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825A - 연등 - Google Patents

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825A
KR20140048825A KR1020130122799A KR20130122799A KR20140048825A KR 20140048825 A KR20140048825 A KR 20140048825A KR 1020130122799 A KR1020130122799 A KR 1020130122799A KR 20130122799 A KR20130122799 A KR 20130122799A KR 20140048825 A KR20140048825 A KR 20140048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lantern
support
fix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주용
Original Assignee
성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용 filed Critical 성주용
Publication of KR20140048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7/0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7/7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on flexible or deformable supports or substrates, e.g. for changing the light source into a desir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연등의 보관성을 향상시켜 편리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연등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체에 의해 연등의 펼쳐진 상태를 팽팽하게 유지되게 하여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연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다란 부재들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들을 상,하부 고정부재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입설되게 배치하여 그 주위를 커버로 위요되게 결합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은 상,하부 고정부재에 힌지 결합하여 상,하부 고정부재의 간격이 좁혀지게 상,하부 고정부재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탄성부재들이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궁형상을 이루게 탄성변형 되어 구형상의 연등 외형을 형성할 수 있게 한 틀체; 및 상기 틀체에 의해 형성되는 구형상의 연등 외형을 유지할 수 있게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틀체의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부를 상,하부 고정부재에 결합하여 간격이 좁혀지게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하부 고정부재가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게 한 지지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등{lamp of buddhism}
본 발명은 종교 즉, 불교 등(等)의 행사에 사용하는 연등(燃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연등의 외형을 쉽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연등의 보관시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여 보관할 수 있게 함을로서 편리성과 보관성을 좋게 하고, 연등이 펼쳐진 상태에서 연꽃잎의 구겨지지 않게 하여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교행사 즉, 석가 탄신일 등의 기념일에는 부처의 탄생을 축하하기위한 일환으로 연도나 혹은 사찰 등의 경내에 크고 작은 다양한 모양의 연등(燃燈)을 설치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러한 연등은 나무 혹은 철선을 이용하여 대략 원형체를 이루는 틀체를 만든 후, 그 외부로는 종이나 혹은 포지를 감싸는 형태로서 부착함에 의해, 완전한 형태의 연등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등은 종교 행사 종료로 인한 철거시 재사용을 위해서는 보관을 해야 하는데, 연등 자체가 갖고 있는 부피로 인한 많은 공간의 점유로 보다 넓은 보관면적이 필요하게 되는 보관상의 어려움이 있고, 설령 보관을 한다고 하더라도 부피를 갖는 형체 그대로 보관하기 때문에 연등끼리의 충돌이나 혹은 다른 물체와의 충돌, 또는 압력에 의하여 커버가 찢어지거나 혹은 틀체가 변형되는 일이 발생되어 재사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고, 결과적으로 다시 만들어서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과 낭비 등의 폐단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절첩식 연등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절첩식 연등은 내부에 촛불이나 조명 등이 구비된 채 구(球) 형상의 나선형으로 감긴 틀체와 이 틀체에 위요되어 불빛이 투시되는 겉지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연등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틀체에 의해서 납작하게 절첩되어 수납 및 보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등은 상기 나선형으로 감긴 틀체에 의해 연등이 납작하게 절첩되기 때문에 연등을 접었다 펼쳤을 경우 연꽃잎이 구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연등을 접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꽃잎에 주름이 접혀있기 때문에 연등을 접었을 경우 연꽃잎이 구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998254호, 연꽃 연등.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연등의 외형을 쉽게 구현할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되게 함과 아울러 연등이 펼쳐진 상태에서 연꽃잎의 구겨지지 않게 하여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연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등은, 가늘고 기다란 부재들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들을 상,하부 고정부재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입설되게 설치하여 그 주위로 커버를 위요(圍繞)되게 결합하거나 혹은 연꽃잎을 부착하여 된 틀체; 및 상기 틀체의 탄성부재들이 궁 형상을 이루게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눌러주어 연등 외형을 형성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들의 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상기 틀체의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부를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에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게 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등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들을 상,하부 고정부재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입설되게 설치하여 된 틀체; 및 상기 틀체의 탄성부재들이 궁 형상을 이루게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눌러주어 연등 외형을 형성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들의 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상기 틀체의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부를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에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게 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는 1개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좌우측 2개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 또는 다수로 이루어진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지지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고정부재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부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횡바에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는 지지부재를 상,하부 지지부재로 각각 분리 구성하여 상부 지지부재는 상부 고정부재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부 지지부재는 하부 고정부재에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혹은 상,하부 지지부재를 각각 상,하부 고정부재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 지지부재의 상호 마주하는 단부에는 각각 걸림편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을 서로 걸어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는 지지부재의 하단이 상기 하부 고정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되, 그 관통된 지지부재의 하단부를 절곡하여 장식편을 설치하기 위한 고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는 상부 고정부재에 걸림공을 형성하고 그 걸림공에 끼워져 고정되거나 혹은 일부위만이 걸림공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게 한 탄성걸림구가 일체형 혹은 내장형으로 설치된 고정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는 틀체의 내부에서 소정 길이를 갖는 끈부재 혹은 하부 고정부재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지지바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구의 상부로는 걸림공을 관통하는 당김끈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를 걸림공에 끼워지도록 당길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에는 커버의 상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을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에 커버의 단부를 위치시킨 후, 고정링 혹은 고정끈을 상기 고정홈에 설치하여 커버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들는 일자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중간부위가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들의 사이에는 마감부재들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는 상호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상,하부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가 크거나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는 지지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횡바가 가로질러 형성된 원형 링 형상 혹은 사각 링 형상 및 다각 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지지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걸림공이 형성된 원형 판 혹은 사각 판 및 다각 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에는 틀체의 내부에 전구를 넣거나 꺼낼 수 있게 구멍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에는 불교용 문자가 더 표시되거나 혹은 연꽃잎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들에는 불교용 문자가 더 표시되거나 혹은 연꽃잎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연등의 외형을 쉽게 구현할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을 갖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연등의 보관시에는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연등 외형을 구현한 상태에서는 연꽃잎이 구겨지지 않게 하여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등의 구조가 간단하여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도 4는 도 1표시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틀체(110)와 지지체(120)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에서 틀체(110)를 구성하는 탄성부재(112)에 연꽃잎(104)이 부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a는 도 5표시에서 연등을 보관할 수 있게 탄성부재(112)가 펼쳐져서 연등의 부피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표시에서 지지부재(122)의 상단부가 길게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을 구현할 수 있게 탄성부재(112)가 외측방향으로 휘어지게 절곡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에 구비되는 상부 고정부재(114)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I-I선 단면도로써, 커버(102)가 설치된 상태이고,
도 11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을 구성하기 위한 탄성부재(112)의 여러 변형예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표시의 연등에서 지지부재(122)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표시의 연등에서 지지부재(122)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상부 고정부재(114)에 형성된 횡바(113)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표시의 연등에서 상부 고정부재(114)에 형성된 횡바(113)에 지지부재(122)가 걸려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6표시의 연등에서 횡바(113)에 걸어 고정하는 지지부재(122)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표시의 연등에서 지지부재(122)의 상단부 형상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22)에 대한 여러 변형예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22)의 다른 변형예를 나나낸 도면이고,
도 25는 도 24표시의 지지부재(122)에 장식편(132)을 결합한 상태를 타나낸 도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하부에 장식편(132)을 결합하기 위한 지지부재(122)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7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22)가 하부 고정부재(116)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변형예들이고,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등에 구비되는 지지체(120)의 또 다른 변형예가 설치되어 연등의 부피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2는 도 31표시에서 탄성부재(112)가 외측방향으로 휘어지게 절곡되어 연등을 구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3표시의 연등에서 지지부재(122)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횡바(113)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3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3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보관할 수 있게 탄성부재가 펼쳐져서 연등의 부피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7 ~도 38은 도 36표시에서 상부 고정부재(114)와 하부 고정부재(116)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9 ~도 44는 도 36표시의 여러 변형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6은 도 45표시의 연등에서 지지부재(122)가 변형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7은 도 45표시의 연등의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8은 도 45표시의 연등을 구성할 수 있게 탄성부재가 외측방향으로 휘어지게 절곡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9 ~도 51은 도 45표시의 연등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13a)의 여러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2는 도 45표시의 연등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에 구비되는 지지체의 또 다른 실시예가 설치되어 연등이 보관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5는 도 54표시에서 연등을 구현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6은 도 55표시의 연등에 대한 상부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7은 도 54표시의 연등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이고,
도 58은 도 57표시에서 연등을 구현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9는 도 58표시의 연등에 대한 상부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0은 도 56표시에서 상부 고정부재(114)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1 ~도 63은 도 54표시에 도시된 지지체의 또 다른 변형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등(100)은 틀체(110)와 지지체(120)로 대별(大別)된다. 상기 틀체(110)에는 커버(102)가 위요(圍繞)하게 설치되어, 상기 커버(102)를 투과하는 불빛으로 외부를 밝히도록 한다.
도 2 ~도 4에는 도 1표시의 연등에 대한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연등(100)은 도 2표시와 같이 상기 커버(102)의 표면에 불교용 문자(102a)가 표시될 수 있고, 도 3표시와 같이 상기 연등(10)의 상부 개구(103)를 통해 전구(101)를 내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4표시와 같이 상기 커버(102)의 외주면에 연꽃잎(104)을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꽃잎(103)은 커버(102)에 직접 인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틀체(110)와 지지체(120)만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틀체(110)를 구성하는 탄성부재(112)에 연꽃잎(104)이 직접 부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a와 도 7b에는 연등을 보관할 수 있게 탄성부재(112)가 펼쳐져서 연등의 부피가 줄어든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연등을 구현할 수 있게 탄성부재(112)가 외측방향으로 휘어지게 절곡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체(110)는 기다란 부재들로 이루어진 탄성부재(112)들을 상,하부 고정부재(114,116)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입설되게 배치하여 그 주위를 상기 커버(102)로 위요되게 결합하고, 상기 탄성부재(112)들의 양단은 상,하부 고정부재(114,116)에 힌지(112a,112b)로 결합하여 도 8표시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114,116)의 간격이 좁혀지게 상,하부 고정부재(114,116)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탄성부재(112)들이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궁형상을 이루게 탄성변형 되어 구형상의 연등 외형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114,116)는 원형 링 형상 혹은 사각 링 형상 및 다각 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원형 판 혹은 사각 판 및 다각 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틀체(110)를 구성하는 탄성부재(112)에 도 6표시와 같이 연꽃잎(104)을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커버(102)를 설치하지 않고, 연꽃잎(104)만을 탄성부재(112)에 직접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체(120)는 틀체(110)에 의해 형성되는 구형상의 연등 외형을 유지할 수 있게 상기 탄성부재(110)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22)를 상기 틀체(110)의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지지부재(122)의 양측부를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114,116)에 결합하여 간격이 좁혀지게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하부 고정부재(114,116)가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도 9에는 연등에 구비되는 상부 고정부재(114)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표시의 I-I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체(110)를 구성하는 상,하부 고정부재(114,116)에는 상기 커버(102)의 상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15)을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114,116)의 둘레를 따라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115)에 커버(105)의 단부를 위치시킨 후, 고정링(115a) 혹은 고정끈을 상기 고정홈(115)에 설치하여 커버(10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을 구성하기 위한 탄성부재(112)의 여러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12)들은 도 11표시와 같이 탄성부재(112)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힌지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고, 도 12표시와 같이 탄성부재(112)의 양단부에 고리를 형성하여 힌지 결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3표시와 같이 탄성부재(112)의 양단에 구멍을 형성하여 힌지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12)는 철선 혹은 나무 및 사출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등은 틀체(110)와 지지체(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120)는 지지부재(122)의 하단부를 상기 하부 고정부재(116)에 고정되게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122)의 상부에 걸림편(124)을 절곡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124)을 상부 고정부재(114)에 걸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편(124)을 걸어 결합하기 위해 상부 고정부재(114)에는 횡바(113)를 설치함이 좋다.
도 15에는 연등의 지지부재(122)에 형성된 걸림편(124)이 변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지지부재(122)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상부 고정부재(114)에 형성된 횡바(113)가 변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는 상부 고정부재(114)에 형성된 횡바(113)에 지지부재(122)가 걸려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횡바(113)에 걸어 고정하는 지지부재(122)의 형상이 변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에는 지지부재의 상단부 형상이 변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2)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편(124)은 도 15표시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2)의 상단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편(124)이 걸릴 수 있는 횡바(113)는 소정 면적을 갖게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124)이 걸리는 부위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122)에 형성되는 걸림편(124)은 용접에 의한 방법으로도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편(124)은 지지부재(122)를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혹은 지지부재(122)에 용접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5표시의 도면부호 (105)는 연등 손잡이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105)를 형성하거나 혹은 상부로 돌출되는 지지부재(122)의 상단을 절곡하여 손잡이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19표시와 같이 지지부재(122)의 상단을 링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0 ~도 23에는 지지부재(122)에 대한 여러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지지체(120)는 1개의 지지부재(122)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좌우측 2개의 지지부재(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4에는 지지부재(122)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25에는 지지부재(122)의 하단에 장식편(132)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6에는 연등 하부에 장식편(132)을 결합하기 위한 지지부재(122)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2)는 하단부를 절곡하여 장식편(132)을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장식편(132)을 결합하기 위한 지지부재(122)의 하단은 상기 하부 고정부재(116)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되, 그 관통된 지지부재(122)의 하단부를 절곡하여 장식편(132)을 결합하기 위한 고리(125)(도 26참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식편(132)을 결합하기 위해 지지부재(122)의 하단부를 도 25표시와 같이 절곡하여 초꽂이 겸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장식편(132)은 꼬리표로도 가능하다.
도 27 ~도 30에는 하부 고정부재(116)에 지지부재(122)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태에 대한 여러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22)를 하부 고정부재(116)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지부재(122)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위를 하부 고정부재(116)에 끼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27 ~도 30표시에서 도면부호 (106)는 초꽂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에는 지지체(120)의 또 다른 변형예가 설치되어 연등의 부피가 줄어든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도 32는 연등이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120)는 지지부재(122)를 상,하부 지지부재(122a,122b)로 각각 분리 구성하여 상부 지지부재(122a)는 상부 고정부재(114)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부 지지부재(122b)는 하부 고정부재(116)에 결합하고, 상기 상,하부 지지부재(122a,122b)의 상호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걸림편(124)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124)을 서로 걸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 지지부재(122a,122b)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114,116)에 각각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걸림편(124)이 형성된 상,하부 지지부재(122a,122b)를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114,116)와 일체형으로 사출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틀체(110a)가 판 형상의 탄성부재들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판 형상의 탄성부재들로 이루어진 틀체(110a)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수지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틀체(110a)를 판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커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판 형상의 탄성부재들로 이루어진 틀체(110a)의 외부에는 불교용 문구 등을 더 표시할 수 있고, 연꽃잎들을 더 부착할 수 있다.
도 34에는 도 33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에서 지지부재(122)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횡바(113)의 형상이 변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바(113)의 중간부를 절곡하여 고리를 형성함으로서 그 고리에 지지부재(122)의 걸림편(124)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
도 35에는 도 33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예는 판 형상의 탄성부재들의 사이에 마감부재(111a)를 더 설치하여, 상기 탄성부재들이 외측으로 휘어져 연등으로 펼쳐졌을 때 형성되는 공간부를 막을 수 있게 하여,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연등을 펼쳤을 경우 판 형상의 탄성부재들로 이루어진 틀체(110a)의 사이에 벌어지는 간격을 상기 마감부재(111a)로 막아줌으로서 연등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111a)는 원단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6에는 도 33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보관할 수 있게 탄성부재가 펼쳐져서 연등의 부피가 줄어든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등의 보관을 위해 판 형상의 탄성부재들로 이루어진 틀체(110a)가 펼쳐지게 되면, 그 펼쳐진 상태는 원통형상을 이루게 된다.
도 37 ~도 38에는 상부 고정부재(114)와 하부 고정부재(116)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재(114)와 하부 고정부재(116)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상하게 되면, 연등이 펼쳐졌을 연등 외형이 원형이 구 형상에서 변형됨으로서 새로운 외관을 갖는 연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114,116)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혹은 어느 하나가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설명한 연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39 ~도 44에는 도 36표시의 여러 변형예들을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현상의 탄성부재들로 이루어진 틀체(110a)가 외측방향으로 휘어지게 변형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120)를 구성하는 지지부재(122) 및 상기 지지부재(122)에 형성된 걸림편(124)이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재(114)를 도 39 ~도 44표시와 같이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 39 ~도 44에 도시된 변형예들은 그 형상에 있어서만 차이점을 있을 뿐, 기능 및 구조에 있어서는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즉, 상부 고정부재(116)에 지지부재(122)의 걸림편(124)이 고정될 수 있는 걸림홈(119a), 걸림턱(119b), 걸림구멍(119c)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19a), 걸림턱(119b), 걸림구멍(119c)에 지지부재(122)가 끼워지거나 혹은 일측으로 위치되게 배치되는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도 4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등이 도시되어 있고, 도 46에는 도 45표시에서 지지부재(122)가 변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7에는 연등을 보관하기 위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8에는 연등을 구성할 수 있게 탄성부재가 외측방향으로 휘어지게 절곡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틀체(110)를 구성하는 탄성부재(113a)가 일자형이 아닌 중간 부위가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등이 펼쳐졌을 때 구형상이 아닌 다각형상의 연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113a)가 외측으로 휘어져 있는 상태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연등이 펼쳐졌을 경우 다각형상의 연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9 ~도 51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등을 구성하기 위한 탄성부재(113a)들의 여러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위가 절곡된 탄성부재(113a)들의 상하단부에는 힌지 결합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13a)의 중간 부위가 절곡되어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상하부 고정부재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에 의해 탄성부재들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연등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13a)의 중간 부위가 절곡되어 있는 경우 연등이 펼쳐진 상태에서 다각 형상의 연등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즉, 지지체(120)에 의해 탄성부재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를 고정하여 다각 형상의 연등 외형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도 5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등은 상기 상부 고정부재(114)와 하부 고정부재(116)의 형상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상부 고정부재(114)와 하부 고정부재(116)를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보다 확실한 다각형상의 연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부재(114)와 하부 고정부재(116)의 다각 형상은 도 46표시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그 외의 육각형상이나 오각형상 등 다양한 각을 이루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4 ~도 6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등에 구성되는 지지체(120)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 지지체(120)는 상부 고정부재(114)에 걸림공(118)을 형성하고, 그 걸림공(118)에 고정구(126)가 걸려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구(126)가 도 55 ~도 56표시와, 도 59 ~ 도 60, 및 도 61표시와 같이 고정구(126)의 일부위만이 걸림공(118)을 관통하여 탄성걸림구(126a)가 고정되게 하거나, 혹은 도 63표시와 같이 고정구(126)가 끼워지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구(126)는 일체형 혹은 내장형으로 이루어진 탄성걸림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126)는 틀체(110)의 내부에서 소정 길이를 갖는 끈부재(127)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구(126)의 상부로는 걸림공(118)을 관통되게 당김끈(128)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126)를 걸림공(118)에 끼워지도록 당길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고정구(126)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부 고정부재(116)로부터 돌출되게 지지바를 설치하여 그 지지바에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112)의 양단부가 힌지(112a,122b) 결합되는 상,하부 고정부재(114,116)의 간격이 좁혀지게 상,하부 고정부재(114,116)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탄성부재(112)들이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궁형상을 이루게 탄성변형 되어 구형상의 연등 외형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22)의 걸림편(124)을 걸어 상,하부 고정부재(114,116)가 눌린 상태를 유지되게 함으로서 연등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연등(100)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부재(122)의 걸림편(124)을 해지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12)들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펼쳐져서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연등 보관의 편리성을 갖는다.
100 - 연등 102 - 커버
110 - 틀체 112 - 탄성부재
114,116 - 상,하부 고정부재 120 - 지지체
122 - 지지부재 124 - 걸림편

Claims (4)

  1. 연등에 있어서,
    상,하부 고정부재에 탄성부재들이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고정부재에 설치되거나 또는 탄성부재들이 일자형상 혹은 일정부위가 외측방향으로 휘어지게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틀체; 및
    상기 틀체의 탄성부재들이 궁형상 또는 절곡된 형상을 이루게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눌러주어 연등 외형을 형성할 수 있게 함과 함께 상기 탄성부재들이 휘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하부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 연등에 있어서,
    상,하부 고정부재에 탄성부재들을 결합하여 상하부에 고정된 고정부재를 서로 마주보게 눌러주어 연등 외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고정부재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부 고정부재에 형성되는 횡바에 결합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지지부재를 상,하부 지지부재로 각각 분리 구성하여 상부 지지부재는 상부 고정부재에 결합함과 아울러 하부 지지부재는 하부 고정부재에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혹은 상,하부 지지부재를 각각 상,하부 고정부재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 지지부재의 상호 마주하는 단부에는 각각 걸림편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을 서로 걸어 결합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지지부재의 하단이 상기 하부 고정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되, 그 관통된 지지부재의 하단부를 절곡하여 장식편을 설치하기 위한 고리를 형성하거나 혹은 지지체는 상부 고정부재에 걸림공을 형성하고 그 걸림공에 끼워져 고정되거나 혹은 일부위만이 걸림공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게 한 탄성걸림구가 일체형 혹은 내장형으로 설치된 고정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구는 틀체의 내부에서 소정 길이를 갖는 끈부재 혹은 하부 고정부재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지지바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구의 상부로는 걸림공을 관통하는 당김끈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를 걸림공에 끼워지도록 당길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에는 커버의 상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을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에 커버의 단부를 위치시킨 후, 고정링 혹은 고정끈을 상기 고정홈에 설치하여 커버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들의 사이에는 마감부재들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하부 고정부재는 지지부재의 걸림편을 고정할 수 있는 횡바가 가로질러 형성된 원형 링 형상 혹은 사각 링 형상 및 다각 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지지부재의 걸림편을 고정할 수 있는 걸림홈, 걸림턱, 걸림구멍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원형 링 형상 혹은 사각 링 형상 및 다각 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지지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걸림공이 형성된 원형 판 혹은 사각 판 및 다각 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설치된 탄성부재에 혹은 겉지에 연꽃잎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KR1020130122799A 2012-10-16 2013-10-15 연등 KR20140048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4923 2012-10-16
KR1020120114923 2012-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825A true KR20140048825A (ko) 2014-04-24

Family

ID=5065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799A KR20140048825A (ko) 2012-10-16 2013-10-15 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88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9510A (zh) * 2016-10-24 2017-02-01 东莞市卓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伸缩的灯笼
CN109737356A (zh) * 2018-12-06 2019-05-10 贵州省匠宏工艺发展有限公司 一种鸟笼式编织工艺灯罩
CN110081395A (zh) * 2019-05-04 2019-08-02 广州市旭曜五金电器有限公司 一种可拆装线笼
KR20210007813A (ko) * 2019-07-11 2021-01-20 최안식 조립식 연등
CN109737356B (zh) * 2018-12-06 2024-05-31 南京美铭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鸟笼式编织工艺灯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9510A (zh) * 2016-10-24 2017-02-01 东莞市卓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伸缩的灯笼
CN106369510B (zh) * 2016-10-24 2019-02-12 东莞市卓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伸缩的灯笼
CN109737356A (zh) * 2018-12-06 2019-05-10 贵州省匠宏工艺发展有限公司 一种鸟笼式编织工艺灯罩
CN109737356B (zh) * 2018-12-06 2024-05-31 南京美铭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鸟笼式编织工艺灯罩
CN110081395A (zh) * 2019-05-04 2019-08-02 广州市旭曜五金电器有限公司 一种可拆装线笼
CN110081395B (zh) * 2019-05-04 2021-10-01 广州市旭曜五金电器有限公司 一种可拆装线笼
KR20210007813A (ko) * 2019-07-11 2021-01-20 최안식 조립식 연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8825A (ko) 연등
US8091262B2 (en) Attachable price tag holder
US10107479B1 (en) Interchangeable lamp shade for a lighting fixture and method of assembly
KR200455298Y1 (ko) 연등
KR101449857B1 (ko) 간단한 구조로 절첩 작동되는 접이식 입식 광고대
US7401952B2 (en) Foldable lamp shade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and quickly
KR101357742B1 (ko) 개량형 옷걸이
KR100998254B1 (ko) 연꽃 연등
KR200462151Y1 (ko) 자석걸이구
KR101026226B1 (ko) 절첩식 연등
KR101003772B1 (ko) 족자
KR200405103Y1 (ko) 연등갓 마감틀
KR200332013Y1 (ko) 연등
KR100837153B1 (ko) 눈부심방지 등기구
KR101317432B1 (ko) 연등 골조
KR200480722Y1 (ko)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JPS5937926Y2 (ja) 折畳み自在なランプシエ−ド
KR200470727Y1 (ko) 개구된 상.하부 테두리 고정을 위한 플라스틱 캡의 조립구조를 갖는 절첩연등
US333741A (en) August frank
KR20160002708U (ko) 접이식 컵 디스펜서
KR200251573Y1 (ko) 연등
KR200461670Y1 (ko) 조립구조를 개선한 연등의 하부 마감구조
KR20180000820U (ko) 출입구 확장&축소가 가능한 원터치 기타피크 수납 장신구
KR200359136Y1 (ko) 연등
KR100334579B1 (ko) 연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