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379A -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379A
KR20140046379A KR1020130119593A KR20130119593A KR20140046379A KR 20140046379 A KR20140046379 A KR 20140046379A KR 1020130119593 A KR1020130119593 A KR 1020130119593A KR 20130119593 A KR20130119593 A KR 20130119593A KR 20140046379 A KR20140046379 A KR 20140046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ight
user
phase adjusting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히코 나가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7/14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camera and display on the same optical axis, e.g. optically multiplexing the camera and display for eye to eye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는, 복수의 광 투과성의 표시 화소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방면의 피사체로부터의 피사체 광을 촬상하기 위해서 상기 표시부의 후방면에 배치된 촬상부를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 화소에 대응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사체 광의 광로길이를 조정하는 복수의 광 투과성의 위상조정부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광 투광성의 위상조정부는 투과하는 상기 피사체 광의 광축방향으로 다른 두께를 가지고, 같은 두께의 상기 위상조정부는 소정의 주기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WITH IMAGE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액정, 플라즈마 방식등 비교적 박형의 표시 기기와 촬상기기가 일체로 되는,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전화등의 실시간 쌍방향 통신등에 적합한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망의 현저한 발전에 의해 영상 전화등의 실시간 쌍방향 통신이 가능해졌다. 영상 전화는 피사체상을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촬상부와 전기적인 화상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해서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어 있다. 영상 전화의 사용자는,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 상대의 얼굴을 보면서 상대와 회화를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얼굴은 촬상부로 촬영되어서 전기신호로서 상대측에 보내진다. 그렇지만, 종래의 영상 전화등의 쌍방향 통신에 사용된 기기에서는, 촬상부가 표시부와 이웃한 위치에 설치되거나, 또 다른 별개의 장치로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표시부를 보고 있는 수신자를 경사 방향으로부터 촬영하게 된다. 그 때문에, 표시부에 표시된 수신자의 얼굴의 시선은, 표시부를 보고 있는 사람의 시선과는 다른 위치를 향하고 있다. 그에 따라, 서로 이야기하고 있어도,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를 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어색하고 위화감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촬상장치와 표시장치를 따로따로 제조해서 표시장치로서 조립하거나, 또는 다른 장치들로서 제공하지 않으면 안되어,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010407호에 있어서 다음의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를 개시했다. 해당 표시장치는, 복수의 표시 화소와 그 표시 화소간에 배치된 차광부재를 갖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후방부에 배치된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광부재는 일부에 촬상부에 빛을 이끌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촬상부는 개구부에 대응한 위치에 결상부를 가진다.
상술한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는, 표시부를 보면서 조작자가 촬영을 할 수 있고, 또 표시부에 표시된 상대와 조작자의 시선을 일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표시부 전방면에 상기 박형의 촬상부를 설치하므로, 장치 전체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그렇지만,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 상대의 얼굴의 위치가 표시 화면내에 배치된 촬상부의 위치와 항상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표시부의 표시 화면내에 배치된 촬상부의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표시된 상대의 얼굴을 보는 사용자의 위치도, 상대의 얼굴의 위치에 맞춰서 벗어나는 경우도 있다.
도 6a, 6b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영상 전화등의 표시부를 주시하는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촬상부의 방향과의 어긋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는, 표시부인 표시 패널(108), 촬상부인 카메라(106), 및 사용자(610)가 도시되어 있다. "×" 표시의 위치(611)는, 표시 패널(108)에 표시된 상대의 얼굴을 나타낸다.
도 6a는, 표시 패널(108)에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106)가 내장되어 있는 표시장치를 사용했을 경우의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촬상부의 광축방향간의 어긋남을 나타낸다. 본 도면에서, 카메라(106)의 위치로부터 도면 중 x축의 양의 방향(+x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도면 중 "×" 표시로 나타낸 위치)에 상대의 얼굴(611)이 표시되고, 사용자(610)는 카메라(106)의 광축(z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상대의 얼굴(611)을 주시한다. 이 경우, 카메라(106)가 사용자(610)를 촬영하는 촬영 방향과 사용자(610)의 시선방향과는 각도θ1만큼 벗어나 있다. 이 각도θ1이 크다면, 카메라(106)로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을 본 영상 전화의 상대측의 사람은, 사용자가 상대의 얼굴을 보면서 회화하고 있지 않다고 인식해버린다.
카메라(106)로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을 본 영상 전화의 상대측의 사람이 자신을 보고 있다고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카메라(106)가 사용자(610)를 촬영하는 촬영 방향과 사용자(610)의 시선방향이 이루는 각도θ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카메라(106)가 사용자(610)를 촬영하는 촬영 방향과 사용자(610)의 시선방향이 이루는 각도θ을 작게 하기 위해서, 도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8)의 후방면 뒤에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106)를 배치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카메라(106)가 사용자(610)를 촬영하는 촬영 방향과 사용자(610)의 시선방향이 이루는 각도θ2는 θ1과 비교해서 작아진다. 이에 따라, 카메라(106)로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을 본 상대측의 사람은, 사용자가 자신을 보고 있다고 인식한다.
그렇지만, 카메라(106)가 사용자(610)를 촬영하는 촬영 방향과 사용자(610)의 시선방향이 이루는 각도θ를 작게 하기 위해서, 표시 패널(108)의 후방면 뒤에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106)를 배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표시 패널(108)의 후방면 뒤에 있는 카메라(106)는, 표시 패널(108)을 통해서 사용자(610)를 촬영하지 않으면 안되고, 표시 패널(108)의 표시 화소의 주기구조와 관련된 회절의 영향으로 촬영하는 화상이 열화해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전화로 대화하는 상대측이 사용자가 자신을 보면서 이야기한다고 인식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고품위의 화상을 촬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는, 복수의 광 투과성의 표시 화소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방면의 피사체로부터의 피사체 광을 촬상하기 위해서 상기 표시부의 후방면에 배치된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 화소에 대응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사체 광의 광로길이를 조정하는 복수의 광 투과성의 위상조정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광 투광성의 위상조정부는 투과하는 상기 피사체 광의 광축방향으로 다른 두께를 가지고, 같은 두께의 상기 위상조정부는 소정의 주기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예시하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의 측면도 및 배면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에서의 측면도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의 표시 패널의 배면도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다.
도 6a, 6b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에서의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촬상장치의 방향과의 어긋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국면을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a,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100)의 측면도와 배면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100)는, 영상 전화나 영상 회의 시스템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이며, 수신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수신 화상을 보고 있는 사용자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가진다.
동 도면에 있어서, 표시 패널(108)은 광 투과성의 표시부이며, 표시 패널 프레임(102)에 내장되어 있다. 표시 패널 프레임(102)의 후방면(도면 중 +z방향)에는 지지부재(103)가 부착된다. 상기 지지부재(103)에 고정된 대좌(104)에 의해 표시장치(100)는 직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108)의 후방면(도면 중 +z방향)에는, 표시 패널(108)의 전방면을 관찰하는 사용자(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광학계가 설치되어 있다. 촬영 광학계는, 표시 패널(108)의 짧은 변 방향(도면 중 y방향)의 단부(edge portion)에 배치한 촬상장치인 카메라(106)와 상기 카메라(106)에 피사체 광을 이끄는 반사부재인 반사 미러(107)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106)가 표시 패널(108)을 투과하는 피사체 광의 광축상의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표시 패널(108)을 투과한 피사체 광은 반사 미러(107)에 의해 카메라(106)에 이끌어진다. 이 촬영 광학계에 의해, 표시장치(100)를 관찰하는 사용자와 카메라(106)간의 거리를 길게 하므로, 카메라(106)가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 방향과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06)로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을 본 상대측의 사람에게, 사용자가 마치 자신을 보고 있는 것처럼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촬영 광학계를 구성하는 카메라(106) 및 반사 미러(107)는, 표시 패널 프레임(102)에 고정된 케이스(105)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05)는 지지부재(103)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표시장치(100)의 표시 패널 프레임(102)과 지지부재(103)는 힌지(109)로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표시 패널 프레임(102)은 지지부재(103)에 대하여 도면 중 x축방향을 축으로 해서 회전가능하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10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사용자가 표시 화상을 마주 보고 쉽게 보도록 표시 패널 프레임(102)의 각도를 바꾼 점에서 도 1a의 측면도와 다르다. 이 경우에도, 카메라(106) 및 반사 미러(107)를 설치한 케이스(105)가 표시 패널 프레임(102)과 일체로 회전하므로, 사용자가 표시 화상을 보기 쉽게 하도록 표시 패널 프레임(102)의 각도를 바꾸는 경우도, 사용자의 화상을 대략 정면에서 촬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 3b는, 표시 패널(108)의 배면도다. 도 3a는, 표시 패널(108)전체의 배면도다. 도 3b는 도 3a의 배면도의 일부 확대도다.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0)의 일부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10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 투과성의 유기 EL층을 포함하는 화소의 이차원의 배열로 구성된다. 후방면은, 그 중앙부의 개구(302)를 제외해서 차광부재(301)로 덮어져 있다. 표시 패널(108)의 개구(302)는, 카메라(106)의 촬영 광로에 대응한다. 카메라(106)는 유기EL로 구성된 표시 패널(108)의 개구(302)를 통과한 상기 피사체 광을 반사 미러를 통해서 수광함으로써, 사용자를 촬영한다. 차광부재(301)는, 표시 패널(108)과 별개로 구성되어도 되거나, 표시 패널(108)인 유기EL의 제조 공정으로 일체로 설치되어도 된다.
도 3b는, 차광부재(301)가 배치되지 않은 개구(302)에 있는 (12×4)의 표시 화소부를 나타낸다. 하나의 표시 화소부는, 수직방향(도면 중 y방향)으로 긴 장방형이고, 수평방향(도면 중 x방향)으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발광하는 상기 표시 화소들이 주기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수평방향(도면 중 x방향)으로 배치된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각 발광하는 3개의 화소로 하나의 회소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의 표시 패널(108)은, 각 화소를 투과하는 광의 광로길이를 불규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위상조정부재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6화소, 수직방향으로 2화소의 단위로 각 표시 화소부에 두께가 다른 위상조정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으로는 6화소 주기로, 수직방향으로는 2화소 주기로 같은 두께의 위상조정부재가 형성된 표시 화소부가 출현하는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위상조정부재의 제조 프로세스를 간략화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0)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108)의 구성을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4b는 표시 패널(108)의 단면도다. 도 4a는 도 3a의 표시 패널(108)의 배면도의 일부 확대도를 나타내는 4A-4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유기EL층(400)의 단면도다. 도면 중, -z방향이 표시화면 방향이다.
도 4a의 표시 패널(108)의 단면도에 있어서, 유기EL층(400)이 설치되어 있다. 유기EL층(400)의 후방면측에는, 스위칭 및 구동용의 TFT(409)가 설치되어 있다. 위상조정부재(410)는, 표시 패널(108)의 후방면측 (+z방향측)에 있는 각 표시 화소부를 투과하는 광의 광로길이를 변경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108)은, 표시화면측에 유기EL층(400)을 가지고, 후방면측에 TFT(409)을 가지는 톱 이미션형의 유기EL패널이다.
TFT(409)는, 폴리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고 각 표시 화소부의 경계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차광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TFT(409)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광은 투과가능하고, 표시화면측(-z방향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유기EL층(400)과 위상조정부재(410)를 통해 표시 패널(108)로부터 출사한다.
그 위상조정부재(410)는, 투명한 광경화성 수지로 구성되고, UV 나노 임프린트 기술등을 사용해서 형성된다. 위상조정부재(410)의 두께는 (입사광의 광축방향의 두께) 각 표시 화소에 대응하게 다르고, 광로길이가 가시광선의 파장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광경화성 수지의 굴절률은 1.51이고, 위상조정부재 410a의 두께는 132nm, 위상조정부재 410b의 두께는 397nm, 위상조정부재 410c의 두께는 199nm, 위상조정부재 410d의 두께는 66nm이다. 마찬가지로, 위상조정부재 410e의 두께는 331nm, 위상조정부재 410f의 두께는 265nm다. 본 실시예의 각 표시 화소부에서, 수평방향으로는 6화소 주기로, 수직방향으로는 2화소 주기로 같은 두께의 위상조정부재(410)가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표시 화소의 이차원 배열로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같은 두께의 위상조정부재의 소정의 주기는 그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106)가 표시 패널(108)을 통해서 사용자를 촬영할 경우, 도면 중 -z방향측에서 입사한 촬영 광은 유기EL층(400)을 투과하고, TFT(409)가 형성되어 있는 층에서, 표시 화소의 주기에 의존한 규칙성에 따라 촬영 광의 위상이 변조된다. TFT층(409)에서 회절된 광의 광로 길이는, 한층 더 불규칙적인 두께를 가지는 위상조정부재(410)에 의해 변경된다. 그 때문에, 인접한 표시 화소부를 투과한 광을 강화하는 방향은 불규칙이 되어 강한 회절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유기EL로 구성된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108)을 통해서 사용자를 촬영하는 경우도, 그 회절에 영향을 받지 않는 양호한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시에, 카메라(106)는 표시장치(100)를 관찰하는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사용자를 촬영하므로, 카메라(106)로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을 본 상대측의 사람에게, 마치 사용자가 자신을 보고 있는 것 처럼 인식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108)에는, 수평방향(긴변방향)으로 6화소의 주기로 다른 두께의 위상조정부재(410)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표시 화소부의 수평방향의 6화소 주기에 해당한 회절광은 생기지만, 그 회절각이 미소하므로, 그 회절은 촬영 화상의 화질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수직방향(짧은 변 방향)으로는 2화소의 주기로 다른 두께의 위상조정부재(4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화소부의 수직방향의 2화소 주기에 해당한 회절광이 생기지만, 그 회절각은 미소하기 때문에, 그 회절은 촬영 화상의 화질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4b는 유기EL층(40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8)의 부분 단면도다. 그 유기EL층(400)에 있어서, 평탄화층(401), 투명한 ITO(Indium Tin Oxide)등으로 이루어진 양극(402), 정공수송층(403), 발광층(404), 전자수송층(405), 및 전자주입층(40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ITO등으로 이루어진 음극(407)과 평탄화층(408)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의 발광층(404) 중, 발광층 404R은 적색을 발광하고, 발광층 404G는 녹색을 발광하고, 발광층 404B는 청색을 발광한다. 이 발광층들은, 도면 중 x방향(표시 패널(108)의 긴변방향)으로 3화소 주기로 배열되어 있다. 발광층(404)의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9-187697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추가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108)은, 표시화면측에 유기EL층(400)을 가지고, 후방면측에 TFT(409)을 가지는 톱 이미션형의 유기EL패널의 일례로서 나타내어진다. 그러나, 표시화면측에 TFT(409)을 가지고 후방면측에 유기EL층(400)을 가지는 보텀 이미션형의 유기EL패널일 경우에도, 각 표시 화소부에 불규칙한 두께를 가지는 위상조정부재(410)를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108)에 설치된 위상조정부재의 구성에 있어서만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도, 설명하고 도 1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상기 제1 실시예의 표시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a,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8)의 단면도다. 도 5a는 도 3a의 표시 패널(108)의 배면도의 일부확대도의 4A-4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 5b는 유기EL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부분 단면도다. 도면 중, -z방향이 표시화면 방향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도 4a, 4b와 실질적으로 같은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어진다.
도 5a에 있어서, 유기EL층(500)이 설치된다. 유기EL층(500)의 후방면측에는 스위칭 및 구동용의 TFT(409)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108)은, 표시화면측에 유기EL층(500)을 가지고, 후방면측에 TFT(409)을 가지는 톱 이미션형의 유기EL패널이다.
TFT(409)은 폴리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고 각 표시 화소부의 경계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주기적인 차광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TFT(409)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광은 투과가능하고, 표시화면측(-z방향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유기EL층(500)을 통해 표시 패널(108)로부터 출사한다.
도 5b에 있어서, 유기EL층(500)은, 평탄화층(401), 표시 패널(108)의 후방면측에 배치된 투명한 ITO등으로 이루어진 양극(502), 정공수송층(403), 발광층(404), 전자수송층(405), 및 전자주입층(406)을 구비한다. 또한, ITO등으로 이루어진 음극(407)과 평탄화층(408)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의 발광층(404)에서, 발광층 404R은 적색을 발광하고, 발광층 404G는 녹색을 발광하고, 발광층 404B는 청색을 발광한다. 이 발광층들은, 도면 중 x방향(표시 패널(108)의 긴변방향)으로 3화소 주기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502)이 각 표시 화소부를 투과하는 광의 광로길이를 변경하는 위상조정부재를 겸한 구성을 가진다. 양극(502)은 ITO등의 투명한 도전 재료로 구성되고, 인쇄법으로 패턴 인쇄된다. 양극(502)의 두께는 각 표시 화소에 대응해서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두께는, 양극(502) 및 평탄화층(401)을 투과한 각 표시 화소로부터의 광로길이간의 차이가 가시광선의 파장의 절반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양극을 구성하는 ITO의 굴절률을 2.0, 평탄화층(401)의 굴절률을 1.5로 하고, 양극 502a의 두께는 200nm, 양극 502b의 두께는 600nm, 양극 502c의 두께는 300nm, 양극 502d의 두께는 100nm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양극 502e의 두께는 500nm, 양극 502f의 두께는 400nm다. 도 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표시 화소부에는 수평방향으로 6화소 주기로, 수직방향으로 2화소 주기로 같은 두께의 양극(502)을 형성한다.
카메라(106)가 표시 패널(108)을 통해서 사용자를 촬영할 경우, 도면 중 -z방향측에서 입사한 촬영 광은 유기EL층(500)을 투과하고, 그 유기EL층(500)의 양극(502)으로 광로길이가 불규칙적으로 변경된다. 유기EL층(500)을 투과한 광은, TFT(409)가 형성되어 있는 층에서, 표시 화소의 주기에 의존한 규칙성에 따라 위상이 변조된다. 그렇지만, 인접하는 표시 화소부를 투과한 광을 강화시키는 방향은 불규칙이 되어, 강한 회절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유기EL로 구성된 표시 패널(108)을 통해서 사용자를 촬영하는 경우도, 그 회절에 영향을 받지 않는 양호한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시에, 카메라(106)는 표시장치(100)를 관찰하는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사용자를 촬영하므로, 카메라(106)로 촬영된 사용자의 화상을 본 상대측의 사람에게, 마치 사용자가 자신을 보고 있는 것처럼 인식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08)의 수평방향(긴변방향)은 6화소의 주기로 다른 두께의 양극(50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화소부의 수평방향의 6화소 주기에 해당한 회절광이 생긴다. 그러나, 회절각이 미소하므로, 그 회절은 촬영 화상의 화질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표시 패널(108)의 수직방향(짧은 변 방향)은 2화소의 주기로 다른 두께의 양극(50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화소부의 수직방향의 2화소 주기에 해당한 회절광이 생기지만, 그 회절각은 미소하므로, 그 회절은 촬영 화상의 화질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EL층(표시 화소)이 표시 패널(108)의 후방면측에 가지는 전극(양극502)의 두께를 불규칙적으로 구성해서 각 표시 화소부를 투과하는 광의 광로길이를 불규칙하게 한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예를 들면, 각 유기EL층(500)을 구성하는 전자주입층(406)의 두께를 변경 함에 의해 각 표시 화소부의 광로길이를 변경하는 경우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장치(100)의 구성의 일부인 반사 미러(107)의 예로서 평면 미러를 나타냈지만, 반사면이 볼록한 구면으로서 형성된 구면 반사 미러로 구성하여도 된다. 그 반사 미러(107)가 구면 반사 미러로 구성된 경우에는, 개구(302)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등 때문에 촬영 광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반사 미러로서 홀로그램 미러를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7)

  1. 복수의 광 투과성의 표시 화소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표시수단의 전방면의 피사체로부터의 피사체 광을 촬상하기 위해서 상기 표시수단의 후방면에 배치된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표시 화소에 대응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사체 광의 광로길이를 조정하는 복수의 광 투과성의 위상조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광 투광성의 위상조정수단은, 투과하는 상기 피사체 광의 광축방향으로 다른 두께를 가지고, 같은 두께의 상기 위상조정수단은 소정의 주기로 배치되어 있는,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조정수단 각각이, 각 표시 화소의 상기 표시수단의 후방면측에 배치된,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상조정수단은, 각 표시 화소가 상기 표시수단의 상기 후방면측에 가지는 전극들인,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같은 두께의 위상조정수단의 배치의 주기는, 상기 복수의 표시 화소의 이차원의 배열의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른,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후방면에 설치된 차광 수단을 가지고, 상기 차광 수단은 상기 피사체 광을 투과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입사하는 피사체 광의 광축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수단을 투과한 피사체 광을 상기 촬상수단에 이끄는 반사 수단을 한층 더 가지는,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수단은 반사 미러이며, 상기 반사 미러는 적어도 평면 미러, 구면 반사 미러 및 홀로그램 미러 중 어느 하나인,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
KR1020130119593A 2012-10-10 2013-10-08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 KR201400463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25213A JP5963637B2 (ja) 2012-10-10 2012-10-10 撮像装置付き表示装置
JPJP-P-2012-225213 2012-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379A true KR20140046379A (ko) 2014-04-18

Family

ID=5043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593A KR20140046379A (ko) 2012-10-10 2013-10-08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91400B2 (ko)
JP (1) JP5963637B2 (ko)
KR (1) KR20140046379A (ko)
CN (1) CN1037288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7391B2 (ja) * 2013-06-06 2017-02-0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撮像表示装置
US20180367756A1 (en) * 2017-06-15 2018-12-20 Shenzhen Optical Crystal LTD, Co. Video conference system utilizing transparent screen
CN110324559B (zh) * 2018-03-28 2021-11-30 北京富纳特创新科技有限公司 视频通信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4319B2 (ja) * 1988-05-31 1997-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情報記録装置
JPH03289692A (ja) * 1990-04-06 1991-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間光変調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ホログラム画像情報記録装置
JP3387136B2 (ja) * 1993-02-19 2003-03-17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一体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信方法
JPH07143469A (ja) * 1993-11-12 1995-06-02 Hitachi Denshi Ltd 撮像表示一体装置
US6560018B1 (en) * 1994-10-27 2003-05-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Illumination system for transmissive light valve displays
JPH1026765A (ja) * 1996-07-10 1998-01-27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投影型液晶表示装置及び基板
JP2002314899A (ja) * 2001-04-13 2002-10-25 Sharp Corp 撮像機能一体型表示装置
US6955436B2 (en) 2002-01-23 2005-10-18 Sony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projector apparatus
EP1341235A3 (en) * 2002-02-28 2006-05-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JP2003295119A (ja) * 2002-04-01 2003-10-15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表示装置
JP4515161B2 (ja) * 2003-06-17 2010-07-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撮像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双方向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TWI502995B (zh) 2003-06-17 2015-10-01 Semiconductor Energy Lab 具有攝像功能之顯示裝置及雙向通訊系統
JP4886162B2 (ja) 2003-06-18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付き表示装置
KR100704258B1 (ko) * 2004-06-02 2007-04-06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8218081A (ja) 2007-03-01 2008-09-18 Canon Inc 有機el素子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87697A (ja) 2008-02-04 2009-08-20 Canon Inc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445655C2 (ru) * 2008-09-22 2012-03-2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Пленка замедления,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диспле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98175A1 (en) 2014-04-10
US9491400B2 (en) 2016-11-08
CN103728825A (zh) 2014-04-16
JP5963637B2 (ja) 2016-08-03
JP2014077880A (ja)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6768B2 (ja) 撮像装置付き表示装置
WO2016192301A1 (zh) 显示装置及视频通讯终端
US7714923B2 (en) Integrated display and capture apparatus
US7697053B2 (en) Integrated display having multiple capture devices
US7808540B2 (en) Image capture and integrated display apparatus
US7679692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CN110264967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080106591A1 (en) Two way communication system
US20050057702A1 (en) High resolution 3-D image display
JP200404864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対話者表示方法
WO2014173042A1 (zh) 液晶面板和液晶显示器
JPH07226957A (ja) 立体画像通信装置
US8525957B2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equipment, mobile electronic equipment, mobile telephone, and image pickup apparatus
TWI399570B (zh) 立體顯示器以及立體顯示系統
KR20140046379A (ko) 촬상장치 첨부 표시장치
EP3175270B1 (en) Screen and laser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822817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テレビ電話装置
JP5330623B2 (ja) 表示装置、その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投影ユニット
JP2751112B2 (ja) 撮像表示装置
CN213152213U (zh) 视频会议系统及显示装置
CN110928034B (zh) 一种彩膜基板、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JP2015001537A (ja) 撮像装置付き表示装置
JP5465559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H04315139A (ja) 表示・撮像装置
US20140118559A1 (en) Modular Display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