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186A -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186A
KR20140038186A KR1020120104597A KR20120104597A KR20140038186A KR 20140038186 A KR20140038186 A KR 20140038186A KR 1020120104597 A KR1020120104597 A KR 1020120104597A KR 20120104597 A KR20120104597 A KR 20120104597A KR 20140038186 A KR20140038186 A KR 20140038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oviding
providing apparatus
location information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지현
백승재
백승윤
신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아스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아스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아스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20104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8186A/ko
Publication of KR2014003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갖고 있는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식별 정보를 확보하고,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 장치는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갖고 있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갖고 있는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식별 정보를 확보하고,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 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급속도로 부가해 가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한편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통신 수단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첫째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개인 지향적인 단말기이고, 둘째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수 내지 수십 미터 이내의 오차로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셋째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문자, 음향 또는 이미지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에 근거하여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파악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그 주변의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우선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지리적 좌표를 확보한 이후에 그 좌표를 기준으로 주변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이동 통신 기지국 또는 GPS 위성)와 통신하여야 하며, 그러한 통신을 통하여 자신의 좌표를 산출하여야 한다.
또한, GPS 위성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GPS 신호를 수신할 정도로 개방된 장소에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제공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4843호 (2011.08.24)
본 발명은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갖고 있는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식별 정보를 확보하고,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 장치는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갖고 있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 방법은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갖고 있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갖고 있는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식별 정보를 확보하고,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자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 장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위치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컨텐츠가 출력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 장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위치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위치 정보 확인 시스템(10)은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 및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는 고유한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특정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기지국 또는 중계기가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는 와이파이(Wi-Fi) 중계기일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가 와이파이 중계기인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요금을 지불하지 않고도 자신의 단말기로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는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갖는 장치이다. 여기서, 고유한 식별 정보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식별자, IP 주소 또는 MAC 주소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식별자는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통신 기능이 구비된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이 구비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등이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를 휴대하고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형성된 통신 영역(110)에 진입하는 경우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와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서로 통신을 시작한다.
이와 같은 통신 과정을 통하여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하여, 특정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상태에서 해당 식별 정보가 수신된 경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알람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또는 음성으로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진동을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서로 다른 복수의 식별 정보에 매칭시킨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의 출력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현재의 위치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A 지역에서 F 지역을 연결하는 경로(A->B->C->D->E->F)를 이동하고 있다가 D 지역에서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에게 위치 정보의 출력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현재 "D 지역"에 있음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위치 정보의 확인은 지하철과 같은 교통 수단에도 이용될 수 있다.
각 지하철 역에는 와이파이 중계기(식별 정보 제공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지하철을 통하여 이동 중인 사용자의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각각의 지하철 역을 지날 때마다 각 와이파이 중계기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각각의 와이파이 중계기와 통신하면서 식별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특정 지하철 역을 목적지로서 사전에 설정한 경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와이파이 중계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고 목적지인 지하철 역의 와이파이 중계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만 알람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알람 컨텐츠의 출력은 자동으로 수행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목적지로 설정한 지하철 역을 지나치지 않고 하차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저장부(230), 제어부(240), 컨텐츠 생성부(250) 및 출력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갖고 있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형성된 통신 영역에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가 진입하는 경우 통신부(210)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와 통신을 시작하는데, 이 때 통신부(210)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 파이 중계기가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의 식별자, IP 주소 및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의 식별 정보에 매칭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는 테이블의 형태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위치 정보 테이블(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컨텐츠 생성부(250)는 수신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식별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상태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가 설정된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경우 컨텐츠 생성부(250)는 알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 출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컨텐츠 생성부(250)는 알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알람 컨텐츠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를 나타내는 명칭,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가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명칭,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가 위치해 있거나 그 주변에 있는 지형지물의 명칭,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가 위치해 있는 지점의 주소 및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가 있는 지점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영상 또는 음성 형식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또한, 알람 컨텐츠는 진동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식별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상태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가 설정된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경우 컨텐츠 생성부(250)는 진동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진동을 감지한 사용자는 자신이 목적지에 도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출력부(260)는 컨텐츠 생성부(250)에 의하여 생성된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람 컨텐츠는 영상 형식, 음성 형식 또는 진동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출력부(260)는 영상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261), 음성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62) 및 진동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진동 출력부(26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명령에는 위치 정보의 출력 명령이 포함되며, 특정 식별 정보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명령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특정 식별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명칭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명칭 및 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사용자가 목적지로 설정하고자 하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리스트가 화면에 출력되고 그 중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으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가 지도 검색 기능 또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특정 지점이 입력됨에 따라 해당 지점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가 목적지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식별 정보를 수신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하여, 2개의 식별 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40)는 컨텐츠 생성부(250)로 하여금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저장부(230), 컨텐츠 생성부(250) 및 출력부(26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각 모듈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식별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신 영역에 진입하는 순서를 기초로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컨텐츠 생성부(250)는 판단된 이동 방향을 기초로 장차 진입할 통신 영역을 형성하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알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위치 정보 테이블(300)은 식별 정보 필드(310), 위치 정보 필드(320), 사용자 지정 플래그 필드(330) 및 목적지 플래그 필드(3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식별 정보 필드(310)에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의 식별자, IP 주소 또는 MAC 주소가 명시될 수 있다. 도 3의 식별 정보 필드(310)에 MAC 주소가 명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위치 정보 필드(320)에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명시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를 나타내는 명칭,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가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명칭,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가 위치해 있거나 그 주변에 있는 지형지물의 명칭,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가 위치해 있는 지점의 주소 또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100)가 있는 지점의 좌표를 의미하는데, 영상 또는 음성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식별 정보를 전달받은 컨텐츠 생성부(250)는 식별 정보 필드(310)에 명시된 식별 정보 중 전달받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때, 컨텐츠 생성부(250)는 영상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음성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영상 형식 및 음성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모두 생성할 수도 있다. 생성되는 알람 컨텐츠의 형식은 사용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플래그 필드(330)에는 알람 컨텐츠에 포함시킬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명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식별 정보에는 복수의 위치 정보가 부여될 수 있는데, 컨텐츠 생성부(250)는 하나의 위치 정보만으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모든 위치 정보가 포함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하나의 식별 정보에 매칭된 복수의 위치 정보 중 특정 위치 정보만으로 알람 컨텐츠가 생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데, 사용자 지정 플래그를 설정함으로써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서 MAC 주소의 형태를 갖는 식별 정보인 "D0-67-E5-XX-XX-XX"에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 정보는 "OO빌딩", "서초구 서초동" 및 "XX마트"인데, "OO빌딩" 및 "서초구 서초동"에만 플래그가 "1"로 부여되어 있으므로, 컨텐츠 생성부(250)는 알람 컨텐츠를 생성함에 있어서 "OO빌딩" 및 "서초구 서초동"만을 포함시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목적지 플래그 필드(340)에는 사용자가 목적지로 지정한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명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특정 식별 정보를 목적지로 지정한 경우 해당 식별 정보에 매칭된 목적지 플래그가 "1"로 설정되는 것이다.
도 3은 IP 주소의 형태를 갖는 식별 정보인 "215.128.XXX.XXX"가 목적지로서 목적지 플래그가 "1"로 설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215.128.XXX.XXX "에 매칭되어 저장된 위치 정보 중 "OO회관"만이 사용자 지정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가 식별 정보 "215.128.XXX.XXX "의 통신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컨텐츠 생성부(250)는 "OO회관"만으로 구성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한다.
한편, 목적지는 복수 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최종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로상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을 목적지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각 지점에서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 장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위치 정보가 확인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교통 수단을 통하여 목적지로 이동하고 있는 사용자는 목적지에 도달하기 바로 전에 안내를 받고 싶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식별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신 영역에 진입하는 순서를 기초로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이동 방향을 기초로 장차 진입할 통신 영역을 형성하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식별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통신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사용자가 A 영역(410)에서 B 영역(420)을 거쳐 C 영역(430)으로 이동하며, 각 영역은 서로 다른 지하철역인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어떠한 영역에 진입하여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가 식별 정보 제공 장치와 통신하였다는 것은 사용자가 탑승한 지하철이 해당 역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하고, 해당 식별 정보 제공 장치와의 통신이 두절되었다는 것은 해당 역에서 벗어났음을 의미한다.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테이블(300)에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이에 매칭된 위치 정보로서 지하철역이 포함될 수 있는데, A 영역(410)에 진입하여 A 영역(410)의 식별 정보 제공 장치(미도시)와 통신이 체결된 경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자신이 A 지하철역에 도달하였음을 알게 되고, A 영역(410)에서의 통신이 두절된 경우 A 지하철역을 벗어난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A 영역(410)에서의 통신이 두절된 이후에 다시 B 영역(420)에 진입하여 B 영역(420)의 식별 정보 제공 장치(미도시)와 통신이 체결된 경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자신의 이동 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즉,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자신이 A 영역(410)에서 B 영역(420)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 방향을 확인한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장차 자신이 이동하게 될 영역이 C 영역(430)인 것을 알 수 있으며, B 영역(420)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잠시 후에 C 영역(430)에 진입할 것임을 알 수도 있다.
이동 방향 확인은 제어부(240)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제어부(240)는 확인된 이동 방향과 현재의 위치를 기초로 컨텐츠 생성부(250)로 하여금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영역(420)에 있는 상태에서 또는 B 영역(420)의 식별 정보 제공 장치(미도시)와의 통신이 두절된 이후에 제어부(240)는 컨텐츠 생성부(250)로 하여금 잠시 후에 C 지하철역에 도달할 것임을 알리는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C 지하철역을 목적지로 지정한 사용자는 C 지하철역에 도달하기 이전에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알람 컨텐츠가 제공되는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 지하철역이 목적지로 지정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B 지하철역에 인접한 경우뿐만 아니라 A 지하철역에 인접한 경우에 알람 컨텐츠가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이동 방향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각각의 호선별로 지하철역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리스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특정 호선의 지하철을 탑승한 사용자는 자신이 탑승한 지하철의 호선 및 이동 방향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지하철역을 목적지로 입력하게 되면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목적지 지하철역에 도달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알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 화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지하철 모드(510), 버스 모드(520) 및 일반 모드(530) 중 하나가 선택되는 화면(5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보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도, 교통 수단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 때, 교통 수단으로 이동하는 사용자는 위치 정보로서 주소 또는 좌표보다는 그 지점을 나타내는 명칭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에 탑승하여 이동하고 있는 사용자는 정류장의 명칭을 제공받고, 지하철에 탑승하여 이동하고 있는 사용자는 지하철역의 명칭을 제공받고 싶은 것이다.
그런데,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위치가 규칙적인 것이 아니고, 인접하여 복수의 식별 정보 제공 장치가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위치 정보까지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스에 탑승 중인 사용자가 어떠한 정류장에 정차한 경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정류장에 대한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 있는 건물의 명칭까지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버스 정류장에 인접한 특정 건물을 찾아가고 있는 사용자가 해당 건물의 주변에 도달한 경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해당 건물에 대한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버스 정류장에 대한 위치 정보까지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활동을 다양한 모드로 구분될 수 있는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만으로 구성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모드(510)가 선택된 경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지하철역에 구비된 식별 정보 제공 장치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만으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버스 모드(520)가 선택된 경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정류장에 구비된 식별 정보 제공 장치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만으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 모드(530)가 선택된 경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지하철 모드(510)와 버스 모드(520)에 해당하지 않는 위치 정보만으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지하철 모드(510), 버스 모드(520) 및 일반 모드(530)와 같이 3개의 모드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모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식별 정보 그룹을 포함시키거나 배제시킨 상태에서 추출된 위치 정보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모드가 제공될 수도 있고, 복수의 모드를 조합한 조합 모드 등이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컨텐츠가 출력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은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가 특정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통신 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출력되는 알람 컨텐츠(610, 620, 6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목적지로 설정한 통신 영역에 진입하기 전에 알람 컨텐츠(710, 720, 730)가 생성되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알람 컨텐츠(610, 620, 630)를 통하여 자신의 개략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알람 컨텐츠(710, 720, 730)를 통하여 곧 목적지에 도달함을 알 수 있게 된다.
알람 컨텐츠는 영상(610, 710), 음성(620, 720) 및 진동(630, 730) 중 적어도 하나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출력 대상인 형식은 사용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상 및 음성만으로 구성된 알람 컨텐츠가 생성되도록 설정하거나, 음성 및 진동만으로 구성된 알람 컨텐츠가 생성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 장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위치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의 저장부(230)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의 이동 방향이 판단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수단을 통하여 이동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각 지하철역(또는 정차역)에 구비된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순서만으로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교통 수단이 아닌 도보로 이동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의 이동 방향에 따른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순서는 사전에 확보할 수 없다.
이를 위하여,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의 저장부(230)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851, 852, 853, 854, 855, 856, 857, 858, 859)의 좌표를 저장하고 있는데,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에 의하여 감지된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순서를 저장된 좌표에 적용함으로써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는 도로를 따라 이동하는데, 제 1 영역(810)에서 제 2 영역(820)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식별 정보 제공 장치 B(852)의 신호가 가장 강하게 감지되고, 이어서 식별 정보 제공 장치 C(853)의 신호가 가장 강하게 감지된다.
이 때,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순차적으로 가장 강하게 감지된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를 확인하여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 제 1 영역 내지 제 4 영역(810, 820, 830, 840)은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를 기준으로 한 영역으로서, 이동 경로상에서 인접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 내지 제 4 영역(810, 820, 830, 840)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동 경로상에 존재하고 있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인 것으로 간주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이동 경로상에 존재하지 않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로 간주된다.
여기서,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도로별로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일단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의 이동 방향이 판단되면 컨텐츠 생성부(250)는 이동 경로상에 인접한 식별 정보 제공 장치만으로 구성된 안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가 식별 정보 제공 장치 B(852)에 인접하여 있는 경우 식별 정보 제공 장치 A(851)도 인근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컨텐츠 생성부(250)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 A(851) 및 B(852)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시킨 안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 제공 장치 A(851)는 위치 정보 확인 장치(200)의 이동 경로상에서의 인접 영역인 제 1 영역(810)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아직까지 이동 방향이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컨텐츠 생성부(250)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 B(852)뿐만 아니라 식별 정보 제공 장치 A(851)가 포함된 안내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단 이동 방향이 확정되면 컨텐츠 생성부(250)는 이동 경로상에서의 인접 영역(810, 820, 830, 840)에 포함된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위치 정보만으로 구성된 안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식별 정보 제공 장치 C, D, E, F, G, H, I(851, 852, 853, 854, 855, 856, 857, 858, 859)로부터의 신호가 모두 감지되는 것을 가정할 때, 제 2 영역(820)에 진입하여 이동 방향이 확정되면 컨텐츠 생성부(250)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 C, E, H, I(853, 855, 858, 859)만으로 구성된 안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생성부(250)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리스트로 구성된 안내 컨텐츠를 생성함에 있어서 이동 방향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제 2 영역(820)에서 컨텐츠 생성부(250)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 C, E, H, I(853, 855, 858, 859) 순서로 리스트를 구성하여 안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내 컨텐츠에는 각 식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까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위치뿐만 아니라 장차 지나치게 될 위치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동 방향에 존재하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 C, E, H, I(853, 855, 858, 859)를 리스트(910)로 하는 안내 컨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리스트(910)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식별 정보 제공 장치 C, E, H, I(853, 855, 858, 859) 순서로 이동할 것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 컨텐츠는 신호의 세기(920)를 포함하는데 도 9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 E(855)에 의한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식별 정보 제공 장치 C(853)를 지나쳐서 식별 정보 제공 장치 E(855)에 가장 근접하게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최종 목적지가 식별 정보 제공 장치 H(858)인 경우 사용자는 곧 목적지에 도착할 것임을 알 수 있게 되며, 식별 정보 제공 장치 H(858)의 신호가 가장 강하게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는 목적지에 도달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10: 통신부 220: 입력부
230: 저장부 240: 제어부
250: 컨텐츠 생성부 260: 출력부

Claims (14)

  1.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갖고 있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확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식별자, IP 주소 및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확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는 와이파이(Wi-Fi) 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확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컨텐츠는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명칭,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가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명칭,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가 위치해 있거나 그 주변에 있는 지형지물의 명칭,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가 위치해 있는 지점의 주소 및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가 있는 지점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영상 또는 음성 형식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확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영상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음성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진동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진동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확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식별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신 영역에 진입하는 순서를 기초로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확인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판단된 이동 방향을 기초로 장차 진입할 통신 영역을 형성하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확인 장치.
  8.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갖고 있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확인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식별자, IP 주소 및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확인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는 와이파이(Wi-Fi) 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확인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컨텐츠는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명칭,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가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명칭,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가 위치해 있거나 그 주변에 있는 지형지물의 명칭,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가 위치해 있는 지점의 주소 및 상기 식별 정보 제공 장치가 있는 지점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영상 또는 음성 형식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확인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영상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음성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진동 형식의 알람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확인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식별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신 영역에 진입하는 순서를 기초로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확인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이동 방향을 기초로 장차 진입할 통신 영역을 형성하는 식별 정보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알람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확인 방법.
KR1020120104597A 2012-09-20 2012-09-20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 KR20140038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597A KR20140038186A (ko) 2012-09-20 2012-09-20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597A KR20140038186A (ko) 2012-09-20 2012-09-20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186A true KR20140038186A (ko) 2014-03-28

Family

ID=5064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597A KR20140038186A (ko) 2012-09-20 2012-09-20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81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847A1 (en) * 2014-09-19 2016-03-24 Intel Corporation Regulation via geofence boundary segment cross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847A1 (en) * 2014-09-19 2016-03-24 Intel Corporation Regulation via geofence boundary segment cross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2962B2 (en)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applying the same
CN101171798A (zh) 用于显示无线局域网的可用性的设备和方法
CN104567903A (zh) 获取导航信息的方法及装置
KR10084994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철역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JP2006284246A (ja) タクシー経路検索システム
CN102506883B (zh) 导航方法、设备及系统
KR20140038186A (ko)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
JP2005333247A (ja) 位置情報配信装置、移動端末、位置情報交換システム、位置情報交換方法、位置情報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情報交換プログラム
JP6604985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ユーザ端末、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CN101206123A (zh) 一种导航方法、装置及系统
KR100726623B1 (ko) 목적지 도착 알람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과 목적지도착 알람 서비스 제공방법
JP2021103903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244739A (ja) 目的地到着案内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携帯端末装置
CN104019807A (zh) 用于导航的方法和装置
JP200603014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端末機器
US20160258768A1 (en) Navig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JPWO2012124109A1 (ja) 電子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位置依存情報提供方法
KR20100033259A (ko) 도착시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JP2011114679A (ja) 位置情報取得システム、位置情報取得装置、位置情報取得方法
KR1012347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 이용 방법
JP2010254024A (ja) 旅客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旅客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の携帯情報端末装置および旅客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の運行管理装置
KR20100025610A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과 이를 위한네비게이션 장치
KR102347617B1 (ko) 교통 수단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US20220049964A1 (en)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dium, and method of operat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923434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