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724A -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724A
KR20140039724A KR1020120106297A KR20120106297A KR20140039724A KR 20140039724 A KR20140039724 A KR 20140039724A KR 1020120106297 A KR1020120106297 A KR 1020120106297A KR 20120106297 A KR20120106297 A KR 20120106297A KR 20140039724 A KR20140039724 A KR 20140039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letoe
red ginseng
anticancer
composition
dist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두원
Original Assignee
윤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두원 filed Critical 윤두원
Priority to KR1020120106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9724A/ko
Publication of KR20140039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61K31/36Compounds containing methylenedioxyphenyl groups, e.g. sesa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45Polymers of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61K38/1732Lect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홍삼, 미슬토, 안개꽃을 증류추출하고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진공압축하고 멸균소독하여 약침액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고관절, 골반통, 디스크, 관절통의 통증완화 및 괴사예방, 항암, 면역력 증가 등의 효과를 볼 수 있고, 홍삼, 미슬토, 안개꽃에 황연, 황금, 황백, 치자를 혼합한 후 증류추출하거나 홍삼, 미슬토, 안개꽃에 황정, 민들레, 육계를 혼합한 후 증류추출하여 항암 면역증강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미슬토의 면역 효능을 배가시키면서도 복용자의 장기에 부담을 주지 않아 구토유발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상 추출차를 제조한 후 분리추출 탱크에 넣어 가열함으로써 유효성분의 결정체인 젤 상태의 고분자 물질을 얻을 수 있는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a) ginsenoside, polyacetylene, gomisin-N-A 성분을 포함하는 홍삼(학명 : Panax ginseng)과 Lectin, Viscotoxin, Polysaccharide, Alkaioid, Oleanolic acid 성분을 포함하는 미슬토(학명 : VISCUM ALBUM)를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b) 수분이 제거된 홍삼과 미슬토를 절단하는 단계; (c) 절단된 홍삼과 미슬토를 증류수 및 생리식염수와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혼합물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증류추출하는 단계; (e) 증류추출된 용액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f) 여과된 용액을 Vial용기에 담고 밀봉하는 단계; 및 (g) 밀봉된 Vial용기를 진공 압축한 후 멸균 소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Method of making pharmacopuncture solution composite for anticancer and immunity improvement}
본 발명은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홍삼, 미슬토, 안개꽃을 증류추출하고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진공압축하고 멸균소독하여 약침액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고관절, 골반통, 디스크, 관절통의 통증완화 및 괴사예방, 항암, 면역력 증가 등의 효과를 볼 수 있고, 홍삼, 미슬토, 안개꽃에 황연, 황금, 황백, 치자를 혼합한 후 증류추출하거나 홍삼, 미슬토, 안개꽃에 황정, 민들레, 육계를 혼합한 후 증류추출하여 항암 면역증강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미슬토의 면역 효능을 배가시키면서도 복용자의 장기에 부담을 주지 않아 구토유발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상 추출차를 제조한 후 분리추출 탱크에 넣어 가열함으로써 유효성분의 결정체인 젤 상태의 고분자 물질을 얻을 수 있는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면역(immunity)은 생체의 내부환경이 외부인자인 항원에 대하여 방어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태어날 때부터 지니는 선천면역(innate immunity)과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획득면역(acquired immunity)으로 구분된다.
선천면역은 '자연면역'이라고도 하는데, 항원에 대해 비 특이적으로 반응하며 특별한 기억작용은 없다. 선천적인 면역체계로는 항원의 침입을 차단하는 피부, 점액조직, 상산성의 위산, 혈액에 존재하는 보체(complement) 등이 있다. 세포로는 식균 작용을 담당하는 대식세포(macrophage)와 다형핵 백혈구(polymorpho nuclear leukocyte), 감염세포를 죽일 수 있는 K세포 등이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감염은 이 선천면역에 의해 방어된다.
한편, 획득면역은 '후천면역'이라고도 하는데, 처음 침입한 항원에 대해 기억할 수 있고 재침입할 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효과적으로 항원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므로, 선천면역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획득면역은 편의상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과 세포성 면역(cell-mediated immunity)으로 나뉘어진다.
체액성 면역은 B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한 후 분화되어 항체를 분비하고, 이 항체는 주로 감염된 세균을 제거하는 기능을 보여준다. 항체는 체액에 존재하며 면역글로부린(immunoglobulin: Ig)이라는 당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성 면역은 흉선에서 유래한 T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하여 림포카인(lymphokine)을 분비하거나 직접 감염된 세포를 죽이는 역할을 한다. 분비된 림포카인은 대식세포를 활성화 시켜 식작용(phagocytosis)을 돕기도 한다. 이와 같은 세포성 면역은 주로 바이러스 또는 세포내에서 자랄 수 있는 세균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면역기능이 저하되면, 과민반응(allergy, hypersensitivity)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 알러지와 같은 과민반응은 발현시간과 반응형태에 기초하여 네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제I형(즉시형)은 대부분의 알러지 반응들이 속하는 전형적인 것으로서, 그 증상은 천식, 계절성 혹은 통년성 비염, 알러지성 부비강염, 결막염, 식품과 약물에 의한 알러지,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벌침에 대한 알러지반응 등이 있다. 제II형(항체관여)은 체액성 면역의 세포용해 반응이나 염증반응을 일으키는데 증상으로는 부적합 수혈에 의한 적혈구의 용혈, 신생아 용혈성 질환이 있다. 제III형은 항원-항체 결합에 의한 반응이나 작은 분자량의 항원에 의해 발생한다. 급성 사구체 신염, 과민성 폐렴을 일으킨다. 마지막으로, 제IV형(지연형)은 T 임파구와 대식세포에 의한 세포성 면역 반응의 한 형태로 결핵균의 투베르쿨린반응, 이식거부반응,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이 침입에 대한 반응 등의 중요한 반응을 일으킨다.
이중에서도 특히 알러지, 민감성피부, 아토피 및 각종 습진을 비롯한 피부질환이 큰 문제가 되고 있어 피부면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영유아와 어린이들은 피부가 부드럽고 연약하여 외부환경과 자극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이는 식생활에 있어서 인공색소와 화학조미료의 사용이 광범위해지고, 기름진 패스트푸드를 자주 섭취하며, 미세먼지를 비롯한 각종 공해에 노출되어 연약한 피부를 끊임없이 자극하기 때문이다. 도시내에서 전원공간은 점차 감소하고 있고 중앙난방식의 콘크리트 아파트 환경은 지나치게 건조하여 연약한 아이 피부의 수분을 빼앗고 있다. 또한,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다보니 피부면역력도 약해진 상황이다.
한편, 일반적인 항암 요법인 화학요법, 수술요법, 방사선요법은 정상세포와 암세포를 동시에 죽이므로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암세포의 성장, 전이 및 재발의 부작용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특히 영유아와 어린이들의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건조증을 예방 및 치료하고 피부면역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항암과 일반적인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고관절, 골반통, 디스크, 관절통 등의 통증을 완화하고 괴사를 예방할 수 있는 물질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관절, 골반통, 디스크, 관절통의 통증완화 및 괴사예방, 항암, 면역력 증가 등의 효과를 볼 수 있고, 면역 효능을 배가시키면서도 복용자의 장기에 부담을 주지 않아 구토유발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의 결정체인 젤 상태의 고분자 물질을 얻을 수 있는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은 (a) ginsenoside, polyacetylene, gomisin-N-A 성분을 포함하는 홍삼(학명 : Panax ginseng)과 Lectin, Viscotoxin, Polysaccharide, Alkaioid, Oleanolic acid 성분을 포함하는 미슬토(학명 : VISCUM ALBUM)를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b) 수분이 제거된 홍삼과 미슬토를 절단하는 단계; (c) 절단된 홍삼과 미슬토를 증류수 및 생리식염수와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혼합물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증류추출하는 단계; (e) 증류추출된 용액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f) 여과된 용액을 Vial용기에 담고 밀봉하는 단계; 및 (g) 밀봉된 Vial용기를 진공 압축한 후 멸균 소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홍삼과 미슬토의 중량비는 40:60 이고, 상기 증류수와 생리식염수의 부피는 미슬토 10g당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saponin 성분을 포함하는 안개꽃(학명 : Gypsophila paniculata)을 더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홍삼, 미슬토, 안개꽃을 증류추출하고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진공압축하고 멸균소독하여 약침액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고관절, 골반통, 디스크, 관절통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괴사를 예방하며, 항암 및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홍삼, 미슬토, 안개꽃에 황연, 황금, 황백, 치자를 혼합한 후 증류추출하거나 홍삼, 미슬토, 안개꽃에 황정, 민들레, 육계를 혼합한 후 증류추출하여 항암 면역증강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미슬토의 면역 효능을 배가시키면서도 복용자의 장기에 부담을 주지 않아 구토유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홍삼, 미슬토, 안개꽃이 함유된 역상 추출차를 제조한 후 분리추출 탱크에 넣어 가열함으로써 유효성분의 결정체인 젤 상태의 고분자 물질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항암 요법인 화학요법, 수술요법, 방사선요법은 정상세포와 암세포를 동시에 죽이므로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암세포의 성장, 전이 및 재발의 부작용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데 반해,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자연 면역치료 약물요법은 앞에서 설명한 부작용의 공포에서 환지를 보호할 수 있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홍삼은 인삼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말리지 않은 수삼을 증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것이다. 이를 분말화하거나 물이나 주정으로 추출하여 농축 또는 발효하여 식용에 적합하도록 만들게 되며, 진세노사이드 Rg1과 Rb1의 합이 0.8~34㎎/g이 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진세노사이드의 규격은 실제 실험 결과{(분말 Rg1 : 2.0~4.0㎎/g, Rb1 : 4.0~12.0㎎/g), (물 추출물 Rg1 : 0.3~6.0㎎/g, Rb1 : 0.5~10.0㎎/g), (주정 추출물 Rg1 : 0.3~13.0㎎/g, Rb1 : 0.5~21.0d㎎/g)}를 바탕으로 설정되어 있다. 원재료로 사용하는 인삼근은 '인삼산업법'에 적합하여야 하며 4년근 이상의 것으로 춘미삼, 묘삼, 삼피, 인삼박은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홍삼은 원기 회복, 면역력 증진, 자양 강장에 도움을 준다. 홍삼에는 백삼에 없는 항산화 작용 성분인 말톨과 다양한 아미노산, 유기지방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홍삼 제조 과정에서 인삼의 주요 약리 작용을 하는 진세노사이드의 화학구조가 변한다. 이때 항암 성분, 항당뇨 성분, 항염증 성분, 항산화 성분, 간 기능 해독 성분, 중금속 해독 성분 등 수삼에는 없거나 함유량이 극히 미미했던 성분 10 여 가지가 새로 생겨나거나 함유량이 몇 배로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홍삼은 인삼에 비해 장기 보관이 용이하고 효능도 좋다.
홍삼은 ginsenoside, polyacetylene, gomisin-N-A 성분 등을 포함하고 있다.
미슬토는 렉틴(Lectin, 분자량 60,000 달톤), 비스코톡신 (Viscotoxin, 분자량 5,000 달톤) 등의 항활성성분을 비롯하여 Polysaccharide, Alkaioid, Oleanolic acid 등 약 1,700종 이상의 각종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 이들 성분들은 체내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슬토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은 렉틴으로, 유해세포를 사멸시키고 베타 엔돌핀을 형성시킨다. 비스코톡신은 고용량에서는 유해세포를 괴사시키며 저용량에서는 면역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밖에 펩티드는 항 종양 작용을 하고, 다당류는 면역세포인 NK세포와 LAK세포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며, 소포이드는 헬퍼 T세포의 증식에 강력한 작용을 수행한다.
안개꽃(학명 : Gypsophila paniculata)은 석죽과(石竹科) 한해살이 식물로, 안개꽃에 함유된 사포닌 분자가 백혈병 세포에 흡수된 후, 암세포 막에 구멍을 뚫어 항암제가 침투되기 용이하도록 만들어 항암제의 효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독소가 포함된 항체를 안개꽃의 사포닌 분자와 함께 투여하면 백혈병 세포를 뚫고 들어가 훨씬 빨리 암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홍삼과 안개꽃 혼합물이 백혈병 세포에 투여되면 안개꽃의 사포닌 분자가 암세포 막에 구멍을 뚫어 항암제가 침투되기 용이하도록 만들고, 홍삼과 안개꽃의 항암 성분이 암세포 속으로 침투하여 암세포를 사멸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홍삼(학명 : Panax ginseng, 성분 : ginsenoside, polyacetylene, gomisin-N-A 등)을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한다.
미슬토(학명 : VISCUM ALBUM, 성분 : Lectin, Viscotoxin, Polysaccharide, Alkaioid, Oleanolic acid, 기타 1700 여종)를 10월~2월 사이에 채취하여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한다.
안개꽃(학명 : Gypsophila paniculata, 성분 : saponin 등)을 채취하여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한다(S10).
수분이 제거된 홍삼과 미슬토 및 안개꽃을 잘게 절단(S20)한다.
절단된 홍삼과 미슬토 및 안개꽃을 증류수 및 생리식염수와 혼합(S30)하되, 혼합비율은 홍삼 40g, 미슬토 60g, 안개꽃 60g에 증류수 및 생리식염수 300~500mL의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류수 및 생리식염수 혼합량이 300mL 미만이면 홍삼과 미슬토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아 항암 및 면역증강과 고관절 통증완화 효과가 떨어지고, 500mL를 초과하면 미슬토의 농도과다로 내복용으로 사용할 경우 구토유발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생리식염수는 약침액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pH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약침액 용도가 아닌 내복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생리식염수가 첨가되지 않는다.
홍삼과 미슬토 및 안개꽃과 증류수 및 생리식염수의 혼합물을 용기에 넣고 80~95도씨에서 80~100분 동안 가열하여 증류추출(S40)을 수행한다. 증류(distillation)란 어떤 용질이 녹아 있는 용액을 가열하여 끓는점에 도달하면 기체상태의 물질이 생기며, 이를 다시 냉각시켜 순수한 액체를 얻는 과정을 말한다. 공비혼합물이나 끓는점이 가까운 것의 혼합액은 한쪽 성분에만 친화성이 높은 성분의 용제를 첨가하여 그 성분의 증기분압을 낮게 함으로써 증기의 조성과 액체의 조성의 차이를 크게 만든다. 이때, 비교적 휘발성이 낮은 용제를 가하는 방법을 추출증류, 비교적 휘발성이 높은 용제를 가하는 방법을 공비증류라 한다.
이때, 가열온도가 80도씨 미만이면 증류수의 기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증류과정이 진행되기 어렵고, 95도씨를 초과하면 혼합물 내의 증류수 기화가 지나치게 활성화되어 비슬토 성분이 충분히 우려나오지 못한 채로 증발되고 미슬토의 단백질 성분인 렉틴이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진공 상태에서는 80~90도씨에서도 충분히 끓기 때문에 더 이상 가열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가열시간이 80분 미만이면 홍삼과 미슬토 및 안개꽃의 각종 유익한 성분이 추출되는데 한계가 있어 충분한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추출물의 품질이 저하되고, 100분을 초과하면 추출물이 지나치게 농축되고 추출물의 양이 적어지며 가열에 소요되는 에너지 낭비의 측면이 있다.
미리 Vial병을 120~130도씨에서 대략 10분간 멸균소독(S50)한다. 가열온도가 120도씨 미만이면 충분한 멸균소독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130도씨를 초과하면 연료 소모량 대비 가열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증류추출된 용액은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를 통해 여과(S60)한 후 멸균소독된 Vial용기에 담은 다음 밀봉하여 진공압축(S70)하고 멸균소독한 후 사용한다. 이때, 멤브레인 필터는 0.1~0.3㎛인 것이 바람직하며, 0.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터의 필터링 스케일이 0.1㎛ 미만이면 증류추출된 유효성분들 중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는 성분들이 증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우며, 0.3㎛를 초과하면 보다 미세한 나노 스케일의 입자 상태로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약침액으로 주입하여 임상시험한 결과, 제1 실시예는 항암, 면역증강, 백혈병 치료, 고관절, 골반통, 디스크, 관절통의 통증완화 및 괴사 예방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홍삼, 미슬토, 안개꽃을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하고 잘게 절단한다. 이와 함께, 황연, 황금, 황백, 치자를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수분을 제거한 후, 잘게 절단한다.
황연(학명 : Coptis chinensis C. Y. cheng, Coptis chinensis Franch, Coptis Japonica Makino)은 Berberine, Worenine, 기타 Polnitine Co-ptisine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황금(학명 :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은 Wogonin baicalin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황금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산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화관(花冠)은 밑부분에서 꼬부라져 곧게 서고 통형이며 길이 1.5∼2.5cm이고 입술 모양을 띤다. 열매는 둥근 모양으로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원뿌리는 원뿔형이고 살이 황색이다.
황백(학명 :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황벽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황경피라고도 한다. 낙엽활엽 교목으로 높이 10m 정도로 자라는데, 껍질에는 코르크가 발달했으며 속껍질은 황색이다. 잎은 깃꼴겹잎으로 작은 잎사귀는 5~13장이며, 달걀모양의 피침형(披針形) 또는 긴 원형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 및 연한 털이 있으며, 중간 맥(脈)의 기부(基部)에는 긴 털이 약간 있다. 열매는 장과상(漿果狀)의 육질이 많고 중심부에 단단한 핵을 갖고 있으며, 동그란 모양으로 익었을 때에는 자흑색을 띤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전남 지역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분포하고, 일본·만주·중국·아무르·우수리 등지에 분포하며, 잡목 숲 또는 산속의 계곡에서 자란다. 하지 전후에 나무줄기에서 껍질을 벗겨내어 조피(粗皮:거친 껍질)를 제거하거나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복용하는 경우에는 미각 반사의 항진에 의하여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식욕의 항진도 가져오게 한다.
치자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의 상록관목에 속하며, Gardenin-crocetin, Essential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홍삼, 미슬토, 안개꽃, 황연, 황금, 황백 및 치자 각 50g과 증류수 500mL를 혼합하고 증류추출을 수행한다. 증류추출 과정에서는 혼합물을 용기에 넣고 80~95도씨로 80~100분간 가열한다. 다음으로, Vial 병을 120~130도씨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멸균 소독을 수행한다. 증류추출된 용액을 멤브레인 필터(0.2㎛)로 여과한 다음, Vial 용기에 담고 밀봉하여 진공압축한 후 멸균 소독하여 사용한다.
임상시험 결과, 제2 실시예는 항암, 면역증강, 통증완화, 특히 피부 알르레기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였다.
홍삼, 미슬토, 안개꽃, 황정, 민들레 및 육계를 준비한다.
황정(학명 : Polygonatum falcatum A. Gray, Falcatum A. Gray)은 당분, 회분 및 다량의 전분을 함유하고 있다. 황정은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굵은 육질의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줄기는 6개의 능각(稜角)이 있으며 끝이 비스듬히 처지는 특징을 보인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9∼10월에 검게 익는다.
민들레(학명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ed)는 Inulin, Laevulose, Cluytianol, Taraxcin, Taraxacerin, Inosite, Resin, Aspargin, P-Hydroxyphenyl acetic acid, 3,4-Dioxy cinnamic acid, Homotaraxasterol, Taraxasterol, Xanthophyll, Cholin & vitamine-A.B.C.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민들레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들판에서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없고, 잎이 뿌리에서 뭉쳐나며 옆으로 퍼진다.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잎과 길이가 비슷한 꽃대 끝에 두상화(頭狀花)가 1개 달린다. 열매는 수과이고 긴 타원 모양이며 윗부분에 가시 같은 돌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육계(학명 : Cinnamomum cassia Blume)는 Essential oil, Cinnamic aldehyde, Camphene, Cineol, Linalool, Eugenol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육계는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녹나무과의 육계나무(Cinnamomum cassia Blume)의 나무껍질을 말한다. 육계나무는 중국의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늘푸른큰키나무로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이 약은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맵고 달다. 생김새는 판상 또는 양갓이 안쪽으로 말린 판상으로, 바깥면은 회갈색으로 거칠고 세로 잔주름과 옆으로 피공(皮孔)이 돌출되어 있다.
홍삼, 미슬토, 안개꽃, 황정, 민들레 및 육계를 세척하고 수분을 제거한 후 잘게 절단한다. 미슬토, 황정, 민들레, 육계를 증류수와 혼합한다. 이들 혼합물을 용기에 넣고 80~95도씨로 80~100분간 가열하여 증류추출을 수행한다. Vial병을 120~130도씨에서 10분 동안 멸균소독한다. 증류추출된 용액을 멤브레인 필터(0.2㎛)로 여과한 다음 Vial 용기에 담은 후 밀봉하여 진공압축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멸균 소독하여 사용한다.
임상시험 결과, 실시예 3은 항암, 통증완화, 피부 면역증강에 탁월한 효능을 보였다.
한편, 추출단계(S40)에서는 가압탱크가 구비된 추출기를 사용하여 끓는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역상 추출차를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공히, 추출단계에서 가압탱크 추출기를 이용하여 역상 추출차를 제조한 경우, 역상 추출차를 분리추출 탱크에 넣어 가열함으로써 젤(GEL) 상태의 농축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GEL농축단계를 수행할 경우 독성을 완전히 제거할 뿐만 아니라 끈적한 젤 상태의 농축물질을 얻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고도로 농축된 젤 형태의 물질에는 유효성분이 없는 저분자 물질이 제거되고 유효성분의 결정체인 고분자 물질만이 남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공히, 약침액 또는 피부 도포, 내복용으로 복용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의 필터 스케일이 0.1 ~ 0.3 ㎛ 수준의 나노 스케일이므로, 복용할 경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체내에 흡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 - 수분제거 S20 - 절단
S30 - 혼합 S40 - 증류추출
S50 - 멸균소독 S60 - 여과
S70 - 밀봉/진공압축

Claims (3)

  1. (a) ginsenoside, polyacetylene, gomisin-N-A 성분을 포함하는 홍삼(학명 : Panax ginseng)과 Lectin, Viscotoxin, Polysaccharide, Alkaioid, Oleanolic acid 성분을 포함하는 미슬토(학명 : VISCUM ALBUM)를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b) 수분이 제거된 홍삼과 미슬토를 절단하는 단계;
    (c) 절단된 홍삼과 미슬토를 증류수 및 생리식염수와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혼합물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증류추출하는 단계;
    (e) 증류추출된 용액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f) 여과된 용액을 Vial용기에 담고 밀봉하는 단계; 및
    (g) 밀봉된 Vial용기를 진공 압축한 후 멸균 소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홍삼과 미슬토의 중량비는 40:60이고, 상기 증류수와 생리식염수의 부피는 미슬토 10g당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saponin 성분을 포함하는 안개꽃(학명 : Gypsophila paniculata)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20106297A 2012-09-25 2012-09-25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 KR20140039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297A KR20140039724A (ko) 2012-09-25 2012-09-25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297A KR20140039724A (ko) 2012-09-25 2012-09-25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724A true KR20140039724A (ko) 2014-04-02

Family

ID=5065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297A KR20140039724A (ko) 2012-09-25 2012-09-25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97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0916A (zh) * 2015-04-28 2015-08-19 李修田 一种通络祛痛活骨膏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0916A (zh) * 2015-04-28 2015-08-19 李修田 一种通络祛痛活骨膏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1923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Cyclocarya paliurus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CN104000127B (zh) 绿豆清凉润喉咀嚼片及其生产方法
CN103127215A (zh) 具有抗关节炎活性的到手香萃取物
KR20110054579A (ko) 눈의 피로 완화 및 시력개선용 한약조성물 및 한약 환제
CN109601795A (zh) 以赶黄草为主要原料的组合物解酒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359720A (zh) 一种清咽利喉和润肺清火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140039724A (ko) 항암 면역증강 약침액 조성물 제조방법
KR100609643B1 (ko) 피부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26385B1 (ko) 피부 면역증강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751863A (zh) 一种芦荟含片及其制备方法
CN106188083B (zh) 一种从艾叶中提取1,8-桉叶素挥发油的方法
KR101093006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우황 청심원 원료 함유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CN105031439A (zh) 一种用于治疗慢性牙周炎的药物制剂
CN105456307B (zh) 一种用于防治中晚期肺腺癌的马尾松嫩枝皮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其组合物
CN105497132A (zh) 一种治疗感冒的中成药及其制备方法
CN108634315A (zh) 一种解酒软胶囊及其制备方法
CN103919842A (zh) 一种大麻药药材的炮制工艺
CN108419974A (zh) 一种护肝解酒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412677B (zh) 一种牛大力袋泡茶及其制备方法
CN108635445A (zh) 岩陀黄酮、黄柏黄酮和当归多糖复合物在制备兽药中的应用
CN103083376B (zh) 可用于治疗鼻炎的藁本提取物
CN102846720A (zh) 一种降血脂、提高缺氧耐受力的组合物
CN102048962A (zh) 一种天麻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1837027A (zh) 一种抑制癌细胞株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998448A (zh) 提高免疫力的桑葚口服液制备方法及其口服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