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814A -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및 그 세트 그리고 드릴용 바 및 그 세트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및 그 세트 그리고 드릴용 바 및 그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814A
KR20140044814A KR1020137032518A KR20137032518A KR20140044814A KR 20140044814 A KR20140044814 A KR 20140044814A KR 1020137032518 A KR1020137032518 A KR 1020137032518A KR 20137032518 A KR20137032518 A KR 20137032518A KR 20140044814 A KR20140044814 A KR 20140044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drill bar
drilling
shaft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미코 에노모토
아키푸미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아인텔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인텔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인텔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정확한 드릴링을 안전, 간단하면서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및 그 세트 그리고 드릴용 바 및 그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은 임플란트 픽스처 매입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을 실시하는 위치 및/또는 방향의 기준으로 하기 위해 치과용 핸드 피스의 드릴용 바에 마련되며, 상기 드릴용 바에 있어서 일단측의 핸드 피스에 대한 장착부와 타단측의 칼날부 사이를 차지하는 축부에 일체화된 상태로 되어, 상기 축부와 함께 상기 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고, 상기 축부의 외측에 상기 축부와 동심으로 상기 축부보다 직경이 큰 기준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및 그 세트 그리고 드릴용 바 및 그 세트{DENTAL IMPLANT JIG, SET THEREOF, DRILLING BAR, AND SET THEREOF}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치과 임플란트 치료의 드릴링 작업에 이용하기 적합한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및 그 세트 그리고 드릴용 바 및 그 세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 치료에서는 임플란트의 픽스처(fixture)를 이상적인 위치에 매입(埋入)하는 것이 중요한데, 매입의 성패는 픽스처 매입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 솜씨에 따른 바가 크다. 드릴링은 헤드(1a)에 드릴용 바(2)를 장착한 치과용 핸드 피스(1)(도 2 참조)를 손에 든 시술자에 의해 프리핸드(freehand)로 실시되는 경우도 있지만, 다시 고칠 수 없는 작업이기 때문에 이러한 드릴링의 정확성 향상에 이바지할 목적에서 다양한 지그가 제안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환자 치아의 결손 부분에 대하여 취득한 인상을 바탕으로 작성되어, 이 결손 부분을 포함하는 치아열에 씌워서 이용되는 수지제 스텐트(stent)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스텐트에는 드릴용 바(2)를 적절한 드릴링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이 가공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3-245289호
그러나 스텐트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드릴용 바가 스텐트에 접촉하기 어렵도록 스텐트의 가이드 구멍과 드릴용 바 사이에는 반드시 여유(클리어런스)가 마련되므로, 이 여유에 기인하여 드릴용 바(2)의 진입 각도가 가이드 구멍에 대하여 기울어, 당초의 예정 부위에서 벗어난 부위를 드릴링할 염려가 있다. 게다가, 특히 스텐트가 파셜 커버 타입(partial cover type)일 경우에는 치아열에 씌운 상태의 스텐트 자체가 흔들리기 쉽고, 이러한 흔들림은 드릴링 실패로 이어지기 쉽다. 스텐트가 풀 커버 타입(full cover type)일 경우, 흔들림은 생기기 어려워지는 반면, 스텐트로 인해 시술 시야의 대부분이 가려지게 되어, 드릴용 바(2)가 부적절한 위치에 진입해도 그것을 알아차리기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스텐트를 이용해도 정확한 드릴링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은 남는다. 게다가, 잘못해서 드릴용 바(2)가 스텐트에 접촉했을 때에 스텐트의 일부가 깎이면, 그 깎인 찌꺼기가 픽스처의 매입구멍에 들어가 임플란트 주위염을 일으키거나 옷세오인티그레이션(Osseointegration;골결합)을 방해하거나 할 우려도 있다.
또한 작성 비용이 높은 스텐트는 합리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사용되지 않아, 프리핸드로 드릴링이 많이 실시되는 경우도 있어, 1 치아 결손을 비롯해 소수 치아 결손을 대상으로 하는 임플란트 보철의 경우 그러한 경향이 현저하다. 이 경우, 시술자는 주로 드릴용 바(2)의 축부(軸部)(2a)와 결손 부분의 양 옆에 있는 치아(3, 4)를 기준으로 해서, 이상적인 매입구멍의 이미지(H)나 상부 보철물의 이미지를 머리 속에 그리고, 그 이미지들에만 의존하여 드릴링의 위치나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도 2 참조). 그러나 축부(2a)의 직경이 일반적으로는 불과 2mm 전후의 규정 사이즈인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어, 그 가느다란 사이즈가 이미지 만들기나 육안에 의한 스타팅 포인트 결정에 불편을 주고, 드릴링의 위치나 방향 어긋남의 발생 원인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항에 유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정확한 드릴링을 안전, 간단하면서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및 그 세트 그리고 드릴용 바 및 그 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는 임플란트 픽스처 매입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을 실시하는 위치 및/또는 방향의 기준으로 하기 위해 치과용 핸드 피스의 드릴용 바에 마련되며, 상기 드릴용 바에 있어서 일단측(一端側)의 핸드 피스에 대한 장착부와 타단측(他端側)의 칼날부 사이를 차지하는 축부에 일체화된 상태로 되어, 상기 축부와 함께 상기 축부의 축심(軸心) 둘레로 회전하고, 상기 축부의 외측에 상기 축부와 동심(同心)으로 상기 축부보다 직경이 큰 기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청구항 1).
상기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해 직경이 대략 동일해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청구항 2), 상기 기준부는 상기 기준부의 축방향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부분을 가지며, 타단측이 상기 칼날부측을 향하도록 상기 드릴용 바에 일체화된 상태로 되는 것이어도 된다(청구항 3).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세트는 상기 기준부의 최대 직경, 축방향의 길이 또는 형상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를 복수 구비하고 있다(청구항 4).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드릴용 바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가 장착 또는 일체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청구항 5).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드릴용 바 세트는 상기 기준부의 최대 직경, 축방향의 길이, 형상 또는 상기 칼날부의 선단에서 상기 기준부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청구항 5에 기재된 드릴용 바를 복수 구비하고 있다(청구항 6).
본 발명에서는 정확한 드릴링을 안전, 간단하면서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및 그 세트 그리고 드릴용 바 및 그 세트가 얻어진다.
즉, 예를 들어 1 치아 결손의 임플란트 보철에 이용하는 픽스처 매입구멍의 드릴링 시에, 시술자는 이상적인 매입구멍의 이미지나 장착 대상으로 하는 상부 보철물의 이미지를 머리 속에 그리고, 그 이미지들에 의존하여 드릴링의 위치 및 방향(스타팅 포인트 및 매입 각도)을 결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을 할 때에, 이른바 드릴용 바와 일체형 스텐트로서 기능하는 본 발명의 지그가 도움이 된다. 즉, 지그는, 축부와 함께 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고, 적어도 이 회전시에 축부와 동심으로 축부보다 직경이 큰 기준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기준부가 축부에 비해 장착 대상으로 하는 상부 보철물에 가까운 사이즈 및 형상을 가지도록 하면, 상기 드릴링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할 때에 시술자가 머리 속에 그리는 이미지의 정확성 향상에 기여한다. 게다가, 기준부는 축부에 비해 드릴링 시에 있어서 인접 치아까지의 거리가 가까워, 이러한 인접 치아에 대한 근접으로 인해 드릴링 시의 축부의 흔들림도 제한된다. 따라서 지그에 의해, 상기 이미지의 형성에서부터 드릴링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할 때까지의 프로세스, 나아가서는 그 드릴링 자체를 정확하고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지그는 드릴용 바와 함께 회전하므로, 지그의 일부가 드릴용 바에 의해 깎여 매입구멍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사고도 일어나지 않아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지그는 과잉 드릴링을 방지하는 심도 조정을 위한 스토퍼(stopper)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임플란트 매입 후에 실시하는 인상 시의 인상용 코핑(coping)의 최대 외경(外徑)과 동등(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직경(최대 직경)을 가지는 지그(혹은 이 지그가 일체화된 드릴용 바)를 선택해서 이용하면, 그 인상용 코핑이 치아에 닿는 것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얻어진다.
청구항 1~4에 따른 발명의 지그는 드릴용 바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기능을 발휘하는 데다가, 그 착탈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어 손 기술이 번잡하지도 않고, 게다가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서는 기준부의 외주면(外周面)에 원하는 테이퍼 각도를 부여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각도를 가지고 경사매입 임플란트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를 이용한 드릴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드릴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의 (A)~(C)는 상기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를 이용한 드릴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의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30°타입의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45°타입의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롤형상의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대략 C자형상의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트레이트 부분과 축소직경 부분을 가지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안내 테이퍼부를 가지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B)는 공동(空洞) 축심부의 내주면(內周面)에 단부(段部)를 가지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드릴용 바의 일례 및 다른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드릴용 바 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 도 3(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이하, "지그"라고 약칭함)(5)는 대략 원통형상의 가이드(슬리브)를 이루는 부재이며, 임플란트 픽스처 매입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을 실시하는 위치 및/또는 방향의 기준으로 하기 위해 치과용 핸드 피스(1)의 드릴용 바(치과용 바)(2)에 마련된다. 한편, 치과용 핸드 피스(1) 및 드릴용 바(2)로는 모두 시판품(범용품)을 이용할 수 있다.
드릴용 바(2)는 일단측에 핸드 피스(1)에 대한 장착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타단측에 칼날부(2b)를 가진다. 여기서, 칼날부(2b)의 형상이나 크기는 드릴용 바(2)의 종류(라운드 바, 트위스트 바 등)나 메이커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드릴용 바(2)의 장착부와 칼날부(2b) 사이를 차지하는 축부(2a)의 직경이 2mm 전후의 규정 사이즈인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지그(5)는 이 축부(2a)에 의해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축부(2a)가 압입된 상태로 되는 공동 축심부(5a)를 가진다. 한편, 본 예의 지그(5)의 직경(D)(도 3(C) 참조)은 6mm, 축방향의 길이(L)(도 3(C) 참조)도 6mm이지만, 직경(D) 및 길이(L)는 증례(症例) 케이스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면 되며, 직경(D)의 범위는 예를 들면 5~12mm(바람직하게는 5~9mm), 길이(L)의 범위는 예를 들면 3~15mm로 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지그(5)를 축부(2a)에 외감(外嵌) 압입할 수 있도록 탄성체(고무상 탄성체 등)에 의해 지그(5)를 성형함과 아울러, 공동 축심부(5a)를, 축부(2a)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d)(도 3(C) 참조)을 가지는 관통구멍 형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 본 예에서는 내경(d)을 2mm로 하고 있다.
이러한 지그(5)를 구성하는 소재로는 예를 들면 고무(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 수지(합성 수지 및 천연 수지) 등의 엘라스토머나 스폰지를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불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올레핀 고무, 불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고밀도~저밀도), 폴리프로필렌 수지, 실리콘 고무 스폰지, 불소 고무 스폰지 등을 들 수 있다. 단, 가열 멸균에 적합한 내열성, 입수 용이성, 경제성, 전기 절연성, 생체 친화성, 내약품성, 내후성, 장기 보관성 등을 고려하면 현시점에서는 실리콘 고무가 가장 바람직하다.
드릴용 바(2)에 대한 지그(5)의 외감 압입은 드릴용 바(2)의 일단측(핸드 피스(1)에 대한 장착부측), 타단측(칼날부(2b)측)의 어느 것부터 실시해도 된다. 또한 드릴링 시(사용시)의 지그(5)는 축부(2a)만 덮는 위치에 있어도 되고, 칼날부(2b)의 일부(상부)도 덮는 위치에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1 치아 결손의 임플란트 보철에 이용하는 픽스처 매입구멍의 드릴링 시에, 시술자는 이상적인 매입구멍의 이미지(H)(도 1 참조)나 장착 대상으로 하는 상부 보철물의 이미지를 머리 속에 그리고, 그 이미지들에 의존하여 드릴링의 위치 및 방향(스타팅 포인트 및 매입 각도)을 결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을 할 때에, 이른바 드릴용 바(2)와 일체형의 스텐트로서 기능하는 지그(5)가 도움이 된다. 즉, 지그(5)를 드릴용 바(2)에 장착하면, 지그(5)는 축부(2a)에 일체화된 상태로 되어 축부(2a)와 함께 축부(2a)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게 되고, 지그(5)의 외주면은 축부(2a)와 동심으로 축부(2a)보다 직경이 큰 통형상의 기준부(M)가 된다. 그리고 이 기준부(M)는 축부(2a)에 비해 장착 대상으로 하는 상부 보철물에 가까운 사이즈 및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드릴링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할 때에 시술자가 머리 속에 그리는 이미지의 정확성 향상에 기여한다. 게다가, 기준부(M)는 축부(2a)에 비해 드릴링 시에 있어서 인접 치아까지의 거리가 가까워, 이러한 인접 치아에 대한 근접으로 인해 드릴링 시의 축부(2a)의 흔들림도 제한된다. 따라서 지그(5)에 의해, 이미지(H) 등의 형성(이미지 만들기)에서부터 드릴링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할 때까지의 프로세스, 나아가서는 그 드릴링 자체를 정확하고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지그(5)를 이용한 드릴링에 의해 어느 정도 깊이의 골공(骨孔)(예를 들면 사전에 계획한 픽스처 매입구멍의 절반정도 깊이의 골공)이 형성되면, 그 골공 자체가 그 후의 소정 깊이까지의 드릴링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되므로, 형성한 골공이 이러한 가이드 기능을 발휘하는 단계에 도달하면 지그(5)를 드릴용 바(2)에서 떼어내도 된다.
지그(5)는 또한 드릴용 바(2)에 장착된 상태로 드릴용 바(2)와 함께 회전하므로, 지그(5)의 일부가 드릴용 바(2)에 의해 깎여 매입구멍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사고도 일어나지 않아 안전하며, 게다가 드릴용 바(2)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기능을 발휘하는 데다가, 그 착탈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어 손 기술이 번잡하지도 않고, 또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지그(5)는 과잉 드릴링을 방지하는 심도 조정을 위한 스토퍼로도 사용 가능하다.
지그(5)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1 치아 결손을 대상으로 하는 임플란트 보철을 위한 드릴링에 이용하기 적합한 것이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복수 치아 결손이나 유리단(遊離端) 결손 등을 대상으로 한 임플란트 보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지그(5)의 유효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험에서는 각 평가자(시술자)가 모형 상에서의 임플란트 매입자리(埋入窩) 형성을 합계 2회 실시하고, 각 회에 있어서 드릴링의 매입 각도와 스타팅 포인트의 위치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평가자로는 임플란트 수술 견학 경험은 있지만 임상 및 모형 실습에 의한 임플란트 매입 경험은 없는 치과의사 5명(n=5)을 선발하였다. 또한 각 평가자에 의한 합계 2회의 임플란트 매입자리 형성에는 지그(5)를 이용하지 않고 프리핸드로 실시한 경우(이하, 프리핸드 시라고 함)와, 드릴용 바(2)에 지그(5)를 장착해 실시한 경우(이하, 지그 사용시라고 함)를 각각 1회씩 포함하도록 하였다.
직경이 2.0mm인 트위스트 드릴을 드릴용 바(2)로 이용하고, 지그 사용시에는 경도 50도의 실리콘 고무제 지그(5)(상기의 형상과 사이즈를 가진 것)를 이 드릴용 바(2)에 장착하였다.
임플란트 와동(窩洞) 형성의 대상으로 하는 모형으로서, 좌측 하악 제1대구치의 1 치아 결손 증례의 실습용 턱모형(E1 모델, 가부시키가이샤 닛신사 제품)을 이용하였다. 또한 좌측 하악 제1대구치가 존재하는 타입의 동(同) 턱모형의 치축(齒軸)을 측정하고, 이 치축을 이상적 임플란트축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이 치축에 기초하여 이상적 스타팅 포인트를 설정하였다.
드릴링의 매입 각도 및 스타팅 포인트의 측정에는 디지탈 카메라와 Photoshop(상표)(ver. 7.0, ADOBE SYSTEMS, INC., 미국), Microsoft Excel(상표)(Microsoft Corporation, 미국) 및 Stat View(상표)(SAS Institute Inc, 미국)의 합계 3종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즉, 드릴링에 의해 상기 모형에 집어넣어진 상태로 된 드릴용 바(2)를, 상기 모형의 교합면, 근원심면 및 협설측면을 기준으로 한 소정 위치에서 동일 조건으로 디지탈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그리고 상기 합계 3종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촬영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해석하고, 드릴링 결과에 대하여 이상적 임플란트축으로부터의 각도 오차(괴리 각도)와, 이상적 스타팅 포인트로부터의 거리 오차(괴리 거리)를, 각각 [(절대값의) 평균값±표준편차(SD)]의 형식(n=5)으로 구하였다.
이상적 임플란트축으로부터의 근원심적 각도의 오차는 프리핸드 시에 [6.84±3.67°], 지그 사용시에 [4.84±2.80°]이며, 협설적 각도의 오차는 프리핸드 시에 [9.38±3.48°], 지그 사용시에 [6.34±6.10°]이었다.
또한 이상적 스타팅 포인트로부터의 근원심적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오차는 프리핸드 시에 [1.24±0.81mm], 지그 사용시에 [0.16±0.11mm]이며, 협설적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오차는 프리핸드 시에 [0.48±0.49mm], 지그 사용시에 [0.44±0.10mm]이었다.
상기 각 결과로부터, 지그 사용시 쪽이 프리핸드 시에 비해 매입 각도 및 스타팅 포인트의 양면에서 근원심적으로도 협설적으로도 보다 이상적인 드릴링에 가까운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인정되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변형예를 들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그(5)의 축방향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외경(직경)(D)은 대략 동일하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4~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5)의 축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외경(D)을 점차 감소시켜, 타단측이 칼날부(2b)측을 향하도록 지그(5)를 드릴용 바(2)에 장착해도 된다. 이러한 지그(5)를 이용하면, 예를 들어 총의치형 임플란트 보철 등의 경우에 적용되는 경사매입 임플란트(tilted implantation)를 수반하는 All on 4(올 온 포), All on 5(올 온 파이브)나 All on 6(올 온 식스)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지그(5)를 이용해서 All on 4(5, 6)을 간편하게 실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기술하면, 먼저 턱뼈(상악, 하악을 불문함)에 예를 들면 직경이 2mm인 가이드 핀(6)을 수직으로 박아 넣는다. 그리고 장축(수직)매입 임플란트(axial implantation)의 경우는 도 3(A)~(C)에 도시한 지그(5)를 드릴용 바(2)에 장착하고, 지그(5)의 스트레이트한 외주면이 가이드 핀(6)과 평행해지도록 드릴링을 실시하면, 턱뼈에 수직인 픽스처 매입구멍(H1)(도 4 참조)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사매입 임플란트의 경우는 도 6(A) 및 (B)에 도시한 지그(5)를 드릴용 바(2)에 장착하고, 지그(5)의 테이퍼 각도가 부여된 외주면이 가이드 핀(6)과 평행해지도록 드릴링을 실시하면(도 5 참조), 신경이나 혈관, 상악동을 피해, 턱뼈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운 픽스처 매입구멍(H2)(도 4 참조)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매입구멍(H1, H2) 형성 후, 가이드 핀(6)을 철거한다.
상기와 같이 경사매입 임플란트를 실시할 경우, 그 경사 각도는 지그(5)의 외주면의 테이퍼 각도를 바꿈으로써 자유자재로 설정 가능하며, 예를 들면 45도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테이퍼 각도를 선택하면 되는데, 도 6(A) 및 (B)에는 테이퍼 각도가 30도가 되는 30°타입의 지그(5)를 나타내고 있고, 일단측의 외경(D1)은 13mm, 타단측의 외경(D2)은 6mm, 축방향의 길이(L)는 6mm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A) 및 (B)에는 테이퍼 각도가 45도가 되는 45°타입의 지그(5)를 나타내고 있으며, 일단측의 외경(D1)은 18mm, 타단측의 외경(D2)은 6mm, 축방향의 길이(L)는 6mm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원통형상의 지그(5)를 탄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성형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종이제 시트형상 부재를 롤형상으로 감아 적어도 단부(端部)를 접착하여 지그(5)를 구성해도 된다(도 8 참조). 이 경우, 롤형상으로 감겨 있는 시트형상 부재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부터 순차 풀어내서 롤의 감음수를 절감하여 지그(5)의 외경(D)을 작게 하거나, 혹은 롤형상으로 감겨 있지 않은 부분을 시트형상 부재에 마련해 두고 그 부분을 이미 롤형상으로 감겨 있는 부분의 외측에서부터 감음으로써 지그(5)의 외경(D)을 크게 하거나 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지그(5)를 구성하는 시트형상 부재를 처음부터 롤형상으로 감아 두지 않고, 모두 전개된 상태에서 감기를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시트형상 부재에서 롤형상으로 감기지 않는 부분이 생길 경우, 그 감기지 않는 부분을 가위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절단하면 된다.
그 밖에, 지그(5)를 스테인리스, 철, 티탄 등의 금속제나 카본제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지그(5)를 축부(2a)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금속제 부재로 하고, 이 지그(5)의 상기 이동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스토퍼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축부(2a)에 장착함으로써 규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그(5)를, 축심과 직교하는 절단면이 축심과 동심의 환형상을 나타내는 형상(대략 원통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축심과 직교하는 절단면이 축심과 동심의 원호형상이며 대략 C자형상을 나타내는 형상(횡단면이 대략 C자인 기둥형상)으로 해도 된다(도 9 참조). 이 경우, 공동 축심부(5a)는 관통구멍 형상이 아니라 지그(5)의 외주측에 연통(連通)하는 노치홈 형상이 되므로, 축부(2a)에 대한 지그(5)의 압입을, 드릴용 바(2)의 양단 중 어느 한쪽에서 외감한 후 축부(2a)를 향해 슬라이드시키는 수고를 덜어, 축부(2a)의 주위에서 다이렉트로 실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에는 지그(5)의 축방향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외경(D)이 대략 동일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6 및 도 7에는 지그(5)의 축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외경(D)이 일정 비율로 감소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지그(5)의 외경(D)이 축방향으로 불규칙적으로 변화되도록 해도 된다. 즉, 지그(5)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해 외경(D)이 대략 동일해지는 스트레이트 부분과,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해 외경(D)이 일정 또는 일정하지 않은 비율로 감소하는 축소직경 부분과,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해 외경(D)이 일정 또는 일정하지 않은 비율로 증대하는 확대직경 부분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도 10에는 지그(5)가 스트레이트 부분(7)과 축소직경 부분(8)을 포함하도록 한 경우를 도시한다.
여기서 도 3, 도 6, 도 7, 도 10에 도시한 지그(5)와 같이, 축심과 직교하는 절단면이 축심과 동심의 환형상을 나타낼 경우, 지그(5)의 외주면 자체가 축부(2a)와 동심으로 축부(2a)보다 직경이 큰 기준부(M)가 되며, 지그(5)의 회전시 및 정지시 모두에 있어서 드릴링의 위치나 방향 결정의 지원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도 9에 도시한 지그(5)와 같이, 축심과 직교하는 절단면이 축심과 동심의 환형상을 나타내지 않을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치과용 핸드 피스(1)가 드릴용 바(2)에 가하는 회전수로 축부(2a)가 회전했을 때에, 지그(5)가 축부(2a)의 외측에 축부(2a)와 동심으로 축부(2a)보다 직경이 큰 기준부(M)를 잔상 현상에 의해 형성 가능하다면, 이러한 지그(5)도 상기 지원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원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에서, 예를 들면 대략 원통형상의 지그(5)의 외주부에 다양한 홈이나 돌기를 마련하거나, 지그(5)의 외주면을 횡단면 다각형이 되도록 하는 식으로 지그(5)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관통구멍 형상의 공동 축심부(5a)의 내주면에, 예를 들어 세로홈(축방향의 홈) 또는 가로홈(둘레방향의 홈)을 복수개 마련하여, 축부(2a)에 대한 지그(5)의 외감 압입에 필요한 힘의 경감을 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 축심부(5a)의 내주면의 단부에, 드릴용 바(2)에 대한 지그(5)의 외감 압입을 안내하는 안내 테이퍼부(9)를 마련해도 되고, 이 안내 테이퍼부(9)를 상기 내주면의 양단부에 마련해도 된다. 게다가,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용 바(2)의 축부(2a)에 외경이 변화되는 외경변화 부분(도시예에서는 단부(段部))(2c)이 존재할 경우, 지그(5)의 공동 축심부(5a)의 내주면에, 외경변화 부분(2c)과 마찬가지로 내경이 변화되는 내경변화 부분(도시예에서는 단부)(5b)을 마련하여, 축부(2a)의 외경변화 부분(2c)을 덮는 위치에 지그(5)를 양호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공동 축심부(5a)에 있어서 내경변화 부분(5b)의 위치는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또한 외경변화 부분(2c) 및 내경변화 부분(5b)은 각각 단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테이퍼 부분이어도 된다.
기준부(M)(지그(5))의 직경(D)(최대 직경), 축방향의 길이(L)나 형상은 증례 케이스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면 되고, 그렇기 때문에 기준부(M)의 직경(D)(최대 직경), 축방향의 길이(L) 또는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지그(5)를 세트(지그 세트(S))로 준비하여(도 13 참조), 그 중에서 적절한 지그(5)를 선택해서 이용해도 되며, 이 경우, 예를 들어 사이즈마다 지그(5)의 색이나 형상을 다르게 해서 지그(5)(기준부(M))의 사이즈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형상을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지그(5)의 외주면에 세로홈(축방향의 홈) 또는 가로홈(둘레방향의 홈)을 하나 이상 마련하고, 그 개수나 간격을 바꾸는 것과 같은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드릴링 후에 실시하는 인상 시의 인상용 코핑의 최대 외경과 동등(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직경(D)(최대 외경)을 가지는 지그(5)를 선택해서 이용하면, 그 인상용 코핑이 치아에 닿는 것을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얻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드릴용 바(2)와는 별체의 지그(5)를 장착에 의해 일체 화하도록 되어 있지만,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도 12(A) 및 (B)에는 지그(5)가 일체 성형된 드릴용 바(2)의 일례 및 다른 예를 도시하였는데, 동 도(A)에 도시한 지그(5)의 형상은 도 3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고, 동 도(B)에 도시한 지그(5)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물론, 이 지그 일체형 드릴용 바(2)에서도 기준부(M)(지그(5))의 최대 직경(직경(D)), 축방향의 길이(L)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 이러한 드릴용 바(2)에 관해서는 칼날부(2b)의 선단에서 기준부(M)(지그(5))까지의 거리(심도 길이)(h)(도 12(A) 참조)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기준부(M)(지그(5))의 최대 직경(직경(D)), 축방향의 길이(L), 형상 또는 심도 길이(h)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드릴용 바(2)를 세트(드릴용 바 세트(S'))로 준비하여(도 14 참조), 그 중에서 적절한 드릴용 바(2)를 선택해서 이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드릴용 바 세트 안에, 지그(5)가 마련되지 않은 드릴용 바(2)를 포함하도록 하고, 예를 들면 드릴링이 진행되어 어느 정도 크기의 골공이 형성되면 지그(5)가 없는 드릴용 바(2)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형예끼리를 적절히 조합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및 그 세트 그리고 드릴용 바 및 그 세트는 치과 임플란트 치료의 드릴링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1 치과용 핸드 피스 2 드릴용 바
2a 축부 2b 칼날부
5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M 기준부

Claims (6)

  1. 임플란트 픽스처 매입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을 실시하는 위치 및/또는 방향의 기준으로 하기 위해 치과용 핸드 피스의 드릴용 바에 마련되며,
    상기 드릴용 바에 있어서 일단측의 핸드 피스에 대한 장착부와 타단측의 칼날부 사이를 차지하는 축부에 일체화된 상태로 되어, 상기 축부와 함께 상기 축부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고, 상기 축부의 외측에 상기 축부와 동심(同心)으로 상기 축부보다 직경이 큰 기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해 직경이 대략 동일해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는 상기 기준부의 축방향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부분을 가지며, 타단측이 상기 칼날부측을 향하도록 상기 드릴용 바에 일체화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4. 상기 기준부의 최대 직경, 축방향의 길이 또는 형상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를 복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세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가 장착 또는 일체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용 바.
  6. 상기 기준부의 최대 직경, 축방향의 길이, 형상 또는 상기 칼날부의 선단에서 상기 기준부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제5항에 기재된 드릴용 바를 복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용 바 세트.
KR1020137032518A 2011-06-01 2012-04-27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및 그 세트 그리고 드릴용 바 및 그 세트 KR201400448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3461 2011-06-01
JPJP-P-2011-123461 2011-06-01
JP2012099437A JP5914137B2 (ja) 2011-06-01 2012-04-25 歯科インプラント用治具及びそのセット並びにドリル用バー及びそのセット
JPJP-P-2012-099437 2012-04-25
PCT/JP2012/061366 WO2012165093A1 (ja) 2011-06-01 2012-04-27 歯科インプラント用治具及びそのセット並びにドリル用バー及びそのセ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814A true KR20140044814A (ko) 2014-04-15

Family

ID=4725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518A KR20140044814A (ko) 2011-06-01 2012-04-27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및 그 세트 그리고 드릴용 바 및 그 세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40093837A1 (ko)
EP (1) EP2716255A4 (ko)
JP (1) JP5914137B2 (ko)
KR (1) KR20140044814A (ko)
CN (1) CN103635158A (ko)
BR (1) BR112013030625A2 (ko)
CA (1) CA2836723A1 (ko)
DE (1) DE202012012828U1 (ko)
MX (1) MX2013014101A (ko)
RU (1) RU2013158885A (ko)
WO (1) WO20121650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954A (ko) 2017-11-28 2019-06-05 이형우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적을 위한 패턴 레진 성형키트
KR20200116198A (ko) 2019-04-01 2020-10-12 이태경 임플란트 유도 수술에서의 볼 조인트 타입의 동력전달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1627A1 (fr) * 2013-02-07 2014-08-08 Matthieu Siadous Manchon pour implantologie dentaire
FR3018040B1 (fr) 2014-03-03 2016-03-25 Matthieu Siadous Outil de forage pour chirurgie dentaire implantaire, comprenant un guide etage
DE102016221426A1 (de) * 2016-10-31 2018-05-03 Sirona Dental Systems Gmbh Verfahren zur Planung einer dentalen Konstruktion
CN109717971B (zh) * 2019-03-11 2020-11-27 四川大学 一种植骨导板及其制作方法
TWI763053B (zh) * 2020-09-24 2022-05-01 巧藝國際有限公司 機頭限位導引筒狀結構及其植牙限位工具組和植牙導引限位工具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5161A (ja) * 1986-12-25 1988-06-07 村井 政治 コントラヘツド用骨切削ドリルないし骨切削カツタ−
GB9213194D0 (en) * 1992-06-20 1992-08-05 Univ Manchester Apparatus for guiding implants
JP2003245289A (ja) 2002-02-22 2003-09-02 Univ Nihon 歯科用インプラント施術支援装置
US7048477B2 (en) * 2003-06-30 2006-05-23 I.D.M.S., L.L.C. Drill measurement stops
US7866979B2 (en) * 2005-02-24 2011-01-11 Verban Jr Emil M Dental drill system and stop collar for preparing implant bed for implants
FR2925289B1 (fr) * 2007-12-20 2011-01-21 Anthogyr Sa Dispositif de centrage et de guidage d'un foret de piece a main dentaire
JP2009232989A (ja) * 2008-03-26 2009-10-15 Gc Corp 歯科インプラント用の切削具用ストッパー
US20090286201A1 (en) * 2008-05-16 2009-11-19 Mike Wansik Choe Dental implant drill apparatus and method
JP4852183B2 (ja) * 2009-09-01 2012-01-11 株式会社インプラントデント インプラント用器具及びインプラント用器具のガイドシステム
CN201642387U (zh) * 2010-05-06 2010-11-24 江苏创英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牙科种植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954A (ko) 2017-11-28 2019-06-05 이형우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적을 위한 패턴 레진 성형키트
KR20200116198A (ko) 2019-04-01 2020-10-12 이태경 임플란트 유도 수술에서의 볼 조인트 타입의 동력전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93837A1 (en) 2014-04-03
CN103635158A (zh) 2014-03-12
EP2716255A1 (en) 2014-04-09
BR112013030625A2 (pt) 2017-07-11
JP5914137B2 (ja) 2016-05-11
WO2012165093A1 (ja) 2012-12-06
CA2836723A1 (en) 2012-12-06
MX2013014101A (es) 2015-05-08
EP2716255A4 (en) 2014-12-03
DE202012012828U1 (de) 2014-05-05
RU2013158885A (ru) 2015-07-20
JP2013009948A (ja)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4814A (ko) 치과 임플란트용 지그 및 그 세트 그리고 드릴용 바 및 그 세트
US9039413B2 (en) Dental tools for guided surgery
KR101663047B1 (ko) 드릴 가이드
JP4852183B2 (ja) インプラント用器具及びインプラント用器具のガイドシステム
KR102089427B1 (ko) 가이드 지그
ES2548761T3 (es) Guía de fresa dental con un tope
JP2013031555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11730573B2 (en) Fixation pin
KR20160130242A (ko) 단차 가이드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링 도구
WO2011080104A1 (en) Flexible dental screwdri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005960A (ja) 施術用器具
KR10227654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어셈블리
JP2009207688A (ja) インプラント植立用穿孔器具およびインプラント用ハンドピース
JP2009232989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の切削具用ストッパー
KR101498197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JP6357014B2 (ja) 測定治具
JP2014023781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目安具及びそのセット
JP2006061377A (ja) インプラント用埋入窩形成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