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620A - 포락선 검출기를 위한 클래스-ab 라디오 주파수 증폭기 - Google Patents
포락선 검출기를 위한 클래스-ab 라디오 주파수 증폭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0620A KR20140040620A KR1020130073657A KR20130073657A KR20140040620A KR 20140040620 A KR20140040620 A KR 20140040620A KR 1020130073657 A KR1020130073657 A KR 1020130073657A KR 20130073657 A KR20130073657 A KR 20130073657A KR 20140040620 A KR20140040620 A KR 201400406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transistors
- transistor
- negative
-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291 second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850 d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86 linear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022 nonline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1/00—Demodulation of amplitude-modulated oscillations
- H03D1/14—Demodulation of amplitude-modulated oscillations by means of non-linear elements having more than two poles
- H03D1/18—Demodulation of amplitude-modulated oscillations by means of non-linear elements having more than two poles of semiconductor devic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1/00—Demodulation of amplitude-modulated oscillations
- H03D1/22—Homodyne or synchrodyne circuits
- H03D1/2272—Homodyne or synchrodyne circuits using FE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237—Complementary long tailed pairs having parallel inputs and being supplied in ser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4—Measuring peak values or amplitude or envelope of AC or of puls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02—A non-specified detector of a signal envelope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 는 셀룰러 송신기 (TX)내의 포락선 검출기 (ED)의 전형적인 배치를 보여주는 예시적인 회로이다.
도면들 2a 및 2b은 각각 : (a) 포락선 검출기의 Vout 대 Vin (TXout_peak), 또는 Vout/Vin; 및 (b) 도 2a의 데시벨 (dB)로의 Vout/Vin 의 기울기의 그래프들이다.
도면들 3a, 3b 및 3c 은 각각: (a) 연산 증폭기; (b) 전류 모드, 연산 트랜스컨덕턴스 증폭기 (OTA: operation transconductance amplifier); 및 (c) 상보성 금속-산화물-반도체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디바이스들을 채용한 전압 모드 ED를 사용하는 통상의 포락선 검출기들의 예이다.
도 4 는 도 3c의 ED와 같은 통상의 포락선 검출기 코어의 예 이지만, 양 및 음, 또는 차동(differential)의 전압 출력들을 생성한다.
도 5 는 선형화기와 함께, 서브임계값 바이어스 영역들 내의 트랜지스터들을 감지하도록 동작하는 포락선 검출기 코어 및 몇몇 증폭기들, 그것들 중 마지막은 특화된 클래스-AB 증폭기일 수 있는, 의 상호 관계를 보여주는 하이 레벨 회로도이다.
도면들 6a 및 6b 은 각각 I0 (b) 및 ln (I0( b)) 대 b의 그래프들이다, 여기서 Ik(b)는 차수 k 및 의 수정된 베셀 함수(Bessel function) 이다.
도 7은 ED 트랜지스터들의 전류 바이어스를 변경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 영역들을 보여주는 도 4의 ED 코어의 Vout 대 Vin 의 그래프이다.
도 8 은 보다 작은 바이어스 전류가 선호되는 영역들 및 보다 큰 바이어스 전류가 선호되는 영역들을 보여주는 도 4의 ED 코어의 Vout 대 Vin 기울기 그래프이다.
도 9는 피드백 선형화기를 이용하여 ED 트랜지스터들의 서브임계값 바이어스 전류의 가변 제어로 증강된 ED 코어의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도면들 10a 및 10b 는 피드백 선형화기로 바이어스-가변하는(bias-varying) ED 코어의 예시적인 회로이다.
도면들 11a 내지 11d 는 멀티-모드 개조를 위해 추가의 프로그램가능성 성능들을 가지면서 선형화기(linearizer)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완성 ED 코어 회로이다.
도 12는 전형적인 라디오 주파수 (RF) 증폭기의 예시적인 회로이다.
도면들 13a 및 13b 은 도면들 5 및 9-11의 포락선 검출기에 대하여 전치-드라이버로서 역할을 하는 특화된 클래스-AB, RF 증폭기의 예시적인 회로이다.
도 14 는 도면들 5 및 9-11에서의 ED 코어의 출력에 대하여 선형 레인지 개선의 그래프이다.
도 15 는 도 14의 커브들 그래프(curves of the graph)에 대한 기울기의 그래프(graph of the slope)이다.
도 16은 제조된 마이크로칩에서 데시벨 (dB)로 측정된 ED 출력 기울기 대 TX 출력 파워의 그래프, 게인 증폭기 스테이지들 사이 에서의 가변하는 중첩을 가지고 도 5의 각각의 게인 증폭기 스테이지들이 가산되어 추가의 선형 레인지(linear range)를 보여주는,이다.
도면들 17 및 17b 는 각각, (a) 도면들 5 및 9-11 의 ED 출력에서 감지된 예시적인 포락선 그래프; 및 (b) ED의 선형 레인지에 대하여 가변하는 포락선을 가진 ED에 대한 예시적인 진폭-변조된 전압 입력이다.
도 18 은 프로세스, 전압, 및 온도 (PVT:process, voltage, 및 temperature) 코너들에 관한 시뮬레이션에서 선형화기를 갖는 포락선 검출기의 Vout 대 Vin 의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파라미터 | 사양 값들 | 설명 |
ED 코어의 선형 레인지 | ~ 20dB | 선형 레인지 윈도우(window)가 임의의 게인 설정,즉, ED 코어의 선형 레인지,를 위해원해진다. |
총 선형 레인지 | ~ 60dB(-55 - +5dBm) | 스윕 게인(sweep gain)들을 갖는 게인 스테이지들 및 ED 코어(도 5, 아키텍처 및 도 16 결과들) |
선형 레인지 중첩 | > 4dB | 각 게인 설정에 대한 선형 레인지들의 중첩(도 16) |
TX 출력 부하 효과(loading effect)(파워 점프) | <0.4dBm | TX출력에 연결된 ED가 파워 업 또는 그것의 게인 설정이 변할 때 TX 출력 파워는 변하거나 또는 점프(jump)하지 않아야 한다. |
Claims (15)
- 포락선 검출기(envelope detector)에 있어서,
라디오 주파수 (RF) 신호 입력의 전압 포락선을 감지하기 위한 병렬 감지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전압-모드 포락선 검출기 (ED) 코어로서, 상기 RF 신호 입력은 셀룰러 송신기 (TX) 의 출력을 포함하는, 상기 전압-모드 포락선 검출기 코어(core); 및
상기 포락선 검출기의 총 선형 전압 레인지(total linear voltage range)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TX 출력 및 상기 ED 코어 사이의 게인 스테이지(gain stage)들에 직렬로 위치된 다수의 전압 증폭기들로서, 상기 다수의 전압 증폭기들 중 최종 전압 증폭기는 상기 ED 코어를 구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ED 코어의 전체(full)의 선형 전압 레인지 내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클래스-AB RF 증폭기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전압 증폭기들;을 포함하는, 포락선 검출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AB 증폭기는
일(one) 볼트 피크 또는 그이상까지의 큰 신호 스윙(signal swing)을 취급하도록 구성된, 포락선 검출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TX 출력을 수신하는 제 1 게인 스테이지에 위치된 상기 전압 증폭기는 상기 TX 출력에 대하여 과도한 부하 변화들 및 상기 TX 출력에 관한 파워 점프들(power jump)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 및 임의의 게인 설정들의 변화들 동안에 상기 TX 출력에 잔류하도록 구성되는, 포락선 검출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총 선형 전압 레인지는 약 60 데시벨 (dB)까지 포함하고 및 상기 ED 코어의 상기 전체의 선형 전압 레인지는 약 20dB까지 포함하는, 포락선 검출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트랜지스터들은 하이-전압 트랜지스터들로서, 상기 하이-전압 트랜지스터들은 로우(low) 서플라이 전압으로 동작되어 상기 트랜지스터들은 큰 전압 스윙들을 확실히 허용할 수 있는, 포락선 검출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AB 전압 증폭기는
상호연결된 드레인(drain)들에서 음의 라디오 주파수 (RF)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보적(complementary)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포락선 검출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AB 전압 증폭기는
상호연결된 드레인들에서 양의 RF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보적 제 3 및 제 4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포락선 검출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AB 전압 증폭기는
상기 차동의 양 및 음의 RF 출력들에 그리고 파워 서플라이 (Vdd)에 연결된 피드백 회로;를 포함하는, 포락선 검출기. -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회로는 약 절반의 상기 파워 서플라이 (Vdd) 전압을 갖는 상기 양 및 음의 RF 출력들에서 공통 전압(common voltage)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포락선 검출기.
-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회로는 약 절반의 상기 파워 서플라이 (Vdd) 전압을 갖는 상기 양의 및 음의 RF 출력들에서 상기 공통 전압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양의 및 음의 RF 출력들은 대략 상기 파워 서플라이 전압만큼 큰 레인지를 통하여 스윙(swing)하고, 상기 ED 코어의 상기 전체의 선형 레인지에 걸쳐서 포락선 검출기(ED)코어를 구동시키는, 포락선 검출기.
- 청구항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AB 증폭기의 상기 피드백 회로는 상기 클래스-AB 증폭기의 두개의 음의 피드백 경로들을 통하여 상기 공통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포락선 검출기.
- 클래스-AB 전압 증폭기에 있어서,
상호연결된 드레인(drain)들에서 음의 라디오 주파수 (RF)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보적(complementary)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
상호연결된 드레인들에서 양의 RF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보적 제 3 및 제 4 트랜지스터들;
양의 RF 입력은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과 결합되고 및 음의 RF 입력은 상기 제 3 및 제 4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과 결합되고;
양의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제 1 및 제 3 트랜지스터들에 제공하는 제 5 트랜지스터;
음의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제 2 및 제 4 트랜지스터들에 제공하는 제 6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5 및 제 6 트랜지스터들에 그리고 상기 차동 양의 및 음의 RF 출력들에 연결된 피드백 회로로서, 상기 피드백 회로는 약 절반의 파워 서플라이 (Vdd) 전압을 갖는 상기 양 및 음의 RF 출력들에서 공통 전압(common voltage)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양의 및 음의 RF 출력들은 대략 상기 파워 서플라이 전압만큼 큰 레인지를 통하여 스윙하고, 상기 ED 코어의 전체의 선형 레인지에 걸쳐서 포락선 검출기 (ED) 코어를 구동시키는, 상기 피드백 회로를 포함하는, 클래스-AB 전압 증폭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트랜지스터들은 p형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및 제 4 트랜지스터들은 n형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클래스-AB 전압 증폭기.
-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5 트랜지스터는 Vdd에 연결된 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 6 트랜지스터는 그라운드(ground)에 연결된 n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피드백 회로는,
바이어스 전류를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에 제공하기 위해서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 7 및 제 8 트랜지스터들로서, 상기 바이어스 전류는 상기 양의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고; 상기 제 6 트랜지스터와 상보적이며 그리고 상호 연결된 드레인들을 갖는 제 9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음의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제 6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으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제 9 트랜지스터;
제 1 임피던스를 통하여 상호연결된 드레인들을 갖는 상보적 제 10 및 제 11 트랜지스터들로서, 상기 제 1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 7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구동시키고 및 상기 제 10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 8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구동시켜서,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상기 바이어스 전류를 조정하는, 상보적인 상기 제 10 및 제 11 트랜지스터들;
상기 제 9 및 상기 제 11 트랜지스터들의 소스들은 상호연결되고 및 상기 제 6 및 제 10 트랜지스터들의 소스들은 상호 연결되고; 및
상기 양의 및 음의 RF 출력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된 직류 전압 (DC) 출력은 상기 제 1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구동시키는, 클래스-AB 전압 증폭기. - 포락선 검출기를 위한 클래스-AB 전압 증폭기의 피드백 회로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AB 전압 증폭기의 제 1 쌍의 차동 트랜지스터들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양의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는 제 1 트랜지스터;
바이어스 전류를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에 제공하기 위해서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들로서, 상기 바이어스 전류는 상기 양의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상기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들; 및
임피던스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 드레인들을 갖는 제 4 및 제 5 상보적 트랜지스터들로서,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클래스-AB 전압 증폭기의 제 2 쌍의 차동 트랜지스터들을 구동시키는 음의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양의 및 음의 파워 서프라이들 (Vdd 및 Vss)사이의 전압 분배기의 출력 (Cmref)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제 4 및 제 5 상보적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피드백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3/627,437 | 2012-09-26 | ||
US13/627,437 US8841968B2 (en) | 2012-09-26 | 2012-09-26 | Class-AB radio frequency amplifier for envelope det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0620A true KR20140040620A (ko) | 2014-04-03 |
KR101476413B1 KR101476413B1 (ko) | 2014-12-24 |
Family
ID=4874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365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6413B1 (ko) | 2012-09-26 | 2013-06-26 | 포락선 검출기, 포락선 검출기를 위한 클래스-ab 라디오 주파수 증폭기 및 포락선 검출기를 위한 클래스-ab 전압 증폭기의 피드백 회로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841968B2 (ko) |
EP (2) | EP2713171B1 (ko) |
KR (1) | KR101476413B1 (ko) |
CN (1) | CN103684283A (ko) |
TW (1) | TWI53519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56055A1 (en) * | 2013-10-18 | 2015-04-23 | Freescale Semiconductor, Inc. | A mm-wave frequency peak detector |
GB2519361B (en) * | 2013-10-21 | 2015-09-16 | Nujira Ltd | Reduced bandwidth of signal in an envelope path for envelope tracking system |
US9385665B2 (en) * | 2014-02-24 | 2016-07-05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PPA linearization |
US9362895B2 (en) | 2014-09-05 | 2016-06-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hybrid differential envelope detector and full-wave rectifier |
US10345346B2 (en) | 2015-07-12 | 2019-07-09 | Skyworks Solutions, Inc. | Radio-frequency voltage detection |
US10627430B2 (en) * | 2016-05-24 | 2020-04-21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Fast current-based envelope detector |
US9793861B1 (en) * | 2016-07-28 | 2017-10-17 | Qualcomm Incorporated | Amplification systems |
CN108874007B (zh) * | 2017-05-16 | 2020-09-25 | 博通集成电路(上海)股份有限公司 | 射频电压-电流转换电路及将电压转换成电流的方法 |
FR3091796A1 (fr) * | 2019-01-14 | 2020-07-17 | Stmicroelectronics Sa | Circuit électronique de détection d’enveloppe et démodulateur correspondant |
US10901009B2 (en) * | 2019-02-21 | 2021-01-26 |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 Power detector for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s |
US10955691B2 (en) * | 2019-06-13 | 2021-03-23 | Elenion Technologies, Llc | Dual loop bias circuit with offset compensation |
CN111193476B (zh) * | 2020-02-27 | 2022-10-14 | 广州慧智微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放大器及放大方法 |
IT202100007844A1 (it) * | 2021-03-30 | 2022-09-30 | St Microelectronics Srl | Circuito rivelatore di inviluppo, circuito ricevitore e dispositivo isolatore galvanico corrispondenti |
CN114362695B (zh) * | 2022-03-17 | 2022-05-24 | 壹甲子(成都)通讯有限公司 | 交流小信号直接驱动的信息传输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91380A (en) * | 1976-02-09 | 1976-11-09 | Rca Corporation | Complementary field effect transistor differential amplifier |
JPH0528111U (ja) * | 1991-09-20 | 1993-04-09 | 日本電気株式会社 | 位相補償高出力増幅器 |
JPH0623320U (ja) * | 1992-08-20 | 1994-03-25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Am受信機におけるrfアンプのagc回路 |
SE519691C2 (sv) * | 1997-07-08 | 2003-04-01 | Ericsson Telefon Ab L M | Operationsförstärkare med hög hastighet och hög förstärkning |
US5939942A (en) * | 1997-10-10 | 1999-08-17 | Intel Corporation | High frequency input buffer |
US5939904A (en) * | 1998-02-19 | 1999-08-17 | Lucent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ommon-mode output voltage of a differential buffer |
DE10042170A1 (de) * | 2000-08-15 | 2002-03-07 | Infineon Technologies Ag | Differentieller, komplementärer Verstärker |
GB0416977D0 (en) * | 2004-07-30 | 2004-09-01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Transconductor circuits |
FI20075411L (fi) * | 2006-06-04 | 2007-12-05 | Samsung Electro Mech | Järjestelmät, menetelmät ja laitteet monitie-ortogonaalista rekursiivista esivääristymää varten |
US7518445B2 (en) * | 2006-06-04 | 2009-04-14 | Samsung Electro-Mechanics Company, Ltd.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inear envelope elimination and restoration transmitters |
TWI333326B (en) * | 2007-03-26 | 2010-11-11 |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 Low differential output voltage circuit |
KR100878392B1 (ko) * | 2007-06-13 | 2009-01-13 | 삼성전기주식회사 | Rf 신호 증폭기 |
US7710197B2 (en) * | 2007-07-11 | 2010-05-04 | Axiom Microdevices, Inc. | Low offset envelope detector and method of use |
US7741911B2 (en) * | 2007-10-24 | 2010-06-22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Circuit and method for dynamic current compensation |
US7777552B1 (en) * | 2008-04-29 | 2010-08-17 | Analog Devices, Inc. | Logarithmic amplifier with RMS post-processing |
WO2011069231A1 (en) * | 2009-12-11 | 2011-06-16 | Ess Technology, Inc. | No load amplifier |
US8325848B2 (en) * | 2010-07-19 | 2012-12-04 | Broadcom Corporation | Peak detector having extended dynamic range |
WO2012101467A1 (en) * | 2011-01-24 | 2012-08-02 | Tredefin S.A. | Efficient low noise differential amplifier, reutilizing the bias current |
-
2012
- 2012-09-26 US US13/627,437 patent/US884196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6-17 EP EP13003076.0A patent/EP2713171B1/en active Active
- 2013-06-17 EP EP15001353.0A patent/EP294496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3-06-26 TW TW102122735A patent/TWI53519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06-26 KR KR1020130073657A patent/KR10147641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6-28 CN CN201310270334.6A patent/CN103684283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535195B (zh) | 2016-05-21 |
EP2713171A3 (en) | 2015-02-11 |
TW201414189A (zh) | 2014-04-01 |
US8841968B2 (en) | 2014-09-23 |
KR101476413B1 (ko) | 2014-12-24 |
EP2713171B1 (en) | 2016-04-20 |
EP2944968A1 (en) | 2015-11-18 |
US20140085007A1 (en) | 2014-03-27 |
CN103684283A (zh) | 2014-03-26 |
EP2713171A2 (en) | 2014-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6414B1 (ko) | 증강된 선형 레인지를 갖는 포락선 검출기 | |
KR101476413B1 (ko) | 포락선 검출기, 포락선 검출기를 위한 클래스-ab 라디오 주파수 증폭기 및 포락선 검출기를 위한 클래스-ab 전압 증폭기의 피드백 회로 | |
KR101296149B1 (ko) |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커패시턴스 효과의 보상 장치 및 보상 방법 | |
US10439566B2 (en) | Power amplifier circuit with adjustable bias voltage | |
US8868015B2 (en) | Transmit architecture for wireless multi-mode applications | |
US8779860B2 (en) | Power amplifier | |
EP3104523A1 (en) | Wideband highly-linear low output impedance d2s buffer circuit | |
US1000898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biased baseband current amplifier | |
US20110273235A1 (en) | Feedforward controlled envelope modulator and feedforward control circuit thereof | |
EP255768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power efficiency of a transmitter | |
WO2009073581A1 (en) | High-linearity complementary amplifier | |
US20070270111A1 (en) | Dual power mode transmitter | |
TWI571051B (zh) | 具有加強的線性之低電壓類比可變增益放大器 | |
EP255768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input impedance of a current-mode circuit | |
US20120052824A1 (en) | Variable gain control transformer and RF transmitter utilizing same | |
US20120326754A1 (en) | High Performance Pre-Mixer Buffer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 |
US7501892B2 (en) | Amplifier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 |
US7528658B2 (en) | Threshold voltage compensation for a two stage amplifier | |
US20070229171A1 (en) | Wireless transmitter having multiple programmable gain amplifiers (PGAs) with tuned impedance to provide substantially linear response | |
US20060229038A1 (en) | Wireless transmitter having multiple power amplifier drivers (PADs) that are selectively biased to provide substantially linear magnitude and phase responses | |
HK1191748A (en) | Class-ab radio frequency amplifier for envelope detector | |
HK1191749A (en) | Envelope detector with enhanced linear range | |
KR20120006277A (ko) | 구동 증폭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