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732A - Mold for molding, manufacture method of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and resin molded article - Google Patents

Mold for molding, manufacture method of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and resin molded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732A
KR20140044732A KR1020130102731A KR20130102731A KR20140044732A KR 20140044732 A KR20140044732 A KR 20140044732A KR 1020130102731 A KR1020130102731 A KR 1020130102731A KR 20130102731 A KR20130102731 A KR 20130102731A KR 20140044732 A KR20140044732 A KR 20140044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terminal
mold
resin molded
molded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2875B1 (en
Inventor
마코토 아사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8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03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e for mold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sin molded article using same, and a resin molded article, the die being capable of easily positioning and holding a bent portion of a terminal inside cavities of first and second dies, and also reducing a resin molded article in size. To this end, the die for m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dies (10, 20) having cavities (C1) in which at least a bent portion (220a) of a terminal (200a) can be received. The first die 10 has a convex part (11) contacting a first side (221a) of the bent portion (220a), and protrusions (13a) provided on the convex part (11) at certain intervals. The protrusion 13a has a first edge (13a1) which is disposed proximate to the protrusion (13a) and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 second side (222a) opposite to the first side (221a); a second edge (13a2) disposed at a front tip of the protrusion (13a); and a slope (13a3) which is inclined to be distanced from the convex part (11) in the range of the first edge (13a1) to the second edge (13a2).

Description

성형용 금형, 이것을 이용한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수지성형품{MOLD FOR MOLDING, MANUFACTURE METHOD OF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AND RESIN MOLDED ARTICLE}Mold for molding,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and resin molded article {MOLD FOR MOLDING, MANUFACTURE METHOD OF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AND RESIN MOLDED ARTICLE}

본 발명은, 성형용 금형, 이것을 이용한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수지성형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die, a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and a resin molded article.

종래의 수지성형품은, 보디와, 단자를 가진 것이 있다. 보디는, 베이스와, 베이스 위에 형성된 환형상의 측벽과, 베이스 위에 형성된 칸막이부를 가지고 있다. 칸막이부는, 측벽의 내부 공간을 제1, 제2공간으로 구획하고 있다. 단자는, 제1, 제2, 제3, 제4절편부와, 제1, 제2, 제3, 제4절편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제1절편부의 선단부는, 그 단면이 제1공간으로 노출하도록 칸막이부에 매립되어 있다. 제2절편부의 선단부는, 그 단면이 제2공간으로 노출하도록 칸막이부에 매립되어 있다. 제3절편부는, 그 단면이 제1공간으로 노출하도록 측벽에 매립되어 있다. 제4절편부는, 그 단면이 제2공간으로 노출하도록 측벽에 매립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resin molded article has a body and a terminal. The body has a base, an annular side wall formed on the base, and a partition portion formed on the base. The partition portion partitions the inner space of the side wall into first and second spaces. The terminal has a frame connecti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ragment portions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ragment portions.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section portion is embedded in the partition portion so that its cross section is exposed to the first space.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section portion is embedded in the partition portion so that its cross section is exposed to the second space. The third section portion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so that its cross section is exposed to the first space. The fourth section portion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so that its cross section is exposed to the second space.

상기 수지성형품은 아래와 같이 제조된다. 제1절편부의 기단부를 제1금형의 제1볼록부의 내면과 제2금형의 볼록부와의 사이에, 제2절편부의 기단부를 제1금형의 제2볼록부의 내면과 제2금형의 볼록부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시키는 동시에, 제1, 제2절편부의 선단부 및 제3, 제4절편부를 제1, 제2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배치시킨다. 그 후, 캐비티 내부에 절연수지를 사출하여, 경화시킨다. 절연수지가 상기 보디가 되며, 제1금형의 제1, 제2 볼록부가 상기 보디의 제1, 제2공간을 형성한다. 단자의 제1, 제2절편부의 선단부가 보디의 칸막이부에 매립되고, 단자의 제3, 제4절편부가 보디의 측벽에 매립된다. 그 후, 프레임으로부터 제1, 제2, 제3, 제4절편부가 분리된다.The resin molded article is manufactured as follows.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mold, and the proximal end of the second cut por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mold. While sandwiching and holding,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and the third and fourth sections are arranged inside the cavity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After that, the insulating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and cured. The insulating resin becomes the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mold form the first and second spaces of the body.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ut portions of the terminal is embedded in the partition portion of the body, and the third and fourth cut portions of the terminal are embedded in the side wall of the body. Thereafter,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ections are separated from the frame.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07-09901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7-099016

제3, 제4절편부는, 제1, 제2절편부의 기단부가 제1, 제2금형에 끼워 유지되어 있음으로써, 캐비티 내부에서 위치 결정하여 유지되고 있다. 즉, 제3, 제4절편부를 캐비티 내부에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기 위한 제1, 제2절편부가 필요 불가결하기 때문에, 단자가 대형화된다. 따라서, 수지성형품을 소형화하는 것이 곤란하였다.The bas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ut portions are held in the cavity by being held by the first and second molds. That is, since the 1st, 2nd cutting part for positioning and holding a 3rd, 4th cutting part inside a cavity is indispensable, a terminal becomes large.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resin molded article.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단자의 절편부를 제1, 제2금형의 캐비티 내부에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여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지성형품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성형용 금형, 이것을 이용한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수지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position and hold a fragment of a terminal inside a cavity of a first and a second mold, and to further reduce the size of a resin molded artic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lding die, a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and a resin molded artic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성형용 금형은, 적어도 단자의 절편부가 수용 가능한 캐비티를 가진 제1, 제2금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금형은, 상기 절편부의 제1면과 당접 가능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돌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근원 쪽의 에지이며, 또한, 상기 절편부의 상기 제1면의 반대쪽인 제2면과 당접 가능한 제1에지와, 상기 돌기의 선단부 쪽의 에지인 제2에지와, 상기 제1에지부터 상기 제2에지에 이르기까지 상기 볼록부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진 경사면 또는 만곡된 만곡면을 가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shaping | molding die of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1st, 2nd mold which has a cavity which can accommodate at least the cutting part of a terminal. The said 1st mold has the convex part which can contact | connect the 1st surface of the said cutting | disconnection part, and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said convex part at intervals. The projection is an edge of the base side of the projection, and a first edge that can contact the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a second edge that is an edge of the tip side of the projection, It has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curved surface inclin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convex portion from the first edge to the second edge.

이러한 형태의 성형용 금형에 의한 경우, 단자의 절편부의 제1면을 제1금형의 볼록부와, 상기 절편부의 제2면을 제1금형의 돌기의 제1에지와 당접시킨다. 이로써, 절편부가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에 의해 끼워 유지되므로, 상기 단자의 절편부를 제1, 제2금형에 캐비티 내부에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절편부가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에 의해 끼워 유지되므로, 캐비티에 수지를 사출할 때의 사출 압력에 의해서, 단자가 가동 또는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절편부를 제1, 제2금형의 캐비티 내부에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기 위한 부위를 단자에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단자가 대형화되지 않으므로, 수지성형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절편부가 경사면 또는 만곡면에 의해서,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와의 사이로 안내되므로, 절편부를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돌기의 경사면이 절편부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져 있다. 또는, 돌기의 만곡면이 절편부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만곡되어 있다. 즉,절편부의 제2면과 돌기의 경사면, 또는, 만곡면과의 사이에 캐비티의 일부를 이루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공간에 수지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절편부의 제2면을 돌기와 당접시키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면을 수지에 매립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olding die of this type, the first surface of the cutting portion of the terminal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cutt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of the first mold. As a result, the cut piece is held by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cut piece of the terminal can be easily positioned and held in the cavity in the first and second molds. Further, since the sectioned portion is held by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erminal from moving or deforming due to the injection pressure when the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form a portion in the terminal for positioning and holding the sectioned portion inside the cavity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For this reason, since a terminal does not become large, a resin molded article can be miniaturized. Further, since the sectioning portion is guided between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by the inclined or curved surface, the sectioning portion can be easily inserted between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have. Further,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jection is inclin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cut-out portion. Or the curved surface of a processus | curve is curved so that it may interpose from a cut-out part. That is, since a space forming a part of the cavity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sion or the curved surface, the resin can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Therefore, the second surface can be embedded in the resin even though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tion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jection.

상기 제1, 제2금형은, 상기 캐비티 내부에, 상기 단자의 단자본체와, 상기 단자본체와 연접되며, 또한, 상기 단자본체에 대해서 접혀 구부러진 상기 절편부를 수용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and second molds can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terminal body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body of the terminal, and the cut-out portion that is folded and bent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in the cavity.

이와 같은 형태의 성형용 금형에 의한 경우, 절편부는, 단자본체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으므로, 캐비티에 절연수지를 사출할 때의 사출 압력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러나, 절편부는,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에 끼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사출 압력에 의해서, 단자의 절편부가 가동 또는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olding die of such a form, since the cutout portion is bent at a right angle to the terminal body and bent, it is easy to be affected by the injection pressure when injecting the insulating resin into the cavity. However, since the cutting portion is held by the convex portion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the cutting portion of the terminal can be suppressed from moving or deforming by the injection pressure.

상기 제1, 제2금형은, 상기 단자본체를 상기 캐비티 내부로 수용하는 동시에, 부분적으로 끼워 유지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and second molds can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terminal body inside the cavity and to hold the terminal body partially.

이와 같은 형태의 성형용 금형에 의한 경우, 제1, 제2금형이 캐비티 내부에서 단자본체를 끼워 유지하기 때문에, 캐비티에 수지를 사출할 때의 사출 압력에 의해서, 단자가 가동 또는 변형되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molding die of such a form, since the first and second molds hold the terminal body inside the cavity, the terminal can be moved or deformed by the injection pressure when the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Can be further suppressed.

본 발명의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은, 상기 성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수지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단자의 절편부를 상기 제1금형의 상기 볼록부와 상기 돌기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절편부의 상기 제1면을 상기 볼록부와, 상기 제2면을 상기 돌기의 상기 제1에지와 당접시킴으로써, 상기 절편부를 상기 볼록부와 상기 제1에지에 끼워 유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금형을 금형 폐쇄하고, 적어도, 상기 단자의 상기 절편부를 상기 제1, 제2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배치시킨다. 상기 캐비티에 절연수지를 사출하고, 경화시켜서, 상기 절연수지에 상기 절편부를 매립한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sin molded article of this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id metal mold | die. The method includes inserting a section of a terminal between the projection and the projection of the first mold, the first surface of the section and the projection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projection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By contact | connecting, the said fragment part is hold | maintained in the said convex part and the said 1st edge. In this state, the first and second molds are closed by a mold, and at least the cutout portions of the terminals are disposed inside the cavity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The insulating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cured, and the cut portion is embedded in the insulating resin.

이와 같은 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한 경우, 단자의 절편부를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와의 사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절편부가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에 의해 끼워 유지된다. 따라서, 단자의 절편부를 제1, 제2금형에 캐비티 내부에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절편부가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에 의해 끼워 유지되므로, 캐비티에 수지를 사출할 때의 사출 압력에 의해서, 단자가 가동 또는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절편부를 제1, 제2금형의 캐비티 내부에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기 위한 부위를 단자에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단자가 대형화되지 않으므로, 수지성형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캐비티 내부로 사출된 절연수지가, 절편부의 제2면과 돌기의 경사면 또는 만곡면과의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때문에, 절편부의 제2면을 돌기와 당접시키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면을 수지에 매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form, only the intercepting part of a terminal is inserted between the convex part of a 1st mold, and a protrusion, and a fragment part is hold | maintained by the 1st edge of a convex part of a 1st mold, and a protrusion. Therefore, the intercepting part of the terminal can be easily positioned and held in the cavity in the first and second molds. Further, since the sectioned portion is held by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erminal from moving or deforming due to the injection pressure when the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Moreover,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site | part in a terminal for positioning and holding a cut part in the cavity of a 1st, 2nd mold. For this reason, since a terminal does not become large, a resin molded article can be miniaturized. In addition, the insulating resin injected into the cavity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tion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or curved surface of the projection. For this reason, the second surface can be embedded in the resin even though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tioning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jection.

상기 단자의 상기 절편부를 상기 제1, 제2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배치할 때, 상기 단자의 단자본체와, 상기 단자본체와 연접되고 또한 상기 단자본체에 대해서 접혀 구부러진 상기 절편부를, 상기 캐비티 내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cutout portion of the terminal is disposed inside the cavity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the cutout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of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body and is bent relative to the terminal body, is inside the cavity. It is possible to deploy.

이와 같은 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한 경우, 절편부는, 단자본체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으므로, 캐비티에 절연수지를 사출할 때의 사출 압력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러나, 절편부는,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에 끼워 유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사출 압력에 의해서, 단자의 절편부가 가동 또는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aspect, since the section part is bent and folded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it is easy to be affected by the injection pressure when injecting the insulating resin into the cavity. However, since the cutting portion is held by the convex portion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utting portion of the terminal from moving or deforming by the injection pressure.

상기 제1, 제2금형은, 상기 단자본체를 상기 캐비티 내부로 수용하는 동시에, 부분적으로 끼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irst and second molds can accommodate the terminal body inside the cavity and hold the terminal body partially.

이와 같은 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한 경우, 단자본체가 캐비티 내부에서 제1, 제2금형에 끼워 유지되기 때문에, 캐비티에 수지를 사출할 때의 사출 압력에 의해서, 단자가 가동 또는 변형되는 것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type of manufacturing method, since the terminal body is held in the first and second molds inside the cavity, the terminal is moved or deformed by the injection pressure when the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It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의 수지성형품은, 단자와, 보디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자는, 절편부를 가진다. 상기 절편부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쪽인 제2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보디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세워 설치되고 또한 벽면을 가진 측벽과, 상기 측벽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절편부는, 상기 제1면이 상기 측벽의 상기 벽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측벽에 매립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 쪽의 에지이며, 또한, 상기 절편부의 상기 제2면과 접하는 제1에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쪽의 에지인 제2에지와, 상기 제1에지부터 상기 제2에지에 이르기까지 상기 절편부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진 경사면 또는 만곡된 만곡면을 가지고 있다. The resin molded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and a body. The terminal has a slice portion. The section portion ha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body has a base, a side wall mounted on the base and having a wall surface, and a recess formed in the side wall. The section portion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such that the first surface is exposed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side wall. The concave portion is an edge of the opening side of the concave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edg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a second edge which is an edge of the bottom side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edge from the first edge. It has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curved surface that is inclined to intervene from the intercept portion up to the edge.

이와 같은 형태의 수지성형품에 의한 경우, 단자의 절편부의 제1면이 보디의 측벽의 벽면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절편부의 제2면이 보디의 오목부의 제1에지와 접하고 있다. 따라서, 제1금형의 볼록부를 절편부의 제1면과 당접시키는 한편,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금형의 돌기의 제1에지를 절편부의 제2면과 당접시킬 수 있다. 즉, 절편부를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와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단자의 절편부를 제1, 제2금형에 캐비티 내부에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절편부를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에 의해 끼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캐비티에 수지를 사출할 때의 사출 압력에 의해서, 단자가 가동 또는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편부가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와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되기 때문에, 절편부를 제1, 제2금형의 캐비티 내부에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기 위한 부위를 단자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단자가 대형화되지 않으므로, 수지성형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디의 오목부의 경사면이 제1에지부터 제2에지에 이르기까지 절편부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져 있다. 또는, 보디의 오목부의 만곡면이 제1에지부터 제2에지에 이르기까지 절편부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절편부의 제2면을 제1금형의 돌기와 당접시키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면을 보디에 매립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resin molded article of such a form, the first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of the terminal is exposed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tion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dge of the recess of the body. Accordingly,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section portion, while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of the first mold for forming the concave portion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tion portion. That is, since the intercepting portion can be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trusion, the intercepting portion of the terminal can be easily positioned and held within the cavity in the first and second molds. . In addition, since the sectioned portion can be held by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peration or deformation of the terminal by the injection pressure when the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In this way, since the section is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ortion for positioning the section within the cavity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There is no. For this reason, since a terminal does not become large, a resin molded article can be miniaturized. Further,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body is inclin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cutting portion from the first edge to the second edge. Alternatively, the curved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body is curv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cutting portion from the first edge to the second edge. For this reason, the second surface can be embedded in the body even though the second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jection of the first mold.

상기 단자는, 상기 베이스에 매립된 단자본체를 부가해서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절편부는, 상기 단자본체와 연접되며, 또한, 상기 단자본체에 대해서 접혀 구부러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terminal can be configured to additionally have a terminal body embedded in the base. The said cutting part is connected with the said terminal body, and it can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was bent and folded with respect to the said terminal body.

상기 보디는, 상기 측벽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공간을 부가해서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측벽은, 상기 수용공간 쪽의 벽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body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torage space partitioned by the side walls. The side wall can be a wall surface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의 절편부를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여 유지할 수 있으며, 단자의 소형화와 수지성형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portion of the terminal can be easily positioned and maintained inside the cavity of the mold, and the size of the terminal and the size of the resin molded product can be reduced.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수지성형품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배면, 바닥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바닥면이다.
도 2b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바닥면으로서, 단자의 보디에 매립된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보디 및 단자의 바닥면으로서, 단자의 보디에 매립된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도 1a 중의 3A-3A 단면도이다.
도 3b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도 2a 중의 3B-3B 단면도이다.
도 3c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도 1a 중의 3C-3C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단자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실링부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와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b와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c와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sin molded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front, planar and right side thereof.
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sin molded article seen from the back, bottom and right sides thereof.
2A is a bottom surface of the resin molded article.
FIG. 2B is a bottom surface of the resin molded article, showing a portion embedded in the body of the terminal. FIG.
Fig. 2C is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the terminal of the resin molded article, showing a portion embedded in the body of the terminal.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A-3A in FIG. 1A of the resin molded articl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B-3B in FIG. 2A of the resin molded article.
3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3C-3C in FIG. 1A of the resin molded articl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fla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terminal of the resin molded articl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rom the front, the plane and the right side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resin molded article.
6A is a view showing a step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molded article, show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FIG. 3A.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roces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id resin molded article, and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FIG. 3b.
6C is a view showing a step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molded article, show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FIG. 3C.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수지성형품에 대하여, 상기 도 1a ~ 도 6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수지성형품은, 보디(100)와, 단자(200a, 200b, 200c)와, 실링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수지성형품의 각 구성 요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 중의 제1방향 Y는 수지성형품의 길이방향, 제2방향 X는 수지성형품의 폭방향, 제3방향 Z는 수지성형품의 두께 방향이다. 제2방향 X는 제1방향 Y와 직각으로 교차하고, 제3방향 Z는 제1, 제2 방향 Y, X와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resin molded article which concerns on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S. 1A-6C. The resin molded article shown in FIGS. 1A and 1B includes a body 100,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and a sealing unit 300. Hereinafter, each structural requirement of the said resin molded article is demonstrated in detail. 1A and 1B, the 1st direction Y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resin molded article, the 2nd direction X is the width direction of a resin molded article, and the 3rd direction Z is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resin molded article. The second direction X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Y at right angles, and the third direction Z intersects the first, second directions Y, X at right angles.

보디(100)는, 도 1a ~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수지제의 성형품이다. 보디(100)는, 베이스(110)와, 측벽(120)과, 오목부(130a, 130b, 130c)(이것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보디의 오목부에 상당한다.)와, 오목부(140)와, 볼록부(150)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110)는, 제1면(111)과 제1면(111)의 반대쪽인 제2면(112)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110)의 제1면(111)의 주위가장자리부에는, 환형상의 측벽(120)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110)의 제1면(111)의 원형부의 중심부 위에는, 원기둥형상의 볼록부(150)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110), 측벽(120) 및 볼록부(150)에 의해, 오목형상의 수용공간(S)이 구획되어 있다. 측벽(120)은, 수용공간(S) 쪽의 벽면(121)과, 그 반대쪽의 벽면(122)을 가지고 있다.The body 100 is a molded article made of an insulating resin, as shown in Figs. 1A to 3C. The body 100 includes a base 110, side walls 120, recesses 130a, 130b, and 130c (this corresponds to recesses in the body of the claims), and recesses 140 And the convex portion 150. The base 110 has a first surface 111 and a second surface 112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111. At the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base 110, an annular side wall 120 is provided. On the central part of the circular part of the 1st surface 111 of the base 110, the columnar convex part 150 is provided upright. By the base 110, the side wall 120, and the convex part 150, the recessed accommodating space S is partitioned. The side wall 120 has the wall surface 121 of the accommodating space S side, and the wall surface 122 of the opposite side.

베이스(110)의 제2면(112)에는, 도 1b ~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40)는, 중심부(141)와, 복수의 가지부(142)를 가지고 있다. 중심부(141)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뿔대형상의 오목부이다. 가지부(142)는, 기다란 형상의 오목부로서, 중심부(141)로부터 방사형상으로 뻗어 있다, 가지부(142)의 길이 치수는, 단자(200a)의 후술하는 단자본체(210a)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다. 가지부(142)의 폭 치수는, 단자본체(210a)의 폭 치수보다도 작다.The recessed part 140 is formed in the 2nd surface 112 of the base 110 as shown to FIGS. 1B-3C. The recessed part 140 has the central part 141 and the some branch part 142. As shown in FIG. The central portion 141 is a substantially truncated conical portion,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branch portion 142 is an elongated recess, which extends radially from the central portion 141. The length dimension of the branch portion 142 is the length dimension of the terminal body 210a described later of the terminal 200a.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branch portion 142 is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terminal body 210a.

베이스(110) 및 측벽(120)에는, 도 2b ~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200a)가 매립되어 있다. 베이스(110)의 단자(200a)의 제2방향 X의 한쪽에는, 도 2b ~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200b)가 매립되어 있다. 베이스(110)의 단자(200a)의 제2방향 X의 다른 한쪽에는, 단자(200c)가 매립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2B to 3C, the terminal 200a is embedded in the base 110 and the side wall 120. The terminal 200b is embedded in one of the second directions X of the terminal 200a of the base 110 as shown in FIGS. 2B to 3C. The terminal 200c is embedded in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200a of the base 110 in the second direction X. As shown in FIG.

단자(200a)는 금속판이다. 단자(200a)는, 도 2b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본체(210a)와, 절편부(220a, 230a, 240a)와, 접속부(250a, 260a)를 가지고 있다. 단자본체(210a)는 제1면(211a)과, 그 반대쪽의 제2면(212a)을 가지고 있다. 단자본체(210a)는, 제1면(211a)이 베이스(110)의 제1면(111)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하고, 또한, 제2면(212a)이 베이스(110)의 오목부(140)의 가지부(142)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하도록, 베이스(110)에 매립되어 있다. 단자본체(210a)의 제1면(211a)의 노출부는, 볼록부(150)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The terminal 200a is a metal plate. As shown to FIGS. 2B-4, the terminal 200a has the terminal body 210a, the cut-out parts 220a, 230a, 240a, and the connection part 250a, 260a. The terminal body 210a has a first surface 211a and a second surface 212a opposite thereto. The terminal body 210a has a first surface 211a partially exposed from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base 110, and the second surface 212a has a recess 140 of the base 110. It is embedded in the base 110 so as to partially expose from the branch portion 142 of the. The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211a of the terminal body 210a is disposed around the convex portion 150.

절편부(220a)는, 단자본체(210a)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와 연접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단자본체(210a)에 대해서 직각으로 접혀 구부러진 판이다. 절편부(220a)는, 제1면(221a)과, 그 반대쪽의 제2면(222a)을 가지고 있다. 절편부(220a)는, 제1면(221a)이 측벽(120)의 벽면(121)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측벽(120)에 매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면(221a)의 제3방향의 다른 한쪽의 단부가 측벽(120)에 매립되며, 제1면(221a)의 상기 단부 이외의 부분이 측벽(120)의 벽면(121)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절편부(220a)는, 수용공간(S)과 후술하는 오목부(130a)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The section portion 220a is a plate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210a and is bent at a right angle to the terminal body 210a. The cut part 220a has the 1st surface 221a and the 2nd surface 222a on the opposite side. The cut part 220a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120 so that the first surface 221a is exposed from the wall surface 121 of the side wall 120. Specifically, the other end part of the 1st surface 221a in the 3rd direction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120, and parts other than the said end part of the 1st surface 221a are the wall surface 121 of the side wall 120 Exposed from The cut part 220a is located between the accommodating space S and the recessed part 130a mentioned later.

절편부(230a)는, 단자본체(210a)의 폭방향의 일단부와 연접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단자본체(210a)에 대해서 직각으로 접혀 구부러진 판이다. 절편부(230a)는, 제1면(231a)과, 그 반대쪽의 제2면(232a)을 가지고 있다. 절편부(230a)는, 제1면(231a)이 측벽(120)의 벽면(121)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측벽(120)에 매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면(231a)의 제3방향의 다른 한쪽의 단부가 측벽(120)에 매립되며, 제1면(231a)의 상기 단부 이외의 부분이 측벽(120)의 벽면(121)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절편부(230a)는, 수용공간(S)과 후술하는 오목부(130b)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The cutout portion 230a is a plate that is connected to on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210a and is bent at a right angle to the terminal body 210a. The cutout portion 230a has a first surface 231a and a second surface 232a opposite thereto. The cutout portion 230a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120 so that the first surface 231a is exposed from the wall surface 121 of the side wall 120. Specifically,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rface 231a in the third direction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120, and portions other than the end of the first surface 231a are wall surface 121 of the side wall 120. Exposed from The sectioning part 230a is located between the accommodating space S and the recessed part 130b mentioned later.

절편부(240a)는, 단자본체(210a)의 폭방향의 타단부와 연접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단자본체(210a)에 대해서 직각으로 접혀 구부러진 판이다. 절편부(240a)는, 제1면(241a)과, 그 반대쪽의 제2면(242a)을 가지고 있다. 절편부(240a)는, 제1면(241a)이 측벽(120)의 벽면(121)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측벽(120)에 매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면(241a)의 제3방향의 다른 한쪽의 단부가 측벽(120)에 매립되며, 제1면(241a)의 상기 단부 이외의 부분이 측벽(120)의 벽면(121)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절편부(240a)는, 수용공간(S)과 후술하는 오목부(130c)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절편부(230a) 및 절편부(240a)는,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또한, 절편부(220a)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The section portion 240a is a plate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210a and is bent at a right angle to the terminal body 210a. The cut part 240a has the 1st surface 241a and the 2nd surface 242a on the opposite side. The cutout portion 240a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120 so that the first surface 241a is exposed from the wall surface 121 of the side wall 120. Specifically, the other end part of the 1st surface 241a in the 3rd direction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120, and parts other than the said end part of the 1st surface 241a are the wall surface 121 of the side wall 120 Exposed from The cut part 240a is located between the accommodating space S and the recessed part 130c mentioned later. The cutting part 230a and the cutting part 240a oppose each other, and also face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utting part 220a.

접속부(250a)는, 단자본체(210a)의 폭방향 일단부인 절편부(230a)의 제1방향 Y의 한쪽과 연접되어 있으며, 또한, 제2방향 X의 한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250a)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은, 베이스(110)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접속부(250a)의 선단부는, 베이스(110)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접속부(250a)의 선단부는, 그 아랫면이 베이스(110)의 제2면(112)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접혀 구부러져 있다. 접속부(260a)는, 단자본체(210a)의 폭방향의 타단부인 절편부(240a)의 제1방향 Y의 한쪽과 연접되어 있으며, 또한, 제2방향 X의 다른 한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260a)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은, 베이스(110)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접속부(260a)의 선단부는, 베이스(110)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접속부(260a)의 선단부는, 그 아랫면이 베이스(110)의 제2면(112)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접혀 구부러져 있다. The connection part 250a is connected with one side of the 1st direction Y of the cutting | disconnection part 230a which is the width direction one end part of the terminal body 210a, and is extended to one side of the 2nd direction X. As shown in FIG. Portions other than the tip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50a are embedded in the base 110.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50a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110.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50a is folded and bent such that its lower surface is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surface 112 of the base 110. The connection part 260a is connected with one side of the 1st direction Y of the cutting | disconnection part 240a which is the other end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210a, and extends to the other side of the 2nd direction X. As shown in FIG. Portions other than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60a are embedded in the base 110.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60a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110.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60a is folded and bent such that its lower surface is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surface 112 of the base 110.

단자(200b)는 금속판이다. 단자(200b)는, 도 2b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본체(210b)와, 접속부(220b)를 가지고 있다. 단자본체(210b)는 제1면(211b)과, 그 반대쪽의 제2면(212b)을 가지고 있다. 단자본체(210b)는, 제1면(211b)이 베이스(110)의 제1면(111)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하고, 또한, 제2면(212b)이 베이스(110)의 오목부(140)의 가지부(142)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하도록, 베이스(110)에 매립되어 있다. 단자본체(210b)의 제1면(211b)의 노출부는, 볼록부(150)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부(220b)는, 단자본체(210b)의 제1방향 Y의 일단부와 연접되어 있으며 또한 제2방향 X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220b)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은, 베이스(110)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접속부(220b)의 선단부는, 베이스(110)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접속부(220b)의 선단부는, 그 아랫면이 베이스(110)의 제2면(112)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접혀 구부러져 있다.  The terminal 200b is a metal plate. As shown to FIG. 2B-FIG. 4, the terminal 200b has the terminal main body 210b and the connection part 220b. The terminal body 210b has a first surface 211b and a second surface 212b opposite thereto. The terminal body 210b has a first surface 211b partially exposed from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base 110, and the second surface 212b has a recess 140 of the base 110. It is embedded in the base 110 so as to partially expose from the branch portion 142 of the. An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211b of the terminal body 210b is disposed around the convex portion 150. The connecting portion 220b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erminal body 210b in the first direction Y and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X. As shown in FIG. Portions other than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b are embedded in the base 110.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b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110.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b is folded and bent such that its lower surface is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surface 112 of the base 110.

단자(200c)는 금속판이다. 단자(200c)는, 도 2b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본체(210c)와, 접속부(220c)를 가지고 있다. 단자본체(210c)는 제1면(211c)과, 그 반대쪽의 제2면(212c)을 가지고 있다. 단자본체(210c)는, 제1면(211c)이 베이스(110)의 제1면(111)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하고, 또한, 제2면(212c)이 베이스(110)의 오목부(140)의 가지부(142)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하도록, 베이스(110)에 매립되어 있다. 단자본체(210c)의 제1면(211c)의 노출부는, 볼록부(150)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부(220c)는, 단자본체(210c)의 제1방향 Y의 일단부와 연접되어 있으며 또한 제2방향 X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220c)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은, 베이스(110)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접속부(220c)의 선단부는, 베이스(110)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접속부(220c)의 선단부는, 그 아랫면이 베이스(110)의 제2면(112)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접혀 구부러져 있다. The terminal 200c is a metal plate. As shown to FIG. 2B-FIG. 4, the terminal 200c has the terminal main body 210c and the connection part 220c. The terminal body 210c has a first surface 211c and a second surface 212c opposite thereto. The terminal body 210c has a first surface 211c partially exposed from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base 110, and the second surface 212c has a recess 140 of the base 110. It is embedded in the base 110 so as to partially expose from the branch portion 142 of the. The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211c of the terminal body 210c is disposed around the convex portion 150. The connecting portion 220c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erminal body 210c in the first direction Y and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X. As shown in FIG. Portions other than the tip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c are embedded in the base 110.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c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110.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c is folded and bent such that its lower surface is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surface 112 of the base 110.

측벽(120)의 단자(200a)의 절편부(220a)의 제1방향 Y의 한쪽에는, 도 1a 및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30a)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120)의 단자(200a)의 절편부(230a)의 제2방향 X의 한쪽에는, 도 1a 및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30b)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120)의 단자(200a)의 절편부(240a)의 제2방향 X의 다른 한쪽에는, 도 1a 및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30c)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A and FIG. 3A, the recessed part 130a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1st direction Y of the cut-out part 220a of the terminal 200a of the side wall 120. As shown to FIG. Concave portions 130b are formed in one of the second directions X of the intercepting portions 230a of the terminal 200a of the side wall 120, as shown in FIGS. 1A and 3C. The recessed part 130c is formed in the other one of the cut-out part 240a of the terminal 200a of the side wall 120 in the 2nd direction X as shown to FIG. 1A and FIG. 3C.

오목부(130a)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방향 X로 뻗어 있는 기다란 형상의 오목부이다. 오목부(130a)의 제2방향 X의 치수는, 절편부(220a)의 제2방향 X의 치수보다도 작다. 오목부(130a)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에지(131a)와, 제2에지(132a)와, 경사면(133a)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133a)은, 오목부(130a)의 절편부(220a) 쪽의 내벽면이다. 제1에지(131a)는, 경사면(133a)의 오목부(130a)의 개구부 쪽(제3방향 Z의 한쪽)의 에지이다. 제1에지(131a)는, 절편부(220a)의 제2면(222a)과 접하고 있다. 제2에지(132a)는, 경사면(133a)의 오목부(130a)의 바닥 쪽(제3방향 Z의 다른 한쪽)의 에지이다. 경사면(133a)은, 제1에지(131a)부터 제2에지(132a)에 이르기까지 절편부(220a)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절편부(220a)의 제2면(222a)의 대략 전체 영역이 측벽(120)에 매립되어 있다.  The recessed part 130a is an elongate recessed part extended in the 2nd direction X, as shown to FIG. 1A. The dimension of the 2nd direction X of the recessed part 130a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of the 2nd direction X of the cut-out part 220a. As shown to FIG. 3A, the recessed part 130a has the 1st edge 131a, the 2nd edge 132a, and the inclined surface 133a. The inclined surface 133a is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220a side of the recess 130a. The first edge 131a is an edge of the opening side (one side in the third direction Z) of the recess 130a of the inclined surface 133a. The first edge 131a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222a of the sectioning portion 220a. The second edge 132a is an edge of the bottom side (the other side in the third direction Z) of the recess 130a of the inclined surface 133a. The inclined surface 133a is inclin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cutting part 220a from the first edge 131a to the second edge 132a. For this reason, the substantially whole area | region of the 2nd surface 222a of the cut-out part 220a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120. As shown in FIG.

오목부(130b)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방향 Y로 뻗어 있는 기다란 형상의 오목부이다. 오목부(130b)의 제1방향 X의 치수는, 절편부(230a)의 제1방향 Y의 치수보다도 작다. 오목부(130b)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에지(131b)와, 제2에지(132b)와, 경사면(133b)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133b)은, 오목부(130b)의 절편부(230a) 쪽의 내벽면이다. 제1에지(131b)는, 경사면(133b)의 오목부(130b)의 개구부 쪽(제3방향 Z의 한쪽)의 에지이다. 제1에지(131b)는, 절편부(230a)의 제2면(232a)과 접하고 있다. 제2에지(132b)는, 경사면(133b)의 오목부(130b)의 바닥 쪽(제3방향 Z의 다른 한쪽)의 에지이다. 경사면(133b)은, 제1에지(131b)부터 제2에지(132b)에 이르기까지 절편부(230a)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절편부(230a)의 제2면(232a)의 대략 전체 영역이 측벽(120)에 매립되어 있다. The recessed part 130b is an elongate recessed part extended in the 1st direction Y, as shown to FIG. 1A. The dimension of the 1st direction X of the recessed part 130b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of the 1st direction Y of the fragment part 230a. The recessed part 130b has the 1st edge 131b, the 2nd edge 132b, and the inclined surface 133b, as shown to FIG. 3C. The inclined surface 133b is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230a side of the recess 130b. The first edge 131b is an edge of the opening side (one side in the third direction Z) of the recess 130b of the inclined surface 133b. The first edge 131b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232a of the cutout portion 230a. The second edge 132b is an edge of the bottom side (the other side in the third direction Z) of the recess 130b of the inclined surface 133b. The inclined surface 133b is inclin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cutout portion 230a from the first edge 131b to the second edge 132b. For this reason, the substantially whole area | region of the 2nd surface 232a of the cutout part 230a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120. As shown in FIG.

오목부(130c)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방향 Y로 뻗어 있는 기다란 형상의 오목부이다. 오목부(130c)의 제1방향 Y의 치수는, 절편부(240a)의 제1방향 Y의 치수보다도 작다. 오목부(130c)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에지(131c)와, 제2에지(132c)와, 경사면(133c)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133c)은, 오목부(130c)의 절편부(240a) 쪽의 내벽면이다. 제1에지(131c)는, 경사면(133c)의 오목부(130c)의 개구부 쪽(제3방향 Z의 한쪽)의 에지이다. 제1에지(131c)는, 절편부(240a)의 제2면(242a)과 접하고 있다. 제2에지(132c)는, 경사면(133c)의 오목부(130c)의 바닥쪽(제3방향 Z의 다른 한쪽)의 에지이다. 경사면(133c)은, 제1에지(131c)부터 제2에지(132c)에 이르기까지 절편부(240a)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절편부(240a)의 제2면(242a)의 대략 전체 영역이 측벽(120)에 매립되어 있다. The recessed part 130c is an elongate recessed part extending in the 1st direction Y, as shown to FIG. 1A. The dimension of the 1st direction Y of the recessed part 130c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of the 1st direction Y of the cut-out part 240a. The recessed part 130c has the 1st edge 131c, the 2nd edge 132c, and the inclined surface 133c, as shown to FIG. 3C. The inclined surface 133c is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240a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30c. The first edge 131c is an edge of the opening side (one side in the third direction Z) of the recess 130c of the inclined surface 133c. The first edge 131c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242a of the cutout portion 240a. The second edge 132c is an edge of the bottom side (the other side in the third direction Z) of the recess 130c of the inclined surface 133c. The inclined surface 133c is inclin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cutting part 240a from the first edge 131c to the second edge 132c. For this reason, the substantially whole area | region of the 2nd surface 242a of the cut-out part 240a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120. As shown in FIG.

실링부(300)는, 도 1b ~ 도 2b, 도 3a ~ 도 3c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40)에 충전되며, 보디(100) 및 단자(200a, 200b, 200c)에 고착된 절연수지이다. 실링부(300)는, 중심부(310)와, 복수의 가지부(320)를 가지고 있다. 중심부(310)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뿔대로서, 오목부(140)의 중심부(141)에 충전되어 있다. 가지부(320)는, 기다란 형상의 돌출된 줄기로서, 중심부(310)로부터 방사형상으로 뻗으며, 또한, 오목부(140)의 가지부(142)에 충전되어 있다. 가지부(320) 중, 일부의 복수의 가지부(320)는, 보디(100) 및 단자(200a)의 단자본체(210a)에 고착되어 있다. 가지부(320) 중, 다른 복수의 가지부(320)는, 보디(100), 단자(200a)의 단자본체(210a) 및 단자(200b)의 단자본체(210b)에 고착되어 있다. 가지부(320) 중, 나머지 복수의 가지부(320)는, 보디(100), 단자(200a)의 단자본체(210a) 및 단자(200c)의 단자본체(210c)에 고착되어 있다.The sealing part 300 is filled in the recessed part 140 as shown to FIGS. 1B-2B, 3A-3C, and 5, and is fixed to the body 100 and the terminals 200a, 200b, 200c. Insulating resin. The sealing portion 300 has a central portion 310 and a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320. 3A and 3B, the central part 310 is a substantially truncated cone, and is filled in the central part 141 of the recessed part 140. As shown in FIG. The branch portion 320 is an elongated protruding stem that extends radially from the central portion 310 and is filled in the branch portion 142 of the concave portion 140. Some of the branch portions 320 of the branch portions 320 are fixed to the body 100 and the terminal body 210a of the terminal 200a. Among the branch portions 320, the plurality of other branch portions 320 are fixed to the body 100, the terminal body 210a of the terminal 200a, and the terminal body 210b of the terminal 200b. Among the branch portions 320, the remaining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320 are fixed to the body 100, the terminal body 210a of the terminal 200a, and the terminal body 210c of the terminal 200c.

이하, 위에서 설명한 수지성형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이용되는 제1, 제2 성형용 금형에 대하여 도 6a ~ 6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성형용 금형은, 제1, 제2금형 (10), (20)을 가지고 있다. 제2성형용 금형은, 제3, 제4금형 (30), (40)을 가지고 있다.Hereinafter, the 1st, 2nd shaping | molding die used in manufacturing the resin molding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S. 6A-6C. The first molding die has first and second molds 10 and 20. The second molding die has third and fourth molds 30 and 40.

제1금형(10)은, 볼록부(11)와, 오목부(12)와, 돌기(13a, 13b, 13c)와, 스풀(14)을 가지고 있다. 볼록부(11)는, 수지성형품 보디(100)의 수용공간(S)의 형상과 대응한 형상이다. 오목부(12)는, 볼록부(11)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보디(100)의 측벽(120)의 외형과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스풀(14)은, 볼록부(11)에 형성되어 있다.The 1st mold 10 has the convex part 11, the recessed part 12, the protrusions 13a, 13b, and 13c, and the spool 14. As shown in FIG. The convex part 11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ccommodating space S of the resin molded body 100. The recessed part 12 is formed around the convex part 11, and has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side wall 120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The spool 14 is formed in the convex part 11.

돌기(13a)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2)의 바닥면에 볼록부(11)로부터 제1방향 Y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돌기(13a)는,보디(100)의 오목부(130a)와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돌기(13a)는, 제2방향 X로 뻗어 있는 기다란 형상의 돌출된 줄기이다. 돌기(13a)는, 제1에지(13a1)와, 제2에지(13a2)와, 경사면(13a3)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13a3)은, 볼록부(11) 쪽의 면이다. 제1에지(13a1)는, 경사면(13a3)의 돌기(13a)의 근원 쪽의 에지이다. 제1에지(13a1)와 볼록부(11) 사이의 거리는, 절편부(220a)의 제1면(221a)으로부터 제2면(222a)까지의 거리(즉, 절편부(220a)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제2에지(13a2)는, 경사면(13a3)의 돌기(13a) 선단부 쪽의 에지이다. 경사면(13a3)은, 제1에지(13a1)부터 제2에지(13a2)에 이르기까지 볼록부(11)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져 있다.As shown to FIG. 6A, the projection 13a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12 at intervals in one side of the 1st direction Y from the convex part 11. As shown in FIG. The projection 13a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ss 130a of the body 100. That is, the projection 13a is an elongated protruding stem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X. The projection 13a has a first edge 13a1, a second edge 13a2, and an inclined surface 13a3. The inclined surface 13a3 is a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1 side. The 1st edge 13a1 is an edge of the base side of the processus | protrusion 13a of the inclined surface 13a3.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13a1 and the convex portion 11 i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urface 221a of the section portion 220a to the second surface 222a (that is,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section portion 220a).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second edge 13a2 is an edge of the tip end side of the protrusion 13a of the inclined surface 13a3. The inclined surface 13a3 is inclin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convex part 11 from the 1st edge 13a1 to the 2nd edge 13a2.

돌기(13b)는,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2)의 바닥면에 볼록부(11)로부터 제2방향 X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돌기(13b)는,보디(100)의 오목부(130b)와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돌기(13b)는, 제1방향 Y로 뻗어 있는 기다란 형상의 돌출된 줄기이다. 돌기(13b)는, 제1에지(13b1)와, 제2에지(13b2)와, 경사면(13b3)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13b3)은, 볼록부(11) 쪽의 면이다. 제1에지(13b1)는, 경사면(13b3)의 돌기(13b)의 근원 쪽의 에지이다. 제1에지(13b1)와 볼록부(11)와의 사이의 거리는, 절편부(230a)의 제1면(231a)으로부터 제2면(232a)까지의 거리(즉, 절편부(230a)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제2에지(13b2)는, 경사면(13b3)의 돌기(13b) 선단부 쪽의 에지이다. 경사면(13b3)은, 제1에지(13b1)부터 제2에지(13b2)에 이르기까지 볼록부(11)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져 있다.As shown to FIG. 6C, the projection 13b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12 at intervals in one side of the 2nd direction X from the convex part 11. As shown in FIG. The protrusion 13b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ss 130b of the body 100. In other words, the protrusion 13b is an elongated protruding stem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Y. As shown in FIG. The protrusion 13b has a first edge 13b1, a second edge 13b2, and an inclined surface 13b3. The inclined surface 13b3 is a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1 side. The first edge 13b1 is an edge of the base side of the protrusion 13b of the inclined surface 13b3.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13b1 and the convex portion 11 i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urface 231a to the second surface 232a of the section portion 230a (that is,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section portion 230a).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second edge 13b2 is an edge on the tip end side of the protrusion 13b of the inclined surface 13b3. The inclined surface 13b3 is inclin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convex part 11 from the 1st edge 13b1 to the 2nd edge 13b2.

돌기(13c)는,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2)의 바닥면에 볼록부(11)로부터 제2방향 X의 다른 한쪽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돌기(13c)는, 보디(100)의 오목부(130c)와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있다. 즉, 돌기(13c)는, 제1방향 Y로 뻗어 있는 기다란 형상의 돌출된 줄기이다. 돌기(13c)는, 제1에지(13c1)와, 제2에지(13c2)와, 경사면(13c3)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13c3)은, 볼록부(11) 쪽의 면이다. 제1에지(13c1)는, 경사면(13c3)의 돌기(13c)의 근원 쪽의 에지이다. 제1에지(13c1)와 볼록부(11) 사이의 거리는, 절편부(240a)의 제1면(241a)으로부터 제2면(242a)까지의 거리(즉, 절편부(240a)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제2에지(13c2)는, 경사면(13c3)의 돌기(13c) 선단부 쪽의 에지이다. 경사면(13c3)은, 제1에지(13c1)부터 제2에지(13c2)에 이르기까지 볼록부(11)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져 있다.As shown to FIG. 6C, the projection 13c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12 at the other side of the convex part 11 in the 2nd direction X at intervals. The projection 13c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ss 130c of the body 100. That is, the projection 13c is an elongated protruding stem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Y. As shown in FIG. The projection 13c has a first edge 13c1, a second edge 13c2, and an inclined surface 13c3. The inclined surface 13c3 is a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1 side. The 1st edge 13c1 is an edge of the base side of the processus | protrusion 13c of the inclined surface 13c3.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dge 13c1 and the convex portion 11 i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urface 241a of the section portion 240a to the second surface 242a (that is,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section portion 240a).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second edge 13c2 is an edge of the tip end side of the protrusion 13c of the inclined surface 13c3. The inclined surface 13c3 is inclin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convex part 11 from the 1st edge 13c1 to the 2nd edge 13c2.

제2금형(20)은, 오목부(21)와, 돌기(22)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21)는, 보디(100)의 베이스(110)의 외형과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기(22)는, 오목부(21)의 바닥면 위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22)는, 중심부(22a)와, 복수의 가지부(22b)를 가지고 있다. 중심부(22a)는, 보디(100)의 오목부(140)의 중심부(141)의 내형과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지부(22b)는, 보디(100)의 오목부(140)의 가지부(142)의 내형과 대응한 기다란 형상의 돌출된 줄기로서, 중심부(22a)로부터 방사형상으로 뻗어 있다, 가지부(22b)의 길이 치수는, 단자(200a)의 단자본체(210a)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다. 가지부(22b)의 폭 치수는, 단자본체(210a)의 폭 치수보다도 작다.The second mold 20 has a recess 21 and a protrusion 22. The recessed part 21 has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base 110 of the body 100. The protrusion 2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21. The protrusion 22 has a central portion 22a and a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22b. The central portion 22a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central portion 141 of the recess 140 of the body 100. The branch portion 22b is an elongated protruding stem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branch portion 142 of the recess 140 of the body 100, and extends radially from the central portion 22a. The length dimension of 22b) is smaller than the length dimension of the terminal body 210a of the terminal 200a. The width dimension of the branch portion 22b is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terminal body 210a.

제1, 제2금형 (10), (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볼록부(11), 오목부(12), 돌기(13a, 13b, 13c), 오목부(21) 및 돌기(22)가 제1, 제2금형 (10), (20)의 캐비티(C1)를 구획한다. 캐비티(C1)는, 보디(100) 및 보디(100)으로부터 돌출하는 접속부(250a, 260a, 220b, 220c)의 외형과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molds 10 and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vex portion 11, the recessed portion 12, the protrusions 13a, 13b and 13c, the recessed portion 21 and the protrusion 22 ) Partitions the cavity C1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10 and 20. The cavity C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body 100 and the connection portions 250a, 260a, 220b, 220c protruding from the body 100.

제3금형(30)은, 스풀(14)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점에서 제1금형(10)과 상위한 이외는, 제1금형(10)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제4금형(40)은, 돌기(22)를 가지지 않으며, 또한, 스풀(42)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제2금형(20)과 상위한 이외는, 제2금형(20)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제3, 제4금형 (30), (4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볼록부(31), 오목부(32), 돌기(33a, 33b, 33c) 및 오목부(41)가, 제3, 제4금형 (30), (40)의 캐비티(C2)를 구획한다. 캐비티(C2)는, 상기 수지성형품의 외형과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The third mold 30 has a shap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mold 10 except that the third mold 30 differs from the first mold 10 in that the spool 14 is not provided. The fourth mold 40 has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mold 20 except that the fourth mold 40 has no protrusion 22 and differs from the second mold 20 in that the spool 42 is provided. . In a state where the third and fourth molds 30 and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vex portion 31, the recessed portion 32, the protrusions 33a, 33b, 33c, and the recessed portion 41 are arranged in a third manner. The cavity C2 of the fourth molds 30 and 40 is partitioned. Cavity C2 becomes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said resin molded article.

이하, 제1, 제2금형 (10), (20) 및 제3, 제4금형 (30), (40)을 이용하여 상기 수지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6a ~ 6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단자(200a)의 절편부(220a)를 볼록부(11)와 돌기(13a) 사이에 삽입하고, 단자(200a)의 절편부(230a)를 볼록부(11)와 돌기(13b) 사이에 삽입하고, 단자(200a)의 절편부(240a)를 볼록부(11)와 돌기(13c) 사이에 삽입한다. 그러면, 절편부(220a)의 제1면(221a)이 볼록부(11)와 부분적으로 당접하고, 절편부(220a)의 제2면(222a)이 돌기(13a)의 제1에지(13a1)와 당접한다. 즉, 절편부(220a)가 볼록부(11)와 돌기(13a)의 제1에지(13a1)와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된다(도 6a 참조). 이때, 돌기(13a)의 제2에지(13a2) 및 경사면(13a3)은, 절편부(220a)의 제2면(222a)과 접촉하지 않는다. 절편부(230a)의 제1면(231a)이 볼록부(11)와 부분적으로 당접하고, 절편부(230a)의 제2면(232a)이 돌기(13b)의 제1에지(13b1)와 당접한다. 즉, 절편부(230a)가 볼록부(11)와 돌기(13b)의 제1에지(13b1)와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된다(도 6c 참조). 이때, 돌기(13b)의 제2에지(13b2) 및 경사면(13b3)은, 절편부(230a)의 제2면(232a)과 접촉하지 않는다. 절편부(240a)의 제1면(241a)이 볼록부(11)와 부분적으로 당접하고, 절편부(240a)의 제2면(242a)이 돌기(13c)의 제1에지(13c1)와 당접한다. 즉, 절편부(240a)가 볼록부(11)와 돌기(13c)의 제1에지(13c1)와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된다(도 6c 참조). 이때, 돌기(13c)의 제2에지(13c2) 및 경사면(13c3)은, 절편부(240a)의 제2면(242a)과 접촉하지 않는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first, second molds 10, 20, and the third, fourth molds 30,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 First, the intercepting part 220a of the terminal 200a is inserted between the convex part 11 and the protrusion 13a, and the intercepting part 230a of the terminal 200a is inserted between the convex part 11 and the protrusion 13b. The cutout portion 240a of the terminal 200a is inserte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and the protrusion 13c. Then, the first surface 221a of the section 220a partially contacts the convex portion 11, and the second surface 222a of the section 220a is the first edge 13a1 of the projection 13a. Contact with. That is, the intercepting section 220a is held between the convex section 11 and the first edge 13a1 of the projection 13a (see FIG. 6A). At this time, the second edge 13a2 and the inclined surface 13a3 of the protrusion 13a do not contact the second surface 222a of the cutout portion 220a. The first surface 231a of the cutout portion 230a partially contacts the convex portion 11, and the second surface 232a of the cutout portion 230a is formed with the first edge 13b1 of the protrusion 13b. I touch it. That is, the cutout portion 230a is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and the first edge 13b1 of the protrusion 13b (see FIG. 6C). At this time, the second edge 13b2 and the inclined surface 13b3 of the projection 13b do not contact the second surface 232a of the cutout portion 230a. The first surface 241a of the cutout portion 240a partially contacts the convex portion 11, and the second surface 242a of the cutout portion 240a is formed with the first edge 13c1 of the protrusion 13c. I touch it. In other words, the cutout portion 240a is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and the first edge 13c1 of the protrusion 13c (see FIG. 6C). At this time, the second edge 13c2 and the inclined surface 13c3 of the protrusion 13c do not contact the second surface 242a of the cutout portion 240a.

그 후, 제1, 제2금형 (10), (20)을 금형 폐쇄한다. 그러면, 단자(200a, 200b, 200c)가 제1, 제2금형 (10), (20)의 캐비티(C1) 내부로 수용되고, 단자(200a, 200b, 200c)의 단자본체(210a, 210b, 210c)가 제1금형(10)의 볼록부(11)와 제2금형(20)의 돌기(22)에 끼워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11)와 돌기(22)의 가지부(22b) 중의 일부의 가지부(22b)와의 사이에 단자본체(210a)가 끼워 유지된다. 볼록부(11)와 돌기(22)의 가지부(22b) 중의 다른 가지부(22b)와의 사이에 단자본체(210a) 및 단자본체(210b)가 끼워 유지된다. 볼록부(11)와 돌기(22)의 가지부(22b) 중의 나머지 가지부(22b)와의 사이에 단자본체(210a) 및 단자본체(210c)가 끼워 유지된다Thereafter, the first and second molds 10 and 20 are closed with a mold. Then,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are accommodated in the cavity C1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10 and 20, and the terminal bodies 210a, 210b, and 200c of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210c is held between the protrusions 11 of the first mold 10 and the protrusions 22 of the second mold 20. Specifically, the terminal body 210a is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and some of the branch portions 22b of the branch portions 22b of the projection 22. The terminal body 210a and the terminal body 210b are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and the other branch portion 22b of the branch portion 22b of the projection 22. The terminal body 210a and the terminal body 210c are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and the remaining branch portions 22b of the branch portions 22b of the projection 22.

그 후, 제1, 제2금형 (10), (20)의 캐비티(C1) 내부에 스풀(14)로부터 제1절연수지(R1)를 사출하여, 상기 캐비티(C1)에 층전시킨다. 그 후, 제1절연수지(R1)를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절연수지(R1)가 보디(100)로서 성형된다. 상기 보디(100)의 제2면(222a)에 돌기(22)의 형상과 대응한 오목부(140)가 형성되고, 보디(100)의 측벽(120)에 돌기(13a, 13b, 13c)의 형상과 대응한 오목부(130a, 130b, 130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단자(200a, 200b, 200c)가 보디(100)(제1절연수지(R1))에 인서트 성형된다.Thereafter, the first insulating resin R1 is injected from the spool 14 into the cavity C1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10 and 20 to layer the cavity C1. Thereafter, the first insulating resin R1 is cured. In this way, the first insulating resin R1 is molded as the body 100. The recess 14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22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222a of the body 100, and the protrusions 13a, 13b, and 13c are formed on the sidewall 120 of the body 100. Concave portions 130a, 130b, 130c corresponding to the shape are formed. In this way,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are insert molded into the body 100 (first insulating resin R1).

구체적으로는, 단자본체(210a, 210b, 210c)는 보디(100)의 베이스(110)에 매립된다. 이로써, 보디(100)의 제1면(111)으로부터, 단자본체(210a, 210b, 210c)의 제1면(211a, 211b, 211c)가 부분적으로 노출한다. 보디(100)의 오목부(140)의 일부의 가지부(142)로부터, 단자본체(210a)의 제2면(212a)이 부분적으로 노출한다. 보디(100)의 오목부(140)의 다른 가지부(142)로부터, 단자본체(210a, 210b)의 제2면(212a, 212b)이 부분적으로 노출한다. 보디(100)의 오목부(140)의 나머지의 가지부(142)로부터, 단자본체(210a, 210c)의 제2면(212a, 212c)이 부분적으로 노출한다. 접속부(250a, 260a, 220b, 220c)의 선단부 이외의 부분이 보디(100)의 베이스에 매립되며, 상기 선단부가 보디(100) 외부로 돌출한다. 절편부(220a, 230a, 240a)가 보디(100)의 측벽(120)에 매립된다. 이로써, 절편부(220a, 230a, 240a)의 제1면(221a, 231a, 241a)이 측벽(120)의 벽면(121)으로부터 노출한다. 절편부(220a, 230a, 240a)의 제2면(222a, 232a, 242a)이 오목부(130a, 130b, 130c)의 제1에지(131a, 131b, 131c)와 접하는 동시에. 오목부(130a, 130b, 130c)의 경사면(133a, 133b, 133c) 안쪽의 수지에 덮인다. 그 후, 제1, 제2금형 (10), (20)을 이형시켜서, 보디(100) 및 단자(200a, 200b, 200c)를 꺼낸다.Specifically, the terminal body 210a, 210b, 210c is embedded in the base 110 of the body 100. As a result, the first surfaces 211a, 211b, and 211c of the terminal bodies 210a, 210b, and 210c are partially exposed from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body 100. The second surface 212a of the terminal body 210a is partially exposed from the branch portion 142 of the recess 140 of the body 100. From the other branch part 142 of the recessed part 140 of the body 100, the 2nd surface 212a, 212b of the terminal body 210a, 210b is partially exposed. The second surfaces 212a and 212c of the terminal bodies 210a and 210c are partially exposed from the remaining branch portions 142 of the recess 140 of the body 100. Portions other than the tips of the connecting parts 250a, 260a, 220b, and 220c are embedded in the base of the body 100, and the tips protrude out of the body 100. Sectional portions 220a, 230a, 240a are embedded in the sidewall 120 of the body 100. As a result, the first surfaces 221a, 231a, and 241a of the cutout portions 220a, 230a, and 240a are exposed from the wall surface 121 of the sidewall 120. The second surfaces 222a, 232a, 242a of the section portions 220a, 230a, 240a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edges 131a, 131b, 131c of the recesses 130a, 130b, 130c. It is covered by resin inside the inclined surfaces 133a, 133b, and 133c of the recesses 130a, 130b, and 130c. Thereafter, the first and second molds 10 and 20 are released, and the body 100 and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are taken out.

그 후, 제3, 제4금형 (30), (40)의 캐비티(C2) 내부에 보디(100) 및 단자(200a, 200b, 200c)를 수용시키고, 제4금형(40)으로 보디(100)의 오목부(140)를 막는다. 이로써, 제4금형(40)과 보디(100)의 오목부(140)에 의해 공간이 구획된다. 그 후, 스풀(14)로부터 상기 공간에 제2절연수지(R2)를 사출하여, 상기 공간(오목부(140))에 충전시킨다 그 후, 제2절연수지(R2)를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제2절연수지(R2)가 실링부(300)로서 성형된다. 이로써, 실링부(300)가 보디(100) 및 단자(200a, 200b, 200c)에 고착된다. 그 후, 제3, 제4금형 (30), (40)을 이형시켜서, 보디(100), 단자(200a, 200b, 200c) 및 실링부(300)를 꺼낸다. 이상과 같이 하여, 수지성형품이 제조된다.Thereafter, the body 100 and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are accommodated in the cavity C2 of the third and fourth molds 30 and 40, and the body 100 is formed by the fourth mold 40. To block the recess 140. As a result, the space is partitioned by the fourth mold 40 and the recess 140 of the body 100. Thereafter, a second insulating resin R2 is injected into the space from the spool 14 to fill the space (concave portion 140). Then, the second insulating resin R2 is cured. In this way, the second insulating resin R2 is molded as the sealing portion 300. As a result, the sealing part 300 is fixed to the body 100 and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Thereafter, the third and fourth molds 30 and 40 are released, and the body 100,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and the sealing part 300 are taken out. In this way, a resin molded article is produced.

상기 수지성형품에 의한 경우, 보디(100)의 성형 시에, 절편부(220a)가 제1금형(10)의 볼록부(11)와 돌기(13a)의 제1에지(13a1)와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된다. 절편부(230a)가 제1금형(10)의 볼록부(11)와 돌기(13b)의 제1에지(13b1)와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된다. 절편부(240a)가 제1금형(10)의 볼록부(11)와 돌기(13c)의 제1에지(13c1)와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된다. 이에 더하여, 제1금형(10)의 볼록부(11)와 제2금형(20)의 돌기(22)와의 사이에서 단자본체(210a, 210b, 210c)가 끼워 유지된다. 따라서, 단자(200a)를 캐비티(C1) 내부에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여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단자(200a)에, 별도의 위치 결정 유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단자(200a)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지성형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절편부(220a, 230a, 240a)는, 단자본체(210a)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접혀 구부러져 있으므로, 캐비티(C1)에 제1절연수지(R1)를 사출할 때의 사출 압력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러나, 절편부(220a, 230a, 240a)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록부(11)와 돌기의 제1에지에 끼워 유지되므로. 상기 사출 압력에 의해서, 단자(200a, 200b, 200c)의 절편부(220a, 230a, 240a)가 가동 또는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절편부(220a)가 제1금형(10)의 경사면(13a3)에 의해서 볼록부(11)와 돌기(13a)의 제1에지(13a1)와의 사이로 안내되므로, 절편부(220a)를 볼록부(11)와 제1에지(13a1)와의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 점은, 절편부(230a), (240a)도 마찬가지이다.In the case of the resin molded article, at the time of molding the body 100, the section portion 220a is sandwiche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of the first mold 10 and the first edge 13a1 of the protrusion 13a. maintain. The intercepting portion 230a is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of the first mold 10 and the first edge 13b1 of the protrusion 13b. The intercepting portion 240a is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of the first mold 10 and the first edge 13c1 of the protrusion 13c. In addition, the terminal bodies 210a, 210b and 210c are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of the first mold 10 and the protrusion 22 of the second mold 20. Therefore, since the terminal 200a can be easily positioned and maintained inside the cavity C1, the terminal 200a can be miniaturiz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separate positioning hol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terminal 200a. In addition, the resin molded article can be miniaturized. In addition, since the cutout portions 220a, 230a, and 240a are bent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to the terminal body 210a, they are affected by the injection pressure when injecting the first insulating resin R1 into the cavity C1. easy. However, since the section portions 220a, 230a, 240a are held by the convex portion 11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as described above. By the injection pressu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utting portions 220a, 230a, 240a of the terminals 200a, 200b, 200c from moving or deforming. In addition, since the section portion 220a is guide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and the first edge 13a1 of the protrusion 13a by the inclined surface 13a3 of the first mold 10, the section portion 220a is convex. It can be easily inserted between the part 11 and the 1st edge 13a1. This point also applies to the cutout portions 230a and 240a.

또한, 제1금형(10)의 돌기(13a, 13b, 13c)의 경사면(13a3, 13b3, 13c3)이 볼록부(11)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져 있다. 볼록부(11)와 돌기(13a, 13b, 13c)의 제1에지(13a1, 13b1, 13c1)와의 사이에, 절편부(220a, 230a, 240a)가 끼워 유지되면, 경사면(13a3, 13b3, 13c3)과 절편부(220a, 230a, 240a)의 제2면(222a, 232a, 242a)과의 사이에 캐비티(C1)의 일부를 이루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 제1절연수지(R1)를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절편부(220a, 230a, 240a)의 제2면(222a, 232a, 242a)을 돌기(13a, 13b, 13c)의 제1에지(13a1, 13b1, 13c1)와 당접시키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면(222a, 232a, 242a)을 수지에 매립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inclined surfaces 13a3, 13b3, 13c3 of the projections 13a, 13b, 13c of the first mold 10 are inclin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convex portion 11. If the intercepting portions 220a, 230a, 240a are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and the first edges 13a1, 13b1, 13c1 of the projections 13a, 13b, 13c, the inclined surfaces 13a3, 13b3, 13c3 ) And a space that forms part of the cavity C1 between the second surfaces 222a, 232a, and 242a of the cutout portions 220a, 230a, and 240a. Since the first insulating resin R1 may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the first edges of the protrusions 13a, 13b, and 13c of the second surfaces 222a, 232a, and 242a of the cut portions 220a, 230a, and 240a may be introduced. Despite contacting 13a1, 13b1, and 13c1, the second surfaces 222a, 232a, and 242a can be embedded in the resin.

또, 보디(100)의 성형 시에, 제1금형(10)의 볼록부(11)와 제2금형(20)의 돌기(22)와의 사이에서, 단자(200a, 200b, 200c)가 끼워 유지된다. 이 때문에, 보디(100)의 제2면(112)에는, 돌기(22)의 외형과 대응한 오목부(140)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140)에는, 실링부(300)가 충전되므로, 상기 수지성형품의 두께 치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상기 수지성형품의 절연성, 방수성 및 방진성(防塵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링부(300)는, 오목부(140)에 충전되어, 보디(100) 및 단자(200a, 200b, 200c)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In the molding of the body 100,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are held between the protrusions 11 of the first mold 10 and the protrusions 22 of the second mold 20. do. For this reason, the recessed part 140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protrusion 22 is formed in the 2nd surface 112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Since the sealing part 300 is filled in this recessed part 140, the insulation, waterproofness, and dustproofness of the said resin molded article can be improve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said resin molded article. In addition, since the sealing part 300 is filled in the recessed part 140 and fixed to the body 100 and th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it does not fall easily.

또, 오목부(140)는, 중심부(141)와, 이 중심부(141)로부터 방사형상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가지부(142)를 가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지부(14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좁고 긴 기다란 형상이다. 이 때문에, 실링부(300)의 성형 시에, 제2절연수지(R2)를 중심부(141)에 사출함으로써, 상기 제2절연수지(R2)가 중심부(141)로부터 가지부(142)로 유입된다. 즉, 제2절연수지(R2)의 유동성이 향상되므로, 제2절연수지(R2)(실링부(300))를 오목부(140)에 대해서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Moreover, the recessed part 140 is a shape which has the center part 141 and the some branch part 142 extended radially from this center part 141. As shown in FIG. The branch portion 142 has a narrow elongate shape, as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when the sealing part 300 is formed, the second insulating resin R2 is injected into the central portion 141 by flowing the second insulating resin R2 into the branch portion 142 from the central portion 141. do. That is, since the fluidity of the second insulating resin R2 is improved, the second insulating resin R2 (the sealing part 300) can be easily filled with respect to the recess 140.

또한, 상기 설명한 수지성형품, 성형용 금형 및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sin molded article, the molding metal mold | die, and the resin molded article demonstrat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It can design change arbitrarily in the description range of a claim.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디(100)는, 베이스(110)와, 측벽(120)과, 오목부(130a, 130b, 130c)와, 오목부(140)와, 볼록부(150)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보디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벽면을 가진 측벽과, 상기 측벽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오목부가,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 쪽의 에지이며 또한 절편부의 제2면과 접하는 제1에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쪽의 에지인 제2에지와, 상기 제1에지부터 상기 제2에지에 이르기까지 상기 절편부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진 경사면 또는 만곡된 만곡면을 가지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오목부는 적어도 한 개 있으면 된다. 오목부의 길이 치수는, 절편부의 상기 오목부의 길이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또, 오목부의 길이 치수는, 절편부의 상기 오목부의 길이방향의 치수보다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짧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1에지는, 만곡면의 오목부의 개구부 쪽(제3방향 Z의 한쪽)의 에지로 할 수 있다. 제2에지는, 만곡면의 오목부의 바닥쪽(제3방향 Z의 다른 한쪽)의 에지로 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40)는 생략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body 100 has a base 110, sidewalls 120, recesses 130a, 130b, 130c, recesses 140, and protrusions 150. . However, the body has a base, a side wall which is provided on the base and has a wall surface, and a recess formed in the side wall, wherein the recess is an edge of the opening side of the recess and a second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As long as it has a 1st edge which contacts, the 2nd edge which is an edge of the bottom side of the said recessed part, and the inclined surface or the curved curved surface which inclined so that it may be interposed from the said cutting part from the said 1st edge to the said 2nd edg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esign arbitrarily. At least one said recessed part may be sufficient. The length dimension of a recessed part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mension of the said recessed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reover, the length dimension of a recessed part can be made lon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said recessed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also shorten it. Moreover, a 1st edge can be made into the edge of the opening side (one side of 3rd direction Z) of the recessed part of a curved surface. The second edge can be the edge of the bottom side (the other side in the third direction Z)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curved surface. In addition, the recessed part 140 can be omitted.

상기 실시예에서는, 측벽(120)은, 베이스(110)의 주위가장자리부에 세워 설치된 환형상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측벽은, 베이스에 세워 설치되고 또한 벽면을 가지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측벽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호형상, 또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상 등의 형상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도, 측벽 및 베이스에 의해 공간을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간은 임의의 공간이다. 상기 수용공간(S)도 임의의 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In the said Example, the side wall 120 was said to be annular shape installed in the peripheral part of the base 110. As shown in FIG. However, the side wall can be arbitrarily changed in design as long as it is provided on the base and has a wall surface. For example, the side wall can be changed into a shape such 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n arc shape in plan view, or a substantially U shape in plan view. Also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artition the space by the side wall and the base. The space is any space. The accommodation space S can also be used as any space.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자(200a)는 단자본체(210a)와, 절편부(220a, 230a, 240a)와, 접속부(250a, 260a)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단자는, 적어도 절편부를 가지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자는, 단자본체와, 상기 단자본체에 연접되고, 또한, 상기 단자본체에 대하여 접혀 구부러진 절편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자본체는, 베이스의 제1, 제2면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단자본체는, 베이스의 제1, 제2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오목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편부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단자본체에 대해서 직각으로 접혀 구부러진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절편부의 단자본체에 대한 절곡 각도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terminal 200a has a terminal body 210a, cut-out portions 220a, 230a and 240a, and connecting portions 250a and 260a. But. The terminal can be arbitrarily changed in design as long as it has at least a cut-out part. For example, the terminal can be configured to have a terminal body and a cut-out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and folded and bent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The terminal body can be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base so as to partially expose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base. Further, the terminal body can be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base so as to partially expose from the recesse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base. The cutout portion is not limited to the bent form folded at right angles to the terminal body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at is, the bend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of a cut part can be arbitrarily set.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편부(220a)는, 제1면(221a)이 측벽(120)의 벽면(121)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하도록, 상기 측벽(120)에 매립되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절편부는, 제1면과, 그 반대쪽의 제2면을 가지며, 제1면이 측벽의 벽면으로부터 노출하고, 제2면이 측벽의 오목부의 제1에지와 접하도록 상기 측벽에 매립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절편부는, 제1면의 전 체 영역이 측변의 벽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측벽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점은, 절편부(230a, 240a)도 이와 같이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자(200b, 200c)는 생략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utout portion 220a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120 so that the first surface 221a is partially exposed from the wall surface 121 of the side wall 120. But. As long as the section ha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hereto, the first surface is exposed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the second surface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dge of the recess of the side wall.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esign arbitraril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it as the structure embedded in the said side wall so that the whole area | region of a 1st surface may be exposed from the wall surface of a side surface. In this regard, the sections 230a and 240a can be changed in design as well. In addition, the terminals 200b and 200c can be omitted.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자(200a)의 접속부(250a, 260a)의 선단부가 베이스(110)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접속부는, 보디의 제2면으로부터 돌출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단자의 접속부에, 보디 내부에서 핀이나 케이블 등의 접속 수단을 접속시킬 경우에는, 단자의 접속부는, 보디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자(200b, 200c)도 이와 같이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tip portions of the connecting portions 250a and 260a of the terminal 200a are projec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110. However,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urface of the body. Moreover, when connecting the connection means, such as a pin and a cable, to the connection part of a terminal inside a body, it can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does not protrude from a body. In addition, the terminals 200b and 200c can also be changed in design in this way.

실링부(300)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실링부(300)는, 오목부(140)의 중심부(141)에 충전된 중심부(310)와, 오목부(140)의 가지부(142)에 충전된 복수의 가지부(320)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실링부는, 보디의 제2면의 오목부에 충전되고 또한 보디 및 단자의 상기 오목부로부터 노출하는 부분에 고착되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실링부는, 보디의 제2면의 오목부의 형상에 맞추어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ealing part 300 can be omitt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aling portion 300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310 filled in the central portion 141 of the recess 140 and a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filled in the branch portion 142 of the recess 140. 320). However, as long as the sealing portion is filled 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body and adhered to the portion exposed from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ody and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change the design. That is, the sealing part can be arbitrarily changed in desig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cessed part of the 2nd surface of a body.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금형(10)은, 볼록부(11)와, 오목부(12)와, 돌기(13a, 13b, 13c)와, 스풀(14)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제1금형은, 단자의 절편부의 제1면과 당접 가능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돌기를 가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근원 쪽의 에지이고, 또한, 상기 절편부의 상기 제1면의 반대쪽인 제2면과 당접 가능한 제1에지와, 상기 돌기의 선단부 쪽의 에지인 제2에지와, 상기 제1에지부터 상기 제2에지에 이르기까지 상기 볼록부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진 경사면 또는 만곡된 만곡면을 가지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금형은,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 내에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 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볼록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형성된 돌기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에지는, 만곡면의 돌기의 개구부 쪽(제3방향 Z의 한쪽)의 에지로 할 수 있다. 제2에지는, 만곡면의 돌기의 바닥쪽(제3방향 Z의 다른 한쪽)의 에지로 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mold 10 has a convex portion 11, a concave portion 12, protrusions 13a, 13b, 13c, and a spool 14. However, the 1st mold has the convex part which can contact | connect the 1st surface of the cutting part of a terminal, and the processus | protrusion formed in the convex part at intervals, The said processus is the edge of the base side of the said processus | protrusion, and the said cutting-out A first edge abutting the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portion, a second edge which is an edg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convex portion from the first edge to the second edg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esign arbitrarily as long as it has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curved surface inclined to be placed. For example, a 1st mold can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has a recessed part, the convex part formed in the said recessed part, and the processus | protrusion formed in the said recessed part, and formed in the space | interval from the said convex part. In addition, a 1st edge can be made into the edge of the opening side (one side of 3rd direction Z) of the processus | protrusion of a curved surface. The second edge can be the edge of the bottom side (the other side in the third direction Z) of the projection of the curved surface.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기(13a, 13b, 13c)는, 돌출된 줄기라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제1금형의 돌기는, 볼록부 및 기다란 형상의 돌출된 줄기의 쌍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돌기의 길이 치수는, 절편부의 상기 돌기의 길이방향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돌기의 길이 치수는, 절편부의 상기 돌기의 길이방향의 치수보다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짧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돌기는, 적어도 한 개 있으면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otrusions 13a, 13b, and 13c are referred to as protruding stem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ojection of the 1st mold in this specification is a concept containing both a convex part and an elongate protruding stem. The length dimension of a processus | protrusion may be sai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mens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processus of a cut-out part. Moreover, the length dimension of a processus | protrusion can be made lon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processus | protrusion of a cut-out part, and can also shorten it. In addition, what is necessary is just at least one said processus | protrusion.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금형(20)은, 오목부(21)와, 돌기(22)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제2금형은, 제1금형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금형과 함께 적어도 단자의 절편부를 수용 가능한 캐비티를 구성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cond mold 20 has a concave portion 21 and a protrusion 22. However, the second mold can be arbitrarily changed in design as long as the second mold can form a cavity that can accommodate at least a section of the terminal together with the first mold.

상기 설명한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1개의 단자 절편부를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와의 사이에 삽입하고, 절편부의 제1면을 상기 볼록부와, 제2면을 돌기의 제1에지와 당접시킴으로써, 절편부를 볼록부와 제1에지에 끼워 유지시키며,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금형을 금형 폐쇄하고, 적어도 상기 단자의 상기 절편부를 상기 제1, 제2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배치하고, 상기 캐비티에 절연수지를 사출하여, 경화시켜서, 상기 절연 수지에 상기 절편부를 매립하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article, at least one terminal section is inserted between the projections and protrusions of the first mold,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sections is formed with the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edge with projections. By contacting, the cutout portion is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and the first edge, and in this state, the first and second molds are closed by the mold, and at least the cutout portion of the terminal is inside the cavity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esign arbitrarily as long as it arrange | positions, injects an insulating resin into the said cavity, hardens | cures, and embeds the said cut-out part in the said insulating resin.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2금형 (10), (20)을 금형 폐쇄할 때, 단자(200a)가 제1, 제2금형 (10), (20)의 캐비티(C1) 내부로 수용되고, 단자(200a)의 단자본체(210a)가 제1금형(10)의 볼록부(11)와 제2금형(20)의 돌기(22)에 끼워 유지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제1, 제2금형을 금형 폐쇄할 때, 적어도 단자의 절편부가 제1, 제2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배치되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단자의 절편부를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와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시키는 한편, 상기 단자의 단자본체를 제1, 제2금형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끼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자의 절편부를 제1금형의 볼록부와 돌기의 제1에지와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단자의 단자본체를 제1, 제2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중공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first and second molds 10 and 20 are closed, the terminal 200a is accommodated into the cavity C1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10 and 20. The terminal body 210a of the terminal 200a is held between the convex portion 11 of the first mold 10 and the protrusion 22 of the second mold 20. However, when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molds,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change the design, as long as at least a section of the terminal is disposed inside the cavity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hold the interceptor of the terminal between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mold and the first edge of the projection, and to hold the terminal body of the terminal partially or entirely in the first and second molds.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 position the terminal body of the said terminal hollow inside the cavity of a 1st, 2nd mold | type by holding the intercepting part of a terminal between the convex part of a 1st mold, and the 1st edge of a protrusion.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은, 제3, 제4금형 (30), (40)을 이용하여 실링부(300)를 성형하는 공정을 가진다고 하였다. 그러나,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3, 제4금형을 이용한 공정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said that the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molded article has a step of forming the sealing portion 300 by using the third and fourth molds 30 and 40. However,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molded article, the steps using the third and fourth molds can be omitted.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지성형품 및 성형용 금형의 각 부분을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숫자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the raw material, shape, a dimension, a number, arrangement | positioning, etc. which comprise each part of a resin molded article and a metal mold | die for shaping | molding demonstrated the example, and can design change arbitrarily as long as the same function can be realized. Do.

100: 보디
110: 베이스
111: 제1면
112: 제2면
120: 측벽
121: 벽면
122: 벽면
130a: 오목부
131a: 제1에지
132a: 제2에지
133a: 경사면
130b: 오목부
131b: 제1에지
132b: 제2에지
133b: 경사면
130c: 오목부
131c: 제1에지
132c: 제2에지
133c: 경사면
140: 오목부
141: 중심부
142: 가지부
200a: 단자
210a: 단자본체
211a: 제1면
212a: 제2면
220a: 절편부
221a: 제1면
222a: 제2면
230a: 절편부
231a: 제1면
232a: 제2면
240a: 절편부
241a: 제1면
242a: 제2면
250a: 접속부
260a: 접속부
200b: 단자
210b: 단자본체
211b: 제1면
212b: 제2면
220b: 접속부
200c: 단자
210c: 단자본체
211c: 제1면
212c: 제2면
220c: 접속부
300: 실링부
310: 중심부
320: 가지부
Y: 제1방향
X: 제2방향
Z: 제3방향
10: 제1금형
11: 볼록부
12: 오목부
13a: 돌기
13a1: 제1에지
13a2: 제2에지
13a3: 경사면
13b: 돌기
13b1: 제1에지
13b2: 제2에지
13b3: 경사면
13c: 돌기
13c1: 제1에지
13c2: 제2에지
13c3: 경사면
14: 스풀
20: 제2금형
21: 오목부
22: 돌기
22a: 중심부
22b: 가지부
30: 제3금형
31: 볼록부
32: 오목부
33a: 돌기
33b: 돌기
33c: 돌기
40: 제4금형
41: 오목부
42: 스풀
R1: 제1절연수지
R2: 제2절연수지
100: Body
110: Base
111: page 1
112: page 2
120: side wall
121: wall panel
122: wall surface
130a: concave
131a: first edge
132a: second edge
133a: slope
130b: recessed portion
131b: first edge
132b: second edge
133b: slope
130c: concave
131c: first edge
132c: second edge
133c: slope
140: recess
141: central
142: branch
200a: terminal
210a: terminal body
211a: first page
212a: page 2
220a: intercept
221a: first page
222a: page 2
230a: intercept
231a: first page
232a: page 2
240a: intercept
241a: first page
242a: page 2
250a: connection
260a: connection
200b: terminal
210b: terminal body
211b: first page
212b: page 2
220b: connection
200c: terminal
210c: terminal body
211c: first page
212c: page 2
220c: connection
300: sealing part
310: center
320: branch
Y: First direction
X: second direction
Z: third direction
10: first mold
11: convex portion
12:
13a: turning
13a1: first edge
13a2: second edge
13a3: slope
13b: turning
13b1: first edge
13b2: second edge
13b3: slope
13c: turning
13c1: first edge
13c2: second edge
13c3: slope
14: Spool
20: second mold
21:
22: projection
22a: center
22b: branch
30: third mold
31: convex
32: concave
33a: turning
33b: turning
33c: turning
40: fourth mold
41:
42: spool
R1: first insulating resin
R2: second insulating resin

Claims (9)

적어도 단자의 절편부가 수용 가능한 캐비티를 가지는 제1, 제2금형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금형은, 상기 절편부의 제1면과 당접 가능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돌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근원 쪽의 에지이며, 또한, 상기 절편부의 상기 제1면의 반대쪽인 제2면과 당접 가능한 제1에지와,
상기 돌기의 선단부 쪽의 에지인 제2에지와,
상기 제1에지부터 상기 제2에지에 이르기까지 상기 볼록부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진 경사면 또는 만곡된 만곡면을 가지고 있는 성형용 금형.
At least the first and second molds having a cavity that can accommodate the interceptor of the terminal are provided.
The first mold may include a convex portion that can contact the first surface of the section portion,
Has a protrusion formed at intervals on the convex portion,
The protrusion is a first edge which is an edge of the base side of the protrusion and is in contact with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A second edge which is an edge of the tip end side of the protrusion,
A molding die having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curved surface inclin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convex portion from the first edge to the second ed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금형의 캐비티에는, 상기 단자의 단자본체와, 상기 단자본체와 연접되며, 또한, 상기 단자본체에 대해서 접혀 구부러진 상기 절편부가 수용 가능한 성형용 금형.
The method of claim 1,
A mold for molding,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old cavities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main body of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main body, and the section portion bent and fold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main body can be accommod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금형은, 상기 단자본체를 상기 캐비티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부분적으로 끼워 유지 가능한 성형용 금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aid 1st, 2nd mold | die is a shaping | molding die which can accommodate the said terminal body in the said cavity, and can hold | maintain it partially.
제1항에 기재된 성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수지성형품을 제조하는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으로서,
단자의 절편부를 상기 제1금형의 상기 볼록부와 상기 돌기와의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절편부의 상기 제1면을 상기 볼록부와, 상기 제2면을 상기 돌기의 상기 제1에지와 당접시킴으로써, 상기 절편부를 상기 블록부와 상기 제1에지에 끼워 유지시키며,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금형을 금형 폐쇄하고, 적어도 상기 단자의 상기 절편부를 상기 제1, 제2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배치하며,
상기 캐비티에 절연수지를 사출하고, 경화시켜서, 상기 절연수지에 상기 절편부를 매립하는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resin molded article which manufactures a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molding die of Claim 1,
By inserting the interceptor of the terminal between the convex port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first mold, and contacting the first face of the interceptor portion with the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surface with the first edge of the protrusion, The cut portion is held by the block portion and the first edge,
In this state, the first and second molds are closed by a mold, and at least the intercepting portion of the terminal is disposed inside the cavity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A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molded article in which an insulating resin is injected into the cavity, cured, and the cut portion is embedded in the insulating resi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절편부를 상기 제1, 제2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배치할 때, 상기 단자의 단자본체와, 상기 단자본체와 연접되며, 또한, 상기 단자본체에 대해서 접혀 구부러진 상기 절편부를, 상기 캐비티 내부에 배치하는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cutout portion of the terminal is disposed inside the cavity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the cutout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of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body and is bent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is ben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sin molded article arrange | positioned in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금형은, 상기 단자본체를 상기 캐비티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부분적으로 끼워 유지하는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nd second molds, wherein the terminal body is accommodated in the cavity, and at the same time partially retained.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쪽인 제2면을 가진 절편부를 가지는 단자와,
보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보디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벽면을 가진 측벽과,
상기 측벽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절편부는, 상기 제1면이 상기 측벽의 상기 벽면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상기 측벽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 쪽의 에지이며, 또한, 상기 절편부의 상기 제2면과 접하는 제1에지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쪽의 에지인 제2에지와,
상기 제1에지부터 상기 제2에지에 이르기까지 상기 절편부로부터 사이를 두도록 경사진 경사면 또는 만곡된 만곡면을 가지고 있는 수지성형품.
A terminal having a section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pposite the first side;
I have a body,
The body, the base,
A side wall mounted on the base and having a wall surface;
Has a recess formed in the side wall,
The section portion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such that the first surface is exposed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side wall,
The concave portion is an edge of the opening side of the concave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edge contact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cut portion;
A second edge which is an edge at the bottom of the recess;
A resin molded article having an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curved surface inclined so as to be interposed from the intercepting portion from the first edge to the second ed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베이스에 매립된 단자본체를 부가해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절편부는, 상기 단자본체와 연접되며, 또한, 상기 단자본체에 대해서 접혀 구부러져 있는 수지성형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erminal further has a terminal body embedded in the base,
The said cut-out part is connected with the said terminal body, Furthermore, it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said terminal body, and the resin molded articl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는, 상기 측벽에 의해 구획되는 수용공간을 부가해서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벽면은, 상기 수용공간 쪽의 벽면인 수지성형품.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he body further has a receiving space partitioned by the side wall,
The wall surface is a resin molded product which is a wall surface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KR1020130102731A 2012-10-05 2013-08-28 Mold for molding, manufacture method of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and resin molded article KR10211287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3523 2012-10-05
JP2012223523A JP5937944B2 (en) 2012-10-05 2012-10-05 Mold for molding, method for producing resin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and resin molded pro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732A true KR20140044732A (en) 2014-04-15
KR102112875B1 KR102112875B1 (en) 2020-05-19

Family

ID=5065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731A KR102112875B1 (en) 2012-10-05 2013-08-28 Mold for molding, manufacture method of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and resin molded artic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37944B2 (en)
KR (1) KR102112875B1 (en)
TW (1) TWI667120B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9016A (en) 1993-09-29 1995-04-11 Hosiden Corp Switching fixed splice member, switching body and manufacture of switching body
KR960705334A (en) * 1993-09-17 1996-10-09 다테이시 요시오 ELECTROMAGNETIC RELAY AND ITS MANUFACTURE
JPH09171880A (en) * 1995-12-21 1997-06-30 Tokai Rika Co Ltd Molding device of terminal device
JP2000025070A (en) * 1998-07-10 2000-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lded wiring boar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2691B2 (en) * 1993-09-22 1999-08-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Manufacturing method of insulator with connector insertion part
JP3454457B2 (en) * 1997-01-09 2003-10-06 矢崎総業株式会社 Mold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and molding die
JP4848901B2 (en) * 2006-09-07 2011-12-28 住友電装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insert molded product and mold
JP5333030B2 (en) * 2009-08-10 2013-11-06 住友電装株式会社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DE102010031771B4 (en) * 2009-08-10 2014-07-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mold
JP5626047B2 (en) * 2011-03-15 2014-11-19 住友電装株式会社 Connector for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5334A (en) * 1993-09-17 1996-10-09 다테이시 요시오 ELECTROMAGNETIC RELAY AND ITS MANUFACTURE
JPH0799016A (en) 1993-09-29 1995-04-11 Hosiden Corp Switching fixed splice member, switching body and manufacture of switching body
JPH09171880A (en) * 1995-12-21 1997-06-30 Tokai Rika Co Ltd Molding device of terminal device
JP2000025070A (en) * 1998-07-10 2000-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lded wiring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73666A (en) 2014-04-24
JP5937944B2 (en) 2016-06-22
KR102112875B1 (en) 2020-05-19
TW201429668A (en) 2014-08-01
TWI667120B (en)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88542A1 (en) Connector
JP5258667B2 (en) Housing mold structure, housing molding method, and housing
EP2493031B1 (en)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it
JP5333030B2 (en)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US7625234B1 (en) Electrical connector
JP6405623B2 (en) Case with a connecting part to be sealed
CN106981747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US984317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sert-molded bus bar, and insert-molded bus bar
CN102933109B (en) Bracelet
JP4470116B2 (en) Molded structure of case with connector
JP4442576B2 (en) connector
KR102028759B1 (en) Resin molded article and production method of resin molded article
JP4442575B2 (en) connector
KR20140044732A (en) Mold for molding, manufacture method of resin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and resin molded article
CN103707462B (en) Molding die, method for producing molded plastic products and molded plastic products
US2014009406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new insert-molding method for terminal retaining
JP4986217B2 (en) Hou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172616B2 (en) connector
CN102832472B (en) The manufacture method of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JP5257347B2 (en) connector
JP4925437B2 (en) Mold for molding of the housing
JP2002329544A (en) Connector
JP4432790B2 (en) connector
CN203398405U (en) Terminal insulating cover
JP2010123451A (en) Connector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