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053A - 경화성 중합체 재료 - Google Patents

경화성 중합체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053A
KR20140037053A KR1020137024371A KR20137024371A KR20140037053A KR 20140037053 A KR20140037053 A KR 20140037053A KR 1020137024371 A KR1020137024371 A KR 1020137024371A KR 20137024371 A KR20137024371 A KR 20137024371A KR 20140037053 A KR20140037053 A KR 20140037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concentration
article
liquid
polymer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에테르 로즈베르크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우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우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우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3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033Amines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59/1433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59/1438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59/1455Mono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low-molecular-weight esters thereof
    • C08G59/1461Unsaturated monoacids
    • C08G59/1466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6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6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08G59/686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8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with aromatically bound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L63/04Epoxynovola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L63/10Epoxy resins modified by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D163/10Epoxy resins modified by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08L91/08Mineral wa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조성에 의한 경화성 물질, 이 경화성 물질로부터 중합체 재료를 생산하는 공정, 그 생산된 중합체 재료, 및 본 발명을 구현한 중합체 재료로부터 제조한 물품들과 아울러 이러한 물품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화성 중합체 재료{CURABLE POLYMER MATERIALS}
본 발명은 신규한 조성에 의한 경화성 물질, 이 경화성 물질로부터 중합체 재료를 생산하는 공정, 그 생산된 중합체 재료 및 본 발명을 구현한 중합체 재료로부터 제조한 물품들과 아울러 이러한 물품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에 근거한 경화성 재료들은 유리 섬유 또는 직물 섬유와 같은 섬유들로 강화시킨 물품들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며, 산업에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플라스틱 구조물은 플라스틱 매트릭스에 매립된 강화 섬유로 구성된 재료이다. 이들은 단-섬유, 장-섬유 또는 무한-섬유 강화 부품의 형태로 광범위한 적용분야에서 사용된다.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하위 그룹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플라스틱과 유리 섬유들로 이루어진 복합 재료를 포함한다.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표준 산업 재료이다. 이러한 종류의 튜브 또는 파이프들은 DIN 표준화가 되어 있으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다.
알칼리성 유체의 분야에서,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알칼리성 액체를 담거나 수송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것은 통상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재료로 된 화학적 내성의 보호 피막을 구비한다. 이 화학적 내성의 보호 피막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알칼리성 용액에 노출되는 모든 표면에 제공된다. 이런 부가적인 보호 피막은 알칼리성 용액이 그 온도가 40℃를 초과해서 부식 효과가 커지면서 플라스틱 표면을 침식하여 파괴할 경우에 특히 필요한 것이다.
40℃ 이하의 온도 및 낮은 알칼리성 유체 농도에서는, 열가소성 재료로 된 화학적 내성의 보호 피막이 필요하지 않으며, 대신에 이것은 플라스틱 매트릭스 자체로부터 생성된다.
공지 기술에서 알려진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단점은 그 화학적 내성의 보호 피막이 손상되었을 경우에 유리 섬유들이 밖으로 드러나서 상기 언급한 종류의 유체에 의한 화학적 침식 작용을 직접적으로 받게 된다는 것이다.
유리는 화학적 내성이 강한 재료이지만 알칼리-비내성으로서 모든 종류의 알칼리성 유체에 의해서 심하게 침식되어 파괴된다. 강화 섬유의 파괴로 인해서 그 복합 재료 전체가 침식을 받게 되는데 복합 재료의 역학적 안정성은 강화 섬유에 의해서 달성되기 때문이다. 역학적 안정성의 결여는 그 재료의 파괴를 초래하게 되는데, 그 재료가 예컨대 산업체의 공장 가동 시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압력 및 온도 부하를 견뎌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공지 기술에 의한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튜브의 일 예로서 DE 10 2008 033 577A1를 들 수 있다. 이 문서에는 특히 공지 기술에 비해서 밀봉 상태, 강도, 형태 안정성 및 마모성 면에서 개선된 물성을 갖는 플라스틱 튜브가 개시되어 있다. 동시에 그 튜브의 벽은 원심 및/또는 원심 주조 공정으로 만든 최소한 하나의 원심 층과 권취 공정(winding process)으로 만든 최소한 하나의 권취 층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파이프들은 개선된 물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제작하는 비용이 아주 비싸다.
환경적인 이유 때문에 적어도 금속 농도를 낮추거나 금속이 전혀 들어있지 않은 조성물로 된 플라스틱 튜브 또는 파이프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공지 기술에 따라서 사용하는 금속 농도는 6-퍼센트 코발트 용액을, 예컨대 경화시킬 총 질량의 100%를 기준으로 0.5% 농도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제조한 파이프는 공지 기술의 파이프보다 마모율이 더 낮아지게 되어서 파이프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파이프 재질의 마모율이 낮아지게 되면 마모되어 나온 물질이 파이프를 막아 버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농도를 낮춘 또는 금속이 아예 없는 경화성 물질의다른 제조법, 이 경화성 물질로부터 중합체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액체 또는 기체 상태로 존재하며 염소나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알칼리성 유체에 노출시켰을 때 공지의 중합체 재료보다 마모율이 더 낮은 그 중합체 재료 그 자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한 목적은 그 중합체 재료의 용도 및 관련 물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코발트-미량 경화성 물질은, 농도값들을 경화시킬 총 질량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 96.3 내지 98.95%의 농도로 포함되며 에폭시 노볼락 비닐 에스테르의 형태로 된 수지,
- 0.05 내지 0.1% 농도로 6-% 코발트 용액의 형태로 포함된 촉매,
- 0 내지 0.1% 농도로 디메틸아닐린의 형태로 포함된 촉진제,
- 1 내지 2% 농도로 히드로과산화 쿠몰의 형태로 포함된 강화제,
- 0 내지 0.5% 농도로 포함된 UV 안정제, 및
- 0 내지 1% 농도로 왁스의 형태로 포함된 파라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비함유(metal-free) 제조법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한 경화성 물질은, 농도값들을 경화시킬 총 질량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 94 내지 97.95% 농도로 포함되며 에폭시 노볼락 비닐 에스테르의 형태로 된 수지,
- 0.05 내지 0.2% 농도로 N,N-디메틸아닐린의 형태로 포함된 촉진제,
- 2 내지 4% 농도로 과산화 디벤조일 형태로 포함된 강화제,
- 0 내지 0.3% 농도로 p-터트-부틸 카테콜의 형태로 포함된 억제제,
- 0 내지 0.5% 농도로 포함된 UV 안정제, 및
- 0 내지 1% 농도로 왁스의 형태로 포함된 파라핀을 포함한다.
에폭시 노볼락 비닐 에스테르 수지로서는, 예컨대 메서즈 애쉬랜드(Messrs. Ashland)가 시판하고 있는 데라카네 모멘텀 470-300(DERAKANE MOMENTUMTM 470-300)을 사용한다. 촉진제로서는, 메서즈 퍼건(Messrs. Pergan)이 시판하고 있는 퍼거퀵 A200 또는 A300(PERGAQUICK A200 or A300)을 첨가할 수 있다. 강화제로서는, 퍼록산 비피 페이스트 50 또는 퍼록산 씨유-80 L(PEROXAN BP paste 50 or PEROXAN CU-80 L)을 첨가하는데, 이것도 메서즈 퍼건이 시판하고 있는 것이다. 억제제로서는 예컨대, 퍼거슬로우 비케이-10(Pergaslow BK-10)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UV 안정제로서는 예컨대, 메서즈 시바(Messrs. Ciba) 사 제품 등록상표명 티노빈 5050(Tinovin®5050®)을 사용할 수 있다. 왁스로는 예컨대, 앨터너 그룹(Altana Group)의 등록상표명 비와이케이-에스 750(BYK®-S 750)을 사용한다. 이들 제품들은 예들로서 든 것이며 청구항 1 또는 2에 정의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것들로 대체할 수 있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중합체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수지와 촉매를 수지의 저장 기간을 초과하지 않는 일정한 시간 동안 촉진 전처리 공정을 거치도록 하는 단계(a), 촉진제, 강화제, 억제제, UV 안정제, 파라핀을 열거된 순서대로 첨가하여 경화성 물질을 생성하는 단계(b), 단계(b)의 성분들 중에서 한 개 또는 여러 개 및/또는 단계(a)의 촉매를 본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적용하지 않는 단계(c), 상기 경화성 물질을 표준 공정에 의해서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여 작업물을 제조하는 단계(d), 선택적으로 상기 작업물의 외부에 파라핀을 도포하는 단계(e), 및 상기 작업물을 80℃에서 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완성된 중합체 재료를 생성하는 단계(f)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금속-비함유 제조 방법으로 경화성 재료를 만들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중 단계(a)에서 촉매를 첨가하지 않으므로 촉진 전처리 공정이 생략된다.
유리하게는, 충전재 및/또는 섬유 재료, 특히 유리 섬유 및/또는 유리 부직포 및/또는 합성 부직포와 같은 부가적 성분들이 경화성 재료 내에 더 매립된다.
이러한 유리 부직포들은 공지의 기술이며 이른바 플라스틱의 강화를 위한 유리 섬유 직물 매트로서 표준화되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 하다. 유리하게는 는 이것들은 알칼리성 물질 함량이 1% 이하인 E 유리 타입의 알루미늄 붕규산 유리 또는 특수한 화학적 내성과 첨가량이 증대된 C 유리 타입의 알칼리성 석회 유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에폭시 노볼락 비닐 에스테르 수지에 기초한 본 발명의 경화성 물질의 성분들을 포함하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한 중합체 재료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충전재 및/또는 섬유 재료, 특히 유리 섬유 및/또는 유리 부직포 및/또는 합성 부직포와 같은 부가적 성분들이 중합체 재료 내에 더 립되어 그 중합체 재료에 안정성을 부여한다.
본 중합체 재료는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유체에 대하여, 특히 염소 가스, 표백용 가성 알칼리 용액, 양극액(anolyte), 염소 함유 배기 가스, 함수 염소 및 해수 응축액에 대하여 내성이 있어 바람직하다. 이 용어들은 염소-알칼리 전기 분해 기술에 관한 전문 용어들이다. 예컨대, 양극액은 자유 염소 가스를 함유한 소금물을 가리키는 것이다. 해수 응축액은 염소를 또한 함유한 소금물을 가리키는 것이다. 본 중합체 재료는 특히 60℃를 넘는 온도에서 이런 기준을 만족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는 화학식 R-Cl-X의 화합물들로서 염소 화합물을 가리키고 있는데, R은 선택적 반응물질을, X는 염소 원자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물품들에 대해서도 권리를 청구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이런 종류의 물품은 튜브/파이프 또는 용기이며, E 또는 D 타입의 파이프가 잘 사용된다. E 타입의 파이프에 포함된 유리 질량의 최대 함량은 40%이며 외주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런 타입의 파이프의 중심부 층은 약 0.4 mm 두께의 C-유리-부직포-강화 수지 층으로 형성한다. 이런 타입의 파이프의 외부 층은 C-유리 또는 합성 부직포 층과 최대 0.2 mm 두께의 풍화-내성(weather-resistant) 수지 층으로 이루어진다. D 타입의 파이프는 최소한 2.5 mm 두께의 화학적 내성 보호 피막과 적층 구조를 갖는 게 특징이다. 본 화학적 내성 보호 피막은 최소한 2.5 mm 두께의 수지-풍부(resin-rich) 중심부 층이다. 이것은 C-유리-부직포-강화 순수 수지 층으로 구성되는 것인데, 부가적인 구조는 E 유리로 된 유리 섬유 매트들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화학적 내성 보호 피막에 들어 있는 유리의 질량 함량은 25 내지 30%의 범위에 있으며 내부에서 외부로 가면서 더 높아진다. 본 지지 적층 구조에 들어 있는 질량 함량은 60 ± 5 %이며 E 유리로 된 유리 섬유 직물, 유리 섬유 매트 및/또는 유리 섬유 조방사로 구성된다. 본 외부 층은 C-유리 또는 합성 부직포로 된 층과 최대 두께가 0.2 mm인 풍화-내성 수지 층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본 기술에 숙련된 전문가에게 잘 알려진 사실이며 파이프에 관한 DIN 16 965에도 기재되어 있어 공지된 기술이다.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파이프 종류는 파이프 클래스 PX 또는 PW가 바람직한 것이다. 파이프 클래스 PW를 선택할 경우에,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에 노출되는 부위에는 유리 부직포 및/또는 합성 부직포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유리 부직포는 염소 가스, 표백용 가성 알칼리 용액, 양극액, 염소 함유 배기 가스, 함수 염소 및 해수 응축액과 같은 알칼리성 유체에 노출되면 떨어져 나와 관을 막아 버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기술에 숙련된 전문가는 파이프 클래스 PX 및 PW에 관해 잘 알고 있다. 파이프 클래스 PX는 80℃ 이하인 온도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분류된 것인 반면, 파이프 클래스 PW는 95℃ 이하의 온도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분류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물품은 캐리어 물질 발열성 규산을 기초로 한 본 발명의 경화성 물질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충전재 화합물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가 첨가 및/또는 사용되는 공정을 위한 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가 생성 및/또는 첨가되는 염소 플랜트의 장치 및/또는 배관 및/또는 공정 용기 엔지니어링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중합체 재료의 다른 용도에서, 상기 장치들은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가 생성 및/또는 첨가되는 전기 분해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중합체 재료로 만든 파이프와 공지 기술에 의한 중합체 재료로 만든 파이프의 마모율을 비교할 수 있도록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관해서 설명의 목적으로 두 개의 실시 예를 본보기로 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의 흐름에 노출된 중합체 재료의 마모율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이프 재료와 공지 기술의 파이프 재료를 양극 용액, 즉, 유리 염소 가스를 함유한 흐르는 소금물에 4년 넘는 기간 동안 노출시켰다. 파이프 재료의 상세한 조성은 다음 표에 도시하였다.
표 1: 파이프 재료의 조성 분석
Figure pct00001
약 1년 간격으로 파이프의 두께를 여러 측정 지점들(총 8군데)에서 측정하여 결과적인 평균치를 얻었다. 다음 표에 결과들을 도시하였다.
표 2. 본 발명의 중합체 재료를 양극 용액, 즉, 유리 염소 가스를 함유한 소금물에 약 4년간 노출시켰을 때 마모율.
Figure pct00002
표 3. 공지 기술의 중합체 재료를 양극 용액, 즉, 유리 염소 가스를 함유한 소금물에 약 4년간 노출시켰을 때 마모율.
Figure pct00003
표 2 및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지 기술의 중합체 재료는 약 4년 동안 평균 2.2 mm 마모된 반면, 본 발명의 중합체 재료는 평균 0.8 mm만 마모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중합체 재료의 경우에는 4년간에 걸쳐서 9%의 마모율에 해당하고, 공지 기술에 의한 중합체 재료의 경우에는 4년간에 걸쳐서 29%의 마모율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재료에 의하면 본 발명의 중합체 재료를 사용한 덕분에 마모율을 현저하게 최소화시킬 수가 있었다.
다른 실험에서, 파이프 클래스 PW의 E 타입 파이프를 일관되게 사용하였으며, 분석된 파이프 재료의 조성은 표4에 도시하였다. 특별히 언급하고자 하는 것 은 기초 재료인 수지를 여러 가지로 사용한 점이다.
표 4: 분석된 파이프 재료의 조성
Figure pct00004
A = 수지, B = 촉매, C = 촉진제, D = 강화제, E = 억제제, F = UV 안정제, G = 파라핀, H = 용매. 메서즈 시바 사의 티노빈® 5050®(Tinovin® 5050®)을 모든 파이프의 UV 보호용으로 사용했으며 앨터너 그룹의 비와이케이-에스 750을 모든 경우에 왁스로 사용했다.
이러한 4년이라는 장기간의 시험에서 양극 용액도 마찬가지로 파이프(표본 1 내지 13)를 통해서 흘려 보내서 이 기간의 마모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사선들이 없는 막대들은 4년간에 걸친 평균 마모율을 mm로 나타낸 것을 도시하는 것인 반면, 사선들이 있는 막대들은 개별적으로 측정한 값에 의해서 결정된 최대 마모율을 도시한 것이다. 금속-미량(metal-lean) 제법에 의한 본 발명의 조성물인 표본 7은 마모율에서 훨씬 작은 최저 값을 갖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금속-비함유 제법에 의한 것을 나타내는 표본 12는 동일한 수지에 기초했지만 공지 기술에 따른 제법으로 만든 표본 13보다 어느 정도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본 12는 공지 기술에 의한 농도에 따른 코발트 농도를 가진 표본 11과 견줄 만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험들이 명백히 보여주고 있는 것은 낮은 마모율과 아울러 금속 함량이 미량 내지 아주 없는 중합체 재료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성분 조성비의 정밀 조절이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점은 다음과 같다.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에 대한 중합체 재료의 내성이 높아지고 시간에 따라 마모율이 낮아진다.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의 존재 하에 고온에서도 중합체 재료의 내성이 유지된다.
낮은 마모율로 인해서 중합체 재료의 사용 수명이 늘어난다.
마모에 의해서 생기는 생성물이 각 배관을 막아 버리는 현상이 낮은 마모율로 인해서 감소한다.
경화성 재료를 구성하는 모든 성분들을 전 세계적으로 구할 수 있다.

Claims (17)

  1. 농도값들을 경화시킬 총 질량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96.3 내지 98.95% 농도로 포함되고 에폭시 노볼락 비닐 에스테르의 형태로 된 수지,
    0.05 내지 0.1% 농도로 6-% 코발트 용액의 형태로 포함된 촉매,
    0 내지 0.1% 농도로 디메틸아닐린의 형태로 포함된 촉진제,
    1 내지 2%의 농도로 히드로과산화 쿠몰의 형태로 포함된 강화제,
    0 내지 0.5% 농도로 포함된 UV 안정제, 및
    0 내지 1% 농도로 왁스의 형태로 포함된 파라핀을 포함하는 경화성 재료.
  2. 농도값들을 경화시킬 총 질량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94 내지 97.95% 농도로 포함되며 에폭시 노볼락 비닐 에스테르의 형태로 된 수지,
    0.05 내지 0.2% 농도로 N,N-디메틸아닐린의 형태로 포함된 촉진제,
    2 내지 4% 농도로 과산화 디벤조일 형태로 포함된 강화제,
    0 내지 0.3% 농도로 p-터트-부틸 카테콜의 형태로 포함된 억제제,
    0 내지 0.5% 농도로 포함된 UV 안정제, 및
    0 내지 1% 농도로 왁스의 형태로 포함된 파라핀을 포함하는 경화성 재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중합체 재료를 제조하기 방법으로,
    수지와 촉매를 수지의 저장 기간을 초과하지 않는 일정한 시간 동안 촉진 전처리 공정을 거치도록 하는 단계(a),
    촉진제, 강화제, 억제제, UV 안정제, 파라핀을 열거된 순서대로 첨가하여 경화성 재료를 생성하는 단계(b),
    단계(b)의 성분들 중에서 한 개 또는 여러 개 및/또는 단계(a)의 촉매를 본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적용하지 않는 단계(c),
    상기 경화성 재료를 표준 공정에 의해서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여 작업물을 제조하는 단계(d),
    선택적으로 상기 작업물의 외부에 파라핀을 도포하는 단계(e), 및
    상기 작업물을 80℃에서 8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완성된 중합체 재료를 생성하는 단계(f)를 포함하는 중합체 재료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충전재 및/또는 섬유 재료, 특히 유리 섬유 및/또는 유리 부직포 및/또는 합성 부직포와 같은 부가적 성분들이 상기 경화성 재료 내에 더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재료 제조방법.
  5. 에폭시 노볼락 비닐 에스테르 수지에 기초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경화성 물질의 성분들을 포함하며 제3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중합체 재료.
  6. 제5항에 있어서, 충전재 및/또는 섬유 재료, 특히 유리 섬유 및/또는 유리 부직포 및/또는 합성 부직포와 같은 부가적 성분들이 상기 중합체 재료 내에 더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재료.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재료가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에 대하여, 특히 염소 가스, 표백용 가성 알칼리 용액, 양극액(anolyte), 염소 함유 배기 가스, 함수 염소 및 해수 응축액에 대하여 내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재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재료는 6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내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재료.
  9. 제5항에 따른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E 또는 D 타입 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클래스 PX 또는 PW 파이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물품. 파이프 클래스 PW가 선택될 경우에는,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에 노출되는 부위에는 유리 부직포 및/또는 합성 부직포를 사용하지 않는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용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물품.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들은 캐리어 물질 발열성 규산을 기초로 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성분들을 포함하는 충전재 화합물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물품.
  15.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가 첨가 및/또는 사용되는 공정의 장치에서 제5항에 따른 중합체 재료의 용도.
  16.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가 생성 및/또는 첨가되는 염소 플랜트의 장치 및/또는 배관 및/또는 공정 용기에 제5항에 따른 중합체 재료의 용도.
  17.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또는 기상의 알칼리성 유체가 생성 및/또는 첨가되는 전기 분해 공정의 장치들에서 제5항에 따른 중합체 재료의 용도.
KR1020137024371A 2011-02-17 2012-01-25 경화성 중합체 재료 KR20140037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11609A DE102011011609A1 (de) 2011-02-17 2011-02-17 Härtbare polymere Massen
DE102011011609.5 2011-02-17
PCT/EP2012/000313 WO2012110193A2 (de) 2011-02-17 2012-01-25 Härtbare polymere mass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053A true KR20140037053A (ko) 2014-03-26

Family

ID=4581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371A KR20140037053A (ko) 2011-02-17 2012-01-25 경화성 중합체 재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30324642A1 (ko)
EP (1) EP2675846A2 (ko)
JP (1) JP2014513199A (ko)
KR (1) KR20140037053A (ko)
CN (1) CN103380160A (ko)
CA (1) CA2823064A1 (ko)
DE (1) DE102011011609A1 (ko)
RU (1) RU2013134620A (ko)
WO (1) WO20121101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03505B4 (de) * 2013-03-04 2021-08-12 Thyssenkrupp Uhde Chlorine Engineers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Rohres
WO2017121607A1 (de) 2016-01-12 2017-07-20 Thyssenkrupp Uhde Chlorine Engineers Gmbh Verbund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6646A1 (de) * 1994-03-01 1995-09-07 Basf Ag Eingedickte härtbare Formmassen aus einem Vinylester- oder Vinylesterurethanharz
US5486580A (en) * 1994-11-02 1996-01-23 The Dow Chemical Company Mesogenic novolacs and resins
CH691126A5 (de) * 1995-12-21 2001-04-30 Mbt Holding Ag Novolakvinylesterzusammensetzungen.
US6287992B1 (en) * 1998-04-20 2001-09-11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mer composite and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US6774193B2 (en) * 2000-06-14 2004-08-10 Albemarle Corporation Stabilized unsaturated polymer res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DE102008033577A1 (de) 2008-07-17 2010-01-21 Hobas Engineering Gmbh Faserverstärktes Kunststoffroh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24642A1 (en) 2013-12-05
EP2675846A2 (de) 2013-12-25
CN103380160A (zh) 2013-10-30
RU2013134620A (ru) 2015-04-10
JP2014513199A (ja) 2014-05-29
WO2012110193A2 (de) 2012-08-23
DE102011011609A1 (de) 2012-08-23
WO2012110193A3 (de) 2013-01-10
CA2823064A1 (en) 2012-08-23
WO2012110193A4 (de)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hand et al. A short review on basalt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CN102964690B (zh) 一种高强度耐腐蚀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RU2720777C2 (ru) Арматурный стержень,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Devendra et al. Determin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Al2O3, Mg (OH) 2 and SiC filled E-glass/epoxy composites
Roy et al. Effects of moistur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glass fibre reinforced vinylester resin composites
Sakthivel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and analysis a mechanical properties of hybrid polymer composite plates
CN107663371A (zh) 一种用于环保电镀的脂肪族聚酰胺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40037053A (ko) 경화성 중합체 재료
CN107663372A (zh) 一种用于环保电镀的聚酰胺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147505B1 (ko) 수처리 구조물의 내부 방수방식용 내오존성 경량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Rassokhin et al. Determining the Strength and Thermal, Chemical Resistance of the Epoxy Polymer Composite Filled with Basalt Micro Nano Fiber in the Amount of 15–80% by Weight
Rehman et al. Effect of PEEK particles on physiomechanical behavior of carbon/epoxy composite
Latif et al. Development of hybrid composites with improved mechanical and self-healing properties
JP5951643B2 (ja) Pps繊維、エポキシ樹脂および/またはフラン樹脂を用いた複合材料
Reddy et al. Development and testing of natural fiber reinforced composites with polyester resin
KR101340457B1 (ko) 자외선 경화 프리프레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1970801B2 (en) Corrosion-resistant non-woven for pipe liner pultrusion applications
Nadirov et al. Polymeric coatings based on LDPE and Taurit: Preparation,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Rao et al. Fabrication and testing of Composite tile made from plastic waste and mineral admixture for aggressive environments
Orlov et al. Advanced Non-Metallic Coatings and Composite Materials for O & G Industry
JP6445389B2 (ja) 連続繊維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製プリプレグ
US5624744A (en) High strength acid stable composite materials
Saleem et al. Enhanc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Underground Petroleum Tanks with the Use of Fiberglass-Reinforced Composite
SHEWALE et al. Carbon and natural fiber reinforced polymer hybrid composite: Processes, applications, and challenges
Satpute et al. The Fundamentals of Epoxy Composites with Filler for Different Applications: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