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992A - 우편물 구분 시스템 - Google Patents

우편물 구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992A
KR20140042992A KR1020120109322A KR20120109322A KR20140042992A KR 20140042992 A KR20140042992 A KR 20140042992A KR 1020120109322 A KR1020120109322 A KR 1020120109322A KR 20120109322 A KR20120109322 A KR 20120109322A KR 20140042992 A KR20140042992 A KR 20140042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motor
belt
detect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769B1 (ko
Inventor
김기학
전성우
박종흥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769B1/ko
Priority to US13/900,710 priority patent/US9227228B2/en
Publication of KR2014004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1/00Measures preceding 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1/02Forming articles into a stream;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e.g. spacing,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1/00Measures preceding 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1/10Sorting according to size or flexibility
    • B07C1/14Sorting according to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은 인입된 우편물을 크로스밸트의 설정 영역에 배치하여 목적지 방출지점에서 우편물 방출이 용이하도록, 실시 예는 컨베이어밸트에 인입된 우편물의 길이에 대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 상기 컨베이어밸트로부터 상기 우편물이 이동 배치되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인접한 제1, 2 측 영역을 포함하는 크로스밸트와 연동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크로스밸트 구동부 및 상기 검출신호를 기초로, 상기 중앙 영역 및 상기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상기 우편물이 배치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모터제어신호를 상기 크로스밸트 구동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우편물 구분 시스템{Mail sorting system}
실시 예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입된 우편물을 크로스밸트의 설정 영역에 배치하여 목적지 방출지점에서 우편물 방출이 용이한 우편물 구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택배산업의 성장으로 인해서 소포물량이 증가하면서 소포물량이 매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우편집중국이나 물류센터에서는 우편물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해서 우편물 구분 시스템을 사용한다.
최근에는 우편물 처리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크로스벨트타입, E-Tray 타입 등 새로운 구분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고, 소형 우편물에서부터 대형 우편물까지 구분 가능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구분구 슈트로 떨어지는 우편물이 대형이면서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경우, 먼저 구분되어 구분구 슈트에 적재된 소형우편물을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구분구 슈트 바닥에 고무재질의 테잎을 붙이거나, 전원이 인가되는 롤러를 설치하여 무거운 소포의 낙하 속도를 줄이려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고무재질의 테이프의 경우, 고무재질 테이프 자체가 마모되어 다시 붙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전원이 인가되는 롤러의 경우, 에너지 낭비라는 단점이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인입된 우편물을 크로스밸트의 설정 영역에 배치하여 목적지 방출지점에서 우편물 방출이 용이한 우편물 구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은, 컨베이어밸트에 인입된 우편물의 길이에 대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 상기 컨베이어밸트로부터 상기 우편물이 이동 배치되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인접한 제1, 2 측 영역을 포함하는 크로스밸트와 연동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크로스밸트 구동부 및 상기 검출신호를 기초로, 상기 중앙 영역 및 상기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상기 우편물이 배치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모터제어신호를 상기 크로스밸트 구동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은, 우편물의 길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우편물을 크로스밸트의 중앙 영역 및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배치되도록 크로스밸트와 연동되는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우편물의 방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은, 동일 목적지 정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우편물 인입시, 복수 개의 우편물 각각의 길이에 따라 소형, 중형 및 대형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길이에 따라 다른 목적지 방출구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우편물을 크기 별로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은, 우편물의 길이가 긴 대형 우편물부터 방출하고 우편물의 길이가 짧은 소형 우편물이 늦게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우편물의 길이가 짧은 소형 우편물의 찌그러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우편물 구분 시스템의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에 대한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에서 우편물을 방출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목적지 방출구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에 대한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편물 구분 시스템(100)은 우편물(1)을 해당 목적지 구분 위치까지 이송하는 크로스밸트(10), 크로스밸트(10)와 연동되는 모터(20), 모터(20)를 구동하는 크로스밸트 구동부(110), 외부로부터 공급된 우편물(1)을 크로스밸트(10)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밸트(30)에 배치되어, 우편물(1)의 길이 및 측면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검출신호(sg)를 출력하는 검출부(120) 및 검출신호(sg)를 기초로 크로스밸트(10) 상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인접한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우편물(1)이 이동되도록 모터(미도시)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터제어신호(sc)를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달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는 모터제어신호(sc)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컨베이터 밸트(30)에 의해 이동되는 우편물(1)이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인접한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이동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는 모터제어신호(sc), 즉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와 유선 및 무선 통신을 통하여 모터제어신호(sc)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30)에는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크로스밸트 구동부(110)에는 상기 통신모듈에서 송신된 모터제어신호(sc)를 수신할 수 있으며, 현재 상기 모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에 전송할 수 있는 구동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는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모터와 연동되는 크로스밸트(10)의 이동속도 및 이동길이를 조절하여 우편물(1)이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인접한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이동배치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부(120)는 우편물(1)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제1 컨베이어밸트(32) 및 제1 컨베이터밸트(32)와 크로스밸트(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컨베이어밸트(32)에서 이동되는 우편물(1)을 크로스밸트(10)로 이동시키는 제2 컨베이어밸트(34)를 포함하는 컨베이어밸트(30)에 배치되어, 우편물(1)의 길이 및 측면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복수의 센서(미도시)로부터 검출신호(sg)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센서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검출신호(sg)를 기초로, 모터제어신호(sc)를 생성하여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송 및 전달하여, 크로스밸트(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우편물 구분 시스템의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에 대한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우편물 구분 시스템(100)은, 크로스밸트 구동부(110), 검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는 모터(m)의 모터회전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12) 및 제어부(130)에서 전송된 모터제어신호(sc)를 기초로, 모터(m)를 구동제어하는 모터구동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모터제어신호(sc)는 모터구동부(114)로 전송되는 것으로 나타내며, 모터구동부(11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감지센서(112)는 모터(m)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모터구동부(11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터구동부(114)는 모터제어신호(sc)를 기초로, 설정된 모터(m)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모터(m)를 구동시키며, 감지센서(112)에서 감지된 모터(m)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여, 비교 오차 발생시 재설정을 할 수 있다.
즉, 모터구동부(114)는 모터(m)에 대한 이상적인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감지센서(112)에서 감지된 실제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비교함으로써, 오차범위를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검출부(120)는 제1 컨베이어밸트(32)에서 이동되는 우편물(1)의 길이에 대응하는 검출신호(sg)에 포함된 제1 검출신호(sg1)를 출력하는 길이 측정 센서(122), 제2 컨베이어밸트(34)에 배치되며 우편물(1)의 일 측면을 기준으로 제1 각도를 이루며 우편물(1)의 측면에 대응하는 검출신호(sg)에 포함된 제2 검출신호(sg2)를 출력하는 대각선 센서(124) 및 우편물(1)에 모서지(에지)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각도와 다른 제2 각도를 이루며, 우편물(1)에 대응하는 검출신호(sg) 중 제3 검출신호(sg3)를 검출하는 기준센서(1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측정 센서(122)는 제1 컨베이어밸트(32)의 끝단부 측에 배치되어, 제1 컨베이어밸트(32)로 이동되는 우편물(1)의 검출시작시점 및 검출종료시점을 포함하는 제1 검출신호(sg1)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검출신호(sg1)는 예를 들면, 우편물(1)의 검출시작시점에서 소정의 전압레벨을 가지며 검출종료시점에서 그라운드 전압레벨을 가질 수 있는 dc(직류) 신호의 일종일 수 있다.
대각선 센서(124)는 제2 컨베이어밸트(34)에 배치되며, 제1 컨베이어밸트(32)에서 이동된 우편물(1)의 일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각도를 이루고 우편물(1)의 측면을 검출한 제2 검출신호(sg2)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센서(126)는 대각선 센서(124)와 인접하며, 상기 제1 각도와 다른 상기 제2 각도로 우편물(1)의 모서리부터 상기 일 측면까지 검출한 제3 검출신호(sg3)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검출부(120)로부터 제1, 2, 3 검출신호(sg1, sg2, sg3)를 포함하는 검출신호(sg)가 입력되면, 검출신호(sg)를 기초로 우편물의 길이 및 측면위치를 산출하는 산출부(132) 및 산출부(132)에서 산출된 우편물(1)의 길이 및 측면위치에 따라 설정된 모터(m)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모터제어신호(sc)를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송하는 모터제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출부(132)는 제1 검출신호(sg1)의 상기 검출시작시점 및 상기 검출종료시점의 시간차와 제1 컨베이어밸트(32)의 속도를 기초로, 우편물(1)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부(132)는 제2, 3 검출신호(sg2, sg3)와 대각선 센서(124)와 기준센서(126)의 각도차, 즉 상기 제1, 2 각도 및 시간차를 이용하여 우편물(1)의 측면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모터제어부(134)는 산출부(132)에서 산출된 우편물(1)의 길이 및 측면 위치를 기초로, 모터(m)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터제어신호(sc)를 생성하여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모터제어부(134)는 우편물(1)의 길이 및 측면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설정된 크로스밸트(10)의 총 길이 및 모터(m)의 회전수에 따른 크로스밸트(10)의 이동길이를 기초로, 모터(m)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를 결정하여, 모터제어신호(sc)를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m)가 1 바퀴 회전하는 경우 크로스밸트 구동부(110)에 포함된 감지센서(112)에서 크로스밸트(10)가 20 mm 이동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우편물(1)의 길이가 500 mm 라고 가정하면, 제어부(130)는 우편물(1)이 크로스밸트(10)에 이동될 때 크로스밸트(10)의 이동거리가 950 mm 가 되어야 우편물(1)의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위치에 이동 배치될 수 있도록, 모터(m)가 950mm를 20mm 나눈 몫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속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터제어신호(sc)를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크로스밸트(10)의 이동 시작 시점에 대하여 우편물(1)의 측면 위치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모터제어신호(sc)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자동 모드 동작시, 컨베이어 밸트(30)에 배치된 우편물(1)을 크로스밸트(10)로 이동 배치시,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영역에 우편물(1)이 이동 배치되게 모터제어신호(sc)를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영역에 우편물(1)이 배치되면, 우편물(1)의 목적지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부(136)는 우편물(1)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리더기일 수 있으며, 상기 리더기의 종류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130)는 추출부(136)로부터 상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우편물(1)을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 방출구에 인접한 크로스밸트(10)의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으로 이동되게 모터제어신호(sc)를 생성하여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수동 모드 동작시, 외부에서 입력된 우편물(1)의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컨베이어 밸트(30)에 배치된 우편물(1)을 크로스밸트(10)로 이동 배치시,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 방출구에 인접한 크로스밸트(10)의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으로 이동되게 모터제어신호(sc)를 생성하여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자동 또는 수동 모드 동작시, 우편물(1)의 목적지 정보를 추출부(136) 또는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목적지 정보를 전송받는 것이 다르며, 이후 우편물(1)의 이동배치는 서로 동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 방출구 중 우편물(1)의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방출구로 우편물(1)이 방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우편물(1)의 길이 및 중량에 따라 소형, 중형 및 대형으로 분류하여 서로 다른 방출구로 우편물(1)의 방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우편물 시스템(100)에서 우편물(1)의 길이에 따라 목적지 방출구에서 방출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즉, 제어부(130)는 크로스밸트(10)에 배치된 우편물(1)의 목적지 방출구에서 방출되는 시작시점을 우편물(1)의 길이에 무관하게 일정하게 한다.
다만, 우편물(1)은 길이가 길어질수록 크로스밸트(10)에서 목적지 방출구에 배치된 파렛 등과 같은 곳으로 떨어지는 시간이 멀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우편물(1)이 크로스밸트(10)의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배치된 경우, 10cm의 길이를 가진 우편물(1)은 크로스벨트(10)가 5cm만 움직여도 방출된다. 80cm의 길이를 가진 우편물(1)은 크로스벨트(10)가 40cm 이상 움직여야 방출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두 우편물은 크로스벨트(10)의 구동거리가 35cm 차이가 난다. 크로스벨트(10)의 속도가 평균 1.5m/s일 경우, 10cm 길이를 가진 우편물(1)은 방출되는데 33ms가 소요되고, 80cm 길이를 가진 우편물(1)은 방출되는데 267ms가 소요된다. 그리고, 트랙속도가 2.5m/s 일 경우, 두 우편물(1)의 방출지점은 58.5cm 가 차이가 난다. 따라서, 우편물(1)이 목적지 방출구에 인접한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배치될 경우, 우편물(1)의 길이에 따라 목적지 방출구의 방출구가 서로 달라지게 되고, 소형 우편물과 대형 우편물을 각각 따로 방출하면 소형 우편물의 찌그러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의 우편물 구분시스템(100)은 우편물(1)의 길이 및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영역 및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목적지 방출구에서 방출되기 용이하게 하며, 우편물(1)을 소형, 중형 및 대형으로 분류하여 방출하거나, 대형, 중형 및 소형 순으로 방출되게 함으로써, 우편물(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에서 우편물을 방출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목적지 방출구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에서 크로스밸트(10)의 목적지 방출구의 방출방향(200)은 트랙 진행방향(a)의 오른쪽이며, 크로스밸트(10)가 우편물(1)의 길이에 따라 분류된 소형 우편물(150)과 대형 우편물(160) 각각의 길이에 절반(180, 190)의 길이 만큼 이동되어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소형 우편물(150)은 대형 우편물(160)보다 방출이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소형 우편물(150)은 제1 궤적(s1)을 나타내고, 대형 우편물(160)은 제2 궤적(s2)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 종래의 목적지 방출구(10a)는 소형 우편물(150)과 대형 우편물(160)이 동일하게 방출되어 적재되기 때문에 소형 우편물(150)의 파손이나 찌그러짐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100)에 적용된 목적지 방출구(10b)는 우편물의 길에 따라 분류된 소형 우편물(150)과 대형 우편물(160)이 서로 구분되어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소형 우편물(1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편물 구분 시스템(100)은 외부로부터 자동 또는 수동 모드 동작 여부에 대한 입력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자동 모드 동작 또는 수동 모드 동작인지 판단하며(S100), 컨베이어 밸트(30)에 인입된 우편물(1)의 길이 및 측면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S110), 우편물(1)의 길이 및 측면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크로스밸트(10)의 이동길이 및 이동시작시점을 산출하고(S130), 크로스밸트(10)의 이동길이 및 이동시작시점을 기초로 우편물(1)이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도록 제어하며(S140), 우편물(1)의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S150), 우편물(1)의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 방출구에 인접한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으로 이동배치되도록 제어하며(S160), 우편물(1)의 목적지 방출구에서 방출한다(S170).
즉, 제어부(130)는 자동 모드 동작시, 컨베이어 밸트(30)에 인입된 우편물(1)의 길이 및 측면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신호를 검출부(120)로부터 전달받는다.
이때, 제어부(130)는 자동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우편물(1)이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도록 크로스밸트(10)와 연동되는 모터(m)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제어신호(sc)를 생성하여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모터(m)가 1 바퀴 회전하는 경우 크로스밸트(10)의 구동 거리는 20mm라고 가정하면, 크로스밸트(10)의 길이가 1400mm이고, 우편물(1)의 길이가 500mm 이라면 우편물(1)이 크로스밸트(10)에 이동 배치될때 크로스밸트(10)의 구동거리는 950mm가 되도록 모터제어신호(sc)를 생성하여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송하여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영역에 우편물(1)을 이동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크로스밸트(10)의 길이가 1400mm일 경우 아래 같은 [수학식 1]을 통해서 우편물(1)의 길이에 따라서 크로스밸트(10)의 구동 거리를 구하면 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수학식 1]에서 x는 우편물(1)의 길이를 나타내고, y는 크로스밸트(10)의 구동 길이를 나타낸다. a는 크로스밸트(10)의 모터(m)가 한 바퀴 돌 때 크로스밸트(10)의 구동 거리, b는 제어부(130)가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송하는 모터제어신호(sc)에 포함되는 모터(m)의 회전수를 나타낸다.
이때,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는 제어부(130)에서 전송된 모터제어신호(sc)에 따라 크로스밸트(10)와 연동되는 모터(m)를 동작시켜 우편물(1)을 크로스밸트(10)의 중앙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추출부(136)에서 추출된 우편물(10)의 목적지 정보를 기초로, 목적지 정보에 대응되는 목적지 방출구의 방향을 결정하고, 목적지 방출구에 인접한 크로스밸트(10)의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으로 우편물(1)이 이동배치되게 모터제어신호(sc)를 생성하여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로스벨트(10)의 길이가 1400mm이고, 우편물(1)이 크로스벨트(10)의 중앙 영역에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수학식 2]으로 구하면 된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C는 우편물(1)의 길이를 나타내고, D는 크로스밸트(10)의 구동 길이를 나타낸다. a는 크로스밸트(10)의 모터(m)가 한 바퀴 돌 때 크로스밸트(10) 구동 거리, b는 크로스밸트(10)의 모터(m)에 대한 회전수를 포함하는 모터제어신호(sc)이다.
이후, 크로스밸트 구동부(110)는 모터제어신호(sc)에 따라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우편물(1)을 제1, 2 측 영역 중 목적지 방출구에 인접한 어느 한 측 영역으로 우편물(1)을 이동시킨 후, 우편물(1)을 목적지 방출구로 방출한다.
(S110) 단계에서, 수동 모드 동작으로 판단시, 컨베이어 밸트(30)에 인입된 우편물(1)의 길이 및 측면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S210), 우편물(1)의 길이 및 측면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크로스밸트(10)의 이동길이 및 이동시작시점을 산출하고(S220), 우편물(1)의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S230), 우편물(1)의 크로스밸트(10)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 방출구에 인접한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으로 이동배치되도록 제어하며(S240), 우편물(1)의 목적지 방출구에서 방출한다(S170).
즉, 제어부(130)는 수동 모드 동작시, 컨베이어 밸트(30)에 우편물(1)이 인입되기 이전에 목적지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자동모드 동작 또는 수동 모드 동작은 우편물(1)의 목적지 정보를 추출하는 시점이 다르며, 이외에 동작은 동일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구분 시스템은 우편물의 길이에 따라 목적지 방출구에서 서로 다른 방출구로 방출함으로써, 소형의 우편물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 우편물 10: 크로스밸트
30: 컨베이어밸트 100: 우편물 구분 시스템
110: 구동부 120: 검출부
130: 제어부

Claims (14)

  1. 컨베이어밸트에 인입된 우편물의 길이에 대한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
    상기 컨베이어밸트로부터 상기 우편물이 이동 배치되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인접한 제1, 2 측 영역을 포함하는 크로스밸트와 연동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크로스밸트 구동부; 및
    상기 검출신호를 기초로, 상기 중앙 영역 및 상기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상기 우편물이 배치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모터제어신호를 상기 크로스밸트 구동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컨베이어 밸트의 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길이 측정 센서;룰 포함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신호는,
    상기 우편물의 검출시작시점에서 검출종료시점까지 소정 전원레벨의 직류신호로 이루어진 우편물 구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밸트 구동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모터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제어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회전속도 및 회전수를 전달받아 상기 모터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는,
    상기 우편물의 검출시작시점에서 검출종료시점까지 소정 전원레벨의 직류 신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시작시점에서 상기 검출종료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을 기초로 상기 우편물의 길이를 산출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수에 따라 설정된 상기 크로스밸트의 이동길이를 기초로, 상기 우편물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모터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상기 모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로스밸트 구동부로 상기 모터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 모드 시, 상기 크로스밸트에 인입된 상기 우편물의 목적지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우편물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리더기인 우편물 구분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 정보 미 입력시, 상기 우편물을 상기 크로스밸트의 중앙 영역에 이동 배치되게 상기 모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 정보 입력시, 상기 중앙 영역에서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 방출구에 인접한 상기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으로 상기 우편물이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동 모드 시, 외부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 방출구에 인접한 상기 제1, 2 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으로 상기 우편물이 이동되도록 상기 모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 정보 입력시,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목적지 방출구 중 상기 우편물의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방출구로 상기 우편물이 방출되도록 제어하는 우편물 구분 시스템.
KR1020120109322A 2012-09-28 2012-09-28 우편물 구분 시스템 KR101984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322A KR101984769B1 (ko) 2012-09-28 2012-09-28 우편물 구분 시스템
US13/900,710 US9227228B2 (en) 2012-09-28 2013-05-23 Mail sor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322A KR101984769B1 (ko) 2012-09-28 2012-09-28 우편물 구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992A true KR20140042992A (ko) 2014-04-08
KR101984769B1 KR101984769B1 (ko) 2019-05-31

Family

ID=5038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322A KR101984769B1 (ko) 2012-09-28 2012-09-28 우편물 구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27228B2 (ko)
KR (1) KR1019847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847A1 (ko) * 2014-10-08 2016-04-14 (주)웰텍 무인 우편물 수납함
US9857777B2 (en) 2016-02-12 2018-01-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goods sor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0262851A1 (ko) 2019-06-26 2020-12-30 김영대 소포 분류 시스템
KR20220158531A (ko)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엔에프씨엔티 소포 분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3308B2 (en) 2014-08-11 2016-11-15 Datalogic ADC, Inc. Cross-belt system and automated item diversion
CN105800325A (zh) * 2015-04-28 2016-07-27 苏州金峰物联网技术有限公司 一种交叉带分拣机的卸货控制方法
DE102015107730B4 (de) * 2015-05-18 2020-07-23 Hmgeb Holding B.V. Blisterband-Inspektionsvorrichtung
CN105057219B (zh) * 2015-07-22 2018-11-27 杭州亚美利嘉科技有限公司 包裹分捡系统及方法
CN105149231B (zh) * 2015-09-15 2017-12-12 上海邮政科学研究院 一种为交叉带分拣机配套的三段式供件台控制方法
CN106197267B (zh) * 2016-07-04 2019-03-19 长沙长泰智能装备有限公司 对交叉带分拣机上包台不规则物体的测量方法
EP3395451A1 (de) * 2017-04-24 2018-10-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Übertra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stückgütern
CN106955848B (zh) * 2017-04-24 2019-03-15 常州工学院 一种基于视觉的交叉带小车智能落包方法
CN107416539B (zh) * 2017-07-19 2019-07-16 上海邮政科学研究院 一种自动供件台上件控制系统
US10569959B1 (en) * 2018-06-29 2020-02-25 Amazon Technologies, Inc. Sensor array to transfer an item based on alignment
CN110893397A (zh) * 2018-09-13 2020-03-20 英腾物流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物流分拣方法
CN109174657B (zh) * 2018-11-02 2023-12-12 昆船智能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直线交叉带分拣机的上包系统及上包方法
CN109433629A (zh) * 2018-12-21 2019-03-08 广东力生智能有限公司 智能立式直线分拣机
CN110639822B (zh) * 2019-10-24 2023-09-26 中科微至科技股份有限公司 双层垂直循环式交叉带分拣系统
CN113770037B (zh) * 2021-02-23 2023-09-05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一种分拣方法和分拣装置
CN115069567B (zh) * 2022-04-28 2023-08-08 广州艮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直线交叉带的包裹分拣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8924U (ko) * 1988-12-28 1990-07-13
KR20020043613A (ko) * 1999-10-04 2002-06-10 칼 하인쯔 호르닝어 이중폭 크로스벨트 분류기
KR100886389B1 (ko) * 2007-10-17 2009-03-02 (주)신명정보통신 소포우편물 자동구분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11586T2 (de) * 1994-09-06 1999-12-02 Mannesmann Ag Sortiersystem mit Querband
JP4245777B2 (ja) * 2000-05-25 2009-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電動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7559282B2 (en) * 2002-10-16 2009-07-14 Robert Austin Monorail sortation system
ES2326841T3 (es) * 2006-12-28 2009-10-20 Seiko Epson Corporation Dispositivo de procesamiento de medios.
US20090214357A1 (en) * 2008-02-25 2009-08-27 Galley Serge V Variable speed drive for progressing cavity pumps
DK2696996T3 (da) * 2011-04-13 2018-01-29 Opex Corp Apparatur til åbning og sortering af kuver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8924U (ko) * 1988-12-28 1990-07-13
KR20020043613A (ko) * 1999-10-04 2002-06-10 칼 하인쯔 호르닝어 이중폭 크로스벨트 분류기
KR100886389B1 (ko) * 2007-10-17 2009-03-02 (주)신명정보통신 소포우편물 자동구분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847A1 (ko) * 2014-10-08 2016-04-14 (주)웰텍 무인 우편물 수납함
US9857777B2 (en) 2016-02-12 2018-01-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goods sor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0262851A1 (ko) 2019-06-26 2020-12-30 김영대 소포 분류 시스템
KR20220158531A (ko)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엔에프씨엔티 소포 분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27228B2 (en) 2016-01-05
KR101984769B1 (ko) 2019-05-31
US20140091015A1 (en)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2992A (ko) 우편물 구분 시스템
CN110997529B (zh) 物品分类和分拣系统
KR20140042993A (ko) 우편물 구분 시스템
US10226795B2 (en) Vision based item typing and separation system
US10906746B2 (en) Article typing and sorting system
US10773897B2 (en) Off-loading, typing and item separation system
KR102202232B1 (ko) 소포 구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529303A5 (ko)
ES2957467T3 (es) Método de manipulación de materiales para clasificar artículos utilizando una matriz de clasificación configurable dinámicamente
JP6961167B2 (ja) 視覚ベースのコンベヤパッケージ管理システム
CN114423532A (zh) 模块化包裹分拣系统
EP0310411B1 (en)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rticles conveyed by a conveyor system
CN107531428A (zh) 具有基于物品特性的转移率的滑动分选器弹出式分流输送机
KR101793932B1 (ko) 화물 정렬 시스템
KR101822103B1 (ko) 물품 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395303A (zh) 用于分选系统的动态卸料补偿
EP3326940A2 (en) A conveyor system comprising an aligner for aligning items
US11459188B2 (en) Range sensing conveyor package management system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density of parcels on a conveyor
CN111282828A (zh) 偏转轮/球分拣系统的失速调整方法
CN113477539A (zh) 防跟包动态称上包控制方法及系统
CN212349495U (zh) 偏转轮/球分拣系统
CN114341032B (zh) 用于测量和控制输送机上的邮包的密度的范围感测输送机包裹管理系统
KR100796727B1 (ko) 우편물 순로 구분 및 분류 장치와 그 제어방법
JP3337379B2 (ja) 仕分け装置及び仕分け制御方法
JP5857638B2 (ja) 物品投入設備および物品投入設備における集品容器からの物品のはみ出し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