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585A - 적층 블록 유닛, 이를 이용한 적층 블록 어셈블리 및 적층 게임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블록 유닛, 이를 이용한 적층 블록 어셈블리 및 적층 게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585A
KR20140043585A KR1020120106166A KR20120106166A KR20140043585A KR 20140043585 A KR20140043585 A KR 20140043585A KR 1020120106166 A KR1020120106166 A KR 1020120106166A KR 20120106166 A KR20120106166 A KR 20120106166A KR 20140043585 A KR20140043585 A KR 20140043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acked
blocks
stacki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근
Original Assignee
윤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근 filed Critical 윤태근
Priority to KR1020120106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3585A/ko
Publication of KR20140043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73Games for obtaining a particular arrangement of playing pieces in a plane or sp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6Balancing games, i.e. bringing elements into or out of bal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2Games with a collection of long sticks, e.g. mikad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288Sculpture puzzles
    • A63F2009/1292Sculpture puzzles formed by stack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적층 블록 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면이 실질적으로 균일한 L자 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측으로 굴절된 부위의 폭 및 높이가 전체 폭 및 높이 각각의 1/2의 길이를 갖는 적층 블록들을 이용한다. 적층 블록 유닛은 하부에는 중앙에 상기 적층 블록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그루브가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및 제2적층 블록과, 상기 그루브 내에 상기 제1적층 블록과 동일 방향으로 안착된 제3적층 블록과, 상기 제1 및 제3적층 블록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적층 블록의 상단면을 대칭면으로 하여 상기 제1적층 블록과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제4적층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4개로 이루어진 적층 블록 유닛 2개를 직육면체가 되도록 마주보게 결합하여 하나의 층을 형성하면,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높고 더욱 재미있는 젠가 형태의 게임용 적층 블록 타워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 블록 유닛, 이를 이용한 적층 블록 어셈블리 및 적층 게임 방법{L-SHAPED BUILDING BLOCK UNIT, BUILDING BLOCK ASSEMBLY AND METHOD OF PLAYING A STACKING BLOCK GAME USING THE SAME}
적층 블록과 이를 이용한 게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정성 있고 창조적인 적층 블록 구조물과 이를 젠가 블록으로 이용한 블록 쌓기 게임 방법에 대한 것이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젠가(JENGA)는 도 1과 같이 동일한 크기의 직육면체 블록 다수개를 이용한 간단하면서도 흥미로운 게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젠가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 3개를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여 제1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1층의 상에 상기 제1층과 동일한 개수의 3개 블록들을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제2층을 적층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다수 층으로 이루어진 타워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젠가의 게임 방법은 게임 참가자들이 순서대로 상기 타워 형태를 이루는 블록들 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제거한 뒤 연속적으로 상기 타워의 최상단 층을 상기 순서대로 새롭게 형성한다. 이때, 타워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손놀림이 필요하며, 타워가 무너지면 게임이 종료되며 타워를 무너뜨린 사람이 벌칙을 받게 함으로써 게임 참가자들의 흥미를 돋군다.
젠가는 1980년대 초반에 영국에서 발매되어 파티게임 등으로 많은 사랑을 받아 왔으며, 기본형은 54개의 블록을 가로로 3개씩 만들어 쌓아올린 18층의 타워이다. 그 외에도 조각이 마름모형으로 쌓아올려진 형태, 미니 사이즈와 대형사이즈 상품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판매되어 왔다. 즉, 직육면체 형태의 블록 구조가 너무 단순하여 게임의 흥미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어왔으나, 창조적이면서도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 블록 형태가 고안되지는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새로운 구조를 갖는 적층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적층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기 적층 블록을 이용한 젠가 형태의 블록 적층 게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L자형 적층 블록 유닛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면이 실질적으로 균일한 L자 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측으로 굴절된 부위의 폭 및 높이가 전체 폭 및 높이 각각의 1/2의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불록 유닛은 하부에는 중앙에 상기 적층 블록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그루브가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및 제2적층 블록과, 상기 그루브 내에 상기 제1적층 블록과 동일 방향으로 안착된 제3적층 블록과, 상기 제1 및 제3적층 블록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적층 블록의 상단면을 대칭면으로 하여 상기 제1적층 블록과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제4적층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층 블록의 높이와 폭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상기 적층 블록의 상기 일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적층 블록의 높이와 폭 중에 길이가 더 긴 부분의 3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블록 어셈블리는 상기 적층 블록 유닛 2개가 전체가 직육면체 구조를 갖도록 서로 마주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블록 유닛은 L자형 적층 블록 4개를 이용하여 적층 블록 유닛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적층 블록 유닛 2개를 결합하면 8개의 적층 블록으로 게임용 블록 타워 구조물의 하나의 층을 이루는 어셈블리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자 적층 블록 적층 구조들은 블록 결합 또는 배치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는 대칭구조를 가지면서도, 하나의 층이 되는 기본단위 블록이 8개로 구성됨으로써 젠가에 비해 존재할 수 있는 구조적인 형태가 월등히 많기 때문에 게임 참가자들이 보다 흥미롭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젠가 게임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층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블록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적층 블록 유닛의 단면도들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적층 블록 유닛을 이용한 적층 블록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적층 블록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적층 블록 어셈블리를 이용한 적층 게임용 타워 구조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자형 적층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적층 블록 적층 게임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층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적층 블록(100)은 그 단면(S1)이 L자 형태로 굴절되어 있는 기둥 형태의 블록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층 블록(100)의 전체 폭 길이는 A, 전체 높이는 B로 실질적으로 균일하며, 상기 높이블록(100) 내측으로 굴절된 부분의 바닥을 이루는 폭(a)과 상기 바닥과 직각을 이루는 높이(b)는 각각 1/2A 및 1/2B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적층 블록(100)은 L자 형상의 단면(S1)을 가지면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입체 블록이다. 또한, 상기 적층 블록(100)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타워 구조물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 상기 적층 블록(100)의 폭(A)의 길이는 높이(C)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블록(100)은 건축이나 인테리어 또는 블록 게임과 같이 블록을 적층하는 구조물에서 최소 기본 단위 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상과 사이즈를 갖도록 설계된 것이다(이러한 적층 블록(100)이 어떻게 기본 단위로서의 기능하는지에 대해서는 이후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적층 블록(100)을 이용하여 젠가 형태의 게임을 하기 위한 타워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적층 블록(100)의 전체 폭(A)에 대한 연장 방향의 너비(C)의 길이 비는 1:3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블록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적층 블록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블록 유닛(2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적층 블록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적층 블록(110, 120, 130, 140)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적층 블록 유닛(200)의 단면(S2)은 상기 적층 블록들(110, 120, 130, 140)의 단면(S1)과 동일한 비율의 L자 형상을 갖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 블록 유닛(200)의 하부는 중앙에 그루브(G)가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적층 블록(110, 120)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그루브(G)의 단면은 폭 길이가 2a(A), 높이 b의 직사각형 형태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그루브(G)에 제3적층 블록(130)이 상기 제1적층 블록(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적층 블록(130)의 하부와 그루브(G)의 체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4적층 블록(140)은 제1 내지 제3적층 블록(110, 120, 130) 상에 구비된다. 이 때, 제4적층 불록(140)의 굴곡진 내측면들이 제1 및 제3적층 블록(110, 130)과 각각 접하며, 제1적층 블록(110)과 마주보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중앙의 제3적층 블록(130)의 내측으로 굴곡진 L자를 한정하는 두 면들을 제외한 모든 측면들은 제1, 제2 및 제4적층 블록(110, 120, 140)과 면접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적층 블록 유닛(200)의 구조를 보면, 그 단면의 폭(2A) 및 높이(2B)가 하나의 적층 블록의 폭(A) 및 높이(B)의 2배의 길이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적층 블록 유닛(200)을 이루는 제1 내지 제4의 4개의 적층 블록들(110, 120, 130, 140)의 모든 높이 방향의 각 면들과 폭 방향의 각 면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적층 블록 유닛을 이용한 적층 블록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적층 블록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적층 블록 어셈블리를 이용한 적층 게임용 타워 구조물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블록 어셈블리(300)는 지금까지 살펴본 적층 블록(100) 또는 적층 블록 유닛(200)을 이용한 바람직한 결합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일 예로서, 젠가와 같은 형태의 블록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도 8과 같이 적층 블록들이 여러 층으로 쌓인 타워 구조물(400)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층 형태의 적층 블록 어셈블리(300)가 고안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적층 블록 어셈블리(300)는 그 단면(S3)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전체적으로 안정된 직육면체 구조가 되도록 2개의 적층 블록 유닛(210, 220)을 서로 마주 포갠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게임용 타워 구조물(도 8의 400)을 일반적인 젠가 블록 타워 구조물(도 1)과 비교해 보도록 하자. 먼저 젠가는 직육면체 형태의 3개의 블록들이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구조적으로 안정성 있는 하나의 층을 이루고 있다. 젠가 게임에서, 게임 참가자는 한번에 하나의 층에서 단 하나의 블록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3개의 직육면체 블록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층이 넘어지지 않고 균형감있는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대 6가지 경우의 구조적 형태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층이 2개 블록으로 이루어진 형태가 3가지, 1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형태가 3가지가 있다. 물론 상기 층의 상부 또는 하부 블록들의 배치 형태에 따라서 경우의 수는 줄어든다.
반면,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직육면체를 이루고 있는 8개의 L자형 적층 블록들(110 내지 180)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적층 블록 어셈블리(300)는 전체적으로 점대칭의 구조를 갖는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4개의 L자형 적층 블록들(110, 140, 150, 180)이 두 개의 대칭면을 갖는 대칭구조로 안정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중앙에는 4개의 L자형 적층 블록들(120, 130, 160, 170)이 그 단면이 한자의 만(卍)자 형상의 점대칭 구조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적층 블록 어셈블리(300)가 적층 하나의 층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적 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모서리를 이루는 4개의 적층 블록으로부터 최대 11가지의 구조적 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3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형태가 4가지, 2개 블록으로 이루어진 형태가 6가지, 1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형태가 4가지, 4개가 모두 빠진 경우 1가지). 한편, 중앙의 4개의 적층 블록부터는 총 12가지의 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3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형태가 4가지, 2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4가지, 1개의 블록으로 ?肩獰沮?형태가 3가지, 4개 모두 빠진 경우 1가지). 이처럼, L자형 적층 블록을 모서리와 중앙 각각 4개씩으로 분리해서만 보더라도 총 23가지의 구조물 형태로 존재 가능하다. 여기에, 이들의 조합을 고려하면 존재가능한 구조형태의 경우의 수는 30가지가 훨씬 넘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자 적층 블록 적층 구조물은 블록들 간의 결합 또는 배치의 구조가 매우 안정적인 대칭구조를 가지면서도, 하나의 층이 되는 기본단위 블록 어셈블리가 8개의 단위 블록으로 구성함으로써 젠가에 비해 존재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월등히 많기 때문에 게임 참가자들이 보다 흥미롭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블록 어셈블리들(310 내지 390)를 이용한 게임용 적층 블록 타워 구조물은 젠가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인접한 층을 이루는 적층 블록 어셈블리의 방향이 타워 축을 기준으로 90도를 이루도록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앞서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적층 블록(100)의 연장 방향의 너비(C)가 전체 폭(A)에 비해 3배가 더 길기 때문에(C = 3A), 인접하는 층이 서로 90도 틀어져 있더라도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적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적층 블록 어셈블리를 이용한 블록 적층 게임 방법은 젠가와 유사하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를 참조로 설명된 본 발명의 적층 블록(100) 72를 이용하여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블록 유닛(200) 및 적층 어셈블리(300)와 같은 구조로 쌓아 적층 블록 타워 구조물(400)을 형성한다. 그리고, 놀이에 참여한 인원들이 순서대로 쌓여진 적층 블럭들(100) 중에서 하단부의 하나를 빼낸 뒤 쌓여진 최상단에 다시 쌓아 올리는 방법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다시 층을 쌓아 올릴 때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블록 유닛(200) 및 적층 어셈블리(300)의 구조로 쌓는다. 게임 중에 쌓여진 적층 블럭들(100)이 균형을 잃고 무너지면 해당 순서의 사람이 놀이의 패자가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L자형 적층 블록 200: 적층 블록 유닛
300: 적층 블록 어셈블리 400: 게임용 적층 블록 타워 구조물

Claims (3)

  1.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면이 실질적으로 균일한 L자 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측으로 굴절된 부위의 폭 및 높이가 전체 폭 및 높이 각각의 1/2의 길이를 갖는 적층 블록들을 이용한 적층 블록 유닛에 있어서,
    하부에는 중앙에 상기 적층 블록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그루브가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및 제2적층 블록;
    상기 그루브 내에 상기 제1적층 블록과 동일 방향으로 안착된 제3적층 블록; 및
    상기 제1 및 제3적층 블록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적층 블록의 상단면을 대칭면으로 하여 상기 제1적층 블록과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제4적층 블록을 포함하는 L자형 적층 블록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블록의 높이와 폭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상기 적층 블록의 상기 일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적층 블록의 높이와 폭 중에 길이가 더 긴 부분의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자형 적층 블록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블록 유닛 2개가 전체가 직육면체 구조를 갖도록 서로 마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블록 타워용 적층 어셈블리.
KR1020120106166A 2012-09-25 2012-09-25 적층 블록 유닛, 이를 이용한 적층 블록 어셈블리 및 적층 게임 방법 KR20140043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166A KR20140043585A (ko) 2012-09-25 2012-09-25 적층 블록 유닛, 이를 이용한 적층 블록 어셈블리 및 적층 게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166A KR20140043585A (ko) 2012-09-25 2012-09-25 적층 블록 유닛, 이를 이용한 적층 블록 어셈블리 및 적층 게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585A true KR20140043585A (ko) 2014-04-10

Family

ID=5065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166A KR20140043585A (ko) 2012-09-25 2012-09-25 적층 블록 유닛, 이를 이용한 적층 블록 어셈블리 및 적층 게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35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4117A (zh) * 2018-05-09 2018-10-16 创世科研有限公司 一种益智类堆叠积木玩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4117A (zh) * 2018-05-09 2018-10-16 创世科研有限公司 一种益智类堆叠积木玩具
WO2019213988A1 (zh) * 2018-05-09 2019-11-14 创世科研有限公司 一种益智类堆叠积木玩具
CN108654117B (zh) * 2018-05-09 2019-11-29 诸暨市烈火工业设计工作室 一种益智类堆叠积木玩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75771B (zh) 三维逻辑拼图玩具
US7677567B2 (en) Cubic assembly puzzle and support structure
JP3878048B2 (ja) ゲーム装置
US8480449B2 (en) Toy block unit having 50 faces and a toy block game set consisted of toy blocks made therefrom
EP2680928B1 (en) Game pieces and a set of such game pieces
KR102089198B1 (ko) 빌딩블록 및 빌딩블록의 체결구조
US20130043654A1 (en) Building Base Plates Assembled to Build Blocks Set in Cube Dimensional Configurations
US10272322B2 (en) Word game with multi-sided pieces with notches for interlocking of the pieces at various angles
JPH037395B2 (ko)
US6910691B2 (en) Cubic puzzle
KR20140043585A (ko) 적층 블록 유닛, 이를 이용한 적층 블록 어셈블리 및 적층 게임 방법
US11731034B2 (en) Three-dimensional expandable board game
WO2019114843A1 (zh) 立体棋盘
CN215939012U (zh) 拼接玩具
US10029171B1 (en) 2X2X2 cube puzzle and a cube stand
KR200228514Y1 (ko) 조립식 도미노용 블럭
JP2006000619A (ja) 立体迷路形成用玩具
US20220184516A1 (en) Building block
JP3089317U (ja) 知的積木及びこれを用いるゲーム装置
CN210302411U (zh) 一种益智玩具
US20230302379A1 (en) Multiple piece wooden block assembly
JP2024023110A (ja) 立体パズル組み立てゲーム用品および立体パズル
JP3203745U (ja) パズル玩具
JP3206227U (ja) 積み木
JP2015229000A (ja) 積み木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