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986A -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986A
KR20140041986A KR1020120106813A KR20120106813A KR20140041986A KR 20140041986 A KR20140041986 A KR 20140041986A KR 1020120106813 A KR1020120106813 A KR 1020120106813A KR 20120106813 A KR20120106813 A KR 20120106813A KR 20140041986 A KR20140041986 A KR 20140041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plit screen
candidate
switching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646B1 (ko
Inventor
김영리
박원규
윤성진
한봉희
홍유진
이유진
정지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646B1/ko
Priority to US14/026,604 priority patent/US9298341B2/en
Priority to EP13184996.0A priority patent/EP2717145B1/en
Priority to CN201310452731.5A priority patent/CN103677985B/zh
Publication of KR2014004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Abstract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전환 모드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 가능한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고 인접한 위치의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전환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AN APPLICATION DISPLAYED SPLIT VIEW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통신 및 멀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두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방법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이외의 어플리케이션들은 백그라운드 레이어(background layer)로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백그라운드로 처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잡한 키 또는 터치 인터렉션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도 점점 커지는 추세이다. 그리고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에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화면들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들면 2개의 분할화면(1/2 Split view)으로 각각 2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경우, 고정 1/2 Split는 2개의 App이 한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분할화면(1/2 Split)을 벗어난 뒤(Escape) 어플리케이션 간 전환을 해야 한다. 또한 컴퓨터 윈도우(PC-like Free Style window)는 실행 어플리케이션(running application)이 쌓인 형식으로 제공되어,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을 원할 경우에는 윈도우(window)를 제거한 후 어플리케이션 간 전환을 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휴대단말기에서 분할화면을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할 때, 어플리케이션간의 전환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Task 수행을 위해 조작해놓은 분할화면(1/N Split window)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화면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상태에서, 분할화면을 유지하면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전환 모드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 가능한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고 인접한 위치의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전환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전환 모드시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 및 전환 가능한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후보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하고 이전 상태에서 분할화면에 표시되었던 어플리케이션을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전환모드 종료시 상기 분할화면을 확대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전환 모드 및 어플리케이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전환모드 감지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 가능한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고 인접한 위치의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의 멀티 윈도우(Multi window) 환경에서 복수의 분할 화면들(1/N Split window)로 정렬된 App들의 분할화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어플리케이션 전환을 위한 복잡한 조작에 대한 부담감과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을 단절없이(seamless)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드 진입을 통해 원하는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3과 같을 절차를 수행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접앱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a - 도 6e는 도 5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떨어져 있는 app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a - 도 8d는 도 7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 app을 설정하여 전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a - 도 10b는 도 9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app들을 이동시키면서 전환 app을 선택하여 전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도 11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분할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화면 분할을 유지한 상태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기능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변경은 터치 및 제스쳐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실행기능을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분할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수의 기능을 추가로 보여주는 모드 진입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분할화면(split view)은 하나의 레이어에 복수(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터치 인터렉션이라는 용어는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에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손(가락) 터치 및 펜 터치 입력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은 app와 혼용되어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MP3단말기, 타블렛, 컴퓨터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2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20이 LTE,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분할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분할화면을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변경하고 싶은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이동시켜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부11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제1입력부140은 정정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할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이하 손가락 터치라고 가정한다)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제2입력부 150은 EMR센서 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펜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입력부140 및/또는 제2입력부15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 또는 명령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터치패널140 및 ERM패널150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센서부160은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160은 휴대단말기의 놓여진 위치를 감지하여 표시부130의 표시모드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센서부160의 출력을 분석하여 단말기가 세로로 놓여진 경우 상기 표시부130의 표시모드를 세로 표시모드(portrait mode)로 감지하고, 상기 단말기가 가로로 놓여진 경우 상기 표시부130의 표시모드를 가로 표시모드(landscape mode)로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들은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및/또는 위치감지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0단계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기 위한 분할화면을 하나의 레이어에 구성(layout)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분할화면의 화면들은 각각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분할화면을 구성할 때 상기 센서부160의 출력을 분석하여 단말기가 놓여진 상태에 따라 세로 표시모드 또는 가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을 설정한다.
먼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app들 중에서 원하는 app들을 선택하여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먼저 분할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app들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를 구비하며, 해당 모드는 설정된 터치 인터렉션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app 모음 터치 인터렉션이 핀치 클로즈(pinch close)라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가 핀치 클로즈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1입력부140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복수의 app들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app들은 현재 실행되는 app(running application), 최근에 실행된 app(recent application) 또는 전체 app(예를들면 home 화면에 표시되는 appl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음 app들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app들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된 app들을 상기 표시부130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두번째로 특정 app들은 다른 app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app 전환타스크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pp 전환 타스크 정보는 Insert/Attach/Link/Preview/Browse 등이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채팅 app(예를들면 chat on application)의 경우 채팅 중에 사진 등과 같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app(예를들면 gallery applcation)과 링크될 수 있으며, 이메일 app의 경우 하이퍼링크 정보에 의해 인터넷 app과 링크될 수 있다. 따라서 app 전환타스크 정보를 가지는 app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app 전환타스크 정보에 대응되는 app을 호출한 후, 선택된 app과 app 전환타스크 정보에 의한 app을 표시부130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한다.
세 번째로 제조사 또는 사용자는 특정 app들을 설정하여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분할화면 표시로 설정되는 app들의 정보는 상기 제어부1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app의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분할화면 표시 app의 선택임을 감지하고, 해당 app과 대응되어 설정된 app들을 상기 화면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app들은 텍스트를 표시하는 app(예를들면 ebook applcation 등)과, 사전 app, 지도 app, web app, note app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ote app은 펜 또는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메모 또는 노트 등을 수행할 수 있는 app으로써, 텍스트, 스케듈 및/또는 멀티미디어 등의 app을 수행하는 중에 필요한 정보를 노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이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여 분할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런 어플리케이션들은 전환 대상의 후보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후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 내의 실행 어플리케이션(running application), 최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recent application) 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입력부140 및/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app 전환을 요구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2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30단계에서 app 전환 타입을 분석한다. 여기서 app 전환 방법은 터치 인터렉션에 의해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인터렉션은 손가락(single or multi finger), 펜 또는 손가락 및 펜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pp 전환 방법은 터치인터렉션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미리 결정된 터치인터렉션을 수행하여 원하는 타입의 app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230단계에서 전환을 위한 터치인털렉션을 분석한 후, 240단계에서 그 결과에 대응되는 후보앱을 선택하여 분할화면으로 전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p 전환 방법은 전환모드에서 후보 app들을 표시하여 선택된 app을 분할화면에 표시하고 이전에 표시되던 app을 후보 app으로 이동시키는 자유 전한 방법, 선택된 app에 인접한 후보 app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며 해당 app을 후보 app으로 이동시키는 인접 app 전환 방법, 선택된 app에 인접한 후보 app을 분할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app을 가장 먼 위치의 후보 app을 이동시키는 이격 app 전환 방법, 분할화면에서 고정 app을 설정하고 다른 app의 분할화면에 후보 app을 표시하는 고정 app 전환 방법, 후보 app들을 이동시키며 이동 해제 시점에서 표시되는 app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app 이동에 의한 전환 방법, 하나의 스크린 내에서 app 간 전환 방법들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p 전환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하의 설명에서 후보 어플리케이션(candidate app)은 전환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상기 후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한 바와 같이 running app, recent app 또는 휴대단말기의 모든 app이 될 수 있다.
먼저 app 전환모드 진입을 통해 원하는 app을 선택하여 app 표시를 전환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드 진입을 통해 원하는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과 같을 절차를 수행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이다. 도 4의 참조번호 410은 상기 표시부130에 어플리케이션 3 및 4가 분할화면으로 표시되고, 어플리케이션 1, 2, 5, 6은 후보 어플리케이션임을 가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환모드의 입력을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전환모드를 진입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전환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은 멀피 핑거에 의한 핀치 클로즈(pinch close)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핀치 클로즈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3단계에서 자유 전환 모드임을 감지하고 참조번호 420과 같이 상기 표시부130에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3 및 4를 축소하여 표시하며, 317단계에서 전환 가능한 후보 어플리케이션 1,2, 5, 6을 함께 표시한다. 즉, multi-finger(2개 이상)로 Pinch Close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전환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표시부130을 제어하여 1/N Split view(여기서는 3 및 4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를 유지하면 표시 사이즈를 작게하고, 여기에 전환 가능한 App(후보 app)들을 작은 크기로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참조번호 420과 같이 전환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즉, 4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대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드래그하여 원하는 분할화면 위치에서 드롭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1단계에서 도 4의 430과 같이 분할화면에 표시되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참조번호 440과 같이 터치 인터렉션을 종료하여 전환모드 동작을 종료시키면, 상기 제어부100은 3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5단계에서 후보 어플리케이션들을 정렬시키면서 도 4의 450과 같이 상기 표시부130에 전환된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을 원래의 표시 크기로 확장하여 표시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410과 같이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분할화면 위치에서 멀티 핑거로 핀치클로즈를 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20과 같이 표시부130에서 3 및 4를 표시하는 분할화면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표시 크기를 축소한 후 후보 어플리케이션 1, 2, 5, 6을 표시한다. 이후 420과 같이 사용자가 전환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1을 드래그하여 3을 표시하는 분할화면 위치에서 드롭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30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440과 같이 핀치 오픈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전환모드를 종료하고 450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1 및 4를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면서 전환 모드를 해제한다. 그리고 분할화면에 표시되었던 이전의 어플리케이션 3은 4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도 4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을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후어플리케이션의 전환은 사용자의 선택(drag and drop)에 의해 순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는 가로 표시모드(landscape)를 예를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세로 표시모드(Portrait)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는 세로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세로 및 가로 표시모드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두 번째로 인접한 app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접앱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a - 도 6e는 도 5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5 - 도 6e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1단계에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환모드의 입력을 발생하면, 513단계에서 전환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환모드는 인접한 app으로 전환하는 모드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전환모드는 멀티 핑거에 의한 플릭(flick) 또는 드래그(drag)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pp으로 전환하는 모드는 멀티 핑거에 의한 드래그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멀티 핑거에 의한 플릭 동작에 의해서도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513단계에서 인접한 app으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임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5단계에서 표시모드를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모드는 상기 센서부160의 출력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가로 표시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5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9단계에서 드래그 방향을 분석하며, 521단계에서 드래그 방향의 후보 app들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드래그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서 가로 표시모드의 app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할 때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전환할 수 있다. 도 6a는 두 개의 app을 인접 app들로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6 a의 611과 같이 두 개의 app 3 및 4를 터치한 후 드래그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3단계에서 인접 app으로의 전환임을 감지하고 표시모드 및 드래그 방향을 분석한다. 이때 드래그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1단계에서 613 및 615와 같이 app 3 및 4를 이동시키고 인접한 후보 app 1 및 2를 분할화면에 표시하면서 어플리케이션 전환을 종료한다. 즉, 도 6a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 App 전환 시 App 영역을 선택하여 좌우로 드래그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한 App 개수 만큼 옆으로 이동하면서 인접한 App들을 분할화면에서 표시하는 전환 동작을 수행한다.
도 6b는 1개 App 전환 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하나의 app을 선택하여 인접한 app으로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도 6a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환 동작을 수행한다. 즉, 631과 같이 App 영역을 Multi finger(2개 이상)로 하나의 app 4를 선택한 후, 드래그하면 633과 같이 선택한 App 4가 옆으로 이동하면서 635와 같이 인접한 새로운 1개 App 2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517단계에서 세로 표시모드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23단계에서 드래그 방향을 분석한다. 이때 드래그 방향이 수평이동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5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7단계에서 수평 드래그 방향을 상하 동작으로 변경하여 선택된 app의 수 만큼의 인접한 app들을 분할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드래그 방향이 상하 이동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5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9단계에서 선택된 app의 수 만큼의 인접한 app들을 분할화면에 표시한다.
도 6c- 도 6e는 도 5에서 세로로 표시모드의 app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할 때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전환할 수 있다. 도 6c는 529단계에서 두 개의 app을 선택된 상하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인접 app들로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3) 변경하고 싶은 2개의 App에 각각 Single finger로 선택하여 아래로 드래그하면, 3,4 App Split에서 1,2 Split 으로 전환된다. 또한 도 6d 및 도 6e와 같이 세로 표시모드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app을 선택하여 수평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드래그한 방향의 인접한 app들로 전환된다. 도 6d의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app 2를 우측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인접한 app 1로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e는 3개의 app을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예로써, 변경하고 싶은 2개의 App 3 및 4를 에 각각 Single finger로 선택하여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인접한 app 1 및 2로 전환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세 번째로 떨어진 즉, 이격된 app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떨어져 있는 app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8a - 도 8d는 도 7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 -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711단계에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환모드의 입력을 발생하면, 713단계에서 전환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환모드는 인접한 app으로 전환하는 모드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전환모드는 멀티 핑거에 의한 플릭(flick)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713단계에서 떨어진 app으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임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5단계에서 표시모드를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모드는 상기 센서부160의 출력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가로 표시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19단계에서 선택된 app 을 수평 이격시켜 후보 app으로 떨어진 위치로 이동시키며, 721단계에서 상기 후보 app으로 이동된 app과 인접한 위치의 app들로 전환한다. 이때 후보 app으로 이동되는 app들은 분할화면에 표시될 app들을 중심으로 각각 양쪽 끝으로 이동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서 가로 표시모드의 떨어진 app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할 때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전환할 수 있다. 도 8a는 2개 이상 App 전환 시 App 영역을 각각 Single finger로 선택하여 상하로 플릭하면, 선택한 App 개수 만큼 위(또는 아래)로 이동하고 양쪽의 App이 이동된 App 개수 만큼 채워지면서 전환된다. 이 때, 위(또는 아래)로 이동한 App은 중앙을 기준으로 각각 양쪽 끝으로 이동한다. 도 8a는 변경하고 싶은 2개의 App 3 및 4를 각각 Single finger로 선택하여 위로 플릭하면, 상기 app 3 및 4와 각각 인접된 App 2 및 5를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환 동작에 의해 상기 app 3 및 4는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app을 중심으로 가장 먼 쪽으로 떨어진 위치로 이동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8b는 1개 App 전환 시 App 영역을 Multi finger(2개 이상)로 선택하여 상하로 플릭그하면, 선택한 App이 위(또는 아래)로 이동하면서 이동된 옆의 App으로 전환된다. 도 8b는 변경하고 싶은 1개의 App 4를 Multi finger(2개 이상)로 선택하여 위로 Flick 하면, app 4와 인접된 위치의 app 5가 분할화면에 표시되고 app 4는 app 5를 중심으로 가장 먼쪽으로 이격되어 후보 app으로 전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717단계에서 세로 표시모드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제어부100은 723단계에서 플릭 방향을 분석한다. 이때 플릭 방향이 수평이동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27단계에서 수평 플릭을 상하 동작으로 변경하여 선택된 app들을 분할화면 위치에서 가장 먼쪽으로 이동시켜 후보 app으로 변경하고, 상기 후보 app들의 수 만큼 인접한 app들을 분할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플릭 방향이 상하 이동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29단계에서 선택된 app들을 분할화면 위치에서 가장 먼쪽으로 이동시켜 후보 app으로 전환하고, 변경된 후보 app들의 수 만큼의 인접한 app들을 분할화면에 표시한다.
도 8c 및 도 8d는 도 7에서 세로 표시모드의 떨어진 app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할 때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전환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2개 이상 App 전환 시 App 영역을 각각 Single finger로 선택하여 수평방향으로 플릭하면, 선택한 App 개수 만큼 우측(또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양쪽의 App이 이동된 App 개수 만큼 채워지면서 전환된다. 이 때,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App들은 중앙을 기준으로 각각 양쪽 끝으로 이동한다. 도 8c는 변경하고 싶은 2개의 App 3 및 4를 각각 Single finger로 선택하여 우측 방향으로 플릭하면, 상기 app 3 및 4와 각각 인접된 App 2 및 5를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환 동작에 의해 상기 app 3 및 4는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app을 중심으로 가장 먼 쪽으로 떨어진 위치로 이동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d는 세로 표시모드에서 상하 동작을 유지하고, 가로 표시모드와 같이 화면 내에 세로로 분할된 영역이 마치 일렬로 붙어 있는 것처럼 동작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도 8d는 3개의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예로써, 변경하고 싶은 2개의 App 3 및 4를 각각 Single finger로 선택하여 위로 플릭하면, 상기 app 3 및 4와 인접된 App 1 및 2를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네 번째로 고정 app을 설정하여 전환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 app을 설정하여 전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10a - 도 10b는 도 9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9 -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911단계에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환모드의 입력을 발생하면, 913단계에서 전환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환모드는 고정 app을 설정하고 설정되지 않은 app들을 전환하는 모드이며, 상기와 같은 전환모드는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특정 app을 홀드하고 다른 분할화면의 app을 플릭하는 동작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913단계에서 고정 app을 설정하여 전환하는 모드임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5단계에서 고정 app을 확인하고, 917단계에서 플릭된 app을 후보 app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후보 app과 인접한 app을 분할화면에 표시한다. 즉, 917단계에서 상기 제어100은 사용자에 의해 고정 app으로 결정된 app의 전환 동작은 수행하지 않으며, 다른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app을 후보 app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인접한 app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 app을 설정하여 app을 전환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0a는 고정 app 설정 및 상기 두 번째 전환 방법을 혼합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b는 고정 app 설정 및 상기 첫 번째 전환 방법을 혼합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가로 표시모드시 도 10a의 1011과 같이 고정하고자 app을 홀드하고 전환하고자 app을 플릭한다. 즉, app 3을 hold(예를들면 multi finger로 hold)하고, app 4를 플릭하면, 1013과 같이 app 3은 분할화면에 고정되며 app 4는 후보 app으로 중앙에서 가장 먼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app 4와 인접한 위치의 app 5가 분할화면에 표시된다. 즉, 1개의 app을 고정하는 경우, 도 10a와 같이 고정 App 영역을 Multi finger(2개 이상)로 선택하고 선택하지 않은 App 영역을 좌우로 Flick 하면, 전환 가능한 App들로 전환된다. 그러나 2개 이상의 app을 고정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App 영역을 각각 Single finger로 선택하고 선택하지 않은 App 영역을 Single finger로 좌우로 Flick 하면, 전환 가능한 App들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세로 표시모드시에도 상기 가로 모드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표시되는 화면이 세로로 표시되므로 플릭 방향이 상하 플릭이 될 수 있다. 또한 세로 표시모드로 분할화면을 표시하지만 가로표시모드(andscape)와 같이 Screen내 세로로 분할된 영역이 마치 일렬로 붙어 있는 것처럼 동작하는 경우(예를들면 도 6d, 도 6e, 도 8d)와 같은 경우), 고정 app을 홀드로 선택하고 플릭은 수평방향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가로 표시모드의 경우, 1개 이상 App 고정 시 1031과 같이 App 영역을 Multi finger(2개 이상)로 선택하고 선택하지 않은 App 영역을 상하로 Flick 하면, 1033과 같이 전환 가능한 App들이 작은 크기로 제공되며, 이때 1033과 같이 전환하고자 하는 app을 Tap하면 1035와 같이 선택 2개 이상 App들을 고정하여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고정하고자 App 영역을 각각 Single finger로 선택하고 선택하지 않은 App 영역을 Single finger로 상하로 Flick 하면, 전환 가능한 App들이 작은 크기로 제공되고, 전환 가능한 app을 선택하여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세로 표시모드의 경우에도 상기 도 10b와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된다. 다만 표시되는 화면이 세로로 표시되므로 플릭 방향이 상하 플릭이 될 수 있다. 또한 세로 표시모드로 분할화면을 표시하지만 가로표시모드(andscape)와 같이 Screen내 세로로 분할된 영역이 마치 일렬로 붙어 있는 것처럼 동작하는 경우(예를들면 도 6d, 도 6e, 도 8d)와 같은 경우), 고정 app을 홀드로 선택하고 플릭은 수평방향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10b와 같은 방법으로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고정 app을 결정할 때, 고정 영역을 잡고 있는 Multi-finger(2개 이상 손가락)은 고정 모드 진입 후 Release할 수 있으며, 편의에 따라 Hold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도 있다.
다섯 번째로 app들을 이동시키면서 전환 app을 선택하여 전환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app들을 이동시키면서 전환 app을 선택하여 전환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1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1111단계에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환모드의 입력을 발생하면, 1113단계에서 전환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환모드는 app들을 이동시키면서 전환 app들을 선택하는 모드이며, 상기와 같은 전환모드는 long tap으로 전환모드에 진입하고 전환 app을 선택하기 위해 드래그하여 app들을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도 12의 1210과 같이 분할화면에 long tap이 발생되면 1113단계에서 전환모드를 감지하고 화면을 축소시켜 표시하며, 1115단계에서 드래그 방향을 분석한 후 1117단계에서 도 12의 1220, 1230 및 1240과 같이 app들을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이동되는 app들 중에서 분할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는 app(즉, 전환할 수 있는 app, 여기서는 app 2 및 app 3이 될 수 있음)들을 도 12의 1220, 1230 및 1240과 같이 표시한다. 즉, 이동하는 app들 중에서 표시부130의 중앙에 위치되는 app들을 표시하며, 사용자는 표시되는 app들 중에서 전환하고자 하는 app이 표시될 때 release(drop)하면 된다. 따라서 드래그를 해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11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121단계에서 선택된 app(도 12의 경우 app 2 및 app 3)을 도 12의 1250과 같이 표시한다.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lti finger(2개 이상)로 Long tap 하여 Mode로 진입하고, 좌우로 빠르게 움직이면서 원하는 App으로 이동하면서 전환한다. 또한 Long tap 한 Multi-finger를 Release하면, 그 때 View 영역에 위치한 App으로 전환되면서 Mode가 해제된다.
여섯 번째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Screen 내 App 간 전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가로 표시모드에서 좌우로 인접한 App들 간에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Screen 내 1/N Split view전환하는 경우, App 영역을 각각 Single finger로 선택하여 180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은 세로 표시모드에서 상하로 인접한 App 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레이어어 복수의 분할화면들을 레이아웃하여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각각 상기 분할화면에서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서 표시하고 분할화면에 표시되던 어플리케이션들을 전환 가능한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전환 방법은 변경하고 싶은 App을 선택하고, 선택한 App을 움직여 전환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한번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전환 대상의 어플리케이션은 휴대단말기 내의 모든 app, Recent App 또는 Running App 들이 될 수 있으며, 전환 방법은 Single 및/또는, Multi Finger를 이용하거나, Pen을 이용하거나 또는 Pen과 Single, Multi finger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전환 방법은 2개 이상을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경우에는 변경하고 싶은 App들을 각각 Single finger로 선택하여 전환하고, 1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경우에는 변경하고 싶은 App을 Multi finger(2개 이상)로 선택하여 전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환 방법은 다른 터치 인터렉션(예를들면 Single finger 또는 multi finger만을 사용, finger와 pen 함께 사용, 또는 pen만 사용 등)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2)

  1.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전환 모드시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 및 전환 가능한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후보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하고 이전 상태에서 분할화면에 표시되었던 어플리케이션을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전환모드 종료시 상기 분할화면을 확대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모드는 멀티 핑거에 의한 핀치 클로즈 동작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은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드래그하여 분할화면에서 드롭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화면에서 표시되었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로 이동되어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화면을 확대하는 과정은 핀치 오픈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전환 모드 및 어플리케이션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전환모드 감지시 터치인터렉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전환 가능한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고 인접한 위치의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환모드에서 상기 분할화면을 축소하여 후보 어플리케이션들과 함께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되는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위치의 어플리케이션을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멀티 핑거에 의한 핀치 클로즈 감지시 전환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드래그신호에 의해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하고, 드래그가 종료되는 위치의 분할화면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핀치 오픈 감지시 축소된 분할화면을 확대하고 전환 동작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전환 모드시 터치인터렉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전환 가능한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고, 상기 분할화면에 인접한 위치의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전환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전환과정은,
    분할화면의 플릭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동시켜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과,
    상기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에 인접한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하여 어플리케이션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릭은 수평 플릭이며,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플릭 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릭은 상하 플릭이며,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플릭방향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전환 과정은
    상기 분할화면의 플릭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서 가장 끝에 위치되는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고,
    상기 분할화면에 인접한 위치의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하여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릭은 상하 플릭이며,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화면의 끝단에 위치되는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릭은 수평 플릭이며,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화면의 끝단에 위치되는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전환 과정은
    어플리케이션 자유 전환모드시 상기 분할화면을 축소하여 후보 어플리케이션들과 함께 표시하고,
    상기 후보 어플케이션에서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위치의 어플리케이션을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전환 과정은
    고정 영역 설정 전환모드시 상기 분할화면에서 홀드된 어플리케이션을 고정시키는 과정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 가능한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분할화면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 가능한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분할화면 인접한 위치의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하여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분할화면을 축소하여 후보 어플리케이션들과 함께 표시하고, 상기 후보 어플케이션에서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위치의 어플리케이션을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전환 과정은
    어플리케이션 이동 전환모드시 상기 분할화면을 축소하여 후보 어플리케이션들과 함께 표시하느 과정과,
    상기 축소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이동시키며 전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과정과,
    이동 종료시 분할화면 위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대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106813A 2012-09-25 2012-09-25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2099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13A KR102099646B1 (ko) 2012-09-25 2012-09-25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14/026,604 US9298341B2 (en) 2012-09-25 2013-09-13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split view in portable terminal
EP13184996.0A EP2717145B1 (en) 2012-09-25 2013-09-18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split view in portable terminal
CN201310452731.5A CN103677985B (zh) 2012-09-25 2013-09-25 用于在便携式终端中切换分割视图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13A KR102099646B1 (ko) 2012-09-25 2012-09-25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986A true KR20140041986A (ko) 2014-04-07
KR102099646B1 KR102099646B1 (ko) 2020-04-13

Family

ID=4923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813A KR102099646B1 (ko) 2012-09-25 2012-09-25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98341B2 (ko)
EP (1) EP2717145B1 (ko)
KR (1) KR102099646B1 (ko)
CN (1) CN10367798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7944A (zh) * 2016-10-28 2017-03-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的分屏显示方法及移动终端
KR20170137404A (ko) * 2016-06-03 201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46B1 (ko) * 2012-09-25 2020-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AU2013354264B2 (en) * 2012-12-06 2017-02-02 Inventio Ag Inputting lock commands using gestures
JP6132644B2 (ja) * 2013-04-24 2017-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098435B2 (ja) * 2013-08-22 2017-03-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記憶媒体、および制御方法
KR102153366B1 (ko) 2013-08-30 2020-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화면 전환 방법 및 장치
JP6355312B2 (ja) * 2013-10-09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910884B2 (en) * 2014-01-13 2018-03-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uming items in their last-used presentation modes
CN104834456A (zh) * 2014-02-12 2015-08-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触控界面多任务切换方法、系统及电子装置
US10198170B2 (en) * 2014-02-12 2019-02-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50331589A1 (en) * 2014-05-15 2015-11-19 Todd KAWAKITA Circular interface for navigating applications and an authentication mechanism on a wearable device
KR102225943B1 (ko) * 2014-06-19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379160A1 (en) * 2014-06-29 2015-12-31 Yaniv AVRAHAM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focus control and related return content with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60032451A (ko) * 2014-09-16 2016-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97330B1 (ko) 2015-01-16 2021-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11209972B2 (en) * 2015-09-02 2021-12-28 D&M Holdings, Inc. Combined tablet screen drag-and-drop interface
US11113022B2 (en) 2015-05-12 2021-09-07 D&M Holdings, Inc. Method, system and interface for controlling a subwoofer in a networked audio system
CN104866269A (zh) * 2015-06-12 2015-08-26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分屏区域调节方法及终端
CN104978110B (zh) * 2015-07-27 2018-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处理方法和显示处理设备
CN105224647A (zh) * 2015-09-29 2016-01-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图片显示方法及装置
EP3308255B1 (en) * 2015-10-09 2021-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luid user interface
WO2018076328A1 (zh) * 2016-10-31 2018-05-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分屏显示方法及装置
CN107037956A (zh) * 2016-11-01 2017-08-11 华为机器有限公司 一种终端及其切换应用的方法
CN108932094A (zh) * 2018-07-03 2018-12-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分屏应用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9062467B (zh) * 2018-07-03 2020-10-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分屏应用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9254707A (zh) * 2018-09-14 2019-0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窗口调节的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542320B (zh) * 2018-11-13 2021-03-16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865744B (zh) * 2019-09-30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屏显示方法与电子设备
CN111641797B (zh) * 2020-05-25 2022-02-18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通话界面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N114327105A (zh) * 2020-09-29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屏显示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2672079B (zh) * 2020-12-18 2023-01-06 北京飞讯数码科技有限公司 分屏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92035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0936B2 (en) * 2001-02-23 2006-09-19 Complementsoft Ll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maintaining software code
US20060020903A1 (en) * 2004-07-26 2006-01-26 Shih-Yang Wang Window split system and method
US7921372B2 (en) * 2005-03-25 2011-04-0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inning tabs in a tabbed browser
US7734664B2 (en) * 2005-06-23 2010-06-08 Microsoft Corporation Database application including split views
US8868524B2 (en) * 2005-08-25 2014-10-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oating merge selection viewer
KR100723212B1 (ko) * 2005-12-09 2007-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분할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단말기 및 그 화면표시 방법
US20080115064A1 (en) * 2006-11-15 2008-05-15 Roach William V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related to presentation software
JP4982505B2 (ja) * 2007-01-25 2012-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ウィンドウ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並びに情報処理装置
AU2007201652B2 (en) * 2007-04-13 2010-09-02 Canon Kabushiki Kaisha Laying out graphical elements on a page
US20090019383A1 (en) * 2007-04-13 2009-01-15 Workstone Llc User interface for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US20130198692A1 (en) * 2007-11-07 2013-08-01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resentations of open documents
US8555193B2 (en) * 2008-01-17 2013-10-08 Google Inc. System for intelligent automated layout and management of interactive windows
US20090235186A1 (en) * 2008-03-12 2009-09-17 Microsoft Corporation Limited-scope rendering
US9535692B2 (en) * 2008-03-14 2017-01-03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lated files in a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
KR101488726B1 (ko) * 2008-05-27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8539384B2 (en) * 2010-02-25 2013-09-17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pinch and expand gestures
US20110209101A1 (en) * 2010-02-25 2011-08-25 Hinckley Kenneth P Multi-screen pinch-to-pocket gesture
US8707174B2 (en) * 2010-02-25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page-flip gesture
US8751970B2 (en) * 2010-02-25 2014-06-10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synchronous slide gesture
US9454304B2 (en) * 2010-02-25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dual tap gesture
US20110209089A1 (en) * 2010-02-25 2011-08-25 Hinckley Kenneth P Multi-screen object-hold and page-change gesture
US8473870B2 (en) * 2010-02-25 2013-06-25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drag gesture
US8407612B2 (en) * 2010-04-30 2013-03-26 Microsoft Corporation Pinning of tabs in tab groups
US9405444B2 (en) * 2010-10-01 2016-08-02 Z124 User interface with independent drawer control
US20120167005A1 (en) * 2010-12-23 2012-06-28 Microsoft Corporation Creating an immersive environment
WO2012162399A2 (en) * 2011-05-23 2012-11-29 Visible Market Inc. Dynamic visual statistical data display an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mited display device
US9781540B2 (en) * 2011-07-07 2017-10-03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relevance determination based on social context
US8176435B1 (en) * 2011-09-08 2012-05-08 Google Inc. Pinch to adjust
KR20130054074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처리뷰를 분할된 화면에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227396A1 (en) * 2012-02-24 2013-08-29 Microsoft Corporation Editing content of a primary document and related files
US20130339830A1 (en) * 2012-06-15 2013-12-19 Microsoft Corporation Optimized document views for mobile device interfaces
KR102099646B1 (ko) * 2012-09-25 2020-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2069014B1 (ko) * 2012-09-25 2020-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분리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4106882A (ja) * 2012-11-29 2014-06-0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9152935B2 (en) * 2013-02-12 2015-10-06 J. Douglas Johns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displaying data—ties
US9778834B2 (en) * 2013-05-23 2017-10-0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dimensional split view for a pivot table or other grid-based component
CA2923435A1 (en) * 2013-09-05 2015-03-12 Mosaiqq, Inc. System and method for decoupling windows from the desktop it was created on in a multiple desktop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92035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404A (ko) * 2016-06-03 201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527944A (zh) * 2016-10-28 2017-03-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的分屏显示方法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7145A3 (en) 2017-04-12
CN103677985A (zh) 2014-03-26
KR102099646B1 (ko) 2020-04-13
CN103677985B (zh) 2018-07-20
US9298341B2 (en) 2016-03-29
EP2717145A2 (en) 2014-04-09
US20140089832A1 (en) 2014-03-27
EP2717145B1 (en)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646B1 (ko)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116628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KR102069014B1 (ko) 휴대단말기의 분리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US9280275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619139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079174B1 (ko) 휴대단말기의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US20130326421A1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998378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based task management
KR10230417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30167090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30086523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501692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277701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102095039B1 (ko)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388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1485791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KR20140019531A (ko) 홈 화면의 오브젝트 메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57078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JPWO2012157667A1 (ja) 携帯端末装置、そ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83786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514919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236053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382074B1 (ko)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352506B1 (ko) 단말 장치에서의 아이템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 장치
KR20140041992A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