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871A -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 Google Patents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871A
KR20140046871A KR1020120113056A KR20120113056A KR20140046871A KR 20140046871 A KR20140046871 A KR 20140046871A KR 1020120113056 A KR1020120113056 A KR 1020120113056A KR 20120113056 A KR20120113056 A KR 20120113056A KR 20140046871 A KR20140046871 A KR 20140046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urethane foam
resin
rigid polyurethane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339B1 (ko
Inventor
김경현
Original Assignee
김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현 filed Critical 김경현
Priority to KR1020120113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33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6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5Water, e.g. hydrated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전자제품용, 패널용 또는 선박용 등의 단열재로 이용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폴리올, 촉매, 정포가교제, 물성보조제 및 발포제인 물로 이루어진 레진혼합물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혼합하여 발포되고, 일정의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태에서 스프레이 형태로 이용가능한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FC (염화불화탄소), HCFC (수소화염화플루오르화탄소) 또는 HFC (수소화불화탄소)를 발포제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오존층 파괴 및 지구온난화를 예방할 수 있으며, 낮은 열전도율, 갈라짐 현상 발생 또는 미약한 접착성 등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VOCs (휘발성유기화합물)인 C-Pentane, N-Pentane 와 같은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폭발방지를 위한 방폭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제조설비의 추가비용 부담이 없어 생산원가의 절약도 실현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Rigid polyurethane foams for spray}
본 발명은 건축용, 전자제품용, 패널용 또는 선박용 등의 단열재로 이용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폴리올, 촉매, 정포가교제, 물성보조제 및 발포제인 물로 이루어진 레진혼합물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혼합하여 발포되고, 일정의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태에서 스프레이 형태로 이용가능한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경질 폴리우레탄폼은 단열 성능, 치수 안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냉장고, 냉동 창고, 건축 재료 등의 단열재로서, 또한 스프레이 용도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발포제로서 낮은 열전도율과 바람직한 비점을 가지는 클로로플로로카본류(CFC계)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클로로플루오로카본류는, 분자 중에 염소 원자를 포함하고, 또한 매우 안정적인 분자이므로 확산 효과에 의해 오존층까지 도달하고, 오존과 반응하여 지구의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이라는 설이 대두되어, 이미 1995년 말에, CFC류의 사용은 전면적으로 폐지되어 있다. 현재,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발포제로서는, 그 대체물인 하이드로클로로플로로카본류(HCFC계), 하이드로플로로카본류(HFC계) 또는 사이클로펜탄(C-Pentane)이 사용되고, 특히 단열 성능이 요구되는 것에 대해서는, HCFC류 중에서도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HCFC-141b의 사용이 주류가 되고 있으나, 상기 물질들은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 파괴의 문제를 야기하는 문제가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129429호는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분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수 평균 분자량이 400 내지 3000인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 (c) 산성기 함유 폴리올 화합물 및 (d) 80 내지 180 에서 해리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블록화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A)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반응성을 갖는 (B) 쇄연장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수계 매체 중에 분산되어 있으며, 우레탄 결합의 함유 비율과 우레아 결합의 함유 비율의 합계가 고형분 기준으로 7 내지 18 중량이고, 카르보네이트 결합의 함유 비율이 고형분 기준으로 15 내지 40 중량이고, 상기 블록화제가 결합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함유 비율이 고형분 기준 및 이소시아네이트기 환산으로 0.2 내지 3 중량인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분산체를 제공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인데, 도포 후 제막 속도가 제어되고, 얻어지는 도막의 물에의 재분산이 용이한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분산체가 제공되고,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분산체를 기재에 도포한 후에 수정 도포나 여분의 도막 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나, 조성물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써,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높은 열전도율, 갈라짐 현상 방지, 접착성 등과 같은 제품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발포제로 클로로플로로카본류(CFC계), 하이드로클로로플로로카본류(HCFC계), 하이드로플로로카본류(HFC계) 또는 사이클로펜탄(C-Pentane)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었으나, 상기 조성물은 지구의 오존층 파괴 또는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 파괴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수발포 폴리우레탄 발포체(특히, 경질 수발포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비하여 환경 파괴의 문제는 없으나, 제조완료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열전도율 확보, 갈라짐 현상 방지 또는 접착성 확보 등의 기능성이 떨어지는 어려움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폴리올 50~85중량%와, 촉매 0.5~13중량%와, 정포가교제 0.5~15중량부와, 물성보조제 5~30중량% 및 발포제인 물 0.3~7중량%로 이루어진 레진혼합물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00~120중량부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CFC (염화불화탄소), HCFC (수소화염화플루오르화탄소) 또는 HFC (수소화불화탄소)를 발포제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오존층 파괴 및 지구온난화를 예방할 수 있으며, 낮은 열전도율, 갈라짐 현상 발생 또는 미약한 접착성 등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VOCs (휘발성유기화합물)인 C-Pentane, N-Pentane 와 같은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폭발방지를 위한 방폭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제조설비의 추가비용 부담이 없어 생산원가의 절약도 실현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축용, 전자제품용, 패널용 또는 선박용 등의 단열재로 이용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올 50~85중량%와, 촉매 0.5~13중량%와, 정포가교제 0.5~15중량부와, 물성보조제 5~30중량% 및 발포제인 물 0.3~7중량%로 이루어진 레진혼합물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00~120중량부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레진혼합물 수지는 폴리올, 촉매, 정포가교제, 물성보조제 및 발포제인 물로 구성된 레진프리믹스(resin premix)로서, 상기 폴리올(폴리히드록시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관능기와 수산기를 갖는 것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2~6개의 평균 관능기와 20~1000KOH/g의 평균 수산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관능기는 폴리올의 화학적 특성의 원인이 되는 공통된 원자단으로서, 평균 관능기의 개수가 2~6개로 적은 것을 이용하여 관능기 사이의 쇄장(사슬의 길이)을 짧게 함으로써,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가교밀도가 커질 수 있도록 하여, 제조완료된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경질의 성질을 갖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산기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Isocyanate group, -N-C=O)와 부가 중합반응((Addition Polymerization Reaction)하는 구성으로서, 평균 수산기가 20~1000KOH/g를 갖는 것을 이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와의 가교밀도가 커지도록 하여 제조완료된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경질의 성질을 갖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폴리올은 일반적인 것을 이용가능하나, 상기와 같이 2~6의 평균 관능기와 20~1000KOH/g의 평균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터 폴리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폴리올은 레진혼합물 수지 내에 50~85중량%의 조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폴리올이 50중량%미만이면, 하기의 이소시아네이트 수지에 대한 폴리올의 조성이 미미하여 부가 중합반응 완료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가 잔존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85중량%를 초과하면, 레진혼합물 수지에 포함되는 기타 조성물인 촉매, 정포가교제, 물성보조제 및 발포제인 물의 조성이 미미해져 레진프리믹스(resin premix)의 상태인 레진혼합물 수지의 각 조성물이 원활하게 선행반응되는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레진혼합물 수지에 포함되는 촉매는 촉매 자신은 부가 중합반응에 참여하지 않으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간의 반응속도를 촉진시키거나 지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아민계 촉매, 포타슘 촉매 또는 Tin계 촉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민계 촉매는 디 메틸에탄올 아민(dimethyletanol mine, DMEA), 디미텔시클로헥신아민(dimethylcyclohexyl amine, DMCHA), 펜타메틸렌디에틸렌트리아민(pentametylenediethylene triamine, PMDETA) 또는 테트라메틸렌-헥실디아민(tertamethylene-hexyldiamine, TMHD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가능하고, 아민계 촉매 또는 포타슘 촉매보다 더 빠른 반응속도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Tin계 촉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아민계 촉매, 포타슘 촉매 또는 Tin계 촉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이용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촉매는 레진혼합물 수지 내에 0.5~13중량%의 조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촉매가 0.5중량%미만이면, 조성비가 미미하여 레진혼합물 수지에 포함된 폴리올과 하기의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간의 반응속도가 지나치게 늦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13중량%를 초과하면, 촉매의 조성비가 과도하여 폴리올과 하기의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간의 반응속도가 더 이상 빨라지지 않아 과량 첨가되는 촉매에 의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정포가교제는 제조완료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셀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조성물로서, 정포제는 발포체 내에 셀이 형성될 때, 셀이 서로 합해지거나 생성된 셀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조성물 간의 혼합성, 셀의 안정성 및 균일화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가교제는 부가 중합반응되는 폴리올의 수산기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간의 결합을 크로스 링크시켜 고분자사슬을 가지달린 사슬로 만들거나 망사구조의 셀을 만들기 위한 조성물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정포가교제는 폴리에테르폴리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기타 폴리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정포가교제가 레진혼합물 수지 내에 0.5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정포가교제의 조성이 미미하여 정포가교제에 의한 효과를 원활하게 실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15중량부를 초과하면, 정포가교제의 조성이 과도하여 제조완료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지나치게 경화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0.5~15중량%의 조성비로 레진혼합물 수지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물성보조제는 본 발명에 의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난연제, 강도보강제 또는 정전기 방지제 등과 같은 보조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난연성을 갖아야 하는 발포체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난연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레진혼합물 수지 내에 물성보조제가 5중량% 미만으로 구성되면 난연성, 강도보강성 또는 정전기 방지성 등과 같은 물성 향샹의 효과가 미미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30중량%를 초과하면, 레진혼합물 수지의 전체 조성에 있어서 물성보조제의 조성이 과도하여, 폴리올의 상대적인 조성비율이 부족해지고, 그로 인하여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간의 원활한 반응을 유도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므로 5~30중량% 범위 내로 레진혼합물 수지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물성보조제가 난연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또는 할로윈계 난연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하여, 발포체의 난연성을 실현함과 동시에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간의 폴리우레탄 결합반응 시에, 사이드 반응이 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발포제인 물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간의 고분자 반응 중에 기포를 생성시켜 주는 조성물로서,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제조완료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셀이 일정의 밀도를 갖으며 커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레진혼합물 수지에 대한 물의 조성이 0.3중량% 미만이면,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이 미미하여 제조완료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밀도가 지나치게 낮아져(25kg/ 미만)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지나치게 경질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이 지나치게 많아 제조완료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밀도가 높아져(50kg/ 초과)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지나치게 연질화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오존층 파괴 또는 지구온난화를 야기하는 CFC (염화불화탄소), HCFC (수소화염화플루오르화탄소) 또는 HFC (수소화불화탄소)를 발포제로 사용하지 않고 물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 위험인자를 갖는 발포제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고, VOCs (휘발성유기화합물) 인 C-Pentane, N-Pentane 와 같은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폭발방지를 위한 방폭 설비가 필요하지 않아 설비의 추가비용 부담이 없어 생산원가의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상기 레진혼합물 수지의 폴리올과 반응하여, 우레탄결합(Urethane bond)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폴리올의 활성 수산기(-OH)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의 이소시아네이트기(Isocyanate group, -N-C=O)가 부가 중합반응((Addition Polymerization Reaction)한다.
이때,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일반적인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이용가능하나, 디 메틸디 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MDI유도체 또는; 상기 MDI유도체의 이량체 또는 삼량체 이상으로 구성된 crude MDI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발포제인 물과의 반응하여 원활한 이산화탄소 생성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레진혼합물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간의 조성비는 레진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120중량부로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의 조성이 100중량부 미만이면, 레진혼합물의 폴리올에 대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조성이 미미하여 미반응되는 폴리올이 제조완료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고, 120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와 반대로 제조완료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미반응된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레진혼합물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서로 혼합되기 이전의 각 수지 온도가 20~60의 상태로 상호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각 수지 온도가 20 미만이면, 발포제인 물과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킴으로써 생성되는 발포체 셀의 모양과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져 제조완료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60를 초과하면, 상기와 반대로 발생된 이산화탄소가 높은 온도에 의하여 급격하게 발포체 외부로 빠져나가 제조완료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밀도가 지나치게 낮아짐과 동시에 발포체 셀의 모양이 일정하지 못하게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의 온도에서 레진혼합물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가 상호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밀도 25~50kg/, 열전도율 0.023 W/mK (0.0172kcal/mhr)이하, 독립기포율 80%이상의 특성을 갖아, 상기 범위의 밀도와 연관된 일정의 경질성을 갖고, 열전도율 및 독립기포율을 갖아 일정의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성물을 나타내는 표이고, 표 2는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KS M 3809(열전도율), KS M 1998-2(폼알데하이드 방출량) 및 기타 물성시험을 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중량(g) 중량(g) 중량(g) 중량(g)
폴리올 A 100 70 65 65
폴리올 B - 30 25 25
폴리올 C - - 10 -
폴리올 D - - - 10
촉매 4 4 4 4
정포가교제 4 4 4 4
물성보조제 16 16 16 16
4 4 4 4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00 100 100 100
혼합온도() 25 25 25 25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밀도 40/ 43/ 45/ 43/
전도율 0.022/mhr 0.019/mhr 0.017/mhr 0.017/mhr
독립기포율 82% 83% 85% 87%
T-VOC 0.034/h - - -
HCHO 0.005/h - - -
VOCs함유량 0.5g/l
Creem time 4초 4초 3초 3초
Tack free time 16초 15초 15초 15초
Rising time 13초 12초 12초 11초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열전도율이 KS M 3809에서 규정하는 0.023W/mK 이하의 우수한 단열성을 갖음을 알 수 있고, T-VOC, HCHO 및 VOCs함유량 낮아 환경 및 인체에 무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폴리올 50~85중량%와, 촉매 0.5~13중량%와, 정포가교제 0.5~15중량부와, 물성보조제 5~30중량% 및 발포제인 물 0.3~7중량%로 이루어진 레진혼합물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00~120중량부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터 폴리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고,
    2~6의 평균 관능기와 20~1000KOH/g의 평균 수산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아민계 촉매, 포타슘 촉매 또는 Tin계 촉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보조제는,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또는 할로윈계 난연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디 메틸디 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된 MDI유도체 또는;
    상기 MDI유도체의 이량체 또는 삼량체 이상으로 구성된 crude MDI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혼합물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15~60의 온도로 상호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KR1020120113056A 2012-10-11 2012-10-11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KR10144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056A KR101446339B1 (ko) 2012-10-11 2012-10-11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056A KR101446339B1 (ko) 2012-10-11 2012-10-11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871A true KR20140046871A (ko) 2014-04-21
KR101446339B1 KR101446339B1 (ko) 2014-10-07

Family

ID=5065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056A KR101446339B1 (ko) 2012-10-11 2012-10-11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845A (ko) * 2014-11-24 2016-06-01 서진호 난연 수성연질우레탄폼 및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859A (ja) 2001-03-29 2002-10-09 Mitsui Chemicals Inc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35665A (ja) 2002-07-01 2004-02-05 Mitsui Takeda Chemicals Inc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514780B1 (en) * 2009-12-18 2015-02-11 Asahi Glass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tion of rigid open-cell foam
KR20120074560A (ko) * 2010-12-28 2012-07-06 김경현 수발포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845A (ko) * 2014-11-24 2016-06-01 서진호 난연 수성연질우레탄폼 및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339B1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6180B2 (en) Catalysts for polyurethane foam polyol premixes containing halogenated olefin blowing agents
US10941237B2 (en) Storage stable foamable compositions containing 1,1,1,4,4,4-hexafluoro-2-butene
US9695267B2 (en) Foams and foamable compositions containing halogenated olefin blowing agents
JP2017197768A (ja) 発泡体、およびhcfoまたはhfo発泡剤を含む発泡体から作られる物品
AU2012286730B2 (en) Foams and flame resistant articles made from foams containing 1-chloro-3,3,3-trifluoropropene (1233zd)
JP2008506815A (ja) 水発泡ポリウレタンスプレーフォーム系
EP3470446A1 (en) Rigid polyurethane foam system and application thereof
JP6470610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及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US20140171525A1 (en) Polyurethane foam premixes containing halogenated olefin blowing agents and foams made from same
KR20100100951A (ko)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제조 방법
BR0115467B1 (pt) processo para produzir uma espuma de poliuretano rÍgida de baixa densidade, espuma de poliuretano rÍgida e painel isolante tÉrmico.
US8920714B2 (en) Corrosion inhibiting self-expanding foam
JP2023105071A (ja) ポリオール薬液組成物
JP2019014840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KR101446339B1 (ko)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KR20120074560A (ko) 수발포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JP2020139007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
US20170158834A1 (en) Foams and articles made from foams containing hcfo or hfo blowing agents
JP6917811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1769206B1 (ko)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올레핀류의 공비 조성물 또는 유사 공비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포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올 프리믹스 조성물
CN100372884C (zh) 氢氟碳化合物组合物
KR20230030293A (ko) 스프레이용 이액형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KR20120101264A (ko) 초고단열성 수발포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