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010A -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 - Google Patents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010A
KR20140046010A KR1020147002908A KR20147002908A KR20140046010A KR 20140046010 A KR20140046010 A KR 20140046010A KR 1020147002908 A KR1020147002908 A KR 1020147002908A KR 20147002908 A KR20147002908 A KR 20147002908A KR 20140046010 A KR20140046010 A KR 20140046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insert portion
insert
angle
band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7726B1 (ko
Inventor
브라이언 티 이그낙자크
알렉스 와이 첸
밀란 리우리두로비치
Original Assignee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filed Critical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4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16L23/10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with a pivoting or swinging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20Joints tightened by toggle-action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12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with tighteners
    • Y10T24/1424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v-밴드 클램프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밴드, 상기 밴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배치된 래치 조립체, 그리고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관형 몸체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의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v-인서트 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기 래치 조립체는 v-밴드 클램프를 조이는데 사용되는 파스너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밴드에 부착된 제1 v-인서트 부분과 제2 v-인서트를 포함하고 있고,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는 제2 v-인서트 부분에 대해 독립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V-BAND CLAMP WITH V-INSERT SEGMENTS}
본 발명은 관형 몸체를 연결시키는 v-밴드 클램프 및 v-인서트 부분을 가지고 있는 v-밴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V-밴드 클램프는 통상적으로 관형 몸체의 주된 관형 구조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나온 단부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관형 몸체들을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관형 몸체는 자동차 배기 시스템과 다른 사용처에 사용되고 있다. V-밴드 클램프는 통상적으로 외측 밴드, v-밴드 클램프를 풀고 조이는 래치 조립체, 그리고 복수의 내측 v-인서트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v-인서트 부분은 통상적으로 상기 밴드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는 측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측벽은 관형 몸체의 단부 플랜지를 수용하는 채널을 형성한다. v-밴드 클램프가 관형 몸체에 조여질 때, 반경방향의 힘과 축방향의 힘이 상기 단부 플랜지에 작용하여 상기 관형 몸체들 사이에 유체 밀봉 연결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v-인서트 부분을 가지고 있는 v-밴드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밴드,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래치 조립체, 그리고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관형 몸체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의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v-인서트 부분을 포함하는 v-밴드 클램프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래치 조립체는 v-밴드 클램프를 조이는데 사용되는 파스너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밴드에 부착된 제1 v-인서트 부분과 제2 v-인서트를 포함하고 있고,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는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에 대해 독립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v-밴드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는 아래의 부가적인 특징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따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제1 v-인서트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점용접부를 통하여 상기 밴드에 부착될 수 있다.
-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밴드에 부착되어 있지 않을 수 있으며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에도 상기 밴드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 상기 제1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래치 조립체로부터 멀어지게 떨어져 있는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래치 조립체에 인접해 있는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 상기 제1 v-인서트 부분은 바닥벽,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1 측벽 및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2 측벽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단면도상으로 제1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은 바닥벽,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의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1 측벽 및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의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2 측벽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의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단면도상으로 제2 각도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의 값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밴드,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래치 조립체, 그리고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관형 몸체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의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1 v-인서트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v-밴드 클램프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래치 조립체는 v-밴드 클램프를 조이는데 사용되는 파스너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v-인서트 부분은 바닥벽,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1 측벽 및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2 측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단면도상으로 제1 각도를 형성한다. 상기 v-밴드 클램프는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관형 몸체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의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2 v-인서트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은 바닥벽,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의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1 측벽 및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의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2 측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의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단면도상으로 제2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의 값보다 큰 값을 가지고 있다. 본 v-밴드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는 아래의 부가적인 특징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따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의 값보다 약 5°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 상기 제1 각도는 약 40°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각도는 약 5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상기 제1 각도는 약 55°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각도는 약 7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은 상기 제1 v-인서트 부분보다 상기 래치 조립체에 더 가까이 있는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 상기 제1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밴드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래치 조립체를 통하여 상기 밴드가 조여지는 동안, 상기 밴드가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 또는 느슨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밴드,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래치 조립체, 그리고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관형 몸체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의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v-인서트 부분을 포함하는 v-밴드 클램프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래치 조립체는 v-밴드 클램프를 조이는데 사용되는 파스너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래치 조립체에 인접한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발생되는 상기 v-인서트 부분과 한 쌍의 단부 플랜지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감소요소를 가지고 있다. 본 v-밴드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는 아래의 부가적인 특징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따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마찰감소요소는, 상기 래치 조립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다른 것이 상기 밴드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상기 래치 조립체에 인접한 상기 v-인서트 부분을 상기 밴드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둠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래치 조립체에 인접한 원주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밴드 아래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찰감소요소는, 조이는 동안 상기 밴드가 상기 두 개의 부분과는 독립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밴드의 상기 두 개의 부분과의 슬라이딩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래치 조립체에 인접한 상기 v-인서트 부분은 바닥벽,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1 측벽 및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2 측벽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단면도상으로 제1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조립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다른 것은 바닥벽,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다른 것의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1 측벽 및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다른 것의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2 측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다른 것의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단면도상으로 제2 각도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의 값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부분, 청구항 및/또는 아래의 설명과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형태, 실시예, 예, 특징 및 대안은 독자적으로 실시되거나 그것의 임의의 조합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고 예상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 유사한 참고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v-밴드 클램프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v-밴드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v-밴드 클램프의 3-3 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v-밴드 클램프의 4-4 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부착되지 않은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YES)와 v-밴드 클램프의 모든 v-인서트 부분이 부착된 상태의 v-밴드 클램프(NO)의 주어진 조인 상태의 토크값에서의 최종적인 전체 축방향 부하를 비교하는 테스트 데이터의 도표이고;
도 6은 부착되지 않은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YES)와 v-밴드 클램프의 모든 v-인서트 부분이 부착된 상태의 v-밴드 클램프(NO)의 도 5의 주어진 토크값에서의 축방향 부하 분포 비율을 비교하는 테스트 데이터의 도표이고;
도 7은 서로 상이한 각도를 이루는 측벽을 가지고 있는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YES)와 서로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측벽을 가지고 있는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NO)의 주어진 조인 상태의 토크값에서의 최종적인 전체 축방향 부하를 비교하는 테스트 데이터의 도표이고; 그리고
도 8은 서로 상이한 각도를 이루는 측벽을 가지고 있는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YES)와 서로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측벽을 가지고 있는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NO)의 도 7의 주어진 토크값에서의 축방향 부하 분포 비율을 비교하는 테스트 데이터의 도표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도면들은 축방향의 힘을 몇 가지 기존의 v-밴드 클램프와 비교하여 보다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v-밴드 클램프의 원주 둘레로 그리고 대응하는 단부 플랜지로 분포시키는 v-밴드 클램프의 두 가지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도면의 v-밴드 클램프는 단부 플랜지에 향상된 유체밀봉 연결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몇 가지 기존의 v-밴드 클램프가 래치 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는 래치 조립체에 근접한 위치에서보다 훨씬 더 작은 축방향의 힘을 작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래치 조립체로부터 떨어진 원주방향의 위치에서의 축방향의 힘(도 2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한 예)은 래치 조립체에 근접한 원주방향의 위치에서의 축방향의 힘(도 2에서 화살표 B로 표시된 한 예)보다 상당히 작고- 몇몇 경우에는 3분의 1만큼 작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v-밴드 클램프는 래치 조립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는 누출에 상당히 취약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축방향의 힘의 적어도 일부분은, v-밴드 클램프를 조일 때 v-인서트 부분과 단부 플랜지 사이에서 발생된 마찰을 통하여 소실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의 v-밴드 클램프는, 마찰에 의한 축방향의 힘의 소실량을 감소시키고 래치 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주방향의 위치에서도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고 효율적인 연결부를 제공하는 마찰감소요소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축방향", "반경방향", 그리고 "원주방향" 이라는 용어는 도시된 v-밴드 클램프의 대체로 원형 및 원통형 형상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이런 의미에서, "축방향"은 대체로 상기 원형 및 원통형 형상의 중심축을 따르거나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을 지칭하고, "반경방향"은 대체로 상기 원형 및 원통형 형상의 가상적인 반경(imaginary radius)을 따르거나 상기 가상적인 반경과 평행한 방향을 지칭하고, 그리고 "원주방향"은 대체로 상기 원형 및 원통형 형상의 가상적인 원주를 따르거나 상기 가상적인 원주와 유사한 방향으로 놓인 방향을 지칭한다.
도 1 및 도 2의 v-밴드 클램프는, 제1 관형 몸체가 제1 관형 몸체의 주된 관형 구조 둘레로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관형 구조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제1 단부 플랜지를 가지고 있고, 제2 관형 몸체가 제2 관형 몸체의 주된 관형 구조 둘레로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관형 구조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제2 단부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사용예에 사용될 수 있다. 조립 및 설치시에, 상기 제1 단부 플랜지와 제2 단부 플랜지는 근접한 상태 또는 직접 접촉한 상태로 바싹 붙는다. 몇 가지 사용예는 디젤 매연 필터 시스템 및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과 같은 자동차용 사용예를 포함하고; 다른 사용예는 유체가 하나의 관형 몸체로부터 다른 것으로 전달되는 비자동차용 사용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부 플랜지는 상기 관형 몸체의 자유 단부를 구성하며 v-밴드 클램프에서 대면하거나 맞닿는 상태로 바싹 붙는다. 상기 단부 플랜지는 상기 관형 몸체의 주된 관형 구조로부터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고; 한 가지 예에서는, 상기 단부 플랜지가 상기 관형 몸체의 중심축에 대해 약 70°의 각도를 형성한다.
도 1의 실시예를 참고하면, v-밴드 클램프(10)는 밴드(12), 래치 조립체(14), 그리고 다수의 v-인서트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밴드(12)는 래치 조립체(14)와 v-인서트 부분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다. 밴드(12)는 금속 박판을 스탬핑가공한 다음 스탬핑가공된 부분을 둥근 모양으로 굽힘가공하거나,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밴드는 스테인레스 강이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경계부에서, 밴드(12)는 제1 원주방향 단부(16) 및 제2 원주방향 단부(18), 그리고 제1 축방향 단부(20) 및 제2 축방향 단부(22)를 가지고 있다.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향하는 측에서, 밴드(12)는 외측 표면(24)을 가지고 있고,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향하는 측에서, 상기 밴드는 내측 표면(26)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원주방향 단부에서, 밴드(12)는, 밴드의 단부가 되접히고 제위치에서 점용접될 때 형성되는 제1 루프(28) 및 제2 루프(30)를 가지고 있다. 밴드(12)의 단부에 배치된 개구부는 상기 루프(28, 30)에 래치 조립체(14)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래치 조립체(14)는 상기 루프(28, 30)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며 v-밴드 클램프(10)를 제1 관형 몸체와 제2 관형 몸체의 단부 플랜지 둘레로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기 위해서 밴드(12)의 원주방향의 단부(16, 18)를 서로 접근시키거나 서로 멀어지게 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래치 조립체(14)는 T-볼트형 래치 조립체이고 트러니언(trunnion)(32)과 T-볼트(34) 및 너트(36)로 이루어진 파스너를 포함하고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래치 조립체가 밴드(12)를 조이는 파스너를 이용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태로 될 수 있다. 트러니언(32)는 양 측에 밴드(12)의 제1 루프(28) 속으로 삽입되어 피벗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돌출부(nub)를 가지고 있고; 마찬가지로, T-볼트(34)는 양 측에 돌출된 머리부를 가지고 있고 제2 루프(30) 속으로 삽입되어 있다. T-볼트(34)의 자루(shank) 부분은 트러니언(32)의 구멍을 관통하여 뻗어 있고, 너트(36)는 상기 T-볼트(34)의 자루 부분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트러니언에 맞닿게 토크를 받거나 조여진다.
상기 v-인서트 부분은 v-밴드 클램프(10)가 관형 몸체의 단부 플랜지에 조립될 때 밴드(12)의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배치되고, 래치 조립체(14)를 조일 때 v-인서트 부분은 단부 플랜지를 수용하여 단부 플랜지에 직접 반경방향의 힘과 축방향의 힘을 가한다. 정확한 사용에 따라, 제1 단부 플랜지와 단부 플랜지 사이의 금속 대 금속 접촉이 제1 단부 플랜지와 단부 플랜지 사이에 유체밀봉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거나, v-인서트 부분과 단부 플랜지 사이의 금속 대 금속 접촉이 v-인서트 부분과 단부 플랜지 사이에 유체밀봉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거나, 상기한 양자의 유체밀봉 연결부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는, 총 5개의 v-인서트 부분 - 즉, 제1 v-인서트 부분(38), 제2 v-인서트 부분(40), 제3 v-인서트 부분(42), 제4 v-인서트 부분(44), 그리고 제5 v-인서트 부분(46)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v-밴드 클램프가 총 3개의 v-인서트 부분을 포함하는 상이한 갯수의 v-인서트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v-인서트 부분(38, 40, 42, 44, 46)은 틈새(48)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틈새(48)에서는 이웃하는 v-인서트 부분의 자유 단부들이 서로 마주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v-인서트 부분들은 밴드(12)의 원주 둘레에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v-인서트 부분(42), 제4 v-인서트 부분(44) 그리고 제5 v-인서트 부분(46)은 밴드(12)의 내측 표면(26)에서 밴드(12)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에, 제1 v-인서트 부분(38)과 제2 v-인서트 부분(40)은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있다. 제3 v-인서트 부분(42), 제4 v-인서트 부분(44) 그리고 제5 v-인서트 부분(46)은 각각의 v-인서트 부분의 양쪽 원주방향의 단부쪽에 배치된 제1 점용접부(50)와 제2 점용접부(52)에 의해 각각 물리적으로 밴드(12)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부착은 크림핑(crimping), 기계적인 고정, 그리고 리벳팅(riveting)을 포함하는 다른 방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v-인서트 부분은, 평면 스트립의 금속 박판을 롤 성형(roll-forming)하는 단계, 롤 성형된 부분을 나선형상으로 굽힘가공하는 단계, 그리고 굽힘가공된 나선형상 부분을 각각의 원호부로 절단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v-인서트 부분은 상이한 단계를 가진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v-인서트 부분은 스테인레스 강이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고하면, 각각의 v-인서트 부분(38, 40, 42, 44, 46)은 제1 축방향 단부(54) 및 제2 축방향 단부(56)를 가지고 있다.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향하는 측에서, 각각의 v-인서트 부분은 외측 표면(58)을 가지고 있고,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향하는 측에서, 각각의 v-인서트 부분은 내측 표면(60)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각의 v-인서트 부분은 바닥벽(62)과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뻗어 있는 제1 측벽(64) 및 제2 측벽(66)을 가지고 있다. 상기 벽들은 v-밴드 클램프(10)의 내부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오목한 형상을 형성한다. 바닥벽(62)과 제1 측벽(64) 및 제2 측벽(66)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공간 내에 채널(68)이 배치되어 있고, 이 채널은 관형 몸체들이 서로 조립되어 설치될 때에 관형 몸체의 단부 플랜지를 수용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측벽(64)과 제2 측벽(66)은 단면 형상이 대체로 평면이고, 바닥벽(62)을 넘어서 연장되는 경우, 각도 θ를 형성한다. 상기 각도 θ의 정확한 값은 관형 몸체의 단부 플랜지의 각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좌우되고, 또한 단부 플랜지에 가해질 원하는 반경방향과 축방향의 힘에 따라 부분적으로 좌우된다. 대체로 몇 가지 제한하에서, 단부 플랜지의 주어진 각도에 대해 각도 θ의 값이 작을수록, 단부 플랜지에 가해지는 힘이 커진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각도 θ는 약 38°내지 42°범위의 값, 또는 약 40°를 가지거나, 약 53°내지 57°범위의 값, 또는 약 55°를 가지고; 상기 각도 θ에 대한 다른 예와 값도 가능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제3 v-인서트 부분(42), 제4 v-인서트 부분(44) 그리고 제5 v-인서트 부분(46)이 밴드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제1 v-인서트 부분(38)과 제2 v-인서트 부분(40)을 밴드(12)에 부착시키지 않고, 밴드(12)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마찰감소요소가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제1 v-인서트 부분(38)과 제2 v-인서트 부분(40)은 부동(free floating) 상태에 있으며 밴드(12)에 대해 물리적인 부착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 제1 v-인서트 부분(38)과 제2 v-인서트 부분(40)은 래치 조립체에 바로 인접하여 래치 조립체(14)에 가장 가까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v-인서트 부분이 관형 몸체의 단부 플랜지에 대해 가장 큰 힘을 작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v-밴드 클램프를 조일 때 제1 v-인서트 부분(38)과 제2 v-인서트 부분(40)이 단부 플랜지와 가장 큰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밴드(12)와 제1 v-인서트 부분(38) 및 제2 v-인서트 부분(40)를 부착되지 않게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v-밴드 클램프(10)를 조일 때 밴드(12)와 제1 v-인서트 부분(38) 및 제2 v-인서트 부분(40)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밴드(12)는 제1 v-인서트 부분(38) 및 제2 v-인서트 부분(40)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v-인서트 부분은 밴드와 함께 거의 이동하지 않으므로, 관형 몸체의 단부 플랜지와 마찰을 작게 발생시키거나, 거의 발생시키지 않거나,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다. 힘은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고 제3 v-인서트 부분(42), 제4 v-인서트 부분(44) 및 제5 v-인서트 부분(46)으로 그리고 래치 조립체(14)의 반대쪽에 있으며 래치 조립체(14)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밴드(12)의 원주방향의 위치로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이것은, 모든 v-인서트 부분이 밴드에 부착되어 있고, v-밴드 클램프를 조일 때 래치 조립체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된 v-인서트 부분이 밴드와 함께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고; 래치 조립체의 v-인서트 부분과 단부 플랜지 사이의 금속 대 금속 이동 접촉(metal-to-metal moving contact)이 축방향의 힘을 래치 조립체로부터 멀리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로 전달하는 것을 저지하는 비교적 많은 양의 마찰을 발생시키는 기존의 몇 가지 v-밴드 클램프와 대조되는 것이다.
조립 및 설치시에, 제1 관형 몸체와 제2 관형 몸체는 제1 단부 플랜지와 제2 단부 플랜지가 근접한 상태 또는 직접 접촉한 상태로 바싹 붙는다. 밴드(12)와 단부 플랜지 위에 부착된 제3 v-인서트 부분(42), 제4 v-인서트 부분(44) 및 제5 v-인서트 부분(46)의 배치상태와는 별도로 처음에 제1 v-인서트 부분(38) 및 제2 v-인서트 부분(40)은 단부 플랜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v-밴드 클램프(10)가 조여질 때, 밴드(12)의 내측 표면(26)은 제1 v-인서트 부분(38) 및 제2 v-인서트 부분(40)의 외측 표면(58)과 맞닿은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런 일이 발생할 때, 제1 v-인서트 부분(38) 및 제2 v-인서트 부분(40)은 제 위치에 유지되거나 제1 단부 플랜지 및 제2 단부 플랜지위를 약간만 이동할 수 있다. 완전히 조였을 때, 밴드(12)의 내측 표면(26)은 제1 v-인서트 부분(38) 및 제2 v-인서트 부분(40)의 외측 표면(58)에 대해 팽팽하게 되고, 제1 v-인서트 부분, 제2 v-인서트 부분, 제3 v-인서트 부분, 제4 v-인서트 부분 및 제5 v-인서트 부분은 단부 플랜지에 대해 반경방향의 힘과 축방향의 힘을 가한다.
도 5는 300 RPM에서 약 35 Nm의 조임 토크값에서의 최종적인 전체 축방향 부하를 비교하는 테스트 데이터를 가진 도표이다. "NO"로 표시된 상기 도표의 좌측에 있는 데이터는 모든 v-인서트 부분을 점용접을 통하여 부착시킨 v-밴드 클램프(상기한 기존의 v-밴드 클램프와 유사한 것)에 대해 수행된 테스트로부터 얻은 것이다. 그리고 "YES"로 표시된 상기 도표의 우측에 있는 데이터는, v-밴드 클램프의 v-인서트 부분 중에서 래치 조립체에 바로 인접해 있는 두 개를 v-밴드 클램프의 밴드에 부착시키지 않은 상태로 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한 v-밴드 클램프에 대해 수행된 테스트로부터 얻은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해 수행된 테스트의 축방향의 부하 분포 비율을 비교하는 테스트 데이터를 가진 도표이다. 이러한 테스트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한 v-밴드 클램프에 대한 축방향의 부하 분포 비율에 있어서, 기존의 v-밴드 클램프에 대한 것과 비교하여, 14% 개선된 것을 나타내었다. 물론, 모든 테스트와 실험이 이러한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v-인서트 부분이 밴드로부터 완전히 미부착된 상태로 있을 필요는 없다. 대신에, 래치 조립체에 바로 인접해 있는 v-인서트 부분은 v-인서트 부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상보적인 슬롯 또는 개구부와 상호작용하는 밴드로부터 뻗어나온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통하여 밴드에 느슨하게 부착될 수 있고; 또 다른 예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v-인서트 부분으로부터 뻗어나올 수 있고 상기 슬롯 또는 개구부가 밴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와 슬롯/개구부 사이의 상호작용은 밴드와 v-인서트 부분 사이의 축방향의 이동, 또는 반경방향의 이동, 또는 상기 양자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지만, 여전히 밴드와 v-인서트 부분 사이의 독립적인 원주방향의 이동은 허용한다.
도 2 내지 도 4의 v-밴드 클램프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여러 가지 점에서 유사하다. 이러한 유사한 사항- 밴드, 래치 조립체, 그리고 v-인서트 부분의 몇 가지 구성을 포함하는 사항 -은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대한 마찰감소요소는 도 1의 실시예와 상이하므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마찰감소요소는, 제1 v-인서트 부분(138)과 제2 v-인서트 부분(140)에 대해 제3 v-인서트 부분(142), 제4 v-인서트 부분(144) 및 제5 v-인서트 부분(146)의 각도 θ보다 더 큰 값을 가지는 각도 θ를 부여함으로써 제공된다. 이처럼, 제1 v-인서트 부분(138)과 제2 v-인서트 부분(140)은, 초기에 관형 몸체의 단부 플랜지에 배치되었을 때 그리고 조임이 행해지는 동안에 관형 몸체의 단부 플랜지에 대해, 제3 v-인서트 부분(142), 제4 v-인서트 부분(144) 및 제5 v-인서트 부분(146)에 의해 가해진 힘에 비해, 작은 힘을 가한다. 제1 v-인서트 부분(138)과 제2 v-인서트 부분(140)은 밴드(12)와 함께 그리고 단부 플랜지에 대해 보다 자유롭게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단부 플랜지와의 사이에서 마찰을 작게 발생시키거나, 거의 발생시키지 않거나,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다. 힘은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고 제3 v-인서트 부분(142), 제4 v-인서트 부분(144) 및 제5 v-인서트 부분(146)으로 그리고 래치 조립체의 반대쪽에 있으며 래치 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로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이것은, 모든 v-인서트 부분이 동일한 각도 θ를 가지고; 조임 후에 단부 플랜지에 대해 원하는 반경방향 및 축방향의 힘을 가하도록 그리고 조이는 동안에 v-인서트 부분과 단부 플랜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에 상관없이 동일한 각도 θ의 정확한 값이 선택되는 기존의 몇 가지 v-밴드 클램프와 대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의 v-밴드 클램프에서는, 래치 조립체의 v-인서트 부분과 단부 플랜지 사이의 금속 대 금속 이동 접촉(metal-to-metal moving contact)이 축방향의 힘을 래치 조립체로부터 멀리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로 전달하는 것을 저지하는 비교적 많은 양의 마찰을 발생시킨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한 가지 예에서는,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 v-인서트 부분(138) 및 제2 v-인서트 부분(140)에 대한 상기 각도 θ는 약 53°내지 57°범위의 값, 또는 약 55°를 가지는 반면에, 제3 v-인서트 부분(142), 제4 v-인서트 부분(144) 및 제5 v-인서트 부분(146)에 대한 상기 각도 θ는 약 38°내지 42°범위의 값, 또는 약 40°를 가진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에서는,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 v-인서트 부분(138) 및 제2 v-인서트 부분(140)에 대한 상기 각도 θ는 약 68°내지 72°범위의 값, 또는 약 70°를 가지는 반면에, 제3 v-인서트 부분(142), 제4 v-인서트 부분(144) 및 제5 v-인서트 부분(146)에 대한 상기 각도 θ는 약 53°내지 57°범위의 값, 또는 약 55°를 가진다. 물론, 상기 각도 θ에 대한 다른 예와 값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 v-인서트 부분(138) 및 제2 v-인서트 부분(140)에 대한 상기 각도 θ는 제3 v-인서트 부분(142), 제4 v-인서트 부분(144) 및 제5 v-인서트 부분(146)에 대한 상기 각도 θ의 값보다 약 5°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300 RPM에서 약 35 Nm의 조임 토크값에서의 최종적인 전체 축방향 부하를 비교하는 테스트 데이터를 가진 도표이다. "NO"로 표시된 상기 도표의 좌측에 있는 데이터는 서로에 대해 동일한 각도 θ를 이루는 측벽을 가지고 있는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상기한 기존의 v-밴드 클램프와 유사한 것)에 대해 수행된 테스트로부터 얻은 것이다. 그리고 "YES"로 표시된 상기 도표의 우측에 있는 데이터는, v-밴드 클램프의 v-인서트 부분 중에서 래치 조립체에 바로 인접해 있는 두 개가 래치 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배치된 v-인서트 부분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 각도 θ보다 더 큰 각도 θ를 이루는 측벽을 가지고 있는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한 v-밴드 클램프에 대해 수행된 테스트로부터 얻은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해 수행된 테스트의 축방향의 부하 분포 비율을 비교하는 테스트 데이터를 가진 도표이다. 이러한 테스트는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한 v-밴드 클램프에 대한 축방향의 부하 분포 비율에 있어서, 기존의 v-밴드 클램프에 대한 것과 비교하여, 33% 개선된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러한 테스트는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한 v-밴드 클램프에 대한 전체 축방향의 부하 분포 비율에 있어서, 기존의 v-밴드 클램프에 대한 것과 비교하여, 5% 감소된 것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감소는 축방향의 부하 분포 비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개선된 것을 고려하면 용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모든 테스트와 실험이 이러한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면에 반드시 도시할 필요가 없는 v-밴드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는 상이한 설계형태와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마찰감소요소는 단일 v-밴드 클램프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v-밴드 클램프는, 부착된 v-인서트 부분의 측벽보다 더 큰 각도를 이루는 측벽을 가진 부착되지 않은 v-인서트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이라고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의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 포함된 내용들은 특정 실시예에 관한 것이므로, 용어나 표현이 위에서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사항이나 청구항에 사용된 용어의 정의에 대한 제한사항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와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사항 및 수정사항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모든 다른 실시예, 변경사항 및 수정사항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 사용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예컨대" "...와 같은" 및 "등" 이라는 표현과 "...으로 구성되는" "...을 가지고 있는" "...을 포함하는" 이라는 동사 및 이들의 다른 동사 형태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또는 다른 물품의 목록과 함께 사용된 경우에는, 상기 목록이 다른 부가적인 구성요소나 물품을 배제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아니라는 포괄적인 의미로 각각 이해하여야 한다. 다른 용어들은 문맥상 상이한 해석을 요하는 것으로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최광의 적절한 의미를 이용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5)

  1. v-밴드 클램프로서,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밴드;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v-밴드 클램프를 조이는데 사용되는 파스너를 포함하는 래치 조립체; 그리고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관형 몸체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의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밴드에 부착된 제1 v-인서트 부분과 제2 v-인서트를 포함하고 있고,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가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에 대해 독립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v-인서트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점용접부를 통하여 상기 밴드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밴드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며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에도 상기 밴드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래치 조립체로부터 멀어지게 떨어져 있는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래치 조립체에 인접해 있는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v-인서트 부분은 바닥벽,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1 측벽 및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2 측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단면도상으로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은 바닥벽,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의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1 측벽 및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의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2 측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의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단면도상으로 제2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의 값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6. v-밴드 클램프로서,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밴드;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v-밴드 클램프를 조이는데 사용되는 파스너를 포함하는 래치 조립체;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관형 몸체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의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1 v-인서트 부분; 그리고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관형 몸체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의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2 v-인서트 부분;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v-인서트 부분은 바닥벽,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1 측벽 및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2 측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단면도상으로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은 바닥벽,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의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1 측벽 및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의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2 측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의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단면도상으로 제2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의 값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의 값보다 약 5°더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약 40°의 값을 가지고 상기 제2 각도는 약 55°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약 55°의 값을 가지고 상기 제2 각도는 약 70°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은 상기 제1 v-인서트 부분보다 상기 래치 조립체에 더 가까이 있는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밴드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래치 조립체를 통하여 상기 밴드가 조여지는 동안, 상기 밴드가 상기 제2 v-인서트 부분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 또는 느슨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12. v-밴드 클램프로서,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밴드;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v-밴드 클램프를 조이는데 사용되는 파스너를 포함하는 래치 조립체; 그리고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관형 몸체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상기 밴드의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래치 조립체에 인접한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v-밴드 클램프가 한 쌍의 단부 플랜지에 조여질 때 발생되는 상기 v-인서트 부분과 한 쌍의 단부 플랜지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마찰감소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감소요소는, 상기 래치 조립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다른 것이 상기 밴드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상기 래치 조립체에 인접한 상기 v-인서트 부분을 상기 밴드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둠으로써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은 상기 래치 조립체에 인접한 원주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밴드 아래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마찰감소요소는, 조이는 동안 상기 밴드가 상기 두 개의 부분과는 독립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밴드의 상기 두 개의 부분과의 슬라이딩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감소요소는 상기 래치 조립체에 인접한 상기 v-인서트 부분과 상기 래치 조립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다른 것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래치 조립체에 인접한 상기 v-인서트 부분은 바닥벽,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1 측벽 및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2 측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단면도상으로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래치 조립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밴드의 원주방향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다른 것은 바닥벽,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다른 것의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1 측벽 및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다른 것의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뻗어나온 제2 측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복수의 v-인서트 부분 중의 다른 것의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단면도상으로 제2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의 값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밴드 클램프.

KR1020147002908A 2011-07-04 2012-07-04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 KR101937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04287P 2011-07-04 2011-07-04
US61/504,287 2011-07-04
PCT/US2012/045477 WO2013006659A1 (en) 2011-07-04 2012-07-04 V-band clamp with v-insert seg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010A true KR20140046010A (ko) 2014-04-17
KR101937726B1 KR101937726B1 (ko) 2019-01-11

Family

ID=4743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908A KR101937726B1 (ko) 2011-07-04 2012-07-04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94523B2 (ko)
EP (1) EP2729708B1 (ko)
KR (1) KR101937726B1 (ko)
CN (1) CN103732928B (ko)
WO (1) WO20130066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43B1 (ko) 2015-02-12 2016-06-28 디에스에너텍 주식회사 기밀 부재 일체형 브이 밴드클램프 및 브이 밴드클램프용 기밀 부재 코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65596A1 (en) * 2013-10-16 2015-06-18 Truston Technologies, Inc. Strap and Tensioning Mechanism for Attaching Flotation Modules to Marine Structures, namely Port Security Barriers (PSBs)
CN104179565A (zh) * 2014-08-13 2014-12-03 徐超 一种涡轮增压器分体环型箍带
JP6567307B2 (ja) * 2015-03-27 2019-08-28 株式会社Subaru Vバンド
WO2017095683A1 (en) * 2015-11-30 2017-06-08 Norma U.S. Holding Llc Hose clamp
US10723080B1 (en) * 2016-01-22 2020-07-28 Infiltrator Water Technologies, Llc Making a plastic tank having a weld joint by using a resilient clamp
US9968188B1 (en) 2016-07-11 2018-05-15 Engineered Network Systems, Llc Locking base for tablet stand
KR102291588B1 (ko) 2017-03-07 2021-08-20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센서가 장착된 파이프 클램프 및 파이프 조인트
DE102018111539A1 (de) * 2018-05-15 2019-11-21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JP6983113B2 (ja) * 2018-06-07 2021-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排気系部品締結構造
DE102018116959A1 (de) * 2018-07-12 2020-01-16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US11512737B2 (en) 2019-02-28 2022-11-29 Norma U.S. Holding Llc V-clamp with more evenly distributed clamping load
DE102019109196A1 (de) * 2019-04-08 2020-10-08 Norma Germany Gmbh Flexibel einsetzbare Profilschelle
KR20220040479A (ko) * 2019-07-31 2022-03-30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조인트 조립체, v-클램프 및 단부 플랜지
EP4004384A4 (en) * 2019-07-31 2023-08-16 Norma U.S. Holding LLC FITTING, V-CLAMP, AND END FLANGE ASSEMBLY
DE102020004800A1 (de) 2020-08-07 2022-02-10 Daimler Ag Verbindungsschelle zum Verbinden zweier gegenüberliegender Rohrflansche
US11808293B2 (en) 2021-02-25 2023-11-07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V-band clam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2385A (en) * 1953-03-24 1958-07-08 Aeroquip Corp Band clamp with slip-band constrictor mean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38141A (en) * 1953-03-26 1955-10-05 Marman Products Company Inc Improvements in tube couplings
US2841420A (en) * 1956-04-24 1958-07-01 Aeroquip Corp V-band clamp with clamping band and combined guide and bracing yokes
US3019036A (en) * 1959-02-24 1962-01-30 Gen Electric Retractable flange coupling unit
US3010172A (en) * 1960-03-02 1961-11-28 Poly Ind Inc Integrally reinforced v-band clamp
US3861723A (en) 1973-08-28 1975-01-21 Us Air Force V-band coupling
US4527818A (en) 1981-02-17 1985-07-09 Texaco Inc. Coupling for pipe or tubing
CA2079404A1 (en) 1991-10-09 1993-04-10 Oded Yehezkeli Clamp
JP2000009276A (ja) * 1998-06-24 2000-01-11 Sakamoto:Kk ダクト接続装置
CN2387362Y (zh) * 1999-09-28 2000-07-12 南京晨光东螺波纹管有限公司 低压管道法兰连接用“v”形夹
US7320485B2 (en) * 2003-10-16 2008-01-22 Breeze-Torca Products, Llc V insert edge contour
US7086131B2 (en) * 2004-05-14 2006-08-08 Victaulic Company Deformable mechanical pipe coupling
US20050264010A1 (en) 2004-05-27 2005-12-01 Wagner Wayne M V-band clamp
JP2008531952A (ja) 2005-03-04 2008-08-14 ブリーズ−トルカ・プロダクツ・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Vリングインサートを備えたパイプクランプアセンブリ
US8454056B2 (en) * 2011-07-28 2013-06-04 Senior Investments Gmbh Double strap coup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2385A (en) * 1953-03-24 1958-07-08 Aeroquip Corp Band clamp with slip-band constrictor mea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43B1 (ko) 2015-02-12 2016-06-28 디에스에너텍 주식회사 기밀 부재 일체형 브이 밴드클램프 및 브이 밴드클램프용 기밀 부재 코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6659A1 (en) 2013-01-10
US9194523B2 (en) 2015-11-24
US20130174384A1 (en) 2013-07-11
EP2729708B1 (en) 2019-04-17
CN103732928A (zh) 2014-04-16
EP2729708A1 (en) 2014-05-14
EP2729708A4 (en) 2015-03-11
CN103732928B (zh) 2016-11-09
KR101937726B1 (ko)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6010A (ko) V-인서트 부분을 가진 v-밴드 클램프
EP3557107B1 (en) Gasketed pipe clamp
EP2245358B1 (en) Single-bolt band clamp with gasketed center rib and pipe lap joint using the same
CA2675571C (en) Stepped ball joint pipe clamp and pre-attachment components therefor
US8210575B2 (en) Band clamp with embossed gasket for slotted pipe lap joints
CA2582537C (en) Pipe lap joint with improved sealing slot for increased circumferential closure
US9976678B2 (en) Clamp
US10767794B2 (en) Clamp
US20200123961A1 (en) Clamp
CA2999727C (en)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