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793A -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793A
KR20140040793A KR1020147000080A KR20147000080A KR20140040793A KR 20140040793 A KR20140040793 A KR 20140040793A KR 1020147000080 A KR1020147000080 A KR 1020147000080A KR 20147000080 A KR20147000080 A KR 20147000080A KR 20140040793 A KR20140040793 A KR 20140040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s
solar panel
shaft
connection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바트리네트
로거 로저
토마스 부르거
Original Assignee
후버 앤드 주흐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버 앤드 주흐너 아게 filed Critical 후버 앤드 주흐너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4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01L31/0200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0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 H01L31/02013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comprising output lead wires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 (14, 18) 용 접속 장치 (1) 에 관한 것이다. 접속 장치 (1) 는 둘 이상의 타입의 태양광 패널 (14, 18) 의 상이하게 배열된 접속 스트립들 (15, 19) 을 작동 접속하기 위한 접촉부들 (4.1 내지 4.4)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CONNECTING DEVICE FOR SOLAR PANEL}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른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또는 정션 박스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패널들용 접속 스트립들은 실질적으로 표준화되어 있다. 시장에서 확립이 된 두개의 상이한 접속 구성들이 존재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접속 스트립들 - 일반적으로 네 개 - 은 일렬로 서로에 대해 바로 옆에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4x1 구성). 제 2 실시형태에서, 접속 스트립들은 직사각형 (2x2 구성) 의 코너들에서 각각 두개의 스트립들 (2x2 구성) 상에 두개의 열로 배열된다. 개별적인 스트립들 사이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12 mm 내지 15 mm 이다. 스트립들은 일반적으로 클램핑, 납땜 또는 저항 용접에 의해 접촉된다.
다음의 두개의 산업 재산권들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었으며 정션 박스들에 관한 것이다: WO2008/000101 및 WO2008/124951.
정션 박스들에 관한 수많은 공개 공보가 선행 기술에 있어서 존재한다. 몇몇 예들은 아래에 열거된다: 예를 들면, 접속 스트립들의 2x2 배열을 갖는 태양광 패널들용 정션 박스를 개시하는 Yamaichi Electronics GmbH 에 의해 2009년에 출원된 EP2282349. 추가의 정션 박스들은 예를 들면 WO10052210 (Tyco), US7824190 (Weidmueller Interface), WO10025223 (Heyco Inc.), US2010039781 (Alltop Electronics), WO09122456 (Compel Electronics) 및 DE102008003448 (Yamaichi Electronics Co. Ltd.) 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정션 박스들은 특별히 구성된 개개의 정션 박스가 각각의 접속 구성에 대해 요구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점은 생산 비용들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 목적은 독립항에 규정된 접속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는 둘 이상의 타입의 태양광 패널들의 상이하게 배열된 접속 스트립들을 작동 접속하는데 적절한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접촉부들은 제 1 축에 대해 규정된 제 1 간격으로 측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또한 접촉부들은 직사각형의 코너 지점들에 대해 유사한 방식으로 규정된 제 2 간격으로 배열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두개의 외부 접촉부들은 제 1 축의 일측 상에 배열되고 두개의 내부 접촉부들은 대향측 상에 배열된다. 접속 장치는 바람직하게 태양광 패널용 정션 박스에 일체화된다. 이를 위해 접촉부들은 네개의 측면들 상에서 샤프트 벽들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접속 샤프트에 배열된다. 샤프트 벽들은 정션 박스의 하우징에 의해 일반적으로 형성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접촉부들은 수직 및/또는 수평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접촉부들은 모두 동일한 샤프트 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접촉부들은 서로에 대해 각지게 배열된 샤프트 벽들 및/또는 대향 샤프트 벽들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응하는 배열의 예들은 아래의 도면들에 도시된다. 다른 혼합된 형태들도 가능하다. 샤프트 벽들은 접촉부들 또는 접촉부들의 배열에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들은 평면으로 또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만곡되거나 또는 굽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들 및 관련된 설명들로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전방으로부터 그리고 위로부터 경사지게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2 는 전방으로부터 그리고 위로부터 경사지게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3 은 태양광 패널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접속 장치의 설치를 도시한다.
도 4 는 태양광 패널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접속 장치의 설치를 도시한다.
도 5 는 접속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6 은 접속 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면들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상응하는 부분들에 대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 는 각각 전방으로부터 그리고 위로부터 경사지게 접속 장치 (1) 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제 1 태양광 패널 (10) 상에서의 접속 장치의 설치를 도시한다. 도 4 는 제 2 태양광 패널 (15) 상에서의 접속 장치 (1) 의 설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접속 장치 (1) 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정션 박스 (2) 에 일체화된다. 접속 장치 (1) 는 접촉부들 (4) 이 샤프트 벽들 (5) 을 따라 배열된 접속 샤프트 (3) 를 갖는다. 접속 샤프트 (3) 는 정션 박스 (2) 의 하우징 (6) 에 의해 형성된다. 샤프트는 수직 방향 (z-방향) 으로 연장되고, 본원에서 네개의 측면들 상에서 폐쇄되고 모서리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정션 박스 (2) 가 태양광 패널에 작동 접속된 후, 접속 샤프트 (2) 는 밀봉제로써 포팅 (potting) 될 수 있다. 접촉부들 (4) 은 판금으로 제조되고 바닥부 (후방 벽 측면 상의 샤프트 단부 근처) 에 근접한 샤프트 (3) 내로 수평으로 돌출된다. 하우징 (6)의 내측에서는 접촉부들은 통상은,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장치들 (도시 생략) 및 접속 케이블 (7) 에 작동 접속된다.
도 3 및 도 4 로부터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부들 (4) 의 후방 측면들은 하우징 (6) 의 부분 (8) 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촉부들 (4) 이 태양광 패널 (도 3 및 도 4 참조) 에 접속하는 중에 갑작스럽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는 납땜 중에 간격에 의해 태양광 패널에 대해 보다 양호한 절연이 달성된다.
전체 네개의 접촉부들 (4.1 내지 4.4) 은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확인될 수 있다. 두개의 접촉부들 (4.2, 4.3) 은 보다 긴 샤프트 측면을 따라 서로에 대해 바로 옆에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한편, 다른 두개의 접촉부들 (4.1, 4.4) 은 샤프트 (3) 의 각각의 좁은 측면 상에서 서로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대향되어 배열된다.
접촉부들 (4.1 내지 4.4) 의 배열은 다음의 두 조건들을 만족한다: 
(a) 도 1 을 참조: 접촉부들 (4.1 내지 4.4) 의 중앙부들 (10) 은 본원에서 종샤프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축 (9) 의 종방향에 대해 제 1 간격으로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바로 옆에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제 1 축 (9) 에 대해 횡방향에서는, 접촉부들 (4.1 내지 4.4) 은 제 2 간격 (b) 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외부의 두개의 접촉부들 (4.1 및 4.4) 은 제 1 축 (9) 의 아래에 배열되고, 두개의 내부 접촉부들 (4.2 및 4.3) 은 제 1 축 (9) 의 위에 배열된다. 4x1 타입의 태양광 패널의 접속 스트립들의 선형 위치들은 원형들 (11) 로써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 1 축 (9) 을 따라 배열된다 (도 3 참조).
(b) 도 2 를 참조: 마름모형 (12) 으로써 개략적으로 나타낸 2x2 타입의 태양광 패널의 접속 스트립들의 직사각형의 제 2 위치에 관해, 접촉부들 (4.1 내지 4.4) 의 중앙부들 (10) 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제 2 축들 (13) 로부터 제 1 간격 (a2) 으로 종방향으로 쌍들로 배열된다. 중앙부들 (10) 은 횡방향으로 서로로부터 간격 (b2) 으로 쌍들로 배열된다. 중앙의 두개의 접촉부들 (4.2 및 4.3) 의 사이에는 간격 (c) 이 존재한다.
도 3 의 (a) 내지 도 3 의 (c) 는 도 1 에 따른 접속 장치 (1) 가 4x1 타입의 제 1 태양광 패널 (14) 에 어떻게 작동 접속되는지를 세개의 단계들로 개략적인 예시로써 도시한다. 이러한 태양광 패널에서, 접속 스트립들 (15) 은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바로 옆에 일렬로 배열된다. 제 1 단계 [도 3의 (a)] 에서, 접속 장치 (1) 는 제 1 태양광 패널 (14) 상에 위치된다. 이는 상대적인 이동을 예시하는 곡선 (16) 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3 의 (b) 는 제 1 태양광 패널 (14) 상에 위치된 후 정션 박스 (2) 를 도시한다. 정션 박스 (2) 의 후방 벽 (17) 은 제 1 태양광 패널 (14) 상에 안착된다. 제 1 접속 스트립들 (15) 은 도 1 에 도시된 제 1 축 (9) 을 따라 배열되고 제 1 위치들 (11) 에 위치된다. 접속 스트립들 (14) 은 도 3 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구부러짐에 의해 접촉부들 (4.1 내지 4.4) 에 근접하게 되고, 도전성 접촉을 갖도록 접촉부들 (4.1 내지 4.4) 에 작동 접속된다.
도 4 의 (a) 내지 도 4 의 (c) 는 도 2 에 따른 접속 장치 (1) 가 2x2 타입의 제 2 패널 (18) 에 어떻게 작동 접속되는지를 세 단계들로 개략도로써 도시한다. 본원에서, 접속 스트립들 (19) 은 직사각형으로 배열된다. 제 1 단계 [도 4 의 (a)] 에서, 접속 장치 (1) 는 제 2 태양광 패널 (18) 상에 위치된다. 이는 상대적인 이동을 예시하는 곡선 (16) 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4 의 (b) 는 제 2 태양광 패널 (18) 상에 위치된 후 정션 박스 (2) 를 도시한다. 정션 박스 (2) 의 후방 벽 (17) 은 제 2 태양광 패널 (18) 상에 안착된다. 제 2 접속 스트립들 (19) 은 도 2 에 도시된 제 2 위치 (12) 에 배열된다. 접속 스트립들 (19) 은 도 4 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구부러짐에 의해 접촉부들 (4.1 내지 4.4) 에 근접하게 되고, 도전성 접속을 갖도록 접촉부들 (4.1 내지 4.4) 에 작동 접속된다.
도 5 는 전방으로부터 그리고 위로부터 경사지게 접속 장치 (1) 의 제 2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접속 장치 (1) 는 태양광 패널들용 정션 박스 (2) 에 일체화된다. 정션 박스 (2) 는 샤프트 (3) 를 갖는 하우징 (6) 을 포함한다. 접촉부들 (20) 은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L-형상의 단면을 갖고 샤프트 벽들 (5) 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샤프트 (3) 에 배열된다. 접촉부들 (20) 은 개별적으로 제 1 위치들 (4x1 타입) (11) 및 제 2 위치들 (2x2 타입) (12) 에 위치된 4x1 타입 및 2x2 타입의 접속 스트립들 [도 3 의 (a) 및 도 4 의 (a) 를 참조] 에 작동 접속되는데 적합한 방식으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접촉부들 (20) 이 수직으로 배열되므로, 태양광 패널들의 접속 스트립들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부러지는 것이 아니라, 측면으로부터 접촉부들에 작동 접속된다. 작동 접속은 예를 들면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달성된다.
도 6 은 전방으로부터 그리고 위로부터 경사지게 접속 장치 (1)의 제 3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접속 장치 (1) 는 태양광 패널들용 정션 박스 (2) 에 일체화된다. 정션 박스 (2) 는 샤프트 (3) 를 갖는 하우징 (6) 을 포함한다. 직사각형 접촉부들 (20) 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샤프트 (3) 내에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이한 길이들을 갖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샤프트 벽 (5) 으로부터 돌출된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접촉부들 (20) 은 개별적으로 제 1 위치들 (4x1 타입) (11) 및 제 2 위치들 (2x2 타입) (12) 에 위치된 예를 들면 4x1 타입 및 2x2 타입의 상이한 태양광 패널들의 접속 스트립들 [도 3 의 (a) 및 도 4 의 (a) 를 참조] 에 작동 접속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수평으로 배열된다. 접촉부들 (20) 이 수직으로 배열되므로, 태양광 패널들의 접속 스트립들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굽혀지는 것이 아니라, 측면으로부터 접촉부들에 작동 접속된다. 작동식 접속은 예를 들면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달성된다. 필요하다면, 두개의 외부 접촉부들이 대향하는 샤프트 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혼합된 형태들도 가능하다.
a1: 제 1 간격 
b1: 제 2 간격 
a2: 제 3 간격 
b2: 제 4 간격 
c: 제 5 간격 
1: 접속 장치 
2: 정션 박스 
3: 접속 샤프트 (샤프트) 
4: 접촉부들 (4.1 내지 4.4) 
5: 샤프트 벽들 
6: 하우징 (정션 박스) 
7: 케이블 
8: 부분 (하우징의) 
9: 제 1 축 
10: 중앙부들 (접촉부들) 
11: 제 1 위치 접속 스트립들 (4x1 타입) 
12: 제 2 위치 접속 스트립들 (2x2 타입) 
13: 제 2 축들 
14: 제 1 태양광 패널 (4x1 타입) 
15: 제 1 접속 스트립들 (4x1 타입) 
16: 곡선 (설치) 
17: 후방 벽 (하우징) 
18: 제 2 태양광 패널 (2x2 타입) 
19: 제 2 접속 스트립들 (2x2 타입) 
20: 접촉부들

Claims (12)

  1. 둘 이상 (more than one) 의 타입의 태양광 패널들 (solar panels) 의 상이하게 배열된 접속 스트립들을 작동 접속하는데 적절한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들은 제 1 축에 대해 제 1 간격 (a1) 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들은 2개의 제 2 축들에 대해 제 3 간격 (a2) 으로 쌍들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간격 (a1) 은 상기 제 3 간격 (a2) 의 대략 두배 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의 일측 상에 두개의 외부 접촉부들이 배열되고, 대향측 상에 두개의 내부 접촉부들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는 정션 박스 (junction box) 에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들은 접속 샤프트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샤프트는 네개의 측면들 상의 샤프트 벽들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벽들은 상기 정션 박스의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들은 수평 및/또는 수직이 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들은 L-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들은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KR1020147000080A 2011-06-03 2012-04-24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KR201400407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942/11A CH705106A2 (de) 2011-06-03 2011-06-03 Anschlussvorrichtung für Solarpanel.
CH00942/11 2011-06-03
PCT/EP2012/057472 WO2012163604A2 (de) 2011-06-03 2012-04-24 Anschlussvorrichtung für solar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793A true KR20140040793A (ko) 2014-04-03

Family

ID=4600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080A KR20140040793A (ko) 2011-06-03 2012-04-24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127951A1 (ko)
EP (1) EP2715893A2 (ko)
JP (1) JP2014522625A (ko)
KR (1) KR20140040793A (ko)
CN (1) CN103503259A (ko)
CH (1) CH705106A2 (ko)
WO (1) WO201216360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6769B2 (en) * 2015-06-29 2019-04-0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Terminal for solar junction box
CN105914513B (zh) * 2016-06-17 2018-12-21 慈溪冬宫电器有限公司 一种环保多功能插座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4234A1 (de) * 2001-11-07 2003-05-22 Kostal Leopold Gmbh & Co Kg Anordnung bestehend aus einem paneelartig aufgebauten Modul und aus einer Anschlußeinheit, Anschlußeinheit für eine solche Anordnung, Verfahren zum Erstellen einer solchen Anordnung sowie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Anordnung
US20100018572A1 (en) 2006-06-29 2010-01-28 Huber+Suhner Ag Connection Box
ES2370863T3 (es) 2007-04-13 2011-12-23 Huber+Suhner Ag Caja de conexión
CN201171188Y (zh) * 2007-12-19 2008-12-24 苏州快可光伏电子有限公司 太阳能电池板控制接线盒
DE102008003448B4 (de) 2008-01-08 2017-01-05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Anschlußdose, Verwendung, Solarpaneel, Kontaktelement, und Verfahren
ITMI20080569A1 (it) 2008-04-02 2009-10-03 Compel Electronics S P A Sistema di interconnessione di pannelli fotovoltaici
DE202008006111U1 (de) * 2008-05-03 2008-07-24 Lumberg Connect Gmbh Anschlussdose für ein Solarmodul
CN101651262B (zh) 2008-08-12 2012-03-21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太阳能电池板连接盒
EP2332399B1 (en) 2008-08-29 2012-01-04 Heyco, Inc. Junction box for photovoltaic systems
DE202009004930U1 (de) 2008-09-22 2010-03-04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vorrichtung für Flachleiter
DE102008056283A1 (de) 2008-11-07 2010-05-20 Tyco Electronics Amp Gmbh Verbindungsvorrichtung für ein photovoltaisches Solarmodul
KR101024619B1 (ko) * 2009-04-24 2011-03-25 커넥스일렉트로닉스(주) 태양 전지 모듈용 스마트 정션박스
DE102009036458A1 (de) 2009-08-06 2011-02-10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Solar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CN201742051U (zh) * 2010-04-23 2011-02-09 苏州快可光伏电子有限公司 太阳能用控制接线盒
DE202011002913U1 (de) * 2011-02-18 2011-04-21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Anschlußdo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3604A3 (de) 2013-05-23
CH705106A2 (de) 2012-12-14
US20140127951A1 (en) 2014-05-08
EP2715893A2 (de) 2014-04-09
WO2012163604A2 (de) 2012-12-06
CN103503259A (zh) 2014-01-08
JP2014522625A (ja)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6481B2 (en) Terminal row for a terminal device
US9877420B2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gasket
JP6118206B2 (ja) ナット圧入保持構造
KR101349269B1 (ko)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JP2012218287A5 (ko)
CN102005658A (zh) 基板连接接插件
KR20190020114A (ko)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하우징 프레임에 패널을 체결하는 패널 홀더, 및 대응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CN103124484A (zh) 电子设备
JP6449694B2 (ja) 電子制御装置
KR20140040793A (ko) 태양광 패널용 접속 장치
US10136522B2 (en) Electrical terminal and circuit board assembly containing the same
CN103427193A (zh) 连接器
US10051757B1 (en) Electronic package module
KR100734053B1 (ko) 정션박스의 터미널 조립구조 및 그 방법
CN102752966A (zh) 印刷电路板用垫片
KR20170077230A (ko) 플러그 커넥터용 벽 부싱
CN104812182A (zh) 电器盒及具有该电器盒的空调器
US9077164B2 (en) Cutting plate for joining together wiring harnesses of electrical cables on an aircraft
KR20180052431A (ko) 커넥터 장치
JP5760240B2 (ja) プラグイン分電盤
JP6127292B2 (ja) 接続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3217019U (ja) 導電体を接続するための端子装置のアセンブリ
CN204555511U (zh) 压缩机底板及压缩机
JP6148743B2 (ja) 真空ポンプ及び真空ポンプの製造の為の方法
US9214779B2 (en) Retaining and contacting element, contac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tacting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