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650B1 - 음료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5650B1 KR101975650B1 KR1020170046556A KR20170046556A KR101975650B1 KR 101975650 B1 KR101975650 B1 KR 101975650B1 KR 1020170046556 A KR1020170046556 A KR 1020170046556A KR 20170046556 A KR20170046556 A KR 20170046556A KR 101975650 B1 KR101975650 B1 KR 1019756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beverage
- mixing
- receiving space
- detachably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제1음료 및 상기 제1음료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밀봉캡; 일측에 유체 연통가능한 연통구, 상기 연통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 및 상기 제1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용기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덮개; 상기 제1용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용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용기 고정구; 및 일측이 상기 덮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음료 및 제2음료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용기를 포함하는 음료 혼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용기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밀봉캡; 일측에 유체 연통가능한 연통구, 상기 연통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 및 상기 제1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용기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덮개; 상기 제1용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용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용기 고정구; 및 일측이 상기 덮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음료 및 제2음료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용기를 포함하는 음료 혼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음료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소주와 맥주를 섞어 마시는 일명 폭탄주는 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자주 즐기는 음주 방법이다. 폭탄주는 소주와 맥주 각각을 따로 구입하여 일정 비율로 한 컵에 섞어 제조한다. 다만, 소주와 맥주를 각각 따로 구입하여야 하므로, 폭탄주는 여러 사람이 음식점에 가서 술을 주문할 때 즐길 수 있는 방법이다. 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홀로 음주를 즐기는 빈도가 높은데, 홀로 음주를 즐기는 이들은 용량이 작은 팩소주 또는 캔맥주 등을 구입할 수 있으나, 용량이 작은 한잔의 폭탄주를 구입하거나 즐기기에는 무리가 있다. 설령, 용량이 작은 팩소주와 캔맥주를 구입하여 섞어 마실 수 있다 하여도 폭탄주 두 잔 이상의 용량을 마시게 되므로 과한 음주를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종래기술인 내용물 압출용기(일본등록특허 제 5785755호)는 압출용기의 상부를 가압하면 내용물이 분사되는 기술로서, 내용물을 압출하는 데 탁월한 장점이 있으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대량생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인 중간 개폐가 가능한 결합 분리 텀블러(한국공개특허 제 2016-0085180호)는 서로 다른 두 음료가 섞이도록 중간 개폐가 가능한 점, 구조가 간단한 점이 장점이지만, 서로 다른 두 음료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들을 보완한, 구조가 간단하여 비용이 저감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소주와 맥주가 효과적으로 잘 섞일 수 있도록 하는 혼합수단이 포함된 한 잔 용량의 음료를 제공하는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제1음료 및 상기 제1음료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밀봉캡; 일측에 유체 연통가능한 연통구, 상기 연통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 및 상기 제1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용기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덮개; 상기 제1용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용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용기 고정구; 및 일측이 상기 덮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음료 및 제2음료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용기를 포함하는 음료 혼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에 의하면, 혼합유도기구를 포함하여 소주와 맥주를 효과적으로 혼합시켜 음료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에 의하면, 간단하고 쉬운 단계를 거쳐 적당한 용량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과도한 음주를 방지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인해 생산성 및 사용편의성이 높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음료가 사람의 손과 접촉하지 않고 혼합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성이 높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환경친화적이며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여 환경친화성이 높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를 이용하여 음료를 혼합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에 혼합유도기구가 더 포함된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의 혼합유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의 혼합유도기구 및 실링부재의 사시도 및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의 혼합유도기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를 이용하여 음료를 혼합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에 혼합유도기구가 더 포함된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의 혼합유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의 혼합유도기구 및 실링부재의 사시도 및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의 혼합유도기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개시의 구체적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10)는 덮개(100), 제1용기(200) 및 제2용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100)는 일반적인 쉐이커 용기 또는 텀블러의 덮개의 형상일 수 있다. 덮개(100)는 연통구(130), 마개, 제1용기 수용공간 및 제1용기 고정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구(130)는 연통구(130)를 통해 유체가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통구(130)는 돌출된 주둥이의 형태일 수 있다. 마개는 연통구(1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통구(13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마개를 이용하여 연통구(13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연통구(130)는 덮개(10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연통구(130)는 돌출된 기둥의 형태가 아닌 유체 연통가능한 구멍만 존재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공간점유체적이 감소하여 운반 및 보관에 유리하다.
제1용기 수용공간은 후술하는 제1용기(2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용기(200)는 덮개(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용기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용기 고정구(150)는 덮개(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용기 고정구(150)는 덮개(1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용기 고정구(150)는 중공의 도넛형상 일 수 있다. 제1용기 고정구(150)의 중공은 연통구의 구멍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용기 고정구(150)는 공지의 어떠한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스펀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모든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용기 고정구(150)는 후술하는 제1용기(200)가 제1용기 고정구(1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조, 유통과정에서 제1용기(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용기 고정구(150)에 제1용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제1용기(200)를 제1용기 고정구(15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1용기(200)는 제1음료(250), 밀봉캡(210) 및 제1음료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음료(250)는 가령 소주, 맥주, 막걸리, 위스키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어떠한 음료도 가능하다.
제1용기(200)는 제1용기 고정구(1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용기 고정구(15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밀봉캡(210)은 제1용기(2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밀봉캡(210)은 탈착이 용이하도록 제1용기(20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밀봉캡(210)은 제1용기(200)의 입구에 빈틈없이 부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하면 유통과정에서 제1음료(250)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캡(210)은 제1음료(250)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공지의 어떠한 형상이나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용기(300)는 제2음료(350) 및 제2음료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음료(350)는 가령 소주, 맥주, 막걸리, 위스키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어떠한 음료도 가능하다.
제2용기(300)는 덮개(1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용기(300)와 덮개(100)가 결합되는 부분에 각각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를 이용하여 음료를 혼합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음료와 제2음료를 혼합하는 혼합방법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음료와 제1음료를 혼합하는 혼합방법은, 덮개(100)를 제2용기(300)로부터 분리하는 덮개 분리 단계(S1), 제1용기(200)를 덮개(10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용기 고정구(150)로부터 분리하는 제1용기 분리 단계(S2), 제1용기(200)에 수용되는 제1음료(250)를 제2용기(300)에 투입시켜 제2용기(300)의 제2음료(350)와 제1음료(250)를 혼합시키는 제1혼합 단계(S3), 덮개(100)를 제2용기(300)에 재결합 시키는 재결합 단계(S4), 덮개(100)가 재결합 된 제2용기(300)를 상하좌우로 흔들어 제1음료(250)와 제2음료(350)를 한번 더 혼합시키는 제2혼합 단계(S5), 및 덮개(100)를 제2용기(300)로부터 재분리시켜 음용하는 음용 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음료와 제1음료를 혼합하는 혼합방법은, 덮개(100)를 제2용기(300)로부터 분리하는 덮개 분리 단계(S1), 제1용기(200)를 덮개(10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용기 고정구(150)로부터 분리하는 제1용기 분리 단계(S2), 제1용기(200)에 수용되는 제1음료(250)를 제2용기(300)에 투입시켜 제2용기(300)의 제2음료(350)와 제1음료(250)를 혼합시키는 제1혼합 단계(S3), 혼합유도기구(400)의 가압부재(420)를 가압시켜 진동부재(410)를 진동시켜 제1음료(250)와 제2음료(350)를 한번 더 혼합시키는 제2혼합 단계(SS4), 및 혼합된 음료를 음용하는 음용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에 혼합유도기구가 더 포함된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의 혼합유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음료 혼합장치(10)는 혼합유도기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혼합유도기구(400)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2용기(300)는 제2용기(3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개방면(34)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면(34)의 가로길이는 후술하는 진동부재(410)의 직경 또는 가로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면(34)의 세로길이는 후술하는 진동부재(410)의 높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혼합유도기구(400)는 진동부재(410) 및 가압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재(410)는 제2용기(300)의 내부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진동부재(410)는 제2용기(300)의 내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부재(410)는 중공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부재(410)는 청동, 황동, 철, 구리, 주석 또는 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부재(410)는 앞서 언급한 재질들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재질이 조합될 수 있다.
진동부재(410)는 후술하는 가압부재(420)에 의한 가압에 의해 미세진동을 일으키고, 이러한 미세진동에 의해 폭탄주 속에 포함된 맥주 또는 소주 거품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목넘김이 부드러운 폭탄주를 마실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미세진동에 의해 소주와 맥주가 잘 혼합되어 폭탄주 전체적으로 농도가 균일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균일한 농도로 혼합되어 더욱 맛이 좋은 폭탄주를 마실 수 있다.
진동부재(410)는 도넛 형상일 수 있으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세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진동부재(410)와 제2용기(300)는 일정 간격 이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형성되는 진동부재(410)와 제2용기(300)의 사이의 여유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여유공간은 진동부재(410)가 진동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가압부재(420)는 도 4를 참조하면 가압부재(420)는 진동부재(41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압부재(420)는 위에서 언급한 개방면을 통해 제2용기(300)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압부재(420)는 도 4를 참조하면 탄성체(421), 조작부(422), 및 가압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421)는 일측이 진동부재(410)에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조작부(422)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421)는 가압부재(420)가 진동부재(410)를 가압하고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 오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421)에 의하면 가압부재(420)가 진동부재(410)를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탄성체(421)는'ㄴ'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탄성체(421)의 재질은 공지의 여하한 플라스틱 또는 탄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 및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에 언급한 탄성체(42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 및 재질도 가능하다.
조작부(422)의 일측은 탄성체(421)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422)의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422)의 타측을 아래(중력방향)로 눌렀다가 떼면, 후술하는 가압부(423)가 진동부재(410)를 가압하고 이에 의해 진동부재(410)의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가압부(423)는 조작부(422)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423)는 직접적으로 진동부재(410)에 접촉하여 진동부재(410)를 가압 또는 타격할 수 있다. 가압부(423)는 가령 고무, 나무,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진동부재(410)를 가압 또는 타격하여 진동부재(410)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공지의 어떠한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용기(300)는 개방면(34) 부근에서 제2용기(30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차단막은 진동부재(4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차단막(341) 및 진동부재(4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차단막(3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동부재(410)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제3차단막 및 제4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차단막(341) 및 제2차단막(341)의 일측은 제2용기(3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진동부재(410)에 밀착될 수 있다. 제3차단막 및 제4차단막의 일측은 제2용기(3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진동부재(4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진동부재(410)와 제2용기(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을 통해 개방면(34)으로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의 혼합유도기구 및 실링부재의 사시도 및 측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10)는 실링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450)는 제2용기(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450)는 도넛 형상일 수 있고, 제2용기(300)의 내주면을 둘러 내주면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실링부재(450)가 제2용기(300)의 내주면을 둘러 배치되는 것으로 묘사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링부재(450)는 제2용기(300)의 외주면을 둘러 외주면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450)는 진동부재(410)의 일측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실링부재(450)의 하측면이 진동부재(410)의 상측면과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링부재(45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이 진동부재(41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450)는 진동부재(410)와 제2용기(300)간 여유공간을 밀봉하여 제2용기(300)의 개방면을 통해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개방면(34)의 차단막(341, 342 등)으로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엔 완전치 않을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450)를 통해 음료 누출 방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실링부재(450)는 가령 방수 종이,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용기(300)의 개방면을 통해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재질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의 혼합유도기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유도기구(500)는 공지의 자전거 벨 형상일 수 있다. 혼합유도기구(500)는 진동부재 및 작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구의 일부는 진동부재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제2용기(3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기구의 전후 이동에 의해 진동부재의 내부에 포함된 가압부가 회전하여 진동부재를 가압 또는 타격하여 진동부재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혼합장치를 이용하여 제1음료와 제2음료를 혼합하는 혼합방법은,
덮개를 제1용기로부터 분리하는 덮개 분리 단계; 제1용기를 제2용기로부터 분리하는 제1용기 분리 단계; 상기 제1용기의 노즐 캡을 노즐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노즐 캡 분리 단계; 상기 제1용기의 상기 노즐 본체가 상기 제2용기를 향하도록 상기 제1용기를 뒤집어 상기 제2용기의 일측에 위치시키는 상하 반전 단계; 상기 제1용기의 하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1용기로부터 제1음료를 분사시키는 가압 단계; 상기 제1용기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제1음료가 상기 제2용기의 제2음료와 혼합되는 혼합 단계; 및 상기 제1용기를 상기 제2용기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혼합방법의 각 단계는 나열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음료 혼합장치
100: 덮개 200: 제1용기 300: 제2용기
400: 혼합유도기구 500: 혼합유도기구(다른실시예)
100: 덮개 200: 제1용기 300: 제2용기
400: 혼합유도기구 500: 혼합유도기구(다른실시예)
Claims (7)
- 제1음료 및 상기 제1음료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밀봉캡;
일측에 유체 연통가능한 연통구, 상기 연통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 및 상기 제1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용기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덮개;
상기 제1용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용기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용기 고정구;
일측이 상기 덮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음료 및 제2음료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2용기; 및
상기 제1음료 및 제2음료의 혼합을 유도하는 혼합유도기구로서, 상기 제2용기의 일측에 배치되며 중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진동부재 및 상기 진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재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혼합유도기구
를 포함하는 음료 혼합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는,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개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제2용기의 개방면에 의해 상기 진동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2용기의 개방면을 통하여 상기 제2용기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와 상기 제2용기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진동부재가 진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존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의 일측면과 상기 제2용기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밀착 배치되는 실링부재
를 더 포함하는 음료 혼합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6556A KR101975650B1 (ko) | 2017-04-11 | 2017-04-11 | 음료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6556A KR101975650B1 (ko) | 2017-04-11 | 2017-04-11 | 음료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4639A KR20180114639A (ko) | 2018-10-19 |
KR101975650B1 true KR101975650B1 (ko) | 2019-05-07 |
Family
ID=6410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6556A KR101975650B1 (ko) | 2017-04-11 | 2017-04-11 | 음료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5650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9673Y1 (ko) * | 2002-02-07 | 2002-06-26 | 이상문 | 휴대용 음식물 혼합용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4375U (ko) * | 2007-11-05 | 2009-05-11 | 신 전 | 이중용기구조 |
-
2017
- 2017-04-11 KR KR1020170046556A patent/KR1019756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9673Y1 (ko) * | 2002-02-07 | 2002-06-26 | 이상문 | 휴대용 음식물 혼합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4639A (ko) | 2018-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266737A1 (en) | Beverage container permitting multiple configurations | |
US20120055818A1 (en) | Multi-Compartment Beverage Container | |
US20150101942A1 (en) | Container capable of mixing multiple materials | |
US20090065503A1 (en) | Multi-chambered beverage container | |
KR101553337B1 (ko) |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 |
JP2015505782A (ja) | 飲料又はアルコール飲料の容器 | |
KR101975650B1 (ko) | 음료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 | |
US10899528B2 (en) | Fluid dispensing bottle cap and bottle system | |
KR101982316B1 (ko) | 혼합용 마개장치 | |
EP2885070A2 (en) | Multiple container device | |
KR20180114644A (ko) | 음료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 | |
KR102207097B1 (ko) | 디스펜서형 음료 용기 | |
KR200359793Y1 (ko) | 거품 배출 방지용 액체용기 | |
JP4903025B2 (ja) | 発泡飲料用の注ぎ口構造並びにそれを有する泡改善缶容器、泡改善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製容器、泡改善泡立て具、泡改善ディスペンサー及び泡改善発泡飲料用ピッチャー | |
KR101421649B1 (ko) | 분리형 물병 | |
KR200352133Y1 (ko) | 수납공간을 가지는 음료용 병뚜껑 | |
JP3129147U (ja) | 飲食容器セットの構造 | |
KR200263019Y1 (ko) | 첨가제를 수용한 음료용 병 | |
KR101261475B1 (ko) | 원터치식 혼합용 뚜껑조립체 | |
KR200429845Y1 (ko) | 병 따개가 내설된 휴대용 컵 보관 용기 | |
KR100455615B1 (ko) | 캡슐용기 | |
KR200337491Y1 (ko) | 페트병 뚜껑 | |
JP2023023694A (ja) | 飲料缶用の飲み口部材 | |
KR200352957Y1 (ko) | 내부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액체 보관 용기 | |
KR20100005515U (ko) | 음료용 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