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595A -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 - Google Patents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595A
KR20140046595A KR1020120111313A KR20120111313A KR20140046595A KR 20140046595 A KR20140046595 A KR 20140046595A KR 1020120111313 A KR1020120111313 A KR 1020120111313A KR 20120111313 A KR20120111313 A KR 20120111313A KR 20140046595 A KR20140046595 A KR 20140046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hole
ship
partition
bulkhead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암
신성광
이규호
문성한
이정호
문정우
염수복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1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595A/ko
Publication of KR2014004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선박의 내부 공간을 각각의 선실로 구분시키고 플로어와 가더로 구성된 격벽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플로어와 가더가 상호 교차하여 접하는 지점에 교차 엑세스 홀을 형성하여 격벽에 형성되는 엑세스 홀의 수를 최소화하는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선박의 내부 공간을 각각의 선실로 구분시키고, 플로어와 가더로 구성된 격벽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플로어와 가더가 상호 교차하여 접하는 지점에 교차 엑세스 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교차 엑세스 홀을 통해 승무원이 격벽을 통과하여 인접 선실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Cross access hole of bulkhead intersection of the ship}
본 발명은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선박의 내부 공간을 각각의 선실로 구분시키고 플로어와 가더로 구성된 격벽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플로어와 가더가 상호 교차하여 접하는 지점에 교차 엑세스 홀을 형성하여 격벽에 형성되는 엑세스 홀의 수를 최소화하는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내부 공간에 칸막이 구조의 격벽(bulkhead)이 형성되며, 격벽을 통해 선박의 내부 공간을 각각의 선실로 구분시킨다. 이를 통해 격벽은 선박의 내부 공간을 선실로 구획(block)화하여 침수발생시에 침수를 최소화하여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고, 선체의 강도를 보강하며, 화재발생시에는 방화벽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화물의 관리 및 하역 작업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격벽에는 선박 내부에서 승무원이 점검, 측정, 유지보수 등을 위해 격벽을 통과하여 선실로 이동하기 위한 출입구로서 엑세스 홀(access hole)이 형성된다. 도 1은 플로어(floor)와 가더(girder)로 구성된 격벽에 엑세스 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선박 설계시에는 각 엑세스 홀이 형성된 격벽마다 좌굴응력(buckling)에 대한 검토와 유한요소해석(FEM)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선박내에 엑세스 홀의 수가 많을수록 설계시수가 증가하게 되며, 엑세스 홀이 형성된 격벽 주변에 보강재의 설치가 요구됨에 따라 제작비용도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설계하여 제작된 격벽이라도 엑세스 홀 주변에 추가적인 보강재의 설치가 요구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특허출원 20-2011-0000346(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명은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에 관한 것으로 선박용 엑세스 가드부는 선박의 엑세스 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 측에 결합되며 상기 엑세스 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가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술은 지지부 및 가드부재를 사용하여 선원이 엑세스 홀에 접근하는 공간을 제한한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각 격벽에 여러개의 엑세스 홀이 형성되어 있어, 선박내의 엑세스 홀의 증가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선박의 내부 공간을 각각의 선실로 구분시키고 플로어와 가더로 구성된 격벽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엑세스 홀의 수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선박의 내부 공간을 각각의 선실로 구분시키고, 플로어와 가더로 구성된 격벽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플로어와 가더가 상호 교차하여 접하는 지점에 교차 엑세스 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교차 엑세스 홀을 통해 승무원이 격벽을 통과하여 인접 선실로 이동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의 내부 공간을 각각의 선실로 구분시키고 플로어와 가더로 구성된 격벽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플로어와 가더가 상호 교차하여 접하는 지점에 교차 엑세스 홀을 형성하여 격벽에 형성되는 엑세스 홀의 수를 최소화하므로, 엑세스 홀이 형성된 격벽마다 요구되는 좌굴응력에 대한 검토와 유한요소해석이 감소됨에 따라 선박의 설계시수가 절약되고, 엑세스 홀이 형성되면 요구되는 격벽의 엑세스 홀에 대한 보강재 설치가 감소되고, 선박 내부를 이동하는 승무원의 동선을 단축시킨다.
도 1은 선박의 격벽에 엑세스 홀이 형성된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선박용 엑세스 홀 가드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교차 엑세스 홀이 형성된 상태도.
도 4a는 종래의 엑세스 홀과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교차 엑세스 홀의 비교도1.
도 4b는 종래의 엑세스 홀과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교차 엑세스 홀의 비교도2.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교차 엑세스 홀이 형성된 상태도이고, 도 4a는 종래의 엑세스 홀과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교차 엑세스 홀의 비교도1이고, 도 4b는 종래의 엑세스 홀과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교차 엑세스 홀의 비교도2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교차 엑세스 홀은 선박의 격벽(10)에 형성되는 엑세스 홀(20)의 수를 최소화한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내부 공간에 플로어(40)와 가더(50)로 구성된 칸막이 구조의 격벽(10)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0)을 통해 선박의 내부 공간을 각각의 선실(30)로 구분시킨다. 또한, 상기 격벽(10)은 엑세스 홀(10)이 형성되며, 선박 내부에서 승무원이 점검, 측정, 유지보수 등을 위해 격벽(10)을 통과하여 선실(30)로 이동하기 위한 출입구로서 사용된다.
하지만, 선박 설계시에는 각 엑세스 홀(20)이 형성된 격벽(10)마다 좌굴응력에 대한 검토와 유한요소해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선박내에 엑세스 홀(20)의 수가 많을수록 설계시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엑세스 홀(20)이 형성된 격벽 주변에 보강재의 설치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설계하여 제작된 격벽(10)이라도 엑세스 홀(20) 주변에 추가적인 보강재의 설치가 요구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격벽(10)에 형성되는 엑세스 홀(10)의 수량은 적으면 적을수록 설계와 제작에 유리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격벽(10)에 형성되는 엑세스 홀(10)의 수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격벽(10)의 플로어(40)와 가더(50)가 상호 교차하여 접하는 지점에만 교차 엑세스 홀(100)을 형성시키며, 이때 형성되는 상기 교차 엑세스 홀(100)의 크기는 승무원이 이동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도 4a와 4b 같이, 상기 교차 엑세스 홀(100)은 격벽(10)의 상호 교차하여 접하는 지점에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격벽(10)을 구성하는 플로어(40)와 가더(50)에는 엑세스 홀(20)이 더 이상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엑세스 홀(20)이 형성된 격벽(10)마다 요구되는 좌굴응력에 대한 검토와 유한요소해석의 수행이 감소됨에 따라 설계시수가 절약되고, 엑세스 홀(20)이 형성되면 요구되는 보강재 설치도 감소하게 되므로, 보강재 설치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차 엑세스 홀(100)을 통해 승무원이 격벽(10)을 통과하여 인접 선실(30)로 이동이 가능해지므로 이동되는 거리도 단축된다.
특히, 격벽(10)의 기능이 선박의 내부 공간을 선실(30)로 구획화하여 침수발생시에 침수를 최소화하여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고, 선체의 강도를 보강하며, 화재발생시에는 방화벽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격벽(10)에 형성되는 엑세스 홀(20)의 수가 적을수록 격벽(10)의 기능에 더욱 부합해지게 된다.
10 : 격벽 20 : 엑세스 홀
30 : 선실 40 : 플로어
50 : 가더 100 : 교차 엑세스 홀

Claims (1)

  1. 선박의 내부 공간을 각각의 선실(30)로 구분시키고, 플로어(40)와 가더(50)로 구성된 격벽(10)에 있어서,
    상기 격벽(10)의 플로어(40)와 가더(50)가 상호 교차하여 접하는 지점에 교차 엑세스 홀(100)을 형성시키고, 상기 교차 엑세스 홀(100)을 통해 승무원이 격벽(10)을 통과하여 인접 선실(30)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


KR1020120111313A 2012-10-08 2012-10-08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 KR20140046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313A KR20140046595A (ko) 2012-10-08 2012-10-08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313A KR20140046595A (ko) 2012-10-08 2012-10-08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595A true KR20140046595A (ko) 2014-04-21

Family

ID=5065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313A KR20140046595A (ko) 2012-10-08 2012-10-08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65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0904A (zh) * 2019-08-29 2019-11-15 广船国际有限公司 船舶横梁与壁板的连接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0904A (zh) * 2019-08-29 2019-11-15 广船国际有限公司 船舶横梁与壁板的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865B1 (ko) 초대형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US8382034B2 (en) System box for accommodating aircraft systems
KR20140046595A (ko) 선박 격벽의 교차 엑세스 홀
KR101347622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거주구역 내 단열 보드의 설치 구조와 그 방법
JP6021750B2 (ja) 船舶の区画構造
FI116971B (fi) Menetelmä ja hyttikansijärjestely suuressa matkustaja-aluksessa
CN112356973A (zh) 垂直槽型舱壁和墩内隔板配合布置结构
KR102353702B1 (ko) 래싱 브릿지
KR20130084446A (ko) 컨테이너선용 래싱브리지
KR20120033827A (ko) 컨테이너선용 댐퍼
JP2011168073A (ja) タンカーのアクセストランク構造
JP2019014426A (ja) 浮体構造物
KR102114349B1 (ko) 화물선
KR20140044126A (ko) 유조선의 화물창 내 횡격벽 지지구조
KR100876095B1 (ko) 항공기용 파일론 테스트 구조물
KR101701488B1 (ko) 블래스트월
KR20160059000A (ko) 방화벽 덕트 관통구의 마감 구조체
Hu et al. Study on Ultimate Strength Analysis and Reinforcement Methods of Side Structure with Openings of Large Cruise Ship Superstructure
JP2020100216A (ja) バラストタンク
KR20180127235A (ko) 선박
KR101701481B1 (ko) 블래스트월
KR20130138535A (ko) 선박의 체인 록커 및 그 시팅 플레이트 형성 방법
KR20180081955A (ko) 액화가스 운반선
KR102243147B1 (ko) 안정적인 거주구역 확보가 가능한 연구조사선 공간배치 방법 및 공간배치 구조
KR20150001708U (ko) 선박의 극지용 쉘터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