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172A -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172A
KR20140041172A KR1020120108204A KR20120108204A KR20140041172A KR 20140041172 A KR20140041172 A KR 20140041172A KR 1020120108204 A KR1020120108204 A KR 1020120108204A KR 20120108204 A KR20120108204 A KR 20120108204A KR 20140041172 A KR20140041172 A KR 20140041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weight body
pole
protrus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1172A/ko
Publication of KR2014004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66C1/30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and also arranged to grip the sides of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ctuated by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량체의 일측면에 하부가 걸리고, 상부가 견인장치와 연결되는 제1연장대와, 하부가 중량체의 타측면에 걸리고, 중간부가 제1연장대와 교차되면서 연장되며, 상부가 견인장치와 연결되는 제2연장대와, 제1연장대와 제2연장대를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제2연장대는 제1연장대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연장부와, 제1연장대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연장부와, 전방연장부와 후방연장부를 상호 연결하고, 전방연장부와 후방연장부 사이에 제1연장대가 관통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스페이서와, 전방연장부와 후방연장부 상측으로 연장되고,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COUPLING DEVICE FOR LIFTING WEIGHT}
본 발명은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차량의 휠과 같은 중량체를 크레인과 같은 견인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 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앞에서 설명한 제선공정을 행하기 위해 고로 또는 전기로가 사용된다. 고로는 철광석으로부터 용선을 추출하는 노이고, 전기로는 유도 전류가 일으키는 열을 이용하여 고철을 용선으로 만드는 노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출선구에는 대탕도가 설치되어 고로에서 배출되는 용선과 슬래그를 분리하고, 슬래그가 분리된 용선은 지탕도를 지나 경주통으로 모아지고, 용선 운반차량에 의해 제강공정 작업장으로 운반된다.
관련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59662호(2012.6.19. 등록, 발명의 명칭 : 용선운반차용 제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용선 운반차량의 휠과 같이 중량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를 크레인을 이용해 안정되게 리프팅시킨 상태로 목적한 위치로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는, 중량체의 일측면에 하부가 걸리고, 상부가 견인장치와 연결되는 제1연장대; 하부가 상기 중량체의 타측면에 걸리고, 중간부가 상기 제1연장대와 교차되면서 연장되며, 상부가 상기 견인장치와 연결되는 제2연장대; 및 상기 제1연장대와 상기 제2연장대를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대는, 상기 제1연장대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연장부; 상기 제1연장대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연장부;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 사이에 상기 제1연장대가 관통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연장대 중 상기 제1연장대와의 교차부 상측에 형성된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연장대의 회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연장대는, 상기 중량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따라 상향 연장되는 제1수직연장부;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하부에 상기 돌출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저면에 걸리는 제1걸림부;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상부에서 상기 중량체의 타측면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연장대와 힌지 연결되는 제1수평연장부; 및 상기 제1수평연장부에서 상향 연장되고, 상기 견인장치의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는, 상기 중량체의 타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따라 상향 연장되는 제2수직연장부; 상기 제2수직연장부의 하부에 상기 돌출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저면에 걸리는 제2걸림부; 및 상기 제2수직연장부의 상부에서 상기 중량체의 일측면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대와 힌지 연결되는 제2수평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스페이서; 및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연결부가 결합되는 상부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견인장치의 와이어를 걸 수 있는 고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연장대와 상기 제2연장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섀클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는, 중량체의 일측면에 하부가 걸리고, 상부가 견인장치와 연결되는 제1연장대; 하부가 상기 중량체의 타측면에 걸리고, 중간부가 상기 제1연장대와 교차되면서 연장되며, 상부가 상기 견인장치와 연결되는 제2연장대; 상기 제1연장대와 상기 제2연장대를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는 회동축; 및 상기 제2연장대 중 상기 제1연장대와의 교차부 상측에 형성된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연장대의 회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연장대와 제2연장대를 중량체에 형성된 돌출부의 양측부에 각각 걸리도록 연결하고, 크레인과 같은 견인장치를 가동시키는 것에 의해 중량체를 안정되게 리프팅시킨 상태로 목적한 위치로 운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연장대와 제2연장대를 중량체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돌출부가 상단에 위치되는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중량체의 기울어짐 없이 안정되게 리프팅 및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작업자가 중량체에 형성된 홀을 통해 견인장치의 와이어를 직접 연결하고 휠 조립장치 등에 중량체를 내려놓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이나 옷이 끼여 발생되던 안전 사고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작업자가 와이어에 걸린 상태의 중량체를 돌출부가 상단에 위치되도록 직립시키는데 과다하게 소요되던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의 제2연장대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를 용선 운반차량의 휠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를 용선 운반차량의 휠의 외주부에 걸어 리프팅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의 제2연장대를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를 용선 운반차량의 휠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를 용선 운반차량의 휠의 외주부에 걸어 리프팅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200)는 제1연장대(210), 제2연장대(220), 회동축(230), 스토퍼(240), 섀클조인트(Shackle joint)(250)를 포함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10)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중량체(10)는 용선 운반차량의 휠과 같이 인력으로 들어올리기 어려운 무게(용선 운반차량의 휠은 일반적으로 300~350kg의 무게를 가진다)를 가지는 물체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본체부(11)와, 휠본체부(11) 둘레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외주부를 가지는 용선 운반차량의 휠을 중량체(10)의 일례로써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휠의 외주부와 같이 중량체(10)의 양측면(도 4에 도시된 휠의 좌측면과 우측면)상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부분을 돌출부(12)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제1연장대(210)는 중량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2)의 일측부(좌측부)에 그 하부가 걸리고, 중간부가 중량체(10)이 타측부(우측부)측으로 연장되며, 상부가 견인장치(30)와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연장대(210)는 제1걸림부(211), 제1수직연장부(212), 제1수평연장부(213), 제1와이어연결부(214)가 하측으로부터 연속하여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제1수직연장부(212)는 중량체(10)에 형성된 돌출부(12)의 일측면(도 5의 좌측면)과 접하는 부분으로, 돌출부(12)의 일측면을 따라 상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걸림부(211)는 제1수직연장부(212)의 하부에 연결되고, 돌출부(12)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걸림부(211)는 중량체(10)의 휠본체부(11)와 돌출부(12)간 경계부에 형성된 제1홈부(13)에 삽입된 상태로 돌출부(12)와 접하게 된다.
중량체(10) 리프팅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좌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의 저면이 제1걸림부(211)에 걸리면서 중량체(10)가 공중으로 리프팅된다.
제1수평연장부(213)는 제1수직연장부(212)의 상부에서 돌출부(12)의 타측부측(우측부측)으로 연장되고, 제2연장대(220)와 힌지 연결된다.
제1와이어연결부(214)는 돌출부(12)의 타측부측으로 연장된 제1수평연장부(213)의 단부에 연결되고, 중량체(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상측)으로 연장된다.
제1와이어연결부(214)의 단부에는 견인장치(30)의 와이어(33)를 걸 수 있는 고리부(251)를 구비한 섀클조인트(2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와이어연결부(214)상에는 제1홀부(214a)가 관통형성되고, 조인트연결축(253)은 섀클조인트(250)와 제1홀부(214a)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섀클조인트(250)는 조인트연결축(253)에 의해 제1연장대(210)상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섀클조인트(250)는 조인트연결축(253)에 의해 제1연장대(210)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리부(251)에 걸린 와이어(33)의 하단부 위치나 와이어(33)의 연장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량체(10)를 리프팅시킨 상태에서 중량체(10)의 하중은 와이어(33)의 위치, 연장 방향과 무관하게 고리부(251)의 상부와 조인트연결축(253), 제1와이어연결부(214) 중 조인트연결축(253)과의 접촉부에만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섀클조인트(250)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33) 연결용 고리를 제1연장대(210)에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 와이어(33)의 위치, 연장 방향에 따라 중량체(10)의 하중이 서로 다른 형태로 불안정하게 제1연장대(21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량체(10)의 하중이 제1연장대(210)에 불안정하게 작용함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중량체(10)의 리프팅을 안정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제2연장대(220)는 하부가 돌출부(12)의 타측부(우측부)에 그 하부가 걸리고, 중간부가 중량체(10)의 일측부(좌측부)측으로 연장되면서 제1연장대(210)와 교차되고, 상부가 견인장치(30)와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연장대(220)는 전방연장부(220A), 후방연장부(220B), 스페이서(225), 제2와이어연결부(224)를 포함한다.
전방연장부(220A)와 후방연장부(220B)는 제1연장대(210)를 사이에 두고 각각 전방과 후방에 위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방연장부(220A)와 후방연장부(220B)는 제2걸림부(221), 제2수직연장부(222), 제2수평연장부(223)가 하측으로부터 연속하여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제2수직연장부(222)는 돌출부(12)의 타측면(도 5의 우측면)과 접하는 부분으로, 돌출부(12)의 타측면을 따라 상향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걸림부(221)는 제2수직연장부(222)의 하부에 연결되고, 돌출부(12)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걸림부(221)는 중량체(10)의 휠본체부(11)와 돌출부(12)간 경계부에 형성된 제2홈부(14)에 삽입된 상태로 돌출부(12)와 접하게 된다.
중량체(10) 리프팅 시 일측(좌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의 저면이 제1걸림부(211)에 걸림과 동시에, 타측(우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의 저면이 제2걸림부(221)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중량체(1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의 기울어짐 없이 안정되게 공중으로 리프팅시킬 수 있다.
특히, 전방연장부(220A)와 후방연장부(220B)에 형성된 한 쌍의 제2걸림부(221)가, 제1연장대(210)에 형성된 제1걸림부(211)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하게 되므로, 중량체(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기울어짐 없이 안정되게 공중으로 리프팅시킬 수 있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용선 운반차량의 휠(중량체(10))은 외주부(돌출부(12))상에 반경방향으로 플랜지부(15)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플랜지부(15)가 휠의 외주부 중 일측(도 4, 도 5의 좌측)에 편중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제1연장대(210)의 제1수직연장부(212)는 플랜지부(15)의 일측단(도 4, 도 5에서 좌측단)과 접하게 되고, 제1수평연장부(213)는 플랜지부(15)의 상단과 접하는 지점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연장대(220)의 제2수평연장부(223)는 휠의 상단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단부(223a)와, 플랜지부(15)의 타측단(도 4, 도 5에서 우측단)과 접하도록 상향 경사지거나 굴곡되게 형성되는 경사단부(223b)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제1수직연장부(212), 제1수평연장부(213), 제2수평연장부(223)는 휠의 외주부와 접하는 단부상에 도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의 플랜지부(15)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S)를 형성하게 된다.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가 휠의 외주부 양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휠의 플랜지부(15)는 홈부(S)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연장대(210), 제2연장대(220) 중 중량체(10)와 접하는 단부를 중량체(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중량체(10)와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량체(10)의 리프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스페이서(225)는 전방연장부(220A)와 후방연장부(220B)를 상호 연결하고, 전방연장부(220A)와 후방연장부(220B) 사이에 제1연장대(210)가 관통되는 공간부를 형성한다.
스페이서(225)는 제1연장대(21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두께를 가지고 전방연장부(220A)와 후방연장부(220B) 사이에 설치되면서, 제1연장대(210)가 관통되는 공간부를 전방연장부(220A)와 후방연장부(220B) 사이에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225)는 하부스페이서(225a)와 상부스페이서(225b)를 포함한다.
하부스페이서(225a)는 전방연장부(220A)와 후방연장부(220B)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걸림부(221)에 설치된다.
상부스페이서(225b)는 전방연장부(220A)와 후방연장부(220B)의 상부, 즉 제2수평연장부(223)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와이어연결부(224)가 결합된다.
제1연장대(210)의 제1수평연장부(213)는 하부스페이서(225a)와 상부스페이서(225b) 사이의 공간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면서 제2연장대(220)의 제2수평연장부(223)와 교차된다.
회동축(230)은 전방연장부(220A), 제1연장대(210), 후방연장부(220B)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의 교차부를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한다.
회동축(230)을 중심으로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를 회동시키면서 제1연장대(210)의 제1걸림부(211)와 제2연장대(220)의 제2걸림부(221)간 이격 간격을 신축 조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211)와 제2걸림부(221)가 돌출부(12)보다 확장된 이격 간격을 가지도록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를 회동시키면,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 사이에 돌출부(12)를 위치시킬 수 있다.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 사이에 돌출부(12)를 위치시킨 후에는, 제1걸림부(211)와 제2걸림부(221)간 이격 간격이 축소되도록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를 반대로 회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를 회동시키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가 돌출부(12) 양측부에 접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제2와이어연결부(224)는 상부스페이서(225b)의 두께방향 중간부에 결합되고, 중량체(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상측)으로 연장된다.
제2와이어연결부(224)의 단부에는 섀클조인트(2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와이어연결부(224)상에는 제2홀부(224a)가 관통형성되고, 조인트연결축(253)은 섀클조인트(250)와 제2홀부(224a)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섀클조인트(250)는 조인트연결축(253)에 의해 제2연장대(220)상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섀클조인트(250)는 제1연장대(210)의 제1와이어연결부(214)와 제2연장대(220)의 제2와이어연결부(224)에 해당되는 2개소에 설치된다.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는 회동축(230)에 의해 상호 교차되게 힌지 연결되어 가위 형상을 이루고, 상부가 섀클조인트(250)에 의해 한 쌍의 와이어(33)와 연결된다.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 각각의 상부에 결합된 섀클조인트(250)를 상호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면,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의 하부에도 상호 근접시키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단부가 상호 근접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33)의 하단부를 섀클조인트(250) 각각에 연결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10)를 리프팅시키면, 제1수직연장부(212)와 제2수직연장부(222)는 돌출부(12)에 보다 견고하게 가압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중량체(10)를 리프팅시킨 상태에서 제1연장대(210), 제2연장대(220)와 중량체(10)간 연결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중량체(10)의 리프팅 및 견인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240)는 제2연장대(220) 중 제1연장대(210)와의 교차부 상측에 형성된 관통홀부(226)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가 중량체(10)의 양측면에 각각 접하는 상태에서 스토퍼(240)를 설치하면 제1연장대(210)는 스토퍼(240)에 걸려 그 회동이 구속된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240)를 설치함으로써,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가 중량체(10)의 양측면에 각각 접하는 상태에서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가 임의로 회동되면서 중량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200)는,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를 중량체(10)에 형성된 돌출부(12)의 양측부에 각각 걸리도록 연결하고, 크레인과 같은 견인장치를 가동시키는 것에 의해 중량체(10)를 안정되게 리프팅시킨 상태로 목적한 위치로 운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연장대(210)와 제2연장대(220)를 중량체(10)의 돌출부(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돌출부(12)가 상단에 위치되는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중량체(10)의 기울어짐 없이 안정되게 리프팅 및 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작업자가 중량체(10)에 형성된 홀을 통해 견인장치(30)의 와이어(33)를 직접 연결하고 휠 조립장치 등에 중량체(10)를 내려놓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이나 옷이 끼여 발생되던 안전 사고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작업자가 와이어(33)에 걸린 상태의 중량체(10)를 돌출부(12)가 상단에 위치되도록 직립시키는데 과다하게 소요되던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중량체 11 : 휠본체부
12 : 돌출부 13 : 제1홈부
14 : 제2홈부 30 : 견인장치
33 : 와이어 200 :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210 : 제1연장대 211 : 제1걸림부
212 : 제1수직연장부 213 : 제1수평연장부
214 : 제1와이어연결부 220 : 제2연장대
220A : 전방연장부 220B : 후방연장부
221 : 제2걸림부 222 : 제2수직연장부
223 : 제2수평연장부 224 : 제2와이어연결부
225 : 스페이서 225a : 하부스페이서
225b : 상부스페이서 226 : 관통홀부
230 : 회동축 240 : 스토퍼
250 : 섀클조인트 251 : 고리부
253 : 조인트연결축

Claims (7)

  1. 중량체의 일측면에 하부가 걸리고, 상부가 견인장치와 연결되는 제1연장대;
    하부가 상기 중량체의 타측면에 걸리고, 중간부가 상기 제1연장대와 교차되면서 연장되며, 상부가 상기 견인장치와 연결되는 제2연장대; 및
    상기 제1연장대와 상기 제2연장대를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대는,
    상기 제1연장대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연장부;
    상기 제1연장대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연장부;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 사이에 상기 제1연장대가 관통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대 중 상기 제1연장대와의 교차부 상측에 형성된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연장대의 회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대는,
    상기 중량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따라 상향 연장되는 제1수직연장부;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하부에 상기 돌출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저면에 걸리는 제1걸림부;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상부에서 상기 중량체의 타측면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연장대와 힌지 연결되는 제1수평연장부; 및
    상기 제1수평연장부에서 상향 연장되고, 상기 견인장치의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는,
    상기 중량체의 타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따라 상향 연장되는 제2수직연장부;
    상기 제2수직연장부의 하부에 상기 돌출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저면에 걸리는 제2걸림부; 및
    상기 제2수직연장부의 상부에서 상기 중량체의 일측면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대와 힌지 연결되는 제2수평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스페이서; 및
    상기 전방연장부와 상기 후방연장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연결부가 결합되는 상부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의 와이어를 걸 수 있는 고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연장대와 상기 제2연장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섀클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7. 중량체의 일측면에 하부가 걸리고, 상부가 견인장치와 연결되는 제1연장대;
    하부가 상기 중량체의 타측면에 걸리고, 중간부가 상기 제1연장대와 교차되면서 연장되며, 상부가 상기 견인장치와 연결되는 제2연장대;
    상기 제1연장대와 상기 제2연장대를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는 회동축; 및
    상기 제2연장대 중 상기 제1연장대와의 교차부 상측에 형성된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연장대의 회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KR1020120108204A 2012-09-27 2012-09-27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KR20140041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204A KR20140041172A (ko) 2012-09-27 2012-09-27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204A KR20140041172A (ko) 2012-09-27 2012-09-27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172A true KR20140041172A (ko) 2014-04-04

Family

ID=5065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204A KR20140041172A (ko) 2012-09-27 2012-09-27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11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8942A (zh) * 2015-12-25 2016-03-16 肖飚 一种铲机回转机构专用吊具
CN105398943A (zh) * 2015-12-24 2016-03-16 成都铁马机车车辆实业有限公司 一种安全吊具
CN105502145A (zh) * 2016-02-04 2016-04-20 河北晶通建筑科技有限公司 Pk预应力混凝土叠合板吊具及吊装架
KR102286392B1 (ko) * 2021-02-03 2021-08-05 주식회사 선진이엔씨 선로용 마운트 및 이를 이용한 선로 간 대차 이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8943A (zh) * 2015-12-24 2016-03-16 成都铁马机车车辆实业有限公司 一种安全吊具
CN105398942A (zh) * 2015-12-25 2016-03-16 肖飚 一种铲机回转机构专用吊具
CN105502145A (zh) * 2016-02-04 2016-04-20 河北晶通建筑科技有限公司 Pk预应力混凝土叠合板吊具及吊装架
KR102286392B1 (ko) * 2021-02-03 2021-08-05 주식회사 선진이엔씨 선로용 마운트 및 이를 이용한 선로 간 대차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1172A (ko) 중량체 리프팅용 연결장치
CN103406528B (zh) 板坯连铸机大包回转台模块化安装施工方法
CN203740389U (zh) 一种自卸式料箱
KR20140054825A (ko) 휠 수평이송용 연결장치
CN201325975Y (zh) 一种氧枪的倾转吊运装置
CN206735627U (zh) 一种叠式大板梁吊装装置
CN205816797U (zh) 一种钢包用翻包装置
CN205684703U (zh) 一种简易吊包
CN205629361U (zh) 稳定耐用的铸件浇注悬吊装置
CN210001415U (zh) 一种防止钢卷内径吊伤的保护装置
CN205170159U (zh) 可挂吊于天车的吊具
CN104477757B (zh) 无吊耳大型箱型件的手动专用吊具
CN205341897U (zh) 一种结构简单的重力浇铸机用金属模快速切换器
CN109052156A (zh) 一种用于电梯曳引轮的吊具
CN208787526U (zh) 一种便携式钢渣罐吊装倾翻装置
CN102699611A (zh) 半挂车主纵梁翻转焊接工装
CN105170961B (zh) 一种重力浇铸机用金属模快速切换器
CN207226809U (zh) 一种核电用多类型集装箱吊具结构
CN206767430U (zh) 剪刀式电线杆装卸装置
CN105478736A (zh) 一种结构简单的重力浇铸机用金属模快速切换器
CN204508588U (zh) 改进的板坯连铸废坯快速倒运斗
CN212334386U (zh) 一种用于站立式圆柱形钢锭单驱垂直起吊的蝶形吊具
CN203649383U (zh) 钢包倾翻装置
CN205709527U (zh) 安全型悬吊车
KR200445935Y1 (ko) 대형 샤클 리프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