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966A - 헬리데크 장치 - Google Patents

헬리데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966A
KR20140043966A KR1020120109696A KR20120109696A KR20140043966A KR 20140043966 A KR20140043966 A KR 20140043966A KR 1020120109696 A KR1020120109696 A KR 1020120109696A KR 20120109696 A KR20120109696 A KR 20120109696A KR 20140043966 A KR20140043966 A KR 2014004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deck
wing
base
helico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영
최병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3966A/ko
Publication of KR2014004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64F1/125Mooring or ground handling devices for helicop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데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헬리콥터가 이착륙되도록 평면을 이루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곽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비되며, 서로 이웃하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확장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평을 이루거나 젖혀지게 상기 확장부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부;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확장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확장부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헬리데크 장치{Heli deck apparatus}
본 발명은 헬리데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의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할 수 있는 이착륙장으로서, 헬리데크가 구비된다. 헬리데크는 선박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해하는 LNG 수송선으로의 헬리데크의 설치는 통신이 선박과 육지를 연결하기 위해 LNG 수송선의 내측(Inside)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는 선체의 측면으로 헬리데크가 돌출되면 통신에 제약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헬리데크는 선박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선박의 내측에 포함되게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헬리데크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리데크(10)의 설치구조는 일 예로 선미부에 트러스 구조물과 같은 형상의 지지프레임(30)이 데크하우스(20)에 설치되어 헬리데크(10)를 데크하우스(2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헬리데크(10)는 사고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는 최초 설계시 고려된 헬리콥터에 필요한 착륙장의 넓이보다 큰 헬리데크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선체의 크기 및 한정된 장소의 제약에 의해 선박에서 이용되는 헬리콥터의 이착륙에 필요한 착륙장의 넓이에 대응하는 헬리데크(10)가 설계되지만, 사고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 이용되는 구조용 헬리콥터의 사이즈는 대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불가항력적인 경우, 헬리콥터의 착륙사고에 의해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 낙하하여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나, 헬리데크(10)가 선체에 연결되므로 헬리콥터의 착륙사고에 의해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륙장의 넓이가 가변되며, 착륙사고에 의해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헬리데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장치는, 헬리콥터가 이착륙되도록 평면을 이루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곽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비되며, 서로 이웃하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확장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평을 이루거나 젖혀지게 상기 확장부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부;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확장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확장부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헬리데크 장치는, 착륙장의 넓이가 가변되어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 적합한 사이즈로 설치되면서도 위급상황시 착륙장의 넓이를 넓힐 수 있어 대형의 구조용 헬리콥터가 이착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시에 헬리데크 장치의 외곽이 하향경사를 이루어, 헬리콥터의 착륙사고에 의해 헬리콥터가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을 피해 해양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헬리데크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장치의 확장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장치의 확장부가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장치의 확장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헬리데크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장치의 확장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장치의 확장부가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장치(100)는, 베이스부(110), 확장부(120), 동작부(130) 및 날개부(1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착륙장으로서 헬기가 이착륙되도록 평면을 이룬다. 베이스부(110)는 다각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각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치수 및 재질은 선박의 최초설계시 고려된 크기의 헬리콥터의 크기 및 중량을 고려하며, 선박의 선종 및 사이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1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헬리콥터와 헬리데크 장치(100)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의 지지파이프에 의해 데크하우스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확장부(120)는 사고 등의 위급한 상황시 최초설계시 고려된 헬리콥터보다 사이즈가 대형으로 이루어지는 헬리콥터의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착륙장의 넓이를 확장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확장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외곽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비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10)가 팔각형의 형상을 이루는 경우 각각의 단부에 확장부(120)가 연결되어 8개로 구비될 수 있다. 확장부(120)는 베이스부(110)와 힌지결합되어 비상시 베이스부(110)와 수평하도록 펼쳐지거나, 평시에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하향경사지게 젖혀질 수 있다.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게다가, 확장부(120)가 젖혀질 경우 이웃한 확장부(120)에 간섭되지 않도록 확장부(120)는 서로 이웃하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동작부(130)는 확장부(120)의 회전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서, 확장부(120)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확장부(120)가 베이스부(110)에 대해 수평을 이루거나 젖혀지게 확장부(120)를 밀거나 당긴다.
예를 들어, 동작부(130)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부호미도시)와 피스톤로드(부호미도시)를 포함하여, 유체의 공급 및 회수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신축하여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확장부(120)를 밀거나 당겨 확장부(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부(130)의 전체길이가 신장되는 경우 확장부(120)는 베이스부(110)에 수평하게 이루어져 착륙장의 넓이를 확장시키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부(130)의 전체길이가 축소되는 경우 확장부(120)는 피스톤로드에 의해 당겨져 베이스부(110)의 하측으로 젖혀져 하향경사지게 된다. 이에 따라, 평시에 헬리데크 장치(100)의 외곽이 하향경사를 이루는 형태가 되어, 헬리콥터의 착륙사고에 의해 헬리콥터가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을 피해 해양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부(130)는 유압실린더가 데크하우스 또는 트러스 구조물의 지지파이프에 고정 설치되고, 유압실린더에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된 피스톤로드에는 확장부(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날개부(140)는 확장부(120)가 베이스부(110)의 아래로 젖혀지는 경우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히는 구성으로서, 확장부(120)가 펼쳐진 경우 서로 이웃한 확장부(120) 사이에 승무원 등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날개부(140)는 각각의 확장부(120)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확장부(12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한다. 예를 들어, 팔각형의 베이스부(110)에 확장부(120)가 연결되고, 확장부(120) 사이에 날개부(140)가 구비되어, 베이스부(110), 확장부(120) 날개부(140)는 하나의 팔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141: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별도 부호 표시함)는 확장부(120)가 베이스부(110)의 아래로 젖혀지는 경우 서로 이웃한 날개부(142: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별도 부호 표시함)에 간섭되지 않도록 밀려 상부로 회전하여 접힐 수 있다.
게다가, 날개부(140)는 확장부(120)가 베이스부(110)와 수평하게 펼쳐지는 경우 날개부(140) 또한 수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이때, 날개부(140)는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할 수 있고, 날개부(140)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확장부(120)에는 스토퍼(12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21)는 확장부(120)의 하면에 날개부(140)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날개부(140)의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장치의 확장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헬리데크 장치(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확장부(220)와 날개부(240)만 다르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일 실시예의 날개부(140)가 확장부(12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과 달리, 날개부(240)가 확장부(220)의 일단에만 구비되는 것이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부(240)가 확장부(220)와 대향하게 되고, 확장부(220)가 베이스부(110)의 아래로 젖혀지는 경우, 이와 연동하여 날개부(240)는 이웃한 확장부(220)에 의해 밀려 젖혀질 수 있다.
한편, 날개부(240)는 하중에 의해 펼쳐져 베이스부(110)와 확장부(220)와 수평을 이루고, 본 실시예에서 또한 확장부(220)의 하면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날개부(240)의 회전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착륙장의 넓이가 가변되어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 적합한 사이즈로 설치되면서도 위급상황시 착륙장의 넓이를 넓힐 수 있어 대형의 구조용 헬리콥터가 이착륙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200 : 헬리데크 장치 110 : 베이스부
120, 220 : 확장부 121 : 스토퍼
130 : 동작부 140, 240 : 날개부

Claims (3)

  1. 헬리콥터가 이착륙되도록 평면을 이루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곽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비되며, 서로 이웃하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확장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평을 이루거나 젖혀지게 상기 확장부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부;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확장부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확장부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하중에 의해 펼쳐져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확장부와 수평을 이루고, 상기 확장부가 젖혀지는 것과 연동하여 이웃한 날개부에 의해 밀려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하중에 의해 펼쳐져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확장부와 수평을 이루고, 상기 확장부가 젖혀지는 것과 연동하여 이웃한 확장부에 의해 밀려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데크 장치.
KR1020120109696A 2012-10-02 2012-10-02 헬리데크 장치 KR20140043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696A KR20140043966A (ko) 2012-10-02 2012-10-02 헬리데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696A KR20140043966A (ko) 2012-10-02 2012-10-02 헬리데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966A true KR20140043966A (ko) 2014-04-14

Family

ID=5065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696A KR20140043966A (ko) 2012-10-02 2012-10-02 헬리데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39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098A (ko) * 2015-04-10 2016-10-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CN110920804A (zh) * 2019-11-29 2020-03-27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直升机甲板安全网支撑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098A (ko) * 2015-04-10 2016-10-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CN110920804A (zh) * 2019-11-29 2020-03-27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直升机甲板安全网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VI20100119A1 (it) Piattaforma ad ingombro contenuto per l'atterraggio di un velivolo su un'infrastruttura di accesso
NO337756B1 (no) En overføringsstruktur, et overføringssystem og en fremgangsmåte for overføring av et fluid og/eller elektrisk kraft mellom en flytende struktur og en flytende eller ikke-flytende fasilitet
EP1781536B1 (en) Access method between marine structures and apparatus
TW201332876A (zh) 被構造成從水體中捕獲目標物體的設備及用於從水體中捕獲目標物體的方法
EP3003846B1 (en) Cradle assembly for boats
JP2012240540A (ja) 硬帆で形成される横帆を備えた船舶及び横帆の格納及び展開方法
KR20140043966A (ko) 헬리데크 장치
KR20140049175A (ko) 헬리데크 장치
US7703407B2 (en) Stable maritime platform
CA2892028C (en) Structure-supported jackup system
WO2002028702A1 (en) Tender for production platforms
US10093396B2 (en) Platform for the landing of an aircraft on a boat
KR101315154B1 (ko) 선측에 구비되는 접이식 헬리데크
US3739737A (en) Marine platforms
JP5025711B2 (ja) 帆走装置および帆走商船
AU2004289517B2 (en) Access method between marine structures and apparatus
KR101644344B1 (ko) 해양구조물용 난간
AU2012271899A1 (en) Self contained marine riser fairing
CN115092723A (zh) 船舶运输通道、海上运输船和船舶运输通道搭建方法
CN204527556U (zh) 一种海底采矿船选矿系统支持装置
WO2015005797A1 (en) Device for an aircraft to be used in case the aircraft must land in water
KR20150026021A (ko) 헬리데크의 디아이싱 커버
KR102653032B1 (ko) 탈출가용도가 강화된 이착륙데크
KR20170000647U (ko) 격납고용 접철식 플랫폼
CN107012779B (zh) 一种桥跨垂向折叠式浮桥的收拢和展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