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895Y1 - 절첩식 연등 - Google Patents

절첩식 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895Y1
KR200459895Y1 KR2020100011542U KR20100011542U KR200459895Y1 KR 200459895 Y1 KR200459895 Y1 KR 200459895Y1 KR 2020100011542 U KR2020100011542 U KR 2020100011542U KR 20100011542 U KR20100011542 U KR 20100011542U KR 200459895 Y1 KR200459895 Y1 KR 200459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astic band
lantern
elastic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근
Original Assignee
박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근 filed Critical 박용근
Priority to KR2020100011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8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6Frames foldable or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교행사에서 사용하는 절첩식 연등에 관한 것으로, 연등의 절첩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연등의 구조는 골격을 이루는 본체틀의 표면에 겉지를 감싸서 제작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보관이 용이한 절첩식 연등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것의 문제가 그 구조가 지나치게 복작하여 제작 및 조립이 어렵고 이에 따라 제작단가가 올라가며 사용이 불편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체틀의 내측에 토션스프링 구조를 갖는 탄성대를 내입하여 탄성태의 상,하측 단부에 각각 상부틀과 하부틀이 고정되도록 하고, 그 상부틀과 하부틀이 맞닿는 부분에는 걸림수단을 형성함으로써 탄성대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연등이 펼쳐진 상태로 지지 되면서도 접힌 상태에서는 걸림수단에 의하여 탄성대의 탄성작동이 제어되며 임의로 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연등을 원터치로 간편하게 펴거나 접을 수 있으면서도 탄성대의 탄성력에 의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장기간 걸어둘 경우에도 연등의 형태를 손상됨 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연등{lamp for buddhism}
본 고안은 불교행사에서 사용되는 절첩식 연등에 관한 것으로, 연등의 절첩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자가 원터치로 간편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되어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등은 불교행사에서 내부에 촛불이나 램프를 장착하여 빛을 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조는 연등의 형태에 따라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틀의 외측으로 겉지가 부착되어 천의 펼쳐짐이 팽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등의 형태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등은 연등의 골조를 이루는 본체틀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부피를 매우 많이 차지하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철거작업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본체틀이 절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시에는 펼쳐서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연등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것은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철거시 많은 시간의 소비와 노력을 해야하며 또한 그 구조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고, 조립이 어려워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등의 골조를 이루는 본체틀의 구조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등이 원터치로 간편하게 절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펼쳐진 상태에서 형태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제작의 용이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틀의 상부틀과 하부틀의 사이에 탄성대를 위치시키고, 상기 탄성대의 상,하단부가 각각 상부틀과 하부틀에는 고정되어 토션스프링의 탄성작동에 의하여 벌어짐되도록 함으로써 연등이 상,하측으로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대의 접힘에 의하여 상부틀과 하부틀이 밀착되는 부분에는 걸이수단을 형성하여 탄성대가 접힘된 상태에서 임의로 벌어짐 되지 않고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등을 설치시에는 걸림된 상태를 해제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탄성대의 벌어짐에 의하여 연등이 상,하로 펼쳐져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의 형태의 변형을 방지하여 설치가 용이한 것이고, 외력에 의하여 형태가 변형된 경우에도 탄성대의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벌어짐되며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등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연등의 상,하부를 가압하여 쉽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철거가 용이할 뿐 아니라, 한번에 많은 양을 운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면서도 좁은 장소에도 많은 수의 연등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탄성대의 절첩 및 걸이구조가 간단하므로 조립이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연등의 절첩상태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절첩구조를 나타낸 탄성대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절첩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등의 골격을 이루는 본체틀(10)의 외면에 겉지(20)가 부착되어 연등의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틀(10)은 테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틀(11)과 하부틀(12)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내측으로 탄성대(30)가 삽입되어 탄성대(30)의 상,하측 단부가 상부틀(11)과 하부틀(12)에 각각 고정되어 탄성대(30)의 절첩작동에 의하여 상부틀(11)과 하부틀(12)이 상,하로 벌어짐되거나 오므려지게 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탄성대(30)는 중앙부가 토션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또한 탄성대(30)의 양단은 서로 맞물려 걸리는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탄성대(30)를 접은 상태에서 임의로 펼쳐지지 않게 되면서 연등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걸림된 상태를 해제하면 탄성대(30)의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상,하로 벌어짐되며 연등이 상,하로 팽팽하게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대(30)의 걸림되는 구조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절곡 걸이부(31)를 형성하면서 타측으로는 U자 걸이부(32)를 형성하면 절곡 걸이부(31)를 U자 걸이부(32)의 측방향으로 교차되게 탄성대(30)를 오므린 후 절곡 걸이부(31)가 U자 걸이부(32)의 홈에 내입되게 측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탄성대(30)의 복원력에 의하여 벌어짐되며 절곡 걸이부(31)가 U자 걸이부(32)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탄성대(30)가 임의로 펴지지 않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탄성대(3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탄성대(30)의 상하부를 눌러서 절곡 걸이부(31)가 U자 걸이부(32)로부터 빠지도록 한 후 절곡 걸이부(31)를 측방향으로 빼서 탄성대(30)의 걸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대(30)는 상,하부를 각각 상부틀(11)과 하부틀(12)에 형성된 현수대(13)와 결합하여 탄성대(30)가 절첩작동할 때 상부틀(11)과 하부틀(12)이 따라서 접혀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고, 이때 상기 현수대(13)는 상부틀(11)과 하부틀(12)에 관통홀(11a,12a)을 형성하고 그 관통홀에 각각 축 결합하여 회동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틀(11,12)에 현수대(13)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탄성대(30)의 양단부에는 관통형 슬리브(34)를 형성하여 현수대(13)가 삽입되도록 하면 상부틀(11)과 하부틀(12)에 형성된 현수대(13)가 탄성대(30)의 관통형 슬리브(34)에 축 결합되면서 회동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틀(10)이 상,하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경우에도 본체틀(10)이 비틀림되지 않으면서 상,하로 절첩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체틀(10)의 접힘시 걸림되는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대(13)에 후크(14)를 형성하여 타측의 현수대(13)에 걸림되도록 하면 탄성대(30)에 별도의 걸림수단을 형성할 필요 없이 본체틀(10) 자체에 걸림수단을 형성하면서 탄성대(30)는 단지 상,하 견인력만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0: 본체틀 11: 상부틀
11a: 관통홀 12: 하부틀
12a: 관통홀 13: 현수대
14: 후크
20: 겉지
30: 탄성대 31: 절곡 걸이부
32: U자 걸이부 34: 관통형 슬리브

Claims (6)

  1. 상부틀(11)과 하부틀(12)로 이루어진 본체틀(10)의 외면에 겉지(20)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연등에 있어서,
    상기 본체틀(10)의 내측으로 상,하측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되는 탄성대(30)가 내입되고, 상기 탄성대(30)는 중앙부가 토션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상,하 양단부가 상부틀(11)과 하부틀(12)에 각각 고정되어 탄성대(30)의 탄성력에 의하여 본체틀(10)이 상,하로 벌어짐되며, 상기 탄성대(30)의 단부에 걸림수단이 형성되어 연등이 접힌 상태에서 탄성대(30)의 벌어짐을 제어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연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탄성대(30)의 일단은 절곡 걸이부(31)가 형성되고, 탄성대(30)의 타단은 절곡되어진 상태에서 U자 걸이부(32)가 형성되어 절곡 걸이부(31)와 U자 걸이부(32)가 상호 걸림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연등.
  3. 상부틀(11)과 하부틀(12)로 이루어진 본체틀(10)의 외면에 겉지(20)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연등에 있어서,
    상기 본체틀(10)의 내측으로 상,하측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되는 탄성대(30)가 내입되고, 상기 탄성대(30)는 중앙부가 토션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상,하 양단부가 상부틀(11)과 하부틀(12)에 각각 고정되어 탄성대(30)의 탄성력에 의하여 본체틀(10)이 상,하로 벌어짐 되며, 상기 상부틀(11)과 하부틀(12)에는 상호 대응되게 걸림수단이 형성되어 연등이 접힌 상태에서 탄성대(30)의 벌어짐을 제어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연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부틀(11)과 하부틀(12)에 현수대(13)가 형성되고, 상기 현수대(13)의 어느 일측으로 후크(14)가 형성되어 타측의 현수대(13)에 걸림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연등.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대(30)는 상,하부틀(11,12)에 결합되는 현수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현수대(13)는 상부틀(11)과 하부틀(12)의 관통홀(11a,12a)에 각각 축 결합되어 회동가능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연등.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대(30)는 양단부에 관통형 슬리브(34)가 형성되어 상부틀(11)과 하부틀(12)에 형성된 현수대(13)에 축 결합되어 회동가능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연등.
KR2020100011542U 2010-11-09 2010-11-09 절첩식 연등 KR200459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42U KR200459895Y1 (ko) 2010-11-09 2010-11-09 절첩식 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42U KR200459895Y1 (ko) 2010-11-09 2010-11-09 절첩식 연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895Y1 true KR200459895Y1 (ko) 2012-04-20

Family

ID=4660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542U KR200459895Y1 (ko) 2010-11-09 2010-11-09 절첩식 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89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35Y1 (ko) 2012-04-09 2012-05-10 윤재봉 연등 노리개용 결합클립
KR200461670Y1 (ko) 2010-10-19 2012-07-27 박용근 조립구조를 개선한 연등의 하부 마감구조
KR101522833B1 (ko) * 2015-02-23 2015-05-27 성주용 절첩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7304U (ko) * 1984-02-29 1985-10-10 신현만 연등의 절첩장치
KR20090078476A (ko) * 2008-01-15 2009-07-20 박기석 접이식 연등
KR20100112455A (ko) * 2009-04-09 2010-10-19 김기찬 절첩식 연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7304U (ko) * 1984-02-29 1985-10-10 신현만 연등의 절첩장치
KR20090078476A (ko) * 2008-01-15 2009-07-20 박기석 접이식 연등
KR20100112455A (ko) * 2009-04-09 2010-10-19 김기찬 절첩식 연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670Y1 (ko) 2010-10-19 2012-07-27 박용근 조립구조를 개선한 연등의 하부 마감구조
KR200460235Y1 (ko) 2012-04-09 2012-05-10 윤재봉 연등 노리개용 결합클립
KR101522833B1 (ko) * 2015-02-23 2015-05-27 성주용 절첩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5493U (ja) 半折り畳み式ハンガー
KR20130000511U (ko) 텐트
JP3145493U (ja) 伸縮式衣服用ハンガー
US10982465B2 (en) Labor-saving tent frame
US20100252209A1 (en) Safety structure of roman shade
KR200459895Y1 (ko) 절첩식 연등
TWI563950B (zh) Cordless roller blinds
KR101334809B1 (ko) 텐트 지지폴의 지지용 허브장치
KR200455298Y1 (ko) 연등
KR100946076B1 (ko) 캐노피 텐트용 폴대
JP6273309B2 (ja) テントアッセンブリ
KR200399434Y1 (ko) 펼침고정수단을 갖는 연등
CN201485706U (zh) 新型晾衣架
US6685344B1 (en) Lamp shade assembly
KR101072568B1 (ko) 탁자용 다리 접이장치
JP3162118U (ja) 凧用自動折畳み構造
KR101026226B1 (ko) 절첩식 연등
KR200438725Y1 (ko) 접이식 모기장
JP4403148B2 (ja) 提灯
KR200397023Y1 (ko) 전동식 빨래 건조대의 빨래 걸이봉 체결구조
JP3204477U (ja) 組み立て式テント
KR20160000285U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101317432B1 (ko) 연등 골조
KR20120003167U (ko) 절첩식 연등
KR100975121B1 (ko) 접이식 연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