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587A -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587A
KR20140051587A KR1020120117796A KR20120117796A KR20140051587A KR 20140051587 A KR20140051587 A KR 20140051587A KR 1020120117796 A KR1020120117796 A KR 1020120117796A KR 20120117796 A KR20120117796 A KR 20120117796A KR 20140051587 A KR20140051587 A KR 20140051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talyst
activating
logic
prevention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913B1 (ko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9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1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2041/026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decreas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를 지연시키는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화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이를 초과 시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일시적인 조건 충족에 의해 지나치게 빈번하게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촉매의 과열화 방지에 사용되는 연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이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 {LOGIG ACTIVATING METHOD FOR PREVENTING CATLYST OF VEHICLE FOR OVERHEATING}
본 발명은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 이전에 활성화 지연 시간을 두어 빈번한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로 인한 연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Catalytic Converter Temperature Overheating Protection Logic)은 고온에 의해 촉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 중 엔진의 촉매 온도가 과다하게 상승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에 사용되는 촉매의 온도를 모델링하기 위해 배기가스 온도와 촉매 온도를 정상 상태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임의의 엔진 회전수 및 흡입 공기량이 주어졌을 때의 온도 편차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냉각수온, 엔진 회전수, 공기량, 점화시기, 차속 등과 같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입력 및 판단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 촉매 과열 방지를 위한 연료량 추가 분사를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다양한 요소들이 기설정된 활성화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촉매의 과열화 방지 로직이 곧바로 활성화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차량의 촉매가 과열화될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주행 중 일시적으로 활성화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까지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촉매의 온도가 기능을 손실하는 기준치에 이르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로직의 활성화 조건이 일시적으로 만족되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어 연료가 분사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불필요한 로직의 활성화로 인한 연료의 낭비는 차량 유지 비용의 상승 및 환경 문제의 야기에도 직결되기 때문에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 중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기에 충분한 상황인지를 판단하여 일시적인 조건 충족 시에는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연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를 지연시키는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지 않으면, 상기 촉매의 시간별 온도 증가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시간별 온도 증가량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엔진 속도 및 공기량에 관해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활성화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이를 초과 시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일시적인 조건 충족에 의해 지나치게 빈번하게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촉매의 과열화 방지에 사용되는 연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이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만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촉매의 온도 변화에 따른 기울기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킬 수 있어, 급작스러운 촉매의 온도가 변함에 따라 촉매의 기능 상실 우려가 있는 경우,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신속하게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됨에 있어 보다 안전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불필요하게 활성화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은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 및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차량의 주행에 사용되는 촉매가 과열됨으로써 기능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 분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실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이다(S100).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 조건으로는 차량의 엔진 속도 및 공기량에 관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엔진 속도 및 공기량에 관한 조건 외에도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차량의 상태에 관한 조건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엔진이 충분한 속도로 구동되고 있으며, 차량에 공급되는 공기량 역시 일정 범위 이상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활성화 지연 시간 초과 여부 판단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활성화 지연 시간 초과 여부 판단 단계는 전술한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를 일정시간 동안 지연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S200).
활성화 지연 시간을 미리 설정하는 이유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시적으로 차량의 엔진 속도 및 공기량이 활성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지나치게 빈번하게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일정시간 동안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를 지연시킴으로써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 조건이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일정시간 동안 활성화 조건이 유지되는 경우에만 로직을 활성화시키게 되면, 불필요하게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됨으로써 사용되는 연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고 나면(S200),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400).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단계는 활성화 지연 시간 동안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의 충족이 유지되면서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면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이다(S40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은 시간별 온도 증가량을 측정하여, 시간별 온도 증가량이 기준량 초과 시,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간별 온도 증가량을 측정하여, 시간별 온도 증가량이 기준량 초과 시,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단계(S300)는, 시간별 온도 증가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 단계(S400)로 세분화될 수 있다.
시간별 온도 증가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촉매의 온도가 급변하여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촉매의 시간별 온도 증가량, 즉, 온도 변화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급작스럽게 촉매의 온도가 급변하게 되어, 이로 인해 촉매의 기능이 손실될 수 있는 경우에는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지 않았다 할지라도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시간별로 온도 증가량을 꾸준히 측정함으로써 촉매의 기능 손실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시간별 온도 증가량이 측정되고 나면,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 단계(S400)는 측정된 시간별 온도 증가량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측정된 시간별 온도 증가량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시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로 되돌아갈 수 있다.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로 되돌아가는 경우에는 전술한 각각의 단계를 다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에서,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다.
활성화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연료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로직의 활성화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해둘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에 따르면, 활성화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이를 초과 시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일시적인 조건 충족에 의해 지나치게 빈번하게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촉매의 과열화 방지에 사용되는 연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이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에 따르면,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만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촉매의 온도 변화에 따른 기울기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작스럽게 촉매의 온도가 변함에 따라 촉매의 기능 상실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신속하게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됨에 있어 보다 안전성을 추구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의 활성화를 지연시키는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지연 시간이 초과되지 않으면, 상기 촉매의 시간별 온도 증가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시간별 온도 증가량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엔진 속도 및 공기량에 관해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




KR1020120117796A 2012-10-23 2012-10-23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 KR10187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796A KR101874913B1 (ko) 2012-10-23 2012-10-23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796A KR101874913B1 (ko) 2012-10-23 2012-10-23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587A true KR20140051587A (ko) 2014-05-02
KR101874913B1 KR101874913B1 (ko) 2018-07-05

Family

ID=5088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796A KR101874913B1 (ko) 2012-10-23 2012-10-23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9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46B1 (ko) * 2003-11-12 2007-08-02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제어장치 및 연료분사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46B1 (ko) * 2003-11-12 2007-08-02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제어장치 및 연료분사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913B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64084A1 (en) System and method of fan control
US201001867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emissions from idling motor vehicles
US20130091829A1 (en) Method and device pertaining to limiting the temperature of a dosing unit in a scr system
JP2013534587A (ja) 選択触媒還元システムの投入ユニットの冷却に関係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2855903B1 (en) Catalyst protection device and catalyst protection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477542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EP2582943B1 (en) Method and device pertaining to cooling of dosing units of scr systems
KR101874913B1 (ko) 차량의 촉매 과열화 방지 로직 활성화 방법
EP3517761B1 (en) Piston temperature state monitor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piston temperature monitoring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RU2012139193A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арт-стопной системой двигателя
JP6241147B2 (ja) 内燃機関の触媒温度推定装置
WO2016007203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tart-stop controls
SE1050041A1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förhindra ureabeläggning i ett avgassystem hos ett motorfordon
US9341132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n after-treatment system (ATS) temperature of a combustion engine
JP2013531168A (ja) 選択触媒還元システムの投入ユニットの冷却に関係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010456B1 (ko) 촉매과열 방지 방법
US20150330277A1 (en) Aftertreatment thermal management via clutch assembly
EP2924267B1 (en) System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unburned hydrocarbons in a line of exhaust gas after treatment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7364003B1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135484A1 (en) Method for flushing an exhaust-gas cleaning system
JP5867337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WO2023062921A1 (ja) 制御装置
WO2016117299A1 (ja) 加熱装置
KR101987855B1 (ko)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 온도 제어방법
JP2002157131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