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585A -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585A
KR20140039585A KR1020120105915A KR20120105915A KR20140039585A KR 20140039585 A KR20140039585 A KR 20140039585A KR 1020120105915 A KR1020120105915 A KR 1020120105915A KR 20120105915 A KR20120105915 A KR 20120105915A KR 20140039585 A KR20140039585 A KR 20140039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vehicle
light source
light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일
Original Assignee
이주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일 filed Critical 이주일
Priority to KR1020120105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9585A/ko
Publication of KR20140039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면에 설치되어 자동자의 전방을 조사하는 헤드램프의 조사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을 향해 열린 오목형 반사면을 갖는 반사경과, 반사경이 고정되게 장착되는 메인 하우징과, 반사경에서 반사된 후 차량의 전면을 향해 조사할 수 있도록 반사경 전방에서 반사경의 오목형 반사면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메인 하우징에 설치되는 광원 유니트와, 광원 유니트를 반사경을 향해 진퇴시킬 수 있도록 된 진퇴부와, 반사경을 통해 진행되는 광빔의 좌우 방향에 대해 조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광원 유니트를 반사경의 오목형 반사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좌우조정부와, 반사경을 통해 진행되는 광빔의 상하 방향에 대해 조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광원 유니트를 반사경의 오목형 반사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상하조정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에 의하면, 반사경 맞은편에서 반사경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자동차의 전면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된 광원 유니트를 진퇴 및 선회시켜 조사방향, 조사각을 조정할 수 있어 규모를 소형화 할 수 있고, 주행속도 및 주행방향 회전에 따라 조사각도를 변환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controlling apparatus of lighting angle of head lamp}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속도 및 회전에 따라 조사 방향 및 조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헤드램프는 야간이나 악천후시 자동차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램프는 고정된 조사각도로 되어 있어 주행 환경에 따라 충분한 조사각도를 제공하는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경사로 주행시 또는 굴곡로 주행시 운전자에세 필요한 충분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헤드램프의 조사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경사로 및 굴곡 연동 헤드램프 조절장치가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5508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헤드램프 조절장치는 헤드렘프의 램프 케이스를 움직이는 구조로 되어 있어 조사각을 조정하기 위한 규모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고정된 반사경을 통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유니트를 조정하여 광의 조사각 및 조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빔의 확산각을 조정할 수 있는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는 자동차의 전면에 설치되어 자동자의 전방을 조사하는 헤드램프의 조사각도 조정장치에 있어서, 전방을 향해 열린 오목형 반사면을 갖는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이 고정되게 장착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반사경에서 반사된 후 차량의 전면을 향해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경 전방에서 상기 반사경의 오목형 반사면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게 상기 메인 하우징에 설치되는 광원 유니트와; 상기 광원 유니트를 상기 반사경을 향해 진퇴시킬 수 있도록 된 진퇴부와; 상기 반사경을 통해 진행되는 광빔의 좌우 방향에 대해 조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 유니트를 상기 반사경의 오목형 반사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좌우조정부와; 상기 반사경을 통해 진행되는 광빔의 상하 방향에 대해 조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 유니트를 상기 반사경의 오목형 반사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상하조정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핸들 조향정보를 검출하는 조향방향 검출부와; 상기 조향방향 검출부에서 제공되는 핸들 조향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광빔이 조사되게 상기 좌우 조정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차속검출부에서 제공되는 주행속도에 따라 상기 반사경에 대한 상기 광원유니트의 이격거리가 조정되게 상기 진퇴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진퇴부는 길이방향으로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랙기어와 이격되어 구속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진퇴 가이드 부재와; 상기 진퇴 가이드 부재의 상기 구속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진퇴바디와; 상기 진퇴바디에 설치된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치합된 상기 랙기어를 통해 상기 진퇴바디를 전후진 시키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조정부는 상기 진퇴 가이드부재를 상기 진퇴바디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에 설치된 제2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조정부는 상기 광원 유니트를 상기 진퇴 바디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진퇴바디에 설치된 제3모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진퇴 조정부 및 상기 좌우조정부는 상기 반사경의 오목형 반사면 반대 편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광원유니트는 상기 제3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반사경에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오목형 반사면에 대향되게 연장된 회동로드와; 상기 회동로드상에 결합되어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에서 상기 오목형 반사면 맞은편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기 오목형 반사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보조 반사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에 의하면, 반사경 맞은편에서 반사경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자동차의 전면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된 광원 유니트를 진퇴 및 선회시켜 조사방향, 조사각을 조정할 수 있어 규모를 소형화 할 수 있고, 주행속도 및 주행방향 회전에 따라 조사각도를 변환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일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의 제어계통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의 일부 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광원 유니트의 좌우방향 선회에 의해 조사방향이 바뀌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의 제어계통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의 일부 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100)는 메인 하우징(110), 반사경(120), 광원 유니트(130), 진퇴부(140), 좌우조정부(150), 상하조정부(160), 조향방향 검출부(171), 차속검출부(173), 제어유니트(175)를 구비한다.
메인 하우징(110)은 자동차(미도시)의 전면에 설치되며 반사경(120)을 포함한 요소들의 장착공간을 제공한다.
반사경(120)은 메인 하우징(110)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자동차의 전방을 향해 열리고 후방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오목형 반사면(121)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반사경(120)은 타원경, 포물경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 유니트(130)는 반사경(120)의 오목형 반사면(121)에 대향되게 반사경(120) 전방에 설치되며, 반사경(120)의 오목형 반사면(121)을 향해 광을 출사하여 반사경(120)에서 반사된 후 차량의 전면을 향해 조사할 수 있도록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131)가 반사경(120)의 반사면(121)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광원 유니트(130)는 후술되는 진퇴바디(143)의 반사면(121)과 대향되는 면에 설치된 제3모터(161)의 회전축(161a)과 광출사부(131) 사이에 회동로드(135)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3모터(161)의 회전축(161a)의 회전에 연동하는 회동로드(135)에 의해 광출사부(131)의 광출사방향이 상하로 조정된다.
광원 유니트(130)는 발광다이오드가 어레이되어 광출사부(131)를 통해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진퇴부(140)는 광원 유니트(130)를 반사경(120)을 향해 진퇴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진퇴부(140)는 진퇴 가이드부재(141), 진퇴 바디(143), 제1모터(145), 피니언 기어(147)를 구비한다.
진퇴 가이드부재(141)는 길이방향으로 랙기어(141a)가 형성되어 있고, 랙기어(141a)와 이격되어 구속홈(141b)이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141a)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진퇴 가이드 부재(141)의 구속홈(141b)은 개방된 상부가 좁고 막힌 하부가 넓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진퇴 바디(143)는 진퇴 가이드 부재(141)의 구속홈(141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진퇴 바디(143)의 저부에는 구속홈(141b)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구속편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다리를 통해 메인 바디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모터(145)는 진퇴 바디(143)에 일체로 결합되게 설치되어 후술되는 피니언기어(147)을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47)는 랙기어(141a)와 치합되게 제1모터(145)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제1모터(145)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진퇴바디(143)를 전후진시킨다.
따라서, 제1모터(145)의 구동에 의해 진퇴되는 진퇴바디(143)에 의해 광원 유니트(130)의 반사경(120)과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좌우 조정부(150)는 진퇴 가이드부재(141)를 진퇴바디(143)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진퇴 가이드부재(141)의 저면에 회전축(151a)이 수직상으로 결합되어 메인 하우징(110)에 장착된 제2모터(151)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좌우 조정부(150)는 제2모터(151)의 구동에 의한 회전축(151a)의 회전에 의해 진퇴 가이드부재(141)가 좌우로 회전하면서 광원 유니트(130)의 광출사방향을 좌우로 조정할 수 있다.
상하 조정부(160)는 광원 유니트(130)를 진퇴 바디(14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진퇴바디(143)에 설치된 제3모터(161)의 회전축(161a)에 광원 유니트(130)의 회동로드(135)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3모터(161a)는 회전축(161a)의 연장방향이 광원 유니트(13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되게 설치되어 있어 제3모터(161a)의 구동에 의해 광원유니트(13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퇴 조정부(140) 및 좌우조정부(150)는 반사경(120)의 오목형 반사면(121) 반대편에 설치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경(120)에는 관통홀(125)이 형성되어 있고, 광원유니트(130)는 보조 반사경(137)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모터(161)는 반사면(121)의 반대편과 대향되게 진퇴바디(143)에 설치되어 있다.
회동로드(135)는 제3모터(161)의 회전축(161a)에 결합되어 반사경(120)에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125)을 통해 오목형 반사면(121)에 대향되게 연장되어 있고, 제3모터(161)의 회전축(161a)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분(135a)과 수평부분의 종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135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수평부분(135a)의 종단에 광원바디가 수직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조 반사경(137)은 회동로드(135)로부터 연장된 보조 지지바(138)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광출사부(131)에서 출사되는 광중 오목형 반사면(121) 맞은편으로 출사되는 광을 오목형 반사면(121)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조향방향 검출부(171)는 자동차의 핸들 조작에 따른 조향 방향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176)에 출력한다.
차속검출부(173)는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76)에 출력한다.
제어유니트(175)는 차속검출부(173)에서 수신된 정보 및 조향방향 검출부(171)에서 수신된 정보로부터 광빔의 조사방향을 결정하는 제어부(176)와, 제어부(17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모터(145)(151)(161)를 구동하는 조사각 조정 구동부(177)로 되어 있다.
제어부(176)는 조향방향 검출부(171)에서 제공되는 핸들 조향정보에 대응되게 설정된 방향으로 광빔이 조사되게 좌우 조정부(150)의 제2모터(151)를 제어한다.
일 예로서, 제어부(176)는 조향방향 검출부(171)에서 제공되는 핸들 조향정보가 우회전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광빔이 도 4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편향되어 조사될 수 있게 조사각 조정구동부(177)를 통해 제2모터(151)를 구동하고, 핸들 조향정보가 좌회전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광빔이 도 4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편향되어 조사될 수 있게 조사각 조정구동부(177)를 통해 제2모터(151)를 구동한다.
또한, 제어부(176)는 차속검출부(173)에서 제공되는 주행속도에 따라 반사경에 대한 광원유니트(130)의 이격거리가 조정되게 조사각 조정구동부(177)를 통해 제1모터(145)를 제어한다.
일 예로서, 반사경(130)이 광원유니트(130)와의 이격거리가 짧아지면 반사경(120)을 통해 출사되는 광빔의 단면적이 좁아지고, 이격거리가 길어지면 광빔의 단면적이 커지는 경우 제어부(176)는 차속검출부(173)에서 제공되는 주행속도가 설정된 단계별로 증가되면 광원유니트(130)와의 이격거리가 좁아지게 제1모터(145)를 제어하여 광빔의 단면적을 좁혀 원거리용 빔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6)는 차속검출부(173)에서 제공되는 주행속도가 설정된 속도 보다 낮은 경우 광원유니트(130)에서 조사되는 광이 반사경(120)의 광축 중심보다 상방으로 조사되게 하여 근거리를 조사하도록 제3모터(161)를 제어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100)는 자동차의 주행속도, 주행방향에 따라 전방을 통해 출사되는 광빔의 방향 및 조사폭을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메인 하우징 120: 반사경
130: 광원 유니트 140: 진퇴부
150: 좌우조정부 160: 상하조정부
171: 조향방향 검출부 173: 차속검출부
175: 제어유니트

Claims (5)

  1. 자동차의 전면에 설치되어 자동자의 전방을 조사하는 헤드램프의 조사각도 조정장치에 있어서,
    전방을 향해 열린 오목형 반사면을 갖는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이 고정되게 장착되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반사경에서 반사된 후 차량의 전면을 향해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경 전방에서 상기 반사경의 오목형 반사면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게 상기 메인 하우징에 설치되는 광원 유니트와;
    상기 광원 유니트를 상기 반사경을 향해 진퇴시킬 수 있도록 된 진퇴부와;
    상기 반사경을 통해 진행되는 광빔의 좌우 방향에 대해 조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 유니트를 상기 반사경의 오목형 반사면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좌우조정부와;
    상기 반사경을 통해 진행되는 광빔의 상하 방향에 대해 조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 유니트를 상기 반사경의 오목형 반사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상하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핸들 조향정보를 검출하는 조향방향 검출부와;
    상기 조향방향 검출부에서 제공되는 핸들 조향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광빔이 조사되게 상기 좌우 조정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차속검출부에서 제공되는 주행속도에 따라 상기 반사경에 대한 상기 광원유니트의 이격거리가 조정되게 상기 진퇴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부는
    길이방향으로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랙기어와 이격되어 구속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진퇴 가이드 부재와;
    상기 진퇴 가이드 부재의 상기 구속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진퇴바디와;
    상기 진퇴바디에 설치된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치합된 상기 랙기어를 통해 상기 진퇴바디를 전후진 시키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조정부는
    상기 진퇴 가이드부재를 상기 진퇴바디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에 설치된 제2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조정부는
    상기 광원 유니트를 상기 진퇴 바디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진퇴바디에 설치된 제3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 조정부 및 상기 좌우조정부는 상기 반사경의 오목형 반사면 반대 편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광원유니트는
    상기 제3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반사경에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오목형 반사면에 대향되게 연장된 회동로드와;
    상기 회동로드상에 결합되어 광을 출사하는 광출사부에서 상기 오목형 반사면 맞은편으로 출사되는 광을 상기 오목형 반사면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보조 반사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

KR1020120105915A 2012-09-24 2012-09-24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 KR20140039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915A KR20140039585A (ko) 2012-09-24 2012-09-24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915A KR20140039585A (ko) 2012-09-24 2012-09-24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85A true KR20140039585A (ko) 2014-04-02

Family

ID=5065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915A KR20140039585A (ko) 2012-09-24 2012-09-24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95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3094A1 (en) * 2016-12-27 2018-07-04 Lg Electronics Inc. Lamp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288257B2 (en) 2015-01-30 2019-05-14 Lg Innotek Co., Ltd. Light-emitting apparatus
WO2020248457A1 (zh) * 2019-06-14 2020-12-17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远近光一体的车灯模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8257B2 (en) 2015-01-30 2019-05-14 Lg Innotek Co., Ltd. Light-emitting apparatus
EP3343094A1 (en) * 2016-12-27 2018-07-04 Lg Electronics Inc. Lamp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0248457A1 (zh) * 2019-06-14 2020-12-17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远近光一体的车灯模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2772B2 (ja) 光レーダ装置
US9527431B2 (en) Vehicle exterior mirror with adaptively activated forward lighting unit
JP5107821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6653521B2 (ja) 路面描画用灯具ユニット
US83083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fail-safe in a head lamp apparatus
WO2016093154A1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10103108A (ja) ある領域を選択的に照らすことができる自動車用光モジュール
JP6545588B2 (ja) アダプティブフロントライティングシステムのビームパターン調節装置
KR20140039585A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각도 조정장치
JP2016088283A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2024038307A (ja) 車両用灯具
JP5430282B2 (ja)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システム
JP5132535B2 (ja) 車両用前照灯
WO2019212033A1 (ja) 車両用ランプのエイミング調整方法及びエイミング調整装置
US7052165B2 (en) Vehicle headlight assembly
KR20140036528A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2019043260A (ja) 前照灯制御装置
JPH07245003A (ja) プリズム及び車両用前照灯装置
JPH10151987A (ja) 車両の前方照明装置
JP5938276B2 (ja) 車両用前照灯の制御システム
JP2014015170A (ja) 制御装置、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KR10141306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WO2022014265A1 (ja) 車両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灯具
KR102607316B1 (ko) 차량용 램프
KR20240047697A (ko) 모빌리티의 통합 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