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432B1 - 연등 골조 - Google Patents

연등 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432B1
KR101317432B1 KR1020130074375A KR20130074375A KR101317432B1 KR 101317432 B1 KR101317432 B1 KR 101317432B1 KR 1020130074375 A KR1020130074375 A KR 1020130074375A KR 20130074375 A KR20130074375 A KR 20130074375A KR 101317432 B1 KR101317432 B1 KR 101317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bar
support
upper horizontal
restrai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주용
Original Assignee
성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용 filed Critical 성주용
Priority to KR102013007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6Frame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등 골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을 위해 납작하게 접철된 연등 골조를 재사용하기 위해 상방으로 펼친 상태에서 연등 골조가 하방으로 다시 접철되지 않도록 연등 골조의 상부를 걸어 지지하는 작업에 대한 편의성 및 결합력을 높인 연등 골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등의 골조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연등의 골조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연등의 하부 프레임 테두리를 가로질러 설치된 하부 횡바;연등의 상부 프레임 테두리를 가로질러 설치된 상부 횡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등 골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횡바에 힌지 결합되며, 상부 프레임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상기 상부 횡바와 상기 지지대에 각각 마련되되, 상부 횡바와 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공을 형성하는 걸림수단이 마련되고, 상부 횡바와 지지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수단의 걸림공을 통과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프레임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는 구속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골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등 골조{Lotus lantern frame}
본 발명은 연등 골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을 위해 납작하게 접철되어 있던 연등 골조를 원 상태로 상방으로 펼치는 과정에서 연등 골조가 다시 하방으로 납작하게 접철되지 않도록 한 연등 골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교 행사 즉, 석가탄신일 등의 기념일에는 부처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한 일환으로 도로변 혹은 사찰 등의 경내에 크고 작은 다양한 모양의 연등이 설치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종교 행사는 불교신자들의 불심력을 극대화하는 것임은 물론, 각종 악과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고 심신의 안정을 꾀함으로써 번뇌로부터 해탈과 평안을 도모하며, 부귀영화 등의 누림을 도모하고 축원자의 축원 성취달성의 기대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통적인 풍속이다.
불교 행사를 위한 상기 연등은 대부분, 나무, 철선 혹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대략 구(球) 형상을 이루는 골조(틀체)를 만든 후 그 외부로는 연꽃 모양의 종이, 포지, 혹은 섬유와 같은 천으로 된 겉지를 감싸는 형태로서, 다양한 문양과 형상을 지닌 연등이 제작되고 있다.
이때, 연등의 내부에는 전등이나 촛불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사찰이나 도로변의 심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연등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연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10)와, 겉지(20)로 구성된다.
골조(10)는 연등의 틀체를 구성하며, 골조(10)의 외부에는 겉지(20)가 덮어 씌워지거나 결합된다.
이때, 겉지(20)는 골조(10)의 형태를 따라 단순히 부착될 수도 있으며, 화려한 심미감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꽃모양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나아가, 골조(10)의 하단부에 노리개(30)를 결합하여 연등의 화려함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골조(10)의 재질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나무, 철선,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질이 크게 제한되지는 않지만 통상적으로 금속의 철선으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골조(1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골조(10) 내부에 전등이나 촛불 등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촛불 설치시 환기를 위함이다.
이러한 연등은 기념일 행사가 끝난 경우, 별도의 장소에 보관되는데 연등 보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등을 구성하는 골조(10)를 납작하게 접철하여 연등의 부피를 줄이게 된다.
이와 같이 연등을 구성하는 골조(10)를 납작하게 접철시킴에 따라, 보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훗날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자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연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보관된 연등을 재사용하기 위하여 납작하게 접철된 골조(10)를 상방으로 펼쳤을 경우 금속으로 이루어진 골조(1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골조(10)가 원래의 구(球) 또는 다각 형태로 완전히 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연등은 상기 골조(10)에 부착된 겉지(20)에 의해서만 연등의 외형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연등을 펼쳤을 경우 연등이 원래의 형태를 제대로 유지하지 못함에 따라 연등의 심미감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9943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8423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등의 재사용을 위해, 접철된 연등의 골조를 원 상태로 펼치더라도 골조의 원 상태 유지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되 골조를 원 상태로 유지시키는 작업에 대한 편의성 및 골조 간에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연등 골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등의 골조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연등의 골조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연등의 하부 프레임 테두리를 가로질러 설치된 하부 횡바;연등의 상부 프레임 테두리를 가로질러 설치된 상부 횡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등 골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횡바에 힌지 결합되며, 상부 프레임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상기 상부 횡바와 상기 지지대에 각각 마련되되, 상부 횡바와 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공을 형성하는 걸림수단이 마련되고, 상부 횡바와 지지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수단의 걸림공을 통과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프레임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는 구속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골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걸림수단은 상부 횡바에 별도의 부재로 고정되되, 걸림공은 상부 횡바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수단은 지지대에 별도의 부재로 고정되되,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걸림공을 통과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속수단은, 서로 힌지 결합되며, 반원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회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재의 각 단부는 서로 억지 끼움 결합된 카드링으로 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속수단은, 등산 로프를 연결하는 카라비너(carabiner)로 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의 걸림공은 상부횡바의 일측을 고리 형태로 절곡하거나, 상부 횡바를 꼬아 상부 횡바의 일측을 링 형태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지지대에 마련되고, 구속수단은 상부 횡바에 마련되되, 상기 상부 횡바의 일측은 절곡하여 외측으로 튀어나온 절곡부를 형성하고,상기 걸림수단의 걸림공은 지지대의 일측을 고리 형태로 절곡하거나, 지지대를 꼬아 지지대의 일측을 링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구속수단은 상부횡바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절곡부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공에 걸려 결합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등 골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연등 보관을 위해 납작하게 접철된 골조를 연등의 재사용을 위해 상기 골조를 상방으로 펼쳤을 때, 연등의 형태가 원 상태(구형 또는 다각형)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연등 재사용에 대한 심미감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지지대에 상부 횡바가 걸려 결합됨으로써 상부 횡바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여 골조 전체가 하방으로 납작하게 접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등의 형태를 원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지지대와 상부 횡바에 각각 별도의 구속수단 및 걸림수단이 마련되고상호 간에 걸림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결합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호 간에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구속수단이 카드링이나 카라비너로 제공됨으로써, 구속수단과 걸림수단이 서로 분리될 일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등 골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등 골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등 골조 중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등 골조 중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등 골조 중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연등의 골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연등의 골조 기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등의 골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등의 골조(10)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11)과, 연등의 골조(10)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12)과, 연등의 하부 프레임(11) 테두리를 가로질러 설치된 하부 횡바(13)와, 연등의 상부 프레임(12) 테두리를 가로질러 설치된 상부 횡바(14)와, 연등의 형태를 제공하는 형체 프레임(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형체 프레임(15)이 다각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형체 프레임(15)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연등의 골조(10)는 보관을 위해 납작하게 접철시킨 후, 훗날 재사용을 위해 접철된 연등의 골조(10)를 상방으로 펼치게 된다.
이때, 상방으로 펼쳐진 상태가 최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연등 골조는 지지대(100)와, 걸림수단(200)과, 구속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연등 골조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지지대(100)는 상부 프레임(12) 및 형체 프레임(15)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하부 횡바(13)로부터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지지대(100)는 하부 횡바(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등의 보관을 위해 골조(10)를 접철하였을 때, 상기 지지대(100) 역시 눕혀지도록 함으로써 연등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지지대(100)의 상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연등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걸림수단(200)과 구속수단(300)은 상부 횡바(14)와 지지대(100)에 마련되어 상호 간에 걸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프레임(12)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걸림수단(200)과 구속수단(300)은 각각 상부 횡바(14)와 지지대(100)에 마련되되, 상호 간에 바뀌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200)은 상부 횡바(14)에 마련되고 구속수단(300)은 지지대(100)에 마련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200)은 지지대(100)에 마련되고 구속수단(300)은 상부 횡바(14)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수단(200)은 납작하게 접철되었던 상부 프레임(12)이 펼쳐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 횡바(14)에 고정된다.
이때, 걸림수단(200)은 후술하는 구속수단(30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공(210)을 형성한다.
이때, 걸림수단(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공(210)의 방향이 상부 횡바(14)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공(210)의 방향이 상부 횡바(14)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수단(200)은 별도의 금속부재로 제공되며, 상기 상부 횡바(14)에 용접을 통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수단(200)은 상부 횡바(14)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금속부재로 제공되어 절곡되어 걸림공(210)을 형성한 후 상부 횡바(14)에 용접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구속수단(300)은 상부횡바(14)의 걸림수단(200)이 걸려 지지되는 구성이며, 지지대(100)에 마련된다.
상기 구속수단(300)은 걸림공(210)을 형성하는 걸림수단(200)이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구속수단(300)의 형태는 'U'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구속수단(300)의 위치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절곡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절곡될 수도 있다.
이때, 구속수단(300) 역시, 걸림수단(200)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금속부재로 제공되며, 지지대(100)에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등 골조의 펼침 작업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별도의 장소에 보관된 연등을 꺼내어 납작하게 접철되어 있는 연등 골조(10)를 상방으로 잡아당겨 펼친다.
이때, 상부 횡바(14)에 고정된 걸림수단(200)을 지지대(100)의 구속수단(300)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때, 상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구속수단(300)의 단부는 걸림수단(200)의 걸림공(210)을 통과하게 됨에 따라, 걸림수단(200)은 구속수단(300)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걸림수단(200)이 고정된 상부횡바(14) 및 상부 프레임(12)은 하방으로 쳐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연등의 골조는 원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등의 형태 역시 지속적으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200)의 걸림공(210)이 상부횡바(14)에 대하여 수평으로 형성되더라도 구속수단(300)에 걸려 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등 골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등 골조는 지지대(100)와, 걸림수단(200)과, 구속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00)는 상부 프레임(12) 및 형체 프레임(15)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하부 횡바(13)로부터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지지대(100)는 하부 횡바(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등의 보관을 위해 골조(10)를 접철하였을 때, 상기 지지대(100) 역시 눕혀지도록 함으로써 연등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지지대(100)의 상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연등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걸림수단(200)과 구속수단(300)은 상부 횡바(14)와 지지대(100)에 마련되어 상호 간에 걸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프레임(12)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걸림수단(200)과 구속수단(300)은 상부 횡바(14)와 지지대(100)에 마련되되, 상호 간에 바뀌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걸림수단(200)은 상부 횡바(14)에 마련되고 구속수단(300)은 지지대(100)에 마련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걸림수단(200)은 접철되었던 상부 프레임(12)이 펼쳐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 횡바(14)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걸림수단(200)이 별도의 금속부재로 제공되어 상부 횡바(14)에 고정되었던 것과는 달리, 제2 실시예에서의 걸림수단(200)은 상부 횡바(14)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걸림수단(200)은 상부 횡바(14)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공(210)을 형성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횡바(14)를 꼬아 링 형태의 걸림공(210)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횡바(14)의 일측을 절곡하여 고리 형태의 걸림공(210)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구속수단(300)은 상부횡바(14)의 걸림수단(200)이 걸려 지지되는 구성이며, 지지대(100)에 마련된다.
상기 구속수단(300)은 걸림공(210)을 형성하는 걸림수단(200)이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구속수단(300)의 형태는 'U'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속수단(300)은 별도의 금속부재로 제공되며, 지지대(100)에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등 골조의 펼침 작업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별도의 장소에 보관된 연등을 꺼내어 납작하게 접철되어 있는 연등 골조를 상방으로 잡아당겨 펼친다.
이때, 상부 횡바(14)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수단(200)을 지지대(100)의 구속수단(300)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때, 상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구속수단(300)의 단부는 걸림수단(200)의 걸림공(210)을 통과하게 됨에 따라, 걸림수단(200)은 구속수단(300)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걸림수단(200)이 고정된 상부횡바(14) 및 상부 프레임(12)은 하방으로 쳐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연등의 골조는 원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등의 형태 역시 지속적으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등 골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등 골조는 지지대(100)와, 걸림수단(200)과, 구속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00)는 상부 프레임(12) 및 형체 프레임(15)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하부 횡바(13)로부터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지지대(100)는 하부 횡바(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등의 보관을 위해 골조(10)를 접철하였을 때, 상기 지지대(100) 역시 눕혀지도록 함으로써 연등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지지대(100)의 상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연등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걸림수단(200)과 구속수단(300)은 상부 횡바(14)와 지지대(100)에 마련되어 상호 간에 걸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프레임(12)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걸림수단(200)과 구속수단(300)은 상부 횡바(14)와 지지대(100)에 마련되되, 상호 간에 바뀌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걸림수단(200)은 상부 횡바(14)에 마련되고 구속수단(300)은 지지대(100)에 마련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걸림수단(200)은 접철되었던 상부 프레임(12)이 펼쳐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 횡바(13)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금속부재로 제공된 후 상부 횡바(13)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200)이 별도의 금속부재로 제공된 후, 상부 횡바(13)에 고정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걸림수단(200)은 상부 횡바(13)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공(210)을 형성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걸림수단(200)은 걸림공(210)이 상부 횡바(13)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구속수단(300)은 상부횡바(13)의 걸림수단(200)이 걸려 지지되는 구성이며, 지지대(100)에 고정된다.
상기 구속수단(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회동부재(310)로 구성된 카드링 타입으로 제공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라비너(carabiner) 타입으로 제공된다.
카드링은 낱장의 카드류를 묶는 수단의 문구(文具)로서, 구속수단(300)을 카드링 타입으로 제공할 수도 있는데, 상기 카드링의 단부는 상호 간에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제공됨으로써, 구속수단(300)과 걸림수단(200)이 서로 결합된 후에는 상호 간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카라비너는 등산시 로프 연결에 사용되는 타원 또는 'D' 형태의 연결수단으로서, 구속수단(300)을 카라비너 타입으로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구속수단(300)이 카라비너로 제공될 경우에도, 카라비너와 걸림수단(200)이 서로 결합된 후에는 상호 간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속수단이 카드링과 카라비너로 제공된다는 의미는 상기 제품으로 대신하다는 의미일 수도 있지만, 카드링과 카리비너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구속수단을 의미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등 골조의 펼침 작업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별도의 장소에 보관된 연등을 꺼내어 납작하게 접철되어 있는 연등 골조를 상방으로 잡아당겨 펼친다.
이때, 지지대(100)에 고정된 구속수단(300)인 카드링 또는 카라비너의 일측을 벌려 개방시킨다.
이후, 걸림수단(200)의 걸림공(210)을 카드링 또는 카라비너의 내측에 걸어 지지시킨 후, 카드링 또는 카라비너의 일측을 오므려 폐쇄시킴으로써 걸림수단(200)이 고정된 상부횡바(13) 및 상부 프레임(12)은 하방으로 쳐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연등의 골조는 원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등의 형태 역시 지속적으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등 골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등 골조는 지지대(100)와, 걸림수단(200)과, 구속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100)는 상부 프레임(12) 및 형체 프레임(15)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하부 횡바(13)로부터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지지대(100)는 하부 횡바(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등의 보관을 위해 골조(10)를 접철하였을 때, 상기 지지대(100) 역시 눕혀지도록 함으로써 연등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지지대(100)의 상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연등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걸림수단(200)과 구속수단(300)은 상부 횡바(14)와 지지대(100)에 마련되어 상호 간에 걸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프레임(12)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걸림수단(200)과 구속수단(300)은 상부 횡바(14)와 지지대(100)에 마련되되, 상호 간에 바뀌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제4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는 다르게, 걸림수단(200)이 지지대(100)에 마련되고, 구속수단(300)은 상부횡바(14)에 마련된다.
걸림수단(200)은 후술하는 구속수단(300)이 걸려 지지되도록 한 구성이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에 마련된다.
이때, 걸림수단(200)은 걸림공(210)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공(21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걸림수단(200)은 걸림공(210)을 형성하는 별도의 금속부재로 제공되어 지지대(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걸림공(2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를 꼬아 링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의 일측을 절곡하여 고리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구속수단(300)은 접철되었던 상부 프레임(12)이 펼쳐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 횡바(14)에 결합된다.
이때, 상부 횡바(14)의 일측은 외측을 향해 튀어나오도록 절곡하여 절곡부(14a)를 형성한다.
상기 절곡부(14a)는 구속수단(300)과 지지대(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구속수단(300)은 상기 지지대(100)에 형성된 걸림공(210)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하향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구속수단(300)은 상부 횡바(14)에 결합이 되되, 상부횡바(14)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속수단(300)이 상부횡바(14)를 따라 이동되면서, 지지대(100)의 걸림공(210)에 걸리기 위한 최적의 위치를 찾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구속수단(30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횡바(14) 절곡부(14a) 상에 수회 꼬인 상태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등 골조의 펼침 작업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별도의 장소에 보관된 연등을 꺼내어 납작하게 접철되어 있는 연등 골조(10)를 상방으로 잡아당겨 펼친다.
이때, 상부 횡바(14)에 고정된 구속수단(300)을 지지대(100)의 걸림공(210)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때, 구속수단(300)은 절곡부(14a) 상에 유동되면서 상기 걸림공(210)과의 대응 위치를 최적화한다.
그리고, 하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구속수단(300)의 단부는 지지대(100)의 걸림공(210)을 통과하게 됨에 따라, 구속수단(300)이 결합된 상부횡바(14) 및 상부 프레임(12)은 하방으로 쳐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연등의 골조는 원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등의 형태 역시 지속적으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등 골조는 납작하게 접철되어 보관된 연등을 재사용하고자 할 때, 골조가 상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쳐지지 않도록 하여 연등의 심미감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때, 지지대와 상부횡바에 마련된 걸림수단 및 구속수단은 상호 간에 걸려 결합되되 구속수단이 걸림수단의 걸림공을 통과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 작업에 대한 편의성 및 상호 간에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지지대 200 : 걸림수단
210 : 걸림공 300 : 구속수단
310 : 회동부재

Claims (6)

  1. 연등의 골조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연등의 골조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연등의 하부 프레임 테두리를 가로질러 설치된 하부 횡바;연등의 상부 프레임 테두리를 가로질러 설치된 상부 횡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등 골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횡바에 힌지 결합되며, 상부 프레임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
    상기 상부 횡바와 상기 지지대에 각각 마련되되, 상부 횡바와 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공을 형성하는 걸림수단이 마련되고, 상부 횡바와 지지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수단의 걸림공을 통과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프레임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억제하는 구속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골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부 횡바에 별도의 부재로 고정되되, 걸림공은 상부 횡바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수단은 지지대에 별도의 부재로 고정되되,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걸림공을 통과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골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서로 힌지 결합되며, 반원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회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재의 각 단부는 서로 억지 끼움 결합된 카드링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골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등산 로프를 연결하는 카라비너(carabiner)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골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의 걸림공은 상부횡바의 일측을 고리 형태로 절곡하거나, 상부 횡바를 꼬아 상부 횡바의 일측을 링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골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지지대에 마련되고, 구속수단은 상부 횡바에 마련되되,
    상기 상부 횡바의 일측은 절곡하여 외측으로 튀어나온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수단의 걸림공은 지지대의 일측을 고리 형태로 절곡하거나, 지지대를 꼬아 지지대의 일측을 링 형태로 형성하거나, 지지대에 별도의 부재로 고정되며,
    상기 구속수단은 상부횡바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절곡부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공에 걸려 결합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골조.




KR1020130074375A 2013-06-27 2013-06-27 연등 골조 KR101317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375A KR101317432B1 (ko) 2013-06-27 2013-06-27 연등 골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375A KR101317432B1 (ko) 2013-06-27 2013-06-27 연등 골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432B1 true KR101317432B1 (ko) 2013-10-18

Family

ID=4963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375A KR101317432B1 (ko) 2013-06-27 2013-06-27 연등 골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6599A (zh) * 2022-03-22 2022-06-03 台州市万力灯饰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铁架圆球绕铜丝灯及其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772Y1 (ko) 2003-03-04 2003-06-18 성주용 연등
KR20050012683A (ko) * 2003-07-25 2005-02-02 성주용 연등
KR20060102265A (ko) * 2005-03-22 2006-09-27 성주용 연등
KR20070120921A (ko) * 2007-07-16 2007-12-26 신충국 연꽃연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772Y1 (ko) 2003-03-04 2003-06-18 성주용 연등
KR20050012683A (ko) * 2003-07-25 2005-02-02 성주용 연등
KR20060102265A (ko) * 2005-03-22 2006-09-27 성주용 연등
KR20070120921A (ko) * 2007-07-16 2007-12-26 신충국 연꽃연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6599A (zh) * 2022-03-22 2022-06-03 台州市万力灯饰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铁架圆球绕铜丝灯及其制作方法
CN114576599B (zh) * 2022-03-22 2024-03-15 台州市万力灯饰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铁架圆球绕铜丝灯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52209A1 (en) Safety structure of roman shade
KR101317432B1 (ko) 연등 골조
AU2015200407A1 (en) Winding device and cordless roller blind incorporating the same
US20070125789A1 (en) Propane tank cover
KR200455298Y1 (ko) 연등
US10107479B1 (en) Interchangeable lamp shade for a lighting fixture and method of assembly
JP2011179276A (ja) テントとそのテントを立てる方法
KR200459895Y1 (ko) 절첩식 연등
KR20140048825A (ko) 연등
JP4403148B2 (ja) 提灯
KR101007020B1 (ko) 연등
KR101463546B1 (ko) 연등
KR100709089B1 (ko) 가로등의 깃대장치
KR200332013Y1 (ko) 연등
KR100975121B1 (ko) 접이식 연등
KR200316772Y1 (ko) 연등
KR100475596B1 (ko) 연등
KR20120003167U (ko) 절첩식 연등
KR200425022Y1 (ko) 연등의 마감구조
KR200415363Y1 (ko) 현수 조명등의 조명높이 조절장치
CN208402981U (zh) 一种防水防触电的灭蚊灯
JP2011175944A (ja) 提灯
CN209245779U (zh) 一种自由光圈调节的台灯
KR20090010001U (ko) 족자
KR100782451B1 (ko) 천정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