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026A - Pioet door opening and colsing apparatus for automatic dispenser - Google Patents

Pioet door opening and colsing apparatus for automatic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026A
KR20140045026A KR1020120111042A KR20120111042A KR20140045026A KR 20140045026 A KR20140045026 A KR 20140045026A KR 1020120111042 A KR1020120111042 A KR 1020120111042A KR 20120111042 A KR20120111042 A KR 20120111042A KR 20140045026 A KR20140045026 A KR 20140045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tte
door opening
closing device
do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0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억
김정도
손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오텍
Priority to KR102012011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5026A/en
Publication of KR2014004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0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74Details of actuating means for conveyors or pipet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n automatic dispenser.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n automatic dispen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ipette module which has a plurality of dispensing units equipped with pipettes for sucking in and dispensing liquid reagents and samples. The sliding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pening and closing in linking with the operating state of a pipette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pipette module. A detachably liquid receiving unit is installed in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prevent the spread of contaminants by receiving liquid leaking from the pipette when the dispenser transfers.

Description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pioet door opening and colsing apparatus for automatic dispenser}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utomatic dispenser

본 발명은 액상의 시약, 샘플 등을 자동으로 흡입, 분주하는 자동 분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주장치의 파이펫 모듈 하부에 파이펫의 작동상태와 연동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된 슬라이드 방식의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에 착탈식 액체수납부를 설치하여 분주장치의 이동 중에 파이펫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납하여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 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automatically inhaling and dispensing a liquid reagent, a sample,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a slide method in which the pipette module of the dispensing device is opened or closed in association with an operation state of a pipett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installed removable liquid pipette for automatic dispensing device to store the liquid leaked from the pipette during the dispensing device to prevent the spread of pollution source It relates to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혈액, 객담, 생체조직, 세포배양액 등의 검체를 핵산의 분리정제, 유전자 증폭, 염기서열 분석, 면역형광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분석하기 위해 시험관내에 들어 있는 피시험액체(이하 샘플) 및 다수의 분석용 시약을 검사단계에 따라 분석장치에 공급하는 자동 분주장치가 이용되고 있다.Test liquids (samples) and a large number of test liquids (samples) contained in vitro to analyze blood, sputum, biological tissue, and cell culture fluids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nucleic acid isolation, purification, gene amplification, sequencing, and immunofluorescence.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for supplying an analytical reagent to an analytical device according to an inspection step is used.

상기 자동 분주장치는 액상의 시약, 샘플을 흡입, 분주하기 위한 파이펫이 장착되는 분주유닛 다수를 갖는 파이펫 모듈이 구비된다.The automatic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ipette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dispensing units equipped with a pipette for aspirating and dispensing a reagent of a liquid phase.

이때, 상기 파이펫 모듈은 분주유닛을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장치와, 상기 파이펫 내외부로의 액체 흡입, 분주를 조정하는 분주조정장치가 더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pipette module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d dispensing the dispensing unit, and a dispensing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liquid suction, dispensing into and out of the pipett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분주장치는 분주장치의 이동 중에 파이펫의 흡입 액체가 누설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샘플 상호간에 교차오염을 유발하거나 분주장치의 위생관리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dispensing apparatus of the prior art may leak the suction liquid of the pipette during the movement of the dispensing apparatus, which causes cross contamination between samples or makes it difficult to manage hygiene of the dispensing apparatus.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분주장치의 파이펫 모듈 하부에 파이펫의 작동상태와 연동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된 슬라이드 방식의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에 착탈식 액체수납부를 설치하여 분주장치의 이동 중에 파이펫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납하여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 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slide type to be opened or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state of the pipette in the pipette module lower portion of the dispensing device, the pip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which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liquid storage unit in the pet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store liquid leaked from the pipette during the movement of the dispensing device to prevent the spread of a pollutant sourc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액상의 시약, 샘플을 흡입, 분주하기 위한 파이펫이 장착되는 다수의 분주유닛을 갖는 파이펫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파이펫 모듈 하부에 파이펫의 작동상태와 연동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된 슬라이드 방식의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에 착탈식 액체수납부를 설치하여 분주장치의 이동 중에 파이펫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납하여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pipette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dispensing unit is equipped with a pipette for aspirating and dispensing a liquid reagent, a sample, the pipette of the lower part of the pipette module Install a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slide type to be opened or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state, but a removable liquid storage unit is installed in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store liquid leaked from the pipette during the dispensing device to contaminate the sourc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utomatic dispensing device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spreading.

또한, 상기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는, 파이펫 모듈의 본체 하부에 레일부를 이용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이펫 도어; 상기 파이펫 도어의 바닥부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체수납부; 및 파이펫의 승하강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파이펫 도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pipette door which is installed to be slidable using the rail portion in the lower body of the pipette module; A liquid storage unit detachably coupled to a center of a bottom portion of the pipette door; And an actuator configured to slide the pipette door in association with a rising and falling signal of the pipette.

또한, 상기 레일부는, 파이펫 모듈 본체 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결합됨과 아울러 파이펫 도어를 탑재하여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레일블록;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ail unit, a guide rail coupled to the pipette module body side; And a rail block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configured to slide by mounting a pipette door.

이때, 상기 파이펫 도어는, 레일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 상기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부; 액체수납부를 착탈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 중앙을 폭 방향으로 절개한 개구부; 및 상기 측벽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스크류 결합부;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pipette door, a pair of side walls coupled to the rail portion; A bottom portion connecting the sidewalls; An opening cut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bottom to detachably couple the liquid storage part; And a screw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wall.

또한, 상기 액체수납부는, 파이펫 도어의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파이펫에서 누설된 액체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liquid storage unit forms a body coupled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pipette door, and forms a storage space for receiving the liquid leaked from the pipet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이때, 상기 수납공간에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흡수패드를 설치한다.In this case, an absorption pad made of a super absorbent polymer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또한,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파이펫 관통공이 평행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ipette through-hole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in parallel.

또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부에 손잡이부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또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파이펫 도어의 개구부와의 결합을 안내하는"ㄷ"자 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는 가이드 날개를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guide wings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 shape to guide the coupling with the opening of the pipette door on both longitudinal sides of the bod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분주장치의 파이펫 모듈 하부에 파이펫의 작동상태와 연동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된 슬라이드 방식의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에 착탈식 액체수납부를 설치하여 분주장치의 이동 중에 파이펫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납하여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위생적이며, 액체수납부를 착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청소가 간편한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slide type to be opened or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state of the pipette in the pipette module lower portion of the dispensing device,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By attaching a detachable liquid storage unit at the same time, the liquid leaked from the pipette during the movement of the dispensing device is prevented from spreading the contaminant source, which is hygienic and the liquid storage unit is detachably formed, so that the cleaning is easy.

또한, 본 발명은 파이펫이 장착되는 분주유닛 각각에 파이펫의 승강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터를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별도의 액츄에이터로 파이펫에 연결된 실린지를 미세 구동시킴으로써, 파이펫 각각의 승강이동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실린지에 연결된 액체의 양을 미세하게 정밀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ctuator for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ipette in each of the dispensing unit to which the pipette is mounted, by finely driving a syringe connected to the pipette with a separate actuator, the lifting movement of each pipette is independent While making it 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amount of liquid connected to the syrin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투시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요부투시좌측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파이펫 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8은 승강이동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9는 팁카트리지 장착부 및 실험체 장착부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다른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의 액체수납부 분리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수납부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FIG.
3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
Figure 4 is a left side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5 is a plan view of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ipette modul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operating state of Figure 6;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ifting device;
9 is a main por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ip cartridge mounting portion and the test specimen mounting portion is mov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quid storage unit separating structure of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quid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면을 참조로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부호상의 a, 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중, 구조적, 기능적으로 상호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상호 구분하여 표기한 것으로, 각각의 도면부호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제1, 2실시예 중 하나에 해당되는 특정한 구조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and b on the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correspond to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re represented separately.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tructure corresponding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고, 도 2, 3, 4, 5는 각각 도 1의 요부투시정면도, 우측면도, 요부투시좌측면도, 평면도이다. 도면에 표시된 A, B, C, D, E, F 방향은 각각 좌, 우, 전, 후, 상, 하 방향을 각각 지시한다.1 is a main part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3, 4, and 5 are respectively a front perspective view, a right side view, a left side perspective view of FIG. Shaving, top view. A, B, C, D, E, and F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indicate left, right, front, back, up, and down directions, respectively.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는, 크게 파이펫 모듈(200a), 클램프 모듈(300), 이송장치(도면부호 미표기)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1 to 5,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 pipette module 200a, a clamp module 300, a transfer device (not shown) It has a structure.

상기 파이펫 모듈(200a)은, 액상의 시약, 샘플을 흡입, 분주하기 위한 파이펫(10)이 장착되는 분주유닛(210a) 다수가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분주유닛(210a)을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장치(220a)와, 상기 파이펫(20) 내외부로의 액체 흡입, 분주를 조정하는 분주조정장치(230a)가 구비된다.The pipette module 200a is a componen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pensing units 210a on which a pipette 10 is mounted to suck and dispense a liquid reagent and a sample. Lifting and moving device (220a) and the dispensing adjusting device (230a) for adjusting the liquid suction, dispensing into and out of the pipette 20 is provided.

상기 분주유닛(210a)은 하나의 상기 파이펫(10)에 연결된 상기 승강이동장치(220a), 분주조정장치(230a), 상기 파이펫(10)이 장착되는 파이펫장착구(212), 상기 승강이동장치(220a), 분주조정장치(230a)를 결합가능한 기준골조를 제공하는 유닛본체(211a) 등으로 구성된 단위조립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파이펫(10) 다수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분주유닛(210a) 또한 그 갯수에 비례하여 다수가 구비된다.The dispensing unit 210a is a pipette fitting 212 in which the elevating movement device 220a, the dispensing adjusting device 230a, and the pipette 10 connected to one pipette 10 are mounted. Refers to a unit assembly composed of a lifting unit 220a, a unit body 211a, etc., which provides a reference frame capable of combining the dispensing adjusting device 230a, and the pipette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unit 210a is also provided with a plurality in proportion to the number.

도 8은 상기 승강이동장치(220a)의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elevating movement device 220a.

상기 승강이동장치(220a)는, 상기 분주유닛(210a) 각각에 구비된 제1액츄에이터(223a)에 의해 다수의 상기 분주유닛(210a, 210b)을 개별적으로 승강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8을 참조하면, 실린더부재(221)와, 제1가이드바(222a)를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The lifting movement device 220a is a component for individually lifting and moving the plurality of dispensing units 210a and 210b by the first actuator 223a provided in each of the dispensing units 210a. For reference, the cylinder member 221 has a structure including the first guide bar 222a.

상기 제1액츄에이터(223a)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개시되는 액츄에이터(actuator)는 신호처리기의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나 수단, 즉,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기(作動器), 또는 명령신호에 따라서 작동하는 집행기(執行器)를 통칭하는 것으로, 전기모터, 유압모터 등의 구동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An actuator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first actuator 223a is an apparatus or means for performing an operation in response to a signal of a signal processor, that is, an actuator for performing an operation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A general term for an executive device that operates according to a commander or a command signal, and may be configured as a driving device such as an electric motor or a hydraulic motor.

상기 제1액츄에이터(223a)는 유압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유닛본체(211a)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221)는, 피스톤부(도면부호 미표기)와 실린더부(도면부호 미표기) 상호간의 변위에 따라 전체 길이가 신축되는 구성을 가지고, 상측의 상기 제1액츄에이터(223a)와, 하측의 상기 파이펫장착구(212)에 상,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다.The first actuator (223a) is composed of a hydraulic motor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body (211a), the cylinder member 221, the piston portion (not shown) and the cylinder portion (not shown)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coupled to the first actuator 223a on the upper side and the pipette fitting 212 on the lower side, respectively.

상기 제1액츄에이터(223a)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재(221) 내부에 가압력이 발생되면 상기 실린더부재(221)의 전체 길이가 신장되면서 상기 파이펫장착구(212)가 하강되고, 상기 실린더부재(221) 내부에 감압력이 발생되면, 상기 실린더부재(221)의 전체 길이가 축소되면서 상기 파이펫장착구(212)가 상향이동된다. When a press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cylinder member 221 by the driving of the first actuator 223a, the pipette fitting 212 is lowered while the entire length of the cylinder member 221 is extended, and the cylinder member is lowered. When the decompression force is generated inside the 221, the entire length of the cylinder member 221 is reduced and the pipette fitting 212 moves upward.

상기 제1가이드바(222a)는, 상기 파이펫장착구(212)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액츄에이터(223a)가 고정설치된 상기 유닛본체(211a)상에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파이펫장착구(212)에는 상기 제1가이드바(222a)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는 슬라이더(도면부호 미표기)가 장착된다.The first guide bar 222a is a component for guiding the shanghai-dong of the pipette fitting 212, and is composed of a linear motion guide or the like to fix the first actuator 223a. It is installed to extend up and down on the installed unit body 211a, the pipette mounting opening 212 is equipped with a slider (not shown) for linear movement along the first guide bar 222a.

상기 파이펫(10)을 하단부에 전도성 소재(예를 들어, 탄소 등)로 구성된 팁(도면부호 미표기)을 형성하고, 상기 팁의 정전기를 감지하는 정전센서를 구비하면, 상기 파이펫(10)의 하단이 시험관(도면부호 미표기) 내부의 액체 표면에 접촉되는 순간의 상기 팁의 정전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If the pipette 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ip (not shown)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carbon, etc.), and provided with an electrostatic sensor for sensing the static electricity of the tip, the pipette 10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static change of the tip at the moment when the bottom of the contact with the liquid surface inside the test tube (not shown).

이에 따라, 압력감지장치, 광센서, 초음파를 이용하는 울트라소닉 센서(ultrasonic sensor)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전압, 전위 등을 감지하는 간단한 구조의 상기 정전센서만을 이용해 액체의 표면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이동장치(220a)를 이용해, 액체의 표면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파이펫(10) 각각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rface position of the liquid can be accurately detected using only the electrostatic sensor having a simple structure for detecting voltage and potential, without using a pressure sensor, an optical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using ultrasonic waves. In addition, by using the lifting device 220a,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ipettes 10 may be individually adjusted based on the surface position of the liquid.

도 6은 상기 파이펫 모듈(200a)의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6 is a main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ipette module 200a, and FIG. 7 is a main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operating state of FIG. 6.

상기 분주조정장치(230a)는, 제2액츄에이터(233a)를 이용하여 다수의 상기 분주유닛(210a) 각각에 구비되는 다수의 실린지(213a)에 연결된 상기 파이펫(10) 내부의 액체의 양을 조정하는 구성요소로, 도 4, 6, 7을 참조하면, 고정베이스(231), 이동베이스(232), 제2볼스크류(234a), 제2리니어부쉬(235a)가 구비된다.The dispensing adjusting device 230a uses the second actuator 233a to provide the amount of liquid in the pipette 1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yringes 213a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dispensing units 210a, respectively. 4, 6, and 7, the fixed base 231, the movable base 232, the second ball screw 234a, and the second linear bush 235a are provided.

상기 제2액츄에이터(233a)는 유압모터로 구성되어, 다수의 상기 분주유닛(210a)을 함께 전후, 좌우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의 이송암(110a)(이하 설명) 또는 상기 이송암(110a)에 결합되는 상기 파이펫 모듈(100)의 기본골조상에 고정설치된다.The second actuator 233a is composed of a hydraulic motor, the transfer arm 110a (described below) or the transfer arm 110a of the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plurality of dispensing units 210a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together. It is fixed to the basic skeleton of the pipette module 100 is coupled to.

상기 고정베이스(231)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233a)와 이격간격을 두고, 상기 이송암(110a) 또는 상기 이송암(110a)에 결합되는 상기 파이펫 모듈(100)의 기본골조상에 고정설치된다.The fixed base 231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ctuator 233a and fixed on the basic frame of the pipette module 100 coupled to the transfer arm 110a or the transfer arm 110a. Is installed.

상기 실린지(213a)는, 공기 등의 내부 흡입, 토출에 의해, 상기 실린지(213a)와 연결된 상기 파이펫(10) 내부로의 액체의 흡입, 토출을 연동하여 조정하게 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파이펫(10) 각각에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베이스(231)상에 고정설치된다.The syringe 213a is a component that adjusts the suction and discharge of liquid into the pipette 10 connected to the syringe 213a by internal suction and discharge of air. A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ipettes 10 is provided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fixed base 231.

상기 실린지(213a, 213b) 각각에 결합된 다수의 피스톤은 상기 이동베이스(232)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동베이스(232)는, 상호 일정한 상대거리를 유지하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233a)와 고정베이스(231) 사이에서, 상기 제2볼스크류(234a)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로 직선이동하게 된다.A plurality of pistons coupled to each of the syringes 213a and 213b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moving base 232, and the moving base 232 is provided with the second actuator 233a for maintaining a constant relative distance to each other. Between the fixed base 231, the linear movement is moved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ball screw (234a).

상기 제2볼스크류(234a)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233a)에 연동회전되며, 상기 제2리니어부쉬(235a)는 상기 이동베이스(232)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볼스크류(234a)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2볼스크류(23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직선이동하게 된다.The second ball screw 234a is interlocked with the second actuator 233a, and the second linear bush 235a is coupled to the movable base 232 in the second ball screw 234a.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ball screw 234a is linearly moved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 실린지(213a)는, 상기 실린지(213a)에서 상기 파이펫(10)까지의 직선거리에 해당되는 짧은 길이를 가지는 튜브(237)에 의해, 상기 파이펫(10)과 연결되어, 상기 튜브(237)에 의한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스쳄플루이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리퀴드라인과 피팅 등의 유지보수가 불필요하다.The syringe 213a is connected to the pipette 10 by a tube 237 having a short length corresponding to a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syringe 213a to the pipette 10. Pressure loss due to the tube 237 can be minimized, and since maintenance fluids are not used, maintenance such as liquid lines and fittings is unnecessary.

상기 제2액츄에이터(233a)의 구동에 의해, 상기 실린지(213a) 내부 공간이 확장 또는 축소 변형되며, 해당 변형량에 해당되는 만큼 상기 파이펫(10) 내외부로의 액체의 흡입,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inner space of the syringe 213a is expanded or reduced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actuator 233a, and the suction and discharge of the liquid into and out of the pipette 10 are performed as much as the corresponding deformation amount. do.

상기 파이펫(1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 액체, 공기 등의 누설에 의한 압력 손실, 막힘(clogging)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정확한 양을 흡입 또는 분주할 수 있다.A pressure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pressure inside the pipette 10 is provided, and when the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is monitored in real time, pressure loss due to leakage of liquid, air, clogging, etc. This can be detected and the correct amount can be aspirated or dispensed.

도 6,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다수의 상기 분주유닛(210a)을 전후측으로 이동시키는 간격조정장치(도면부호 미표기)가 구비되며, 상기 간격조정장치는 제3액츄에이터(243a), 제3볼스크류(244a), 제3리니어부쉬(245a), 다수의 링크바(241), 제3가이드바(242a)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6 and 7,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acing adjusting device (not shown) for moving the plurality of dispensing units 210a forward and backward, the spacing adjusting device is a third actuator (243a) , The third ball screw 244a, the third linear bush 245a, the plurality of link bars 241, and the third guide bar 242a.

상기 제3액츄에이터(243a)는 전기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장치의 이송암(110a) 내지 상기 파이펫 모듈(100)의 기본골조상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3볼스크류(244a)는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3액츄에이터(243a)에 연동회전된다.The third actuator (243a) is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is fixed to the basic frame of the transfer arm (110a) to the pipette module 100 of the transfer device, the third ball screw (244a) in front and rear It is installed to extend, and is interlocked with the third actuator (243a).

상기 제3리니어부쉬(245a)는,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상기 유닛본체(211a) 중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3볼스크류(244a)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3볼스크류(24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The third linear bush 245a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unit bodies 211a disposed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third ball screw 244a of the third ball screw 244a. It moves linearly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링크바(241)는, 3개의 상기 유닛본체(211a)를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경사지게 가로질러 설치되되, 3개의 상기 유닛본체(211a)에 해당되는 3개소에서 각각 힌지결합되는 다수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링크바(241)는 단부가 다수의 상기 유닛본체(211a) 각각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link bar 241 is installed across the three unit body 211a inclined sequentially from one sid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inged at each of three places corresponding to the three unit body 211a, The plurality of link bars 241 are disposed in parallel in the same direction while the ends are sequentially position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bodies 211 a.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3액츄에이터(243a)가 정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면, 상기 제3볼스크류(244a)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3리니어부쉬(245a) 및 다수의 상기 유닛본체(211a) 중 하나가 상기 제3볼스크류(244a)를 따라 D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third actuator 243a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6, the third ball screw 244a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third linear bush 245a and the plurality of the One of the unit bodies 211a is moved along the third ball screw 244a in the D direction.

다수의 상기 유닛본체(211a) 중 하나가 D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다수의 유닛본체(211a)가 상기 다수의 링크바(241)에 상호 링크되어 있어, 상기 링크바(241)의 세로방향(상하로 보다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유닛본체(211a)는 등간격을 유지하며 D방향으로 이동, 근접하게 된다.Even if one of the plurality of unit bodies 211a moves in the D direction, the plurality of unit bodies 211a are mutually linked to the plurality of link bars 241,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k bar 241 ( As shown in FIG. 7, the plurality of unit bodies 211a move and move in the D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ame interval as shown in FIG. 7.

상기 제3액츄에이터(243a)를 역방향 구동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유닛본체(211a)이 등간격을 유지하며 C방향으로 이동, 이격되며, 상기 제3가이드바(242a)는 상기 유닛본체(211a) 다수를 전후방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상기와 같은 상기 유닛본체(211a)의 전후방이동을 직선경로로 가이드한다.When the third actuator 243a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7, as shown in FIG. 6, the plurality of unit bodies 211a move in the C direction while being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The third guide bar 242a is installed across the unit body 211a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gui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unit body 211a as a straight path.

상기 다수의 유닛본체(211b)는,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파이펫(10)이 장착되는 파이펫장착구(212)가 우측부에 결합된 구조로 전후방으로 배열되는 좌측배열부(L)와, 상기 파이펫장착구(212)가 좌측부에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좌측배열부(L)에 대해 상대적으로 우측에서 전후방으로 배열되는 우측배열부(R)로 구분하여 다수열로 배치하면서 상기 다수의 파이펫(10)을 일렬로 배치시킬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unit bodies 211b may be arranged in a line, but the left arrangement part L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ipette fitting 212 on which the pipette 10 is mounted is coupled to the right part. ) And the pipette mounting holes 212 have a structure coupled to the left side, and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by dividing the pipette mounting portion 212 into a right side arrangement portion R arranged in a rightward and backward direction relative to the left side arrangement portion L. FIG. The pipettes 10 may be arranged in a line.

상기 좌측배열부(L)상의 유닛본체(211b)와 우측배열부(R)상의 유닛본체(211b)는 교대로 배열되어, 상기 좌측배열부(L)상의 유닛본체(211b)간에는 상기 우측배열부(R)상의 유닛본체(211b)의 전후방 너비에 해당되는 만큼의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이동장치(220a) 등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The unit body 211b on the left side array portion L and the unit body 211b on the right side array portion R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right side array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unit bodies 211b on the left side array portion L. As much as the free space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unit body (211b) on (R),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nstallation space for installing the lifting and moving device (220a).

상기 파이펫 모듈(200)이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좌우, 전후, 또는 상하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반동, 진동, 중력 등에 의해 상기 파이펫(10) 내부에서 누설된 액체가 작업대(40)측으로 낙하되어, 상기 작업대(40)에 놓인 샘플, 시약, 용기 등을 오염시킬 수 있다. In the process in which the pipette module 200 is transferred to the left, right, front, and bottom by the transfer device, the liquid leaked from the inside of the pipette 10 due to recoil, vibration, gravity, etc. falls down to the work table 40. Thus, the sample, reagent, container, etc. placed on the worktable 40 may be contaminated.

도 2, 6, 7, 10, 11,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상기와 같이 상기 파이펫(10) 내부에서 누설된 액체가 작업대(40)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260)가 구비된다.2, 6, 7, 10, 11, 1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tte door to prevent the liquid leaked from the inside of the pipette 10 to fall to the work table 40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260 is provided.

상기 낙하방지장치(260)는 상기 파이펫 모듈(200a) 하부에 파이펫(10)의 작동상태와 연동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된 슬라이드 방식의 도어 개폐장치구조를 갖는다.The drop preventing device 260 has a slid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tructure to be opened or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state of the pipette 10 under the pipette module 200a.

이와 같은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260)에는 착탈식 액체수납부(265)를 설치하여 분주장치의 이동 중에 파이펫(10)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납하여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60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liquid storage unit 265 to accommodate the liquid leaking from the pipette 10 during the dispensing device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source from spreading.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260)는, 파이펫 모듈(200a)의 본체 하부에 레일부(261)를 이용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파이펫 도어(263)가 설치되고, 상기 파이펫 도어(263)의 바닥부(263b)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액체수납부(265)가 결합되며, 파이펫(10)의 승하강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파이펫 도어(263)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하는 액츄에이터(267)가 구비된다.
10 to 12,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tte door 263 to be slidable by using the rail portion 261 under the body of the pipette module 200a. Is installed, the liquid storage unit 26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263b of the pipette door 263, the pipette door 263 in conjunction with the lifting signal of the pipette 10 Is provided with an actuator 267 to slide).

상기 레일부(26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레일부(261)는 파이펫 모듈(200a) 본체 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61a) 및 상기 가이드레일(161a) 상에 결합됨과 아울러 파이펫 도어(263)를 탑재하여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레일블록(261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said rail part 261 is demonstrated as follows. The rail unit 261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161a and the guide rail 161a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pipette module 200a and a rail block mounted on the pipette door 263 to slide. 261b).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261a)은 LM가이드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레일블록(261b)은 1개의 가이드레일(161a) 상에 복수 개가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an LM guide may be used for the guide rail 261a, and the rail block 261b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rails 161a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파이펫 도어(26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파이펫 도어(263)는 레일부(261)와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263a)이 형성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ipette door 263 is as follows. The pipette door 263 has a pair of sidewalls 263a that are coupled to the rail portion 261.

이때, 상기 측벽(263a)은 파이펫 모듈(200a)의 몸체 양측에 레일부(261)를 이용해 결합되며, 상기 측벽(263a) 사이를 바닥부(263b)로 연결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ide wall 263a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of the pipette module 200a by using the rail part 261, and the side wall 263a is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263b.

이때, 상기 바닥부(263b)에는 액체수납부(265)를 착탈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263b) 중앙을 폭 방향으로 절개한 개구부(263c)를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bottom portion 263b is formed with an opening 263c cut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263b in order to detachably couple the liquid storage portion 265.

그리고, 상기 측벽(263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스크류 결합부(263d)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크류 결합부(263d)는 스크류 축부재(267a)와 나선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측벽(263a) 끝단을 절곡시켜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crew coupling portion 263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wall 263a, and the screw coupling portion 263d is formed so as to be helically coupled with the screw shaft member 267a, the end of the side wall 263a. It can be bent to form a one-piece.

그리고, 상기 액체수납부(265)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액체수납부(265)는 파이펫 도어(263)의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파이펫에서 누설된 액체를 수납하는 수납공간(265b)을 형성하게 된다.Next, the liquid storage unit 265 will be described. The liquid storage part 265 forms a body coup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ipette door 263 and forms a receiving space 265b for storing the liquid leaked from the pipet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이때, 상기 수납공간(265b)은 몸체를 함몰시켜 직사각 형태의 공간을 마련하는 형태로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storage space (265b)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providing a rectangular space by recessing the body.

이때, 상기 수납공간(265b)에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흡수패드(265c)를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an absorption pad 265c made of a super absorbent polymer may b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65b.

이와 같은 흡수패드(265c)는 파이펫(10)에서 누수된 액체를 신속하게 흡수함으로써, 파이펫 모듈(200a)의 이동시 진동에 의해 액체가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absorbent pad 265c quickly absorbs the liquid leaked from the pipette 10, thereby preventing the liquid from being scattered to the surroundings by vibrating when the pipette module 200a moves.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265b)의 일측에 파이펫 관통공(265e)이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pette through-hole 265e may be formed i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265b in parallel.

또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부에 손잡이부(265d)를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손잡이부(265d)는 액체수납부(265)를 파이펫 도어(263) 측에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액체수납부(265)를 밀거나 잡아끌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265d)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he handle portion (265d) is the operator when the liquid storage unit 265 is coupled or separated on the pipette door 263 side To hold by hand to push or pull the liquid storage unit 265.

그리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파이펫 도어(263)의 개구부(263c)와의 결합을 안내하는"ㄷ"자 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는 가이드날개(265a)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guide wings 265a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having a “c” shape for guiding engagement with the opening 263c of the pipette door 263 may be formed on both longitudinal side surfaces of the body.

이와 같은 가이드날개(265a)의 "ㄷ"자 홈에 파이펫 도어(263) 측의 개구부(263c) 양측단면이 삽입 안내된다.
Both end surfaces of the opening 263c on the pipette door 263 side are inserted and guided into the "c" shaped groove of the guide blade 265a.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267)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액츄에이터(267)는 파이펫(10)의 승하강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파이펫 도어(263)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스탭핑모터가 이용될 수 있다.The actuator 267 will now be described. The actuator 267 relates to a configuration for sliding the pipette door 263 in association with a rising and falling signal of the pipette 10, and a stepping motor may be used.

이와 같은 스탭핑모터의 회전축에 스크류 축부재(267a)가 결합되어 회전하게 된다.The screw shaft member 267a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tepping motor to rotate.

이때, 상기 스탭핑모터는 정역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 축부재(267a)의 축 상에 나선 결합되는 스크류 결합부(263d) 즉, 파이펫 도어(263)의 전,후진 방향이 전환된다.At this time, the stepping motor is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the screw coupling portion 263d that is helically coupled on the shaft of the screw shaft member 267a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that is,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pipette door 263 Is switched.

예컨대, 파이펫(10)의 하강시에는 수납공간(265b)이 개방 위치로 이동되도록 파이펫 도어(263)를 전진(또는 후진)시키게 되며, 파이펫(10)의 승강시에는 수납공간(265b)이 파이펫(10) 하부에 위치되도록 파이펫 도어(263)를 후진(또는 전진)시키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pipette 10 descends, the pipette door 263 moves forward (or backward) so that the storage space 265b moves to an open position, and when the pipette 10 moves up and down, the storage space 265b. ) Is reversed (or advanced) the pipette door 263 to be positioned below the pipette 10.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분주장치의 파이펫 모듈 하부에 파이펫의 작동상태와 연동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된 슬라이드 방식의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에 착탈식 액체수납부를 설치하여 분주장치의 이동 중에 파이펫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납하여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slide type to be opened or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pipette operating state of the pipette module of the dispensing device, the removable liquid storage in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By installing the part to accommodate the liquid leaking from the pipette during the movement of the dispensing devic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polluta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hygienic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은 액체수납부를 착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청소가 간편한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leaning is easy by forming the liquid storage portion detachably.

상기 클램프 모듈(300)은, 상기 작업대(40)상에 놓인 웰 플레이트(20)를 파지하는 클램프(320)가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이송암(110a)상에 승강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판(310)과, 상기 승강판(310)에 결합된 상태로 집게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클램프(320)가 구비된다.The clamp module 300 is a component that is provided with a clamp 320 for holding the well plate 20 placed on the work table 40, the lifting module is coupled to the lifting arm 110a A steel plate 310 and a clamp 320 to perform a tong function in a state coupled to the lifting plate 310 is provided.

상기 클램프(320)는, 전후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승강판(310) 하부에 결합되는 한쌍의 이동바(321)와, 상기 다수의 이동바(321) 중 일측의 전단부와 타측의 후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이동바(321)의 길이방향 이동에 의해 상호간의 이격간격이 조정되는 한쌍의 클램프판(322)으로 구성된다.The clamp 320 includes a pair of moving bars 321 coupled to the lifting plate 310 and having a length of extens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 front end of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moving bars 321 and the rear of the other side. It is coupled to the end, respectively, is composed of a pair of clamp plate 322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movement bar 321.

상기 이동바(321)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면, 상기 액츄에이터의 정방향,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한쌍의 클램프판(322)판을 상호 인접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웰 플레이트(20)를 집거나 놓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If an actua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moving bar 321 is provided separately, the pair of clamp plates 322 are mov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forward and reverse driving of the actuator. An operation of picking up or placing the well plate 20 may be performed.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파이펫 모듈(200a)과 클램프 모듈(300)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상기 이송암(110a)과, 상기 이송암(110a)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장치(120)와, 상기 이송암(110a)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전후이송장치(130)와, 상기 파이펫 모듈(200a)과 클램프 모듈(300)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상하이송장치(140a)로 구성된다.The transfer apparatus includes a transfer arm 110a to which the pipette module 200a and the clamp module 300 are selectively mounted, and a left and right transfer apparatus 120 for transferring the transfer arm 110a from side to side, It is composed of a forward and backward transfer device 130 for transferring the transfer arm (110a) back and forth, and a shanghai transfer device (140a) for transferring the pipette module 200a and the clamp module 300 up and down.

상기 이송암(110a)은, 다수의 상기 분주유닛(210a)이 구비되는 상기 파이펫 모듈(200a), 또는 상기 클램프(320)가 구비되는 클램프 모듈(300)을 장착가능한 골조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좌우이송장치(120), 전후이송장치(130)이 작동하면, 상기 이송암(110a)에 결합된 상기 파이펫 모듈(200a) 또는 클램프(320)가 상기 이송암(110a)과 동일변위로 좌우, 전후로 이송된다.The transfer arm 110a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frame to which the pipette module 200a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pensing units 210a or the clamp module 300 provided with the clamp 320 are mounted. As such, when the left and right transfer apparatus 120 and the front and rear transfer apparatus 130 operate, the pipette module 200a or the clamp 320 coupled to the transfer arm 110a is the same as the transfer arm 110a. It is conveyed from side to side and back and forth by displacement.

상기 이송암(110a,110b)의 전,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길이를 가지는 수직프레임(121)이 상기 작업대(40)상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21)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수평프레임(122)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22)은 상기 작업대(40) 상측의 공중에 위치하게 된다.A vertical frame 121 having an extensio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transfer arms 110a and 110b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ork table 40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bove the vertical frame 121. The horizontal frame 122 having a length is installed, the horizontal frame 122 is located in the air above the work table (40).

상기 수평프레임(122)은 전, 후측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이송암(110a)이 결합되는 브리지(112)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한쌍의 상기 수평프레임(122)에 양단부가 걸쳐지게 설치되고, 상기 브리지(112)상에는 상기 브리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111)가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111)의 하부에는 상기 이송암(110a)이 결합된다. The horizontal frame 122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ont and rear, and the bridge 112 to which the transfer arm 110a is coupled has a shape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22 are installed on the pair of horizontal frames 122. On the bridge 112, the slider 111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112,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r 111 is coupled to the transfer arm (110a).

상기 좌우이송장치(120)는, 한쌍의 샤프트(124), 제5타이밍벨트(126), 제5액츄에이터(미도시), 좌우가이더(127)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22)상에서 상기 브리지(112) 및 상기 이송암(110a)를 좌우로 이동시킨다.The left and right conveying apparatus 1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hafts 124, a fifth timing belt 126, a fifth actuator (not shown), left and right guiders 127, the bridge on the horizontal frame 122 112 and the transfer arm (110a) is moved left and right.

상기 샤프트(124)는, 상기 수평프레임(122)의 좌, 우측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5타이밍벨트(126)는, 상기 한쌍의 샤프트(124)에 좌, 우측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5액츄에이터에 연동하여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브리지(112)는 상기 제5타이밍벨트(126) 중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5타이밍벨트(126)의 이동변위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The shaft 124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122, respectively, the fifth timing belt 126, the left and right ends are coupled to the pair of shafts 124, respectively, It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n conjunction with a fifth actuator, the bridge 11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fth timing belt 126 to the left and right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fifth timing belt 126. Will move.

상기 제5액츄에이터는, 상기 샤프트(124) 또는 제5타이밍벨트(126)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한쌍의 샤프트(124) 중 일측 또는 상기 제5타이밍벨트(126)의 일측부에 결합, 접속되게 설치되며, 상기 좌우가이더(127)는, 상기 브리지(112)의 좌우 이동을 직선경로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22)상에 좌우로 연장되게 설치된다.The fifth actuator is one side of the pair of shafts 124 or one side of the fifth timing belt 126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the shaft 124 or the fifth timing belt 126. It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guider 127 is installed to extend left and right on the horizontal frame 122 to guid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ridge 112 in a straight path.

상기 전후이송장치(130)는, 제6액츄에이터(133), 제6볼스크류(134), 제6리니어부쉬(135), 전후가이더(137)를 구비하여, 상기 브리지(112)상에서 상기 슬라이더(111)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킨다.The front and rear conveying apparatus 130 includes a sixth actuator 133, a sixth ball screw 134, a sixth linear bush 135, and a front and rear guider 137. 111) move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제6액츄에이터(133)는, 상기 브리지(112)상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6볼스크류(134)는, 상기 브리지(112)상에 전후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6액츄에이터(133)에 연동회전되며, 상기 제6리니어부쉬(135)는, 상기 제6볼스크류(134)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6볼스크류(1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직선이동된다.The sixth actuator 133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ridge 112, and the sixth ball screw 134 is installed to extend back and forth on the bridge 112, and to the sixth actuator 133. The sixth linear bushing 135 is linearly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xth ball screw 134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ixth ball screw 134.

상기 제6리니어부쉬(135)는, 상기 슬라이더(111)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111)는 상기 제6리니어부쉬(135)와 동일변위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전후가이더(137)는 상기 슬라이더(111)의 전후방 이동을 직선경로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브리지(112)상에 전후로 연장되게 설치된다.The sixth linear bushing 135 is coupled to the slider 111 so that the slider 111 moves at the same displacement as the sixth linear bushing 135, and the front and rear guiders 137 move the slider. It is installed to extend back and forth on the bridge 112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111) in a straight path.

상기 상하이송장치(140a, 140b)는, 제7액츄에이터(143a, 143b), 제7볼스크류(144a, 144b), 제7리니어부쉬(미도시, 145b), 상하가이더(147a, 147b)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암(110a,110b)과 상기 파이펫 모듈(200a, 200b), 클램프 모듈(300) 사이에 결합된다.The shanghai conveying apparatus (140a, 140b), the seventh actuator (143a, 143b), the seventh ball screw (144a, 144b), the seventh linear bush (not shown, 145b), the upper and lower guiders (147a, 147b) Thus, the transfer arms 110a and 110b are coupled between the pipette modules 200a and 200b and the clamp module 300.

상기 상하이송장치(140a, 140b)에 관한 도면부호 a,b의 기재는, 각각 상기 파이펫 모듈(200a, 200b), 클램프 모듈(300)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구성요소를 구분한 것으로, 상기 상하이송장치(140a), 상하이송장치(140b)는 설치대상에 구분이 있을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Reference numerals a and b of the shanghai conveying devices 140a and 140b are divided into components for conveying the pipette modules 200a and 200b and the clamp module 300 up and down, respectively. The transport device 140a and the shanghai transport device 140b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re is a distinction in the installation object.

상기 제7액츄에이터(143a, 143b)는 상기 이송암(110a)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7볼스크류(144a, 144b)는 상기 이송암(110a)에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7액츄에이터(143a, 143b)에 연동회전되며, 상기 제7리니어부쉬(미도시, 145b)는, 상기 제7볼스크류(144a, 144b)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7볼스크류(144a, 144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직선이동된다.The seventh actuators 143a and 143b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transfer arm 110a, and the seventh ball screws 144a and 144b are installed to extend up and down on the transfer arm 110a and the seventh actuators 143a and 143b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he seventh linear bush (not shown) 145b is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seventh ball screws 144a and 144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venth ball screws 144a and 144b. It is linearly moved back and forth along.

상기 제7리니어부쉬(미도시, 145b)가 상기 파이펫 모듈(200a)과 클램프 모듈(30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파이펫 모듈(200a)과 클램프 모듈(300)은 상기 제7리니어부쉬(미도시, 145b)와 동일변위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하가이더(147a, 147b)는 상기 파이펫 모듈(200a)과 클램프 모듈(300)의 상하 이동을 직선경로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이송암(110a)상에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된다.As the seventh linear bush (not shown) 145b is coupled to the pipette module 200a and the clamp module 300, the pipette module 200a and the clamp module 300 are connected to the seventh linear bush ( Not shown, it is moved to the same displacement as 145b, the vertical guider (147a, 147b) is the transfer arm 110a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pette module 200a and the clamp module 300 in a straight path. It is installed to extend up and down on the top.

상기 작업대(40)상에는 팁카트리지, 시험관, 웰 플레이트(20) 등이 배치되며, 다수의 팁카트리지가 배치되는 팁카트리지 장착부(41), 시험관이 배치되는 실험체 장착부(42) 등의 이동을 지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장착부 가이드바(412)가 설치된다.A tip cartridge, a test tube, a well plate 20, and the like are disposed on the work table 40, and a tip cartridge mounting portion 41 in which a plurality of tip cartridges are disposed, and a test object mounting portion 42 in which a test tube is disposed are designated in a designated direction. The mounting portion guide bar 412 is guided by.

도 9는 상기 팁카트리지 장착부(41)와 실험체 장착부(42)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로, 도 1에 도시된 상태와 비교하여, 도 1에 도시된 상기 팁카트리지 장착부(41)와 실험체 장착부(42)의 전단에 비해 더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9 is a main par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p cartridge mounting portion 41 and the test specimen mounting portion 42 are moved, compared with the state shown in FIG. 1, and the tip cartridge mounting portion 41 shown in FIG. The state moved more forward than the front end of the test specimen mounting portion 42 is shown.

도 1에 도시된 상기 실험체 장착부(42)의 전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바코드 스캐너(미도시)를 설치하면, 상기 실험체 장착부(42)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키면서, 상기 시험관에 담긴 샘플, 연구대상체(lab-ware), 시약 등의 정보를 상기 바코드 스캐너로 스캔하여, 획득, 저장, 기록할 수 있다.When a barcode scanner (not shown)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test object mounting part 42 shown in FIG. 1, the test object mounting part 42 is shown in FIG. 9 in a state as shown in FIG. 1. While moving a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such as samples, lab-ware and reagents contained in the test tube can be scanned, acquired, stored and recorded by the barcode scanner.

또한,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프레임(121)상에, 상기 이송장치, 파이펫 모듈(200a), 클램핑 모듈(300) 등을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미도시)가 결합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팁카트리지 장착부(41), 실험체 장착부(42)가 상기 커버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소모품, 샘플 등을 용이하게 장착,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ver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transfer device, the pipette module 200a, the clamping module 300, and the like i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21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FIG. In the illustrated state, the tip cartridge mounting portion 41 and the test specimen mounting portion 42 are positioned inside the cover. As shown in FIG. 9, by moving forward, the operator easily mounts consumables, samples, and the like. It can be replaced.

상기 팁카트리지 장착부(41), 실험체 장착부(42) 각각을 개별적으로 전후로 이동시키는 장착부 이동장치(미도시)를 구비하면, 상기와 같이 상기 팁카트리지 장착부(41), 실험체 장착부(42) 각각을 상기 장착부 가이드바(412)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직선경로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 이동장치는 왕복이동되는 작동을 구현하는 공지기술을 따르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f the tip cartridge mounting portion 41 and the test piece mounting portion 42 is provided with a mounting unit moving device (not shown) for individually moving back and forth, each of the tip cartridge mounting portion 41 and the test object mounting portion 42 i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moved in a straight path in the state guided by the mounting portion guide bar 412, the mounting portion moving device follows a known technique for implementing a reciprocating oper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웰 플레이트(20)가 탑재되는 플레이트 장착부(도면부호 미표기)에는 히팅(heating)장치, 쉐이킹(shaking)장치 등을 결합하여 반응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320)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상의 웰 플레이트(2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plate mounting portion (not shown) on which the well plate 20 is mounted may increase a reaction speed by combining a heating device, a shaking device, and the like, and mount the plate using the clamp 320. The floating well plate 20 can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상기 작업대(40)상에 시험관, 웰 플레이트(20), 파이펫(10)의 팁카트리지 등의 배치는, 당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rrangement of the test tube, the well plate 20, the tip cartridge of the pipette 10, and the like on the worktable 40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 of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an be applied to,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wit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it should be seen that the techniques that can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naturally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파이펫 20: 웰 플레이트
40: 작업대 41: 팁카트리지 장착부
42: 실험체 장착부 100: 이송장치
110a: 이송암 111: 슬라이더
112: 브리지 120: 좌우이송장치
121: 수직프레임 122: 수평프레임
124: 샤프트 126: 제5타이밍벨트
127: 좌우가이더 130: 전후이송장치
133: 제6액츄에이터 134: 제6볼스크류
135: 제6리니어부쉬 137: 전후가이더
140a: 상하이송장치 143a: 제7액츄에이터
144a: 제7볼스크류 145b: 제7리니어부쉬
147a: 상하가이더 200a: 파이펫 모듈
210a: 분주유닛 211a: 유닛본체
212: 파이펫장착구 213a: 실린지
220a: 승강이동장치 221: 실린더부재
222a: 제1가이드바 223a: 제1액츄에이터
224: 제1볼스크류 230a: 분주조정장치
231: 고정베이스 232: 이동베이스
233a: 제2액츄에이터 234a: 제2볼스크류
236: 가이드구 237: 튜브
241: 링크바 242a: 제3가이드바
244a: 제3볼스크류 251: 릭커버
252: 회동바 253: 제4액츄에이터
256: 제4타이밍벨트 300: 클램프 모듈
310: 승강판 320: 클램프
321: 이동바 322: 클램프판
412: 장착부 가이드바 L: 좌측배열부
R: 우측배열부
10: pipette 20: well plate
40: workbench 41: tip cartridge mounting part
42: test piece mounting portion 100: transfer device
110a: transfer arm 111: slider
112: bridge 120: left and right feeder
121: vertical frame 122: horizontal frame
124: shaft 126: fifth timing belt
127: left and right guider 130: front and rear feeder
133: sixth actuator 134: sixth ball screw
135: 6th linear bush 137: front and rear guider
140a: Shanghai transport device 143a: seventh actuator
144a: 7th ball screw 145b: 7th linear bush
147a: upper and lower guider 200a: pipette module
210a: dispensing unit 211a: unit body
212: pipette fitting 213a: syringe
220a: lifting device 221: cylinder member
222a: first guide bar 223a: first actuator
224: first ball screw 230a: dispensing adjustment device
231: fixed base 232: moving base
233a: second actuator 234a: second ball screw
236: Guide port 237: Tube
241: link bar 242a: third guide bar
244a: third ball screw 251: Rick cover
252: rotation bar 253: fourth actuator
256: fourth timing belt 300: clamp module
310: lifting plate 320: clamp
321: moving bar 322: clamp plate
412: mounting guide bar L: left side arrangement
R: Right array

Claims (9)

액상의 시약, 샘플을 흡입, 분주하기 위한 파이펫(10)이 장착되는 다수의 분주유닛(210a)을 갖는 파이펫 모듈(200a)이 구비되고, 상기 파이펫 모듈(200a) 하부에 파이펫(10)의 작동상태와 연동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된 슬라이드 방식의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260)를 설치하되, 상기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260)에 착탈식 액체수납부(265)를 설치하여 분주장치의 이동 중에 파이펫(10)에서 누설되는 액체를 수납하여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
A pipette module 200a having a plurality of dispensing units 210a equipped with a pipette 10 for sucking and dispensing a liquid reagent and a sample is provided, and a pipette (below) is provided under the pipette module 200a.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60 of the slide type to be opened or clos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ng state of 10) is installed, but the dispensing device by installing a removable liquid storage unit 265 in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60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utomatic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contained in the pipette (10) during the movement of the house to prevent the spread of contamin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260)는,
파이펫 모듈(200a)의 본체 하부에 레일부(261)를 이용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이펫 도어(263);
상기 파이펫 도어(263)의 바닥부(263b)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체수납부(265); 및
파이펫(10)의 승하강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파이펫 도어(263)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하는 액츄에이터(26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60,
A pipette door 263 slid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pipette module 200a using the rail part 261;
A liquid storage unit 265 detachably coupled to a center of a bottom portion 263b of the pipette door 263; And
An actuator (267) for sliding the pipette door (263) in association with the lifting signal of the pipette (10);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261)는, 파이펫 모듈(200a) 본체 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61a); 및
상기 가이드레일(161a) 상에 결합됨과 아울러 파이펫 도어(263)를 탑재하여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레일블록(26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ail unit 261 may include a guide rail 161a coupled to a body side of the pipette module 200a; And
A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 rail block (261b) coupled to the guide rail (161a) and mounted to slide the pipette door (26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펫 도어(263)는,
레일부(261)와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263a);
상기 측벽(263a)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부(263b);
액체수납부(265)를 착탈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263b) 중앙을 폭 방향으로 절개한 개구부(263c); 및
상기 측벽(263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스크류 결합부(263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ipette door 263,
A pair of side walls 263a engaged with the rail portion 261;
A bottom portion 263b connecting between the side walls 263a;
An opening portion 263c cu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263b in order to detachably couple the liquid storage portion 265; And
A screw coupling part (263d)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wall (263a);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수납부(265)는,
파이펫 도어(263)의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파이펫에서 누설된 액체를 수납하는 수납공간(265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iquid storage unit 265,
The pipette door 263 forms a body coupl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pipette for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a receiving space (265b) for storing the liquid leaked from the pipet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Door open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265b)에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흡수패드(265c)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utomatic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sorption pad (265c) made of a super absorbent polymer in the storage space (265b).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265b)의 일측에 파이펫 관통공(265e)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utomatic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tte through-hole (265e) is formed in parallel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265b).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부에 손잡이부(265d)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Pipett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portion (265d) is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파이펫 도어(263)의 개구부(263c)와의 결합을 안내하는"ㄷ"자 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는 가이드날개(265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주장치용 파이펫 도어 개폐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Pies for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wings 265a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 shape to guide the coupling with the opening 263c of the pipette door 263 o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et door opening.
KR1020120111042A 2012-10-08 2012-10-08 Pioet door opening and colsing apparatus for automatic dispenser KR201400450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042A KR20140045026A (en) 2012-10-08 2012-10-08 Pioet door opening and colsing apparatus for automatic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042A KR20140045026A (en) 2012-10-08 2012-10-08 Pioet door opening and colsing apparatus for automatic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026A true KR20140045026A (en) 2014-04-16

Family

ID=5065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042A KR20140045026A (en) 2012-10-08 2012-10-08 Pioet door opening and colsing apparatus for automatic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502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330B1 (en) * 2018-03-27 2019-02-22 주식회사 켐토피아 Device for monitoring quality of water
KR102572108B1 (en) * 2022-08-01 2023-08-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330B1 (en) * 2018-03-27 2019-02-22 주식회사 켐토피아 Device for monitoring quality of water
KR102572108B1 (en) * 2022-08-01 2023-08-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WO2024029737A1 (en) * 2022-08-01 2024-02-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e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658B1 (en) automatic dispenser
CN109254007B (en) Gynecological secretion detection device
JP4637166B2 (en) Sample-transport module for a multi-instrument clinical work cell
WO2015139667A1 (en) Full-automatic pipetting st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US20210054329A1 (en) Switching valve and suction-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8621629U (en) A kind of blood cell sample analysis system
CN106170703A (en) Sample rack travel mechanism, sample rack conveyer and sample analysis apparatus
EP3597728B1 (en) Cell transfer device and cell transfer method
JP2000121646A (en) Analyzer processor
KR101064966B1 (en) Slide for microscope automation microscope that equip slide loader that supply automatic movement
CN112255164A (en) Sperm quality analyzer
CN112798804A (en) Fluorescence immunoassay device
KR20140045026A (en) Pioet door opening and colsing apparatus for automatic dispenser
CN209619328U (en) A kind of biologic medical liquid relief workbench
CN219072986U (en) Multichannel equal-variable-distance pipetting device and gene processing equipment
CN115839871A (en) Automatic liquid-based cell pelleter
CN109283351A (en) Automatic coagulation analyzer
CN211826094U (en) Automatic sample transfer machine
CN208454938U (en) The nucleic acid extraction module of diagnosis all-in-one machine is expanded for full-automatic nucleic acid extraction
CN113295856A (en) High-throughput virus detection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in detection of new coronavirus
CN210752747U (en) Liquid transfer machine
CN113267498A (en) Basic-level full-automatic body fluid inspection platform and automatic body fluid analysis system
CN209613002U (en) A kind of liquid transcription device
CN216605305U (en) Liquid transfer device
CN216870590U (en) Detection auxiliary device for experimental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