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617A -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617A
KR20140044617A KR1020120110804A KR20120110804A KR20140044617A KR 20140044617 A KR20140044617 A KR 20140044617A KR 1020120110804 A KR1020120110804 A KR 1020120110804A KR 20120110804 A KR20120110804 A KR 20120110804A KR 20140044617 A KR20140044617 A KR 20140044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carbon nanotube
resin
carbon nanotubes
polyest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진
이민석
김성주
오성진
박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2011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4617A/ko
Publication of KR2014004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05Reinforced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nanosized materials, e.g. nanoparticles, nanofibres, nanotubes, nanowires, nanorods or nanolayer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수득되는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열안정성을 유지하고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수득되는 전기전도성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Preparation Method of Carbon nanotube-Polyester Composite and Carbon nanotube-Polyester Composite prepared thereby}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동층 장비를 통하여 제조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함으로써, 고분자 자체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그대로 유지하는 전도성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비롯한 폴리에스테르는 성형성이 우수하고, 내용제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뛰어난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이고, 용융성형과 사출성형으로 양호한 물리적, 기계적 성질을 갖춘 성형물을 수득할 수 있어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하여 대전하기 쉬운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들이 연구되어 왔다.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고분자 소재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하여 대전방지 기능을 갖게 하는 방법으로는 고분자 성형품의 표면에 대전방지제를 코팅하는 방법, 성형품 내부에 유기 또는 무기 대전방지제를 첨가하는 방법 또는 전도성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성형품의 외부에 대전방지제를 코팅하는 방법은 초기 대전방지성은 우수하나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대한 내구성 저하의 문제가 있고, 내부에 대전방지제를 첨가하는 방법은 내구성 및 다양한 첨가제와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으나 첨가량이 많을 경우 기계적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에는 대전방지 첨가제로 카본블랙, 탄소섬유, 금속섬유, 은박편(silver flake)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적정 수준으로 대전방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가의 첨가제를 과량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제조원가 상승의 문제와 과량의 첨가제의 경우에는 고분자 수지 본래의 물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첨가제 대신 탄소나노튜브를 소량 첨가하거나, 기존 첨가제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탄소나노튜브를 함께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탄소나노튜브를 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분자 수지의 중합 단계에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는 인시츄(in-situ) 중합법과 용액에 탄소나노튜를 함침시킨 후 초음파로 분산하는 용액혼합법 및 고전단력 하에서 고분자를 용융시키면서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는 용융혼합법이 있다.
상기 인-시츄 중합법과 용액혼합법은 탄소나노튜브를 초음파에 의해 용제에 분산시키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데, 그 분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분산시 사용하는 반응조의 규모를 크게 할 수 없어서 생산성이 대폭 떨어지는 문제점과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벌크밀도(Bulk Density)가 매우 낮아서 단위 부피당 차지하는 무게가 작기 때문에 다른 첨가제와는 달리 다루기가 힘들어 제조공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열가소성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동층 장비를 통하여 제조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함으로써, 고분자 자체의 우수한 열적 성질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도성이 우수한 유동층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내열성 및 전도성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동층 탄소사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로부터 제조된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진공 상태의 반응로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반응로의 반응공간으로 소스 가스와 표면적이 150~200 ㎡/g이고, 벌크 밀도가 0.20 g/㎖ 내지 0.50 g/㎖인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를 공급하여 유동층 탄소나노튜브를 수득하는 단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예열한 후 폴리에스테르 수지 표면에 오일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단계; 및
수득된 유동층 탄소나노튜브와 전단계에서 오일이 분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혼합한 후 압출하여 컴파운드 칩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탄소나노튜브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고분자 수지에 소량의 유동층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압출기에 투입하고 공정 온도 및 압출 속도를 제어하여 압출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자체의 물리적 특성 유지 및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갖는 복합 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동층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 보다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되는 폴리에스테르 성형품은 전기전도성이 뛰어나서 다른 소재의 부품과의 일체 성형품으로서 자동차 부품에 특히 아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체를 이용한 성형품의 단면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체를 이용한 성형품의 측면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유동층 탄소나노튜브가 사용되는데, 탄소나노튜브 생성을 위한 유동층 방법은 진공 상태의 반응로를 가열한 후, 상기 반응로의 반응공간으로 소스 가스와 표면적이 150~200 ㎡/g이고, 벌크 밀도가 0.20 g/㎖ 내지 0.50 g/㎖인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를 공급하여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는 것이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수지내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소정의 온도에서 예열한 후 폴리에스테르 수지 표면에 오일을 균일하게 도포한다. 상기 예열 온도는 50℃ 내지 90℃의 범위가 적절하고, 오일로는 파라핀 오일 또는 알칸족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컴파운드 칩 제조 단계에서는 오일이 도포된 폴리에스테르 칩에 유동층 탄소나노튜브를 가하여 텀블 드라이어 또는 믹서로 용융혼합한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컴파운드 칩을 제조한다.
유동층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경우, 벌크밀도(Bulk Density)가 너무 낮아서 다루기 힘든 탄소나노튜브의 제어가 용이해져서, 고가의 탄소나노튜브를 적은 양 사용하고도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므로 재료의 효율성이 높으며, 복합체 내의 탄소나노튜브의 분산도가 향상되어 전기전도성이 더욱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동층 탄소나노튜브는 밀도가 타사 제품 대비 1/3 내지 1/5 정도 수준의 가벼운 것으로 전도성 고분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조된 것으로, 이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의 탄소나노튜브 제조에 비하여 제조 비용이 매우 낮아 경제성 및 상업화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의 유동층 탄소나노튜브의 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촉매를 제조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는 표면적이 150~200 ㎡/g이고, 벌크 밀도가 0.20 g/㎖ 내지 0.60 g/㎖인 것이 사용된다. 촉매로는 금속 산화물 담지체의 표면에 Fe, Al, Co, Ni, Mn, Mo 등의 금속이 담지된 금속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촉매로는 Ni, Co, Fe, Mn, Mo 또는 이들의 합금이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지체로는 산화물 담지체 또는 질화물 담지체가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질화알루미늄, 질화철 혹은 실리카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산화마그네슘 담지체에 Fe, Mo, Al, Mn, Co, 또는 Ni이 담지된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촉매를 촉매의 활성도가 높아서 탄소나노튜브 합성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촉매를 만드는 공정은 용매 제조, 침전, 증류수 제거, 건조의 순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때 촉매 안에는 금속의 성분도 포함하게 되어 있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촉매 제조 시에 사용되는 Al, Mo, Fe 등이 있는데, 이것들을 서로 혼합하는 과정 중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촉매를 반응기로 투입하고 750내지 800℃ 의 온도에서 에틸렌 가스를 주입하면 유동층 탄소나노튜브가 제조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탄소나노튜브는 일반적인 탄소나노튜브보다 L/D가 3배 내지 10배 긴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평균 직경이 10∼100 nm이고, 평균 길이는 2 nm 내지 1,000 ㎛이며, 종횡비(L/D)가 1000 이상인 다중벽, 이중벽 또는 단일벽 구조의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평균 직경이 100 nm 초과인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와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이후 진행되는 과정에서 폴리에스테르수지와 탄소나노튜브가 서로 분리되거나 탄소나노튜브가 한곳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의 평균 길이가 1,0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와의 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소스 가스로는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 펜탄, 헥산,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부타디엔, 각각 1 내지 10의 탄소 개수를 갖는 단쇄 및 중쇄 지방족 또는 올레핀성 탄화수소, 및 1핵 또는 2핵 방향족 탄화수소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 고분자 수지 내에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50 내지 90℃로 예열하고, 파라핀 내지 알칸족 오일을 폴리에스테르의 표면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단계가 필요하다. 이 때 예열 온도가 50℃ 미만이면 분산제 오일이 고르게 퍼져 섞이지 않고, 90℃를 초과하면 분산제 오일의 변형으로 인하여 전체 복합체의 물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상기 공정 단계 완료 후에 폴리에스테르와 탄소나노튜브를 텀블드라이어나 믹싱기에 혼합한 후에 압출 공정을 진행하여 컴파운드를 제조한다.
상기 컴파운드는 폴리에스테르 95 내지 99.5 중량% 및 탄소 나노튜브 0.5 내지 5.0 중량%로 배합하여, 유동층 탄소나노튜브가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층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탄소나노튜브 함량 부족으로 전기적 특성이 미흡하게 되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전도성 첨가제 대비 고비용이 발생하고, 또한 폴리에스테르의 물리적 특성이 저하된다.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갖고 폴리에스테르의 물성을 유지하는 수준으로는 유동층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3 내지 5 중량%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시클로헥산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이들 수지를 비결정성으로 개질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거나, 이들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40 내지 90 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 비중이 0.15 내지 1.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의 비중이 0.15 보다 작으면, 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인장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폴리에스테르의 비중이 1.5 보다 크면, 폴리에스테르 복합체를 제조할 때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컴파운드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항균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혼화제, 안정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방염제, 내후제, 착색제, 자외선 차단제, 충전제, 핵 형성제, 접착 조제, 점착제 등의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동층 탄소나노튜브는 용융혼합법(Melt Compounding)에 의하여 복합체로 제조되는데,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높은 온도와 고전단력 하에서 탄소나노튜브를 폴리에스테르 기질 내로 고르게 분산시켜 복합체를 제조한다. 이러한 용융혼합법은 인시츄 중합법(In-situ Polymerization) 및 용액혼합법(Solution Mixing)에 비하여 대용량화가 가능하고 제조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유동층 탄소나노튜브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혼합은 가공온도 250 내지 290 ℃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60 내지 275 ℃ 하에서 실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공온도가 250 ℃ 미만인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충분히 용융되지 않아 과도한 전단력이 가해지거나 유동층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가공온도가 290 ℃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가 열화하거나 재용융시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혼합은 50 내지 200 rpm의 조건에서 실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RPM이 50rpm 미만인 경우, 수지가 녹지 않아 스쿠류나 실린더에 부하가 발생하며 탄소나노튜브의 분산도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RPM이 200rpm를 초과하는 경우 충분히 혼합되지 않을 뿐더러 수지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는 상기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는 고가의 탄소나노튜브를 소량 사용하면서도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보이는 탁월한 고분자 소재로, 전기적 특성을 요구하는 전기/전자/통신 기기의 기본 물질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전자파 차폐나 정전기 분산 등이 필요한 제품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기전도성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를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압공성형, 압축성형 등에 의한 성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성형품은 자동차의 외장재, 내장재, 엔진룸 등의 다양한 정밀 부품, 전기전자부품 등의 다양한 제품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사용된 수지는 비중이 1.53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삼양사)를 사용하였다. 유동층 탄소나노튜브는 진공 상태의 반응로를 500로 가열한 후, 반응로의 반응공간으로 에틸렌 가스와 표면적이 200 ㎡/g이고, 벌크 밀도가 0.20 g/㎖인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를 공급하여 유동층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였다. 수득된 탄소나노튜브는 비표면적이 평균입경 30 nm, 종횡비는 100 정도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동층 탄소나노튜브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합하여 펠릿으로 제조하였다. 이어서 펠릿을 예비 건조하고, 다음에 270℃에서의 실린더 설정 온도로 직경 32 ㎜의 압출 성형기에 의해 용융하였다. 또한 압출시의 속도는 100과 150 rpm으로 각각 진행 하였다. 컴파운드 제조시 오일의 양은 컴파운드 중량 대비 1/1000 내지 1/100로 진행하였다. 용융물을 다이 온도 280℃에서 사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전기전도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면저항(Ω/㎠)은 23℃, 60% RH 조건 하에서 ASTM D257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체를 이용한 성형품의 단면 및 측면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1-2
전도성 첨가제로서 일반 CN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성형품 시편을 제조하고, 전기전도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3-4
전도성 첨가제로서 카본 블랙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성형품 시편을 제조하고, 전기전도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폴리에스테르 (wt%) 99 97.5 97 95 97.5 97 95 95
전도성 첨가제
종류
유동층
CNT
유동층
CNT
유동층
CNT
유동층
CNT
일반
CNT
일반
CNT
카본
블랙
카본
블랙
전도성 첨가제 사용량(wt%) 1 2.5 3 5 2.5 3 5 5
오일유무 X X
표면저항
(Ω/□)
10 11.2 10 8.9 10 7.6 10 5.3 10 10.3 10 9.9 10 7.9 10 7.1
상기 표 1의 결과를 통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되는 CNT-폴리에스테르 복합체 컴파운드 칩을 사용한 성형품은 비교예의 경우에 비해서 전기전도도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2를 참고하면, 긴 탄소나노튜브들이 성형품 표면의 전반에 고르게 분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전기적 특성이 더욱 더 향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진공 상태의 반응로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반응로의 반응공간으로 소스 가스와 표면적이 150~200 ㎡/g이고, 벌크 밀도가 0.20 g/㎖ 내지 0.50 g/㎖인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를 공급하여 유동층 탄소나노튜브를 수득하는 단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예열한 후 폴리에스테르 수지 표면에 오일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단계; 및
    수득된 유동층 탄소나노튜브와 전단계에서 오일이 분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혼합한 후 압출하여 컴파운드 칩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가스가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 펜탄, 헥산,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부타디엔, 각각 1 내지 10의 탄소 개수를 갖는 단쇄 및 중쇄 지방족 또는 올레핀성 탄화수소, 및 1핵 또는 2핵 방향족 탄화수소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시클로헥산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이들 수지를 비결정성으로 개질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40 내지 90 중량%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평균 직경이 10∼100 nm이고, 평균 길이는 2 nm 내지 1,000 ㎛이며, 종횡비(L/D)가 1000 이상인 다중벽, 이중벽 또는 단일벽 구조의 탄소나노튜브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동층 탄소나노튜브의 혼합비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95 내지 99.5 중량%에 대해 유동층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5.0 중량%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은 220 내지 260 ℃의 온도에서 진행하고, 혼합은 50 내지 100 rpm의 조건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제조용 촉매는 산화마그네슘 담지체에 Fe, Mo, Al, Mn, Co, 또는 Ni이 담지된 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9.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성형품으로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에 의해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성형품.
KR1020120110804A 2012-10-05 2012-10-05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 KR20140044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804A KR20140044617A (ko) 2012-10-05 2012-10-05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804A KR20140044617A (ko) 2012-10-05 2012-10-05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617A true KR20140044617A (ko) 2014-04-15

Family

ID=5065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804A KR20140044617A (ko) 2012-10-05 2012-10-05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폴리에스테르 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46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253A (ko)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지엘머티리얼즈 전도성 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한 전도성 수지 복합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253A (ko)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지엘머티리얼즈 전도성 수지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한 전도성 수지 복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lrez et al. A review o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JP6096806B2 (ja) 複合炭素素材を含む電磁シールド用樹脂組成物
US6528572B1 (en)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l-Saleh Electrically conductive carbon nanotube/polypropylene nanocomposite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KR101408626B1 (ko) 열적으로 조절된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조성물
CN102585348B (zh) 一种增韧导电材料及其制备方法
US8048341B2 (en) Nanocarbon-reinforced polymer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Bredeau et al. From carbon nanotube coatings to high‐performance polymer nanocomposites
WO2019105413A1 (zh) 一种聚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309738B1 (ko) 고분자/필러의 전기전도성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171824A1 (en) Polymers filled with highly expanded graphite
JP2008528768A (ja) 導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35031A (ko) 전자파 차폐용 열가소성 복합수지 조성물
JP2006526058A (ja) 導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26691A2 (en) Conductive thermosets by extrusion
CN101161726A (zh) 高导电聚苯硫醚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359134B1 (ko) 도전성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CN100514502C (zh) 聚合物基炭系导电高分子复合材料
CN102822243A (zh) 具有改善的均匀性的纳米复合材料
KR101349161B1 (ko) 금속-탄소나노튜브 코팅 유리섬유와 그라파이트를 함유한 고분자 나노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8199B1 (ko) 고분자-전도성 필러 복합체와 그 제조방법
JP2003100147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含有する導電性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Zhang et a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property of polybenzoxazine/graphene/nickel composites
Anju et al. Enhanced mechanical, electrical, thermal, and optical properties of poly (methyl methacrylate)/copper oxide nanocomposites for flexible optoelectronic devices via in‐situ polymerization technique
KR102258483B1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