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318A -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318A
KR20140041318A KR1020130045348A KR20130045348A KR20140041318A KR 20140041318 A KR20140041318 A KR 20140041318A KR 1020130045348 A KR1020130045348 A KR 1020130045348A KR 20130045348 A KR20130045348 A KR 20130045348A KR 20140041318 A KR20140041318 A KR 20140041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sin layer
multilayer film
laye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송민경
채헌승
최진식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41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층의 두께 조절 없이 배리어성 및 내후성이 월등히 우수하여 각종 포장제, 인쇄 재료, 전자 재료, 디스플레이용 소재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층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Multi―layered Flim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층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층의 두께 조절 없이 배리어성과 내후성이 월등히 우수한 다층 구조의 필름 및 상기 다층 구조의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다양한 용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필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배리어성과 내후성 모두를 갖춘 필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배리어 필름으로서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PVOH)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필름들은 강한 극성기를 가지고 결합구조가 견고하여 산소 등의 가스에 대한 배리어성이 우수하나, 말단기에 OH기를 가지고 있어서 수분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VDC) 코팅 필름은 산소와 수분에 대한 배리어성을 적절히 가지고 있으나, 환경 유해물질로 분류되어 점점 수요가 줄어들고 있고, 사용에 많은 규제가 있다.
또한, 무기물을 증착하여 배리어성을 부여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무기물로 인한 유연성(softness) 저하로 크랙이 발생하여 배리어성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한편, 폴리올레핀계인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은, 비극성기를 가지고 있어 수분 차단성이 우수하나, 낮은 유리전이온도에 의한 분자들의 미세브라운 운동으로 인해 가스 배리어성이 상당히 불량한 단점이 있으며, 화학적/생물적 안정성이 커서 분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COC) 필름은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배리어성은 우수한 편이나, 특유의 딱딱한 물성 때문에 가공하기가 어렵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한국공개특허 제2012-0082676호에서는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과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적층하고, 상기 개별층의 두께를 일정 범위로 조절시킨 다층필름을 개시한 바 있으나, 원하는 배리어성과 층간 결합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개별층의 두께를 일정 범위로 조절시켜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용이하지 않고, 일정 두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층간 박리현상 발생과 수분 투과율의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개별층의 두께 조절 없이 배리어성과 내후성이 월등히 우수한 다층 구조의 필름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과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교대로 적층시킬 경우, 개별층의 두께 조절 없이 배리어성 및 내후성이 월등히 뛰어난 동시에 내화학성, 내절연성 등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개별층의 두께 조절 없이 배리어성과 내후성이 월등히 우수한 다층 구조의 필름 및 상기 다층 구조의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 및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의 본 발명은 배리어성 및 내후성 측면에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n은 80 ~ 400의 정수이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의 본 발명은 작업성 측면에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100,000g/mol이고, 상대 점도가 1 ~ 3(25℃, 96% 황산 1ml중 폴리머 1g인 용액에서의 점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의 본 발명은 배리어성 및 내후성 측면에서, 상기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 노보넨 단량체의 공중합체로서, 에틸렌 및 노보넨 단량체의 공중합비가 2:8 내지 8:2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25 ~ 150℃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 15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의 본 발명은 층간 결합력 향상을 위한 측면에서, 상기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 사이에 접착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의 본 발명은 배리어성 및 내후성 측면에서, 상기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두께는 각각 0.1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의 본 발명은 배리어성 및 내후성 측면에서, 상기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두께비는 1 : 1 ~ 1 : 2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의 본 발명은 배리어성 및 내후성 측면에서, 상기 다층 필름은 3층 이상으로 적층하되, 최외각층이 제1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이 되도록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 및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교대로 적층하여 제조되는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의 본 발명은 적층한 후에 적층된 시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신한 다음, 열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의 본 발명은 배리어성 및 내후성 측면에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n은 80 ~ 400의 정수이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의 본 발명은 배리어성 및 내후성 측면에서, 상기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 노보넨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의 본 발명은 층간 결합력 향상을 위한 측면에서, 상기 제1 수지와 제2 수지 사이에 접착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은 개별층의 두께 조절 없이 배리어성 및 내후성이 월등히 우수하여 각종 포장제, 인쇄 재료, 전자 재료, 디스플레이용 소재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실시예 2)을 SEM(500 배율)으로 촬영한 단면 이미지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 및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과 수분 배리어성이 우수한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교대로 적층시켜 다층 구조의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개별층의 두께 조절 없이 배리어성 및 내후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층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을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n은 80 ~ 400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작업성 측면에서 100 ~ 200의 정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100,000g/mol이고, 상온 점도가 1 ~ 3(25℃, 96% 황산 1ml중 폴리머 1g인 용액에서의 점도임)이여서, 압출 시 흐름성이 좋아 작업성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층에는 상술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이외에도, 첨가제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중축합 촉매, 증백제, 분산제, 정전인가제, 결정화 촉진제, 블로킹 방지제, 무기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첨가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에서, 상기 제1 수지층은 0.1 내지 50㎛의 두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일 상기 제1 수지층의 두께가 0.1㎛ 미만인 경우, 연신 공정이 어렵고 배리어 특성을 부여하기 어려우며,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 딱딱한(brittle)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지층은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COC)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의 예에는 에틸렌 및 노보넨 단량체의 공중합체로서, 에틸렌 및 노보넨 단량체의 공중합비가 2:8 내지 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는 특히, 작업성이나 강도 측면에서 유리전이온도가(Tg)가 125℃ 내지 15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 15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수지층에는 상술한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 이외에도, 첨가제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중축합 촉매, 증백제, 분산제, 정전인가제, 결정화 촉진제, 블로킹 방지제, 무기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첨가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에서 상기 제2 수지층 역시 제1 수지층과 마찬가지로 0.1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 수지층의 두께가 0.1㎛ 미만인 경우, 연신 공정이 어려울 수 있고,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 딱딱한(brittle) 특성 보이며, 배리어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다층 필름의 제1 지층과 제2 지층의 개별층 두께비는 배리어성 및 내후성 측면에서 1 : 1 ~ 1 :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은 목적하는 필름 두께를 달성하기 위해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전체 층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체 층수는 연신 공정과 배리어성 측면에서 3층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350층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300층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층 필름의 최외각층은 배리어성 및 내후성 측면에서 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은 교대로 적층된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 사이에 중간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간층은 사용용도에 부합되도록 하되, 제1 수지와 제2 수지와는 다른 성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의 층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수지 등이 함유된 접착층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수지는 제1 수지와 제2 수지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가혹한 조건하에서도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 간의 층간 분리 없이 충분한 층간결합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제1 수지와 제2 수지층을 보다 층간 분리 없이 적층시키기 위해 5 ~ 20㎛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 및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교대로 적층하여 제조되는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층 후에, 적층된 시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신한 다음, 열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칩과,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칩 각각을 피드 블록(feed block)을 통해 교대로 적층이 이루어지게 한 후, 공압출 다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시트를 압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각 층의 두께가 0.1 내지 50㎛로 유지되도록 압출기의 용량을 적절히 조절하며, 상기 과정에서 배리어성, 인쇄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또는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가 외층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방법으로 압출된 시트는 캐스팅 틀을 이용하여 캐스팅 롤에 밀착시킨다. 이때 정전인가 범위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후 얻어진 공압출된 시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압출된 시트를 종 방향이나 횡 방향으로 1.5배 내지 6배로 연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배율이 1.5배 미만이면 강도의 저하 및 두께가 불량하게 되고, 6배를 초과하면 필름이 끊어지거나 수축율이 매우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제1 수지층(A)의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g/mol이고, 상대점도가 2.7이며, n이 200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미쓰비시 가스 케미컬사, MXD6)를 사용하였고, 제2 수지층(B)의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에틸렌 및 노보넨 단량체의 공중합비가 2:8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35℃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10,000g/mol인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폴리플라스틱스사, TOPAS 6013)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을 접착시킬 접착층(C)의 수지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접착수지(미쓰이 케미컬사, Admer QF551)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1 수지층의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제2 수지층의 사이클로 올레핀계 공중합체 수지 및 접착층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각각을 피드 블록을 통해 적층이 이루어지게 한 다음, 공압출 다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제1 수지층(A), 접착층(C), 제2 수지층(B), 접착층(C) 및 제1 수지층(A)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두께가 116㎛인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다층 필름의 제1 수지층의 두께는 25㎛이고, 제2 수지층의 두께는 50㎛이며, 접착층의 두께는 8㎛이였다.
<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1 수지층(A), 접착층(C), 제2 수지층(B), 접착층(C) 및 제1 수지층(A) 순서로 반복하여 개별층이 총 80층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122㎛인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다층 필름의 제1 수지층의 두께는 1.6㎛이고, 제2 수지층의 두께는 3.1㎛이며, 접착층의 두께는 0.6㎛이였다(도 1).
<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1 수지층(A), 제2 수지층(B) 및 제1 수지층(A)의 순서로 반복하여 총 80층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129㎛인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다층 필름의 제1 수지층의 두께는 1.6㎛이고, 제2 수지층의 두께는 4.4㎛이였다.
<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1 수지층(A), 접착층(C), 제2 수지층(B), 접착층(C) 및 제1 수지층(A) 순서로 반복하여 개별층이 총 320층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128㎛인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다층 필름의 제1 수지층의 두께는 0.4㎛이고, 제2 수지층의 두께는 0.8㎛이며, 접착층의 두께는 0.2㎛이였다.
<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만을 사용하여 두께가 120㎛인 단층 구조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만을 사용하여 두께가 122㎛인 단층 구조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실시예 3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1 수지층의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대신 폴리에틸렌 수지(대한유화사, Hiden M850)를 사용하여 제1 수지층(A), 제2 수지층(B) 및 제1 수지층(A)의 순서로 반복하여 총 320층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120㎛인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다층 필름의 제1 수지층의 두께는 0.2㎛이고, 제2 수지층의 두께는 1.6㎛이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투과도 측정>
헤이즈 측정기(Murakami사 제품, HM-150모델)을 이용하여 JIS K7136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된 전광투과도가 90% 이상인 경우, '○'로 표시하였고, 88% 이상에서 90% 미만인 경우에는 '△'로 표시하였으며, 88% 미만인 경우에는 'X'로 표시하였다.
<헤이즈 측정>
D65 광원이 장착된 헤이즈 측정기(Nippon Denshoku사 제품, NDH2000모델)을 이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된 헤이즈의 값이 2% 미만인 경우, '○'로 표시하였고, 2%이상에서 5% 미만인 경우에는 '△'로 표시하였으며, 5% 이상인 경우에는 'X'로 표시하였다.
<산소투과도 측정>
산소투과도 시험기(Mocon사, OX-TRAN)을 이용하여 ASTM D 3985 방법으로 측정하였다(단위: ㎤/(㎡·day)).
<수분투과도 측정>
수분투과도 시험기(Mocon사, PERMATRAN-W)을 이용하여 ASTM F 1249 방법으로 측정하였다(단위: g/(㎡·day)).
이와 같이 측정된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필름의 물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투과도(%)
헤이즈(%) X
산소투과도
㎤/(㎡·day)
5.4 4.0 2.8 3.7 350 6.7 365
수분투과도
g/(㎡·day)
1.7 2.2 1.3 2.0 2.8 41 2.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다층 필름은 각각의 상이한 개별층의 두께에서도 비교예 3의 다층 필름에 비해 투과도와 헤이즈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산소투과도 및 수분 투과도에서도 비교예 1 및 2의 단층 필름에 비해 산소 및 수분 투과도가 모두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은 개별층의 두께조절 없이 수분 및 산소에 대한 배리어 특성과 투과도 및 헤이즈에 대한 광학 특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 및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다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n은 80 ~ 400의 정수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 100,000g/mol이고, 상대 점도가 1 ~ 3(25℃, 96% 황산 1ml중 폴리머 1g인 용액에서의 점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 노보넨 단량체의 공중합체로서, 에틸렌 및 노보넨 단량체의 공중합비가 2:8 내지 8:2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25 ~ 150℃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 15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 사이에 접착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두께는 각각 0.5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두께비는 1 : 1 ~ 1 :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은 3층 이상으로 적층하되, 최외각층이 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
  9.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 및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교대로 적층하여 제조되는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적층 후, 적층된 시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신한 다음, 열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n은 80 ~ 400의 정수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 노보넨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와 제2 수지 사이에 접착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30045348A 2012-09-27 2013-04-24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413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7734 2012-09-27
KR1020120107734 2012-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318A true KR20140041318A (ko) 2014-04-04

Family

ID=5065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348A KR20140041318A (ko) 2012-09-27 2013-04-24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13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7741B1 (en) Coextruded multilayer cyclic olefin polymer films or sheet having improved moisture vapor barrier
EP1296829B1 (en) High moisture barrier films
EP1396337B2 (en) Packaging films containing coextruded polyester and nylon layers
CN1733397A (zh) 双向拉伸共挤高阻隔基材膜及其制备方法
AU2001268665A1 (en) High moisture barrier films
EP2603381B1 (en) Multi-layer sheet and method thereof
US20230016740A1 (en) Packaging films with alternating individual layers of glass and plastic
EP2741913B1 (en) Metallized polyethylene laminates
JP737212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56600B1 (ko) 친환경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6555242B2 (en) Longitudinally stretched, vacuum vapor coated packaging films
KR20140041318A (ko)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9158B1 (ko) 친환경 다층 배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A3115438C (en) Multilayer film and implementations thereof
JPS649943B2 (ko)
JP2023015849A (ja) 真空断熱材外装用積層体
KR20080071914A (ko) 적층 필름
KR102620810B1 (ko) 열접착성이 개선된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6320641B2 (ja) 耐引裂性多層フィルム
KR101848442B1 (ko)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1085B1 (ko) 적층공압출 비산방지 필름
KR102610858B1 (ko) 배리어 필름
WO2024029200A1 (ja) 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15857A (ja) 二軸延伸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
CN110576627A (zh) 透明尼龙膜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