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730A - 글리콜 에테르 및 물을 함유하는 고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글리콜 에테르 및 물을 함유하는 고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730A
KR20140040730A KR1020137032011A KR20137032011A KR20140040730A KR 20140040730 A KR20140040730 A KR 20140040730A KR 1020137032011 A KR1020137032011 A KR 1020137032011A KR 20137032011 A KR20137032011 A KR 20137032011A KR 20140040730 A KR20140040730 A KR 20140040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composition
glycol
composition
ether
sorbit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싸 우
맥 라이
인 주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4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7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글리콜 에테르, 겔화제, 및 물을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이 제공된다. 그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글리콜 에테르 및 물을 함유하는 고체 조성물{SOLID COMPOSITIONS CONTAINING GLYCOL ETHER AND WATER}
본 발명은 고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교적 많은 양의 물을 포함하며 비교적 낮은 머쉬(mush) 및 균열을 나타내는, 고체 클렌징 조성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 사용을 위한,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된 매우 다양한 고체 조성물이 본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다이벤즈알데하이드 모노소르비톨 아세탈, 또는 다이벤질 모노소르비톨 아세탈 또는 다이벤질리덴 모노소르비톨 아세탈로도 칭해짐)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방향족 고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상에서 불소 또는 메톡시 기로 치환된 것, 및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609,85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르비톨 부분이 자일리톨 또는 리비톨과 같은 다른 환원당으로 대체되어 있는 것)와 같은 겔화/고화제를 사용하여 유기 액체를 겔화시킴으로써 다양한 고체 조성물이 제조된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다수의 화장품, 특히 헹굼형(rinse-off) 제품이 비교적 중간 내지 고용량의 물을 함유하는 경향이 있으며, 고체 화장품, 예를 들어, 고체 샴푸, 고체 샤워 젤, 또는 고체 클렌징 바아(cleansing bar)를 제조하려는 시도에서, 다이베질리덴 소르비톨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오일 겔화 조성물에 다량의 물 또는 수계 분산액을 포함시키는 것은 상분리를 야기할 수 있거나 또는 조성물이 고화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인지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은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공지의 고체 조성물이, 그와 관련된 비교적 높은 머쉬 및 균열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갖는 경향이 있음을 인지하였다.
예를 들어, 비교적 물의 부재 하에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글리콜 용매, 및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투명 클렌징 바아가 램비노(Lambino) 등의 미국 특허 제6,514,919호에 기재되어 있다. 램비노의 특허에는 상기 특허의 투명 클렌징 바아가 비교적 낮은 머쉬를 갖는 경향이 있다고 나타나있지만, 본 출원인은 클렌저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에 물을 포함시키는 것, 및/또는 그와 관련된 머쉬 및/또는 균열을 추가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인지하였다.
다른 예에는, 음이온성 비누,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자일리톨/리비톨, 글리세린 및 물로 제조된 비-투명 클렌징 바아를 기재하는, 호리간(Hourigan)의 미국 특허 제7045491호가 포함된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그러한 바아가 소정 응용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머쉬 및/또는 균열 특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을 수 있으며 투명성이 결여되는 경향이 있음을 인지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개선된 머쉬 및/또는 균열 특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며, 소정 실시 형태에서, 투명성 및/또는 순함(mildness)의 특성을 추가로 나타내는, 물을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이 필요함을 인지하였다.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글리콜 에테르, 겔화제, 및 물을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인은 뜻밖에도, 겔화제 및 물과 함께 글리콜 에테르 용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이 다른 비견되는 고체 조성물과 비교하여 머쉬 및 경도와 같은 특성의 개선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음을 알아내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교적 중간 내지 고수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허용하면서도 여전히 고화되고 이로운 머쉬, 경도, 및/또는 투명도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다른 비견되는 조성물은 물의 그러한 비교적 중간 내지 고수준에서는 고화되지 않거나 특성들의 유리한 조합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아내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나타내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조성물과 관련된 머쉬 및 균열을, 램비노 등의 미국 특허 제6,514,919호 및 호리간의 미국 특허 제7045491호의 기재에 따라 제조된 비견되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램비노 및 호리간의 특허로부터의 고체 조성물은 약간량 내지 상당량의 머쉬 및/또는 균열을 나타낸 반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머쉬 및 균열을 본질적으로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교적 고수준의 물을 포함하면서도 고화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비견되는 조성물은 물의 그러한 수준에서는 고화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정 조성물은 투명한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은 여행하거나 캠핑과 같은 야외 활동에 참여하는 동안 사용을 위해 휴대할 수 있으며 수송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또한 유리하다. 본 고체 조성물은 또한 복잡한 포장이 필요하지 않아서 경제적인 경향이 있으며, 통상적인 액체 제형과 비교하여 대개 감소된 수준의 보존제를 필요로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고체" 조성물은, 처리 동안 관찰가능한 연화(softness) 또는 형상 변화 없이 손의 압력으로 취급가능하며 포장으로부터 빼낼 수 있는, 주위 온도 (예를 들어, 50% 상대 습도에서 실온, 약 27℃)에서 충분히 단단한 조성물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조성물은 경도가 약 3N 이상이다.
소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글리콜 에테르, 겔화제, 및 물을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조성물 중 성분들의 모든 백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활성물/고형물 성분의 중량%이다.
임의의 적합한 글리콜 에테르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글리콜 에테르의 예에는, 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아이소프로필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등, 에틸렌 글리콜 아릴 에테르,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벤질 에테르 등, 에틸렌 글리콜 다이알킬 에테르,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다이부틸 에테르 등, 다이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예를 들어,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n-부틸 에테르 등,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예를 들어,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등, 및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예를 들어,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등뿐만 아니라, 임의의 둘 이상의 그러한 글리콜 에테르의 혼합물 등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글리콜 에테르의 소정의 바람직한 예에는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등이 포함된다. 소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글리콜 에테르는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이거나 그를 포함한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글리콜 에테르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조성물의 0 초과 내지 약 80 중량%의 글리콜 에테르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5% 내지 약 75%, 예를 들어, 소정 실시 형태에서, 약 5% 내지 약 30%, 및 약 25 내지 약 60%의 글리콜 에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체 클렌저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액체계(liquid system)에 용해될 수 있으며 그후에 상기 액체계를 고화시키거나 상기 액체계로부터 겔-유사 고체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임의의 다양한 재료가 본 발명에 따른 겔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겔화제의 예에는, 금속 (음이온성) 비누, 예를 들어, C12-C18 알킬 지방산을 포함하는 C8 (또는 더 고급) 알킬 지방산의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암모늄 염, 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리튬 스테아레이트 등;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파라핀 왁스, 세레신 왁스, 미정질 왁스,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카나우바 왁스, 및 칸델릴라 왁스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왁스; 덱스트린 팔미테이트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무수 규산; 유기 개질 점토 광물; 글리세릴 베헤네이트/에이코사다이오에이트; 다이벤질리덴 알디톨, 예를 들어,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다이벤질리덴 자일리톨, 다이벤질리덴 리비톨, 4-메틸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4-에틸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4-클로로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2,4-다이메틸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비스(3,4-다이메틸에스벤질리덴) 소르비톨 아세탈, 트라이벤질리덴 소르비톨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다이벤질리덴 알디톨; 또는 다이부틸 에틀헥사노일 글루타미드, GP-1 (다이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미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아미노산계 오일 겔화제가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겔화제의 예에는 다이벤질리덴 알디톨, 예를 들어,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다이벤질리덴 자일리톨, 다이벤질리덴 리비톨, 4-메틸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4-에틸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4-클로로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2,4-다이메틸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비스(3,4-다이메틸에스벤질리덴) 소르비톨 아세탈, 트라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소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겔화제는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이거나 그를 포함한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겔화제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조성물의 0 초과 내지 약 10 중량%의 겔화제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0.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 중량%의 겔화제를 포함한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소정 실시 형태에 따른 금속 비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금속 비누가 실질적으로 부재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금속 비누가 본질적으로 부재하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미만의 그러한 성분을 갖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비누가 본질적으로 부재하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 이하의 금속 비누를 갖는다. 소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금속 비누가 본질적으로 부재하는 조성물은 그 안에 금속 비누를 전혀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물을 약 10% 이상의 양으로 포함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10% 내지 약 70%의 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60%의 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30% 내지 약 60%의 물을 비롯한, 약 20% 내지 약 60%의 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35 중량% 내지 약 70 중량%, 및 40 중량% 내지 약 70 중량%의 물을 비롯한, 35 중량% 이상의 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화 상승제(solidifying synergist)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계 중 겔화제의 존재 하에, 액체계를 고화시키거나 액체계로부터 겔-유사 고체를 형성하는 데 또한 기여할 수 있는 임의의 다양한 재료가 본 발명에 따른 고화 상승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액체계에 겔화제와 함께 고화 상승제를 첨가함으로써, 생성되는 겔의 강도 또는 계의 겔화점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고화 상승제의 예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셀룰로오스 및 구아 유도체; 아크릴산 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알킬렌/ 알킬렌 옥사이드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예를 들어, PEG-150 다이스테아레이트, PEG-120 메틸 글루코스 다이올레에이터 등, 친수성 스멕타이트 및 유기점토, 수화 및 건식 실리카, 젤라틴, 케라틴, 잔탄 및 구아 검, 카라기난, 한천 및 알기네이트가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화 상승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이거나 그를 포함한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고화 상승제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조성물의 0 초과 내지 약 10 중량%의 고화 상승제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 중량%의 고화 상승제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공용매를 포함한다. 적합한 공용매에는, 약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다이하이드록시 지방족 알코올, 예를 들어, 1,3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1,4 부틸렌 글리콜 및 헥실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예를 들어,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 글리콜 및 1,3-프로판다이올; 1가 알코올, 예를 들어, 에탄올 및 프로판올; 다가 알코올 또는 폴리올, 예를 들어, 말티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롤, 다이글리세롤 및 폴리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공용매는 폴리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이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공용매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1,3-부틸렌 글리콜이거나 그를 포함한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공용매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조성물의 0 내지 약 60 중량%의 공용매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조성물의 약 0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30 중량% 또는 20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공용매를 포함한다.
글리세린이 본 발명의 소정 실시 형태에 따른 적합한 공용매일 수 있지만,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글리세린이 본질적으로 부재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글리세린이 본질적으로 부재하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미만의 그러한 성분을 갖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이 본질적으로 부재하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 이하의 글리세린을 갖는다. 소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글리세린이 본질적으로 부재하는 조성물은 그 안에 글리세린을 전혀 갖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배합된 글리콜 에테르와 임의의 선택적인 공용매의 총 중량 퍼센트는 조성물 중 0 초과 내지 약 80 중량%이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5 내지 약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60 중량%의 배합된 글리콜 에테르 및 선택적인 공용매를 포함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예를 들어, 고체 조성물이 고체 클렌저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의 과립, 계면활성제 분말 등과 같은 고체 형태, 또는 액체일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계면활성제는 액체 계면활성제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부분이 음전하를 띠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지칭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설명은 수많은 교과서 및 논문, 예를 들어, 문헌 [Rieger, Surfactant Encyclopedia, 2nd Ed., C&T Ingredient Resource Series of COSMETICS AND TOILETRIES® magazine, published by Allured Publishing Corporation, Carol Stream, Ill. (1996)]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그의 관련 개시 내용은 참고로 포함된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아실아미노산 (및 염), 예를 들어, 아실구타메이트, 아실 펩티드, 사르코시네이트, 타우레이트 등; 카르복실산 (및 염), 예를 들어, 알칸산 (및 알카노에이트), 에스테르 카르복실산, 에테르 카르복실산 등; 인산 에스테르 (및 염); 설폰산 (및 염), 예를 들어,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이세티오네이트,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및 염) 등; 및 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설페이트 등이 포함된다. 소정의 바람직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모노글리세릴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페이트; 알킬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나메이트; 알킬 아미도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카르복실레이트; 알킬 아미도에테르카르복실레이트; 알킬 석시네이트; 지방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지방 아실 아미노산; 지방 아실 타우레이트; 지방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및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여기서, 알킬 기는 약 10 내지 약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소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나 이상의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포석시네이트,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소듐 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소듐 C14-16 올레핀 설포네이트, 다이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 C14-16 올레핀 설포네이트, 다이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이거나 그를 포함한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조성물의 0 초과 내지 약 30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0.5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5 중량%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5 중량%의 활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양쪽성"은 1) 예를 들어, 아미노 (염기성) 및 산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 산성) 작용기 둘 모두를 포함하는 아미노산과 같이, 산성 부위 및 염기성 부위 둘 모두를 포함하는 분자; 또는 2) 양전하와 음전하 둘 모두를 동일한 분자 내에 보유하는 쯔비터이온성 분자를 의미한다. 후자의 전하는 조성물의 pH에 의존적일 수 있거나 아니면 독립적일 수 있다. 쯔비터이온성 재료의 예에는 알킬 베타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반대 이온 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pH 조건 하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양전하와 음전하의 균형을 이루어서 전기적으로 중성이거나, 아니면 반대 이온,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 또는 암모늄 반대 이온을 갖는다는 것을 쉽게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암포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알킬암포아세테이트 (모노 또는 다이); 알킬 베타인; 아미도알킬 베타인; 아미도알킬 설타인; 암포포스페이트; 포스포릴화된 이미다졸린, 예를 들어, 포스포베타인 및 파이로포스포베타인; 카르복시알킬 알킬 폴리아민; 알킬이미노-다이프로피오네이트; 알킬암포글리시네이트 (모노 또는 다이); 알킬암포프로프리오네이트 (모노 또는 다이),); N-알킬 β-아미노프로프리온산; 알킬폴리아미노 카르복실레이트;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알킬 베타인, 아미도알킬베타인, 포소포베타인, 알킬암포글리시네이트,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이 포함된다. 소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로암포글리시네이트, 라우릭-미리스틱 포스포베타인, 라우릴 베타인,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소듐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다이소듐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조성물의 0 초과 내지 약 30 중량%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0.5 중량% 내지 약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20 중량%의 활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부분이 전하를 띠지 않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한 부류는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인데,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는 (1) (a) 약 8 내지 약 22,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산, 및 (b) 소르비톨, 소르비탄, 글루코스, α-메틸 글루코사이드, 분자당 평균 약 1 내지 약 3개의 글루코스 잔기를 갖는 폴리글루코스,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며, (2) 평균 약 10 내지 약 12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80개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고; (3)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1 몰당 평균 약 1 내지 약 3개의 지방산 잔기를 갖는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다른 부류는 장쇄 알킬 글루코사이드 또는 폴리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며, 이들은 (a) 약 6 내지 약 22개,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장쇄 알코올과, (b) 글루코스 또는 글루코스-함유 중합체의 축합 생성물이다. 알킬 글루코사이드는 알킬 글루코사이드 1몰 당 약 1 내지 약 6개의 글루코스 잔기를 갖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 20이 포함된다. 평균 약 8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라우르산의 소르비탄 모노에스테르인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는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의 아이씨아이 설팩턴츠(ICI Surfactants)로부터 상표명 "아틀라스(Atlas) G-4280"로 구매가능하다. 대략 2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축합된 소르비톨 무수물과 소르비톨의 혼합물의 라우레이트 모노에스테르인 폴리소르베이트 20은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의 아이씨아이 설팩턴츠로부터 상표명 "트윈(Tween) 20"으로 구매가능하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조성물의 0 초과 내지 약 30 중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0.5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의 활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한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부분이 양전하를 띠는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지칭한다. 유용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N-알킬 베타인, 4차 암모늄 화합물, 아미도-아민, N-알킬아민, N-알킬아민 옥사이드, 아미도-아민 베타인, 아미도-아민 염, 아미도-아민 옥사이드, 설타인 및 에톡실화된 아민이 포함된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조성물의 0 초과 내지 약 15 중량%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0.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 중량%의 활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와 관련된 임의의 적합한 pH를 가질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미만의,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된, pH 값을 나타낸다.
선택적인 기타 성분들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성분들의 예에는 다양한 최종 효과를 위한 활성제, 산화방지제, 향료, 착색제 및 염료, 비드, 항미생물제, 방부제, 및 습윤제, 예를 들어, 당, 우레아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고체 조성물이다. 예를 들어, 본 조성물은 전통적인 고체 재료의 형태, 예를 들어, 바아, 스틱, 케이크 등일 수 있으며, 임의의 다양한 형상(통상 및 신규)일 수 있고, 또한 겔 및 겔-유사 재료의 형태일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클렌징 바아이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은 비교적 적은 머쉬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기재된 머쉬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할 때, 본 발명의 소정의 바람직한 조성물은 약 10 g/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g/50㎠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g/50㎠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g/50㎠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g/50㎠ 이하의 총 머쉬를 나타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머쉬를 본질적으로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은 비교적 적은 균열을 나타내거나 균열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기재된 균열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할 때, 본 발명의 소정의 바람직한 조성물은 균열 등급 I을 나타내거나 또는 균열을 본질적으로 전혀 나타내지 않으며, 균열을 본질적으로 전혀 나타내지 않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출원인들은, 소정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이 반투명하거나 투명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적합하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투명"은,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기재된 투명도 시험에 따라 측정할 때, 최대 광투과율이 3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인 고체 클렌저 조성물을 지칭한다. 용어 "반투명"은,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기재된 투명도 시험에 따라 측정할 때, 최대 광투과율이 2% 초과이나 35% 미만인 고체 클렌저 조성물을 지칭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명하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은 바람직한 경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기재된 경도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할 때, 본 발명의 소정의 바람직한 조성물은 약 3 내지 약 50 뉴턴 (N),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50 N의 경도 값을 나타낸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체 클렌징 조성물은 바람직한 거품 부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기재된 발포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할 때, 본 발명의 소정의 바람직한 조성물은 약 5 ㎝ 이상의 거품 부피를 나타낸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8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 ㎝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8 ㎝ 이상의 거품 부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글리콜 에테르와 겔화제,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고화 상승제 및 선택적인 공용매를 포함하는 가열된 겔화 혼합물을,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액체와 배합하는 단계, 및 냉각하여 청구된 발명의 고체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고체 조성물은 글리콜 에테르와 선택적인 공용매를 혼합하고 약 80℃ 이상으로 가열하고, 이어서, 겔화제 및 고화 상승제를 첨가하고, 약 110℃ 내지 약 140℃까지 계속 가열하고, 투명한 점질물이 형성될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가열된 혼합물에 계면활성제와 물의 용액을 첨가한다. 상기 조성물을 약 80℃ 내지 약 90℃에서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한다. 온도가 약 90℃ 미만에 도달하였을 때 향료 및 착색제와 같은 선택 성분들을 첨가한다. 이어서, 용융된 스톡을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제조된 상이한 형태의 적합한 금형에 주입하고 주위 온도에서 냉각되게 두어 경화시킨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고체 클렌저 조성물은 액체 샤워 젤 및 샴푸와 같은 구매가능한 액체 클렌저를 고화시켜 제조된다. 통상적인 액체 샤워 젤 및 샴푸의 물 함량은 대개 조성물의 약 70 중량% 이상이다. 이러한 수성상을, 본 발명의 겔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고화시킬 수 있다. 시판 액체 샤워 젤 또는 샴푸를, 글리콜 에테르와 겔화제를 포함하는 가열된 겔화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을 계속하여 균질한 조성물을 얻는다. 이어서, 이러한 균질한 조성물을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제조된 것들과 같은 상이한 형태의 적합한 금형에 주입하고 주위 조건에서 냉각되게 두어 경화시킨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을 더욱 완전하게 예시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모든 부, 백분율, 및 비율은 달리 표시되지 않는다면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하기 실시예들에서 이용되는 재료들의 공급처는 하기와 같았다: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은 밀리켄 앤드 컴퍼니(Milliken & Company)로부터 상표명 밀리틱스(MILLITHIX)(등록상표) 925S로 입수하였고;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는 다우(DOW)로부터 상표명 메토셀(METHOCEL) K100 프리미엄으로 입수하였고;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는 다우로부터 상표명 다우아놀(DOWANOL) TPM 글리콜 에테르로 입수하였고;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는 폴리스타(Polystar)로부터 상표명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로 입수하였고; 프로필렌 글리콜은 동잉 하이-테크(Dongying Hi-Tech)로부터 상표명 프로필렌 글리콜 USP로 입수하였고; 글리세린은 케리 올레오케미칼(Kerry Oleochemical)로부터 상표명 RG-995(USP)로 입수하였고;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은 에보닉 인더스트리즈(Evonik Industries)로부터 상표명 테고(TEGO)(등록상표) 베타인 F 50J (44% 물)로 입수하였고; 코코-글루코사이드는 코그니스(Cognis)로부터 상표명 플란타케어(Plantacare) 818 UP (50% 물)로 입수하였고; 우레아는 상하이 리에이전트 컴퍼니(Shanghai Reagent co.)로부터 상표명 우레아로 입수하였고;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2EO)는 코그니스로부터 상표명 텍사폰(TEXAPON) N70 LS-J (30% 물)로 입수하였고; 소듐 C14-16 올레핀 설포네이트는 쭝칭 케미칼(Zhongqing Chemical)로부터 상표명 AOS 35 (63% 물)로 입수하였고; 소듐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는 코그니스로부터 상표명 데하이톤(DEHYTON) KE 1889/50 (50% 물)으로 입수하였고; 코카미드 MEA는 코그니스로부터 상표명 컴펄란(Comperlan) 100C로 입수하였고;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는 아지노모토 컴퍼니 인크(Ajinomoto co. inc)로부터 상표명 아미소프트(AMISOFT) LS-11 (계면활성제 분말)로 입수하였고;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는 클래리언트(Clariant)로부터 상표명 호스타폰(HOSTAPON) SCI 85 (계면활성제 분말)로 입수하였고;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는 아지노모토 컴퍼니 인크로부터 상표명 아미소프트 CS-11 (계면활성제 분말)로 입수하였고; 다이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는 이오씨 그룹(EOC GROUP)으로부터 상표명 유라나트(Euranaat) LS3 (60% 물)으로 입수하였고; PEG-150 다이스테아레이트는 롬 앤드 하스(Rohm & Haas)로부터 상표명 애쿨린(Aculyn)-60으로 입수하였고, PEG-120 메틸 글루코스 다이올레이트는 루브리졸(Lubrizol)로부터 상표명 DOE-120으로 입수하였고; 젤란 검은 씨피 켈코 유에스, 인크(CP Kelco US, Inc.)로부터 상표명 켈코겔(KELCOGEL) CG-HA로 입수하였고;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시트레이트는 심라이즈(Symrise)로부터 상표명 드라코린(Dracorin) GOC로 입수하였다. 사용한 물은 탈이온수 (DI water)이다.
하기 실시예들에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았다:
머쉬 시험 방법: 시험 고체 (비누 바아)를 대략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절단하였다. 바아를 칭량하고 20℃±1℃에서 2시간 동안 탈이온수에 침지하였다. 중량의 증가를 기록하고, 플라스틱 스크레이퍼로 바아를 조심스럽게 긁어서 머쉬를 부드럽게 제거하였다. 긁어진 바아를 소프트 티슈로 닦아내어 머쉬를 마지막 미량(trace)까지 제거하였다. 시험 고체의 잔류 부분을 22 내지 25℃, 60 내지 70% 습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되게 둔 후에 칭량하였다. 머쉬의 중량은 시험 고체의 원래의 중량에서 건조 후 잔류 부분의 중량을 빼서 계산한다. 시험 고체의 표면적, 또는 물에 침지된 시험 고체의 그러한 부분의 표면적을 제곱 ㎝ (㎠) 단위로 계산한다. 이어서, 총 머쉬를 표면적 50 ㎠ 당 머쉬의 중량 (g) (즉, g/50㎠)으로서 계산한다.
균열 시험 방법: 흐르는 물 아래에서 1분 동안 비틀기 동작으로 비누 바아를 문질러서 표면의 외층을 닦는다. 곧게 편 종이 클립을 비누 바아의 상부 내로 삽입하고 타 단부에서 코드(cord) 및 철 프레임에 연결하여 바아를 침지 팬 내에 매단다. 대략 21℃의 탈이온수를 팬에 부어서 비누 바아의 2/3가 물에 잠기게 한다. 바아의 상부 내로 삽입된 클립에 물이 닿아서는 안된다. 바아는 팬의 측면 또는 저면에, 또는 존재하는 경우 다른 바아에 닿아서는 안된다. 바아를 6시간 동안 침지한다. 6시간 후에, 물에서 바아를 꺼내고 24시간 동안 매달아 두어 22 내지 25℃, 60 내지 70% 습도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바아의 사진을 찍고, 하기와 같이 습윤 균열 표준물과 비교한다: 등급 I은 흘끗 보았을 때 균열이 전혀 없거나 단지 모발 크기의 균열이 있음을 의미하며; 등급 II는 측면 접합부에 약간의 균열이 있음을 의미하고; 등급 III은 종방향 및 횡방향을 포함하는 측면 접합부에 넓은 균열이 있음을 의미하고; 등급 IV는 전체 접합부에 걸쳐 넓은 균열이 있음을 의미하고; 등급 V는 전체 접합부 및 다른 표면에 걸쳐 개방형 균열이 있음을 의미한다.
투명도 시험 방법: 바아의 1 ㎝ 두께 샘플을 800 ㎚의 파장에서 캐리(Cary) 100 UV-가시광 분광광도계의 빔 내에 배치함으로써, 퍼센트 투과율을 사용하여 바아의 투명도를 평가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1 ㎝ 샘플을 통한 800 ㎚ 파장에서의 최대 광투과율이 35%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면 바아가 투명한 (맑은) 것으로 간주한다. 샘플을 통한 그러한 최대 광투과율이 2% 내지 35% 미만이면 바아가 반투명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한 최대 광투과율이 2% 미만이면 바아가 불투명한 것으로 간주한다.
경도 시험 방법: 경도 측정은, 1.27㎝ (0.5 인치) 반경 원통(Radius Cylinder) (P/0.5R) 원통 탐침을 갖는 TA.XTPlus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를 사용하여, 원통 탐침이 8 ㎜의 설정 깊이로 고체 조성물에 침투하는, 뉴턴 (N) 단위의 최대 힘과 상호관련된다. 시험 방법은 하기 설정으로 사용하였다: 시험 방식은 압축이고, 예비-시험 속도는 0.5 ㎜/sec이고, 시험 속도는 0.5㎜/sec이고, 시험 후 속도는 0.5㎜/sec이고, 목표 방식은 거리이고, 유발 유형은 힘이고, 유발 힘은 0.0493N이다. 힘을 3회 측정하고 3회 측정의 평균을 보고하였다.
발포 시험 방법: 0.4 중량%의 비누 농도 및 150 ppm의 물 경도에서 로스-마일 (Ross-Mile) 시험 방법 (ISO696-1975 또는 GB7462-87)에 따라 센티미터 (㎝) 단위의 거품 부피를 측정하였다.
pH 값: 25℃에서 물 중 조성물의 10% 용액으로서 고체 조성물의 pH를 시험하였다.
"발한"(Sweat) 시험: 뜨거운 물을 사용하면서 환기가 불량하여 높은 상대 습도를 생성할 수 있는 현대식 욕실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습한 대기 조건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발한 시험을 바아 형태의 고체 조성물에 대해 수행하였다. 사용된 시험은 바아를 상대 습도가 65%인 주위 조건 하에 보관하는 것 및 발한의 증거에 대해 제품을 매일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발한의 존재를 10점 척도로 점수를 매겼는데, 0점은 발한이 없음을 나타내고 10점은 바아가 습윤 층으로 코팅되었음을 나타낸다.
겔화점: 조성물의 모든 성분들의 첨가 및 혼합 후에, 가열된 균질한 액체가 냉각되어 소정 온도에서 고화되기 시작하는데, 이 온도를 겔화점으로서 기록한다.
실시예 1
하기 절차에 따라, 본 발명의 몇몇 고체 조성물 (E1 내지 E4) 및 2개의 비교 조성물 (C1 및 C2)을 제조하고 시험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표 1에 표시된 양으로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TPM)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PG)을 1 ㎏ 용기에 채우고 80℃로 가열하였다.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1.0 g)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1.0 g)를 가열된 배치(batch) 내로 살포하였다. 이어서, 투명한 점질물이 형성될 때까지 혼합하면서 온도를 120 내지 130℃로 올렸다. 가열된 배치에 물을 표 1에 표시된 양으로 첨가하고, 균질한 덩어리가 얻어질 때까지 혼합을 계속하였다. 상기 배치를 약 80℃로 냉각한 다음, 80℃의 뜨거운 주입 온도를 견뎌내는 플라스틱 금형에 주입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고체 겔을 냉각되게 두어 경화시켰다 (대략 5 내지 8시간). 경도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조성물의 경도 및 투명도를 측정하였고 표 1에 보고하였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하기 절차에 따라, 본 발명의 몇몇 고체 조성물 (E5 내지 E12) 및 2개의 비교 조성물 (C3 및 C4)을 제조하고 시험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표 2에 표시된 중량 퍼센트로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TPM),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DPM), 프로필렌 글리콜 (PG),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1 ㎏ 용기에 채우고 80℃로 가열하였다. 겔화제, 예를 들어,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DBS), 다이부틸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GP-1), 또는 스테아르산 (SA) 및 수산화나트륨 (NaOH), 및 존재한다면, 고화 상승제,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HPMC)를,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표 2에 표시된 중량 퍼센트 양으로, 가열된 배치 내로 살포하였다. 이어서, 투명한 점질물이 형성될 때까지 혼합하면서 온도를 120 내지 130℃로 올렸다. 가열된 배치에 물을 표 2에 표시된 중량 퍼센트 양으로 첨가하고, 균질한 덩어리가 얻어질 때까지 혼합을 계속하였다. 상기 배치를 약 80℃로 냉각한 다음, 80℃의 뜨거운 주입 온도를 견뎌내는 플라스틱 금형에 주입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고체 겔을 냉각되게 두어 경화시켰다 (약 27℃에서 대략 5 내지 8시간동안). 모든 조성물에 대해 대략적인 겔화점을 측정하였고 표 2에 보고하였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3
하기 절차에 따라 본 발명의 몇몇 고체조성물 (E13 내지 E20)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표 3에 표시된 중량 퍼센트 양으로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TPM), 및 표시된 경우, 하나 이상의 공용매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PG), 1,3-부틸렌 글리콜 (1,3-BG), 글리세린 (Gly), 또는 이들 중 둘의 배합물)를 1 ㎏ 용기에 채우고 80℃로 가열하였다.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DBS)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HPMC)를,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표 3에 표시된 중량 퍼센트 양으로, 가열된 배치 내로 살포하였다. 이어서, 투명한 점질물이 형성될 때까지 혼합하면서 온도를 120 내지 130℃로 올렸다. 표 3에 표시된 임의의 계면활성제 또는 다른 성분들 (예를 들어,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CAPB), 코코-글루코사이드 (CG),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2EO (SLES), 소듐 C12-16 올레핀 설포네이트 (AOS35), 소듐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SLA), 코카미드 MEA (CMEA),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SLG),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SCI),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SCG), 다이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DLS), PEG-150 다이스테아레이트 (PEG150), 우레아)을, 가열된 배치에 첨가한 후에, 교반하면서 물을 첨가하여 균질한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배치를 약 80℃로 냉각한 다음, 80℃의 뜨거운 주입 온도를 견뎌내는 플라스틱 금형에 주입하고 성형하여 높이가 15 내지 20 ㎜이고 직경이 60 ㎜이며 대략 50 내지 80 g인 원통 형상의 고체 조성물을 생성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고체 겔을 냉각되게 두어 경화시켰다 (대략 5 내지 8시간).
본 출원인은 표 3의 액체 계면활성제들의 중량 퍼센트 양이 시판 계면활성제 제품의 중량 퍼센트임을 알고 있으며, 즉, E13에서, 6.0 중량%의 CAPB는 6.0 중량%의, 테고(등록상표) 베타인 F 50J (상기 참조)로 입수가능한 에보닉 제품이며, 이는 대략 44%가 활성 고체이고 56%가 물이다. 따라서, E13에서 CAPB의 활성 고체 양은 6.0 또는 2.64 활성 중량 퍼센트의 44%이다. 각각의 조성물에서 물의 총 중량 퍼센트는 계면활성제가 첨가되는 물 (표 3의 마지막 행)에 더하여 시판 계면활성제 또는 다른 제품과 함께 첨가되는 임의의 물의 중량 퍼센트이다. 예를 들어, E13에서, 조성물 중 물의 총 중량 퍼센트는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20 중량%에 더하여, CAPB (3.36 중량%) 및 CG (8.0 중량%)로부터의 추가적인 물을 포함하므로, E13에서 물의 총 중량 퍼센트는 31.36 중량%이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4
표 3의 조성물에 대해 상기에 기재된 각각의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머쉬, 균열, pH, 거품 부피, 및 발한을 측정하였다. 추가로, 미국 특허 제6,514,919호의 실시예 1 (C6) 및 미국 특허 제7,045,491호의 실시예 1 (C7)에 따라 비누 바아를 제조하고 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또한, 3가지 구매가능한 제품을 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1) 다음의 성분 목록을 갖는 존슨즈(Johnson's)(등록상표) 베이비 소프 바아 (Baby soap bar) (125g): 소듐 팔미테이트, 소듐 올레에이트, 물,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소듐 리놀레에이트, 소듐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린, 이산화티타늄 (CI 77891), 테트라소듐 EDTA, 인산, 에티드론산, 방향제, 아베나 사티바(Avena Sativa) (귀리) 알맹이 분말 (JBS); (2) 다음의 성분 목록을 갖는, 어떤 바아/어떤 크기의 도브(Dove) (도브 화이트 뷰티 바아(Dove White Beauty Bar), 100g):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스테아르산, 코코넛산, 소듐 탈로우에이트, 물, 소듐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소듐 코코에이트, 팜 커넬레이트, 방향제 (향료), 염화나트륨, 테트라소듐 EDTA, 트라이소듐 에티드로네이트, BHT, 이산화티타늄 (CI 77891), 소듐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DOVE); 및 (3) 다음의 성분 목록을 갖는, 뉴트로지나(Neutrogena) (오리지널 포뮬라(Original formula), 100g) 비누 바아: TEA 스테아레이트, 트라이에탄올아민, 소듐 탈로우에이트, 글리세린, 정제수, 소듐 코코에이트, 소듐 리시놀레에이트, TEA 올레에이트, 코카미드 DEA, 토코페롤 (NSB). 시험 결과가 표 4에 나타나있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5
전술한 실시예들로부터의 조성물 E1 내지 E20, C1 내지 C7, JBS, DOVE, 및 NSB에 대해 투명도 시험을 사용하여 투명도를 측정하였다. 최소한 2회 판독에 의해 각각의 샘플을 평가하였다. 결과가 표 5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라, 구매가능한 액체 조성물로부터 고체 조성물 (E21 내지 E22)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들은 다음의 시판 액체 샤워 조성물: (1) 물, 소듐 라우레스 에테르 설페이트, 염화나트륨,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방향제, 라우르산, 소듐 시트레이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소듐 벤조에이트, 다이소듐 EDTA, 폴리쿼터늄 7, 알로에 베라 추출물(Extract Aloe Vera), 트라이클로카르반, 메틸클로로아이소티아졸리논, 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의 성분 목록을 갖는, 피앤지(P&G)로부터의 세이프가드 알로에 핑크(Safeguard Aloe Pink) 액체 샤워 젤; 또는 (2) 물,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코카미드 DEA, 방향제, DMDMH, 시트르산, 추출물 (피루스 말루스(pyus malus)), 테트라소듐 EDTA, CI 16035, 메틸클로로아이소티아졸리논, 메틸아이소티아졸리논의 성분 목록을 갖는, 콜게이트(Colgate)로부터의 팜올리브 카프리스 내츄럴스 클리어 레드(Palmolive Caprice Naturals Clear Red) 액체 샴푸를, 표 6에 나타낸 중량 퍼센트 양으로,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의 가열된 혼합물에 첨가하고, 균질한 조성물을 얻도록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균질한 조성물을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제조된 상이한 형태의 적합한 금형에 주입하고 주위 조건에서 냉각되게 두어 경화시켰다. 경도 및 외관을 평가하였고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7
표 7에 열거된 양으로 추가적인 고화 상승제를 첨가한 점 (그리고 동량의 물을 제거하여 E14의 나머지 중량 퍼센트를 동일하게 유지한 점)을 제외하고는, E14에 대한 절차 및 제형에 따라 본 발명의 몇몇 고체 조성물 (E23 내지 E26)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7

Claims (30)

  1. 글리콜 에테르, 겔화제, 및 물을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머쉬(Mush) 시험 방법에 따른 총 머쉬가 약 5 g/㎠ 이하인, 고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머쉬 시험 방법에 따른 총 머쉬가 약 1 g/㎠ 이하인, 고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에테르는 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아릴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다이알킬 에테르, 다이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에테르는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는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다이벤질리덴 자일리톨, 다이벤질리덴 리비톨, 4-메틸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4-에틸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4-클로로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2,4-다이메틸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비스(3,4-다이메틸에스벤질리덴) 소르비톨 아세탈, 트라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는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을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는 금속 비누가 본질적으로 부재하는, 고체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약 10% 내지 약 70%의 물을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35 중량% 이상의 물을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고화 상승제(solidifying synergist)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 상승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젤란 검, 구아 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 상승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매는 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는 글리세린이 본질적으로 부재하는, 고체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액체 계면활성제인, 고체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투명한, 고체 조성물.
  21. 제1항에 있어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약 5 내지 약 75%의 글리콜 에테르,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을 포함하는, 약 0.5 내지 약 5%의 겔화제, 약 10 내지 약 70%의 물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약 0.05 내지 약 5%의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클렌징 바아(cleansing bar)인, 고체 조성물.
  24. 글리콜 에테르 및 겔화제를 포함하는 가열된 겔화 혼합물을 수성 액체와 배합하는 단계, 및 냉각하여 고체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겔화 혼합물은 상기 수성 액체의 첨가 전에 약 80℃ 내지 약 140℃의 온도로 가열되는, 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에테르는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는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다이벤질리덴 자일리톨, 다이벤질리덴 리비톨, 4-메틸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4-에틸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4-클로로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2,4-다이메틸 다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비스(3,4-다이메틸에스벤질리덴) 소르비톨 아세탈, 트라이벤질리덴 소르비톨,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겔화 혼합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젤란 검, 구아 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화 상승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겔화 혼합물은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액체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37032011A 2011-05-06 2012-05-03 글리콜 에테르 및 물을 함유하는 고체 조성물 KR201400407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1270080A CN102764197A (zh) 2011-05-06 2011-05-06 包含二醇醚和水的固体组合物
CN201110127008.0 2011-05-06
PCT/US2012/036332 WO2012154500A1 (en) 2011-05-06 2012-05-03 Solid compositions containing glycol ether and 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730A true KR20140040730A (ko) 2014-04-03

Family

ID=4709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011A KR20140040730A (ko) 2011-05-06 2012-05-03 글리콜 에테르 및 물을 함유하는 고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30225472A1 (ko)
EP (1) EP2704692A1 (ko)
KR (1) KR20140040730A (ko)
CN (1) CN102764197A (ko)
AU (1) AU2012253866A1 (ko)
BR (1) BR112013028607A2 (ko)
CA (1) CA2835056A1 (ko)
CO (1) CO6852086A2 (ko)
MX (1) MX2013012919A (ko)
RU (1) RU2013154107A (ko)
WO (1) WO20121545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5100A1 (en) * 2019-08-21 2021-02-25 Henkel IP & Holding GmbH Use of glycol ethers and alkyl alcohol blends to control surfactant composition rheolog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8084B2 (en) * 2013-03-15 2016-02-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ean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oil removal
GB201612820D0 (en) * 2016-07-25 2016-09-07 Bubble Laboratories Ltd Toiletry products
US20190216697A1 (en) * 2018-01-18 2019-07-18 Nohbo,LLC Hygiene product pod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09589279B (zh) * 2019-01-08 2020-03-20 明辉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固体洗发水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9221A2 (en) * 1991-05-06 1992-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id stable gel stick antiperspira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them
FR2680971B1 (fr) * 1991-09-06 1993-11-1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sous forme d'un gel solide.
CA2120375A1 (en) * 1993-04-02 1994-10-03 John Klier A laundry pretreater having enhanced oily soil removal
US5643866A (en) * 1995-06-07 1997-07-01 Quest International B.V. Air treating gel
US5741482A (en) * 1996-11-06 1998-04-21 Hercules Incorporated Air treatment gel compositions
US20060089279A1 (en) * 2004-10-26 2006-04-27 Brennan Michael A Mild acyl isethionate toilet bar composition
US20060234902A1 (en) * 2005-04-19 2006-10-19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Fabric care article and method
US20070203323A1 (en) * 2006-02-10 2007-08-30 Gyorgyi Fenyvesi Food compositions comprising biologically-based biodegradable 1,3-propanediol esters
US20130065812A1 (en) * 2011-09-14 2013-03-14 Ecolab Usa Inc. Water-dilutable solid concentr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5100A1 (en) * 2019-08-21 2021-02-25 Henkel IP & Holding GmbH Use of glycol ethers and alkyl alcohol blends to control surfactant composition rhe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35056A1 (en) 2012-11-15
RU2013154107A (ru) 2015-06-20
BR112013028607A2 (pt) 2017-01-17
CN102764197A (zh) 2012-11-07
WO2012154500A1 (en) 2012-11-15
AU2012253866A1 (en) 2013-11-07
MX2013012919A (es) 2013-11-21
CO6852086A2 (es) 2014-01-30
EP2704692A1 (en) 2014-03-12
US20130225472A1 (en)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8543B1 (en) Stablisation of cleansing compositions containing fatty acyl isethionate surfactant products using polyols
CA1331729C (en) Skin cleansing toilet bar with low moisture content
CA2131307C (en) Skin ph cleansing bar
AU784664B2 (en) Clear cleansing bar compositions that are efficient and are not irritating to the eyes
ES2699787T3 (es) Glucamidas en jabones syndet
CA2671397C (en) Stable liquid cleansing compositions comprising fatty acyl isethionate surfactants
US5076953A (en) Skin cleansing synbars with low moisture and/or selected polymeric skin mildness aids
IE58665B1 (en) Ultra mild skin cleansing composition
JPH10503546A (ja) 透明パーソナルクレンジングバー
KR20140040730A (ko) 글리콜 에테르 및 물을 함유하는 고체 조성물
BR102016029249A2 (pt) Cleaning bars containing polystallerol esters
JP2592547B2 (ja) 洗剤組成物
US9376652B2 (en) Solid soap
EP1658363B1 (en) Improved detergent bar and process for manufacture
RU2278896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мо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JP6179184B2 (ja) 毛髪洗浄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DE60125206T2 (de) Feste geformte waschmittelzusammensetzung
KR102575391B1 (ko)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42876A (ko) 휘핑성 질감을 가진 클렌징 조성물
ZA200509651B (en) Improved shaped detergent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