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768A - 분리형 물병 - Google Patents

분리형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768A
KR20140049768A KR1020120115983A KR20120115983A KR20140049768A KR 20140049768 A KR20140049768 A KR 20140049768A KR 1020120115983 A KR1020120115983 A KR 1020120115983A KR 20120115983 A KR20120115983 A KR 20120115983A KR 20140049768 A KR20140049768 A KR 20140049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opened
contact
connecting member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649B1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김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호 filed Critical 김창호
Priority to KR1020120115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64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4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으로 분리된 상,하부용기를 연결부재로 분리가능하게 연결하여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 세척 및 소독이 용이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여과부재에 의해 티백이나 차잎을 넣고 차로 우려먹을 수 있도록 차용기로 대용이 가능하므로 사용범위를 넓힐 수 있는 분리형 물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물병{Detachable water bottle}
본 발명은, 물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분리된 상,하부용기를 연결부재로 분리가능하게 연결하여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 세척 및 소독이 용이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여과부재에 의해 티백이나 차잎을 넣고 차로 우려먹을 수 있도록 차용기로 대용이 가능하므로 사용범위를 넓힐 수 있는 분리형 물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병이라 함은, 식수를 담기 위한 용기로서, 물과 음료 및 주류 등과 같은 액체를 담아 휴대,보관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게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액체의 특성에 따라 합성수지, PET, 유리재질 및 알루미늄과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병은, 원통,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내부에 액체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 상단부에 액체의 유입 및 출구를 안내하는 입구가 구성되며, 상기 입구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마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 액체를 담아 마개로 밀폐시킨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마개를 입구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입구로 토출되는 액체를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물병의 입구 부분이 본체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의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세척 및 소독이 어려워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병의 본체를 상,하로 분리하여 내부를 개방함으로써, 상,하부본체의 내부 세척 및 소독이 용이하도록 하는 분리형 물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본체의 하단부와 하부본체의 상단부를 연결부재로 수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상,하부본체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분리형 물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부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밀착력과 흡착력을 높여 상,하부본체 내부의 액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상,하부본체 및 연결부재의 색상 및 디자인의 변화를 주어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분리형 물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부재에 여과부재를 설치하여 차용기로 대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뜨거운 물은 넣은 상태에서도 실리콘 재질의 연결부재를 통해 용이하게 파지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물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분리형 물병은,
마개로 입구가 개폐되면서 하부가 개방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와 수직으로 대응되면서 상부가 개방된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부와 하부본체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연통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분리형 물병은,
마개로 입구가 개폐되면서 하부가 개방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와 수직으로 대응되면서 상부가 개방된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부와 하부본체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연통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하부본체에 내장된 차잎과 티백과 같은 내용물을 여과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병의 본체를 상,하로 분리하여 내부를 개방함으로써, 상,하부본체의 내부 세척 및 소독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본체의 하단부와 하부본체의 상단부를 연결부재로 수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상,하부본체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사용이 간편한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부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밀착력과 흡착력을 높여 상,하부본체 내부의 액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게 사용함은 물론, 상,하부본체 및 연결부재의 색상 및 디자인의 변화를 주어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재에 여과부재를 설치하여 차용기로 대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범위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뜨거운 물은 넣은 상태에서도 실리콘 재질의 연결부재를 통해 용이하게 파지하여 안전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이 결합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분리형 물병(100)은, 마개(110')로 입구(111)가 개폐되면서 하부가 개방된 상부본체(110)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본체(110)와 수직으로 대응되면서 상부가 개방된 하부본체(120)가 구성되며, 상기 상부본체(110)의 하단부와 하부본체(120)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를 연통시키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분리형 물병(100)은, 마개(110')로 입구(111)가 개폐되면서 하부가 개방된 상부본체(110)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본체(110)와 수직으로 대응되면서 상부가 개방된 하부본체(120)가 구성되며, 상기 상부본체(110)의 하단부와 하부본체(120)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를 연통시키는 연결부재(130)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30)에 설치되어 하부본체(120)에 내장된 차잎과 티백과 같은 내용물(T)을 여과하는 여과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본체(120)의 저면에 장착되어 하부본체(120)가 바닥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내부가 관통된 몸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31)의 상,하면에 돌출되어 상부본체(110)의 하단부와 하부본체(120)의 상단부를 수용하면서 상,하부본체(120)의 외,내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1,2밀착면(132)(13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상,하부본체(120)의 내면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히도록 제1밀착면(132)보다 제2밀착면(133)을 더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밀착면(132)(133)의 마찰력 및 흡착력을 높이도록 제1,2밀착편(132)(133)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마찰돌기(134)를 돌출시키거나 제1,2밀착편(132)(133)을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밀착면(132)(133)과 상부본체(110)의 하단부 및 하부본체(120)의 상단부에 나사산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140)가 장착되도록 연결부재(130) 내면에 설치홈(141)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30)와 여과부재(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30) 및 여과부재(140)는 고온 경화형(High Temperature Vulcanizing, HTV) 실리콘이나 액상 실리콘(Liquefied Silicone Rubber, LS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PET, 유리재질 및 알루미늄과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상,하부본체(110)(120)를 수평으로 분리되도록 형성하는데, 상기 상부본체(110)의 하단부는 하부본체(120)와 수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면서 내부가 관통됨은 물론 상단부는 하단부보다 작은 크기의 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120)는, 상기 상부본체(110)의 하단부와 수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면서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본체(110)(1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는, 고온 경화형(High Temperature Vulcanizing, HTV) 실리콘이나 액상 실리콘(Liquefied Silicone Rubber, LS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몸체(131) 내부가 관통되면서 상기 몸체(131)의 상,하면에 제1,2밀착면(132)(133)이 돌출되도록 성형한다.
상기 제2밀착면(133)은 제1밀착면(132)보다 더 높게 형성하여 상,하부본체(110)(120)의 내면과 접촉면적을 넓혀 마찰력 및 흡착력을 높여 상,하부본체(110)(120) 내부의 액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밀착면(132)(133)의 마찰력 및 흡착력을 높이도록 제1,2밀착편(132)(133)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마찰돌기(134)를 돌출시키거나 제1,2밀착편(132)(133)을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상,하부본체(110)(120)와 연결부재(130)가 형성되면, 상기 연결부재(130)의 몸체(131) 상,하면에 돌출된 제1,2밀착면(132)(133) 사이로 상부본체(110)의 하단부와 하부본체(120)의 상단부를 각각 결합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30)의 제2밀착면(133)에 상부본체(110)의 하단부와 하부본체(120)의 상단부 내면이 밀착되어 결합됨은 물론 상부본체(110)의 하단부와 하부본체(120)의 상단부 외면은 제1밀착면(132)에 밀착되면서 제1,2밀착편(133) 사이로 상부본체(110)의 하단부와 하부본체(120)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몸체(131)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밀착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밀착면(132)(133)과 상부본체(110)의 하단부 및 하부본체(120)의 상단부에 나사산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상부본체(110)의 하단부 내,외면과 상부본체(11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제1,2밀착면(132)(133) 내면 및 하부본체(120)의 상단부 내,외면과 하부본체(12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제1,2밀착면(132)(133)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본체(120)의 상단부와 하부본체(120)가 결합되는 제1,2밀착면(132)(133)은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착탈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고온 경화형(High Temperature Vulcanizing, HTV) 실리콘 이나 액상 실리콘(Liquefied Silicone Rubber, LS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실리콘의 특성상 복원되려는 성질에 의해 제1밀착편(132)의 내면이 상부본체(110)의 하단부와 하부본체(120)의 상단부 외면에 밀착됨은 물론 제2밀착편(133)의 내면이 상부본체(110)의 하단부와 하부본체(120)의 상단부 내면에 밀착되면서 마찰돌기(134)에 의해 상,하부본체(110)(120)의 내,외면을 계속 가압하는 상태가 되므로 제1,2밀착편(132)(133)에 돌출된 마찰돌기(134) 및 제1,2밀착편(132)(133)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직으로 형성될 때보다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연결부재(130)에 상,하부본체(110)(120)가 결합되어 분리형 물병(100)의 제작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형 물병(100)에 물과 음료 및 주류 등과 같은 액체를 담고 상부본체(110)의 입구(111)를 마개(110')로 폐쇄시킨 후, 휴대 및 보관하면서 음용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분리형 물병(100)에 뜨거운 물은 넣은 상태에서도 실리콘 재질의 연결부재(130)를 통해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본체(120)에서 연결부재(130)를 분리할 때, 상기 하부본체(120)의 상단부와 하부본체(120)가 결합되는 제1,2밀착면(132)(133)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보다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가 좀더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형 물병(100)에 차잎 및 홍차, 둥들레차, 보리차, 녹차 등의 티백과 같은 내용물(T)을 부가할 경우, 상기 연결부재(130)에 여과부재(14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재(140)는 상기 연결부재(130)의 몸체(131) 내면에 요입되거나 돌출되는 설치홈(141)에 장착하여 설치하거나, 상기 여과부재(140)와 연결부재(130)를 고온 경화형(High Temperature Vulcanizing, HTV) 실리콘이나 액상 실리콘(Liquefied Silicone Rubber, LSR) 중 어느 하나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여과부재(140)가 연결부재(130)에 설치되면, 하부본체(120)에 차잎 및 티백과 같은 내용물(T)을 위치시킨 후, 연결부재(130) 저면의 제1,2밀착편(132)(133)으로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130) 상면의 제1,2밀착편(132)(133)에 상부본체(11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본체(110)에 물을 넣고 상부본체(110)의 입구(111)를 마개(110')로 폐쇄시켜 휴대 및 보관하면서 차잎 및 티백의 내용물(T)으로부터 우려낸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120)의 하단부에 충격흡수부재(150)를 장착하여 하부본체(120)가 바닥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부본체(120)로 전달되는 충격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분리형 물병(100)에 저장된 액체의 음용 후, 분리형 물명(100)을 세척 및 소독하려면, 연결부재(130)로부터 상,하부본체(110)(120)를 각각 분리하여 세척 및 소독이 가능하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본체(110)(120)와 연결부재(130)의 색상 및 디자인의 변화를 주어 분리형 물병(100)이 디자인이 미려하게 함으로써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분리형 물병 110: 상부본체
120: 하부본체 130: 연결부재
140: 여과부재 150: 충격흡수부재

Claims (10)

  1. 마개로 입구가 개폐되면서 하부가 개방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와 수직으로 대응되면서 상부가 개방된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부와 하부본체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연통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물병.
  2. 마개로 입구가 개폐되면서 하부가 개방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와 수직으로 대응되면서 상부가 개방된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단부와 하부본체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연통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하부본체에 내장된 차잎과 티백과 같은 내용물을 여과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물병.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의 저면에 장착되어 하부본체가 바닥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물병.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가 관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면에 돌출되어 상부본체의 하단부와 하부본체의 상단부를 수용하면서 상,하부본체의 외,내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1,2밀착면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물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본체의 내면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히도록 제1밀착면보다 제2밀착면을 더 높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물병.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밀착면의 마찰력 및 흡착력을 높이도록 제1,2밀착편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마찰돌기를 돌출시키거나 제1,2밀착편을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물병.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밀착면과 상부본체의 하단부 및 하부본체의 상단부에 나사산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물병.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가 장착되도록 연결부재 내면에 설치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물병.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여과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물병.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및 여과부재는, 고온 경화형 실리콘이나 액상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물병.
KR1020120115983A 2012-10-18 2012-10-18 분리형 물병 KR10142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983A KR101421649B1 (ko) 2012-10-18 2012-10-18 분리형 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983A KR101421649B1 (ko) 2012-10-18 2012-10-18 분리형 물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768A true KR20140049768A (ko) 2014-04-28
KR101421649B1 KR101421649B1 (ko) 2014-07-22

Family

ID=5065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983A KR101421649B1 (ko) 2012-10-18 2012-10-18 분리형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290B1 (ko) 2015-06-09 2015-11-25 (주)엠제이케미칼 친환경 플라스틱재 다기능 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790Y1 (ko) * 2004-03-04 2004-05-13 김인수 상하 분리된 pet병
KR200437860Y1 (ko) * 2007-01-24 2008-01-02 서여민 다기능 위생물통
KR101125822B1 (ko) * 2009-04-08 2012-03-27 민응식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KR101262490B1 (ko) * 2010-11-26 2013-05-08 박영근 통체의 중간부 결합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649B1 (ko) 201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4521A (ko) 뚜껑이 일체로 구비된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RU2006106923A (ru) Крышка, в частност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одноразового стаканчика
MXPA05002660A (es) Botella de bebidas con compartimiento inferior desmontable y metodos para usar la misma.
KR101421649B1 (ko) 분리형 물병
KR101873833B1 (ko) 분리 가능한 물병
KR101843468B1 (ko)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20170052358A (ko) 음료 용기
US10899528B2 (en) Fluid dispensing bottle cap and bottle system
WO2012013206A1 (en) Bottle able to be transformed into a cup
KR20150045100A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20130135693A (ko) 다기능 젖병
KR20190122603A (ko) 분리형 물병
KR200438625Y1 (ko)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BG2829U1 (bg)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за пиене към контейнер, съдържащ напитки
KR200337491Y1 (ko) 페트병 뚜껑
KR101975650B1 (ko) 음료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
US20050196493A1 (en) That's my water
KR200435196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CN206857309U (zh) 一种容器用提拉式饮水盖
KR200174370Y1 (ko) 두개의 흡음구가 구비된 음료수 캔
KR20130000364U (ko)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KR20200058073A (ko) 헴프 섬유를 이용한 휴대용 자바라식 텀블러
KR200381684Y1 (ko) 머그컵의 체결캡 구조
KR101078950B1 (ko) 개선된 마개구조를 갖는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