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638A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638A
KR20140043638A KR1020120109729A KR20120109729A KR20140043638A KR 20140043638 A KR20140043638 A KR 20140043638A KR 1020120109729 A KR1020120109729 A KR 1020120109729A KR 20120109729 A KR20120109729 A KR 20120109729A KR 20140043638 A KR20140043638 A KR 20140043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mode
nonvolatile memory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3638A/ko
Priority to US13/856,480 priority patent/US20140092412A1/en
Publication of KR2014004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76Inhibiting or interrupting a particular operation or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20Arrangements of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77Cool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2Recording use, e.g. counting number of pages cop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76Arrangements for regulating environment, e.g. removing static electricity
    • H04N1/00978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46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a detected condition or state of the reproducing device, e.g. temperature or ink qua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 인쇄 작업의 수행 과정 중에 수행된 작업 매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카운팅된 작업 매수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인쇄 작업이 수행되지 않으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하고,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온도 센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갑작스런 단전에 의해 쿨링 모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 중 레이저 화상형성장치는 도트 및 잉크젯 인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인쇄속도가 빠르고 인쇄품질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레이저 인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레이저 화상형성장치는 정착기 등의 구성에 의하여 많은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엔진 내부의 열을 감소시키기 위한 팬 장치 및 쿨링 제어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엔진 내부의 열이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주변 장치에 열화로 인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특히 PCB 전자 부품 소자의 성능에 영향을 주어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 스팩 아웃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화상형성장치는 엔진 내의 온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레이저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온도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쿨링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레이저 화상형성장치는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연속 인쇄 지속 시간 또는 연속 누적 출력 매수를 이용하여 쿨링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온도 센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쿨링 모드 중에 단전(전원 차단)이 발생하는 경우에, 쿨링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 파워 오프되는 경우 저장해 놓은 연속 인쇄 지속 시간 또는 연속 누적 출력 매수 등의 제어 파라미터가 초기화되어, 내부의 온도가 고온인 것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온도 센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갑작스런 단전에 의해 쿨링 모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인쇄 작업의 수행 과정 중에 수행된 작업 매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인쇄 작업이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초기화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온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운팅부는, 인쇄 완료 또는 인쇄 중단 시점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온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고,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경과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호스트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 및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의 카운팅 시점의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온되면, 외부 호스트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가 취득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취득된 시간 정보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 정보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이상인지 여부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부로의 용지 공급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용지 공급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쿨링 모드는, 인쇄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쿨링 모드는, 상기 노멀 인쇄 모드의 인쇄 속도보다 느린 인쇄 속도를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은,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쇄 작업의 수행 과정 중에 수행된 작업 매수를 카운팅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화상 형성 방법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인쇄 작업이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화상 형성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초기화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 형성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온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 형성 방법은, 인쇄 완료 또는 인쇄 중단 시점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이상이고,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온 되면,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경과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 형성 방법은, 외부 호스트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 및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의 카운팅 시점의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외부 호스트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가 취득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취득된 시간 정보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 정보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이상인지 여부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화상 형성부로의 용지 공급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쿨링 모드는, 인쇄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모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쿨링 모드는, 상기 노멀 인쇄 모드의 인쇄 속도보다 느린 인쇄 속도를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모드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화상형성장치에 타이머가 구비되는 경우의 동작 모드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화상형성장치에 타이머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의 동작 모드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감지부(140), 카운팅부(150), 화상 형성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는 레이저 인쇄방식을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복합기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및 무선 모듈을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대표적으로 PC(Personal Computer) 등의 인쇄 제어 단말장치(10)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잡의 수행을 요청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로부터 인쇄 잡, 스캔 잡, 팩스 수신 잡 등의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과 관련된 잡의 수행을 요청받을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각 잡에 관련된 데이터(예를 들어, 인쇄 데이터, 스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데이터는 PS(Postscript), PCL(Printer Control Language) 등과 같은 프린터 언어의 데이터일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하는 경우, PDF, XPS, BMP, JPG 등의 파일 자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잡 수행 결과를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가 요청한 잡 수행이 스캔 작업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스캔 작업에 의한 스캔 결과물을 잡 수행을 요청한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기기가 요청한 잡 수행이 인쇄 작업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작업이 완료되면 인쇄가 완료되었음을 해당 외부 기기에 알릴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또는 스트레스(stress) 모드)로 전환되면, 쿨링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에 통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 및 CRT 모니터, LCD 모니터, LED 등과 같은 표시 장치를 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제어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파라미터는 후술할 카운팅부(150)에서 카운팅된 작업 매수(또는 '연속 출력 누적 매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부(130)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쉬 롬(Flash ROM), EP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배터리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제어 파라미터를 저장하면서, 해당 제어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시점 정보(즉,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시간 정보가 취득되면, 저장부(130)는 제어 파라미터와 제어 파라미터가 갱신되는 시점(인쇄 용지가 공급될 때마다)의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인쇄 데이터와 작업 매수를 하나의 구성에서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저장부(130)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인쇄 데이터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작업 파라미터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화상 형성부(160)로의 용지 공급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40)는 인쇄된 용지의 배지(paper exit)를 인식하는 센서 또는 화상 형성부(160)로부터 용지 공급을 인식하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부(160)로의 용지 공급을 감지할 수 있다.
카운팅부(150)는 인쇄 작업 수행 과정 중에 수행된 작업 매수를 카운팅한다. 구체적으로, 카운팅부(150)는 화상 형성부(160)에서 작업 페이지에 대응되는 작업 매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카운팅 값은 인쇄 작업이 기설정된 시간 수행되지 않거나 쿨링 모드가 기설정된 시간 유지된 경우에 초기화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작업 매수를 제어 파라미터로 이용하는 예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작업 매수 이외의 다른 파라미터(예를 들어, 정착기의 동작 시간)를 이용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60)는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부(16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인쇄 잡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160)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화상형성장치(100)가 스캔 잡 및 팩스 잡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기(MFP)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스캔 잡을 수행하는 구성 및 팩스 전송/수신 잡을 수행하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화상 형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화상 형성부(160)의 인쇄 작업의 수행 과정 중에 수행된 작업 매수가 카운팅 되도록 카운팅부(150)를 제어하고, 카운팅된 작업 매수가 저장되도록 카운팅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 동작은 화상 형성부(160)로의 용지 공급이 감지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에서 쿨링 모드로 전환이 필요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속 수행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거나, 정착기의 동작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이거나,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온도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작업 매수를 이용하여 동작 모드의 전환 여부를 판단하나, 구현시에는 작업 매수 이외에 종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다른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노멀 인쇄 모드에서 쿨링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당 인쇄 매수가 30ppm인 화상형성장치가 150매의 용지를 연속으로 인쇄한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과열 방지가 필요하다고 결정하고, 이와 같은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에서 쿨링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노멀 인쇄 모드란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하며, 쿨링 모드는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열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노멀 인쇄 모드 시의 인쇄 속도보다 인쇄 속도를 낮추거나 용지 출력을 멈추고,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팬을 가동하는 모드를 말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인쇄 작업이 수행되지 않으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구체적으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인쇄 작업을 수행한 이후에 5분이 경과하면, 이전에 수행된 인쇄 작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열기 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고,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구체적으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인 경우에 제어 파라미터가 초기화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에서 노멀 인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파워 온되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구체적으로, 작업 매수)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가 쿨링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상태의 값이 아닌 경우에, 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가 쿨링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상태의 값인 경우에, 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판단하는데 이용하는 제어 파라미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가 단전되는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온도 상태에 적정한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차단 상태가 충분히 긴 경우에, 즉,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온도가 쿨링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낮아진 경우에는, 파워 온되더라도 화상형성장치(100)는 쿨링 모드로 동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가 쿨링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상태의 값인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오프 상태가 기설정된 기간 이상이면, 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오프 상태의 기간은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에 구비되는 타이머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외부 기기인 외부 호스트 장치의 시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에 타이머가 구비되는 경우에 동작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고, 화상형성장치(100)에 타이머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쿨링 모드로 전환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데 이용하는 제어 파라미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바, 화상형성장치(100)가 갑작스럽게 단전되는 경우에도 쿨링 모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온도 센서를 이용하지 않는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카운팅부(150) 및 제어부(17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카운팅부(150)의 기능 및 제어부(170)의 기능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화상 형성부(160)가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바로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제어부(170)가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랜더링 및 이미지 처리 등을 수행하고, 이미지 처리된 데이터를 화상 형성부(160)가 제공받아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의 제어부(17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데이터 처리부(171), 엔진 제어부(173), 모드 판단부(175) 및 머신 제어부(177)로 구성된다.
데이터 처리부(171)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부(160)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171)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 하프토닝 등의 작업을 처리하여 이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진 화상 데이터를 화상 형성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엔진 제어부(173)는 화상 형성부(16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엔진 제어부(173)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멀 인쇄 모드인 경우에는 기설정된 인쇄 속도로 인쇄 작업이 수행되도록 화상 형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인 경우에 엔진 제어부(173)는 노멀 인쇄 모드시의 인쇄 속도보다 현저히 낮은 인쇄 속도로 인쇄 작업이 수행되도록 화상 형성부(160)를 제어하거나 일시적으로 인쇄 작업이 수행되지 않도록 화상 형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드 판단부(175)는 감지부(140)로부터 용지 공급이 감지되면, 작업 매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작업 매수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작업 매수와 같은 제어 파라미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바, 파워가 꺼지더라도 파워 오프 전의 카운트 값이 유지되어, 파워 온 시에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쿨링 모드로의 진입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어 파라미터는 감지부(140)에서 이벤트를 인식할 때마다 또는 제어부(170)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마다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드 판단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쿨링 모드로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드 판단부(175)는 화상 형성부(16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인쇄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나, 쿨링 모드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된 경우에,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리셋되도록 할 수 있다. 쿨링 모드시에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리셋된다면, 모드 판단부(17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에서 노멀 인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드 판단부(175)는 화상형성장치(100)가 파워 온되는 경우에,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쿨링 모드로 동작해야하는 작업 매수인 경우에, 모드 판단부(17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쿨링 모드로 동작해야 하는 작업 매수가 아닌 경우에, 모드 판단부(17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결정할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한편,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쿨링 모드로 동작해야 하는 작업 매수인 경우라도, 화상형성장치(100)의 파워 오프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 모드 판단부(17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결정할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머신 제어부(177)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40)로부터 용지 공급이 감지되면, 그 감지 결과를 모드 판단부(175)에 제공한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300)은 동작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한편, 도 3 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300)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로 동작한다는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으나, 구현시에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로 동작한다는 정보와 함께 쿨링 모드가 언제까지 유지될 것이라는 시간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S410). 구체적으로, 외부 기기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S420).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멀 인쇄 모드인 경우에,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작업의 수행 과정 중에 수행된 작업 매수를 카운팅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S430).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부로의 용지 공급이 감지될 때마다, 카운팅된 작업 매수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카운팅된 작업 매수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어야 함을 판단한다(S440). 구체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S440-Y),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전환한다(S450). 여기서 쿨링 모드란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열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노멀 인쇄 모드 시의 인쇄 속도보다 인쇄 속도를 낮추거나 용지 출력을 멈추고,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팬을 가동하는 모드를 말한다.
한편,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카운팅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S440-N), 인쇄 작업을 계속 진행한다. 한편, 이와 같은 판단 동작은 화상형성장치(100)가 파워 온 되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워 온 시에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가 쿨링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상태의 값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로 전환되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쿨링 모드가 유지된다(S460-N). 그리고 쿨링 모드의 유지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면(S460-Y),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에서 노멀 인쇄 모드로 전환되고(S470),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카운팅된 작업 매수가 초기화된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노멀 인쇄 모드로 전환되고, 인쇄 작업할 인쇄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는 노멀 인쇄 모드로 남은 인쇄 데이터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은 쿨링 모드로 전환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데 이용하는 제어 파라미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바, 화상형성장치(100)가 갑작스럽게 단전되는 경우에도 쿨링 모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별도의 온도 센서를 이용하지 않는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와 같은 화상형성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형성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화상형성장치에 타이머가 구비되는 경우의 동작 모드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화상형성장치(100)가 파워 온되면, RTC(real time clock)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가 파워 오프된 상태에서 파워 온 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S510). 또는 RTC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마지막 인쇄 완료 또는 인쇄 중단 시점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20). 예를 들어, 측정된 경과 시간이 5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설정된 경과 시간은 화상형성장치마다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엔진 내열 하강률은 모델별로 상이하고 특성이 다를 수 있는바, 제조사에서 해당 화상형성장치의 특성에 맞는 기설정된 경과 시간을 설정해 놓을 수 있다.
판단 결과, 측정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경과한 경우에는(S520-Y),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를 초기화할 수 있다(S530).
반대로, 측정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S520-N),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 값을 유지한다.
그리고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S550, S560). 구체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 값이 쿨링 모드로 동작해야 하는 제어 파라미터 값인지를 판단하고,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 값이 쿨링 모드로 동작해야 하는 제어 파라미터 값이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 값이 쿨링 모드로 동작해야 하는 제어 파라미터 값이 아니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이면(S560-Y),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전환하고, 쿨링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S570),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열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노멀 인쇄 모드 시의 인쇄 속도보다 낮은 인쇄 속도로 인쇄 작업을 수행하거나,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인쇄 작업을 중지하고,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팬을 가동할 수 있다.
한편, 결정된 동작 모드가 노멀 인쇄 모드이면(S560-N),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전환하고(S580),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인쇄 작업 중에 수행된 작업 매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작업 매수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590).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 중이 전원이 차단되더라도(S595), 카운팅된 작업 매수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가 단전되는 경우에도 쿨링 모드가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화상형성장치에 타이머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의 동작 모드의 전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화상형성장치(100)가 파워 온되면, 호스트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가 파워 오프된 상태에서 파워 온 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한다(S610).
그리고 계산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620). 예를 들어, 계산된 경과 시간이 5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계산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경과한 경우에는(S620-Y),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를 초기화할 수 있다(S630).
반대로, 측정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S620-N),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 값을 유지한다.
그리고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S650, S660). 구체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 값이 쿨링 모드로 동작해야 하는 제어 파라미터 값인지를 판단하고,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 값이 쿨링 모드로 동작해야 하는 제어 파라미터 값이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 값이 쿨링 모드로 동작해야 하는 제어 파라미터 값이 아니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이면(S660-Y),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전환하고, 쿨링 모드 동작을 수행한다(S670),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열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노멀 인쇄 모드 시의 인쇄 속도보다 낮은 인쇄 속도로 인쇄 작업을 수행하거나,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인쇄 작업을 중지하고,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팬을 가동할 수 있다.
한편, 결정된 동작 모드가 노멀 인쇄 모드이면(S660-N),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전환하고(S680),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인쇄 작업 중에 수행된 작업 매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작업 매수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69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감지부 150: 카운팅부
160: 화상 형성부 170: 제어부

Claims (20)

  1. 노멀 인쇄 모드 및 쿨링 모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인쇄 작업의 수행 과정 중에 수행된 작업 매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인쇄 작업이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초기화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온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부는,
    인쇄 완료 또는 인쇄 중단 시점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온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고,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경과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호스트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 및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의 카운팅 시점의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온되면, 외부 호스트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가 취득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취득된 시간 정보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 정보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이상인지 여부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로의 용지 공급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용지 공급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모드는,
    인쇄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모드는,
    상기 노멀 인쇄 모드의 인쇄 속도보다 느린 인쇄 속도를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노멀 인쇄 모드 및 쿨링 모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쇄 작업의 수행 과정 중에 수행된 작업 매수를 카운팅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인쇄 작업이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쿨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초기화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온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인쇄 완료 또는 인쇄 중단 시점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가 기설정된 이상이고,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쿨링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파워 온 되면, 상기 측정된 경과 시간이 기설정된 기간을 경과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매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노멀 인쇄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외부 호스트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 및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의 카운팅 시점의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외부 호스트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가 취득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취득된 시간 정보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시간 정보의 차이가 기설정된 차이 이상인지 여부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화상 형성부로의 용지 공급이 감지될 때마다, 상기 카운팅된 작업 매수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모드는,
    인쇄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모드는,
    상기 노멀 인쇄 모드의 인쇄 속도보다 느린 인쇄 속도를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KR1020120109729A 2012-10-02 2012-10-02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20140043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729A KR20140043638A (ko) 2012-10-02 2012-10-02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US13/856,480 US20140092412A1 (en) 2012-10-02 2013-04-0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729A KR20140043638A (ko) 2012-10-02 2012-10-02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638A true KR20140043638A (ko) 2014-04-10

Family

ID=5038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729A KR20140043638A (ko) 2012-10-02 2012-10-02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92412A1 (ko)
KR (1) KR201400436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3013B2 (ja) * 2015-09-02 2020-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29436B1 (en) * 2001-01-31 2008-08-06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mbodying documents
JP2003186373A (ja) * 2001-12-14 2003-07-04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230816A (ja) * 2003-01-31 2004-08-19 Canon Inc 温度検出方法
JP4455144B2 (ja) * 2004-04-27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36613B2 (ja) * 2004-04-28 2009-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4514201B2 (ja) * 2004-05-31 2010-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08869B2 (ja) * 2005-06-08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70127048A1 (en) * 2005-12-05 2007-06-07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7743267B2 (en) * 2006-11-08 2010-06-22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device
US20100149576A1 (en) * 2008-12-16 2010-06-1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0114150A1 (ja) * 2009-03-30 201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US8121958B2 (en) * 2009-06-08 2012-02-21 Ricoh Company, Ltd. Approach for determining alternative printing device arrangements
JP4913846B2 (ja) * 2009-06-12 2012-04-11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システム
JP5430357B2 (ja) * 2009-11-04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18530B2 (ja) * 2009-12-14 2014-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内の温度制御
JP2011203567A (ja) * 2010-03-26 2011-10-13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590943B2 (ja) * 2010-03-31 2014-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87087B2 (ja) * 2010-07-28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92412A1 (en)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925E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tate shift and clearing or not clearing a shift time measured
US984656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among a plurality of power saving modes using a simple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US90945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95755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lectively enabling or disabling packets discarding feature by its network interface card
US89763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shifts to different power stat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0104257B2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holding print job
JP678971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EP277879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JP6071510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94098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US111534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10033895B2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power stat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703179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network interface having proxy response function
KR2014004363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US90600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orage location based on the amount of electricity stored in a secondary battery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301916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EP3048521B1 (en)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117550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lectric power transfer system,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6869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eventing risk of shortened lifetime of stor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126728B2 (en) Electronic apparatus enabling omission of software tampering detection processing at activation
JP2015030229A (ja) 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40090B1 (ko) 인쇄 제어 단말장치, 인쇄 제어 방법,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002646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545588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2631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