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635A -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 Google Patents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635A
KR20140049635A KR1020120115571A KR20120115571A KR20140049635A KR 20140049635 A KR20140049635 A KR 20140049635A KR 1020120115571 A KR1020120115571 A KR 1020120115571A KR 20120115571 A KR20120115571 A KR 20120115571A KR 20140049635 A KR20140049635 A KR 20140049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ing
motor
fan
cooling modu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진수
백진욱
안현택
윤영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9635A/ko
Publication of KR2014004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4Balanc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6Centering rotors within the stator; Balancing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02K5/207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with openings in the casing specially adapted for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only one end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은 코일이 삽입되는 코일수용부가 형성된 인슐레이터부와, 모터의 밸런싱을 위한 밸런싱부와 상기 코일에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부로 이루어지고,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밸런싱 및 팬부재와,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에 의해 외부공기를 코일에 가이드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A balancing and cooling module for motor}
본 발명은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터의 회전시 진동량을 줄이기 위한 인자로서 밸런싱(balancing)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모터의 회전시 코일에서 열이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는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팬부재를 장착하고, 모터의 밸런싱을 위한 밸런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팬부재는 공기의 유입량을 확보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밸런싱부재는 팬부재 또는 모터에 장착하기 위해 체결공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결국, 하기의 특허문헌을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은 밸런싱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고, 많은 공기 유입량 확보를 위해 구조적으로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US 2007013410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관점은 팬부재와 밸런싱부재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보다 많은 공기량을 코일에 전달시켜 코일이 발열시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밸런싱 효유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은 코일이 삽입되는 코일수용부가 형성된 인슐레이터부와, 모터의 밸런싱을 위한 밸런싱부와 상기 코일에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부로 이루어지고,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밸런싱 및 팬부재와,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에 의해 외부공기를 코일에 가이드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상기 팬부재는 날개와 팬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는 상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측부로 유출시키도록 상기 날개가 결합되는 팬바디는 공기가 유입되는 상부의 외경이 하부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성가 팬부재는 날개와 팬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팬바디는 공기가 유입되고 회전축이 결합되는 상부의 외경이 하부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팬바디의 하부에 축방향으로 하향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상기 하우징은 회전축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에 의해 외부공기를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밸런싱 및 팬부재 수용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상기 공기유입부는 슬릿 또는 관통공 형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이 삽입되는 베어링 수용부가 더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슐레이터부 또는 모터바디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더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인슐레이터부의 코일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상기 인슐레이터부는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의 외주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팬부재와 밸런싱부재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보다 많은 공기량을 코일에 전달시켜 코일이 발열시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고, 밸런싱 효유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밸런싱 및 팬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밸런싱 및 팬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의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100)은 하우징(110), 밸런싱 및 팬부재(120) 및 인슐레이터부(1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은 모터에 장착되는 회전축(200)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300)이 삽입결합된다.또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밸런싱 및 팬부재(120)가 삽입되고,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인슐레이터부(130)에 삽입된 코일(400)에 전달하기 위한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이하, 도 3을 참조로 본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100)의 하우징(110)의 형상 및 기능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은 회전축(200)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111)이 모터(미도시)에 일단이 결합된 회전축의 타단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인접하게 상기 회전축(200)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00)이 삽입결합되는 베어링 수용부(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밸런싱 및 팬부재(120)를 삽입하기 위한 밸런싱 및 팬부재 수용부(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120)에 의해 외부공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입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부(114)는 슬릿 또는 관통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12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인슐레이터부(130)에 삽입된 코일(400)에 전달하기 위한 공기유로(115)가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 수용부(113)에 연장되고, 인슐레이터부(130)의 코일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은 인슐레이터부(130) 또는 모터바디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16)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120)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모터의 밸런싱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200)이 삽입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밸런싱 및 팬부재 수용부(113)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공기 유입부(114)에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120)의 팬부(121)가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이하, 도 2를 참조로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120)의 형상 및 기능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120)는 팬부(121) 및 밸런싱부(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팬부(121)는 날개(121a) 및 팬바디(121b)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121a)는 상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측부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날개(121a)가 결합되는 팬바디(121)는 상부의 외경이 하부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런싱부(122)는 팬부(121)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런싱부(122)는 팬부의 팬바디(121b)에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밸런싱부는 팬바디에 연장됨에 따라 회전축이 결합된 팬부와 비교하여 반경방향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밸런싱 효율은 반경방향 거리에 비례함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가공에 따른 밸런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슐레이터부(130)는 코일이 삽입되기 위한 코일 수용부(131)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 수용부(131)에 코일(400)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부(130)는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120)의 외주부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슐레이터부(130)는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코일 수용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공기유로(115)가 코일 수용부(131)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면, 그 현상 및 다른 구성요소와의 유기적 결합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이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와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될 경우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120)는 이에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팬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공기유입부(114)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로(115)를 통해 코일로 제공되어, 코일을 냉각시킬 수 있고, 최적설계에 따른 밸런싱부가 반경방향으로 넓게 형성되어 밸런싱효율이 향상되고, 밸런싱부과 팬부가 일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간편하게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밸런싱 및 팬부재가 팬과 밸런싱 부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별도의 밸런싱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구현가능할 뿐만 아니라, 코일의 쿨링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110 : 하우징
111 : 관통홀
112 : 베어링 수용부
113 : 밸런싱 및 팬부재 수용부
114 : 공기유입부
120 : 밸런싱 및 팬부재
130 : 인슐레이터부
200 : 회전축
300 : 베어링
400 : 코일

Claims (10)

  1. 코일이 삽입되는 코일수용부가 형성된 인슐레이터부;
    모터의 밸런싱을 위한 밸런싱부와 상기 코일에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부로 이루어지고,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밸런싱 및 팬부재; 및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에 의해 외부공기를 코일에 가이드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부재는 날개와 팬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는 상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측부로 유출시키도록
    상기 날개가 결합되는 팬바디는 공기가 유입되는 상부의 외경이 하부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성가 팬부재는 날개와 팬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팬바디는 공기가 유입되고 회전축이 결합되는 상부의 외경이 하부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팬바디의 하부에 축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회전축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에 의해 외부공기를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밸런싱 및 팬부재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슬릿 또는 관통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이 삽입되는 베어링 수용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슐레이터부 또는 모터바디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인슐레이터부의 코일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부는 상기 밸런싱 및 팬부재의 외주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KR1020120115571A 2012-10-17 2012-10-17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KR20140049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71A KR20140049635A (ko) 2012-10-17 2012-10-17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71A KR20140049635A (ko) 2012-10-17 2012-10-17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635A true KR20140049635A (ko) 2014-04-28

Family

ID=5065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571A KR20140049635A (ko) 2012-10-17 2012-10-17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96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0584A1 (en) * 2017-05-31 2018-12-05 Nidec Corporation Motor, blow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0584A1 (en) * 2017-05-31 2018-12-05 Nidec Corporation Motor, blow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CN108988557A (zh) * 2017-05-31 2018-12-11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送风装置以及吸尘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513B2 (en) Axial flow fan
US9859772B2 (en) Motor
US8899946B2 (en) Fan having a balance correction portion
US7946805B2 (en) Fan unit including tapered airflow passage
CN107532614A (zh) 离心送风机以及吸尘器
US9997970B2 (en) Pump having a rotation prevention means and domestic appliance having a pump of this kind
US20170023019A1 (en) Fan
TW200827563A (en) Fan unit
US8322998B2 (en) Serial axial fan
US9109607B2 (en) Blower fan
US10180146B2 (en) Axial fan and fan assembly
CN102758780A (zh) 离心风扇
US20080085189A1 (en) Micro fan
CN110242598A (zh) 离心风扇
JP2013204784A (ja) 軸受装置および送風ファン
US20140294578A1 (en) Diffuser module and electric blower having the same
JP2016027247A (ja) 送風ファン
WO2017051784A1 (ja) モータ、および回転プロペラ装置
US20150093267A1 (en) Centrifugal Impeller and Centrifugal Blower
CN104414100A (zh) 吹风机
KR101246337B1 (ko) 축 냉각장치
KR20140049635A (ko) 모터의 밸런싱 및 쿨링모듈
CN209354389U (zh) 送风装置
CN109904971A (zh) 马达以及具有该马达的送风装置
KR20160150137A (ko) 통풍 시트용 블로워의 임펠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