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832A -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 Google Patents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832A
KR20140046832A KR1020120112996A KR20120112996A KR20140046832A KR 20140046832 A KR20140046832 A KR 20140046832A KR 1020120112996 A KR1020120112996 A KR 1020120112996A KR 20120112996 A KR20120112996 A KR 20120112996A KR 20140046832 A KR20140046832 A KR 20140046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bar
windows
insulation strip
doors
heat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학보
Original Assignee
(주) 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콘즈 filed Critical (주) 콘즈
Priority to KR1020120112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832A/ko
Publication of KR20140046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 E06B1/30Frames of plastic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06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2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8Protection against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55Extru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실내 프레임과 실외 프레임을 연결함과 아울러 단열,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단열 스트립바의 압출 성형시 폴리아미드 등의 경질 합성수지로 압출함과 동시에 단열 스트립바의 단부 일측에 열가소성플라스틱탄성체 (Thermoplastic elastomer TPE) 등의 연질 합성수지를 이중 압출함으로써 내측프레임 및 외측프레임의 요입부에 삽입되고 압착되어 고정되었을 시 이들 사이에 일체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연질 합성수지에 의하여 실내프레임 및 실외프레임의 요입부에 물려지는 단열 스트립바 양단의 경질 합성수지 양단에 가하여 지는 응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열성, 수밀성, 방음성, 기밀성, 내풍압성에서 탁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압착 후 균열 등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Heat Insulation Strip Bar for Window Frame having Improvement Airtight Performance}
본 발명은 창호의 실내 프레임과 실외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단열,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실내프레임과 실외프레임으로 구성된 이중창을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여 커튼월이나 창호프레임 자재로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알루미늄 이중창은 경량성, 강도, 내식성, 색표현성 등이 우수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기는 하나, 소재 자체의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한 결로 발생과 열손실의 우려가 매우 높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프레임과 실외프레임을 분리하고, 실내프레임과 실외프레임 사이에 단열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나 폴리 우레탄등의 합성수지로 된 단열 스트립바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단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단열 스트립바는 크게 두가지 형태로 구분 할 수 있는데 그 하나는 경질 단열 스트립바를 알루미늄 프레임의 요입부에 삽입하고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이하 '단열 스트립바 공법'이라 함)이며, 다른 하나는 액체상태의 합성수지를 알루미늄바의 요입부에 충전하고 경화시킨 후 일부를 절단하여 단열 스트립바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이하 '아존 단열 공법'이라 함)이다.
이러한 단열 스트립바 공법에 의한 예를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31579(발명의 명칭: 복합개폐식 창호용 창틀구조;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함)의 예에서 살펴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인용발명1에서는 종래의 기술로 도1에서와 같이 단열 스트립바가 실내프레임과 실외프레임의 요입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단열 스트립바는 그 재질 자체로서 단열성능을 갖는 것이므로 알루미늄만으로 된 창호에 비하여 단열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실내 프레임 및 실외 프레임의 요입부의 압착(Rolling) 공정 실시 후 물림 공간에 미세한 틈이 발생됨을 피할 수 없는 것이어서, 미세한 틈으로 인하여 단열성, 수밀성, 방음성, 기밀성, 내풍압성에서 문제를 발생시키며, 열이 전도되거나 수분의 침투가 이루어짐을 방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인용발명1은 도2로 보인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된 단열 스트립바(65a,65b)에 세로바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두 단열 스트립바 사이의 내부공간(s)을 통해 전도되는 열을 차단하는 셔터역할을 하게 되므로 보다 큰 단열효과를 얻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용발명1은 도2로 보인 중간에 세로바를 추가로 설치하여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도모하고 있기는 하나 도1, 도2로 보인 두가지 경우에 모두 물림 상태 불량이나 과도한 응력이 단열 스트립바의 양단 일부에 집중적으로 가하여져 균열등 손상이 발생하는 공통적인 문제를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아존단열공법의 예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616537(발명의 명칭: 고정창문을 이용한 이중단열창 및 그 설치방법; 이하 '인용발명2'라 함)에 의하여 살펴볼 수 있으며, 이를 도3으로 보였다. 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인용발명2는 액체상태의 고강도 합성수지를 프레임의 알루미늄바에 형성된 하방이 밀폐된 요입부에 충전하여 경화시킨 후 요입부 하방을 전용 절단공구에 의하여 절단하여서 되는 것으로, 이는 프레임의 요홈부에 합성수지가 채워지는 방식이므로 빈틈이 존재하지 않고 압착시키는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인용발명1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는 하나, 프레임의 요홈부에 액상의 합성수지를 부어 주는 공정과 부어진 액상의 합성수지가 경화되도록 대기하는 대기공정이 추가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액상의 합성수지가 경화된 후에는 수평도, 진직도를 포함한 품질 산포를 교정하기 위한 일체의 작업이 전혀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31579(발명의 명칭: 복합개폐식 창호용 창틀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616537(발명의 명칭: 고정창문을 이용한 이중단열창 및 그 설치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프레임 및 실외프레임의 요입부와 단열 스트립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실내프레임 및 실외프레임의 요입부에 물려지는 단열 스트립바 양단에 가하여 지는 응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열 스트립바의 압출 성형시 폴리아미드 등의 경질 합성수지로 압출함과 동시에 단열 스트립바의 단부 일측에 열가소성플라스틱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등의 연질 합성수지를 이중 압출함으로써 내측프레임 및 외측프레임의 요입부에 삽입되고 압착되어 고정되었을 시 이들 사이에 일체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연질 합성수지에 의하여 실내프레임 및 실외프레임의 요입부에 물려지는 단열 스트립바 양단의 경질 합성수지 양단에 가하여 지는 응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한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연질 합성수지층에 의하여 경질 합성수지로 된 단열 스트립바의 양단과 내측프레임 및 외측프레임의 요입부가 틈이 없이 완전 밀착되도록 압착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단열성, 수밀성, 방음성, 기밀성, 내풍압성에서 탁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압착 후 내측프레임 및 외측프레임에 의하여 단열 스트립바 양단에 기하여 지는 조임 응력이 고르게 분산되므로 균열 등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2는 종래의 복합개폐식 창호용 창틀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3은 종래의 고정창문을 이용한 이중단열창 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단열스트립바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단열스트립바를 시공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6은 도5의 부분 확대도로 시공과정에서 압착 전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7은 도5의 부분 확대도로 시공과정에서 압착 후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창호용 단열스트립바를 보인 사시도.
도9는 시공과정에서 압착 전의 상태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10은 시공과정에서 압착 후의 상태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11,1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압착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3,14는 본 발명에 의한 돌기를 적용한 실시예의 확대 종단면도.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열 스트립바(200)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한 외관을 도4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프레임(100) 및 외측프레임(101)의 요입부(102)에 결합되는 단부(201)가 양측에 배치되고 단부(201)를 연결하는 연결부(202)로 된 공지의 단열 스트립바(200)에 있어서,
단열 스트립바(200)의 단부(201)를 상기 요입부(102)에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변형되어 요입부(102) 둘레면에 밀착가능한 두께로 연질층(300)이 형성되며, 상기 연질층(300)은 단열 스트립바(200)의 압출과 동시에 압출을 실시하는 이중압출 방법으로 성형된 이중 압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단열 스트립바(200)를 압출 성형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질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PA(Polyamide), PP(Polypropylene), ASA (Acrylic Styrene Acrylonitril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P-LFT(Polypropylene-Long Fiber Thermoplastics), PA-LFT(Polyamide -Long Fiber Thermoplastics)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연질 합성수지로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V(Thermoplastic Vulcanizate), TPO(Thermo plastic olefin), TPU(Temperature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도4로 보인 바와 같이 단열 스트립바(200)의 일면을 모두 덮는 형태의 연질층(300)을 형성할 수도 있고, 이러한 상태의 종단면을 도5로 보였다.
또한, 본 발명은 도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요입부(102)에 양측 단부(201)를 넣고 요입부(102) 둘레를 압착시켜 줌으로써 도7과 같이 밀착된 상태로 완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정에서 내측프레임(100) 및 외측프레임(101)의 요입부(102)에 단열 스트립바(200)가 고정됨과 아울러 특히 연질층(300)에 내측프레임(100) 및 외측프레임(101)의 요입부(102) 둘레면이 압접되므로 연질층(300)이 요입부(102) 둘레면을 따라서 변형되면서 밀착되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와 같이 요입부(102) 둘레면이 압접되는 연질층(300)에 의하여 경질 합성수지인 양측 단부(201)에 가하여 지는 응력이 분산되므로 응력 집중에 의하여 단부(201) 조직이 손상되지 않게 되어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질층(300)의 적용 범위를 축소시켜 실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8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연질층(300)이 단열 스트립바(200)의 양 단부(201) 상측의 한정된 부분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9로 보인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과 외측프레임(101)의 요입부(102)에 양 단부(201)를 넣고 도10으로 보인 바와 같이 요입부(102) 둘레를 압착시켜 줌으로써 밀착된 상태로 완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정에서도 상기한 도7의 경우와 동일하게 연질층(300)이 요입부(102) 둘레면을 따라서 변형되면서 밀착되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고, 연질층(300)에 의하여 경질 합성수지인 양측 단부(201)에 가하여 지는 응력이 분산되므로 응력 집중에 의하여 단부(201) 조직이 손상되지 않게 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11로 보인 바와 같이 요입부(102)에 결합되는 양측 단부(201)의 상하에 연질층(300)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12로 보인 바와 같이 단부(201)의 전체 둘레면에 걸쳐서 연질층(3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내측프레임(100)과 외측프레임(101)의 요입부(102)에 양 단부(201)가 결합되도록 하고 양 단부(201)를 연결하는 연결부(202)가 구비된 경질 합성수지로 된 단열 스트립바(200)에 있어서, 양 단부(201)를 상기 요입부(102)에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변형되어 요입부(102) 둘레면에 밀착가능한 두께로 된 돌기(30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돌기(301)는 단열 스트립바(200)와 함께 이중압출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를 도13 및 도14로 보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도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단부(201)의 상측에만 돌기(301)가 형성된 형태로 될 수도 있고, 도14로 보인 바와 같이 단부(201)의 상측 및 하측에 모두 돌기(301)가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13,도14로 보인 원형 단면 돌기(301) 형태의 돌기(301)로 할 수도 있고, 사각 단면 또는 육각이나 팔각 단면 돌기(301)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단면 돌기(301)로 하는 경우 층상으로 된 형태와는 달리 복수개의 돌기(301)에 의하여 밀폐 성능이 발휘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돌기(301)의 높이는 연질층(300)의 두께보다 더 높게 돌출시켜, 내측프레임(100)과 외측프레임(101)의 요입부(102)에 단부(201)를 넣고 압착시켰을 시 돌기(301)의 탄력으로 인하여 변형되면서 요입부(102) 둘레면과 밀착되어 충분한 밀폐 성능이 얻어지도록 설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에도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요소들을 결합하여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내측프레임
101: 외측프레임
102: 요입부
200: 단열 스트립바
201: 단부
202: 연결부
300: 연질층
301: 돌기

Claims (14)

  1.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의 요입부에 양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고 양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된 경질 합성수지로 된 단열 스트립바에 있어서,
    양 단부를 상기 요입부에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변형되어 요입부 둘레면에 밀착가능한 두께로 된 연질층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은 단열 스트립바의 압출과 동시에 압출을 실시하는 이중압출 방법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은 단열 스트립바의 일면을 모두 덮는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은 단열 스트립바의 양 단부 상측의 한정된 부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에 결합되는 양측 단부의 상하에 연질층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이 단부의 전체 둘레면에 걸쳐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7.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의 요입부에 양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고 양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된 경질 합성수지로 된 단열 스트립바에 있어서,
    양 단부를 상기 요입부에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변형되어 요입부 둘레면에 밀착가능한 두께로 된 돌기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단열 스트립바와 함께 이중압출방식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의 상측에만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의 상측 및 하측에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경질 합성수지는 PA(Polyamide), PP(Polypropylene), ASA (Acrylic Styrene Acrylonitril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P-LFT(Polypropylene-Long Fiber Thermoplastics), PA-LFT(Polyamide -Long Fiber Thermoplastics) 중 어느 하나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은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V(Thermoplastic Vulcanizate), TPO(Thermo plastic olefin), TPU(Temperature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13.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V(Thermoplastic Vulcanizate), TPO(Thermoplastic olefin), TPU(Temperature 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14.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KR1020120112996A 2012-10-11 2012-10-11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KR20140046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996A KR20140046832A (ko) 2012-10-11 2012-10-11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996A KR20140046832A (ko) 2012-10-11 2012-10-11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832A true KR20140046832A (ko) 2014-04-21

Family

ID=5065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996A KR20140046832A (ko) 2012-10-11 2012-10-11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68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7495A (zh) * 2016-12-21 2017-05-10 山东宝泰隔热材料有限公司 一种隔热条用尼龙丝
KR101898222B1 (ko) * 2017-10-24 2018-09-12 김희일 코너 및 문틀을 위한 단열 프레임 조립체
CN115030645A (zh) * 2022-06-24 2022-09-09 佛山市南海易乐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防氧化效果好的塑料隔热条及加工方法
CN115302901A (zh) * 2022-07-04 2022-11-08 佛山市南海易乐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耐腐效果好的塑料隔热条及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7495A (zh) * 2016-12-21 2017-05-10 山东宝泰隔热材料有限公司 一种隔热条用尼龙丝
KR101898222B1 (ko) * 2017-10-24 2018-09-12 김희일 코너 및 문틀을 위한 단열 프레임 조립체
CN115030645A (zh) * 2022-06-24 2022-09-09 佛山市南海易乐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防氧化效果好的塑料隔热条及加工方法
CN115302901A (zh) * 2022-07-04 2022-11-08 佛山市南海易乐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耐腐效果好的塑料隔热条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3694B1 (en) Method of forming a frame assembly
US8857129B2 (en) Frame assembly having a corner key
KR20100126360A (ko) 창문 또는 도어 프레임용 프로파일의 보강 시스템으로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재의 용도
KR101273960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914811B1 (ko) 프리프레그 보강재가 구비된 창호용 프로파일
KR20140046832A (ko)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용 단열 스트립바
KR101507484B1 (ko) 분리가 용이한 고 기밀성 단열 창호 및 이의 제조방법
CA3069428C (en) Combination pressure plate
WO2017191048A1 (en) Sash for a sliding window or a sliding door and method for providing an untreated metal surface in such a sash
KR20170049063A (ko) 복합 소재 창호
CN104612538B (zh) 内外金属型材与中部整体隔热型材组合复合门窗型材
KR102177263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10392B1 (ko)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구성된복합창호
KR101763632B1 (ko) 스텐레스 단열 프레임
CN104832053B (zh) 凹槽隔热型材与凸起金属型材组合隔热型材
KR101382303B1 (ko) 단열 패널
KR20150020656A (ko) 도어용 프레임 결합장치
KR101896749B1 (ko) 복합 소재 창호 제조방법
CA2950781C (en) Curtain wall mullions, transoms and systems
KR101073060B1 (ko) 프레임 기능을 갖는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KR101760268B1 (ko) 다용도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070037732A (ko) 다중배열식 일체형의 단열 방음 복합창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1141B1 (ko) 창호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2189261B1 (ko) 수직 단열라인이 일치되는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KR20150052758A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