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603A -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603A
KR20140038603A KR1020120104849A KR20120104849A KR20140038603A KR 20140038603 A KR20140038603 A KR 20140038603A KR 1020120104849 A KR1020120104849 A KR 1020120104849A KR 20120104849 A KR20120104849 A KR 20120104849A KR 20140038603 A KR20140038603 A KR 20140038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power generation
mode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223B1 (ko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22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은 에너지저장부로부터 입력된 전력을 구동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모드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력을 정류하여 상기 에너지저장부로 출력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연결되고, 상기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구동전력을 통과시켜 외부로 출력하는 제3 모드와, 내부에서 전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내부에서 발생된 내부전력을 상기 변환부로 출력하는 제4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발전부; 상기 발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발전부를 통해 상기 구동전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구동전력을 이용하여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시동부; 상기 발전부와 상기 시동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부; 및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전력이 엔진을 시동하도록 상기 변환부, 상기 발전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모니터링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전력이 상기 에너지저장부를 충전하도록 상기 스위칭부, 상기 변환부 및 상기 발전부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시동과 발전을 한 개의 인버터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통해 제품의 크기를 작게 하면서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STARTER GENERATOR APPARATUS FOR MICRO HYBRID SYSTEM}
본 발명은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저전압 배터리와 수퍼캡을 포함한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는 저전압 배터리(예를 들면, 12V lead acid) 및 복수개의 울트라캡(예를 들면, 36V~48V)과 같은 에너저저장부, 모터구동을 위한 DC-AC인버터 및 ISG(Integrated Starter Generator)를 구비할 수 있다.
ISG는 일반적으로 저속/고토크가 필요한 시동기(Starter)와 고속/저토크가 필요한 발전기(Generator)가 하나의 결합된 형태로서 구현되기 때문에, ISG의 효율을 높이면서 ISG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데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시동기(Starter)는 cold cranking용으로만 사용되므로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KR 10- 2004-0074783, 2004, 08. 26, 도면 1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시동기(Starter)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시동과 발전을 한 개의 인버터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와 이에 따른 제어알고리즘을 통해 제품의 크기를 작게 하면서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는 에너지저장부로부터 입력된 전력을 구동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모드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력을 정류하여 상기 에너지저장부로 출력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연결되고, 상기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구동전력을 통과시켜 외부로 출력하는 제3 모드와, 내부에서 전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내부에서 발생된 내부전력을 상기 변환부로 출력하는 제4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발전부; 상기 발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발전부를 통해 상기 구동전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구동전력을 이용하여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시동부; 상기 발전부와 상기 시동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부; 및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전력이 엔진을 시동하도록 상기 변환부를 상기 제1 모드로 상기 발전부를 상기 제3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발전부와 상기 시동부를 연결시키거나, 상기 모니터링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전력이 상기 에너지저장부를 충전하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발전부와 상기 시동부의 연결을 차단시키고 상기 변환부를 상기 제2 모드로 상기 발전부를 상기 제4 모드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엔진의 시동이 완료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 상기 시동부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부를 정지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시동부의 속도가 제1 최소임계속도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단락하여 상기 발전부와 상기 시동부의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엔진의 속도가 제2 최소임계속도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엔진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엔진발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발전기를 제어하고, 상기 엔진이 속도가 상기 제2 최소임계속도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발전부가 상기 엔진발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하여 상기 발전부와 상기 시동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차량의 상태가 아이들상태(idle state)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3 모드 및 상기 제4 모드의 동작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차량의 상태가 엔진시동상태(engine starting state)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3 모드의 동작을 활성화하며, 상기 차량의 상태가 발전상태(generating state)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4 모드의 동작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발전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인덕터로서 동작하면서 상기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구동전력을 통과시켜 상기 시동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3상의 인버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배터리 및 슈퍼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4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회생발전 및 엔진발전을 통해 상기 내부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에너저저장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시동부는 센서리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속/저토크의 발전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모터설계를 할 수 있어 중량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제품의 경량화 및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정지/출발 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엔진을 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어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개의 인버터, 2개의 모터 구조를 가지고 있어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발전부에 자석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시동조건에서 시동부를 사용할 수 있어 종래 시동부가 Cold Cranking용만으로 사용됨에 따른 활용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가 적용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의 시동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절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의 시동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의 발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절차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의 발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 중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차량을 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는 에너지저장부(10), 변환부(20), 발전부(30), 스위칭부(40), 시동부(5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저장부(10)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하, 시스템)의 주 전원으로 시스템의 전기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시스템의 발전부(30)에 의해 발생된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에너지저장부(10)는 시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고 회생발전 및 엔진발전을 통해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너지저장부(10)는 배터리, 수퍼캡 및 DC-DC컨버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배터리 단독, DC-DC컨버터를 매개체로하여 배터리/수퍼캡의 직병렬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변환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저장부(10)에 연결되고, 에너지저장부(10)로부터 전력이 입력된 경우 이 입력된 전력을 구동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모드와, 발전부(30)로부터 전력이 입력된 경우 이 입력된 전력을 정류하여 에너지저장부(10)로 출력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모드 및 제2 모드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된다.
즉 변환부(2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S1, S2 스위치가 온(ON)/오프(OFF) 되어 에너지저장부(10)로부터 입력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로서 제1 모드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변환부(2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S1, S2 스위치가 오프(OFF) 되어, 발전부(30)로부터 입력된 교류전력을 정류하여 에너지저장부(10)를 충전하는 정류기로서 제2 모드의 동작을 수행한다.
발전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20)에 연결되고, 변환부(20)로부터 교류의 구동전력이 입력된 경우 이 구동전력을 통과시켜 시동부(50)로 출력하는 제3 모드와, 회생발전 및 엔진발전과 같이 내부에서 전력이 발생되는 경우 이왁 같이 내부에서 발생된 내부전력을 변환부(20)로 출력하는 제4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3 모드 및 제4 모드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된다.
즉 발전부(3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인덕터로서 동작하면서 변환부(20)로부터 입력된 구동전력을 통과시켜 시동부(50)로 공급한다.
또한 발전부(30)는 제어부에 제어에 의해 제4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회생발전 및 엔진발전을 통해 내부전력을 발생하여 에너지저장부(10)로 출력한다.
발전부(30)는 영구자석을 사용하지 않는 유도전동기, 계자제어형 동기전동기, 릴럭턴스 전동기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칭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부(50)와의 연결을 위한 발전부(30)의 연결단을 단락 또는 개방하는 것에 의해 발전부(30)와 시동부(50)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칭부(40)는 파워릴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시동부(50)는 발전부(30)에 연결되고 발전부(30)를 통해 구동전력이 입력된 경우 이 구동전력을 이용하여 엔진을 시동속도까지 가속한다. 시동부(50)는 비용절감 및 시스템 단순화를 위해 속도/위치 센서리스(Sensorless)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가 적용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인 차량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어부의 동작이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아이들 상태(idle state), 엔진시동 상태(engine starting state), 발전 상태(generating s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들 상태(idle state)는 차량과 같은 시스템이 정지한 상태 또는 매우 저속인 상태, 엔진의 시동이 정지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엔진시동 상태(engine starting state)는 엔진에 시동을 거는 상태. 시스템을 출발시키기 위해 엔진을 재시동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ISG를 이용하는 경우 시동시 시동부가 동작한다.
발전 상태(generating state)는 시스템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엔진의 기계적 회전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악셀 패달을 떼고/떼거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차량의 기계적 관성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의 동작을 제어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에너지저장부(10)의 전력을 변환부(20) 및 발전부(30)를 통해 시동부(50)로 전달하여 차량의 시동을 수행하도록 이들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는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엔진의 시동이 완료되는 지 판단한다(S310). 엔진이 크랭킹되면, 즉 시동이 걸리면 시동부(50)는 엔진 구동계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엔진이 크랭킹 될 때 까지(S310), 제어부는 스위칭부(40)의 'R1', 'R2'를 오프(OFF)하여 발전부(30)와 시동부(50)를 연결하고 변환부(20)에 의해 변환된 구동전력이 시동부(50)로 공급되도록 토크제어(또는 속도제어)를 수행한다(S320).
S310단계의 판단결과 엔진의 시동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는 시동부(5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즉 도 3의 Ws_cmd=0과 같이 시동부(50)의 속도가 0이 되도록 제어한다(S330).
S330단계에 의한 시동부(50)의 정지과정에서 시동부(50)의 속도(Ws)가 제1 최소임계속도값(Ws_min)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340). 제1 최소임계속도값(Ws_min)은 시동부(50)의 역기전력이 작아서 스위칭부(40)의 릴레이를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의 값으로 정해진다.
S340판단결과 시동부(50)의 속도(Ws)가 제1 최소임계속도값(Ws_min)보다 작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는 스위칭부(40)의 'R1', 'R2'를 온(ON)하여 발전부(30)와 시동부(50)를 단절시킨다.
즉 제어부는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부(30)를 제3 모드로 동작시켜 인덕터(Lg)로서의 역할만 수행시킨다. 즉 발전부(30)는 파선과 같이 역기전력(Ega, Egb, Egc)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도 4에 도시된 회로에서, 발전부(30)와 시동부(50)는 하나의 모터로 해석되며,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인덕턴스는 L = Lg+Ls이고, 상저항 R = Rg + Rs 이며, 상전압은 Vasn = Va - Vsn, Vbsn = Vb - Vsn, Vcsn = Vc - Vsn 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발전부(30)에 의해 발생된 내부전력이 에너지저장부(10)에 충전되도록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는 엔진의 속도(Weng)가 제2 최소임계속도값(Weng_min) 보다 큰 지 판단한다(S510). 제2 최소임계속도값(Weng_min)은 발전부(30)에 의해 발전이 가능한 엔진의 최소속도로서 정해진다.
S510단계의 판단결과 엔진의 속도가 제2 최소임계속도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는 발전부(30)를 제어하여 내부전력을 발생시킨다(S530).
즉 제어부는 발전부(30)의 전력지령(Pg_cmd)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력값(Pg_set)이 되도록, 도 5의 Pg_cmd=Pg_set와 같이 되도록 발전부(30)를 제어하면서, 스위칭부(40)의 'R1', 'R2'을 온(ON)하여 발전부(30)와 시동부(50)의 연결을 차단시킨다제어부는 발전부(30)의 전력지령을 음의 값으로 인가하여 엔진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반면, S510단계의 판단결과 엔진의 속도가 제2 최소임계속도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는 발전부(30)의 전력지령(Pg_cmd)이 0이 되도록 제어하여 발전부(30)의 발전을 정지시키면서 변환부(20)의 스위치를 오프(OFF)하고 스위칭부(40)의 'R1', 'R2'를 오프(OFF)하여 발전부(30)와 시동부(50)를 연결한다(S540). 이 경우, 시동부(50)는 이미 엔진의 구동계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역기전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제어부는 모니터링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내부전력이 에너지저장부(10)를 충전하도록 도 6에 도시된 파선과 같이 스위칭부(40)에 의해 발전부(30)와 시동부(50)의 연결을 차단시킨다.
제어부는 변환부(20)를 제2 모드인 정류기로서 동작한다. 변환부(20)는 스위치 S1, S2가 개방되어 다이오드(D1,D2)에 의해 동작된다. 제어부는 발전부(30)를 제4 모드로 동작시켜 내부전력(Ega, Egb, Egc)을 발생시킨다. 스위칭부(40)의 릴레이 'R1', 'R2'가 발전부(30)와 시동부(50)를 연결시키는 3상의 연결단을 단락시켜 중성점을 확보하고 있으며, 시동부(50)는 역기전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부(30)의 전압방정식은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상전압(Phase Voltage)은 Vagn=Va-Vgn, Vbgn=Vb-Vgn, Vcgn=Vc-Vgn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는 발전부(3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설계가 가능하고, 시동부(50)의 재시동 횟수를 대폭 증대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는 고속/저토크의 발전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모터설계를 할 수 있어 중량의 최소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는 차량 정지/출발 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엔진을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는 1개의 인버터, 2개의 모터 구조를 가지고 있어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발전부에 자석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부품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10: 에너지저장부
20: 변환부
30: 발전부
40: 스위칭부
50: 시동부

Claims (11)

  1. 에너지저장부로부터 입력된 전력을 구동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모드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력을 정류하여 상기 에너지저장부로 출력하는 제2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연결되고, 상기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구동전력을 통과시켜 외부로 출력하는 제3 모드와, 내부에서 전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내부에서 발생된 내부전력을 상기 변환부로 출력하는 제4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발전부;
    상기 발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발전부를 통해 상기 구동전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구동전력을 이용하여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시동부;
    상기 발전부와 상기 시동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부; 및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전력이 엔진을 시동하도록 상기 변환부를 상기 제1 모드로 상기 발전부를 상기 제3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발전부와 상기 시동부를 연결시키거나, 상기 모니터링된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전력이 상기 에너지저장부를 충전하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발전부와 상기 시동부의 연결을 차단시키고 상기 변환부를 상기 제2 모드로 상기 발전부를 상기 제4 모드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엔진의 시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시동부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부를 정지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시동부의 속도가 제1 최소임계속도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위칭부를 단락하여 상기 발전부와 상기 시동부의 연결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엔진의 속도가 제2 최소임계속도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엔진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엔진발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발전기를 제어하고, 상기 엔진이 속도가 상기 제2 최소임계속도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발전부가 상기 엔진발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하여 상기 발전부와 상기 시동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차량의 상태가 아이들상태(idle state)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3 모드 및 상기 제4 모드의 동작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차량의 상태가 엔진시동상태(engine starting state)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3 모드의 동작을 활성화하며, 상기 차량의 상태가 발전상태(generating state)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4 모드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인덕터로서 동작하면서 상기 변환부로부터 입력된 구동전력을 통과시켜 상기 시동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3상의 인버터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배터리 및 슈퍼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4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회생발전 및 엔진발전을 통해 상기 내부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에너저저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부는 센서리스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시동부와 연결되는 상기 발전부의 연결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KR1020120104849A 2012-09-21 2012-09-21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KR101974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849A KR101974223B1 (ko) 2012-09-21 2012-09-21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849A KR101974223B1 (ko) 2012-09-21 2012-09-21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603A true KR20140038603A (ko) 2014-03-31
KR101974223B1 KR101974223B1 (ko) 2019-08-23

Family

ID=5064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849A KR101974223B1 (ko) 2012-09-21 2012-09-21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874A (ko) 2014-12-09 2016-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텐덤 스타터를 이용한 엔진 역회전 방지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8778A (ja) * 1995-07-17 1997-03-31 Denso Corp 始動発電装置
KR20040074783A (ko) 2003-02-19 2004-08-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전원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04340055A (ja) * 2003-05-16 2004-12-02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方式の駆動装置
KR20090062385A (ko) * 2007-12-13 2009-06-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전원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25340A (ko) * 2008-08-27 2010-03-0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동력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8778A (ja) * 1995-07-17 1997-03-31 Denso Corp 始動発電装置
KR20040074783A (ko) 2003-02-19 2004-08-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전원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04340055A (ja) * 2003-05-16 2004-12-02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方式の駆動装置
KR20090062385A (ko) * 2007-12-13 2009-06-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전원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25340A (ko) * 2008-08-27 2010-03-0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동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874A (ko) 2014-12-09 2016-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텐덤 스타터를 이용한 엔진 역회전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223B1 (ko)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8219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control device
US9315112B2 (en) Power source apparatus for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143824B2 (en) Regenerating braking system including synchronous motor with field exci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39679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399048B2 (ja) 車両
WO2011046147A1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EP2991219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07041948A2 (fr) Systeme de commande multiplicateur de demarrage et de generation et procede d'utilisation de ce systeme et vehicule dynamique hybride a deplacement electrique utilisant ce systeme et ce procede
US20150258946A1 (en) Split-rail vehicle power architecture
EP1736355A2 (en) Electrical power train of vehicle
JP2011087408A (ja) 車両の電源システム
WO2004055963A1 (ja) 自動車用電力装置
CN104993580A (zh) 油电混合直流供电装置
JPH07115704A (ja) リターダ装置
JPWO2017154778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20160063621A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478185B2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KR101974223B1 (ko)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시동발전장치
KR101854017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발전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2182893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電動機の駆動制御装置
KR101713666B1 (ko) 차량 전원 관리 장치
CN104767466B (zh) 一种绕组自动切换的起动发电系统
KR102030179B1 (ko)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전력관리장치
JPH07308032A (ja) 二電圧出力型発電電動装置
JP5241761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