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007A - 박형 유리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박형 유리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007A
KR20140051007A KR1020120117540A KR20120117540A KR20140051007A KR 20140051007 A KR20140051007 A KR 20140051007A KR 1020120117540 A KR1020120117540 A KR 1020120117540A KR 20120117540 A KR20120117540 A KR 20120117540A KR 20140051007 A KR20140051007 A KR 20140051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glass substrate
mesh pattern
thin glass
fl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477B1 (ko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477B1/ko
Priority to US13/758,908 priority patent/US20140110725A1/en
Publication of KR20140051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298Noncircular aperture [e.g., slit, diamond, rectang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926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ceramic, glass, porcelain or quartz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박형 유리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박형 유리기판은 투명한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한 메쉬 패턴을 포함한다. 메쉬패턴에 의해 베이스 부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변형이 발생된 경우에는 인장력을 제공하여 깨짐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메쉬패턴은 베이스 부재로 인가되는 충격이나 스트레스를 분산시켜 내구성을 높이며,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형 유리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Thin glass substrat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평판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박형 유리기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향상된 박형 유리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나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평판표시장치는 유리기판으로 제조된다.
유리기판은 투과도가 높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재료로서 적합하지만, 중량으로 인해 크기가 증가할수록 무게가 무거워지고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최근 들어, 표시장치의 크기 증가와 더블어 두께 감소가 요구되고 있다.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기판의 두께 감소가 불가피하다.
0.5㎜ 이하의 두께를 갖는 박형 유리기판은 쉽게 휨이 발생하고 충격에 매우취약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문제점으로 대두된다.
또한, 박형 유리기판에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지지기판이 필요하다. 지지기판 상에 희생층을 형성하고 희생층 상에 유리기판을 부착한다. 유리기판 상에 표시장치를 제조한 후에는 유리기판을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기판을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기 때문에 공정단계가 복잡해지고, 유리기판을 부착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오염 및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제조 과정에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박형 유리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된 박형 유리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파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박형 유리기판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형 유리기판은 투명한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한 메쉬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형 유리기판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는 투명한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한 메쉬 패턴을 포함하는 박형 유리기판, 상기 베이스 부재의 다른 일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절연기판,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절연기판 사이에 배치된 발광소자 어레이, 및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를 둘러싸며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절연기판에 접착된 밀봉재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0.05㎜ 내지 0.5㎜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메쉬 패턴은 100㎚ 내지 300㎚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메쉬패턴은 AZO, ITO, IZO 및 ITZ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 유리기판은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메쉬패턴이 형성된다. 메쉬패턴에 의해 베이스 부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변형이 발생된 경우에는 인장력을 제공하여 깨짐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메쉬패턴은 베이스 부재로 인가되는 충격이나 스트레스를 분산시켜 내구성을 높이며,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 유리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 유리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 유리기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 유리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1 - I2 부분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박형 유리기판(10)은 투명한 베이스 부재(12)와, 베이스 부재(12)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한 메쉬패턴(14)을 포함한다.
메쉬패턴(14)은 베이스 부재(12)의 전면에 형성되며, 전면에 걸쳐 분포된 복수의 개구부(1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쉬패턴(14)은 벌집(honeycomb), 그물망(mesh), 격자(grid)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에는 육각형의 개구부(16)가 균일하게 배열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원형이나 적어도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개구부(16)가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투명한 베이스 부재(12)는 유리나 석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박막 형태로서, 0.05㎜ 내지 0.5㎜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한 메쉬패턴(14)은 AZO(Al-doped Zinc Oxid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및 ITZO(Indium Tin Zinc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100㎚ 내지 30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쉬패턴(14)의 두께가 100㎚보다 얇은 경우 베이스 부재(12)를 충분히 지지하기 어려우며, 300㎚보다 두꺼우면 유리기판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표시장치의 박형화가 어렵고 가요성(flexible)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어렵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박형 유리기판(10)의 베이스 부재(12) 상에는 반도체 공정 등으로 박막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발광소자 등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2) 상에 도전층이나 절연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온 및 가스 분위기의 챔버 내에서 증착 공정이 진행되는데, 이 때 금속이나 무기물로 이루어진 기판 지지대(도시안됨)와 베이스 부재(12)의 열팽창 계수 차이로 인해 도 3과 같이, 베이스 부재(12)의 변형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 베이스 부재(12)의 깨짐이나 파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 유리기판(10)은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베이스 부재(12)의 일면에 형성된 메쉬패턴(14)에 의해 베이스 부재(12)의 변형이 억제되는 동시에 메쉬패턴(14)에 의해 베이스 부재(12)가 지지되기 때문에 깨짐이 발생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베이스 부재(12)의 주변부가 상부로 구부러질 경우 메쉬패턴(14)에 의한 인장력이 화살표(실선)와 같이 작용하여 구부러짐이 억제될 수 있으며, 베이스 부재(12)의 중앙부가 하부로 구부러질 경우 메쉬패턴(14)에 의한 인장력이 화살표(점선)와 같이 작용하여 구부러짐이 억제될 수 있다.
메쉬패턴(14)을 규칙적인 형태로 형성하면 베이스 부재(12)의 전면에 걸쳐 인장력이 균일하게 작용하여 베이스 부재(12)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구부러짐의 정도나 위치를 예측하여 개구부(16)의 크기나 밀도(분포도) 또는 개구부(16) 사이의 간격(폭)을 조절할 수 있다. 구부러짐이 심하게 나타나는 위치의 개구부(16)의 크기를 다른 부분보다 감소시키거나, 개구부(16)의 밀도를 다른 부분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메쉬패턴(14)은 베이스 부재(12)로 인가되는 충격이나 스트레스를 분산시키기 때문에 박형 유리기판(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쉬패턴(14)이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더라도 개구부(16)는 빛이 투과되는 량과 관련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개구부(16)의 크기나 밀도(분포도) 또는 개구부(16) 사이의 간격(폭)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쉬패턴(14)은 베이스 부재(12)의 일면에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고 마스크를 이용한 사진 및 식각 공정으로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박형 유리기판(10)은 평판표시장치의 소자기판이나 봉지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박형 유리기판(10)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박형 유리기판(10)이 소자기판으로 사용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박형 유리기판(10) 상부에 베이스 부재(12)와 대향하도록 절연기판(30)이 배치된다.
박형 유리기판(10)은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절연기판(30)은 박형 유리기판(10)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기판(30)은 유리, 금속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부재(12)와 절연기판(30) 사이에 발광소자 어레이(20)가 배치되고, 발광소자 어레이(20)를 둘러싸도록 베이스 부재(12)와 절연기판(30) 사이에 밀봉재(40)가 형성된다. 밀봉재(40)는 베이스 부재(12)와 절연기판(30)에 접착되어 내부의 발광소자 어레이(20)를 밀봉시킨다.
발광소자 어레이(20)는 표시 영역의 베이스 부재(12)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 어레이(20)는 복수의 주사 라인 및 데이터 라인 사이에 복수의 발광소자가 매트릭스 방식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소자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어레이는 반도체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메쉬패턴(14)의 작용에 의해 제조 과정에서 깨짐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
도 5는 박형 유리기판(10)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박형 유리기판(10)이 봉지기판으로 사용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절연기판(30)과 대향하도록 박형 유리기판(10)이 배치된다.
절연기판(30)은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박형 유리기판(10)은 절연기판(30)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기판(30)은 유리, 금속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기판(30)과 박형 유리기판(10)의 베이스 부재(12) 사이에 발광소자 어레이(20)가 배치되고, 발광소자 어레이(20)를 둘러싸도록 베이스 부재(12)와 절연기판(30) 사이에 밀봉재(40)가 형성된다. 밀봉재(40)는 베이스 부재(12)와 절연기판(30)에 접착되어 내부의 발광소자 어레이(20)를 밀봉시킨다.
발광소자 어레이(20)는 표시 영역의 절연기판(30)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 어레이(20)는 복수의 주사 라인 및 데이터 라인 사이에 복수의 발광소자가 매트릭스 방식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소자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어레이는 반도체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메쉬패턴(14)의 작용에 의해 제조 과정에서 깨짐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의 일면에 형성된 메쉬패턴(14)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간섭이 억제될 수 있다. 전자파 간섭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메쉬패턴(14)의 면적을 가능한 넓게 확보하여 전도도를 높여야 하지만, 개구부(16)의 크기가 지나치게 감소하면 빛이 투과되는 량이 감소하여 봉지기판으로서의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형 유리기판(10)이 평판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메쉬패턴(14)을 비표시 영역에만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유리기판
12: 베이스 부재
14: 메쉬패턴
16: 개구부
20: 발광소자 어레이
30: 절연기판
40: 밀봉재

Claims (18)

  1. 투명한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한 메쉬 패턴을 포함하는 박형 유리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0.05㎜ 내지 0.5㎜의 두께를 갖는 박형 유리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패턴은 100㎚ 내지 300㎚의 두께를 갖는 박형 유리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패턴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박형 유리기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AZO, ITO, IZO 및 ITZ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박형 유리기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패턴은 적어도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박형 유리기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패턴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박형 유리기판.
  8. 투명한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한 메쉬 패턴을 포함하는 박형 유리기판;
    상기 베이스 부재의 다른 일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절연기판;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절연기판 사이에 배치된 발광소자 어레이; 및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를 둘러싸며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절연기판에 접착된 밀봉재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0.05㎜ 내지 0.5㎜의 두께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패턴은 100㎚ 내지 300㎚의 두께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패턴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평판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AZO, ITO, IZO 및 ITZ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평판표시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패턴은 적어도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패턴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촉되는 평판표시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어레이가 상기 절연기판에 접촉되는 평판표시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은 유리, 금속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 평판표시장치.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이 불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평판표시장치.
KR1020120117540A 2012-10-22 2012-10-22 박형 유리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KR102097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540A KR102097477B1 (ko) 2012-10-22 2012-10-22 박형 유리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US13/758,908 US20140110725A1 (en) 2012-10-22 2013-02-04 Thin glass substrate and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540A KR102097477B1 (ko) 2012-10-22 2012-10-22 박형 유리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07A true KR20140051007A (ko) 2014-04-30
KR102097477B1 KR102097477B1 (ko) 2020-04-07

Family

ID=5048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540A KR102097477B1 (ko) 2012-10-22 2012-10-22 박형 유리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10725A1 (ko)
KR (1) KR102097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326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609816B2 (en) 2014-11-24 2020-03-31 Samsung Display Co., Ltd. Stretchable conductive pattern and stretchab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0502S1 (en) * 2014-07-31 2016-07-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ing tool with surface pattern
JP6789058B2 (ja) * 2016-10-14 2020-11-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作製方法
US10497899B2 (en) 2017-07-17 2019-12-0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Hardening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lexible AMOLED display device
CN107415333A (zh) * 2017-07-17 2017-12-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硬化膜及其制备方法、柔性amoled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72A (ko) * 1998-07-30 2000-02-15 손욱 유기 전자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5302508A (ja) * 2004-04-12 2005-10-27 Fuji Photo Film Co Ltd 透明導電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685853B1 (ko) * 2006-01-25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8503A (ko) * 2006-06-12 2007-12-17 삼성코닝 주식회사 초박형 면광원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백라이트 유닛
KR20080008194A (ko) * 2006-07-18 2008-01-23 삼성코닝 주식회사 평판 전극,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면광원 장치 및 백라이트유닛
WO2012093530A1 (ja) * 2011-01-06 2012-07-1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有機薄膜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57B1 (ko) * 2006-04-07 2007-04-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1868228A2 (en) * 2006-06-12 2007-12-19 Samsung Corning Co., Ltd. Flat electrode, ultra thi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CN104090673B (zh) * 2008-02-28 2018-02-23 3M创新有限公司 具有低可见度导体的触屏传感器
CN102596565B (zh) * 2009-08-27 2014-09-10 旭硝子株式会社 挠性基材-支撑体的层叠结构体、带有支撑体的电子装置用面板、以及电子装置用面板的制造方法
KR20110037337A (ko) * 2009-10-06 2011-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130086701A (ko) * 2012-01-26 2013-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098152B2 (en) * 2012-07-24 2015-08-04 Atmel Corporation Dielectric layer for touch sensor stack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172A (ko) * 1998-07-30 2000-02-15 손욱 유기 전자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5302508A (ja) * 2004-04-12 2005-10-27 Fuji Photo Film Co Ltd 透明導電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685853B1 (ko) * 2006-01-25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8503A (ko) * 2006-06-12 2007-12-17 삼성코닝 주식회사 초박형 면광원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백라이트 유닛
KR20080008194A (ko) * 2006-07-18 2008-01-23 삼성코닝 주식회사 평판 전극,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면광원 장치 및 백라이트유닛
WO2012093530A1 (ja) * 2011-01-06 2012-07-1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有機薄膜デバイ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9816B2 (en) 2014-11-24 2020-03-31 Samsung Display Co., Ltd. Stretchable conductive pattern and stretchable device
KR20180047326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10725A1 (en) 2014-04-24
KR102097477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477B1 (ko) 박형 유리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CN106816456B (zh)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显示器
US9591749B2 (en) Capacitance touch panel modul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030030B1 (ko) 마스크 조립체
CN108598290B (zh) 柔性显示器及其制作方法
US20120319990A1 (en) Touch display device
US20160103536A1 (en)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02509719A (zh) 可挠式显示器的制作方法以及可挠式显示器
US20160313827A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705640B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ouch display device
WO2011125307A1 (ja) 表示装置
US10013127B2 (en) Touch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80321763A1 (en) Touch substrat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1698818B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CN108054186B (zh) 柔性阵列基板及制备方法和显示装置
KR20090059225A (ko) 분할 마스크
KR101669422B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US916620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KR101723149B1 (ko) 엠이엠에스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6773523B (zh) 一种掩膜板及其制作方法
CN117286448A (zh) 掩模框架组件
KR100830237B1 (ko) 대면적 기판 처리 시스템의 서셉터 구조물
KR20150014240A (ko) 터치 윈도우
US10312461B2 (en) Flexible OLED display panel having a substrate with a titanium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286464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