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468A - 인도교 - Google Patents

인도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468A
KR20140052468A KR1020120118578A KR20120118578A KR20140052468A KR 20140052468 A KR20140052468 A KR 20140052468A KR 1020120118578 A KR1020120118578 A KR 1020120118578A KR 20120118578 A KR20120118578 A KR 20120118578A KR 20140052468 A KR20140052468 A KR 20140052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ridge
supporting
fix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687B1 (ko
Inventor
조현득
박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호산
조현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호산, 조현득 filed Critical 주식회사호산
Priority to KR1020120118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68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 또는 제방 등에 사람의 보행을 위하여 확장한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 도로나 교량 또는 제방 구조물로부터 돌출되게 확장되는 인도교에 있어서, 직각으로 형성된 구조물(1) 상단과 측면에 걸쳐 고정부(12)가 고정 결합되고, 고정부(12)에서 측방으로 일정 길이로 지지부(11)가 돌출 형성되며, 상단 플레이트(13)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돌기(14)가 돌출 형성되고, 구조물(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용 형강(10); 상단 플레이트(31)와 하단 플레이트(33) 사이에 h빔(32)이 일체 형성된 형상으로 상기 고정용 형강(10) 상단에 적층 결합되되, 하단 플레이트(23)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공(2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4)가 삽입 결합되며, 측면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 브래킷(26)이 돌출된 지지용 형강(20); 상단 플레이트(31)와 하단 플레이트(33) 사이에 h빔(32)이 일체 형성된 형상으로 상기 지지용 형강(20)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되, 양단에 상기 결합 브래킷(26)이 삽입 결합되는 연결용 형강(30); 및 상기 지지용 형강(20) 및 연결용 형강(30) 위에 가로방향으로 연속 결합되는 마감패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인도교를 구성하는 고정용 형강, 지지용 형강 및 연결용 형강을 포함하여 부속자재들은 알루미늄 압출재를 적용하면 기존 H빔의 재질보다 대략 1/3이상의 중량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구조적인 안전성과 더불어 외부 온도변화에 따른 인도교의 신축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구조의 설계, 그리고 인도교의 구성에 필요한 부재들을 최소화시켜 제조 및 설치에 따른 시공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인도교{Pedestrian Bridge}
본 발명은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나 교량 또는 제방 등에 사람의 보행을 위하여 확장한 인도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보행자 또는 자전거 등의 경차량의 통행에 한정되는 다리로 보도 다리라고도 한다. 이러한 인도교는 기존의 교량이나 도로 등에서 차량의 이동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는 곳에 가설되어 사람의 보행용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도교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828호의 신축되는 교량용 가설인도는 교량 연석의 바깥쪽 모서리에 연석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ㄱ"자로 설치되는 브라켓과, 각각의 브라켓 상부면상에 교량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H빔과, 각각의 H빔 하부를 받치도록 브라켓의 측면상에 장착되는 거치판과, H빔들의 상부면상에 직각방향으로 다수열로 장착되는 각관과, 각관들의 상부면상에 직각방향으로 다수열로 장착되는 목판과, H빔들의 연장단에 장착되는 보행자난간과, 각관을 교량상판의 연결부위에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하여 이 이격부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부를 포함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요소가 많아 시공에 따른 작업량 및 설치비용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3459호의 데크용 상판재, 이를 이용한 데크의 시공방법 및 데크설치용 설치부재는 데크용 상판재(1)의 구성은; 교량 또는 건축물의 데크의 시공시 상판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기다란 판재 형태의 본체(3); 상기 본체(3)의 하부에 씌워져 결합되는 금속판재로서, 상기 본체(3)의 양측면에 접하도록 양단이 상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제1,2 측판(7,9)과 횡판(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측판(7)의 길이방향을 따라 1곳 이상에는 상기 제1 측판(7)과 직각방향으로 끼움편(13)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횡판(11)에는 상기 끼움편(13)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지는 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납작하게 패인 안착홈(15)이 마련되는 고정구(5);를 포함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데크용 상판재의 본체에 별도의 고정구가 구비되어 있어 상판재와 고정구의 결합을 위한 작업량의 증가와 설치비용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400호의 도로의 측변에 설치되는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은 도로의 비탈면이 시작되는 측변을 따라 일정 간격 마다 지지말뚝을 지중에 수직으로 매설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말뚝의 두부에 접합시켜 지상으로 소정량 돌출되는 확장인도교 지지블록을 형성하는 단계와; 인도 및 자전거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노폭을 갖는 확장인도교를 상기 확장인도교 지지블록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하중이 크며 작업량 및 설치비용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기술들은 구성요소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거나 중량이 크거나 또는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성에 대한 대비가 미흡하고, 설치를 위한 작업량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8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34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40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도가 없는 교량이나 그 외 구조물에 인도를 확장 설치하여 보행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 측면에 결합되는 형강 및 부재들의 디자인 및 구조적 특징과 더불어 조립 및 체결 방식에 의하여 불필요한 부재의 사용을 절감하고, 경량의 형강 및 부재의 적용으로 인도교 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구조적으로 견고성과 안전성은 제공하며, 외부의 기온 변화에 따른 신축이나 외력에 의한 구조의 불안전성에 대비한 구조적 설계를 구현하고, 인도교의 제조와 조립 및 설치에 따른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나 교량 또는 제방 구조물로부터 돌출되게 확장되는 인도교에 있어서, 직각으로 형성된 구조물 상단과 측면에 걸쳐 고정부가 고정 결합되고, 고정부에서 측방으로 일정 길이로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단 플레이트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구조물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용 형강; 상단 플레이트와 하단 플레이트 사이에 H빔이 일체 형성된 형상으로 상기 고정용 형강 상단에 적층 결합되되, 하단 플레이트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 결합되며, 측면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 브래킷이 돌출된 지지용 형강; 상단 플레이트와 하단 플레이트 사이에 h빔이 일체 형성된 형상으로 상기 지지용 형강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되, 양단에 상기 결합 브래킷이 삽입 결합되는 연결용 형강; 및 상기 지지용 형강 및 연결용 형강 위에 가로방향으로 연속 결합되는 마감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도교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용 형강 양측면에 상단과 측면에 걸쳐 결합되는 측면 마감용 형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외부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연결용 형강의 신축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 브래킷에 장공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 결합되는 연결용 형강의 h빔 양측 가장자리에 장공이 형성되어 결합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감패널은 결합용 조인트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용 형강 위에 마감패널 사이를 잇는 덮개앵글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감패널 양측에 일정 높이의 난간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도교를 구성하는 고정용 형강, 지지용 형강 및 연결용 형강을 포함하여 부속자재들은 알루미늄 압출재를 적용하면 기존 H빔의 재질보다 대략 1/3이상의 중량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구조적인 안전성과 더불어 외부 온도변화에 따른 인도교의 신축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구조의 설계, 그리고 인도교의 구성에 필요한 부재들을 최소화시켜 제조 및 설치에 따른 시공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인도교의 일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도교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인도교의 연결용 형강의 신축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도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도교에 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인도교(100)는 교량이나 도로 또는 제방 등의 구조물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 보행자나 자전거와 같은 소형의 이동수단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도교(100)는 견고하고 안전을 위하여 금속재질의 형강이 주로 사용된다. 인도교(100)의 설치 길이나 폭은 구조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인도교(100)의 설치를 위하여 구조물(1) 상단부는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고정용 형강(10)은 직각으로 형성된 구조물(1) 상단과 측면에 걸쳐 고정부(12)가 고정 결합된다. 고정용 형강(10)은 대략 평판 형상의 상단 플레이트(13)와, 상단 플레이트(13) 아래에 고정부(12)에서 측방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측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되 하단이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단 플레이트(13)는 지지부(11)보다 측방으로 더 확장되어 있다. 이는 고정용 형강(10)의 고정부(12)는 내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어 구조물(1) 상단과 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단 플레이트(13)와 지지부(11)에 형성된 관통공(17)을 통해 고정부재(18)로 구조물(1)에 결합 고정된다. 상단 플레이트(13)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돌기(1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고정돌기(14) 일측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형강(10)의 지지부(11)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고정용 형강(10)은 구조물(1)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지지용 형강(20)은 고정용 형강(10) 상단에 적층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 플레이트(21)와 하단 플레이트(23) 사이에 H빔(22)이 일체 형성된 형상이다. 즉 지지용 형강(20)은 대략 'ㅍ'자 형상으로 고정용 형강(10) 위에 고정용 형강보다 더 길게 좌우로 설치된다. 하단 플레이트(23)에는 일정 간격으로 결합공(2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공(24)은 지지용 형강(20) 상단 플레이트(21)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4)가 삽입 결합된다. 지지용 형강(20) 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결합 브래킷(26)이 돌출되어 있다. 결합 브래킷(26)에는 장공(27)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용 형강(20) 하단 플레이트(23)에 형성된 관통공(25)을 통해 고정용 형강(10) 상단 플레이트(13)에 형성된 관통공(15)은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부재(16)로 체결된다.
연결용 형강(30)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지지용 형강(20)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다. 연결용 형강(30)은 상단 플레이트(31)와 하단 플레이트(33) 사이에 h빔(32)이 일체 형성된 형상이다. h빔(32)은 영문소문자 대략 'h' 형상이되, 상단 플레이트(31)에서 하부방향으로 단일의 빔이 하단 플레이트(33)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한 쌍의 빔과 중심부근에서 만나는 형상이다. 따라서 하단 플레이트(33)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향하는 한 쌍 빔 사이에 관통홀(35)이 형성된다. 연결용 형강(30)의 관통홀(35) 양측으로 상기 결합 브래킷(26)이 삽입 결합된다. 상단 플레이트(31)는 하단 플레이트(33)보다 짧게 형성된다. 즉 연결용 형강(30)이 지지용 형강(20) 측면으로 삽입되는 구조이되, 상단 플레이트(31)는 지지용 형강(20)의 상단 플레이트(31)와 수평하게 만나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외부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연결용 형강(30)의 신축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 브래킷(26)에 형성된 장공(27)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연결용 형강(30)의 h빔(32) 양측 가장자리에 장공(34)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부재(28)로 결합된다.
마감패널(50)은 지지용 형강(20) 및 연결용 형강(30) 위에 가로방향으로 연속 결합되는 것이다. 마감패널(50)은 합성목재데크로 장방형이고, 상단면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마감패널(50) 측면에는 홈(51)이 형성되고, 홈에는 결합용 조인트(53)가 삽입되어 마감패널(50) 사이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지지용 형강(20) 위에 마감패널(50) 사이를 잇는 덮개앵글(29)이 결합된다. 덮개앵글(29)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마감패널(50) 사이와 마감패널(50) 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즉 지지용 형강(20) 사이에 복수로 연결되는 마감패널(50) 일단에 덮개앵글(29)이 설치되되, 마지막 마감패널(50)이 덮개앵글(29) 아래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덮개앵글(29)은 연결용 형강(30)이 온도변화에 의하여 신축될 때에 마감패널(50)도 이동되므로 연결용 형강(30)내에 마감패널(50)의 이동을 감안하여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측면 마감용 형강(40)은 마감패널(50)이 설치된 후, 지지용 형강(20) 양측면에 상단과 측면에 걸쳐 결합되는 것으로, 대략 'ㄱ'자 헝상이다.
도 4에서, 상기 마감패널(50) 양측 또는 일측에는 일정 높이의 난간(60)이 결합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인도교의 조립 및 시공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교량이나 도로 또는 제방 등의 구조물(1)은 인도교(100)의 설치가 용이한 구조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인도교의 설치를 위한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인도교의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변경이 필요할 것이다. 즉 구조물 측면은 인도교의 하중과 보행자 또는 이동수단 등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설계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인도교의 상단면과 측면이 대략 직각인 것이 좋다.
인도교(100)를 설치할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되는 구조물(1)에 고정용 형강(10)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고정용 형강(10)의 고정부(12)를 구조물(1) 측면과 상단면에 밀착시킨 후에 구조물(1)의 상단면과 접촉되는 고정용 형강(10)의 상단 플레이트(13) 일측 상단면에 형성된 관통공(19)을 통해 고정부재(16)로 고정하고, 구조물(1)의 측면과 접촉되는 고정용 형강(10)의 지지부(11)에 형성된 관통공(17)을 통해 고정부재(18)로 고정한다. 고정부재(16, 18)는 앵커볼트 등이 적용되는 것이 좋다.
고정용 형강(10)이 구조물(1)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면, 각 고정용 형강(10) 위에 지지용 형강(20)을 적층한 후에 고정시킨다. 지지용 형강(20)의 적층은 고정용 형강(10)의 상단 플레이트(13)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4)에 지지용 형강(20)의 하단 플레이트(23)에 형성된 결합공(24)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용 형강(20)의 하단 플레이트(23)에 형성된 관통공(25)과 고정용 형강(10)의 상단 플레이트(13)에 형성된 관통공(15)을 통해 고정부재(16)로 결합 고정시킨다. 더욱이 지지용 형강(20)은 고정용 형강(10)보다 더 길게 형성되므로 지지용 형강(20)의 하단 플레이트(23)의 관통공(25)을 통해 구조물(1) 평면에 고정부재로 고정시켜야 할 것이다.
지지용 형강(20)을 고정용 형강(10) 위에 고정 결합되면, 지지용 형강(20)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용 형강(30)을 결합시킨다. 지지용 형강(20)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 브래킷(2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용 형강(30)을 결합 브래킷(26)과 결합시킨다. 이때, 연결용 형강(30)은 h빔(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h빔(32)의 관통홀(35)에 대응되는 지지용 형강(20) 측면에 돌출된 결합 브래킷(26)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결합 브래킷(26)에 형성된 장공(27)과 대응되는 연결용 형강(30)의 h빔(32) 양측에 형성된 장공(34)을 일치시킨 후에 고정부재(28)로 고정시킨다. 결합 브래킷(26)에 형성된 장공(27)과 h빔(32)에 형성된 장공(34)은 외부 온도변화에 따른 연결용 형강(30)의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도 3a에서, 연결용 형강(30)이 수축된 상태, 예를 들어, 상온보다 낮은 경우에는 결합 브래킷(26)에 형성된 장공(27)과 h빔(32)에 형성된 장공(34)의 겹치는 최소 부분을 공유하게 되고, 연결용 형강(30)위에 적층된 마감패널(50)은 덮개앵글(29)로부터 많이 벗어난 위치에 있다.
도 3b에서, 연결용 형강(30)이 평상의 상태, 예를 들어, 상온인 경우에는 결합 브래킷(26)에 형성된 장공(27)과 h빔(32)에 형성된 장공(34)의 겹치는 부분이 다소 많이 공유하게 되고, 연결용 형강(30)위에 적층된 마감패널(50)은 덮개앵글(29)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다.
도 3c에서, 연결용 형강(30)이 팽창된 상태, 예를 들어, 상온보다 높은 경우에는 결합 브래킷(26)에 형성된 장공(27)과 h빔(32)에 형성된 장공(34)의 겹치는 부분이 많이 공유하게 되고, 연결용 형강(30)위에 적층된 마감패널(50)은 덮개앵글(29) 내부에 거의 근접한 위치에 있다.
지지용 형강(20) 사이에 연결용 형강(30)이 결합되면, 지지용 형강(20)과 연결용 형강(30) 위에 마감패널(50)을 가로방향으로 연속 배열한다. 이때, 마감패널(50)과 마감패널(50)은 결합용 조인트(53)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즉 마감패널(50) 측면에 형성된 홈(51)에 결합용 조인트(53)를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그리고 마감패널(50)은 지지용 형강(20) 위에 고정된 덮개앵글(29) 사이에 결합시키되, 덮개앵글(29) 내부에 일정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지지용 형강(20)과 연결용 형강(30) 위에 마감패널(50)의 결합이 완료되면, 지지용 형강(20) 양측면에 마감용 형강(40)을 각각 결합한다. 측면 마감용 형강(40)은 지지용 형강(20)이 만나는 각 내측면에 대략 'ㄱ'자 형상의 브래킷(41)을 이용하여 고정부재로 고정시킨다.
도 2와 같이 인도교의 조립과 시공이 완료되면, 도 4에서, 인도교의 내측이나 외측에 난간(60)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보행자나 이동수단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난간(60)은 일정 높이로 인도교 상단 일측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구조물 10: 고정용 형강 11: 지지부 12: 고정부 13, 21: 상단 플레이트 14: 고정돌기 15, 17, 19: 관통공 16, 18: 고정부재 20: 지지용 형강 22: H빔 23: 하단 플레이트 24: 결합공 26, 41: 브래킷 27, 34: 장공 28: 결합부재 29: 덮개앵글 30: 연결용 형강 35: 관통홀 40: 측면 마감용 형강 50: 마감패널 51: 홈 53: 조인트 100: 인도교

Claims (6)

  1. 도로나 교량 또는 제방 구조물로부터 돌출되게 확장되는 인도교에 있어서,
    직각으로 형성된 구조물(1) 상단과 측면에 걸쳐 고정부(12)가 고정 결합되고, 고정부(12)에서 측방으로 일정 길이로 지지부(11)가 돌출 형성되며, 상단 플레이트(13)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돌기(14)가 돌출 형성되고, 구조물(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용 형강(10);
    상단 플레이트(21)와 하단 플레이트(23) 사이에 H빔(22)이 일체 형성된 형상으로 상기 고정용 형강(10) 상단에 적층 결합되되, 하단 플레이트(23)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공(2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4)가 삽입 결합되며, 측면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 브래킷(26)이 돌출된 지지용 형강(20);
    상단 플레이트(31)와 하단 플레이트(33) 사이에 h빔(32)이 일체 형성된 형상으로 상기 지지용 형강(20)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되, 양단에 상기 결합 브래킷(26)이 삽입 결합되는 연결용 형강(30); 및
    상기 지지용 형강(20) 및 연결용 형강(30) 위에 가로방향으로 연속 결합되는 마감패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도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형강(20) 양측면에 상단과 측면에 걸쳐 결합되는 측면 마감용 형강(40)이 더 포함된 인도교.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연결용 형강(30)의 신축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 브래킷(26)에 장공(27)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 결합되는 연결용 형강(30)의 h빔(32) 양측 가장자리에 장공(34)이 형성되어 결합부재(28)로 결합된 인도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50)은 결합용 조인트(53)로 결합된 인도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형강(20) 위에 마감패널(50) 사이를 잇는 덮개앵글(29)이 결합된 인도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50) 양측에 일정 높이의 난간(60)이 결합된 인도교.
KR1020120118578A 2012-10-24 2012-10-24 인도교 KR101422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578A KR101422687B1 (ko) 2012-10-24 2012-10-24 인도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578A KR101422687B1 (ko) 2012-10-24 2012-10-24 인도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468A true KR20140052468A (ko) 2014-05-07
KR101422687B1 KR101422687B1 (ko) 2014-07-28

Family

ID=5088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578A KR101422687B1 (ko) 2012-10-24 2012-10-24 인도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6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2449A (zh) * 2015-05-17 2015-08-19 天津第一市政公路工程有限公司 可拆卸的固定式钢筋骨架绑扎台座及其组装和使用方法
WO2020071582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확장 인도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006B1 (ko) * 2020-07-09 2021-02-23 김진희 교량용 자전거도로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222B1 (ko) * 2006-09-26 2007-07-25 (주)리튼브릿지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KR101181409B1 (ko) * 2010-03-04 2012-09-19 고재용 합성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090400B1 (ko) * 2011-02-28 2011-12-06 주식회사 흥화 도로의 측변에 설치되는 확장형 인도교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2449A (zh) * 2015-05-17 2015-08-19 天津第一市政公路工程有限公司 可拆卸的固定式钢筋骨架绑扎台座及其组装和使用方法
CN104842449B (zh) * 2015-05-17 2017-03-08 天津第一市政公路工程有限公司 可拆卸的固定式钢筋骨架绑扎台座及其组装和使用方法
WO2020071582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확장 인도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687B1 (ko) 201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3768B2 (ja) 道路用柵
US20130255178A1 (en) Framing System for Steel Stud Framing
KR102107971B1 (ko) 무용접 외장 패널 트러스
KR20120033667A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KR101523005B1 (ko) 확장형 인도교
KR101422687B1 (ko) 인도교
KR20140090041A (ko) 확장형 보행통로 시설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62179B1 (ko) 전단연결재 형상의 고정 부재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합성보
KR101464349B1 (ko) 주차장 건물의 상부플랜지 노출형 철골보
KR101712376B1 (ko) 아연각관을 심재로 하는 목재난간지주
KR101712430B1 (ko) 빔-슬래브패널 결합구조
KR101616229B1 (ko) 조립식 난간
JP5447116B2 (ja) 鋼構造用床パネル、鋼構造用床パネルの接合構造および鋼構造の床組
JP2012167462A (ja) 仕口部材とこれを用いた仕口構造、並びに鉄骨建築物
JP4964528B2 (ja) 鉄骨造建物の床架構および同床架構の建築構法
KR101249600B1 (ko) 고정부재를 이용해 데크플레이트가 강재 보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된 합성보
KR101021832B1 (ko) 확장 인도용 바닥 패널
KR200336132Y1 (ko) 데크플레이트
JP5794461B1 (ja) 吊足場
KR20150015699A (ko) 조립식 도로확장장치
JP6265677B2 (ja) 外部張出し構造
JP5690771B2 (ja) 胴縁ブレース耐震壁
KR10219568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교량 구조물
JP4044694B2 (ja) ユニット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