  34. 제31항에 있어서, 유효량은 임상총괄개선 점수에 있어서 인간 점수를 2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인 것인 방법.
  35.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우울증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에 있어서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고, 여기서 우울증 치료를 필요로 하는 상기 인간은 이즌의 우울증 치료 경과에 불응하였던 인간인 것인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조성물은 부가적인 정신병 치료제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부가적인 정신병 치료제는 항우울증제, 항정신병제, 진경제 또는 항불안제인 것인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정신병 치료제는 트리시클릭 항우울증제, 특이적인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다중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 비정형 항우울제, 비정형 정신병 치료제, 진경제, 또는 아편성 작동제인 것인 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2% w/w 이하로 함유하는 것인 방법.
  39. 제35항에 있어서, 제35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1% w/w 이하로 함유하는 것인 방법.
  40. 제35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그의 다른 기하이성질체, 광학이성질체 및 결정다형 이성질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결정 형태의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 [3.1.0] 헥산의 산 부가염의 결정다형 A인 것인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산 부가염은 염산염인 것인 방법.
  42. 제35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상기 경구 단위 투여 제형 중에 약 10 mg 내지 약 300 mg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방법.
  43. 제35항에 있어서, 유효량은 인간에 있어서 우울증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인 것인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유효량은 몽고메리 아스버그 우울증 척도에 있어서 인간 점수를 12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인 것인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유효량은 해밀턴 우울증 척도에 있어서 인간 점수를 7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인 것인 방법.
  46. 제43항에 있어서, 유효량은 임상총괄개선 점수에 있어서 인간 점수를 2 이하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인 것인 방법.
  47. 제35항에 있어서, 인간은 항우울제를 이용한 치료에 대하여 불응한 적이 있는 인간이고, 여기서 상기 항우울제는 트리시클릭 항우울증제, 특이적인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다중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 비정형 항우울제, 비정형 정신병 치료제, 진경제, 또는 아편성 작동제인 것인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항우울증제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인 것인 방법.
  49. 제35항에 있어서, 개체는 이전의 치료 경과에 대해 응답하지 못하였던 개체인 방법.
  50. 제35항에 있어서, 개체는 이전의 치료 경과에 대해 관해를 달성하지 못하였던 개체인 방법.
  51. 제35항에 있어서, 개체는 이전의 치료 경과에 대해 불내성의 부작용을 나타냈던 개체인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작용은 성기능 장애, 체중 증가, 불면증, 구강 건조증, 변비, 구역질 및 구토, 현기증, 기억력 손상, 초조, 불안, 진정, 두통, 요폐 또는 복부 통증인 것인 방법.
  53.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를 포함하는 의약 제제의 유효량을, 우울증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우울증의 치료 방법으로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고, 여기서 상기 의약 제제의 투여는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에 비해 부작용을 덜 일으키는 것인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부작용은 노르아드레날린성 부작용인 것인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노르아드레날린성 부작용은 실질적으로 심박수 상승 또는 혈압 증가인 것인 방법.
  56. 제53항에 있어서, 부작용은 도파민성 부작용인 것인 방법.
  57. 제56황에 있어서, 부작용은 구역질, 구토 또는 경조증인 것인 방법.
  58. 제53항에 있어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는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에 비해 개선된 항우울증 효과를 갖는 것인 방법.
  59.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제제는 동일 투여량의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에 비해 부작용이 50% 미만인 것인 방법.
  60.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제제는 동일 투여량의 균등 3원 재흡수 억제제에 비해 도파민성 부작용이 20% 미만인 것인 방법.
  61. 제1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에 사용되기 위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62. 제1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에 사용되기 위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63. 치료 내성 우울증의 치료에 사용되기 위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64. 이전의 우울증 치료에 대해 불응성이었던 개체를 치료하는데 사용되기 위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
  65. comprising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을 포함하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의 유효량을 지속 방출 투여 제형으로서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우울증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에 있어서 우울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활성 염, 결정다형, 글리코실화 유도체, 대사산물, 용매화물, 수화물 또는 전구약물은 대응하는 (-) 에난티오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인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 방출 투여 제형은 서방성 포뮬레이션인 것인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포뮬레이션은 지속 방출 비히클, 매트릭스, 결합제 또는 피복재와 조합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 방출 비히클인 국소용 포뮬레이션, 폴리머, 에어로졸 입자, 마이크로입자, 마이크로캡슐, 마이크로스피어, 미니-정제, 다제 포뮬레이션, 약물-방출성 지질, 삼투압 투여 제형 또는 약물-방출 왁스인 것인 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 방출 비히클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폴리머인 것인 방법.
  70.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 방출 투여 제형은 서방성 디바이스 또는 스프레이에 의해 전달되는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제제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디바이스는 국소용 디바이스, 임플란트, 흡입기, 분무기 또는 건조 분말인 것인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디바이스는 경피 팻치를 포함하는 국소용 디바이스인 것인 방법.
  73. 활성 성분으로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약 25 내지 200 mg, 조성물 중량의 약 30 내지 50 중량%의 양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조성물 중량의 약 15 내지 45 중량%의 양의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친수성 서방형 폴리머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경구용 단위 투여 제형의 조성물을 우울증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의 우울증 치료 방법으로서, 상기 단위 투여 제형은 상기 환자에게 1일 1회 내지 2회 경구 투여되는 것인 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제형은 정제인 것인 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는 조성물 중량의 약 25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방법.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점도가 약 100 내지 약 100,000 cps인 것인 방법.
  77. 제74항에 있어서, 담체는 셀룰로스 및 전분인 것인 방법.
  78.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투여는 1일 1회 투여하는 것인 방법.
  79.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상기 단위 투여 제형 중에 약 100 mg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방법.
  80. 활성 성분으로서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약 25 내지 200 mg, 조성물 중량의 약 30 내지 50 중량%의 양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조성물 중량의 약 15 내지 45 중량%의 양의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친수성 서방형 폴리머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단위 투여 제형.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형태인 것인 경구용 단위 투여 제형.
  82. 제81항에 있어서,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폴리머 매트릭스는 이 조성물 중량에 대해 약 25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단위 투여 제형.
  83.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약 100 내지 약 100,000 cps의 점도를 갖는 것인 단위 투여 제형.
  84. 제81항에 있어서,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셀룰로스 및 전분인 것인 단위 투여 제형.
  85.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100 mg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단위 투여 제형.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HCl 염 형태인 것인 단위 투여 제형.
  87.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인간 대상자에게 투여될 경우 상기 활성 성분인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을 24 시간에 걸쳐 방출하는 것인 단위 투여 제형.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상기 활성 성분을 24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또는 거의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것인 단위 투여 제형.
  89.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상기 활성 성분을 투여 후 약 2시간부터 약 24 시간까지 지속적으로 또는 거의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것인 단위 투여 제형.
  90.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상기 활성 성분을 투여 후 약 2시간부터 약 12 시간까지 지속적으로 또는 거의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것인 단위 투여 제형.
  91.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의 약 65% 내지 100%는 상기 24 시간이 종결될 무렵에 방출되는 것인 단위 투여 제형.
  92.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의 약 55% 내지 70%는 투여 후 12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방출되는 것인 단위 투여 제형.
KR1020137017462A 2010-12-03 2011-12-02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제조방법 및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용도 KR201400538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976910P 2010-12-03 2010-12-03
US61/419,769 2010-12-03
PCT/US2011/063193 WO2012075473A1 (en) 2010-12-03 2011-12-02 Preparation and use of (+)-1-(3,4-dichlorophenyl)-3-azabicyclo[3.1.0]hexane in the treatment of conditions affected by monoamine neurotransmit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822A true KR20140053822A (ko) 2014-05-08

Family

ID=4617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462A KR20140053822A (ko) 2010-12-03 2011-12-02 (+)-1-(3,4-디클로로페닐)-3-아자비시클로[3.1.0]헥산의 제조방법 및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20120258994A1 (ko)
EP (1) EP2646019A4 (ko)
JP (3) JP2013544850A (ko)
KR (1) KR20140053822A (ko)
AU (1) AU2011336318A1 (ko)
BR (1) BR112013013572A2 (ko)
CA (1) CA2834713A1 (ko)
WO (1) WO20120754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54409C2 (ru) 2007-03-14 2012-06-27 Нопп Ньюросайенсиз, Инк. Синтез хирально очищенных замещенных бензотиазолдиаминов
KR20110071064A (ko) 2008-08-19 2011-06-28 크놉 뉴로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r)-프라미펙솔을 사용하는 조성물 및 방법
US20140228421A1 (en) * 2011-09-07 2014-08-14 Anthony McKinney Methods For Inhibiting Native And Promiscuous Uptake Of Monoamine Neurotransmitters
US20130123238A1 (en) * 2011-11-16 2013-05-16 Anthony Alexander McKINNEY Use of (+)-1-(3,4-Dichlorophenyl)-3-Azabicyclo[3.1.0]Hexane to treat addictive and alcohol-related disorders
US9512096B2 (en) 2011-12-22 2016-12-06 Knopp Biosciences, LLP Synthesis of amine substituted 4,5,6,7-tetrahydrobenzothiazole compounds
US20150366501A1 (en) * 2013-01-28 2015-12-24 Brc Operations Pty Limited White matter diffusion tensor imaging test to predict treatment outcomes in medical treatment
US9662313B2 (en) 2013-02-28 2017-05-30 Knopp Bioscienc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in responders
WO2014134569A1 (en) * 2013-02-28 2014-09-04 Knopp Bioscienc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in responders
WO2014182279A1 (en) * 2013-05-07 2014-11-13 Euthymics Bioscience, Inc. Use of (+)-1-(3,4-dichlorophenyl)-3-azabicyclo[3.1.0]hexane to treat addictive and alcohol-related disorders
US9566264B2 (en) 2013-07-01 2017-02-14 Euthymics Bioscience, Inc. Combinations and methods
SI3019167T1 (sl) 2013-07-12 2021-04-30 Knopp Biosciences Llc Zdravljenje povišanih ravni eozinofilcev in / ali bazofilcev
US9468630B2 (en) 2013-07-12 2016-10-18 Knopp Bioscienc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nditions related to increased eosinophils
WO2015023786A1 (en) 2013-08-13 2015-02-19 Knopp Bioscienc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lasma cell disorders and b-cell prolymphocytic disorders
US9763918B2 (en) 2013-08-13 2017-09-19 Knopp Bioscienc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hronic urticaria
EP3068396B1 (en) * 2013-11-11 2019-05-08 Impax Laboratories, Inc. Rapidly disintegrating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CN104683094B (zh) * 2013-11-29 2018-10-26 上海华虹集成电路有限责任公司 用于rsa密码的蒙哥马利阶梯算法
KR20160101012A (ko) * 2013-12-09 2016-08-24 뉴로반스, 인크. 신규 조성물
DK3474844T3 (da) 2016-06-28 2022-08-29 Trichomeshell Ltd Doseringsform til fordampning og rygning
WO2019223753A1 (zh) * 2018-05-23 2019-11-28 上海汉都医药科技有限公司 活性药物成分的控释系统及其制备方法
US11911513B2 (en) 2018-05-23 2024-02-27 Shanghai Wd Pharmaceutical Co., Ltd Controlled-release system of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WO2023034293A1 (en) * 2021-08-31 2023-03-09 Ethismos Research, Inc. Methods of preventing and treating pain and associated symptom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65843A (en) * 1977-08-11 1986-12-31 American Cyanamid Co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containing 3-aza-bicyclo(3.1.0)hexane derivatives and certain novel compounds of this type
US6372919B1 (en) * 2001-01-11 2002-04-16 Dov Pharmaceutical, Inc. (+)-1-(3,4-dichlorophenyl)-3-azabicyclo[3.1.0]hexane, compositions thereof, and uses as an anti-depressant agent
CN101052393A (zh) * 2004-08-18 2007-10-10 Dov药物公司 氮杂双环己烷的新型多晶型物
US20070043100A1 (en) * 2005-08-16 2007-02-22 Hagen Eric J Novel polymorphs of azabicyclohexane
TW200735878A (en) * 2005-11-18 2007-10-01 Astrazeneca Ab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20140228421A1 (en) * 2011-09-07 2014-08-14 Anthony McKinney Methods For Inhibiting Native And Promiscuous Uptake Of Monoamine Neurotransmitters
US20130123238A1 (en) * 2011-11-16 2013-05-16 Anthony Alexander McKINNEY Use of (+)-1-(3,4-Dichlorophenyl)-3-Azabicyclo[3.1.0]Hexane to treat addictive and alcohol-related disorders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inicalTrials.gov (2008) *
Drug Discovery Today.(2004) *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2003) *
Expert Opinion on Investigational Drugs. 2007, 16(9), pp. 1365-1377 *
Expert Opinion on Investigational Drugs.(200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39029A1 (en) 2014-02-06
BR112013013572A2 (pt) 2016-10-11
AU2011336318A1 (en) 2013-07-04
US20180256542A1 (en) 2018-09-13
WO2012075473A1 (en) 2012-06-07
JP2013544850A (ja) 2013-12-19
CA2834713A1 (en) 2012-06-07
EP2646019A4 (en) 2014-05-21
JP2019031502A (ja) 2019-02-28
EP2646019A1 (en) 2013-10-09
US20210161863A1 (en) 2021-06-03
JP2017114861A (ja) 2017-06-29
US20190358199A1 (en) 2019-11-28
US20120258994A1 (en)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1863A1 (en) Preparation and use of (+)-1-(3,4-dichlorophenyl)-3-azabicyclo[3.1.0]hexane in the treatment of conditions affected by monoamine neurotransmitters
US20210047268A1 (en) Methods for inhibiting native and promiscuous uptake of monoamine neurotransmistters
US20210267940A1 (en) Use of (1r,5s)-(+)-1-(naphthalen-2-yl)-3-azabicyclo[3.1.0]hexane in the treatment of conditions affected by monoamine neurotransmitters
US20240083864A1 (en) Advantageous benzofuran compositions for mental disorders or enhancement
JPH08208471A (ja) 薬物反応の増強作用
US11939312B2 (en) Enantiomeric entactogen compositions and their use
CA3182412A1 (en) Advantageous benzothiophene compositions for mental disorders or enhancement
EP2819516B1 (en) Use of (1r,5s)-(+)-1-(naphthalen-2-yl)-3-azabicyclo{3.1.0}hexane in the treatment of conditions affected by monoamine neurotransmitters
US20230183199A1 (en) 2-aminoindane compounds for mental disorders or enhancement
IL153480A (en) 1 – amino – alkylcyclohexanes as antagonists of HT3–5 and of neuronal nicotinic receptor
JP2010506884A (ja) Nk−1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およびssriを含む、耳鳴、聴力障害または耳鳴と聴力障害の治療用組成物
Center et al. 2)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o Pub. No.: US 2021/0161863 A1
US20160346249A1 (en) Use of amitifadine, (+)-1-(3,4-dichlorophenyl)-3-azabicyclo[3.1.0]hexane in methods and compositions with enhanced efficacy and reduced metabolic side effects and toxicity for treatment of depression and other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and conditions affected by monoamine neurotransmitters
WO2005067909A1 (en) Combination therapy with mecamylamine for the treatment of mood disorders
WO2023107653A2 (en) Benzofuran salt morphic forms and mixtures for the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or mental enhancement
CA3230601A1 (en) Glun2b-subunit selective antagonists of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s with enhanced potency at acidic p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