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136Y1 - 연등 - Google Patents

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136Y1
KR200359136Y1 KR20-2004-0006257U KR20040006257U KR200359136Y1 KR 200359136 Y1 KR200359136 Y1 KR 200359136Y1 KR 20040006257 U KR20040006257 U KR 20040006257U KR 200359136 Y1 KR200359136 Y1 KR 200359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lding
support portion
folded
lan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석
Original Assignee
양홍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홍석 filed Critical 양홍석
Priority to KR20-2004-0006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6Frames foldable or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등 행사 또는 축제에서 간편히 사용하고, 사용완료 후에는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연등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부와 하부 각각에 소정의 내경으로 개구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연부를 절첩 및 전개하는 절첩지지부와; 상기 절첩지지부의 좌우측에 절첩 및 전개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내경으로 외향 전개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서로 절첩하는 절첩수단과; 상기 절첩지지부와 제1지지부를 감싸아 외형을 형성하는 포대로 구성하여, 연등 행사시 절첩되어 있는 절첩수단을 전개하여 제2 지지부를 제1지지부의 내측으로 외향 전개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와 절첩지지부가 함께 전개됨과 아울러 상기 절첩지지부에 구비된 촛불꽂이와 손잡이가 전개되면서 연등을 형성하게 되고, 이어서 행사완료 후에는 상기 전개되어 있는 절첩수단을 절첩줌으로써, 상기 제1,2 지지부와 절첩지지부가 접어지게 되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연등{a lantern}
본 고안은 연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등 행사 또는 축제에서 간편히 사용하고, 사용완료 후에는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연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등은 종교 축제이면서 전통문화 축제로 자리잡고 있는 연등행사에서 사용되는 등기구로서, 삶의 어둠과 고통을 걷어내고 지혜와 자비가 충만한 새세상을 기원하는 종교적 의미를 갖고 있으며, 상기 연등은 동물 또는 식물등의 형상을 토대로 다양한 연등으로 제작되게 된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제작되어 이용되는 연등은 연꽃 연등으로, 상기 연꽃 은 꽃말 뿐만 아니라, 꽃잎이 만개하였을 때 들어나는 화사함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연꽃 연등은 제작시 다수의 꽃잎을 각각의 낱장 또는 일체로 재단하고 이 재단된 다수의 꽃잎들은 열금형을 이용하여 연꽃 형상의 색상과 무늬로 성형한 후 이를 별도의 합성수지 재질의 연꽃틀에 하나 하나 또는 일체로 붙착하여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꽃 연등의 꽃잎은 종이 또는 포지로 제작되게 되어 수분에 영향을 쉬게 받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훼손되게 되어 지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하고, 제작시에도 일일이 하나 하나 수작업으로 제작되게 되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는 비능률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최근들어 연꽃 연등을 지속적이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종이 또는 포지가 아닌 합성수지 재질로 하여,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작한 것이 있으나, 상기 연꽃 연등 사용시 일일이 조립 제작하여 사용하고, 사용완료 후 보관하고자 할 경우, 일일이 하나 하나 분해하여 보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꽃 연등은 조립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는 관계로 여러번에 걸쳐 삽입 및 조립으로 인한 부품의 마모 또는 파손, 망실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연등은 연꽃이 아닌, 여러가기 다양한 모양(동물,사물)형상으로 제작된 것이 있으나, 상기 동물 형상의 경우 그 크기를 줄일 수 없어 보관에 다소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사물 형상 즉 원통형상의 주름관 형태로 제작된 것의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 주름에 의하여 보관이 편리한 점은 있으나, 사용시에는 주름관이기 때문에 이동(행렬)시 쉽게 상하로 흔리게 되어 연등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등이 주름관 형태로 종이재질인 경우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쉽게 파손되는가 되는 문제점이 있는가 하면,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경우 쉽게 파손되지 않는 반면에, 모양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연등행사시 연등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후에는 접어서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와 하부 각각에 소정의 내경으로 개구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연부를 절첩 및 전개하는 절첩지지부와; 상기 절첩지지부의 좌우측에 절첩 및 전개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내경으로 외향 전개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서로 절첩하는 절첩수단과; 상기 절첩지지부와 제1지지부를 감싸아 외형을 형성하는 포대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절첩지지부의 어느 한쪽에 촛불을 꽂아 밝혀주는 촛불꽂이와; 다른 한쪽으로 고정걸이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연등 행사시 절첩되어 있는 절첩수단을 전개하여 제2 지지부를 제1지지부의 내측으로 외향 전개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와 절첩지지부가 함께 전개됨과 아울러 상기 절첩지지부에 구비된 촛불꽂이와 손잡이가 전개되면서 연등을 형성하게 되고, 이어서 행사완료 후에는 상기 전개되어 있는 절첩수단을 절첩줌으로써, 상기 제1,2 지지부와 절첩지지부가 접어지게 되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 연등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연등의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연등의 보관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개구부 20; 절첩지지부
21,23; 반원형지지체 22; 고정걸이
24; 촛불꽂이 30; 제1지지부
40; 제2지지부 41; 임계선
50; 절첩수단 51; 힌지부
60; 포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 연등의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고안 연등의 종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 연등의 보관 상태도로서, 상하로 관통되고 내부에 촛불이나 걸이가 위치하는 개구부(10)와; 상기 개구부(10)를 절첩과 전개하는 절첩지지부(20)와; 상기 절첩지지부(20)의 좌,우측 각각에는 소정의 구경을 갖는 제1지지부(30)와; 상기 제1지지부(30)의 내경으로 외향 전개되는 제2지지부(40)와; 상기 제2지지부(40)를 내,외향으로 절첩 또는 전개하는 절첩수단(50)과; 상기 절첩지지부(20)와 제1지지부(30)를 감싸아 재봉되는 포대(60)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절첩지지부(20)는 기 설정된 내경을 갖는 한쌍의 반원형 지지체(21)와, 상기 반원형 지지체(21)를 절첩되게 힌지 결합하는 고정걸이(22)와; 상기 한쌍의 반원형 지지체(21)와 대향하는 위치에 다른 한쌍의 반원형 지지체(23)와; 상기 반원형 지지체(23)를 절첩되게 힌지 결합하는 촛불꽂이(24)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부(30)는 상기 절첩지지부(20)와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좌우측 각각에 비교적 큰 내경을 갖는 원형태의 형상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부(40)는 좌우측 각각에 구비된 제1지지부(30)보다 작은 내경으로 상기 제1지지부(30)의 내경에 구성하되, 상기 제1지지부(30)와 다수의 임계선(41)으로 연결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부(40)는 다각형태의 형상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절첩수단(50)은 상기 좌,우측 제2지지부(40)간에 구성하되, 상기 중앙에는 내향 절첩되는 힌지부(51)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포대(6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고 주로 하나 이상의 섬유재질로 구성하되, 상기 포대(60)는 상기 절첩지지부(20)와 제1지지부(30)에 외측으로 감싸아 봉재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하부에 촛불꽂이(24)가 구비된 반원형으로 절첩되는 반원형지지체(23), 상부에 고정걸이(22)가 구비되는 반원형으로 절첩되는 반원형 지지체(21)로 구성되는 절첩지지부(20)와, 상기 절첩지지부(20)의 반원형 지지체(21)(23)의 좌우측 각각에 비교적 큰 내경을 갖는 제1지지부(30)간에는 하나 이상의 조각으로 형성되는 포대(60)를 감싸아 봉재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지지부(30)의 내경에는 중앙에 힌지부(51)를 갖고 절첩되는 절첩수단(50)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고정 결합하여 작은 내경을 갖는 한쌍의 제2지지부(40)를 형성하되, 상기 한쌍의 제2지지부(30)는 상기 제1지지부(30)와 다수의 임계선(41)으로 결합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상태에서 연등 행사시 연등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개구부(10)의 연부에 형성된 절첩지지부(20)의 반원형 지지체(21)(23)를 각각 전개하여 원형상태로 만들어준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0)를 통해서 상기 제2지지부(40)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된 절첩수단(50)을 하나 하나씩 전개시키게 되면, 상기 절첩수단(50)의 전개에 의하여 상기 제2지지부(40)는 상기 제1지지부(30)의 내경을 통해서 외향 전개되면서, 상기 제1지지부(30)와 함께 좌우측 각각 전개되어 상기 제1지지부(30)와 제2지지부(40)에 의하여 2중으로 턱을 갖는 연등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10)의 절첩지지부(20)에 형성된 촛불꽂이(24)에 촛불을 끼워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촛불꽂이(24)의 상부에 위치한 고정걸이(22)에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걸어줌으로써, 연등행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등 행사를 마치고 상기 연등을 철수 내지는 보관하고자 할 경우, 상기 연등으로 부터 촛불을 촛불꽂이(24)로 부터 제거한 후, 이어서 상기 절첩수단(50)을 하나 하나씩 절첩하게 되면, 절첩수단(50)과 결합된 제2지지부(40)가 내향으로 접어지면서 상기 제1지지부(30)도 함께 접어주게 되고, 아울러 개구부(10)의 연부에 절첩지지부(20)도 접어지게 되어 부피가 작은형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등 행사시 사용하게 되는 연등을 절첩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행사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행사 완료후에는 접어서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연등의 사용 및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절첩과 전개하는 절첩지지부와; 상기 절첩지지부의 좌,우측 각각에 소정의 구경을 갖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내경으로 외향 전개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내,외향으로 절첩 또는 전개하는 절첩수단과; 상기 절첩지지부와 제1지지부를 감싸아 재봉되는 포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지지부는 한쌍의 반원형 지지체와, 상기 반원형 지지체를 절첩되게 힌지 결합하는 고정걸이와; 상기 한쌍의 반원형 지지체와 대향하는 위치에 다른 한쌍의 반원형 지지체와; 상기 반원형 지지체를 절첩되게 힌지 결합하는 촛불꽂이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좌우측 각각에 구비된 제1지지부보다 작은 내경으로 상기 제1지지부의 내경을 갖고 상기 제1지지부와 다수의 임계선으로 연결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수단은 중앙으로 내향 절첩되는 힌지부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등.
KR20-2004-0006257U 2004-03-09 2004-03-09 연등 KR200359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257U KR200359136Y1 (ko) 2004-03-09 2004-03-09 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257U KR200359136Y1 (ko) 2004-03-09 2004-03-09 연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136Y1 true KR200359136Y1 (ko) 2004-08-21

Family

ID=4943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257U KR200359136Y1 (ko) 2004-03-09 2004-03-09 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1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226B1 (ko) * 2009-04-09 2011-03-31 김기찬 절첩식 연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226B1 (ko) * 2009-04-09 2011-03-31 김기찬 절첩식 연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00065A1 (en) Pull up tree system
US4145731A (en) Simulated extendable and collapsible evergreen tree
US20050249892A1 (en) Self-shaping artificial tree
US20080192486A1 (en) Three dimension collapsible lampshade
KR200359136Y1 (ko) 연등
US20020118539A1 (en) Expandable decoration
KR200455298Y1 (ko) 연등
US3742210A (en) Collapsible lamp shade
KR100998254B1 (ko) 연꽃 연등
KR100676476B1 (ko) 연등
CN201636752U (zh) 一种可折叠灯罩
KR101026226B1 (ko) 절첩식 연등
US2787073A (en) Folding decoration
KR200340634Y1 (ko) 연꽃 연등
KR100698492B1 (ko) 연등
CN217816285U (zh) 一种热气球状可收叠的装饰灯
US9506621B2 (en) Knock-down shade using repurposed packaging
JP3034425U (ja) 携帯用キャンドルランタン
CN211780859U (zh) 一种可变形灯罩
CN201021788Y (zh) 灯罩支架
KR200196145Y1 (ko) 연등장치
KR100975121B1 (ko) 접이식 연등
KR100334579B1 (ko) 연등장치
KR200332013Y1 (ko) 연등
CN210801020U (zh) 一种可以折叠的灯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