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992A -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992A
KR20140041992A KR1020120106913A KR20120106913A KR20140041992A KR 20140041992 A KR20140041992 A KR 20140041992A KR 1020120106913 A KR1020120106913 A KR 1020120106913A KR 20120106913 A KR20120106913 A KR 20120106913A KR 20140041992 A KR20140041992 A KR 20140041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ub
main application
main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경
김경민
한경훈
신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1992A/ko
Publication of KR2014004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과정과,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표시과정과, 어플리케이션 표시과정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역에서 스크롤 인터렉션 감지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스크롤 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 이동과정과, 어플리케이션 표시과정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이와 연동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부가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레이어(layer) 위에 부가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위치시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부가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사용하도록 하거나, 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역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영역과 부가기능 패널이 분할/축소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즉, 메인 어플리케이션 위의 레이어에 부가기능 패널이 위치하는 경우, 메인 컨텐츠가 가려질 때마다 부가 기능 패널을 선택하여 특정 액션(Long Press 등)을 행한 후 부가 기능 패널을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즉, 부가기능패널이 메인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위에 존재하지 않고 메인 컨텐츠 영역과 부가기능패널이 분할/축소하여 사용하는 경우, 메인 컨텐츠 영역 자체가 좁아지게 되어 컨텐츠 열람에 불편을 초래하였다. 이 경우에는 컨텐츠 영역 뿐만 아니라 메인 컨텐츠 상단의 툴바(Toolbar) 영역도 좁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영역에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표시하며,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표시할 때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모두 볼 수 있도록 돕는 스크롤 구조를 사용하며, 이런 스크롤에 의해 메인 어플리케이션 컨텐츠의 페이지 넘김이나 drag&drop을 통한 페이지 내 탐색 등을 수행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 영역의 컨텐츠 열람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표시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과정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역에서 스크롤 인터렉션 감지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스크롤 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 이동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과정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이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선택 및 컨텐츠 이동 명령을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역에서 스크롤 인터렉션 감지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스크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이와 연동되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오픈(open)상태일 때, 서로의 상태를 인식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모두 볼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스크롤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가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단절없이(seamless) 동시에 사용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표시에 따른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표시 영역을 크게 줄이지 않으면서 또한 컨텐츠를 이동시켜 볼 수 있으며,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close)하는 경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페이지 크기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이동은 플릭(flick)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클로즈(close)하는 시점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페이지를 확인하여 50%이상을 차지하고있는 컨텐츠 페이지로 자동 이동해 주어 사용자는 편리하게 컨텐츠 열람을 이어 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 -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및 표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툴 킷 셋)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및 표시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픈시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a - 도 7c는 도 6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표현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어 동작할 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a - 도 9c는 상기 도 8과 같은 절차를 수행할 때의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클로즈하는 경우에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과 같은 절차를 수행할 때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을 툴킷 프레임(tool kit frame)화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사용 가능한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을 아이템으로 표시하며, 사용자가 아이템 선택시 해당하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레이 표시하면서 실행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주 타스크를 수행하기 위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휴대단말기는 전체 화면 영역에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해당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화면 영역의 특정 위치에 표시한다. 이때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화면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tab 형태의 버튼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누르거나 드래그(drag)하여 서브 어플리케이션(sub application, sub task)을 호출할 수 있으며, 이 서브 어플리케이션(또는 툴킷)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위에 오버레이(overlay)되는 형태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부가기능패널이 open상태임을 인식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영역(main application area) 내의 터치 및/또는 제스츄어(touch and/or gesture)를 인식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인해 부가기능패널(즉,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영역) 아래에 가려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부가기능패널이 클로즈(close)되면,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에도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런 경우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이동은 플릭 인터렉션에 의해 페이지 단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메인 타스크는 같은 의미의 용어로 사용될 것이며, 서브 어플리케이션, 보조 타스크 및 툴 킷(tool kit)도 같은 의미의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MP3단말기, 타블렛, 컴퓨터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2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20이 LTE,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템을 표시하며,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레이시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경우, 즉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에서 터치 또는 제스츄어에 의한 스크롤(또는 드래그) 액션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스크롤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스크롤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가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스크롤)되면(예를들어 페이지의 50%를 초과하면) 다음 페이지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스크롤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가 마지막 페이지까지 이동되면 마지막 페이지임을 알리기 위한 설정된 액션(애니메이션)을 수행한다.
메모리11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1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은 복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들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은 대응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정된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sub application set, toolkit set)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트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웹 어플리케이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사전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중 일부 어플리케이션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제1입력부140은 정정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할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이하 손가락 터치라고 가정한다)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제2입력부 150은 EMR센서 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펜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터치패널140 및 ERM패널150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a -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a - 도 2 c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열람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200과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에 속한 객체, 텍스트를 가져와 메모, handwriting을 하는 등 정보를 재가공 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어플리케이션200과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도 2a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의 화면에 210과 같이 사용가능한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210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21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a는 5개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210 들을 구비하며, 여기서 "N"은 노트(note)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며, "C"는 계산기(calculator)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고, "M"은 지도(map)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며, "W"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고, "D"는 사전(dictionary)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이때 도 2b와 같이 특정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2c의 220과 같이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의 화면에 중복(overlay)되어 표시되는데,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투명도가 0인 경우로 가정하며, 이런 경우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에 오버레이되는 영역의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경우, 표시부130에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리워지는 영역의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c와 같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에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경우,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의 표시 영역에 드래그(또는 스크롤)이 발생되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의 화면을 드래그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드래그 동작은 제1입력부140에서 감지되는 손(가락) 또는 상기 제2입력부150에서 감지되는 펜의 터치 또는 제스쳐(예를들면 hovering 등)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도 2c와 같이 메인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상태에서 참조번호 230과 같이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의 화면을 드래그 동작이 발생된 방향(도 2c의 경우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수평 방향)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드래그 동작에 의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크기(예를들면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페이지의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도 2c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이 ebook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이 사전 어플리케이션이라고 가정하다. 이런 경우 상기 사전 어플리케이션의 아이템("D")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부가기능의 사전 어플리케이션이 open 상태임을 인식하고, 사용자가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롤(또는 드래그)하여 페이지 탐색 시 한시적인 페이지 drag를 허용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부가기능의 사전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에 의해 가려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즉, ebook page)를 드래그하여 컨텐츠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close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close 상태를 인식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롤(또는 드래그)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플릭(flick)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Main application area)이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의해 가려진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일시적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의 좌우/상하 스크롤을 허용하여 표시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닫지 않고도 가려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영역을 패닝(panning)으로 탐색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에서 상기 스크롤(또는 드래그)이 일정범위 이상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닫지 않고도 표시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open된 상태에서 계속 페이지 이동을 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의 마지막 페이지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라이팅(lighting) 효과를 주어 마지막 페이지임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c와 같이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에 의해 가려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에 의해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종료(close) 하는 경우에는 도 2a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이때 표시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는 50%이상 범위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페이지로 돌아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며,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은 복수의 툴 킷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및 표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예를들면 ebook application)200과,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영역(main application area)에 속한 객체, 텍스트를 가져와 메모, 핸드라이팅(handwriting) 등의 정보 재가공을 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메인 어플리케이션200과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휴대단말기는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부가기능패널이 open상태임을 인식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영역(main application area) 내의 터치 및/또는 제스쳐(touch and/or gesture)를 인식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인해 부가기능패널(즉,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영역) 아래에 가려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부가기능패널이 클로즈(close)되면,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에도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런 경우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이동은 플릭 인터렉션에 의해 페이지 단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51단계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픈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311단계에서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오픈을 인식하고, 313단계에서 도 2c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영역 내의 일부 영역에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은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픈되면 한시적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드래그(또는 스크롤)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영역을 드래그하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315단계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려진 영역의 컨텐츠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드래그에 의해 표시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가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이동되면(예를들면 컨텐츠 페이지의 50%를 초과하여 이동되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321단계 및 323단계를 수행하면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드래그 방향이 이전 페이지 방향이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표시하며, 다음 페이지 방향이면 다음 컨텐츠 페이지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드래그 방향은 수평 또는 상하 방향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353단계에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클로즈되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이를 인식하고 331단계에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동작을 종료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를 원래의 페이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리워졌던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를 페이지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클로즈되면 333단계에서 플릭(flick) 동작에 의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페이지 단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한시적으로 허용되었던 드래그 동작은 차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툴 킷 셋)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어플리케이션(sub application, Toolkit)은 참조번호 400과 같은 툴 킷 프레임워크(Toolkit Framework)를 기본으로 하여 구현되며, 상기 툴 킷 프레임워크 400은 해당하는 서브어플리케이션과 메인 어플리케이션 간의 화면 구성 및 data 교환방식에 대한 공통기능들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은 툴 킷 프레임워크400을 기반으로 구현된 Toolkit들은 set로 묶어 참조번호 410과 같이 제공되며, 이 툴 킷 셋(서브 어플리케이션 셋)는 여러 메인 어플리케이션들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메인 어플리케이션420은 특성에 따라 툴 킷 셋에 포함되는 툴 킷 종류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툴 킷 종류 구성을 커스토마이징(customizing)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sub application, tool kit)은 상기 한 바와 같이 노트 어플리케이션(note application), 계산기 어플리케이션(calculator application), 지도 어플리케이션(map application),웹 어플리케이션(web browser application), 사전 어플리케이션(dictionary appl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이북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서브 어플리케이션인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의 표시부130의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에서 선택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첨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및 표시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1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30에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표시하며 또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부가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5단계에서 선택된 아이템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우측 또는 우측 하단 영역에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컨텐츠(정보)를 복사하여 표시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붙여넣기(즉, copy and paste)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정보를 선택하여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할 수 있으며,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도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된 정보를 계산할 수 있으며,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서치를 할 수 있고,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의 사전 의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서브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 어플리케이션 영역에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100이 입력부140 또는 150을 통해 이를 인식하면 517단계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이동임을 감지하고, 519단계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이동하면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리워진 영역의 컨텐츠도 탐색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는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515단계 - 519단계의 동작은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클로즈될 때까지 반복 수행되며,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클로즈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3단계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종료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상기 표시부130에 페이지 단위로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부가기능패널이 오픈된 상태에서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롤 및 페이지스크롤이 가능하여 부가기능패널을 닫고 메인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부가기능 패널로 인해 메인 컨텐츠 영역을 좁게 봐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부가기능패널이 열린 상태에서도 페이지 panning 혹은 페이지 이동이 가능함을 알려 주는 장치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픈시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7a - 도 7c는 도 6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표현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 6은 도 5의 515단계에서의 동작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6 -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1단계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픈되면 613단계에서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하며, 615단계에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 표시하는 경우, 상기 도 7a -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외부 영역에서 내부 영역으로 삽입되는 형태의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시각적인 cu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열리는 순간, 도 7a의 723 - 727과 같이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외부에서 삽입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부호 711 - 717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다. 이때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영역715에 스크롤 인디케이터719를 설정시간 동안 표시한다. 이때 상기 스크롤 인디케이터719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동안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는 표시하는 표시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시점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711-717과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723-727과 같이 서서히 나타나는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애니메이션(Animation)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열리는 순간 페이지 스크롤이 가능함을 Animation 효과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745와 같이 특정지점까지 오면, 735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일시적으로 밀렸다가 737과 같이 다시 돌아오는 animation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735와 같이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영역까지 삽입되어 표시되는 시점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일시적으로 흔들어(여기서는 좌우 이동)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할 수 있다.여기서 참조부호 731 - 737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고, 참조번호 743-747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서서히 오버레이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화면이다.
세 번째로 일시적인 페이지 축소 효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열리는 순간 페이지 스크롤이 가능함을 Animation 효과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745와 같이 특정지점까지 오면 755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일시적으로 줄어들고 좌우 페이지들이 일부 보여지도록 한다. 이후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767과 같이 완전히 오픈되면, 757과 ??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원래 크기 화면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751 - 757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고, 참조번호 763-767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서서히 오버레이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화면이다.
상기 도 6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표시부13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서브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연동시켜 동작시킬 수 있으며, 또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어 동작할 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8은 도 5의 517단계 - 523단계의 동작 절차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a - 도 9c는 상기 도 8과 같은 절차를 수행할 때의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8 - 도 9d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오픈시 상기 제어부100은 811단계에서 도 9a의 811과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상기와 도 8a의 911과 같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913과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 영역을 드래그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813단계에서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815단계에서 도 9a의 915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드래그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드래그 방향은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다. 도 9a는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되었을 때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표시하는 상태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려진 영역의 메인 어플리케이션 컨텐츠도 탐색할 수 있다.
상기 드래그 동작에 의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이동할 때,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이동이 해당 컨텐츠 페이지의 설정 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면(예를들면 페이지의 50%를 초과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8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19단계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페이지를 이동시킨다. 즉, 도 9b의 931과 같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933과 같이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드래그에 의해 이동된 컨텐츠가 해당 페이지의 설정된 값 이상으로 이동되면 도 9b의 935와 같이 컨텐츠 페이지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컨텐츠 페이지의 이동은 드래그 방향에 의해 결정되며, 이때 이동되는 페이지는 현재의 컨텐츠 페이지에서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래그 액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815단계 또는 819단계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이동시 일시적으로 이동되는 컨텐츠 페이지의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955와 같은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되는 메인 컨텐츠의 이동 상태를 957 및 959와 같이 표시한다. 즉, 참조번호 957은 인디케이션 박스이고 참조번호959는 컨텐츠이 이동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인디케이터 박스에서 많이 벗어나면 메인어플리케이션의 이동이 많아졌음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스크롤 할 때 일시적으로 화면에 보여지는 영역이 어디인지를 알려 주는 Indicator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이동시킬 때, 컨텐츠의 마지막 페이지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게 현재의 페이지가 마지막 페이지임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컨텐츠의 스크롤 이동시 821단계에서 컨텐츠의 이동이 마지막 페이지가 되었는가 검사하며, 마지막 페이지가 아니면 컨텐츠의 해당 페이지를 표시하며, 마지막 페이지이면 825단계에서 현재의 페이지가 메인 어플리케이션 컨텐츠의 마지막 페이짐을 표시한다. 도 9d를 참조하면, 973과 같은 스크롤 동작에 의해 컨텐츠의 마지막 페이지까지 이동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977과 같이 마지막 페이지임을 알리는 효과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마지막 페이지임을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부가기능패널이 open된 상태에서 계속 페이지이동을 하여 해당 컨텐츠의 마지막 페이지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977과 같이 라이팅 효과를 주어 마지막 페이지임을 표시한다. 이때 드래그를 통한 페이지 스크롤은 도 9d의 975와 같이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좌측 영역까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려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를 보고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클로즈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10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표시를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클로즈하는 경우에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과 같은 절차를 수행할 때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 - 도 11b를 참조하면, 서브 어플리케이션 클로즈시 상기 100은 1011단계에서 현재 표시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 표시영역을 분석하고, 1013단계에서 더 큰 표시영역를 가지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표시한다. 즉, 도 11a와 같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 1115를 클로즈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되는 페이지 영역을 검사하여 더 크게 표시되는 영역의 페이지를 선택한다. 상기 도 11a에서 사선으로 표시되는 페이지 1111의 영역이 페이지 1113보다 더 큰 표시영역을 가지므로, 상기 제어부100은 1121과 같이 페이지1111의 페이지 영역을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1015단계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페이지 단위로 표시하며, 플릭에 의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를 표시한다. 즉,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31과 같은 컨텐츠 페이지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1133과 같이 플릭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1135와 같이 이전 컨텐츠 페이지를 표시하고, 1135와 같은 컨텐츠 페이지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1137과 같이 플릭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1131과 같이 다음 컨텐츠 페이지를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클로즈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도 11a와 같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 영역을 분석하여 컨텐츠 페이지를 자동 스크롤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도 11a의 사선으로 표시된 페이지1111과 같이 50%이상 범위의 표시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페이지를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로 표시한다. 이후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클로즈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컨텐츠를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시킬 수 없으며, 이런 경우 도 11b와 같이 flick 동작에 의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에 있어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표시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과정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역에서 스크롤 인터렉션 감지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스크롤 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 이동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과정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과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표시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과정은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어플리케이션 이동과정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영역에 드래그 감지시 상기 드래그된 방향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이동이 페이지의 설정 거리 이상 이동되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의 설정 거리는 컨텐츠 페이지의 50%를 초과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컨텐츠 페이지의 이동거리를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어플리케이션 이동과정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가 마지막 페이지까지 이동되면 마지막 페이지임을 통보하기 위한 표시효과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효과는 라이팅 효과이며, 상기 라이팅 효과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영역과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경계면에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 과정은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 영역에서 내부 영역으로 삽입되는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 과정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영역에 스크롤 인디케이션을 설정시간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 과정은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지점까지 삽입되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일시적으로 이동 및 원위치시키는 애니메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시 과정은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지점까지 삽입되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일시적으로 축소 및 확대하는 애니메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종료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컨텐츠 페이지를 표시하고, 플릭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페이지 단위로 이동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컨텐츠 페이지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종료시점에서 표시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분석하여 50%를 초과하는 컨텐츠 페이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에 있어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이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선택 및 컨텐츠 이동 명령을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역에서 스크롤 인터렉션 감지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스크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표시하며,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영역에 드래그 감지시 상기 드래그된 방향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이동시키며, 상기 컨텐츠 이동이 페이지의 설정 거리 이상 이동되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페이지의 이동거리를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가 마지막 페이지까지 이동되면 마지막 페이지임을 표시하기 위한 통보하기 위한 라이팅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선택시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외부 영역에서 내부 영역으로 삽입되는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종료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컨텐츠 페이지를 표시하고, 플릭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페이지 단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106913A 2012-09-26 2012-09-26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40041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13A KR20140041992A (ko) 2012-09-26 2012-09-26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13A KR20140041992A (ko) 2012-09-26 2012-09-26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992A true KR20140041992A (ko) 2014-04-07

Family

ID=5065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913A KR20140041992A (ko) 2012-09-26 2012-09-26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19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EP27227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KR102099646B1 (ko)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8448086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230417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EP2735960A2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navigation method
EP2706449B1 (en) Method for changing object 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80121076A1 (en) Drawing processing method, drawing program, and drawing device
US20150082211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user interface
JP201213374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表示サイズ制御方法
US11163422B1 (en)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ositioning a selection and selecting text on computing devices with touch-sensitive displays
US11914857B1 (en)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ointing and editing on computing devices with touch-sensitive displays
KR102156382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US100194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electronic document in mobile terminal
KR20140041992A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180173362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used in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383786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JP2012053662A (ja) タッチパネル操作方式の携帯端末
CN108205405B (zh) 显示装置、显示装置的显示方法及存储介质
KR20140047941A (ko) 휴대단말기의 노트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KR20220044929A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345847B1 (ko) 모바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CN111580706B (zh) 提供用户交互的电子设备及其方法
CN103902187A (zh)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JP2017162099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