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114A - 일회용 가열기구 - Google Patents

일회용 가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114A
KR20140039114A KR1020120105490A KR20120105490A KR20140039114A KR 20140039114 A KR20140039114 A KR 20140039114A KR 1020120105490 A KR1020120105490 A KR 1020120105490A KR 20120105490 A KR20120105490 A KR 20120105490A KR 20140039114 A KR20140039114 A KR 20140039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ating
reaction water
heat gener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탁경
Original Assignee
김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탁경 filed Critical 김탁경
Priority to KR102012010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9114A/ko
Publication of KR20140039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가열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 반응수 용기, 스페이서, 발열용기 및 발열부재로 구성되며, 반응수 용기에는 반응수가 미리 주입되고, 발열용기에는 발열부재가 투입된 상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리용기에 물이나 음식재료를 투입하고 상단부를 누르면 반응수 용기의 바닥이 파열되면서 반응수 용기 내의 반응수가 발열용기 내로 유입되면서 발열용기 내에 투입되어 있는 발열부재가 반응수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조리용기 내에 투입된 물이나 음식재료를 가열하게 되는 것으로, 발열부재와 반응수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발열용기의 내부에 중량물을 구비하여 발열부재와 반응수의 화학반응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가열기구{Heating Utensil}
본 발명은 일회용 가열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조리용기나 가열기구 없이 자체에 미리 준비된 발열재에 의하여 물이나 음식물 등을 가열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하고, 발열부재와 반응수의 화학반응에 따라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고, 발열부재와 반응수의 화학반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요동치는 일이 없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가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끓이거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냄비나 솥 등의 조리용기와 전기, 가스 또는 석유 등을 이용한 가열기구를 사용해 왔다. 또한 야외에서 물을 끓이거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서 코펠 등의 야외용 조리용기와 버너 등의 가열기구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연보호의 차원에서 국ㆍ도립공원 등에서의 취사행위가 금지되는 등 야외에서의 취사에 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은 뜨거운 물만 있으면 취식이 가능한 즉석식품을 애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즉석식품을 취식하기 위해서는 보온병에 뜨거운 물을 미리 준비하여야 하므로 간편한 차림의 야외활동시에는 취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조리용기와 가열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뜨거운 물을 미리 준비하지 않고서도 즉석에서 물을 끓이거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가열기구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가열기구는 상측의 조리용기와 하측의 발열용기의 이중 용기로 구성하여 조리용기에 물이나 음식재료를 투입하고, 발열용기에 발열재와 물을 투입하여 발열재와 물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조리용기에 투입한 물이나 음식재료를 가열하는 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회용 가열기구는 분리된 조리용기와 발열용기 및 발열재로 된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어 사용자가 사용설명서를 보고 발열용기에 발열재와 물을 투입하고, 조리용기와 발열용기를 조립한 다음 조리용기에 물이나 음식재료를 투입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발열재와 물을 적정량만큼 투입하지 못하게 되어 발열재와 물의 투입량이 적을 경우에는 충분한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고, 발열재와 물의 투입량이 많은 경우에는 과다한 발열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일회용과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 형태의 가열기구가 출시되고 있으나 반복 사용이 가능한 가열기구의 경우, 발열재의 구입이 용이하지 않아 초기에 구입한 발열재가 소진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초기 구입시 많은 양의 발열재를 구입한 경우 발열재가 굳어버려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 발열재의 보관 및 관리가 어려워 결국 가열기구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가열기구는 비교적 고가인 바, 이러한 고가의 가열기구를 구입 초기 몇 차례 사용한 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외곽이 전도체로 되는 발열실과 생석회실을 가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반응수실과 생석회실 사이에 얇은 임시막을 구비하고 이 임시막에는 연결사를 부착시키고, 상기 생석회실의 하측에는 잔류흡수지를 부착하고, 상기 발열실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반응수 유출핀을 설치하여 그 상단의 걸림부를 상기 반응수실의 내부에 위치시켜서 손잡이를 용기 외부에서 잡아당겨 상기 임시막을 파열시킴으로써 반응수와 생석회가 화학반응을 일으키도록 한 일회용 승온용기"가 대한민국 특허 제004496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회용 승온용기는 반응수 유출핀이 용기 바닥을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반응수 유출핀에 의하여 임시막을 파열시켜 반응수실 내의 반응수가 생석회실 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반응수와 생석회가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용기 바닥과 반응수 유출핀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반응수와 생석회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누출될 염려가 있다. 용기 바닥에 잔류흡수지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또한, 반응수와 생석회의 화학반응에 따라 발열실 내에 발생한 압력에 의하여 고온의 반응물이 용기 바닥과 반응수 유출핀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출되면서 용기 전체가 요동치면서 넘어져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열체를 내부에 넣고, 물을 부어 상기 발열체의 열에 의해 음식 조리가 가능한 즉석 조리용기에 있어서, 금속재질로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손잡이가 결합되며, 상단 테두리에 고정턱이 마련되는 가열용기와; 금속재질로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열용기 내부에 물과 발열체가 수납되도록 상기 가열용기의 바닥과 이의 바닥이 일정 거리 이격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가열용기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고정턱에 거치되도록 상단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체결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단 테두리 내측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조리용기와; 금속재질로 링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용기의 고정턱과 상기 조리용기의 체결턱을 상호 밀착시켜 압력을 유지하는 록킹 부재와; 상기 조리용기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뚜껑; 및 상기 가열용기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열용기의 내부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켜 일정하게 유지하는 감압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용기"가 대한민국 특허 제085137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즉석 조리용기는 물을 끓이는 경우 록킹 부재의 후크를 해제하여 록킹 부재를 벗겨 내고 가열용기에서 조리용기를 빼낸 다음, 가열용기 내에 발열체를 넣고, 적당량의 가열용 물을 채워 넣고, 조리용 물이나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다시 가열용기에 삽입한 다음, 록킹 부재를 결합하여 조리용기를 가열용기에 고정시키고, 조리용기에 뚜껑을 안착시켜 조리용기를 밀폐시켜 가열용기 내에 채워진 가열용 물과 발열체가 혼합되면서 화학반응이 개시됨에 따라 열이 발생되어 조리용기에 투입된 물이나 음식재료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열용기 내에 발열체와 가열용 물을 채워 넣는 과정에서 즉각적으로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조리용기를 가열용기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즉석 조리용기는 반영구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고가이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체 구입이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구입 초기에 몇 차례 사용하고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됨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간편하고, 발열부재와 반응수의 화학반응에 따라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도록 한 일회용 가열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부재와 반응수의 화학반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요동치는 일이 없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가열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끓이기 위한 물이나 조리하기 위한 음식재료가 투입되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며 반응수가 주입된 반응수 용기와; 상기 반응수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에 결합되는 발열용기; 및 상기 발열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발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수 용기의 바닥은 파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발열용기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주벽부 하단부에 삽입되어 주벽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는 상기 반응수 용기의 바닥을 파열시키기 위한 상단이 첨예한 복수개의 파열돌기가 형성되는 일회용 가열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조리용기는 주벽부와 바닥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반응수 용기는 주벽부와 바닥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주벽부를 가지며 상하단이 개방되고, 상기 발열용기는 주벽부와 바닥을 가지며 상단이 개방되고, 상기 조리용기의 주벽부 외주면 하단과 상기 반응수 용기의 주벽부 내주면 상단에는 각각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반응수 용기의 주벽부 외주면 하단과 스페이서의 주벽부 내주면 상단에는 각각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열용기의 상단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내주면과 상기 발열용기의 삽입부 외주면에는 각각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조리용기와 반응수 용기, 스페이서 및 발열용기는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은 주벽부와 별도로 제작되어 주벽부의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은 주벽부의 성형과정에서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재는 발열재로 구성되어 상기 발열용기 내에 직접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재는 발열재와, 상기 발열재를 포장하는 포장대에 의하여 팩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발열용기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조리용기, 반응수 용기, 스페이서, 발열용기의 외주면에는 보호필름이 피복된다.
상기 발열용기의 내부에는 중량물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 반응수 용기, 스페이서, 발열용기 및 발열부재로 구성되며, 반응수 용기에는 반응수가 미리 주입되고, 발열용기에는 발열부재가 투입된 상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리용기에 물이나 음식재료를 투입하고 상단부를 누르면 반응수 용기의 바닥이 파열되면서 반응수 용기 내의 반응수가 발열용기 내로 유입되면서 발열용기 내에 투입되어 있는 발열부재가 반응수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조리용기 내에 투입된 물이나 음식재료를 가열하게 되는 것으로 발열부재와 반응수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용기의 내부에 중량물을 구비하여 발열부재와 반응수의 화학반응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가열기구의 기본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가열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가열기구의 초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가열기구의 발열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가열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가열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가열기구는 끓이기 위한 물이나 조리하기 위한 음식재료가 투입되는 조리용기(10)와; 상기 조리용기(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반응수(W)가 주입된 반응수 용기(20)와; 상기 반응수 용기(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페이서(30)와; 상기 스페이서(3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발열용기(40); 및 상기 발열용기(40)의 내부에 수용된 발열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용기(10)와 반응수 용기(20), 스페이서(30) 및 발열용기(40)는 금속재보다는 열전도율이 낮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용기(10)는 주벽부(11)와 바닥(12)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통상적인 용기 형태로서, 상면은 별도의 뚜껑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리용기(10)의 바닥(12)은 주벽부(11)와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발열부재(50)와 반응수(W)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이 조리용기(10)에 투입된 물이나 음식재료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은 은박지 등의 금속박막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12)은 주벽부(11)와 별도로 제작하여 주벽부(11)의 하단에 부착할 수도 있으며, 합성수지로 주벽부(11)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수 용기(20)는 주벽부(21)와 바닥(22)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통상적인 용기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반응수 용기(20)의 바닥(22)은 유통과정에서는 쉽게 파열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가열기구에 힘을 가하면 쉽게 파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반응수 용기(20)의 바닥(22)은 반응수 용기(20)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주벽부(21)보다 얇게 성형할 수도 있으며, 반응수 용기(20)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주벽부(21)만 성형하고, 바닥(22)은 별도의 파열 가능한 박막부재로 구성하여 주벽부(21)의 하단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22)을 구성하는 박막부재로서는 은박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리용기(10)와 반응수 용기(2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조리용기(10)의 주벽부(11)의 외주면 하단과 반응수 용기(20)의 주벽부(21) 내주면 상단에는 각각 수나사부(13)와 암나사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30)는 주벽부(31)를 가지며 상하단이 개방된 통상적인 통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반응수 용기(20)와 스페이서(3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반응수 용기(20)의 주벽부(21)의 외주면 하단과 스페이서(30)의 주벽부(31) 내주면 상단에는 각각 수나사부(24)와 암나사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발열용기(40)는 주벽부(41)와 바닥(42)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통상적인 용기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용기(40)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페이서(30)의 주벽부(31) 하단부에 삽입되어 주벽부(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삽입부(43)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43)의 상단에는 상기 반응수 용기(20)의 바닥(21)을 파열시키기 위한 상단이 첨예한 복수개의 파열돌기(44)가 형성된다.
최초 출고 상태에서는 상기 파열돌기(44)가 반응수 용기(20)의 바닥(22)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페이서(30)의 주벽부(31) 내주면과 발열용기(40)의 삽입부(43) 외주면에는 결합홈(33)과 결합돌기(4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홈(33)과 결합돌기(45)는 사용자가 발열용기(40)의 바닥(42)을 식탁 등에 올려놓고 가열기구의 상단을 누르면 쉽게 이탈하면서 조리용기(10), 반응수 용기(20) 및 스페이서(30)가 하강하면서 상대적으로 발열용기(40)의 삽입부(43)가 스페이서(30)의 주벽부(31)에 더 깊게 삽입되면서 그 상단에 형성된 파열돌기(44)가 반응수 용기(20)의 바닥(22)을 파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열부재(50)는 생석회 등과 같이 물과 화학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재(51)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가열기구는 한 잔의 커피를 탈 수 있는 양의 물을 끓일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거나 여러 잔의 커피를 탈 수 있는 양의 물을 끓이거나 라면 등의 음식재료를 조리할 수 있는 크기 등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는 바, 가열기구의 크기에 따라 최적한 발열량을 얻을 수 있도록 발열재의 투입량을 예컨대, 10g, 20g, 30g 등으로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재(50)는 발열재(51)를 발열용기(40)에 직접 투입할 수도 있으나, 부직포 등 물이 투과할 수 있는 투수성 부재로 된 포장대(52)에 포장한 팩(Pack)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가열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가열기구를 제품화할 경우, 조리용기(10), 반응수 용기(20), 스페이서(30), 발열용기(40)가 조립되고, 반응수 용기(20)에는 반응수(W)가 주입되며, 발열용기(40)에는 발열부재(50)가 투입되며, 스페이서(30)의 결합홈(33)에 발열용기(40)의 결합돌기(45)가 결합되어 발열용기(40)의 파열돌기(44)가 반응수 용기(20)의 바닥(22)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리용기(10)의 상단에는 뚜껑을 씌운 상태로 판매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페이서(30)의 결합홈(33)과 발열용기(40)의 결합돌기(45)에 의하여 스페이서(30)와 발열용기(40)가 결합되어 발열용기(40)의 상단에 구비된 파열돌기(44)가 반응수 용기(20)의 바닥(22)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반응수(W)가 반응수 용기(20) 내에 주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유통과정에서 스페이서(30)의 결합홈(33)과 발열용기(40)의 결합돌기(45)가 임의로 이탈되어 파열돌기(44)에 의하여 반응수 용기(20)의 바닥(22)이 파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조리용기(10), 반응수 용기(20), 스페이서(30), 발열용기(40)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보호필름(60)(도 2 및 도 3 참조)으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필름(60)은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하며, 합성수지 필름을 단순히 조리용기(10), 반응수 용기(20), 스페이서(30), 발열용기(4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점착제에 의하여 조리용기(10), 반응수 용기(20), 스페이서(30), 발열용기(40)의 외주면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60)에는 제품명과 사용설명서 등을 인쇄할 수 있으며, 광고문구 등을 인쇄하여 판촉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가열기구를 구입한 사용자는 뚜껑을 열고, 상기 조리용기(10)에 물이나 음식재료(F)를 투입하여 식탁 등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조리용기(10)의 상단부를 누르면, 조리용기(10), 반응수 용기(20) 및 스페이서(30)가 하강하게 되고, 스페이서(30)의 결합홈(33)이 발열용기(40)의 결합돌기(45)로부터 이탈하면서 발열용기(40)의 삽입부(43)와 그 상단에 구비된 파열돌기(44)가 스페이서(30)의 주벽부(31)에 더 깊게 삽입되면서 그 상단에 형성된 파열돌기(44)가 반응수 용기(20)의 바닥(22)을 파열시키게 되어 반응수 용기(20)에 주입되어 있던 반응수(W)가 스페이서(30)를 통해 발열용기(40) 내로 유입된다(도 4 참조).
상기 발열용기(40) 내에 반응수(W)가 유입되면 발열부재(50)가 반응수(W)와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열을 발생시키게 되고, 발생된 열은 스페이서(30)의 내부와 반응수 용기(20)의 내부를 통해 조리용기(10)의 바닥(22)에 전달되어 조리용기(10)에 투입된 물이나 음식재료(F)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발열부재(50)가 발열재(51)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발열용기(40) 내로 유입되는 물이 발열재(51)와 직접 접촉하게 되고, 발열재(51)를 포장대(52)로 포장한 경우에는 발열용기(40) 내로 유입되는 물이 포장대(52)를 투과하여 발열재(51)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10)의 바닥(22)은 합성수지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열용기(40) 내의 발열부재(50)에서 발생한 열이 조리용기(10) 내의 물이나 음식재료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리용기(10), 반응수 용기(20), 스페이서(30), 발열용기(40)는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발열부재(5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10), 반응수 용기(20), 스페이서(30), 발열용기(40)의 외주면을 보호필름(60)으로 피복한 경우에는 외부로 전달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위험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리용기(10), 반응수 용기(20), 스페이서(30), 발열용기(40)를 보호필름(60)으로 피복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가열기구를 식탁 등에 올려놓고 조리용기(10)의 상단은 눌렀을 때 보호필름(60)이 스페이서(30)의 하단과 발열용기(40)의 상단 사이에서 접히게 되므로 사용하는 데에는 하등의 지장이 없게 된다(도 4 참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발열재(51)와 반응수(W)의 화학반응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일회용 조리기구 자체가 요동치면서 넘어질 염려가 있는 바, 상기 발열용기(40)의 바닥(42)에 중량물(7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물(70)은 발열용기(40)의 바닥(42) 위에 적재된 상태로 설치하거나 발열용기(40)의 성형시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발열용기(40)의 바닥(42)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중량물(70)로서는 모래나 작은 돌멩이 또는 금속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중량물(70)로서 모래나 작은 돌멩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서트 몰딩보다는 바닥(42) 위에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물(70)로서 금속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닥(42)에 적재할 수도 있고 인서트 몰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발열용기(40)의 바닥(42)에 중량물(70)을 구비한 경우 발열재(51)와 반응수(W)의 화학반응시 압력이 발생하더라고 중량물(70)이 무게 중심을 하단부로 이동시키게 되기 때문에 일회용 가열기구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조리용기
20 : 반응수 용기
30 : 스페이서
33 : 결합홈
40 : 발열용기
43 : 삽입부
44 : 파열돌기
45 : 결합돌기
50 : 발열부재
51 : 발열재
52 : 포장대
60 : 보호필름
70 : 중량물

Claims (3)

  1. 끓이기 위한 물이나 조리하기 위한 음식재료가 투입되는 조리용기(10)와;
    상기 조리용기(10)의 하부에 결합되며 반응수(W)가 주입된 반응수 용기(20)와;
    상기 반응수 용기(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페이서(30)와;
    상기 스페이서(3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발열용기(40); 및
    상기 발열용기(40)의 내부에 수용된 발열부재(50)와 중량물(70);을 포함하며,
    상기 반응수 용기(20)의 바닥은 파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발열용기(40)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페이서(30)의 주벽부(31) 하단부에 삽입되어 주벽부(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삽입부(43)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43)의 상단에는 상기 반응수 용기(20)의 바닥(22)을 파열시키기 위한 상단이 첨예한 복수개의 파열돌기(4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가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10)는 주벽부(11)와 바닥(12)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반응수 용기(20)는 주벽부(21)와 바닥(22)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스페이서(30)는 주벽부(31)를 가지며 상하단이 개방되고,
    상기 발열용기(40)는 주벽부(41)와 바닥(42)을 가지며 상단이 개방되고,
    상기 조리용기(10)의 주벽부(11) 외주면 하단과 상기 반응수 용기(20)의 주벽부(21) 내주면 상단에는 각각 수나사부(13)와 암나사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반응수 용기(20)의 주벽부(21) 외주면 하단과 스페이서(30)의 주벽부(31) 내주면 상단에는 각각 수나사부(24)와 암나사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발열용기(40)의 상단에는 상기 스페이서(30)의 내주면과 상기 발열용기(40)의 삽입부(43) 외주면에는 각각 결합홈(33)과 결합돌기(4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가열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10)와 반응수 용기(20), 스페이서(30) 및 발열용기(40)는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상기 조리용기(10)의 바닥(12)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박막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가열기구.




KR1020120105490A 2012-09-22 2012-09-22 일회용 가열기구 KR20140039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490A KR20140039114A (ko) 2012-09-22 2012-09-22 일회용 가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490A KR20140039114A (ko) 2012-09-22 2012-09-22 일회용 가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114A true KR20140039114A (ko) 2014-04-01

Family

ID=5064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490A KR20140039114A (ko) 2012-09-22 2012-09-22 일회용 가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91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75B1 (ko) * 2015-11-24 2017-04-12 이보영 발열팩을 이용하는 야외용 조리기구
CN107536443A (zh) * 2016-06-28 2018-01-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发热盘及煨汤锅
KR102199829B1 (ko) 2019-12-24 2021-01-07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즉석식품 가열 포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75B1 (ko) * 2015-11-24 2017-04-12 이보영 발열팩을 이용하는 야외용 조리기구
CN107536443A (zh) * 2016-06-28 2018-01-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发热盘及煨汤锅
KR102199829B1 (ko) 2019-12-24 2021-01-07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즉석식품 가열 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243B2 (en) Grill accessory
CN204016007U (zh) 加热容器
KR101631556B1 (ko) 중탕기능이 구비된 무선 전기주전자
KR20140039114A (ko) 일회용 가열기구
JP4286289B2 (ja) 液体加熱容器
KR20100073200A (ko) 자체 발열식 용기
US20070295218A1 (en) Multi-use durable coffee pot system
US11672373B2 (en) Beverage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cartridge
GB2450552A (en) Thermic module for heating of container
KR101548430B1 (ko) 소형 떡 찜기
KR102268602B1 (ko) 음식포장용기
KR101406618B1 (ko) 이중구조 뚜껑이 구비된 컵밥 포장용기
WO2002060304A1 (en) Microwavw milk jug
KR102656506B1 (ko)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
KR200497726Y1 (ko) 일회용 찜 발열용기
KR20110043372A (ko)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1회용 식품용기
KR20080009933A (ko) 불없이 컵라면을 끓여 먹을 수 있는 즉석가열용기
KR200493577Y1 (ko) 휴대용 압력 취사용기
JPH0523162Y2 (ko)
US20240156296A1 (en) Sustainable vessel for infusing consumable products
JP2008278838A (ja) 豆腐調理セットと豆腐調理方法
JP2009077803A (ja) 飲食物蒸気加熱用シャフト及びそのためのインスタント食品入り容器
KR20090081074A (ko) 자가 발열 용기
KR20100019619A (ko) 가열 팩
TWM529464U (zh) 加熱容器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