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145Y1 - 연등장치 - Google Patents

연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145Y1
KR200196145Y1 KR2020000003958U KR20000003958U KR200196145Y1 KR 200196145 Y1 KR200196145 Y1 KR 200196145Y1 KR 2020000003958 U KR2020000003958 U KR 2020000003958U KR 20000003958 U KR20000003958 U KR 20000003958U KR 200196145 Y1 KR200196145 Y1 KR 200196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ribs
poles
c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심
Original Assignee
이효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심 filed Critical 이효심
Priority to KR2020000003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1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21V3/023Chinese lanterns; Ballo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9/00Lanterns, e.g. hurricane lamps or candl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불교와 관련된 행사에 사용하는 것으로, 접고 펼침과 보관을 편리하게 한 연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적어도 2개소 이상에 관절부를 갖는 제1살대들과 제2살대들 및 촛불 고정구가 설치된 링형상 지지구들을 절곡 가능하게 힌지하여 절첩가능한 다면체의 골조를 형성하고, 상기 골조의 외부는 투과성이 좋은 커버로서 위요하며, 또한 상기 골조의 내부에는 그 골조를 확개된 상태로 지지 현가하기 위한 끈과 아울러 골조의 확개에 필요한 압력을 부여하는 관체를 설치한 것에 의해, 골조의 접고 펼침을 편하게 하면서도 사용을 편리하게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연등 장치{Ornament light}
본 고안은 종교 즉, 불교 등(等)의 행사에 사용하는 연등(燃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등의 접고 펼침 작업을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강도의 향상을 위해 골조(Frame)를 개량 변형한 연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교 행사 즉, 불교의 석가 탄신일 등의 기념일에는 부처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한 일환으로 연도나 혹은 사찰등의 경내에 크고 작은 다양한 모양의 연등을 설치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러한 연등은 나무 혹은 철선을 이용하여 대략 원형 체를 이루는 골조(틀체)를 만든후 그 외부는 종이나 혹은 섬유와 같은 천을 감싸는 형태로서 부착함에 의해, 완전한 형태의 연등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등은 종교 행사 종료로 인한 철거시 재 사용을 위해서는 보관을 해야하는데, 연등 자체가 갖고 있는 부피로 인한 많은 공간의 점유로 보다 넓은 보관면적이 필요하게 되는 보관상의 어려움이 있고, 설령 보관을 한다고 하더라도 부피를 갖는 형체 그대로 보관하기 때문에 연등 끼리의 충돌이나 혹은 다른 물체와의 충돌, 또는 압력에 의하여 커버가 찢어지거나 혹은 틀체가 변형되는 일이 발생되어 재 사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고, 결과적으로 다시 만들어서 사용해야만하는 불편과 낭비 등의 폐단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접고 펼침을 가능하게 한 연등이 개발되어 있으나, 연등의 골조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접고 펼침 작업이 어렵고 또한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연등의 골조 구조를 개량 변형하여, 접고 펼침을 쉽게 할수 있게한 사용상의 편리성과 아울러 보관성 및 강도를 향상되게 한 연등 장치를 제공하는데 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등 장치는, 청구항 1의 고안과 관련된 촛불의 주위로 투과성이 양호한 커버를 위요하여 된 연등에 있어서, 상기 커버로서 전 둘레가 위요되며, 적어도 2개소 이상에 회절되는 관절부를 갖음과 아울러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입설된 제1살대들과, 상기 제1살대들의 내부 중앙 상하부에 대향 배치되고 어느 하나에는 상기 촛불 고정구가 설치된 링형상 지지구들과, 상기 제1살대들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1살대들의 내측 상하부에 그 제1살대들과 대향 배치되어 어느 일단들은 상기 제1지지구의 둘레를 따라서 각각 힌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1살대들의 각 관절부들의 외측 위치에 각각 힌지되어 상기 제1살대들과 연동되게 한 제2살대들로 이루어 진 골조; 적어도 상기 골조보다는 큰 길이를 이루어 어느 일단은 상부 측에 위치되는 지지구에 일체로 결속된 반면, 타단은 하부측의 지지구를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골조를 촛불 설치를 위한 공간 형성을 위해 확개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면서 현가되게 고정 지지하는 연질재의 지지용 끈; 상기 상하부 지지구 사이에서 상기 지지용 끈에 접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지지구들에 대해 상기 골조를 확장하기 위한 압력을 부여하는 가압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골조에는 상기 지지용 끈에 접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제2살대에는 힌지된 제3살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장식물을 더 설치함이 바람 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확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횡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연등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 연등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등 10 : 골조
11a-11d : 제1살대 12a-12d,13a-13d : 제2살대
14a, 14b : 보조살대 15a-15d : 관절부
16a-16d,17a-17d : 힌지부 18,19 : 힌지부
20a,20b : 지지구 20a´ : 보조지지구
30 : 지지용 끈 40 : 가압관체
40´ : 보조관체 50 : 커버
60 : 촛불 고정구 70 : 촛불
113a,113b : 제3살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연등 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확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른 횡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등장치(100)은 접힘과 펼침을 가능하게 구성한 골조(FrameWork)(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골조(10)은 사각 혹은 원형 단면을 갖는 금속재질의 철심으로 된 다수개의 제1살대들(11a-11d)과 제2살대들(12a-12d)(13a-13d)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살대들(11a-11d)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회절되는 관절부들(15a-15d)를 갖고,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살대 들(11a-11d)는 도면에서 4개로 설치한 것을 일예로들어 설명 하였으나, 그 이상 즉, 6각형 혹은 8각형의 다각 구조를 이루게 할수도 있다.
상기 제2살대들(12a-12d)(13a-13d)는 상기 제1살대들(11a-11d)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1살대들(11a-11d)의 내측 상하부에 그 제1살대들(11a-11d)와 대향 배치됨에 의해, 상기 제2살대들(12a-12d)(13a-13d)의 어느 일단들은 상기 제1살대들(11a-11d)의 내부 중앙의 상하부에 배치된 링형상의 지지구들(20a,20b)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절곡 가능하게 힌지(18.19)되고, 타단은 상기 제1살대들(11a-11d)의 각 관절부들(15a-15d)외측의 인접된 위치에 각각 절곡 가능하게 힌지(16a-16d)(17a-17d)되어 상기 제1살대들(11a-11d)과 연동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살대들(12a-12d)(13a-13d)는 상기 제1살대들(11a-11d)에 대하여 어느 일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골조(10)의 내부에는 그 골조(10)보다는 큰 길이를 이루어 어느 일단은 상부 측에 위치되는 지지구(20a)에 일체로 결속된 반면, 타단은 하부측의 지지구 (20b)를 헐겁게 통하여 연장된 지지용 끈(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용 끈(30)은 상기 골조(10)을, 촛불(70)(도 4참조)설치를 위한 공간 형성을 위해 확개하거나 혹은 확개된 상태로 유지하여 현가되게 고정 지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지지용 끈(30)의 길이는 임의로 변형 가능하며, 또한 소정의 강도를 갖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용 끈(30)에는 상기 지지구들(20a,20b)에 대하여 상기 골조(10)을 확개함에 필요한 힘을 부여하기 위한 가압관체(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관체(40)은 상기 지지용 끈(30)보다는 큰 직경의 내부가 빈 중공구조이며, 상기 상하부 지지구들(20a,20b)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용 끈(30)에 접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가압관체(40)은 상기 지지용 끈(30)을 상기 지지구들(20a,20b)에 설치하기 전에 위치됨에 의해, 상기 지지용 끈(30)을 상기 가압관체(40)의 내부로 삽입할 수 가 있다.
상기 골조(10)의 전 주위로는 촛불(70)으로부터 발생되는 불 빛의 투과성이 좋은 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50)이 설치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어느 하나의 지지구(20a)에는 상기 촛불(40)을 고정하기 위한 촛불고정구(6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50)에는 도면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장식물을 설치하여 외관을 더 미려하게 할수가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연등 골조(10)은 평상시에는 도 3과 같이 접힘 상태를 이루어 보관되는데, 상기 골조(10)의 접힘은 그 골조(10)의 제1살대들(11a,11b)에 설치된 관절들(15a,15b)와 그리고 제1살대들(11a,11b)와 제2살대들(12a,12b)(13a,13b)를 연결하는 힌지들(18,19)에 의해서 쉽게 실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느 한손은 지지용 끈(30)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상기 골조(10)의 지지구(20b)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용 끈(30)을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 상기 지지구(20b)가 이와 대향하는 상태로 고정 위치한 상부 지지구(20a)측으로 상기 지지용 끈(30)을 따라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용 끈(3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던 가압관체(40)을 밀게 된다. 이때 이동되는 상기 가압관체(40)은 상기 고정구(20b)에 당접되어 더 이상의 이동은 억제 되지만, 이때의 압력으로 먼저 상기 골조(10)의 상부측에 위치한 제2살대들(12a,12b)가 힌지들(20a,18)을 지지점으로 하여 확개되면서 제1살대 들(11a ,11b)의 상부를 외부를 향하여 밀게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지지구(20a)에 억제된 상태를 이루는 상기 가압관체(40)로부터 유도되는 저향력은 그 가압관체(40)을 밀던 상기 이동 지지 구(20b)측으로 작용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이때의 힘을 받게되는 상기 지지구(20b)는 그 지지구(20b)와 제1살대들(11a,11b)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는 제2살대들(13a,13b)를 밀게되어 상기 제1살대들(11a,11b)의 하부와 상기 제2살대들(13a,13b)는 관절부(15b)와 힌지들(17a,17b)를 지지점으로 하여 펼쳐지면서 도 1표시와 같이 확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골조(10)이 확개되면 상기 지지용 끈(30)에 매듭부(32)(도 1참조)를 형성 함으로써 상기 골조(10)을 확개된 상태로 유지되게 할수가 있으며,상기 매듭부(32)를 해제 하면 상기 연등은 도 2의표시와 같이 골조(10)의 제1살대들 (11a,11b)에 설치된 관절들(15a,15b)와 그리고 제1살대들(11a,11b)와 제2살대들 (12a,12b)(13a,13b)를 연결하는 힌지들(18,19)에 의해서 절곡되면서 쉽게 접힘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에서는 연등의 펼침 작업을 이해를 돕기 위해 단계적으로 설명 하였으나, 실제는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등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확개된 연등(100)은 지지용 끈(30)을 이용하여 소정 위치에 현가하게 되는데, 상기 연등(100)은 소정위치에 현가하기에 앞서 연등 내부에 구비된 촛불 고정구(60)에는 촛불(70)을 고정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연등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부호로서 표시 하였다.
본 실시예의 연등(100a)는 골조(10)에 제3살대들(113a,113b)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상기 제3살대들(113a,113b)는 하부 지지구(20b)와의 인접 위치에서 지지용 끈(30)에 접동 가능하게 삽입된 링형상의 지지구(120)과 그리고 하부 제2살대들(13a,13b)에 절곡 가능하게 힌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상기 제3살대들(113a,113b)는 골조(10)을 더 보강하는 강도를 갖게 할뿐이고, 그밖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한다.
도 6은 도 4 연등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4에서와는 달리 가압관체(40)의 하단에 보조지지구(20a´)를 하나 더 설치하고, 이 보조지지구(20a´)와 제 2살대(12a, 12b) 사이에 보조살대(14a, 14b)를 설치하여, 지지구(20a)의 이동에 따라 제 2살대(12a, 12b)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가압관체(40´)를 더 설치하여 줄(30)과 지지구(20b)를 잡고 줄(30)을 당기면 지지구(20b)가 보조관체(40´)를 눌러주고, 보조관체(40´)는 반대편의 지지구(20a)를 눌러주어 연등이 펼쳐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연등(100)이 펼쳐진 상태에서 촛불고정구(60)에 초를 설치하여 초에 불을 붙이고 줄(30)을 이용해 필요한 곳에 매달아 두면 된다. 그 밖의 구성과 작용효과는 앞의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골조를 형성하는 제2살대 및 제3살대들을 제1살대들에 대하여 어느 일방향으로만 경사지는 형태로 배치되게 연결 한 것에 의해, 연등의 접고 펼침을 쉽게 할 수 있게한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게 하고, 또한 보관성 및 강도를 향상되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촛불의 주위로 투과성이 양호한 커버를 위요하여 된 연등에 있어서,
    상기 커버로서 전 둘레가 위요되며, 적어도 2개소 이상에 회절되는 관절부를 갖음과 아울러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입설된 제1살대들과, 상기 제1살대들의 내부 중앙 상하부에 대향 배치되고 어느 하나에는 상기 촛불 고정구가 설치된 링형상 지지구들과, 상기 제1살대들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1살대들의 내측 상하부에 그 제1살대들과 대향 배치되어 어느 일단들은 상기 제1지지구의 둘레를 따라서 각각 힌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1살대들의 각 관절부들의 외측 위치에 각각 힌지되어 상기 제1살대들과 연동되게 한 제2살대들로 이루어 진 골조;
    적어도 상기 골조보다는 큰 길이를 이루어 어느 일단은 상부 측에 위치되는 지지구에 일체로 결속된 반면, 타단은 하부측의 지지구를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골조를 촛불 설치를 위한 공간 형성을 위해 확개된 상태로 유지하여 현가되게 고정 지지하는 연질재의 지지용 끈; 및
    상기 상하부 지지구 사이에서 상기 지지용 끈에 접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지지구들에 대해 상기 골조를 확장하기 위한 압력을 부여하는 가압관체를 포함하는 행사용 연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에는 상기 지지용 끈에 접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제2살대에는 힌지된 제3살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연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장식물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연등장치.
KR2020000003958U 2000-02-15 2000-02-15 연등장치 KR200196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958U KR200196145Y1 (ko) 2000-02-15 2000-02-15 연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958U KR200196145Y1 (ko) 2000-02-15 2000-02-15 연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145Y1 true KR200196145Y1 (ko) 2000-09-15

Family

ID=1964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958U KR200196145Y1 (ko) 2000-02-15 2000-02-15 연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1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292B1 (ko) 2009-09-10 2011-06-28 김용기 연등
CN113508979A (zh) * 2021-06-15 2021-10-19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一种易清洁的卷发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292B1 (ko) 2009-09-10 2011-06-28 김용기 연등
CN113508979A (zh) * 2021-06-15 2021-10-19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一种易清洁的卷发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8249A (en) Hanging device for drying clothes
KR200196145Y1 (ko) 연등장치
JP2009257080A (ja) テント
KR200455298Y1 (ko) 연등
ATE264958T1 (de) Träger für eine gitterstruktur einer abgehängten decke
JP2006521850A (ja) 広げたり畳んだりできるパラソル構造、及び/又は、固定設置パラソル構造
KR100998254B1 (ko) 연꽃 연등
SK500592018U1 (sk) Oblúkový vysokotlakový nafukovací nosník
KR200332013Y1 (ko) 연등
KR200316772Y1 (ko) 연등
KR100475596B1 (ko) 연등
JP4358260B2 (ja) テント
KR20050012683A (ko) 연등
KR100334579B1 (ko) 연등장치
KR20010081419A (ko) 절첩식 연등
CN101275723A (zh) 照明装置
KR101026226B1 (ko) 절첩식 연등
JPH07140914A (ja) 内照式立体看板
KR200296319Y1 (ko) 연등
KR890002591Y1 (ko) 휴대절첩식 간이 차고
KR200337532Y1 (ko) 현수막 거치대
KR100337671B1 (ko) 국기 조기 게양 깃대
US1926052A (en) Lighting fixture
KR20220169196A (ko) 빗물받이 커버를 갖춘 우산
KR100975121B1 (ko) 접이식 연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