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919B1 -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919B1
KR102514919B1 KR1020220041347A KR20220041347A KR102514919B1 KR 102514919 B1 KR102514919 B1 KR 102514919B1 KR 1020220041347 A KR1020220041347 A KR 1020220041347A KR 20220041347 A KR20220041347 A KR 20220041347A KR 102514919 B1 KR102514919 B1 KR 102514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cution screen
display
input panel
applicat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4929A (ko
Inventor
김영리
한봉희
윤성진
이유진
박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4094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83786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9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방법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패널이 호출시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할화면의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통신 및 멀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두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방법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이외의 어플리케이션들은 백그라운드 레이어(background layer)로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백그라운드로 처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잡한 키 또는 터치 인터렉션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도 점점 커지는 추세이다. 이런 경우 표시부는 표시부에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화면들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분할화면의 임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을 활성화시켜야 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과 다른 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할 수 있어야한다. 이때 입력패널은 분할화면의 고정된 위치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화면을 표시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입력패널을 활성화하는 경우, 인접하는 분할화면의 다른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화면에서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을 보장하면서 입력패널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로 분할화면 표시모드시 입력패널을 활성화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보장하면서 입력 패널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로 분할화면 표시모드시 입력패널을 활성화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보장하면서 입력 패널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방법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패널이 호출시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방법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세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패널이 호출시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위치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상단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입력패널을 하단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하단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입력패널의 크기로 상기 하단 분할화면을 밀어올리고 상기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입력패널을 호출하기 위한 입력을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패널 호출시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하며, 상기 입력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멀티 윈도우(Multi window) 환경에서 분할화면의 각 어플리케이션(1/N Split App)들의 표시 영역을 보장하면서, 효율적인 화면 구성 내에서 입력패널을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1/N Split App 영역을 충분히 보장하면서 입력패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이 입력패널 표시로 인한 방해를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화면에 입력패널을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화면 표시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a - 도 4f는 도 3에서 세로 표시모드(portrait mode)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 도 5b는 도 3에서 가로 표시모드(landscape mode)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분할화면 표시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세로 표시모드시의 입력패널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분할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분할 화면으로 표시되는 임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이 활성화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영역을 보장하면서 입력패널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할 화면은 2개 이상의 화면이 일부 겹치게 오버레이(overlay)되거나 동일 레이어(layer)상에 존재하며, 상기 분할 화면은 연관된 실행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할 화면이 가능한 단말에서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패널을 호출하는 경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는 화면분할 상태를 유지하며 입력패널을 배치한다. 이때 입력패널의 배치는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또는 축소시키지 않으면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영역에 입력패널이 표시되도록 분할화면을 구성한다. 이때 입력패널이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은 최소 화면 크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패널을 표시 방법은 표시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수평 또는 수직 이동시켜 입력패널의 배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교체하여 입력패널의 배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분할화면(split view)은 하나의 레이어에 복수(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터치 인터렉션이라는 용어는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에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손(가락) 터치 및 펜 터치 입력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은 app와 혼용되어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MP3단말기, 타블렛, 컴퓨터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2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20이 LTE,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입력패널 호출에 따라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패널을 호출하는 경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는 화면분할 상태를 유지하며 입력패널을 배치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수평 또는 수직 이동시켜 입력패널의 배치를 구성하며,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교체하여 입력패널의 배치를 구성한다.
저장부11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제1입력부140은 정정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할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이하 손가락 터치라고 가정한다)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제2입력부 150은 EMR센서 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펜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입력부140 및/또는 제2입력부15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분할화면의 입력패널을 호출하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 또는 명령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터치패널140 및 ERM패널150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센서부160은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160은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여 표시부130의 분할화면 표시모드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센서부160의 출력을 분석하여 단말기가 세로로 놓여진 경우 상기 표시부130의 표시모드를 세로 표시모드(portrait mode)로 감지하고, 상기 단말기가 가로로 놓여진 경우 상기 표시부130의 표시모드를 가로 표시모드(landscape mode)로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들은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및/또는 위치감지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화면 표시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기 위한 분할화면을 하나의 레이어에 구성(layout)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분할화면의 화면들은 각각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다. 이때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는 분할화면은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분할화면을 구성할 때 상기 센서부160의 출력을 분석하여 단말기가 놓여진 상태에 따라 세로 표시모드 또는 가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을 설정한다.
먼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app들 중에서 원하는 app들을 선택하여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app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먼저 app들을 모아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할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app들을 모으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app 모음 터치 인터렉션이 pinch close라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가 핀치 클로즈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1입력부140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복수의 app들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app들은 현재 실행되는 app(running application), 최근에 실행된 app(recent application) 또는 전체 앱(예를들면 home 화면에 표시되는 appl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음 app들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app들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된 app들을 상기 표시부130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두번째로 특정 app들은 다른 app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app 전환타스크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pp 전환 타스크 정보는 Insert/Attach/Link/Preview/Browse 등이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채팅 app(예를들면 chat on application)의 경우 채팅 중에 사진 등과 같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app(예를들면 gallery applcation)과 링크될 수 있으며, 이메일 app의 경우 하이퍼링크 정보에 의해 인터넷 app과 링크될 수 있다. 따라서 app 전환타스크 정보를 가지는 app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app 전환타스크 정보에 대응되는 app을 호출한 후, 선택된 app과 app 전환타스크 정보에 의한 app을 표시부130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한다.
세 번째로 제조사 또는 사용자는 특정 app들을 설정하여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분할화면 표시로 설정되는 app들의 정보는 상기 제어부1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app의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분할화면 표시 app의 선택임을 감지하고, 해당 app과 대응되어 설정된 app들을 상기 화면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app들은 텍스트를 표시하는 app(예를들면 ebook applcation 등)과, 사전 app, 지도 app, web app, note app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ote app은 펜 또는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메모 또는 노트 등을 수행할 수 있는 app으로써, 텍스트, 스케듈 및/또는 멀티미디어 등의 app을 수행하는 중에 필요한 정보를 노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대응되는 분할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면서 다양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임의 분할화면 위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입력창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입력패널이 호출되었음을 감지한다. 여기서 데이터는 문자, 숫자, 도형 및/또는 제스쳐 등과 같이 입력부140 및/또는 150을 통해 입력할수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데이터는 문자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어플리케이션에서 검색, 데이터 입력/변경/편집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분할된 화면에 각각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들 중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입력창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이를 감지하며, 213단계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패널은 3*4 키패드(또는 키보드) 또는 qwerty 키패드(또는 키보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은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입력패널(static SIP(soft input panel))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위치 및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입력패널(floating SIP)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분할화면의 표시모드에 따라 입력패널이 표시되는 위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모드는 세로 표시모드 및 가로 표시모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은 센서부160을 통해 휴대단말기가 놓여진 또는 위치된 방향을 감지하여 표시부130의 표시모드(세로 표시모드 또는 가로 표시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패널을 제공할 때 세로 표시모드이면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배치하고 가로 표시모드이면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반대측 어플리케이션(즉, 입력패널 호출 어플리케이션과 인접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에 배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현재 휴대단말기는 한손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오른손잡이인 경우에는 표시부130의 하단 우측 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하고 왼손잡이인 경우에는 표시부130의 하단 좌측 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패널의 호출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5단계에서 현재의 화면 표시모드에 따라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의 화면이 상기 입력패널에 가리워지지 않도록 화면을 변경하여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세로 표시모드이고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분할화면이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하단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을 상측의 입력패널의 크기만큼 밀어올리거나 또는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위치를 바꾼 후(변경한 후) 하단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또한 가로 표시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반대측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표시부130의 좌측 영역에 배치된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입력패널을 우측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위치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에 의해 가리워지거나 또는 이동된 어플리케이션(즉,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입력패널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입력패널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원래의 분할화면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패널의 사이즈는 2개의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분할화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에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 및 입력패널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130의 남은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을 포함하는 분할화면의 Layout 조절 시,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최소 조절 영역으로 고정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최소 영역보다 더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소 조절영역은 표시되는 App을 사용할 수 있는 최소 영역까지는 App 화면 형태를 가지는 영역을 의미하며, 최소 영역보다 더 작아질 경우에는 아이콘, Minimize 형태로 전환시켜, 작은 영역에서도 App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이때 3개 이상의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입력패널이 호출된 경우,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입력패널과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 사이에 할당되는 영역에서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분할되어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분할화면에 입력패널을 표시하여 분할화면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에서 종료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1단계에서 종료 처리를 한다. 여기서 상기 종료처리는 종료 명령에 따라 입력패널의 표시를 종료하고 입력패널을 표시하기 전의 상기 211단계의 분할화면 표시 과정으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분할화면 처리 및 표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표시 방법은 세로 표시모드(Portrait) 및 가로 표시모드(landscape)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세로 표시모드인 경우 하단 영역의 분할화면 영역에서 입력패널이 호출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패널이 분할화면(1/N Split)을 밀어올리면서 입력패널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상단 및 하단 분할화면에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바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로 표시모드의 경우, 상기 우측 영역의 분할화면 영역에서 입력패널이 호출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패널을 표시부130의 오른쪽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입력패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이 가려지지 않도록 좌측 및 우측 분할화면에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바꿔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세로 및 가로 표시모드에서 입력패널이 표시될 영역과 다른 위치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이 호출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 변경없이 설정된 위치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이런 경우 상기 입력패널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a - 도 4f는 도 3에서 세로 표시모드(portrait mode)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a - 도 5b는 도 3에서 가로 표시모드(landscape mode)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분할화면의 표시모드를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센서부160의 출력을 분석하여 표시부130의 표시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센서부160의 출력을 분석하여, 휴대단말기가 세로로 놓여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세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130에 출력하며, 휴대단말기가 가로로 놓여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가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분할화면이 세로 표시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즉,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분할화면의 위치)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은 표시부130의 고정된 위치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로 표시모드의 경우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입력패널의 표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즉, 분할화면에서 하단 분리화면 영역)에 상기 입력패널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형태가 된다. 이런 경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부130의 하단영역에 위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호출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상단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하단 표시영역에 위치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7단계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변경하며, 319단계에서 입력패널을 설정된 위치(여기서는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은 분할화면을 밀어올리는 방법과 분활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표시 위치를 바꾸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분할화면의 위치가 입력패널을 표시할 위치와 다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9단계에서 입력패널을 설정된 위치(여기서는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로 표시모드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pp을 표시하는 분할화면의 변경 필요시, app의 표시 영역을 밀어올리는 방법과 app들의 분할화면 표시 위치를 바꾸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로 표시모드에서 분할화면의 변경 필요시, 분할화면을 밀어올려 입력패널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과,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표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먼저 분할화면을 밀어올리는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위치(즉, 분할화면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표시부의 상단 표시영역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에는 입력패널 호출 App을 중심으로 하단의 App(들)을 가리면서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그러나 하단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 호출 App을 중심으로 입력패널 호출 App이 상단의 App(들)을 밀어 올리면서 입력패널을 제공한다. 이 때, 입력패널 영역 Size에 따라 밀려 올라간 App 중 인접한 App 의 일부가 화면에 보이도록 한다. 이는 입력패널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중에 다른 app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들면 4a의 411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A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3과 같이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는 B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영역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에 의해 가리워지는 B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의 일부가 표시되도록한다. 또한 4b의 421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B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33과 같이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는 B 어플리케이션 및 A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입력패널의 표시영역 크기만큼 밀어올리며, 표시부의 하단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이때 밀려올라가는 A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들 중 일부가 보이도록 한다.
두 번째로 세로 표시모드에서 분할화면의 위치를 바꾸는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위치(즉, 분할화면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표시부의 상단 표시영역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에는 입력패널 호출 App을 중심으로 하단의 App(들)을 가리면서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그러나 하단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 호출 App과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app과의 분할화면 위치를 바꾸고(즉, 입력패널 호출 app을 상단영역에 위치된 분할화면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하단 영역에서 바뀌어진 다른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오버레이 표시한다. 이 때, 입력패널 영역 Size에 따라 하단 영역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가 화면에 보이도록 한다. 이는 입력패널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중에 다른 app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들면 4c의 431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A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33과 같이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는 B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영역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에 의해 가리워지는 B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의 일부가 표시되도록한다. 그러나 4d의 421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B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43과 같이 표시부130의 B 어플리케이션 및 A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바꾼다. 그러면 B 어플리케이션은 표시부130의 상단영역에 표시되며 A 어플리케이션은 표시부130으 하단 영역에 표시되며, 입력패널은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서 A 어플리케이션과 오버레이되어 표시된다. 이때 표시 영역이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들 중 일부가 보이도록 한다.
세 번째로 세로 표시모드에서 입력패널을 표시부130의 상단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도 4e의 451과 같은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B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453과 같이 A 어플리케이션의 상단영역에 입력패널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그러나 도 4f의 461과 같은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A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463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입력패널의 크기만틈 밀어내리고, 해당 위치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상기 도 4e 및 도 4f와 같은 경우에도 표시 영역이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들 중 일부가 보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311단계에서 가로 표시모드(landscape mode)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35단계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 위치를 분석한 후, 333단계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로 표시모드시 입력패널은 분할화면(1/N Split view)의 선택된 영역(Focus area)의 반대쪽에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로 표시모드시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된 영역 이외의 분할화면 영역에 입력패널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은 Qwerty, 3*4 키패드 또는 키보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한 손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한손모드는 사용자가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입력패널을 조작할 수 있는 모드로써, 한손모드의 입력패널은 양손모드 사용시의 입력패널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패널은 고정된 위치에 고정된 크기로 생성할 수 있으며,(일정 영역 내 Static SIP)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입력패널(Floating SIP)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로 표시모드시 제어부100은 331단계 및 333단계를 수행하면서,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에는 호출 App과 인접한 반대쪽 App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하며, 이때 표시되는 입력패널의 일정 영역 내 Static SIP 또는 Floating SIP 중에서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에서 가로 표시모드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분할화면(1/N Split의 Focus된 영역)의 반대쪽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이때 입력패널의 형태(SIP Type)는 Full Qwerty, 3*4 키 또는 한손 모드의 입력패널을 지원한다.
예를들면 도 5a의 511과 같이 가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좌측의 위치한 A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3 또는 515와 같이 A App과 인접한 반대쪽 B App에 입력패널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은 513과 같이 일정 영역 내 Static SIP 형태로 제공하거나 또는 515와 같이 Floating SIP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b의 531과 같이 가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우측 분할화면에 위치한 B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을 533 또는 535와 같이 B App과 인접한 반대쪽 A App 분할화면 영역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의 크기는 533과 같이 일정 영역 내 Static SIP로 제공하거나 또는 535와 같이 Floating SIP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분할화면 표시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세로 표시모드시의 입력패널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1단계에서 N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각각 대응되는 N개의 분할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분할화면은 하나의 레이어에 레이아웃된 분할화면으로써, 각 분할화면들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화면의 수는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app들 중에서 원하는 app들을 선택하여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app들은 현재 실행되는 app(running application), 최근에 실행된 app(recent application) 또는 전체 앱(예를들면 home 화면에 표시되는 application)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실행되는 app이 다른 app을 호출하여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특정 app들은 다른 app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app 전환타스크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app 전환 타스크 정보는 Insert/Attach/Link/Preview/Browse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app을 실행하는 경우 대응되는 app도 호출되어 분할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app들은 제조사에서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설정모드(등록모드)에서 특정 app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분할화면 영역에서 입력패널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입력패널이 호출되었음을 감지한다. 이때의 입력패널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문자 입력창을 선택하는 경우에 호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인터넷 검색창을 선택하거나, 메모 또는 스케쥴 입력을 위한 문자입력창을 선택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화면의 표시모드는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표시모드이고, 입력패널은 어플리케이션을 밀어서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617단계에서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상단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인가 검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617단계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위치(즉, 분할화면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617단계에서 상기 표시부의 상단 분할화면에서 표시되는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21단계에서 입력패널 호출 App을 중심으로 하단의 App(들)을 가리면서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상기 도 4a의 411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A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3과 같이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는 B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영역에 입력패널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패널은 B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의 일부가 표시될 수 있는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하단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6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9단계에서 입력패널 호출 App을 중심으로 입력패널 호출 App이 상단의 App(들)을 입력패널의 사이즈만큼 밀어 올리며, 621단계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이 때, 입력패널 영역 Size에 따라 밀려 올라간 App 중 인접한 App 의 일부가 화면에 보이도록 한다. 예를들면 도 4b의 421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B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33과 같이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는 B 어플리케이션 및 A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입력패널의 표시영역 크기만큼 밀어올리며, 표시부의 하단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이때 밀려올라가는 A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들 중 일부가 보이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패널은 3*4 또는 qwerty 키패드(또는 키보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패널의 크기는 일정 영역 내 고정된 크기를 가지는 입력패널(Static SIP)이 될 수 있으며, 또는 크기 및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입력패널(Floating SIP)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입력패널을 표시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623단계에서 제1입력부140 및/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감지되는 키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후 종료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27단계에서 입력패널의 표시를 종료하고 분할화면의 표시는 원상 복구시킨다. 즉, 도 4a의 413 또는 도 4b의 423과 같이 표시되는 분할화면을 각각 411 또는 421과 같이 이전의 상태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로표시모드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임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력패널의 호출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위치를 검사하여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이때 상단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입력패널을 호출한 App을 중심으로 하단의 App(들)을 가리면서 입력패널을 제공한다. 그리고 하단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에는 입력패널을 호출한 App을 중심으로 상단의 App(들)을 밀어 올리면서 입력패널을 제공한다. 이 때, 입력패널의 크기(Size)에 따라 밀려 올라간 App 중 인접한 App 의 일부가 화면에 보여야 한다. 그리고 입력패널의 사용을 종료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은 입력패널의 제공 상태로 원상복구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제 1 실행 화면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제 2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분할 화면 모드에서, 상기 제 2 실행 화면이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아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입력 윈도우 상의 제 1 입력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키보드를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아래에 배치된 제 1 영역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입력 윈도우 상의 제 2 입력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키보드를 상기 제 1 영역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윗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실행 화면이 축소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의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키보드의 디스플레이의 종료를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키보드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종료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키보드의 디스플레이 동작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 1 실행 화면을 확장하고,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상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벗어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제 1 실행 화면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제 2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분할 화면 모드에서, 상기 제 2 실행 화면이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아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입력 윈도우 상의 제 1 입력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키보드를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아래에 배치된 제 1 영역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입력 윈도우 상의 제 2 입력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을 축소시키고,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의 위치를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축소된 부분의 아래로 변경하고, 상기 키보드를 상기 제 1 영역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실행 화면이 제거된 부분을 차지하도록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이전 위치에서 새로운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의 상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의 하단부를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의 상단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키보드의 디스플레이의 종료를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키보드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종료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키보드의 디스플레이 동작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 1 실행 화면을 확장하고,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제 1 실행 화면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제 2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분할 화면 모드에서, 상기 제 2 실행 화면이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아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입력 윈도우 상의 제 1 입력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키보드를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아래에 배치된 제 1 영역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입력 윈도우 상의 제 2 입력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제 1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제 2 부분을 상기 제 1 부분의 하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키보드를 상기 제 1 영역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실행 화면이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거된 부분을 차지하도록 상기 제 2 실행 화면을 이전 위치에서 새로운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이동 후, 상기 제 1 부분을 상기 제 2 부분 위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키보드의 디스플레이의 종료를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키보드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종료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키보드의 디스플레이 동작의 종료에 따라, 상기 제 2 실행 화면이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아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상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제 1 실행 화면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제 2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분할 화면 모드에서, 상기 제 2 실행 화면을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아래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입력 윈도우 상의 제 1 입력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키보드를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아래에 배치된 제 1 영역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입력 윈도우 상의 제 2 입력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키보드를 상기 제 1 영역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윗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실행 화면이 축소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20041347A 2021-03-30 2022-04-01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514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347A KR102514919B1 (ko) 2021-03-30 2022-04-01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45A KR102383786B1 (ko) 2019-11-06 2021-03-30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0220041347A KR102514919B1 (ko) 2021-03-30 2022-04-01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945A Division KR102383786B1 (ko) 2019-11-06 2021-03-30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929A KR20220044929A (ko) 2022-04-12
KR102514919B1 true KR102514919B1 (ko) 2023-03-29

Family

ID=8118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347A KR102514919B1 (ko) 2021-03-30 2022-04-01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9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29374A1 (en) 2011-03-11 2012-09-13 Hiroki Kobayashi Electronic device
KR102044829B1 (ko) 2012-09-25 2019-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27103A1 (en) * 1989-10-13 1991-04-14 William A. Clough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imulated keyboards on touch-sensitive displays
KR101354820B1 (ko) * 2007-03-15 2014-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와 전자장치의 동작모드 제어방법 및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29374A1 (en) 2011-03-11 2012-09-13 Hiroki Kobayashi Electronic device
KR102044829B1 (ko) 2012-09-25 2019-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929A (ko)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28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US1105498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069014B1 (ko) 휴대단말기의 분리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99646B1 (ko)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9600153B2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webp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86409A (ko)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097812A (ko) 전자 장치에서 스크롤 장치 및 방법
KR102514919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236053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383786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JP2013073366A (ja) 情報処理装置
KR20190134580A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614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스크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41992A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