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833B1 - 절첩등 - Google Patents

절첩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833B1
KR101522833B1 KR1020150025320A KR20150025320A KR101522833B1 KR 101522833 B1 KR101522833 B1 KR 101522833B1 KR 1020150025320 A KR1020150025320 A KR 1020150025320A KR 20150025320 A KR20150025320 A KR 20150025320A KR 101522833 B1 KR101522833 B1 KR 10152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lding
support
support bar
lan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주용
Original Assignee
성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용 filed Critical 성주용
Priority to KR102015002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6Frame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bending, e.g. snap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시에는 틀체를 펼쳐서 사용하고 보관 시에는 틀체를 꺽어서 겹치는 구조의 절첩등으로서, 틀체의 하부에서 절첩되는 절첩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접철등은 펼치거나 꺽어서 겹치기가 용이하고 보관 공간도 덜 차지하며 제조 공정이 간단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절첩등은 공인 시험기관의 시험 결과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특히 절첩등을 내다 건 후 비바람이 불어도 절첩등 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며, 만일 매우 센 비바람이 불어서 절첩등 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더라도 절첩등의 형상을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등{Folding lantern}
본 발명은 절첩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시에는 틀체를 펼쳐서 사용하고 보관 시에는 틀체를 꺽어서 겹치는 구조의 절첩등으로서, 틀체의 하부에서 절첩되는 절첩등에 관한 것이다.
행사용 등(燈)으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은 연등으로, 연등은 일반적으로 철선으로 구체 또는 다각면체 형상을 이루는 틀체를 만든 후 그 외면에 천으로 된 겉지를 틀체를 감싸도록 부착하여 만들어진다. 연등은 불교의 행사 등에 수백, 수천 개가 한꺼번에 사용되며 행사가 끝난 후에는 일정한 장소에 보관된다.
틀체가 떨어지지 아니하는 한 덩어리로 이루어진 일체형 연등의 경우에는 부피가 커서 보관 장소를 크게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일체형 연등의 보관 상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 시에는 틀체를 펼쳐서 사용하고 보관 시에는 틀체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 연등들이 있는데, 사용 시에는 여러 부재를 하나의 연등으로 맞추어 사용하고 보관 시에는 여러 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의 조립식 연등, 사용 시에는 틀체를 펼쳐서 사용하고 보관 시에는 틀체를 포개어 접는 구조의 접이식 연등, 사용 시에는 틀체를 펼쳐서 사용하고 보관 시에는 틀체를 꺽어서 겹치는 구조의 절첩식 연등 등이 개시되어 있다.
절첩등(折疊燈)이라 함은 사용 시에는 틀체를 펼쳐서 사용하고 보관 시에는 틀체를 꺽어서 겹치는 구조를 가지는 등(燈)을 말하는데, 요즈음에는 절첩등이 연등으로 만들어져 행사용 등(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식당 등에서 장식용 등(燈)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하에서 '절첩등'이라는 용어는 절첩식으로 만들어진 연등과 장식용 등(燈)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조립식 연등의 예로는 공개실용신안 제1998-0024905호 "조립식 연등"(1998. 7. 25. 공개)을 들 수 있다. 도 1은 상기 조립식 연등의 분해사시도인 바, 상하단부에 고정날개(111)가 개구부(140) 주위로 형성되고 하나의 조립식 연등본체 부재(100')로 형성되는 조립식 연등본체(100)와, 상기 조립식 연등본체(100)의 상하 고정날개(111)에 그 고정날개(111)를 결속하여 함께 고정되며 각각 하나의 고정테 부재(200')로 형성되는 상하부 고정테(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이식 연등의 예로는 등록특허 975121호 "접이식 연등"(2010. 8. 4. 등록)을 들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접이식 연등의 작동상태도인 바, 접이식 연등은 접이틀(10)과, 연결바(20)와, 골조프레임(30)과, 겉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이틀(10)은 일정한 두께와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골조프레임(30)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바(20)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본 발명의 연등(1)을 접어서 부피를 줄이거나 펼쳐서 일정한 부피를 갖도록 한다.
절첩식 연등 중 틀체의 측면에서 절첩되는 연등(이하 '측면 절첩식 연등'이라고 한다)의 예로는 등록특허 제347560호 "절첩식 연등"(2002. 7. 23. 등록), 등록특허 제459895호 "절첩식 연등"(2012. 4. 10. 등록)을 들 수 있다.
도 3은 등록특허 제347560호 "절첩식 연등"(2002. 7. 23. 등록)의 틀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인 바, 틀체의 외곽살대(160)를 일체로 된 탄성체를 사용하여 구성하며, 연등을 펼친 상태에서는 소정 곡률의 원호형태로 휘어져서 타원구체 형태의 연등을 구성하고 연등을 접은 상태에서는 외곽살대가 탄성에 의해 펼쳐져 직선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4는 등록특허 제459895호 "절첩식 연등"(2012. 4. 10. 등록)의 절첩 상태 측면 개략도인 바, 탄성대(30)가 삽입되어 탄성대(30)의 상,하측 단부가 상부틀(11)과 하부틀(12)에 각각 고정되어 탄성대(30)의 절첩작동에 의하여 상부틀(11)과 하부틀(12)이 상,하로 벌어짐되거나 오므려지게 되는 구성으로, 상기 탄성대(30)는 중앙부가 토션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또한 탄성대(30)의 양단은 서로 맞물려 걸리는 구조로 제작되며, 탄성대(30)가 걸림되는 구조는 탄성대(30)를 오므린 후 절곡 걸이부(31)를 U자 걸이부(32)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것이고, 탄성대가 상,하로 오므려지면서 탄성대의 중앙부가 우측으로 이동하며 회동 축이 없어 회동할 수 없는 구조이다.
절첩식 연등 중 틀체의 상부에서 절첩되는 연등(이하 '상부 절첩식 연등'이라고 한다)의 예로는 공개실용신안 제1985-0007304호 "연등의 절첩장치"(1985. 10. 10. 공개), 등록실용신안 제399434호 "펼침고정수단을 갖는 연등"(2005. 10. 17. 등록)에 기재된 종래 기술, 등록실용신안 제399434호 "펼침고정수단을 갖는 연등"(2005. 10. 17. 등록), 등록특허 제1007020호 "연등"(2013. 12. 16. 정정공고), 특허법원 제2013허181호 사건의 판결문에 기재된 확인대상발명을 들 수 있다.
도 5는 공개실용신안 제1985-0007304호 "연등의 절첩장치"(1985. 10. 10. 공개)의 사시도인 바, 지지간(4)의 상단 양측에 괘지공(7)(7')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사각골조(1)의 상단 양측에 괘지고리(6)(6')를 설치하여, 상기 괘지공(7)(7')에 괘지고리(6)(6')가 결합되게 하고, 하부는 양 끝단이 하부 사각골조(1')의 고리(5)(5')에 유삽되어 하부 사각골조(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된 지지간(4)을 포함하고 있다.
도 6은 등록실용신안 제399434호 "펼침고정수단을 갖는 연등"(2005. 10. 17. 등록)에 기재된 종래 기술의 조립사시도인 바, 하부틀(10)의 양측에 지지대(11)를 형성한 후 지지대(11)에는 걸림수단(12)을 구비하고, 상부틀(20)에는 걸이수단(21)을 구비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하며, 하부는 상기 하부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된 지지대(11)를 포함하고 있고, 지지대(11)가 하부틀(10)에 형성된 돌출부(T형 브래킷)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구성으로 지지대가 지지대 하부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구조이다.
도 7은 등록실용신안 제399434호 "펼침고정수단을 갖는 연등"(2005. 10. 17. 등록)의 조립도인 바, 상부에 걸림부(7)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틀(20)에는 상부지지바(3)의 중앙에 끼움홀(6)을 설치하여, 상기 걸림부(7)가 끼움홀(6)에 결합되게 하고, 하부는 상기 하부틀(10)의 하부지지바(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된 지지대(1)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은 등록특허 제1007020호 "연등"(2013. 12. 16. 정정공고)의 구조도인 바, 연등본체(100)(이하 연등에 있어서 틀체와 겉지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연등본체'라고 한다)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상부에 돌출핀(264c) 또는 절곡편(264d)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틀(110a)에는 고정돌기(266a)를 설치하여, 상기 돌출핀(264c) 또는 절곡편(264d)이 상기 고정돌기(266a)에 결합되게 하고, 하부는 상기 하부틀(110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된 지지부재(262)를 포함하고 있다.
도 9는 특허법원 제2013허181호 사건의 판결문에 기재된 확인대상발명의 사시도인 바, 상부연결바(118)의 중앙에는 상부로 볼록한 만곡부(118a)가 형성되고 상부연결바(118)의 중앙에는 지지바(122)가 결합되는데, 지지바(122)에는 상부연결바(118)의 만곡부(118a)에 접하는 위치에서 만곡부(118a)에 걸릴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122a)가 구비된다.
상기 사용 시에는 틀체를 펼쳐서 사용하고 보관 시에는 틀체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 연등들 중 조립식 연등은 여러 부재를 조립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보관 시 조립을 해제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접이식 연등, 측면 절첩식 연등은 철선, 겉지 외에 다른 부재가 더 소요되어 제조 공정이 복잡한 등의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절첩식 연등의 문제점을 상세히 살펴본다. 공개실용신안 제1985-0007304호 "연등의 절첩장치"(1985. 10. 10. 공개)의 경우(도 5 참조), 연등본체를 펼치고자 할 경우 한 손으로 지지간을 잡고 다른 손으로 일측 괘지고리를 당겨서 일측 괘지공에 고정되도록 한 후, 다시 한 손으로 지지간을 잡고 다른 손으로 타측 괘지고리를 당겨서 타측 괘지공에 고정되도록 결합시켜야 하므로 그 결합시키는 조작이 간단하지 않고 번거롭다. 연등본체를 꺽어서 겹치고자 할 경우에도 한 손으로 지지간을 잡고 다른 손으로 일측 괘지고리를 당겨서 일측 괘지공에서 분리되도록 한 후, 다시 한 손으로 지지간을 잡고 다른 손으로 타측 괘지고리를 당겨서 타측 괘지공에서 분리되도록 해야 하므로 그 분리시키는 조작도 간단하지 않고 번거로우며, 괘지고리를 따로 만들어 상부틀에 부착해야 하는 등 제조 공정도 복잡하다. 연등은 불교의 행사 등에 수백, 수천 개가 한꺼번에 사용되므로 연등을 결합시키거나 꺽어서 겹치는 조작이 간단하지 않으면 매우 심각한 불편을 겪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399434호 "펼침고정수단을 갖는 연등"(2005. 10. 17. 등록)에 기재된 종래 기술의 경우(도 6 참조), 연등본체를 펼치고자 할 경우 한 손으로 지지대를 잡고 다른 손으로 일측 고정고리를 당겨서 일측 고정돌기에 고정되도록 한 후, 다시 한 손으로 지지대를 잡고 다른 손으로 타측 고정고리를 당겨서 타측 고정돌기에 고정되도록 결합시켜야 하므로 그 결합시키는 조작이 간단하지 않고 번거롭다. 연등본체를 꺽어서 겹치고자 할 경우에도 한 손으로 지지대를 잡고 다른 손으로 일측 고정고리를 당겨서 일측 고정돌기에서 분리되도록 한 후, 다시 한 손으로 지지대를 잡고 다른 손으로 타측 고정고리를 당겨서 타측 고정돌기에서 분리되도록 해야 하므로 그 분리시키는 조작도 간단하지 않고 번거로우며 고정고리를 따로 만들어 상부틀에 부착해야 하는 등 제조 공정도 복잡하다. 연등은 불교의 행사 등에 수백, 수천 개가 한꺼번에 사용되므로 연등을 결합시키거나 꺽어서 겹치는 조작이 간단하지 않으면 매우 심각한 불편을 겪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399434호 "펼침고정수단을 갖는 연등"(2005. 10. 17. 등록)의 경우(도7 참조), 연등본체를 펼치거나 접을 경우, 지지대가 끼움홀 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지지대가 끼움홀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연등본체를 펼치거나 꺽어서 겹치고자 할 경우, 지지대가 상부지지바의 끼움홀에 삽입된 채로 끼움홀과 접촉하면서 지지대를 세우거나 눕혀야하므로 지지대를 세우거나 눕히는 조작이 매우 불편하다. 연등본체를 꺽어서 겹치고자 할 경우에도 지지대가 상부지지바의 끼움홀에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하부틀의 하부지지바 위에 상부지지바가 겹쳐져 지지대가 완전히 눕혀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연등은 불교의 행사 등에 수백, 수천 개가 한꺼번에 사용되므로 연등을 결합시키거나 꺽어서 겹치는 조작이 간단하지 않으면 매우 심각한 불편을 겪게 된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끼움홀이 있는 상부지지바를 따로 만들어 상부틀에 부착해야 하고, 등록실용신안 제399434호의 등록공보의 도 2와 같이 끼움홀의 구멍이 너무 작으면 걸림부가 드나들 수 없으며, 끼움홀의 구멍이 너무 크면 끼움홀이 연등본체의 상부로 많이 돌출하여 모양이 좋지 않게 되는 등 끼움홀의 구멍을 걸림부가 드나들 수 있으면서 너무 크지 않게 해야 하므로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 한편 지지대는 그 하부를 하부틀에 먼저 결합하는데, 만일 상부지지바의 끼움홀 내에 지지대를 미리 집어넣지 않은 채 지지대의 하부를 하부틀에 결합하면 지지대가 상부틀의 높이보다 더 길기 때문에 지지대를 끼움홀 내에 집어넣을 수 없으므로 반드시 상부지지바의 끼움홀 내에 지지대를 미리 집어넣은 채 지지대의 하부를 하부틀에 결합해야 한다. 그리고 하부틀에 결합된 지지대의 상부로부터 상부지지바의 끼움홀을 집어넣으려면 연등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대의 상단부의 절곡을 미리 작업할 수 없고, 상부지지바의 끼움홀 내에 지지대를 집어넣은 채 지지대의 하부를 하부틀에 결합하고 나서 지지대의 상단부를 수작업으로 절곡해야 하므로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
등록특허 제1007020호 "연등"(2013. 12. 16. 정정공고)의 경우(도 8 참조), 연등본체에 상부지지바가 없어 연등본체 내부로 조명전구를 넣을 경우에도 전구를 넣고 빼는데 편리하며, 연등본체를 펼치고자 할 경우 양손으로 고정돌기와 지지부재를 잡고 돌출핀이 고정돌기 밑에 오도록 하거나, 절곡편에 고정돌기가 맞물리도록 한번에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연등본체를 꺽어서 겹치고자 할 경우에도 양손으로 고정돌기와 지지부재를 잡고 돌출핀이 고정돌기에서 벗어나도록 하거나, 절곡편이 고정돌기에서 벗어나도록 한번에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돌출핀은 지지부재에 간단하게 용접할 수 있고, 절곡편은 지지부재에 프레스작업으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등 제조 공정도 간단하다. 그러나 연등을 내다 건 후 비바람이 불면 연등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기 매우 쉽고(연등을 내다 건 후 밤 사이에 비바람이 불면 30% 정도 연등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였음), 연등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면 연등의 형상 자체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특허법원 제2013허181호 사건의 판결문에 기재된 확인대상발명의 경우(도 9 참조), 연등본체를 펼치거나 꺽어서 겹치기가 용이하고 제조 공정도 간단하지만 연등을 내다 건 후 비바람이 불면 연등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기 쉽고(연등을 내다 건 후 밤 사이에 비바람이 불면 20% 정도 연등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였음), 연등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면 연등의 형상 자체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1998-0024905호 "조립식 연등"(1998. 7. 25. 공개) 등록특허 975121호 "접이식 연등"(2010. 8. 4. 등록) 등록특허 제347560호 "절첩식 연등"(2002. 7. 23. 등록) 등록특허 제459895호 "절첩식 연등"(2012. 4. 10. 등록) 공개실용신안 제1985-0007304호 "연등의 절첩장치"(1985. 10. 10.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399434호 "펼침고정수단을 갖는 연등"(2005. 10. 17. 등록) 등록특허 제1007020호 "연등"(2013. 12. 16. 정정공고)
본 발명은 펼치거나 꺽어서 겹치기가 용이하고 보관 공간도 덜 차지하며 제조 공정이 간단한 절첩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절첩등을 내다 건 후 비바람이 불어도 절첩등 본체(이하 절첩등에 있어서 틀체와 겉지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절첩등 본체'라고 한다)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며, 만일 매우 센 비바람이 불어서 절첩등 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더라도 절첩등의 형상을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절첩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등은, 다각면체 또는 구체 형상을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각링틀 또는 구형링틀의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부틀(112, 113)이 설치된 틀체(110)와, 상기 틀체(110)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겉지(111)로 이루어진 절첩등 본체(100); 상기 상부틀(112)의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상부지지바(118); 상기 하부틀(113)의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하부지지바(119)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지지바(118, 119)에 수직으로 만나는 1개의 지지대(122)가 상부지지바(118)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22)의 상부는 상기 상부지지바(118) 중앙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122)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질 수 있는 절곡편(124)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지지바(118)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2)를 회동시켜 상기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질 때에는 절첩등 본체(10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상부지지바(118)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2)를 하부지지바(119)에 절곡편(124)을 끼울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진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서 벗겨지도록 하면 절첩등 본체(100)가 절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절첩등은, 다각면체 또는 구체 형상을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각링틀 또는 구형링틀의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부틀(112, 113)이 설치된 틀체(110)와, 상기 틀체(110)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겉지(111)로 이루어진 절첩등 본체(100); 상기 하부틀(113)의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하부지지바(119)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틀(112)과 하부지지바(119)에 수직으로 만나며 서로 위,아래쪽으로 연결되는 2개의 지지대(123)가 지지대(123)의 상부(118-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23)의 상부(118-1)의 양 단부는 상기 상부틀(112)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123)의 하부에는 서로 아래쪽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질 수 있는 2개의 절곡편(12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123)의 상부(118-1)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3)를 회동시켜 상기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질 때에는 절첩등 본체(10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지지대(123)의 상부(118-1)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3)를 하부지지바(119)에 절곡편(124)을 끼울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진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서 벗겨지도록 하면 절첩등 본체(100)가 절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철등은 펼치거나 꺽어서 겹치기가 용이하고 보관 공간도 덜 차지하며 제조 공정이 간단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절첩등은 공인시험기관의 시험 결과,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특히 절첩등을 내다 건 후 비바람이 불어도 절첩등 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며, 만일 매우 센 비바람이 불어서 절첩등 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더라도 절첩등의 형상을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난 30여년 간 유지되어 온 종래의 측면 절첩식 연등, 상부 절첩식 연등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통상의 기술자가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구조의 하부 절첩식 절첩등을 제공하며, 절첩등으로서는 최초로 과학적 시험을 통하여 구조적 안정성 등 발명의 효과를 증명한 획기적인 발명이다{후술하는 시험성적서(도 14 내지 18) 및 관련 사진(도 20) 참조}.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연등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접이식 연등의 작동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측면 절첩식 연등의 틀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다른 측면 절첩식 연등의 절첩 상태 측면 개략도,
도 5는 종래의 상부 절첩식 연등의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다른 상부 절첩식 연등의 조립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또 다른 상부 절첩식 연등의 조립도,
도 8은 종래의 또 다른 상부 절첩식 연등의 구조도,
도 9는 종래의 또 다른 상부 절첩식 연등으로서 지지대가 1개인 경우의 구조도,
도 10은 비교예 1의 상부 절첩식 연등으로서 지지대가 1개인 경우의 구조도,
도 11은 비교예 2의 상부 절첩식 연등으로서 지지대가 2개인 경우의 구조도,
도 12는 실시예 1의 절첩등으로서 지지대가 1개인 경우의 구조도,
도 12a는 실시예 1의 절첩등의 펼쳐진 상태의 실물 사진,
도 12b는 도 12a의 절첩등의 상부를 나타내는 실물 사진,
도 12c는 도 12a의 절첩등의 하부 지지바에 절곡편이 끼워진 것을 나타내는 실물 사진,
도 12d는 도 12a의 절첩등의 하부 지지바에서 절곡편이 벗겨진 것을 나타내는 실물 사진,
도 12e는 도 12a의 절첩등의 지지대가 상부 지지바를 회전축으로 회동하여 눕혀진 것을 나타내는 실물 사진,
도 13은 실시예 2의 절첩등으로서 지지대가 2개인 경우의 구조도,
도 13a는 실시예 2의 절첩등의 펼쳐진 상태의 실물 사진,
도 13b는 도 13a의 절첩등의 상부를 나타내는 실물 사진,
도 13c는 도 13a의 절첩등의 하부 지지바에 절곡편이 끼워진 것을 나타내는 실물 사진,
도 13d는 도 13a의 절첩등의 하부 지지바에서 절곡편이 벗겨진 것을 나타내는 실물 사진,
도 13e는 도 13a의 절첩등의 지지대가 지지대의 상부를 회전축으로 회동하여 눕혀진 것을 나타내는 실물 사진,
도 14 내지 18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발행한 시험성적서,
도 19는 보퍼트풍력계급,
도 20은 도 10 내지 13의 연등, 절첩등이 줄에 매달린 경우 연등 또는 절첩등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와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의 사진이다. (a)는 도 10의 연등, (b)는 도 11의 연등, (c)는 도 12의 절첩등, (d)는 도 13의 절첩등의 실물 사진으로, 각각 왼쪽 사진은 연등 또는 절첩등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의 사진이며, 오른쪽 사진은 연등 또는 절첩등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굵기 3mm의 철선으로, 팔각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팔각링틀(120)을 설치하고 그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부틀(112, 113)을 설치하여 틀체(110)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틀(112)의 중앙을 가로질러 상부지지바(118)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틀(119)의 중앙을 가로질러 하부지지바(119)를 설치하였다.
상기 상, 하부지지바(118, 119)에 수직으로 만나는 1개의 지지대(122)가 상부지지바(118)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22)의 상부는 상기 상부지지바(118) 중앙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122)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질 수 있는 절곡편(124)을 형성하며, 상기 틀체(110)를 감싸도록 겉지(111)를 부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한 절첩등의 구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도 12a, 12b 참조).
상기 상부지지바(118)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2)를 회동시켜 상기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질 때에는 절첩등 본체(10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상부지지바(118)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2)를 하부지지바(119)에 절곡편(124)을 끼울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진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서 벗겨지도록 하면 절첩등 본체(100)가 절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도 12c, 12d 참조). 절첩등 본체(100)가 절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더라도 절첩등이 줄에 매달린 경우 절첩등의 형상은 거의 그대로 유지된다{도 20(c) 참조}.
상기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서 벗겨진 상태에서 절첩등 본체(100)를 절첩하면서 지지대(122)를 눕히면 지지대(122)가 상부지지바(118)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지지대(122)는 절첩된 절첩등 본체(100) 위에 눕혀지게 된다.
<실시예 2>
굵기 3mm의 철선으로, 팔각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팔각링틀(120)을 설치하고 그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부틀(112, 113)을 설치하여 틀체(110)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틀(113)의 중앙을 가로질러 하부지지바(119)를 설치하였다.
상기 상부틀(112)과 하부지지바(119)에 수직으로 만나며 서로 위,아래쪽으로 연결되는 2개의 지지대(123)가 지지대(123)의 상부(118-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23)의 상부(118-1)의 양 단부는 상기 상부틀(112)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123)의 하부에는 서로 아래쪽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질 수 있는 2개의 절곡편(124)을 형성하고, 상기 틀체(110)를 감싸도록 겉지(111)를 부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한 절첩등의 구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도 13a, 13b 참조).
상기 지지대(123)의 상부(118-1)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3)를 회동시켜 상기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질 때에는 절첩등 본체(10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지대(123)의 상부(118-1)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3)를 하부지지바(119)에 절곡편(124)을 끼울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진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서 벗겨지도록 하면 절첩등 본체(100)가 절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도 13c, 13d 참조). 절첩등 본체(100)가 절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더라도 절첩등이 줄에 매달린 경우 절첩등의 형상은 거의 그대로 유지된다{도 20(d) 참조}.
상기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서 벗겨진 상태에서 절첩등 본체(100)를 절첩하면서 지지대(123)를 눕히면 지지대(123)가 지지대(123)의 상부(118-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지지대(123)는 절첩된 절첩등 본체(100) 위에 눕혀지게 된다.
<비교예 1>
굵기 3mm의 철선으로, 팔각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팔각링틀(120)을 설치하고 그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부틀(112, 113)을 설치하여 틀체(110)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틀(112)의 중앙을 가로질러 중앙에 만곡부(125)를 형성한 상부지지바(118)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틀(113)의 중앙을 가로질러 하부지지바(119)를 설치하였다.
상기 상,하부지지바(118, 119)에 수직으로 만나는 1개의 지지대(122)가 하부지지바(119)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22)의 상부에는 절곡편(12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122)의 하부는 상기 하부지지바(119) 중앙에 고정 결합하며, 상기 틀체(110)를 감싸도록 겉지(111)를 부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한 연등의 구조는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하부지지바(119)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2)를 회동시켜 상기 절곡편(124)이 상부지지바(118)의 만곡부(125)에 끼워질 때에는 연등본체(10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하부지지바(119)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2)를 상부지지바(118)의 만곡부(125)에 절곡편(24)을 끼울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부지지바(118)의 만곡부(125)에 끼워진 절곡편(124)이 상부지지바(118)의 만곡부(125)에서 벗겨지도록 하면 연등본체(100)가 하단부로 내려앉는다{연등이 줄에 매달린 경우 연등의 형상은 전혀 유지되지 않는다. 도 20(a) 참조}.
상기 절곡편(124)이 상부지지바(118)의 만곡부(125)에서 벗겨진 상태에서 연등본체를 절첩하면서 지지대(122)를 눕히면 지지대(122)가 하부지지바(119)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지지대(122)는 절첩된 연등본체(100) 위에 눕혀지게 된다.
<비교예 2>
굵기 3mm의 철선으로, 팔각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팔각링틀(120)을 설치하고 그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부틀(112, 113)을 설치하여 틀체(110)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틀(112)의 중앙을 가로질러 상부지지바(118)를 설치하였다.
상기 하부틀(113)과 상부지지바(118)에 수직으로 만나며 서로 위,아래쪽으로 연결되는 2개의 지지대(123)가 지지대(123)의 하부(119-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23)의 하부(119-1)의 양 단부는 상기 하부틀(112)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123)의 상부에는 서로 위쪽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지지바(118)에 끼워질 수 있는 2개의 절곡편(124)을 형성하고, 상기 틀체(110)를 감싸도록 겉지(111)를 부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한 연등의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지지대(123)의 하부(119-1)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3)를 회동시켜 상기 절곡편(124)이 상부지지바(118)에 끼워질 때에는 연등 본체(10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지대(123)의 하부(119-1)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3)를 상부지지바(118)에 절곡편(124)을 끼울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부지지바(118)에 끼워진 절곡편(124)이 상부지지바(118)에서 벗겨지도록 하면 연등본체(100)가 하단부로 내려앉는다{연등이 줄에 매달린 경우 연등의 형상은 전혀 유지되지 않는다. 도 20(b) 참조}.
상기 절곡편(124)이 상부지지바(118)에서 벗겨진 상태에서 연등 본체(100)를 절첩하면서 지지대(123)를 눕히면 지지대(123)가 지지대(123)의 하부(119-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지지대(123)는 절첩된 절첩등 본체(100) 위에 눕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절첩등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발행한 시험성적서를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접철등은 펼치거나 꺽어서 겹치기가 용이하고 보관 공간도 덜 차지하며 제조 공정이 간단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절첩등은 공인 시험기관의 시험 결과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특히 절첩등을 내다 건 후 비바람이 불어도 절첩등 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며, 만일 매우 센 비바람이 불어서 절첩등 본체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더라도 절첩등의 형상을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개실용신안 제1985-0007304호 "연등의 절첩장치"(1985. 10. 10. 공개)의 공개 이후 30여년 간 유지되어 온 종래의 측면 절첩식 연등, 상부 절첩식 연등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통상의 기술자가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구조의 하부 절첩식 절첩등을 제공하며, 절첩등으로서는 최초로 과학적 시험을 통하여 구조적 안정성 등 발명의 효과를 증명한 획기적인 발명이다.
도 14 내지 18은 2014. 6. 27.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발행한 시험성적서이다. 상기 시험성적서에는 "상접철식과 하절첩식으로 지지체를 구분하여 만든 팔각접등{상절첩식 구조의 지지체가 한 개로 된 구성을 연등 a(비교예1, 도 10의 연등과 동일함), 두 개로 된 구성을 연등 b(비교예 2, 도 11의 연등과 동일함), 하절첩식 구조의 지지체가 한 개로 된 구성을 연등 c(실시예 1, 도 12의 연등과 동일함), 두 개로 된 구성을 연등 d(실시예 2, 도 13의 연등과 동일함)로 함}을 물에 적신 상태에서 줄에 거치시켜 결합부가 해제될 수 있는 방향으로 풍동관을 이용하여 지지체 결합부가 해제되는 풍속 및 시간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풍속
(m/sec)
해제에 걸린
시간
지지체 결합
해제 여부
상절첩식 연등 a 9.5 5초 결합이 해제됨
연등 b 9.7 5초
하절첩식 연등 c 14.0 30분 간
결합이 해제되지 않음
연등 d 14.0
상절첩식 연등 a, 연등 b는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이탈 가능성이 높은데 반하여, 하절첩식 연등 c 및 연등 d는 상단부위에 의한 지지력의 증대로 구조적인 안정성이 증대됨. 내부지지 철사에 작용하는 등가응력 성분이 14MPa정도로 안정적으로 나타남."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도 15는 보퍼트풍력계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보퍼트풍력계급에 의하면, 상절첩식 연등 a, 연등 b의 결합이 5초만에 해제된 풍속 9.5~9.7m/sec는 '흔들바람'에 해당하며, 작은 나무가 흔들리고 연못이나 늪의 물결이 뚜렷해지는 풍속이다. 하절첩식 연등 c, 연등 d의 결합이 30분간 해제되지 않은 풍속 14m/sec는 '센바람'에 해당하며, 큰 나무 전체가 흔들리고 바람을 안고 걷기가 힘들게 되는 풍속이다. 상절첩식 연등 a, 연등 b는 작은 나무가 흔들리고 연못이나 늪의 물결이 뚜렷해지는 '흔들바람'에서 5초 만에 결합이 해제되었지만, 하절첩식 연등 c, 연등 d는 큰 나무 전체가 흔들리고 바람을 안고 걷기가 힘들게 되는 '센바람'에서 30분 간 결합이 해제되지 않았다.
응력은 외력이 재료에 작용할 때 그 내부에 생기는 저항력이며, 응력은 외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지만 이에는 한도가 있어서 응력이 그 재료 고유의 한도에 도달하면 외력에 저항할 수 없게 되어 그 재료는 마침내 파괴된다. 응력의 한도가 클수록 강한 재료라고 할 수 있다(「사이온스 올」에서 '응력' 검색 결과).
상기 시험성적서에는 "하절첩식 연등 c 및 d의 상단부위 내부지지 철사에 작용하는 등가응력 성분이 14MPa정도로 안정적으로 나타남."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바, 14MPa 는 약 138기압에 해당하여 본 발명의 절첩등의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증명하고 있다.
도 20은 도 10 내지 13의 연등, 절첩등이 줄에 매달린 경우 연등또는 절첩등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와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의 사진이다. (a)는 도 10의 연등, (b)는 도 11의 연등, (c)는 도 12의 절첩등, (d)는 도 13의 절첩등의 실물 사진으로, 각각 왼쪽 사진은 연등 또는 절첩등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의 사진이며, 오른쪽 사진은 연등 또는 절첩등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의 사진이다.
(a), (b)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등이 줄에 매달린 경우 도 10, 11의 연등은 연등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면 연등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연등본체가 하단부로 완전히 내려앉았지만, (c), (d)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12, 13의 절첩등은 절첩등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더라도 절첩등 본체의 하단부가 조금 들어올려질 뿐 절첩등의 형상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였다.
대법원은 "출원된 기술의 구성이 선행기술과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그 작용효과에 있어서 선행기술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진보된 것인 때에는, 기술의 진보발전을 도모하는 특허제도의 목적에 비추어 출원발명의 진보성을 인정하여야 한다."라고 판시한 바 있다(대법원 1997. 11. 28. 선고 96후1972 판결).
상기 대법원 판례에 비추어 보면, 본 발명의 절첩등은 종래의 측면 절첩식 연등, 상부 절첩식 연등과 기술적 구성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으며, 도 14 내지 도 18의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발행한 시험성적서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작용효과에 있어서 선행기술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진보된 것이고 또한 그 점이 과학적 시험을 통하여 입증된 것이며, 도 20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첩등은 종래의 상부 절첩식 연등과는 달리 절첩등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더라도 절첩등 본체의 하단부가 조금 들어올려질 뿐 절첩등의 형상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는 우수한 작용효과를 나타내었다.
「송영식 외 6인 공저, 지적소유권법(상), 육법사, 2008」제347쪽 내지 제348쪽에는 "진보성 판단에 있어서 사후적 고찰의 금지 : 전문가가 당해 특허의 이론을 알고 난 후에는 공지기술로부터 당해 특허의 발명적 해결을 손쉽게 이끌어낼 수 있는 경우가 극히 많기 때문에 발명을 사후적으로 분석함은 타당하지 못하다. 심사관, 심판관, 기술적 전문가로서는 당해 특허발명의 출원 전의 상태로 돌아가서 당해 특허의 지식을 알지 못한다는 상태에서 발명의 진보성 여부를 따져보지 않으면 안된다. 이른바 사후적 고찰에 의해 진보성을 부정함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콜럼버스의 달걀과 같이 해결 후에 생각해 보면 누구에게나 자명한 것 같지만 당해 발명 전에는 그에 대한 기술적 문제가 설정된 일 조차도 없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대법원은 "발명의 진보성 유무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통상의 기술자가 특허출원 당시의 기술수준에 비추어 진보성 판단의 대상이 된 발명이 선행기술과 차이가 있음에도 그러한 차이를 극복하고 선행기술로부터 그 발명을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진보성 판단의 대상이 된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알고 있음을 전제로 하여 사후적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그 발명을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서는 아니된다."라고 판시한 바 있다(대법원 2010. 7. 22. 선고 2008후3551 판결).
본 발명은 공개실용신안 제1985-0007304호 "연등의 절첩장치"(1985. 10. 10. 공개)의 공개 이후 30여년 간 유지되어 온 종래의 측면 절첩식 연등, 상부 절첩식 연등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통상의 기술자가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구조의 하부 절첩식 절첩등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조가 간단하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을 알고 있음을 전제로 하여 사후적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그 발명을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서는 아니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절첩등은 팔각 절첩등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틀체의 형상에 따라 그 적용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며 절첩등 본체를 펼치는 하부 절첩식 결합의 구조가 기술적 특징인 것이므로 팔각 절첩등 외에 사각 절첩등, 육각 절첩등, 구형 절첩등 등에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절첩등 본체를 펼치는 하부 절첩식 결합의 구조를 적용하는 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대법원은 "확인대상발명에서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 중 치환 내지 변경된 부분이 있는 경우에도, 양 발명에서 과제의 해결원리가 동일하고, 그러한 치환에 의하더라도 특허발명에서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며, 그와 같이 치환하는 것이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정도로 자명하다면 확인대상발명은 전체적으로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과 균등한 것으로서 여전히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한다."라고 판시한 바 있다(대법원 2010. 5. 27. 선고 2010후296 판결).
본 발명의 지지대의 절곡편과 하부지지바의 결합을 다른 구성으로 치환내지 변경하더라도 지지대와 하부지지바를 결합시켜 절첩등 본체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려는 과제의 해결원리가 동일하고, 그러한 치환 내지 변경에 의하더라도 본 발명에서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며, 그와 같이 치환 내지 변경하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정도로 자명하다면 치환 내지 변경이 되더라도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과 균등한 것으로서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대의 절곡편과 하부지지바의 결합을 다른 구성으로 치환 하는 예로는 하부지지바에 돌출핀(돌기)을 형성하고 지지대를 돌출핀에 걸어서 결합시키는 구조, 하부지지바에 만곡부를 형성하여 지지대의 절곡편을 결합시키는 구조, 하부지지바에 끼움홀을 형성하여 지지대를 끼움홀에 끼워 넣는 구조, 하부지지바에 구멍을 형성하고 지지대에 고리를 형성하여 하부지지바의 구멍에 지지대의 고리를 거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100 : 연등본체 또는 절첩등 본체 110 : 틀체
111 : 겉지 112 : 상부틀
113 : 하부틀 118 : 상부지지바
118-1 : 지지대의 상부 119 : 하부지지바
119-1 : 지지재의 하부 120 : 팔각링틀
122 : 지지대 123 : 지지대
124 : 절곡편 125 : 만곡부
* 이상 도 10 내지 13에 해당되는 부호임.

Claims (2)

  1. 다각면체 또는 구체 형상을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각링틀 또는 구형링틀의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부틀(112, 113)이 설치된 틀체(110)와, 상기 틀체(110)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겉지(111)로 이루어진 절첩등 본체(100);
    상기 상부틀(112)의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상부지지바(118);
    상기 하부틀(113)의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하부지지바(119)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지지바(118, 119)에 수직으로 만나는 1개의 지지대(122)가 상부지지바(118)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22)의 상부는 상기 상부지지바(118) 중앙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122)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질 수 있는 절곡편(124)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지지바(118)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2)를 회동시켜 상기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질 때에는 절첩등 본체(10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상부지지바(118)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2)를 하부지지바(119)에 절곡편(124)을 끼울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진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서 벗겨지도록 하면 절첩등 본체(100)가 절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등.
  2. 다각면체 또는 구체 형상을 이루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각링틀 또는 구형링틀의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부틀(112, 113)이 설치된 틀체(110)와, 상기 틀체(110)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겉지(111)로 이루어진 절첩등 본체(100);
    상기 하부틀(113)의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하부지지바(119)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틀(112)과 하부지지바(119)에 수직으로 만나며 서로 위,아래쪽으로 연결되는 2개의 지지대(123)가 지지대(123)의 상부(118-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23)의 상부(118-1)의 양 단부는 상기 상부틀(112)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123)의 하부에는 서로 아래쪽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질 수 있는 2개의 절곡편(12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123)의 상부(118-1)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3)를 회동시켜 상기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질 때에는 절첩등 본체(10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지지대(123)의 상부(118-1)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123)를 하부지지바(119)에 절곡편(124)을 끼울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하부지지바(119)에 끼워진 절곡편(124)이 하부지지바(119)에서 벗겨지도록 하면 절첩등 본체(100)가 절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등.


KR1020150025320A 2015-02-23 2015-02-23 절첩등 KR10152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20A KR101522833B1 (ko) 2015-02-23 2015-02-23 절첩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320A KR101522833B1 (ko) 2015-02-23 2015-02-23 절첩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833B1 true KR101522833B1 (ko) 2015-05-27

Family

ID=5339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320A KR101522833B1 (ko) 2015-02-23 2015-02-23 절첩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0566A (zh) * 2019-08-21 2019-11-26 东莞市杰伦塑胶灯饰有限公司 一种可变形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434Y1 (ko) * 2005-08-08 2005-10-24 박용근 펼침고정수단을 갖는 연등
KR200455298Y1 (ko) * 2008-12-30 2011-08-30 김기찬 연등
KR200459895Y1 (ko) * 2010-11-09 2012-04-20 박용근 절첩식 연등
KR20140101490A (ko) * 2013-02-08 2014-08-20 박용근 연등 절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434Y1 (ko) * 2005-08-08 2005-10-24 박용근 펼침고정수단을 갖는 연등
KR200455298Y1 (ko) * 2008-12-30 2011-08-30 김기찬 연등
KR200459895Y1 (ko) * 2010-11-09 2012-04-20 박용근 절첩식 연등
KR20140101490A (ko) * 2013-02-08 2014-08-20 박용근 연등 절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0566A (zh) * 2019-08-21 2019-11-26 东莞市杰伦塑胶灯饰有限公司 一种可变形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2510A1 (en) Foldable soft box
US9936811B2 (en) Portable seat awning
KR101522833B1 (ko) 절첩등
US10107479B1 (en) Interchangeable lamp shade for a lighting fixture and method of assembly
WO2004018803A1 (fr) Tente
US11053700B2 (en) Foldable cover for a swimming pool
JP2011179276A (ja) テントとそのテントを立てる方法
JP2016015802A (ja) 電柱作業落下物防止具
KR101449857B1 (ko) 간단한 구조로 절첩 작동되는 접이식 입식 광고대
CN107259735B (zh) 一种户外遮阳伞
US6685344B1 (en) Lamp shade assembly
TW201641794A (zh) 改良式帳篷結構
US2251299A (en) Portable hammock assembly
KR101504586B1 (ko) 텐트 겸용 우산
JP4403148B2 (ja) 提灯
US1349478A (en) Independently-detachable undershade for light-standards
US250878A (en) brush
KR200406921Y1 (ko) 텐트
KR20120003167U (ko) 절첩식 연등
KR200446065Y1 (ko) 파라솔
CN218154011U (zh) 一种光照效果好的水晶灯罩
US905608A (en) Shade.
US6397871B1 (en) Adjustable sunshade assembly
CN107048964B (zh) 可防风的遮光窗帘
KR101317432B1 (ko) 연등 골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