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030A - 자이라제 억제제 (r)­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고체 형태 - Google Patents

자이라제 억제제 (r)­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고체 형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030A
KR20140037030A KR1020137018402A KR20137018402A KR20140037030A KR 20140037030 A KR20140037030 A KR 20140037030A KR 1020137018402 A KR1020137018402 A KR 1020137018402A KR 20137018402 A KR20137018402 A KR 20137018402A KR 20140037030 A KR20140037030 A KR 20140037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ection
compound
solid form
fluoro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0249B1 (ko
Inventor
딘 샤논
브라이언 루이시
마리우시 크라비에츠
아누즈 케이. 쿨디프쿠마르
Original Assignee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7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4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for throat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iabet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세균성 자이라제 및/또는 Topo IV를 억제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고체 형태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러한 화합물 및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 및 염은 세균성 감염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화학식 I
Figure pct00077

Description

자이라제 억제제 (R)­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고체 형태{SOLID FORMS OF GYRASE INHIBITOR (R)-1-ETHYL-3-[6-FLUORO-5-[2-(1-HYDROXY-1-METHYL-ETHYL) PYRIMIDIN-5-YL]-7-(TETRAHYDROFURAN-2-YL)-1H-BENZIMIDAZOL-2-YL]UREA}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미국 35 U.S.C.§119 하에 2011년 1월 14일에 제출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433,169호에 대한 이익을 주장하며, 이의 전문은 본원에 참고로서 인용된다.
항생제에 대한 세균 내성은 오랫동안 인지되어 왔으며,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보건 문제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내성으로 인해, 일부 세균성 감염은 항생제로 치료하기가 곤란하거나 심지어 치료가 불가능하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는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Streptococcus pneumoniae)(SP),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및 엔테로코쿠스(Enterococcus)와 같은 특정 세균 균주에서의 다중 약물 내성이 최근 발달함에 따라 특히 심각해지고 있다. 반코마이신에 내성인 엔테로코쿠스의 출현은, 반코마이신이 종전에는 이러한 감염을 치료하는데 유일하게 효과적인 항생제였으며 다수의 감염에 대해 "최후 수단"의 약물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기 때문에, 특히 놀랍다. 엔테로코쿠스와 같은 다수의 기타 약물-내성 세균이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유발하지는 않으나, 내성을 유도하는 유전자가, 메티실린 내성이 이미 우세한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와 같은 보다 치명적인 유기체로 확산되지 않을까 우려된다[참조: De Clerq, et al., Current Opinion in Anti-infective Investigational Drugs, 1999, 1, 1; Levy, "The Challenge of Antibiotic Resistance", Scientific American, March, 1998].
항생제 내성이 얼마나 신속하게 확산될 수 있을까 하는 것이 또다른 관심사이다. 예를 들어, 1960년대까지 SP는 세계적으로 페니실린에 민감하였고, 1987년대에 미국에서는 SP 균주의 0.02%만이 내성이었다. 그러나, 1995년까지, 페니실린에 대한 SP 내성은 약 7%이었고, 미국 일부에서는 30% 정도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참조: Lewis, FDA Consumer magazine (September, 1995); Gershman in The Medical Reporter, 1997].
특히, 병원은 약물-내성 유기체를 형성하고 전달하는 중심으로서 작용한다. 병원성 감염으로 알려진, 병원에서 발생하는 감염은 심각한 문제점으로 급증하고 있다. 매년 병원에서 감염된 2백만 명의 미국인들 중에서, 이들 감염 중 절반 이상이 하나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이다. 질병 관리 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의 보고에 따르면, 1992년 세균성 감염으로 사망한 병원 환자 13,000명 이상이 항생제 치료에 내성이었다[참조: Lewis, "The Rise of Antibiotic-Resistant Infections", FDA Consumer magazine, Sept, 1995].
약물-내성 세균에 대한 퇴치 필요성 및 구입 가능한 약물에 있어서의 실패 증가로 인해,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고자 하는 관심이 다시 생겨났다.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하기 위한 흥미로운 전략 중의 하나는, DNA 복제에 필요하고, 이에 따라, 세균 세포 증식 및 분열에 필요한 세균 효소인 DNA 자이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를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자이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활성은 또한 DNA 전사, 수복 및 재조합과 관련되어 있다.
자이라제는 DNA의 위상적 이성체의 상호전환을 촉매하는 효소 그룹인 토포이소머라제 중의 하나이다[참조: Kornberg and Baker, DNA Replication, 2d Ed., Chapter 12, 1992, W.H. Freeman and Co.; Drlica, Molecular Microbiology, 1992, 6, 425; Drlica and Zhao,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Reviews, 1997, 61, pp. 377-392]. 자이라제 자체는 DNA 수퍼코일링(supercoiling)을 조절하고, 모체 이중체(parental duplex)의 DNA 가닥이 복제 과정 동안 꼬이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위상적 응력을 경감시킨다. 또한, 자이라제는 이완되고 밀폐된 환형 이중체 DNA의, 재조합에 보다 유리한 네가티브성 초나선형으로의 전환을 촉매한다. 수퍼코일링 반응의 메카니즘은 DNA 영역 주변을 자이라제로 둘러싸고, 상기 영역에서 이중 가닥이 분해되고, DNA의 제2 영역을 통과하여 분해되고, 분해된 가닥들을 재결합시킴을 포함한다. 이러한 절단 메카니즘은 II형 토포이소머라제의 특성이다. 수퍼코일링 반응은, ATP가 자이라제와 결합함으로써 유도된다. 이어서, ATP는 반응 동안 가수분해된다. 이러한 ATP 결합 및 후속적인 가수분해는 이의 활성에 필요한 DNA-결합된 자이라제에서의 형태 변화를 일으킨다. 또한, DNA 수퍼코일링(또는 이완)의 수준은 ATP/ADP 비율에 의존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ATP 부재시, 자이라제가 단지 수퍼코일링된 DNA를 이완시킬 수 있을 뿐이다.
세균 DNA 자이라제는 A 서브유닛(GyrA) 2개와 B 서브유닛(GyrB) 2개로 이루어진 400kDa의 단백질 사량체이다. DNA의 결합 및 절단은 GyrA와 관련이 있는 반면, ATP는 GyrB 단백질에 의해 결합되고 가수분해된다. GyrB는 ATPase 활성을 갖는 아미노-말단 도메인과 GyrA 및 DNA와 상호작용하는 카복시-말단 도메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반해, 진핵성 II형 토포이소머라제는, 네가티브 및 포지티브 수퍼코일을 이완시킬 수 있으나 네가티브 수퍼코일을 도입할 수는 없는 동종이량체이다. 이상적으로, 세균성 DNA 자이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의 억제를 기본으로 하는 항생제는 이 효소에 대해 선택적일 수 있으며, 진핵성 II형 토포이소머라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불활성일 수 있다.
토포이소머라제 IV는 주로 DNA 복제의 종결시 연결된 염색체 이량체를 분해한다.
널리 사용되는 퀴놀론 항생제는 세균성 DNA 자이라제(GyrA)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ParC)를 억제한다. 퀴놀론의 예는, 초기 화합물, 예를 들어, 날리딕산 및 옥솔린산 뿐만 아니라, 이후의 보다 강력한 플루오로퀴놀론, 예를 들어, 노르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및 트로바플록사신을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은 GyrA 및/또는 ParC에 결합하고 절단된 착물을 안정화시켜, 전체적인 자이라제 기능을 억제하여 세포사를 야기한다. 플루오로퀴놀론은 자이라제(GyrA)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Par C)의 촉매적 서브유닛을 억제한다[참조: Drlica and Zhao,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Reviews, 1997, 61, 377-392]. 그러나, 이들 부류의 화합물에 있어서도 약물 내성이 또한 문제점으로서 인지되고 있다[참조: WHO Report, "Use of Quinolones in Food Animals and Potential Impact on Human Health", 1998]. 다른 부류의 항생제의 경우처럼 퀴놀론을 사용할 경우, 초기 화합물에 노출된 세균은 종종 동일 부류의 보다 강력한 화합물에 대해 교차 내성을 신속하게 발달시키기도 한다.
ATP 가수분해를 통한 효소의 촉매적 교체(catalytic turnover)/재세팅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책임이 있는 관련 서브유닛은 각각 GyrB(자이라제) 및 ParE(토포이소머라제 IV)이다[참조: Champoux, J.J., Annu. Rev. Biochem., 2001, 70, pp. 369-413]. GyrB 및 ParE 서브유닛의 이러한 동일한 ATP 결합 부위를 표적으로 하는 화합물이 각종 세균성 감염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것이다[참조: Charifson et al., J. Med. Chem., 2008, 51, pp. 5243-5263].
GyrB에 결합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억제제는 거의 없다. 예는 쿠마린, 노보바이오신 및 쿠메르마이신 A1, 사이클로티알리딘, 시노딘 및 클레로시딘을 포함한다. 쿠마린은 GyrB에 매우 단단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노보바이오신은 단백질과의 수소결합 및 몇몇 소수성 접촉의 망상구조를 생성한다. 노보바이오신 및 ATP는 ATP 결합 부위내에서 결합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두 가지 화합물의 결합 방향에서 극소하게 중첩된다. 중첩 부분은 노보바이오신의 당 단위 및 ATP 아데닌이다[참조: Maxwell, Trends in Microbiology, 1997, 5, 102].
쿠마린-내성 세균의 경우, 가장 우세한 점 돌연변이는 쿠마린 환의 카보닐에 결합하는 표면 아르기닌 잔기[이. 콜리(E. coli) GyrB 중의 Arg136]에서 이다. 이러한 돌연변이를 갖는 효소는 보다 낮은 수퍼코일링 및 ATPase 활성을 나타내지만, 쿠마린 약물에 의한 억제에 덜 민감하기도 하다[참조: Maxwell, Mol. Microbiol., 1993, 9, 681].
자이라제 수퍼코일링의 강력한 억제제임에도 불구하고, 쿠마린은 항생제로서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이들은 세균에서의 낮은 투과도, 진핵 독성 및 불량한 수용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적합하지 않다[참조: Maxwell, Trends in Microbiology, 1997, 5, 102].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고, 바람직하게는 활성을 위해 Arg136으로의 결합에 의존하지 않는 신규하고 효과적인 GyrB 및 ParE 억제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억제제는 다른 부류의 항생제를 간섭하지 않는 내성 문제에 대한 이력이 없는 경우, 흥미로운 항생제 후보물질일 수 있다.
항생제에 대한 세균 내성이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가 되었기 때문에, 보다 신규하고 보다 강력한 항생제를 개발하는 것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보다 특히, 세균성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종전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신규한 부류의 화합물을 나타내는 항생제가 필요하다. GyrB(자이라제) 및 ParE(토포이소머라제 IV) 서브유닛 둘 다에서 ATP 결합 부위를 표적으로 하는 화합물이 각종 세균성 감염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내성 세균의 형성 및 전달이 우세하게 급증하는 병원에서의 병원성 감염을 치료하는데 특히 유용할 것이다.
본 출원은 (R)-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고체 형태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출원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고체 형태 I에 관한 것으로,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 X-ray powder diffraction pattern)이 약 5 내지 약 38°2θ에서 수집되는 경우 9.3, 11.7, 12.1, 12.4, 14.5, 15.9, 16.3, 16.6, 18.5, 19.4, 21.5, 22.3, 22.8, 23.8, 24.5, 25.7, 28.1, 28.4, 30.3 및 33.4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3개 이상의 근사 피크 위치(°2θ ± 0.2)를 포함하는 XRPD를 특징으로 한다. 고체 형태 I은 또한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이 실질적으로 도 1과 유사하고, 온도를 분당 약 10℃로 주사하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약 318℃의 개시 온도를 갖는 흡열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은 또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결정 형태 I을 이 화합물의 유리 염기의 고체 물질을 알콜 및 에테르를 포함하는 용매 시스템에 현탁시키고 고체를 분리시킴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또다른 양태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고체 형태 II에 관한 것으로,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이 약 5 내지 약 38°2θ에서 수집되는 경우 6.7, 9.2, 16.7, 18.6, 19.5, 20.5, 25.6 및 27.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3개 이상의 근사 피크 위치(°2θ ± 0.2)를 포함하는 XRPD를 특징으로 한다. 고체 형태 II는 또한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이 실질적으로 도 4와 유사하고, 온도를 분당 약 10℃로 주사하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약 252℃의 개시 온도를 갖는 흡열 피크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고체 형태 II는 상기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유리 염기를 하나 이상의 에테르성 용매 및 물을 포함하는 산성 용매 혼합물에 현탁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추가의 양태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유리 염기)의 무정형 형태 III에 관한 것으로, 식별가능한 회절 피크가 없는 광범위한 할로를 특징으로 하는 Cu Kα 방사선을 사용한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추가의 양태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용액을 동결건조, 분무 건조, 드럼 건조 또는 펄스 전환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유리 염기)의 무정형 형태 III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여전히 또다른 양태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무정형 형태 IV에 관한 것으로, 식별가능한 회절 피크가 없는 광범위한 할로를 특징으로 하는 Cu Kα 방사선을 사용한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약 5 내지 약 38°2θ에서 수집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유리 염기)의 고체 형태 I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유리 염기)의 고체 형태 I의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서모그램(thermogram)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유리 염기)의 고체 형태 I의 TGA(thermal gravimetric analysis: 열중량분석) 서모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고체 형태 II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고체 형태 II의 DSC 서모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고체 형태 II의 TGA 서모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유리 염기)의 무정형 형태 III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이다.
도 8은 작은 발열 다음에 3개의 더 큰 흡열이 있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유리 염기)의 무정형 형태 III의 DSC 서모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무정형 형태 IV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이다.
도 10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본 출원은 (R)-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신규 고체 형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가들은 상기 화합물의 유리 염기 결정 형태(I),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결정 형태(II,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에 해당), 상기 유리 염기의 무정형 형태(III) 및 상기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무정형 형태(IV)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의 하나의 측면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유리 염기)의 신규 고체 형태 I이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출원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고체 형태 제I형을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고체 형태 I은 무정형 또는 결정질 화합물로부터 이 화합물을 알콜 및 에테르를 포함하는 용매 시스템과 접촉시키고 고체를 분리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용액을 주변 온도에서 용매 중에 포화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연장된 시간(예를 들어, 밤새) 동안 정치시킴으로써 또한 용매와 접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은 승온에서 예를 들어 환류 하에 용매 중에 용해된 후 이 용액을 실온으로 또는 그 이하로 냉각시키고 고체 형태 I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공정의 하나의 양태에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고체 형태 I은 상기 화합물의 무정형 또는 결정 형태로부터 적합한 용매 중의 상기 화합물의 포화 용액을 실온에서 제조하고 형성된 제I형을 분리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이를 승온(환류 온도까지)에서 충분한 양의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을 용매 중에 용해시켜서 용액이 실온으로 냉각될 때 포화된 용액을 수득하고, 이로부터 고체 형태 I이 침전되고 이를 분리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은 용매 중에서 상기 화합물의 용해도를 변경시킴으로써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거나 또는 혼합물의 온도를 하강시킴으로써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용해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체 형태 I을 침전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용매를 혼합물에 첨가하여 화합물의 고체 형태 I을 침전시킬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고체 형태 I의 제조를 위한 용매는 에탄올 및 에틸 에테르의 혼합물이다. 형성된 고체의 유리로 고체 형태 I이 제공된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고체 형태 I은 하기 특성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약 250℃의 넓은 흡열, 분당 10℃의 주사 비율을 사용하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약 318℃의 외삽 개시 온도를 갖는 용융 흡열 및 Cu X-선 튜브원(Cu X-ray tube source)이 구비된 분말 회절계를 사용하여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을 측정하는 경우 표 1 및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필수적으로 같은 X-선 분말 회절 패턴. 샘플에 Cu Kα1 방사선이 조사되고, XRPD 데이터가 약 5 내지 약 40°2θ에서 수집되었다. 당업자들은 XRPD 피크의 상대 세기가 시험 중인 샘플의 배향 및 사용된 기구의 유형 및 설정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으므로 본원에 포함된 XRPD 흔적의 세기가 분명한 정도이고 따라서 절대 비교에 사용될 의도가 없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1은 약 5 내지 약 40° 2θ에서 수집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유리 염기)의 고체 형태 I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이다. 5% 이상의 상대 세기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에 대응하는 피크는 표 1에 열거되어 있다.
도 2는 약 250℃의 개시 전이 온도를 갖는 넓은 흡열 및 약 318℃의 개시 전이를 흡열을 나타내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고체 형태 I의 DSC 서모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당업자들은, 흡열의 피크 및 개시 온도가 실험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2의 데이터는 2.5 mg의 고체 샘플을 약 35℃에서 약 10분 동안 평형화시켜 수집하였다. 데이터 수집 기간 동안에 온도는 분당 약 10℃의 비율로 증가하였다.
도 3은 50 내지 300℃ 온도 범위에서의 약 15%의 초기 중량 손실 및 300 내지 400℃에서의 약 25%의 추가 중량 손실을 나타내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고체 형태 I의 TGA(열중량분석) 서모그램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고체 형태 I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또다른 양태에서, 고체 형태 I은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이 약 5 내지 약 38°2θ에서 수집되는 경우 9.3, 11.7, 12.1, 12.4, 14.5, 15.9, 16.3, 16.6, 18.5, 19.4, 21.5, 22.3, 22.8, 23.8, 24.5, 25.7, 28.1, 28.4, 30.3 및 33.4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3개 이상의 근사 피크 위치(°2θ ± 0.2)를 포함하는 XRPD를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고체 형태 I은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이 약 5 내지 약 38°2θ에서 수집되는 경우 9.3, 16.6, 18.5, 19.4, 21.5 및 25.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3개 이상의 근사 피크 위치(°2θ ± 0.2)를 포함하는 XRPD를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고체 형태 I은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 1과 유사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고체 형태 I은 추가로, 온도를 분당 약 10℃로 주사하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약 318℃의 개시 온도를 갖는 흡열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결정 형태 I을 이 화합물의 유리 염기의 고체 물질을 알콜 및 에테르를 포함하는 용매 시스템에 현탁시키고 고체를 분리시킴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고체 형태 I은 75% 이하의 상대 습도 하에 약 40℃의 온도에서 1개월 이상 동안 안정하다.
Figure pct00002
또다른 측면에서, 본 출원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염산 부가염의 결정 형태 II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출원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고체 형태 II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산 부가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염산 부가염은 상기 화합물의 용액에 산을 첨가하여 형성될 때 침전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산 부가염은 용매 중에서 염의 용해도를 변경시킴으로써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거나 또는 혼합물의 온도를 하강시킴으로써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용해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염을 침전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용매를 혼합물에 첨가하여 상기 염을 침전시킬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용액을 통해 상기 화합물의 모노 산 부가염이 제조될 때까지 기체 염산을 발포시킬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화학량론적 양의 염산 및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을 함께 혼합하여 상기 화합물의 모노 산 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성 용매 중의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용액을 화학량론적 양의 염화수소 산의 수성 용액과 혼합시킬 수 있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고체 형태 II를 제조하는데 적합할 수 있는 극성 용매의 예에는 디에틸 에테르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과 같은 에테르가 포함된다.
특정 양태에서, THF 및 수성 염산 중의 화학량론적 양의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을 천천히 혼합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시켰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고체 백색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이 침전되었다. 이 고체를 분리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고체 형태 II는 하기 특성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약 210℃의 피크 온도를 갖는 넓은 흡열, 분당 10℃의 주사 비율을 사용하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약 252℃의 외삽 개시 온도를 갖는 용융 흡열, 및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을 Cu X-선 튜브원이 구비된 분말 회절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경우 표 2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필수적으로 같은 X-선 분말 회절 패턴. 샘플에 Cu Kα1 방사선을 조사하고, XRPD 데이터를 약 5 내지 약 40°2θ에서 수집하였다. 당업자들은 XRPD 피크의 상대 세기가 샘플의 배향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4는 약 5 내지 약 38° 2θ에서 수집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고체 형태 II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이다. 5% 이상의 상대 세기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에 대응하는 피크는 표 2에 열거되어 있다.
도 5는 약 210℃의 흡열 및 약 252℃의 흡열을 나타내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고체 형태 II의 DSC 서모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당업자들은 흡열의 피크 및 개시 온도가 실험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5의 데이터는 1 mg의 고체 샘플을 약 35℃에서 약 10분 동안 평형화시켜 수집하였다. 데이터 수집 기간 동안에 온도는 분당 약 10℃의 비율로 증가하였다.
도 6은 100 내지 220℃에서의 약 8%의 초기 중량 손실 후의 240 내지 270℃에서의 약 8%의 제2 중량 손실 후의 270 내지 300℃에서의 약 3%의 제3 중량 손실을 나타내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고체 형태 II의 TGA 서모그램이다. 당업자들은 중량 손실의 개시 온도가 실험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출원인이 DSC에서의 흡열 및 TGA에서의 중량 손실에 대해 특별하게 설명하기를 원하지 않을지라도, DSC에서의 큰 피크를 갖는 변환은 TGA에서의 중량 손실에 의해 제시되는 바와 같이 물질의 분해와 결부된 용융 변환 때문인 것 같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산 염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3
또다른 양태에서, 염산 염이 고체 형태 II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고체 형태 II의 염산 염은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이 약 5 내지 약 38°2θ에서 수집되는 경우 6.7, 9.2, 16.7, 18.6, 19.5, 20.5, 25.6 및 27.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3개 이상의 근사 피크 위치(°2θ ± 0.2)를 포함하는 XRPD를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고체 형태 II의 염산 염은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도 4와 유사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고체 형태 II의 염산 염은 추가로, 온도를 분당 약 10℃로 주사하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약 252℃의 개시 온도를 갖는 흡열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여전히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유리 염기를 하나 이상의 에테르성 용매 및 물을 포함하는 산성 용매 혼합물에 현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고체 형태 II의 제조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고체 형태 II의 염산 염은 75% 이하의 상대 습도 하에 약 40℃의 온도에서 1개월 이상 동안 안정하다.
Figure pct00004
본 출원의 또다른 측면은 무정형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유리 염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에 대해 사용될 때의 용어 "무정형"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분자가 일반적으로 무질서한 배열로 존재하고, 식별가능한 결정 격자 또는 단위 셀을 형성하지 않는 고체 상태 형태를 지칭한다. X-선 분말 회절로 처리될 때, 완전한 무정형 화합물은 결정 형태의 회절 패턴 특성을 산출하지 않는다. 부분 무정형 물질의 X-선 분말 회절은, 샘플의 결정 부분으로부터의 회절 피크가 너무 약하여 노이즈(noise)에서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결정 형태의 고유 특성이 여전히 부족할 수 있다. 도 7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유리 염기)의 무정형 형태 III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이다.
도 8은 작은 발열 다음에 3개의 더 큰 흡열이 있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유리 염기)의 무정형 형태 III의 DSC 서모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작은 발열은 127℃의 개시 온도를 갖는 반면, 3개의 흡열은 183℃, 226℃ 및 279℃의 개시 온도를 갖는다. 당업자들은 발열 및 흡열의 피크 및 개시 온도가 실험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8의 데이터는 무정형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 2.9 mg 샘플을 약 35℃에서 약 10분 동안 평형화시켜 수집하였다. 데이터 수집 기간 동안에 온도는 분당 약 10℃의 비율로 증가하였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무정형 형태 III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5
또다른 양태에서, 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무정형 형태 III는 식별가능한 회절 피크가 없는 광범위한 할로를 특징으로 하는 Cu Kα 방사선을 사용한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을 특징으로 한다.
여전히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용액을 동결건조, 분무 건조, 드럼 건조 또는 펄스 전환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무정형 형태 III를 제조하는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출원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무정형 고체 상 형태 IV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출원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고체 형태 IV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메탄설폰산 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용액에 상기 화합물의 모노 산 부가염이 제조될 때까지 메탄설폰산 용액을 첨가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용액에 산을 첨가할 때 침전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산 부가염은 용매 중에서 염의 용해도를 변경시킴으로써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거나 또는 혼합물의 온도를 하강시킴으로써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용해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염을 침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양태에서, 무정형 물질은 예를 들어 회전기, 증발기를 사용하여 일부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용액을 농축시킨 후의 용액으로부터 또는 용매로부터 침전된 후 수집된다. 대안적으로, 제2 용매를 혼합물에 첨가하여 상기 염을 침전시킬 수 있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무정형 고체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무정형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 메실레이트 염은 결정 형태의 회절 패턴 특성이 없다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부분 무정형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 메실레이트 염의 X-선 분말 회절은, 샘플의 결정 부분으로부터의 회절 피크가 너무 약하여 노이즈에서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결정 형태의 고유 특성이 여전히 부족할 수 있다. 도 9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무정형 형태 IV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무정형 메실레이트 염은 적절한 용매 중에서 상기 염의 용액을 분무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분무 건조는 약제학적 약물과 같이 열적으로 민감한 물질을 건조하는데 종종 사용된다. 분무 건조는 또한 꽤 잘 재현될 수 있는 일관된 입자 분포를 제공한다. 공기가 주로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임의의 가스라도 분말을 건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물질이 공기에 민감하다면,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의 용액, 슬러리, 현탁액 또는 유화액을 전환시켜 고체 분말을 제조하는 임의의 방법이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고체 무정형 형태 IV을 제조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결 건조, 드럼 건조 또는 펄스 전환 건조가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무정형 메실레이트 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극성 용매 중의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용액은 콘덴서가 구비된 나노스프레이 건조기를 사용하여 분무 건조될 수 있다. 주입 온도는 80 내지 120℃로 유지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무정형 형태 IV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6
또다른 양태에서,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무정형 형태 IV은 식별가능한 회절 피크가 없는 광범위한 할로를 특징으로 하는, Cu Kα 방사선을 사용한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을 특징으로 한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유리 염기 및 메실레이트 염 각각의 고체 형태 I 및 제II형 및 무정형 고체 형태 III 및 IV은 본원에 기술된 XRPD, DSC, TGA 및 다른 고유?을 갖는 것 이외에 물 또는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의 존재와 같이 기술되지 않은 다른 특성을 또한 가질 수 있다.
X선 분말 회절(XRPD): 결정질 형태의 XRPD 패턴은 실온에서 밀봉된 튜브 광원 및 Hi-Star 에리어 검출기(Bruker AXS, Madison, WI)가 장착된 Bruker D8 디스커버 시스템을 사용하여 반사 모드로 기록하였다. X선 발생기는 40kV의 장력 및 35mA의 전류에서 작동하였다. 분말 샘플을 Si 제로-백그라운드 와이퍼 상에 배치하였다. 두 개의 프레임을 노출 시간을 각각 120s로 등록하였다. 이어서, 데이터를 단계 크기를 0.02°로 하여 3°내지 41°2의 범위에 걸쳐 적분하여 하나의 연속 패턴으로 통합시켰다.
무정형 형태에 대한 X선 분말 회절(XRPD): 무정형 고체 형태의 XRPD 패턴은 실온에서 Vantec-1 위치 민감 검출기(Bruker AXS, Madison, WI)가 장착된 Bruker D8 어드밴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반사 모드로 기록하였다. X선 발생기는 40kV의 장력 및 45mA의 전류에서 작동하였다. 분말 샘플을 검출기에서 가변 슬릿을 사용하여 연속 모드로 실험 동안 15rpm에서 회전하는 Si 제로-백그라운드 홀더 상에 배치하였다. 데이터를 0.0144653°증분(0.25s/단계)으로 3 내지 40°에서 수집하였다.
시차 주사 열량법(DSC): DSC는 DSC Q2000 시차 주사 열량계(TA Instruments, New Castle, DE)를 사용하여 물질의 샘플 상에서 수행하였다. 기기는 인듐으로 검량하였다. 대략 1-2mg의 샘플을 핀-홀 또는 핀-홀 리드가 없는 리드를 사용하여 크림핑시킨 알루미늄 팬에 칭량 부가하였다. DSC 샘플을 10℃/min의 가열 속도로 50mL/min 질소류에서 30℃에서 도표에 제시된 온도까지 스캐닝하였다. 변조된 DSC(MDSC) 하에 수행중인 샘플을 램프 속도(ramp rate)를 2 또는 3℃/min로 하여 매 60s마다 + 및 -1℃로 조정하였다.
데이터를 서멀 어드밴티지 Q 시리즈TM 소프트웨어(Thermal Advantage Q SeriesTM software)로 수집하고, 다목적 분석 2000 소프트웨어(TA Instruments, New Castle, DE)로 분석하였다.
열중량 분석(TGA): TGA 측정을 위해 모델 Q5000 열중량 분석기(TA Instruments; 미국 델라웨어주 뉴캐슬 소재)를 사용하였다. 약 3 내지 5 mg의 중량을 갖는 샘플을 10℃/분의 가열 속도로 30℃로부터 플롯 상에 지적된 온도까지 주사하였다. 데이터를 Thermal Advantage Q SeriesTM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집하고 Universal Analysis 2000 소프트웨어(TA Instruments, 미국 델라웨어주 뉴캐슬 소재)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환자에서 병원내 또는 비-병원내 세균성 감염의 진전, 중증도 또는 효과를 조절, 치료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환자에서 병원내 또는 비-병원내 세균성 감염의 진전, 중증도 또는 효과를 조절, 치료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세균성 감염은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Streptococcus pneumoniae),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모락셀라 카타랄리스(Moraxella catarrhalis), 네이세리아 고노로에아에(Neisseria gonorrhoeae), 네이세리아 메닝기티디스(Neisseria meningitidis),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콤플렉스(Mycobacterium avium complex), 마이코박테리움 아브세수스(Mycobacterium abscessus), 마이코박테리움 칸사시(Mycobacterium kansasii), 마이코박테리움 울세란스(Mycobacterium ulcerans), 클라미도필라 뉴모니아에(Chlamydophila pneumoniae),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Haemophilus influenzae), 스트렙토코쿠스 피오게네스(Streptococcus pyogenes) 또는 β-용혈성 스트렙토코쿠스(β-haemolytic streptococci) 중의 하나 이상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여, 환자에서 병원내 또는 비-병원내 세균성 감염의 진전, 중증도 또는 효과를 조절, 치료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세균성 감염은 다음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도 감염, 하기도 감염, 귀 감염, 흉막폐 및 기관지 감염, 복잡성 요로 감염, 비복잡성 요로 감염, 복강내 감염, 심혈관 감염, 혈류 감염, 패혈증, 균혈증, CNS 감염, 피부 및 연부 조직 감염, GI 감염, 뼈 및 관절 감염, 생식기 감염, 눈 감염, 또는 육아종성 감염, 비복잡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uSSSI), 복잡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cSSSI), 카테터 감염, 인후염, 부비동염, 외이도염, 중이염, 기관지염, 농흉, 폐렴, 지역사회-획득성 세균성 폐렴(CABP), 병원-획득성 폐렴(HAP), 병원-획득성 세균성 폐렴,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당뇨병성 족부 감염,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콕시 감염, 방광염 및 신우신염, 신결석, 전립선염, 복막염, 복잡성 복강내 감염(cIAI) 및 기타의 복강내 감염, 투석 관련 복막염, 내장 농양, 심내막염, 심근염, 심낭염, 수혈 관련 패혈증, 수막염, 뇌염, 뇌 농양, 골수염, 관절염, 생식기 궤양, 요도염, 질염, 자궁경부염, 치은염, 결막염, 각막염, 내안구염, 낭포성 섬유증 환자에서의 감염 또는 발열성 호중구 감소증 환자의 감염.
또다른 양태에서, 세균성 감염은 다음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지역사회-획득성 세균성 폐렴(CABP), 병원-획득성 폐렴(HAP), 병원-획득성 세균성 폐렴,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균혈증, 당뇨병성 족부 감염, 카테터 감염, 비복잡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uSSSI), 복잡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cSSSI),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콕시 감염 또는 골수염.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생물학적 샘플에서 세균 양을 감소 또는 억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방법은 상기 생물학적 샘플을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접촉시킴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생물학적 샘플"은 세포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 포유동물로부터 수득된 생체검사 물질 또는 이의 추출물; 및 혈액, 타액, 소변, 대변, 정액, 눈물 또는 기타 체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용어 "생물학적 샘플"은 또한 살아있는 유기체를 포함하며, 이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생물학적 샘플과 접촉시킴"은 용어 "상기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함"과 동의어이다.
본 발명의 자이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억제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 염은 동물 또는 사람에게 투여하기 위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박테리아 양을 측정 가능하게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자이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억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세균성 감염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이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박테리아 양을 측정 가능하게 감소시키는"은 상기 억제제를 함유하는 샘플과 세균만을 함유하는 샘플 간의 세균 수의 측정 가능한 차이를 의미한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영장류, 설치류, 파충류 및 조류를 포함한 동물원, 실험실, 사람 반려 동물 및 농장 동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수의학 분야의 환자를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상기 동물의 예는 기니아 피그, 햄스터, 게르빌루스쥐, 랫트, 마우스, 토끼, 개, 고양이, 말, 돼지, 양, 암소, 염소, 사슴, 붉은털 원숭이, 원숭이, 타마린드(tamarinds), 유인원, 개코원숭이, 고릴라, 침팬지, 오랑우탄, 긴팔원숭이, 타조, 닭, 칠면조, 오리 및 거위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비-병원내 감염"을 또한 지역사회 획득성 감염이라고도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세균성 감염은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또는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중의 하나 이상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세균성 감염은 이. 콜리,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또는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중의 하나 이상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세균성 감염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 네이세리아 고노로에아에, 네이세리아 메닝기티디스,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콤플렉스, 마이코박테리움 아브세수스, 마이코박테리움 칸사시, 마이코박테리움 울세란스, 클라미도필라 뉴모니아에 및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중의 하나 이상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양태에서, 세균성 감염은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네이세리아 고노로에아에, 네이세리아 메닝기티디스,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콤플렉스, 마이코박테리움 아브세수스, 마이코박테리움 칸사시, 마이코박테리움 울세란스, 클라미도필라 뉴모니아에,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스트렙토코쿠스 피오게네스 또는 β-용혈성 스트렙토코쿠스 중의 하나 이상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몇몇 양태에서, 세균성 감염은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반코마이신 중간체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리네졸리드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페니실린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매크롤라이드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리네졸리드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리네졸리드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암피실린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매크롤라이드 내성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β-락탐 내성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β-락탐 내성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매크롤라이드 내성 마이코플라스마 뉴모니아에, 이소니아지드 내성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리팜핀 내성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메티실린 내성 코아굴라제 음성 스타필로코쿠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코아굴라제 음성 스타필로코쿠스, 글리코펩타이드 중간체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헤테로 반코마이신 중간체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헤테로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매크롤라이드-린코사미드-스트렙토그라민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β-락탐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β-락탐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케톨리드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케톨리드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피오게네스, 매크롤라이드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피오게네스,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네이세리아 고노로에아에, 다중약물 내성 수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또는 세팔로스포린 내성 네이세리아 고노로에아에 중의 하나 이상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는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또는 메티실린 내성 코아굴라제 음성 스타필로코쿠스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는 지역사회 획득성 MRSA(즉, cMRSA)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또다른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는 답토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및 답토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답토마이신 내성 유기체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는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또는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코아굴라제 음성 스타필로코쿠스로부터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글리코펩타이드 내성 스타필로코쿠스는 글리코펩타이드 중간체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반코마이신 중간체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헤테로 반코마이신 중간체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또는 헤테로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로부터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매크롤라이드-린코사미드-스트렙토그라민 내성 스타필로코쿠스는 매크롤라이드-린코사미드-스트렙토그라민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리네졸리드 내성 엔테로코쿠스는 리네졸리드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또는 리네졸리드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으로부터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글리코펩타이드 내성 엔테로코쿠스는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또는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로부터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β-락탐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는 β-락탐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페니실린 내성 스트렙토코쿠스는 페니실린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매크롤라이드 내성 스트렙토코쿠스는 매크롤라이드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케톨리드 내성 스트렙토코쿠스는 매크롤라이드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및 케톨리드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피오게네스로부터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트렙토코쿠스는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β-락탐 내성 헤모필루스는 β-락탐 내성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헤모필루스는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매크롤라이드 내성 헤모필루스는 매크롤라이드 내성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매크롤라이드 내성 마이코플라스마는 매크롤라이드 내성 마이코플라스마 뉴모니아에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소니아지드 내성 마이코박테리움은 이소니아지드 내성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리팜핀 내성 마이코박테리움은 리팜핀 내성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β-락탐 내성 모락셀라는 β-락탐 내성 모락셀라 카타랄리스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세균성 감염은 다음 중의 하나 이상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반코마이신 중간체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리네졸리드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페니실린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매크롤라이드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리네졸리드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리네졸리드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암피실린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매크롤라이드 내성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β-락탐 내성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β-락탐 내성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매크롤라이드 내성 마이코플라스마 뉴모니아에, 이소니아지드 내성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리팜핀 내성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네이세리아 고노로에아에 또는 세팔로스포린 내성 네이세리아 고노로에아에.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세균성 감염은 다음 중의 하나 이상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메티실린 내성 코아굴라제 음성 스타필로코쿠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코아굴라제 음성 스타필로코쿠스,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글리코펩타이드 중간체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반코마이신 중간체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헤테로 반코마이신 중간체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헤테로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페니실린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매크롤라이드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플루오로퀴놀론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매크롤라이드 내성 스트렙토코쿠스 피오게네스 또는 β-락탐 내성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세균성 감염은 다음 중의 하나 이상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메티실린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반코마이신 중간체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헤테로 반코마이신 중간체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헤테로 반코마이신 내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다중약물 내성 수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이소니아지드 내성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및 리팜핀 내성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산 및 염기 및 유기 산 및 염기로부터 유도된 것들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 염의 예는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비설페이트, 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르설포네이트, 사이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도데실설페이트, 에탄설포네이트, 포르메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타노에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글리콜레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2-하이드록시에탄설포네이트, 락테이트, 말레에이트, 말로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옥살레이트, 팔모에이트, 펙티네이트, 퍼설페이트,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포스페이트, 피크레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살리실레이트, 석시네이트, 설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토실레이트 및 운데카노에이트를 포함한다. 옥살산과 같은 기타 산은 그 자체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수득하는데 있어서 중간체로서 유용한 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나트륨 및 칼륨), 알칼리 토금속(예를 들면, 마그네슘), 암모늄 및 N+(C1-4 알킬)4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임의의 염기성 질소 함유 그룹의 4급화를 포함한다. 수용성 또는 유용성 또는 분산성 생성물이 이러한 4급화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추가의 치료제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항생제, 소염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억제제, 리폭시게나제 억제제, 사이토킨 길항제, 면역억제제, 항암제, 항바이러스제, 사이토킨, 성장 인자, 면역조절제, 프로스타글란딘 또는 항혈관 과증식 화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고 이의 약리학적 활성을 파괴하지 않는 비-독성 담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이온 교환제,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 예를 들어, 사람 혈청 알부민, 완충 물질, 예를 들어, 포스페이트, 글리신,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식물성 포화 지방산의 부분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 예를 들어, 프로타민 설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칼륨, 염화나트륨, 아연 염, 콜로이드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스계 물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 중합체, 양모지 및 자가-유화성 약물 전달 시스템(SEDDS), 예를 들어, 알파-토코페롤,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 석시네이트, 또는 기타의 유사한 중합체 전달 매트릭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환자에서 세균성 감염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을 나타낸다. 용어 "예방학적 유효량"은 환자에서 세균성 감염을 예방하거나 실질적으로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을 나타낸다.
치료되거나 예방되는 특정 상태 또는 질환 상태에 따라, 상기 상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투여되는 추가의 치료제를 본 발명의 억제제와 함께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제는 항생제, 소염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억제제, 리폭시게나제 억제제, 사이토킨 길항제, 면역억제제, 항암제, 항바이러스제, 사이토킨, 성장 인자, 면역조절제, 프로스타글란딘 또는 항혈관 과증식 화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생체내 세균성 감염 수준을 조절하고 세균에 의해 매개되는 효과의 진전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방법, 이의 용량 수준 및 요구사항은 당업계의 통상의 숙련가들에 의해 이용 가능한 방법 및 기술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균성 감염 또는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감염 또는 질환의 중증도를 경감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방식으로 투여하기 위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와 배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균성 감염 또는 질환으로부터 개체를 연장된 시간 동안 치료 또는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균성 감염 또는 질환으로부터 개체를 1-2주에 걸쳐 치료 또는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균성 감염 또는 질환으로부터 개체를 4-8주에 걸쳐 치료 또는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예를 들면, 심내막염 또는 골수염이 있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세균성 감염 또는 질환으로부터 개체를 8-12주에 걸쳐 치료 또는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본 발명의 기타의 화합물과 함께 약제학적 조성물 중의 효소 억제제의 통상적인 이용과 일치되는 방식으로 이러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백신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와 배합될 수 있고, 세균성 감염 또는 질환으로부터 연장된 시간에 걸쳐 개체를 보호하기 위해 예방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세균성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예방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세균성 심내막염에서 직면하는 것과 같은 기회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치과 또는 외과 치료 전, 동안 또는 후에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적출, 치주 치료, 치과 임플란트 식립 및 근관치료 수술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치과 치료에서 예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일반 수술, 호흡기 수술(편도선 수술/아데노이드 절제술), 위장관 수술(상부 GI 및 대기 소장 수술, 식도 경화요법 및 확장술, 대장 절제술, 급성 맹장수술), 외상 수술(천공성 복부 수술), 비뇨생식관 수술(전립선 절제술, 요도 확장술, 방광내시경, 질 또는 복부 자궁절제술, 제왕절개술), 이식 수술(신장, 간, 췌장 또는 신장 이식), 두경부 수술(피부 절제, 경부청소술, 후두적출, 두경부 암 수술, 하악 골절), 졍형외과 수술(인공관절 치환술, 외상성 개방성 골절), 혈관 수루(말초 혈관 치료), 흉부외과 수술, 관상 동맥 바이패스 수술, 폐 절제술 및 신경외과 수술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수술 과정에서 예방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세균성 감염을 방지하는"은,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세균성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이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억제제와 같은 항생제의 예방학적 사용을 의미한다. 자이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억제제로의 치료는 자이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억제제에 감수성인 유기체에 의해 야기되는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예방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방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는 일반적인 세트의 상태 중의 하나는 개체가, 예를 들면, 면역력 약화, 수술, 외상, 체내의 인공 장치의 존재(일시적 또는 영구적), 해부학적 결함, 높은 수준의 세균 노출 또는 질환-유발 병원균에 대한 가능한 노출로 인한 감염에 더욱 취약한 경우이다. 면역력 약화를 야기할 수 있는 요인의 예는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당뇨병, 노령, HIV 감염 및 이식을 포함한다. 해부학적 결함의 예는 세균성 심내막염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심장 판막의 결함일 수 있다. 인공 장치의 예는 인공 관절, 수술용 핀, 카테터 등을 포함한다. 자이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억제제의 예방학적 사용이 적절할 수 있는 또다른 세트의 상황은 개체간의 병원균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직접 또는 간접). 병원균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예방학적 사용의 구체적인 예는 의료 기관(예를 들면, 병원 또는 양로원)에서 개인들에 의한 자이라제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억제제의 사용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또한 각종 세균성 감염으로부터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항생제와 동시-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기타 제제와 병용 요법으로 투여하는 경우, 이들은 환자에게 연속적으로 투여되거나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약제학적 또는 예방학적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기타 치료학적 또는 예방학적 제제와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몇몇 양태에서, 추가의 치료제 또는 치료제들은 천연 페니실린, 페니실리나제-내성 페니실린, 항수도모나스 페니실린, 아미노페니실린, 1세대 세팔로스포린, 2세대 세팔로스포린, 3세대 세팔로스포린, 4세대 세팔로스포린, 카바페넴, 세파마이신, 퀴놀론, 플루오로퀴놀론, 아미노글리코시드, 매크롤라이드, 케톨리드, 폴리믹신, 테트라사이클린, 글리코펩타이드, 스트렙토그라민, 옥사졸리디논, 리파마이신 또는 설폰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항생제이다.
몇몇 양태에서, 추가의 치료제 또는 치료제들은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퀴놀론, 아미노글리코시드 또는 옥사졸리디논으로부터 선택되는 항생제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추가의 치료제는 벤자틴 페니실린 G, 페니실린 G 및 페니실린 V을 포함하는 천연 페니실린, 클록사실린(Cloxacillin), 디클록사실린(Dicloxacillin), 나프실린(Nafcillin) 및 옥사실린(Oxacillin)을 포함하는 페니실리나제-내성 페니실린, 카베니실린(Carbenicillin), 메즐로실린(Mezlocillin), 피페르실린(Pipercillin), 피페르실린/타조박탐(Pipercillin/tazobactam), 티카리실린(Ticaricillin) 및 티카리실린/클라불라네이트(Ticaricillin/Clavulanate)를 포함하는 항수도모나스 페니실린, 아목시실린(Amoxicillin), 암피실린(Ampicillin) 및 암피실린/설박탐(Ampicillin/Sulbactam)을 포함하는 아미노페니실린, 세파졸린(Cefazolin), 세파드록실(Cefadroxil), 세팔렉신(Cephalexin) 및 세파드린(Cephadrine)을 포함하는 1세대 세팔로스포린, 세파클로르(Cefaclor), 세파클로르-CD, 세파만돌(Cefamandole), 세포나시드(Cefonacid), 세프프로질(Cefprozil), 로라카베르(Loracarbef) 및 세푸록심(Cefuroxime)을 포함하는 2세대 세팔로스포린, 세프디니르(Cefdinir), 세픽심(Cefixime), 세포페라존(Cefoperazone), 세포탁심(Cefotaxime), 세프포독심(Cefpodoxime), 세프타지딤(Ceftazidime), 세프티부텐(Ceftibuten), 세프티족심(Ceftizoxme) 및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을 포함하는 3세대 세팔로스포린, 세페핌(Cefepime), 세프타롤린(Ceftaroline) 및 세프토비프롤(Ceftobiprole)을 포함하는 4세대 세팔로스포린, 세포테탄(Cefotetan) 및 세폭시틴(Cefoxitin)을 포함하는 세파마이신, 도리페넴(Doripenem), 이미페넴(Imipenem) 및 메로페넴(Meropenem)을 포함하는 카바페넴, 아즈트레오남(Aztreonam)을 포함하는 모노박탐, 시녹사신(Cinoxacin), 날리딕산(Nalidixic acid), 옥솔리닌산(Oxolininc acid) 및 피페미드산(Pipemidic acid)을 포함하는 퀴놀론, 베시플록사신(Besifloxacin),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에녹사신(Enoxacin), 가티플록사신(Gatifloxacin), 그레파플록사신(Grepafloxacin),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로메플록사신(Lomefloxacin),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노르플록사신(Norfloxacin), 오플록사신(Ofloxacin) 및 스파르플록사신(Sparfloxacin)을 포함하는 플루오로퀴놀론, 아미카신(Amikacin), 겐타마이신(Gentamicin), 카나마이신(Kanamycin), 네오마이신(Neomycin), 네틸마이신(Netilmicin), 스펙티노마이신(Spectino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및 토브라마이신(Tobramycin)을 포함하는 아미노글리코시드, 아지트로마이신(Azithromycin), 클라리트로마이신(Clarithromycin) 및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을 포함하는 매크롤라이드, 텔리트로마이신(Telithromycin)을 포함하는 케톨리드,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데메클로사이클린(Demeclocycline),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 및 테트라사이클린을 포함하는 테트라사이클린, 오리타반신(Oritavancin), 달바반신(Dalbavancin), 텔라반신(Telavancin),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 및 반코마이신(Vancomycin)을 포함하는 글리코펩타이드, 달포프리스틴/퀴누프리스틴(Dalfopristin/quinupristin)을 포함하는 스트렙토그라민, 리네졸리드(Linezolid)를 포함하는 옥사졸리돈, 리파부틴(Rifabutin) 및 리팜핀(Rifampin)을 포함하는 리파마이신 및 박티트라신(bactitracin), 콜리스틴(colistin), 티가실(Tygacil), 다프토마이신(Daptomycin),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이소니아지드(isoniazid),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무피로신(mupirocin), 폴리믹신 B, 피라진아미드,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및 설프이속사졸을 포함하는 기타 항생제로부터 선택된다.
또다른 양태에서, 추가의 치료제는 페니실린 G를 포함하는 천연 페니실린, 나프실린 및 옥사실린을 포함하는 페니실리나제-내성 페니실린, 피페르실린/타조박탐을 포함하는 항수도모나스 페니실린, 아목시실린을 포함하는 아미노페니실린, 세팔렉신을 포함하는 1세대 세팔로스포린, 세파클로르, 세파클로르-CD 및 세푸록심을 포함하는 2세대 세팔로스포린, 세프타지딤 및 세프트리악손을 포함하는 3세대 세팔로스포린, 세페핌을 포함하는 4세대 세팔로스포린, 이메페넴, 메로페넴, 에르타페넴, 도리페넴, 파니페넴 및 비아페넴을 포함하는 카바페넴, 시프로플록사신, 가티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및 목시플록사신을 포함하는 플루오로퀴놀론, 토브라마이신을 포함하는 아미노글리코시드, 아지트로마이신 및 클라리트로마이신을 포함하는 매크롤라이드, 독시사이클린을 포함하는 테트라사이클린, 반코마이신을 포함하는 글리코펩타이드, 리팜핀을 포함하는 리파마이신 및 이소니아지드, 피라진아미드, 티가실, 다프토마이신 또는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을 포함하는 기타 항생제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고체 형태는 그램 양성 감염의 치료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조성물은 고체, 액체(예를 들면, 현탁액), 또는 iv(예를 들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를 액체에 용해시켜 iv 투여함) 조성물이다. 몇몇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추가의 항생제, 예를 들면, 천연 페니실린, 페니실리나제-내성 페니실린, 항수도모나스 페니실린, 아미노페니실린, 1세대 세팔로스포린, 2세대 세팔로스포린, 3세대 세팔로스포린, 4세대 세팔로스포린, 카바페넴, 세파마이신, 퀴놀론, 플루오로퀴놀론, 아미노글리코시드, 매크롤라이드, 케톨리드, 폴리믹신, 테트라사이클린, 글리코펩타이드, 스트렙토그라민, 옥사졸리디논, 리파마이신 또는 설폰아미드와 병용하여 투여한다. 몇몇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고체 형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투여되고, 추가의 항생제, 예를 들면, 천연 페니실린, 페니실리나제-내성 페니실린, 항수도모나스 페니실린, 아미노페니실린, 1세대 세팔로스포린, 2세대 세팔로스포린, 3세대 세팔로스포린, 4세대 세팔로스포린, 카바페넴, 세파마이신, 퀴놀론, 플루오로퀴놀론, 아미노글리코시드, 매크롤라이드, 케톨리드, 폴리믹신, 테트라사이클린, 글리코펩타이드, 스트렙토그라민, 옥사졸리디논, 리파마이신 또는 설폰아미드는 iv 투여된다.
몇몇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고체 형태는 그램 음성 감염의 치료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조성물은 고체, 액체(예를 들면, 현탁액), 또는 iv(예를 들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를 액체에 용해시켜 iv 투여함) 조성물이다. 몇몇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천연 페니실린, 페니실리나제-내성 페니실린, 항수도모나스 페니실린, 아미노페니실린, 1세대 세팔로스포린, 2세대 세팔로스포린, 3세대 세팔로스포린, 4세대 세팔로스포린, 카바페넴, 세파마이신, 모노박탐, 퀴놀론, 플루오로퀴놀론, 아미노글리코시드, 매크롤라이드, 케톨리드, 폴리믹신, 테트라사이클린 또는 설폰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항생제와 병용하여 투여한다. 몇몇 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고체 형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투여되고, 추가의 항생제, 예를 들면, 천연 페니실린, 페니실리나제-내성 페니실린, 항수도모나스 페니실린, 아미노페니실린, 1세대 세팔로스포린, 2세대 세팔로스포린, 3세대 세팔로스포린, 4세대 세팔로스포린, 카바페넴, 세파마이신, 모노박탐, 퀴놀론, 플루오로퀴놀론, 아미노글리코시드, 매크롤라이드, 케톨리드, 폴리믹신, 테트라사이클린 또는 설폰아미드는 경구 투여된다. 몇몇 양태에서, 추가의 치료제는 iv 투여된다.
상기한 추가의 치료제는 억제제-함유 조성물로부터, 다중 용량 용법의 일부로서, 별도로 투여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제제는 단일 조성물에 억제제와 함께 혼합된 단일 용량형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흡입 스프레이, 국소, 직장, 비내, 구강내, 질내 또는 이식된 저장물을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함유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제형화된 화합물 또는 이의 전달형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염기 또는 완충제로 제형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부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내, 흉골내, 경막내, 병변내 및 두개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을 포함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멸균 주사 가능한 제제, 예를 들면, 멸균 주사 가능한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이들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나 습윤제(예를 들면, 트윈 80)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멸균 주사 가능한 제제는 또한 비경구로 허용되는 비독성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 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 예를 들어,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 중에는 만니톨, 물, 링거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고착유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자극 고착유가 사용될 수 있다. 지방산, 예를 들어, 올레산 및 이의 글리세라이드 유도체가 주사용 제제에 유용하고, 이는 이것들이 특히 폴리옥시에틸화 버젼에서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천연 오일이기 때문이다. 이들 오일 용액 또는 현탁액은 또한 장쇄 알콜 희석제 또는 분산제, 예를 들어, 약전 헬베티카(Pharmacopeia Helvetica)에 기재된 것들 또는 유사한 알콜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캡슐제, 정제, 수성 현탁액제 또는 용액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경구 허용되는 용량형으로 경구 투여될 수 있다. 경구용 정제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된 담체는 락토스 및 옥수수 전분을 포함한다. 또한, 전형적으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가 첨가된다. 캡슐제 형태의 경구 투여의 경우, 유용한 희석제는 락토스 및 건식 옥수수 전분을 포함한다. 수성 현탁액 및 용액 및 프로필렌 글리콜이 경구 투여되는 경우, 활성 성분을 유화제 및 현탁제와 배합한다. 경우에 따라, 특정 감미제 및/또는 풍미제 및/또는 착색제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용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실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직장 온도에서는 액체이어서 직장에서 융해되어 활성 성분을 방출하는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코코아 버터, 밀랍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국소 투여는 목적하는 치료가 국소 적용에 의해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영역 또는 기관을 포함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피부에 국소 적용하기 위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담체에 현탁되거나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적합한 연고로 제형화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국소 투여를 위한 담체는 광유, 액체 석유, 백색 석유,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유화용 왁스 및 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담체에 현탁되거나 용해되어 있는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적합한 로션 또는 크림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는 광유,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세틸 에스테르 왁스, 세테아릴 알콜, 2-옥틸도데칸올, 벤질 알콜 및 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직장 좌제 제형에 의해 또는 적합한 관장 제형으로 하부 장관에 국소 적용될 수 있다. 국소 투여된 경피 패치가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내 에어로졸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형의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되며, 벤질 알콜 또는 기타 적합한 방부제, 생체이용율을 증강시키기 위한 흡수 촉진제,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염수 중의 용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또한 이식형 또는 유치형 장치(indwelling device)와 같이 이식(예를 들면, 수술에 의해)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이식형 또는 유치형 장치는 대상체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잔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식형 및 유치형 장치의 예는 콘택트 렌즈, 중심 정맥 카테터 및 바늘없는 커넥터, 기관내 튜브, 자궁내 장치, 기계식 심장 판막, 심박 조율기, 복막 투석 카테터, 보철 관절, 예를 들면, 엉덩이 및 무릎 치환술, 고막천공술 튜브, 비뇨기 카테터, 음성 보철, 스텐트, 전달 펌프, 혈관 필터 및 이식 가능한 제어 방출 조성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생물막(biofilm)은 신체에 인공 기층을 도입하여 지속성 감염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이식형 또는 유치형 의료 장치를 갖는 환자의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따라서, 이식형 또는 유치형 장치 안에 또는 위에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하는 것이 생물막의 생성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식형 또는 유치형 장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데포트 또는 저장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식형 또는 유치형 장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단 a) 장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생체적합성이어야 하고, b) 장치는 치료되는 환자에서 치료학적 효과를 부여하도록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전달하거나 방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식형 또는 유치형 장치를 통한 치료제의 전달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문헌["Recent Developments in Coated Stents" by Hofma et al. published in Current Interventional Cardiology Reports 2001, 3:28-36]을 참고하며, 이에 인용된 참고문헌을 포함한 이의 전문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이식형 장치에 대한 기타의 설명은 미국 특허 제6,569,195호 및 제6,322,847호; 및 미국 특허원 제2004/0044405호, 제2004/0018228호, 제2003/0229390호, 제2003/0225450호, 제2003/0216699호 및 제2003/0204168호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몇몇 양태에서, 이식형 장치는 스텐트이다. 한가지 특정 양태에서, 스텐트는 상호맞물린 망상 케이블(interlocked meshed cable)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케이블은 구조적 지지를 위한 금속 와이어 및 치료제를 전달하기 위한 중합체성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와이어는 중합체를 치료제의 용액에 함침시킴으로써 투여할 수 있다. 또는, 치료제를 중합체성 전구체 용액으로부터 와이어의 형성 동안 중합체성 와이어에 매봉시킬 수 있다.
또다른 양태에서, 이식형 또는 유치형 장치는 치료제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피막으로 피복될 수 있다. 중합체성 피막은 치료제의 방출 속도를 제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치료제의 제어 방출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성 물질 중의 활성제의 불균질 용액 및/또는 분산액을 함유하는 일체식(monolithic) 층 또는 피막을 갖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제는 중합체를 통해 중합체-체액 경계면으로 확산되어 주변 체액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제제의 확산은 속도 제한적이다. 몇몇 장치에서는, 물질이 용해된 후 추가의 기공 또는 채널이 남아있도록 가용성 물질이 또한 중합체성 물질에 용해되거나 분산된다. 매트릭스 장치도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확산 제어되지만, 장치의 채널 또는 기타의 내부 기하구조가 또한 체액으로 제제를 방출시키는데 있어서 역할을 한다. 채널은 기존 채널이거나, 방출된 제제 또는 기타의 가용성 물질에 의해 남겨진 채널일 수 있다.
침식성 또는 분해성 장치는 전형적으로 중합체에 물리적으로 고정된 활성제를 갖는다. 활성제는 중합체성 물질 전반에 걸쳐 용해되고/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중합체성 물질은 종종 불안정한 결합의 가수분해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라 가수분해에 의해 분해되어, 중합체를 체액으로 침식시키고, 활성제를 체액에 방출시킨다. 친수성 중합체는 소수성 중합체에 비해 일반적으로 보다 빠른 침식 속도를 갖는다. 소수성 중합체는 표면에서 안쪽으로의 침식을 갖는, 활성제의 거의 순수한 표면 확산을 갖는 것으로 믿어진다. 친수성 중합체는 물이 중합체의 표면을 침투하여, 표면 바로 아래의 불안정한 결합의 가수분해를 가능케 하여, 중합체의 균질 또는 벌크 침전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이식형 또는 유치형 장치 피막은, 각각 상이한 치료제 방출 속도를 갖는 중합체의 블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막은 폴리락트산/폴리에틸렌 옥사이드(PLA-PEO) 공중합체 및 폴리락트산/폴리카프로락톤(PLA-PCL)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락트산/폴리에틸렌 옥사이드(PLA-PEO) 공중합체는 폴리락트산/폴리카프로락톤(PLA-PCL) 공중합체에 비해 보다 높은 치료제 방출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시간 경과에 따라 전달되는 치료제의 상대적인 양 및 투여 속도는, 서방출 중합체에 비해 속방출 중합체의 상대적인 양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높은 초기 방출 속도를 위해서는, 속방출 중합체의 비율을 서방출 중합체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 용량의 대부분을 장시간에 걸쳐 방출시키고자 한다면, 중합체의 대부분은 서방출 중합체일 수 있다. 장치에 중합체의 용액 또는 분산액, 활성제 및 용매를 분무함으로써 장치를 피복시킬 수 있다. 용매를 증발시켜, 중합체의 피막 및 활성제를 잔류시킬 수 있다. 활성제를 중합체에 용해시키고/시키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공중합체를 장치 상에서 압출시킬 수 있다.
1일 약 0.01 내지 약 100mg/체중 kg, 바람직하게는 1일 0.5 내지 약 75mg/체중 kg,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일 약 1 내지 50mg/체중 kg의 활성 성분 화합물의 용량 수준이 세균성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단일요법에서 유용하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1일 약 1 내지 5회 또는 대안으로 연속 주입으로서 투여될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박동성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투여는 만성 또는 급성 요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단일 용량형을 제조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배합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되는 숙주 및 특정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전형적인 제제는 약 5% 내지 약 95%의 활성 화합물(w/w)을 함유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제는 약 20% 내지 약 80%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하나 이상의 추가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병용물을 포함하는 경우, 당해 화합물과 추가의 제제 둘 다는 단일요법 용법으로 통상적으로 투여되는 용량의 약 10% 내지 80%의 용량 수준으로 존재해야 한다.
환자의 상태가 개량될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 조성물 또는 병용물의 유지 용량이 필요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이어서, 용량이나 투여 빈도 또는 둘 다는, 증상의 함수로서, 증상이 목적하는 수준으로 완화되었을 경우에 개량된 상태가 유지되어 치료를 중단해야 되는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환자는 재발 또는 질환 증상에 대해 장기간에 걸친 간헐적인 치료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당해 숙련가들이 인지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것보다 낮거나 높은 용량이 요구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용량 및 치료 용법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성별, 식이, 투여 시간, 배설 속도, 약물 병용, 질환의 중증도 및 경과, 질환에 대한 환자의 소인 및 담당의의 판단을 포함하는 각종 요인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환자에게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병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세균성 감염 또는 질환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환자"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자이라제 B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효소에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상업용 시약으로서 유용하다. 상업용 시약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는 세균성 자이라제 B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또는 이들의 동족체에 대한 생화학적 또는 세포 검정에서 자이라제 B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활성을 차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유도체화되어 친화력 크로마토그래피 분야를 위한 테터드 기질(tethered substrate)로서 안정한 수지에 결합될 수 있다. 시판 자이라제 B 및/또는 토포이소머라제 IV 억제제를 특징으로 하는 이러한 및 기타의 용도는 당업계의 통상의 숙련가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 다음의 반응식 및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및 약어는 하기 정의를 갖는다:
Ac: 아세틸
Bu: 부틸
Et: 에틸
Ph: 페닐`
Me: 메틸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DCM: 디클로로메탄
CH2Cl2: 디클로로메탄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CH3CN: 아세토니트릴
EtOH: 에탄올
Et20: 디에틸 에테르
MeOH:메탄올
MTBE: 메틸 3급-부틸 에테르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A: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SO: 디메틸 설폭사이드
HOAc: 아세트산
TEA: 트리에틸아민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Et3N: 트리에틸아민
DIP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K2C03: 탄산칼륨
Na2C03: 탄산나트륨
Na2S203: 티오황산나트륨
Cs2C03: 탄산세슘
NaHCO3: 중탄산나트륨
NaOH: 수산화나트륨
Na2S04: 황산나트륨
MgS04: 황산마그네슘
K3PO4: 인산칼륨
NH4Cl: 염화암모늄
LC/MS(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a):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스펙트럼
GCMS(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a):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스펙트럼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GC: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LC: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IC(ion chromatography):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IM(intramuscular): 근육내
CFU/cfu(colony forming units): 콜로니 형성 단위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최소 억제 농도
Hr 또는 h: 시간
atm: 기압
rt 또는 RT: 실온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HCl: 염산
H20: 물
EtNCO: 에틸 이소시아네이트
Pd/C: 탄소상 팔라듐
NaOAc: 아세트산나트륨
H2S04: 황산
N2: 질소 가스
H2: 수소 가스
n-BuLi: n-부틸 리튬
DI(de-ionized): 탈이온화
Pd(OAc)2: 아세트산팔라듐(II)
PPh3: 트리페닐포스핀
i-PrOH: 이소프로필 알콜
NBS: N-브로모석신이미드
Pd[(Ph3)P]4: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PTFE: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
rpm: 분당 회전수
SM: 출발 물질
Equiv.: 당량
1H-NMR: 프로톤 핵자기 공명
화합물의 합성
실시예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
(R)-1-에틸-3-(6- 플루오로 -5-(2-(2- 하이드록시프로판 -2-일)피리미딘-5-일)-7-(테 트라하이드로푸 란-2-일)- 1H- 벤조[ d ]이미다졸 -2-일) 우레아의 합성
반응식 3은 6-플루오로 벤조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반응식 3
실시예 1.a
2-(2-플루오로-6-니트로-페닐)-2,3-디하이드로푸란(15A) 및 2-(2-플루오로-6-니트로-페닐)-2,5-디하이드로푸란(15B)의 제조
Figure pct00008
2-브로모-1-플루오로-3-니트로-벤젠(14)(200.3 g, 98%, 892.3 mmol, Bosche F6657), 1,4-디옥산(981.5 ㎖, Sigma-Aldrich 360481) 및 2,3-디하이드로푸란(2)(341.1 ㎖, 99%, 4.462 mol, Aldrich 200018)을 반응 플라스크에 충전시킨 후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55.4 ㎖, 892.3 mmol, Sigma-Aldrich 550043) 및 브로모(트리-3급-부틸포스핀)팔라듐(I) 이량체(6.936 g, 8.923 mmol, Johnson Matthey C4099)를 충전시켰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 하에 교반시켰다(HPLC는 출발 물질인 아릴브로마이드가 98% 소비되었음을 보여 주었음).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EtOAc로 세정하고, 여액을 진공에서 암적갈색 반고체 오일로 농축시켰다. 상기 반고체 오일을 CH2Cl2에 용해시키고, CH2Cl2로 실리카 플러그를 통해 용출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15A 및 15B의 혼합물을 짙은 호박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291.3 g). 조질의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주 생성물은 2-(2-플루오로-6-니트로-페닐)-2,3-디하이드로푸란(15A)(96%)이었다: LCMS(C18 칼럼을 포름산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5분에 걸쳐 용출시킴) M+1: 210.23(3.13 min);
Figure pct00009
미량 생성물은 2-(2-플루오로-6-니트로-페닐)-2,5-디하이드로푸란(15B)(4%)이었다: GCMS (Agilent HP-5MS 30 m x 250 ㎛ x 0.25 ㎛ 칼럼을 2분 동안 60℃에서부터 1 ㎖/min 유속으로 15분에 걸쳐 300℃까지 가열시킴) M+1: 210(11.95 min).
Figure pct00010
실시예 1.b
3-플루오로-2-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아닐린(16)의 제조
Figure pct00011
5% 탄소 상 팔라듐(37.3 g, 50% 습도, 8.76 mmol, Aldrich 330116)을 질소 하의 파르 병(Parr bottle)에 위치시킨 후, MeOH(70 ㎖, JT-Baker 909333)를 넣었다. MeOH(117 ㎖)에 용해된 2-(2-플루오로-6-니트로-페닐)-2,3-디하이드로푸란 및 2-(2-플루오로-6-니트로-페닐)-2,5-디하이드로푸란(15A 및 15B)의 조질 혼합물(186.6 g, 892.1 mmol)을 파르 병에 첨가한 후, NEt3(124.3 ㎖, 892.1 mmol, Sigma-Aldrich 471283)을 첨가하였다. 상기 병을 파르 세이커에 위치시킨 후 H2로 포화시켰다. 45 psi H2를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출발 물질의 소비가 완결될 때까지 진탕시켰다(HPLC 및 L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함). 반응 혼합물을 질소로 퍼징시키고, Celite™을 통해 여과시키고 EtOAc로 세정하였다. 여액을 회전 증발기 상에서 농축시켜 갈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Et20에 용해시키고 물(2회)로 세척하였다. 에테르 상을 수성 1N HCl(5 x 250 ㎖)로 추출하고, Et20(3회)로 세척하고, 이어서 수성 6N NaOH로 pH 12 내지 14로 염기화시켰다. 염기성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CH2Cl2, 4회)으로 추출하고, 합해진 유기 추출물을 포화 수성 NH4Cl로 세척하고 MgS04에서 건조시킨 후, 실리카 패드를 통해 CH2Cl2 내지 25% EtOAc/헥산으로 용출시켜 여과시켰다. 목적하는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16을 명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21.8 g, 84% GCMS + NMR 순도). GCMS(Agilent HP-5MS 30 m x 250 ㎛ x 0.25 ㎛ 칼럼을 2분 동안 60℃에서부터 1 ㎖/min 유속으로 15분에 걸쳐 300℃까지 가열시킴) M+1: 182.0(11.44 min). LCMS(C18 칼럼을 포름산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5분에 걸쳐 용출시킴) M+1: 182.10(2.61 min).
Figure pct00012
부가적인 수확물은 다음과 같이 수득하였다: 합해진 에테르 상을 포화 수성 NaHC03, 염수로 세척하고, Na2S04에서 건조시키고, 경사분리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오일을 진공 증류(약 15 torr)시켜 101 내지 108℃에서 증류액을 모았다. 2℃에서 EtOH(1 용적) 중의 증류된 오일의 교반 용액에 PrOH 중의 5M HCl(1 eq)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형성된 현탁액을 실온으로 하고, EtOAc(3 용적, 용적/용적)로 희석시킨 후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백색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EtOAc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 생성물의 제2 수확물을 HCl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모액을 슬러리로 농축시키고 EtOAc로 희석시키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한 후, EtOAc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상기 HCl 염을 생성물의 제3 수확물로서 수득하였다. LCMS(C18 칼럼을 포름산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5분에 걸쳐 용출시킴) M+1: 182.10(2.58 min).
Figure pct00013
상기 3개의 수확물로부터의 전체 수율은 76%이었다.
실시예 1.c
4-브로모-3-플루오로-2-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아닐린(17)의 제조.
Figure pct00014
-20℃로 냉각시킨 메틸 3급-부틸 에테르(1.456 ℓ) 및 아세토니트릴(485 ㎖) 중의 3-플루오로-2-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아닐린(16)(131.9 g, 92%, 669.7 mmol)의 교반 용액에 반응 온도를 약 -1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N-브로모석신이미드(120.4 g, 99%, 669.7 mmol, Aldrich B81255)를 3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첨가의 완결 후에, -15 내지 -10℃에서 30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계속 처리된 분취량의 1H NMR로 출발 물질인 아닐린이 96% 소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다른 4.82 g NBS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10℃에서 부가적으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수성 1N Na2S203(670 ㎖)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냉각 배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시킨 후, EtOAc로 희석시켰다. 층들을 분리시켰다. 유기 상을 포화 수성 NaHCO3(2회),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04에서 건조시키고, 경사분리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짙은 호박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헥산으로 희석시키고, 25% EtOAc/헥산 내지 50% EtOAc/헥산으로 짧은 실리카 플러그를 통해 용출시켰다. 목적하는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17을 짙은 호박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82.9 g, 90% 수율; 86% NMR 순도). LCMS(C18 칼럼을 포름산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AcN/물 구배로 5분에 걸쳐 용출시킴) M+1: 260.12(3.20 min).
Figure pct00015
실시예 1.d
N-(4-브로모-3-플루오로-6-니트로-2-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18)의 제조.
Figure pct00016
2℃에서 교반하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565.3 ㎖, 4.067 mol, Sigma-Aldrich 106232)에 짙은 오일로서의 순수한 4-브로모-3-플루오로-2-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아닐린(17)(123.0 g, 86%, 406.7 mmol)을 부가 깔대기를 통해 약 20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였다(반응 온도가 13℃로 상승됨). 반응 혼합물 중에서 나머지 오일을 무수 THF(35 ㎖)를 사용하여 세정하였다. 냉각된 배쓰를 제거하고, 반응을 35℃로 가열시킨 후, 발열 억제의 필요에 따라 얼음-물 배쓰 만을 사용하여 반응 온도를 30 내지 41℃로 유지하면서 NH4NO3(4.88 g x 20 분획, 1.22 mol, Sigma-Aldrich A7455)을 2.5시간에 걸쳐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첨가의 완결 후에, 반응 혼합물을 또 다시 10분 동안 교반시켰다(HPLC로 반응이 99% 완결되었음을 확인함). 분쇄된 얼음(1.23 kg)을 붓고 1시간 동안 교반시켜 여과가능한 고체 침전물을 형성케 하고, 이를 수집하여 물, 약간의 포화 수성 NaHC03로 세척하고 다시 물로 세척하였다(pH 7로). 생성물을 40℃에서 밤새 대류식 오븐에서 건조시키고, 이어서 감압 하에 50℃에서 밤새 오븐 중에서 건조시켜 화합물 18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52.5 g, 90% 수율; 96% HPLC 순도). LCMS(C18 칼럼을 포름산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5분에 걸쳐 용출시킴) M+1: 401.30(3.41 min).
Figure pct00017
실시예 1.e
4-브로모-3-플루오로-6-니트로-2-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아닐린(19)의 제조.
Figure pct00018
반응 플라스크를 N-(4-브로모-3-플루오로-6-니트로-2-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페닐)-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18)(242.3 g, 604.1 mmol), 1,4-디옥산(1.212 ℓ) 및 수성 2 M 황산(362.4 ㎖, 724.9 mmol)으로 충전시키고, 5일 동안 환류 하에 교반시켰다(HPLC로 98% 전환을 확인하였음).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EtOAc로 희석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으로 중화시키고 층들을 분리시키고, 수성 상을 EtOAc(2회)로 재추출시켰다. 합해진 유기 상을 염수(2회)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킨 후, 진공에서 농축시켜 화합물 19를 녹색을 띤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81.7 g, 94% 수율; 95% HPLC 순도). 생성물을 추가의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LCMS(C18 칼럼을 포름산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5분에 걸쳐 용출시킴) M+1: 305.20(3.63 min).
Figure pct00019
실시예 1.f
2-[5-(4-아미노-2-플루오로-5-니트로-3-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페닐)피리미딘-2-일]프로판-2-올(20)의 제조.
Figure pct00020
1,4-디옥산(4.20 ℓ, Sigma-Aldrich 360481) 중의 4-브로모-3-플루오로-6-니트로-2-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아닐린(19)(525.0 g, 1.721 mol, Bridge Organics Co.)의 교반 용액에 1.2 M의 NaHC03 수성 용액(4.302 ℓ, 5.163 mol)을 첨가하였다. 질소 스트림을 교반하는 혼합물을 통해 2시간 동안 발포시킨 후, 2-[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피리미딘-2-일]프로판-2-올(7)(545.4 g, 2.065 mol, Bridge Organics Co.)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디클로로팔라듐 디클로로메탄 부가생성물(42.16 g, 51.63 mmol, Strem 460450)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 밤새 교반시키고, 냉각시킨 후, EtOAc(8.4 ℓ)로 희석시키고 층들을 분리시켰다. 유기 상을 포화 수성 NH4Cl로 세척하고, 이어서 염수로 세척하였다. 수성 상을 EtOAc(4 ℓ)로 재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합해진 유기 상을 MgSO4에서 건조시키고, 짧은 Florisil® 플러그를 통해 여과시키고, EtOAc로 추출한 후, 여액을 회전 증발기 상에서 농축시켜 암갈색의 젖은 고체를 수득하였다. 이를 CH2Cl2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 패드에 충전시키고, 헥산, 이어서 25% EtOAc/헥산 및 이어서 50% EtOAc/헥산으로 용출시켰다. 목적하는 여액을 회전 증발기 상에서 짙은 현탁액으로 농축시키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한 후, MTBE로 연화시키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20을 밝은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5.8% 수율, 90 내지 97% HPLC 순도). 여액을 농축시키고, 상기 정제를 반복하여 화합물 20의 제2 수확물을 밝은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9.7% 수율). 여액을 다시 농축시켜 암갈색 오일을 수득한 후, 이를 톨루엔 및 최소량의 CH2Cl2이 있는 실리카 칼럼에 충전시켰다. 이를 EtOAc/헥산(0% 내지 50%)으로 용출시켰다. 목적하는 분액을 슬러리로 농축시키고 MTBE/헥산으로 희석시켰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최소량의 MTBE로 세척하여 화합물 20의 제3 수확물을 밝은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으며(4.9% 수율), 세 개의 수확물들로부터의 전체 수율은 80%이었다. LCMS(C18 칼럼을 포름산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5분에 걸쳐 용출시킴) M+1: 363.48(2.95 min).
Figure pct00021
실시예 1.g
2-[5-(4,5-디아미노-2-플루오로-3-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페닐)피리미딘-2-일]프로판-2-올(21)의 제조.
Figure pct00022
5% 탄소 상 팔라듐(14.21 g, 50% 습도, 3.339 mmol, Aldrich 330116)을 질소 하의 파르 병에 위치시킨 후, MeOH(242 ㎖, JT-Baker 909333) 및 NEt3(46.54 ㎖, 333.9 mmol, Sigma-Aldrich 471283)을 넣었다. 2-[5-(4-아미노-2-플루오로-5-니트로-3-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페닐)피리미딘-2-일]프로판-2-올(20)(121.0 g, 333.9 mmol)을 고온의 THF(360 ㎖)에 용해시킨 후, 냉각시키고,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잔류량의 화합물 20을 또다른 분획의 THF(124 ㎖)로 세정하였다. 상기 병을 파르 세이커에 위치시킨 후 H2로 포화시켰다. 45 psi H2를 첨가한 후, 상기 병을 화합물 20의 소비가 완결될 때까지 진탕시켰다(HPLC 및 LCMS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함). 반응 혼합물을 질소로 퍼징시키고, Celite™을 통해 여과시키고 EtOAc로 세정하였다. 이를 종이(글래스 마이크로파이버)를 통해 재여과시키고,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반응을 동일 스케일로 3회 이상 반복하고, 배치들을 합하여 화합물 21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47 g, 99% 수율; 93% HPLC 순도). LCMS(C18 칼럼을 포름산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5분에 걸쳐 용출시킴) M+1: 333.46(1.79 min).
Figure pct00023
실시예 1.h
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22)의 제조
Figure pct00024
2-[5-(4,5-디아미노-2-플루오로-3-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페닐)피리미딘-2-일]프로판-2-올(21)(111.3 g, 334.9 mmol) 및 1,4-디옥산(556.5 ㎖, Sigma-Aldrich 360481)의 교반 현탁액에 1-에틸-3-(N-(에틸카바모일)-C-메틸설파닐-카본이미도일)우레아(10)(93.36 g, 401.9 mmol, CB Research and Development)를 첨가한 후, NaOAc 트리하이드레이트(158.1 g)를 1N 수성 H2SO4(1.100 ℓ)에 용해시켜 제조된 pH 3.5 완충제(1.113 ℓ)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 밤새 교반시키고(HPLC로 전환의 완결을 확인함),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pH가 8 내지 9인 수성 포화된 NaHC03(2.23 ℓ)의 교반 용액 중으로 분획으로 부었다(거품 형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시키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중성 pH로 물을 사용하여 많이 세척하고, 이어서 조금 더 EtOH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 화합물 22을 회백색을 띠는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35.2 g, 94% 수율; 99% HPLC 순도). LCMS(C18 칼럼을 포름산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5분에 걸쳐 용출시킴) M+1: 429.58(2.03 min).
Figure pct00025
실시예 1.i
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2R)-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23)의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Figure pct00026
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22)(133.60 g)의 라세미체 샘플을 25℃에서 CH2Cl2/MeOH/TEA(60/40/0.1)로 용출하는 CHIRALPAK® IC® 칼럼(Chiral Technologies) 상에서 분해시켜 목적하는 에난티오머 23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6.8 g, 45% 수율; 99.8% HPLC 순도, 99+% ee). 분석용 키랄 HPLC 유지 시간은 7.7분이었다(CHIRALPAK® IC® 4.6 x 250 mm 칼럼, 1 ㎖/min 유속, 30℃). 상기 고체를 2:1 EtOH/Et20(5 용적)에 현탁시키고, 10분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에 의해 수집한 후, 2:1 EtOH/Et20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60.6 g).
화합물 23의 구조 및 절대 입체화학을 단일 결정 X-선 회절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단일 결정 회절 데이터는 밀봉된 튜브 Cu K-알파원(Cu Kα 방사선, γ = 1.54178 Å) 및 Apex II CCD 검출기가 구비된 Bruker Apex II 회절계에서 얻었다. 0.15 x 0.15 x 0.10 mm 크기의 결정을 선택하고, 광유를 사용하여 깨끗이 한 후, Micro Mount에 설치하고, Bruker APEXII 시스템의 중심에 놓았다. 역격자 공간으로 떨어진 40개의 프레임의 3개의 배치들을 수득하여 배향 매트릭스 및 초기 셀 파라미터를 얻었다. 전체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수집을 완결한 후 최종 셀 파리미터를 얻어 정제(refine)하였다. 체계 부재 및 세기값 통계에 기초하여 구조를 만들어 중심에서 벗어난 P21 공간 그룹을 정제하였다.
각 프레임에 대한 30초 노출을 사용하는 0.5°스텝을 사용하여 0.85Å의 해상도에서 역격자 공간의 회절 데이터 세트를 얻었다. 데이터를 100 (2) K에서 수집하였다. APEXII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세기값의 통합 및 셀 파라미터의 정제를 실시하였다. 데이터 수집 후에 결정을 관찰하여 분해의 신호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 중에 두 개의 대칭적 독립 분자가 있으며, 둘 다의 대칭적 독립 분자는 R 이성체들이다.
APEXII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하고 환산시켰다. SHELXS97(Sheldrick, 1990)를 사용하여 구조를 만들고; SHELXL97(Sheldrick, 199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프로그램(들) 및 구조를 정제하였다. 결정은 P21 공간 그룹을 갖는 단사정계 셀을 보여 준다. 격자 파라미터는 a = 9.9016(2)Å, b = 10.9184(2)Å, c = 19.2975(4)Å, β= 102.826(1)°이다. 용적 = 2034.19(7) Å3.
실시예 1.j
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2R)-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메탄설폰산 염(24)의 제조.
Figure pct00027
디클로로메탄(60 ㎖, J.T. Baker 931533) 및 무수 에탄올(15 ㎖, Pharmco-AAPER 111000200) 중의 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2R)-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23)(15.05 g, 35.13 mmol)의 교반 현탁액에 메탄설폰산(2.392 ㎖, 36.89 mmol, Sigma-Aldrich 471356)을 첨가하였다. 맑은 용액이 관찰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헵탄(300 ㎖)을 약 1시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고, 고체 침전물을 여과(Whatman GF/F 글래스 마이크로파이버 상부에 Whatman qualitative # 3 종이를 사용)에 의해 수집하였다. 감압 하에 진공 오븐(황산칼슘 및 수산화칼륨으로 건조됨)에서 밤새 40℃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화합물 24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3.46 g, 99+% HPLC 순도, 99+% ee). 분석용 키랄 HPLC로 30℃에서 CH2Cl2/MeOH/TEA(60/40/0.1)를 사용하여 CHIRALPAK® IC® 4.6 x 250 mm 칼럼 상에서 1 ㎖/min 유속으로 용출하여 보유 시간이 8.6분인 하나의 에난티오머를 확인하였다. 화합물 24의 백색 고체 생성물의 제2 수확물(4.36 g, 98% HPLC 순도, 99+% ee)을 여액으로부터 얻었다. LCMS(C18 칼럼을 포름산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5분에 걸쳐 용출시킴) M+1: 429.58(2.03 min).
Figure pct00028
실시예 1.k
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제조
1,4-디옥산(36.1 ㎖, Sigma-Aldrich 360481) 중의 2-[5-(4,5-디아미노-2-플루오로-3-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페닐)피리미딘-2-일]프로판-2-올(7.220 g, 21.72 mmol) 및 1-에틸-3-(N-(에틸카바모일)-C-메틸설파닐-카본이미도일)우레아(6.054 g, 26.06 mmol, CB Research and Development)의 용액에 NaOAc 트리하이드레이트(5.32 g)를 1N 수성 H2SO4(37 ㎖)에 용해시켜 제조된 pH 3.5 완충제(72.2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 밤새 교반시키고(HPLC로 전환의 완결을 확인함),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pH가 8 내지 9인 수성 포화된 NaHC03(144 ㎖)의 교반 용액 중으로 분획으로 부었다(거품 형성). 이를 20분 동안 교반시키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중성 pH로 물을 사용하여 많이 세척하고, 이어서 조금 더 EtOH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 베이지색 고체를 수득하였다(7.90 g, 99% HPLC 순도). LCMS(C18 칼럼을 포름산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5분에 걸쳐 용출시킴) M+1: 429.45(2.03 min). HPLC 보유 시간은 3.89분이었다(YMC ODS-AQ 150 x 3.0 mm 칼럼을 1 ㎖/min 유속으로 0.1% TFA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8분에 걸쳐 용출시킴).
고체 형태 I의 제조
실시예 1.l
(R)-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133.60 g)의 라세미체 샘플을 25℃에서 DCM/MeOH/TEA(60/40/0.1)로 용출하는 CHIRALPAK® IC® 칼럼(Chiral Technologies) 상에서 분해시켜 목적하는 에난티오머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6.8 g, 99.8% HPLC 순도, 99+% ee). 분석용 키랄 HPLC 유지 시간은 7.7분이었다(CHIRALPAK® IC® 4.6 x 250 mm 칼럼, 1 ㎖/min 유속, 30℃). 고체를 2:1 EtOH/Et20(5 용적)에 현탁시키고, 10분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에 의해 수집한 후, 2:1 EtOH/Et20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60.6 g).
Figure pct00029
고체 형태 II의 제조
실시예 1.m
100 mg의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에 1 ㎖의 THF를 첨가하였다. 화학량론적 양의 HCl를 12M 수성 용액으로 첨가하였다. 이어서 4 ㎖의 MTBE를 첨가하고, 현탁액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밤새 평형화시켰다. 이어서, 이를 여과시키고, 백새 고체를 진공에서 수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고체 형태 III의 제조
실시예 1.n
100 mg의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무게를 재고 이를 200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1:1(v:v)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100% 분무 비율에서 콘덴서가 부착된 Buchi B-90 나노스프레이 건조기(펌프 프로그램 2)에서 분무 건조시켰다. 101℃의 주입 온도를 사용하였으며, 질소 유속은 10 ℓ/min이며, 질소 최대 압력은 10 psi이며, 최대 C02 압력은 15 psi이었다. 55 mg의 백색 분말이 회수되었다.
콘덴서가 부착된 Buchi B-90 나노스프레이 건조기에서 분무 건조를 실시하였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용액을 CH2Cl2:메탄올(1:1)을 포함하는 용매 시스템에서 제조하고 하기 열거된 파리미터에 따라 분무시켰다.
고체 형태 IV의 제조
실시예 1.o
(R)-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메탄설폰산 염의 제조
디클로로메탄(22.8 ㎖, Sigma-Aldrich 270997) 및 무수 에탄올(2.5 ㎖) 중의 (R)-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2.530 g, 5.905 mmol)의 교반 현탁액을 얼음-물 배쓰를 사용하여 냉각시켰다. 메탄설폰산(0.402 ㎖, 6.20 mmol, Sigma-Aldrich 471356)을 첨가하고, 냉각 배쓰를 제거하고, 1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30℃의 회전 증발기에서 짙은 오일로 농축시키고, 이어서 교반하는 Et2O에 천천히 첨가하고, 에테르 중에서 나머지 생성물을 CH2Cl2를 사용하여 세정하였다. 고무성 침전물을 이를 페이스트성 고체로 파쇄될 때까지 교반시키고, 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Et20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건조시켜 회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2.85 g, 99% HPLC 순도, 99+% ee). LCMS(C18 칼럼을 포름산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5분에 걸쳐 용출시킴) M+1: 429.51(2.49 min). HPLC 보유 시간은 3.86분이었다(YMC ODS-AQ 150 x 3.0 mm 칼럼을 1 ㎖/min 유속으로 0.1% TFA 개질제와 함께 10 내지 90% CH3CN/물 구배로 8분에 걸쳐 용출시킴). 분석용 키랄 HPLC로 30℃에서 DCM/MeOH/TEA(60/40/0.1)를 사용하여 CHIRALPAK® IC® 4.6 x 250 mm 칼럼 상에서 1 ㎖/min 유속으로 용출하여 보유 시간이 7.8분인 하나의 에난티오머를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30
실시예 1.p
안정성 데이터
6-플루오로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은 25℃/60%RH에서1주일의 시점에서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불안정하며, 40℃/주변에서 저장할 때 2주일의 시점에서 화학적으로 불안정함이 밝혀졌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 유리 염기는 모든 저장 조건(25℃/60%RH, 40℃/주변 및 40℃/75%RH)에서 1개월의 시점에서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안정하였다. XRPD 패턴 상에서 작은 변화가 관찰되었지만, 모두 제로 시간(t=0)에서와 같은 동일 형태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은 모든 저장 조건(25℃/60%RH, 40℃/주변 및 40℃/75%RH)에서 1개월의 시점에서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안정하였다.
실시예 2
효소학 연구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소 억제 활성은 아래에 기재된 실험으로 측정할 수 있다:
DNA 자이라제 ATPase 검정
S. 아우레우스 DNA 자이라제의 ATP 가수분해 활성은 피루베이트 키나제/락테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를 통한 ADP 생성을 NADH 산화와 결합시킴으로써 측정한다. 당해 방법은 앞서 기재되어 있다[참조: Tamura and Gellert, 1990, J. Biol. Chem., 265, 21342].
ATPase 검정은 30℃에서 100mM TRIS pH 7.6, 1.5mM MgCl2, 150mM KCl을 함유하는 완충된 용액 중에서 수행한다. 결합 시스템은 2.5mM 포스포엔올 피루베이트, 200μM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H), 1mM DTT, 30㎍/mL 피루베이트 키나제 및 10㎍/mL 락테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의 최종 농도를 함유한다. 효소(90nM 최종 농도) 및 화합물의 DMSO 용액(3% 최종 농도)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30℃에서 10분 동안 항온배양한다. ATP를 0.9mM의 최종 농도로 가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340nm에서 10분에 걸쳐 NADH 소멸 속도를 모니터링한다. Ki 및 IC50 값은 속도 대 농도 프로필로부터 측정한다.
Figure pct00031
DNA Topo IV ATPase 검정
S. 아우레우스 TopoIV 효소에 의한 ATP에서 ADP로의 전환은 NADH에서 NAD+로의 전환과 결합되며, 반응의 진행은 340nm에서의 흡광도 변화에 의해 측정한다. TopoIV(64nM)를 30℃에서 10분 동안 완충액 중의 선택된 화합물(최종 3% DMSO)와 함께 항온배양한다. 완충액은 100mM Tris 7.5, 1.5mM MgCl2, 200mM K·글루타메이트, 2.5mM 포스포엔올 피루베이트, 0.2mM NADH, 1mM DTT, 5㎍/mL 선형화 DNA, 50㎍/mL BSA, 30㎍/mL 피루베이트 키나제 및 10㎍/mL 락테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LDH)로 이루어진다. 반응은 ATP로 개시하고, 속도는 30℃에서 Molecular Devices SpectraMAX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20분 동안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억제 상수 Ki 및 IC50은 강한 결합 억제제에 대한 모리슨(Morrison) 방정식에 맞춰진 속도 대 선택된 화합물의 농도의 도표로부터 측정한다.
Figure pct00032
실시예 3
액상 매질에서의 감수성 시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액상 매질에서의 감수성 시험에 의해 항미생물성 활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이러한 검정은 이러한 수행을 관장하는 가장 최근의 CLSI 문건의 지침서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M07-A8 Methods for Diluti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for Bacteria that Grow Aerobically; Approved Standard-Fifth Edition (2000)". 문헌[참조: "Antibiotics in Laboratory Medicine" (Edited by V. Lorian, Publishers. Williams and Wilkins, 1996)]과 같은 기타 공보는 실험실 항생제 시험에 있어 필수적인 수행 기술을 제공한다. 사용되는 구체적인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프로토콜 #1: 미량희석 브로쓰(broth) 방법을 사용한 화합물의 자이라제 MIC 측정
재료:
환저 96-웰 미세역가 플레이트 (Costar 3788)
Mueller Hinton II 한천 플레이트 (MHII; BBL 프리믹스)
Mueller Hinton II 액체 브로쓰 (MHII; BBL 프리믹스)
BBL Prompt 접종 시스템 (Fisher B26306)
시험 판독 거울 (Fisher)
신선하게 제조된 단일 콜로니에 스트리크된(streaked) 세균을 갖는 한천 플레이트
멸균 DMSO
사람 혈청 (U.S. Biologicals S1010-51)
레이크화된 말 혈액 (Quad Five 270-100)
레자주린 0.01%
스프래그 도울리 랫트 혈청 (U.S. Biologicals 1011-90B 또는 Valley BioMedical AS3061SD)
혼주 마우스 혈청 (Valley BioMedical AS3054)
균주 (배지, 브로쓰 및 한천):
1.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ATCC #29213
a. MHII
b. MHII + 50% 사람 혈청
c. MHII + 50% 랫트 혈청
d. MHII + 50% 마우스 혈청
2.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ATCC #29213 GyrB T173I (MHII)
3.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MHII)
4.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MHII)
5.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ATCC #29212 (MHII + 3% 레이크화된 말 혈액)
6.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ATCC #49624 (MHII + 3% 레이크화된 말 혈액)
7.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MHII + 3% 레이크화된 말 혈액)
8.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MHII + 3% 레이크화된 말 혈액)
9.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ATCC #10015 (MHII + 3% 레이크화된 말 혈액)
10.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MHII + 3% 레이크화된 말 혈액)
11. β-용혈성 스트렙토코쿠스, 그룹 A, B, C, G)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MHII + 3% 레이크화된 말 혈액)
12. 바실루스 세레우스 ATCC 10987 (MHII)
13. 바실루스 세레우스 ATCC 14579 (MHII)
14.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ATCC 6638 (MHII)
15.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168) ATCC 6051 (MHII)
접종물 제조(S. 아우레우스 + 50% 혈청 이외의 모든 균주에 대해):
1. BBL Prompt 키트를 사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적합한 한천 배지에서 성장된 배양물로부터 5개의 큰 또는 10개의 작은, 웰-분리된 콜로니를 선발하고, 키트에 제공되어 있는 멸균 염수 1mL를 접종하였다.
2. 웰을 약 30초 동안 볼텍싱하여 약 108개 세포/mL의 현탁액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현탁액의 희석액을 플레이팅하여 실제 밀도를 확인할 수 있다.
3. 시험되는 화합물의 각각의 플레이트에 대해 0.15mL의 세포를 15mL(약 106개 세포/mL) 멸균 브로쓰(아래 참조)로 옮겨 현탁액을 1/100으로 희석시킨 다음 혼합되도록 와류(swirl)시켰다. 각각 실시예 1.i 및 1.j(상기함)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 23 또는 24를 포함한, 화합물(> 8개 화합물)의 1개 이상의 플레이트를 시험하는 경우, 용적을 이에 따라 증가시켰다.
a. E. 파에칼리스, E. 파에시움 및 S. 뉴모니아에의 경우: 14.1mL MHII + 0.9mL 레이크화된 말 혈액을 사용하였다.
4. 50㎕의 세포(약 5 x 104개 세포)를 사용하여, 브로쓰에 희석된 50㎕의 약물을 함유하는 각각의 미세적정 웰에 접종하였다(아래 참조).
약물 희석, 접종, MIC 측정:
1. 모든 약물/화합물 스톡은 통상적으로 100% DMSO에서 12.8mg/mL 농도로 제조하였다.
2. DMSO 50㎕에서 약물/화합물 스톡을 200x 목적하는 최종 농도로 되도록 희석시켰다. MIC의 출발 농도가 8㎍/mL 최종 농도인 경우, 스톡 6.25㎕ + DMSO 43.75㎕가 필요하다. 각각 200x 스톡을 새로운 96 웰 미세역가 플레이트의 열(column) 1의 별도의 행(row)에 배치하였다.
3. DMSO 25㎕를 200x 화합물 스톡을 함유하는 미세역가 플레이트의 모든 행의 열 2-12에 가하고, 25㎕를 열 1에서 열 11까지 연속 희석시키고, 각각의 열 뒤에 팁을 변경하였다. 즉, 25㎕ 화합물 + 25㎕ DMSO = 2x 희석. 대조를 위해 시리즈의 말기에 "화합물 없음" DMSO 웰을 남겨 놓았다.
4. 각각의 시험되는 균주(S. 아우레우스 + 50% 사람 혈청 제외)에 대해, Matrix 피펫터를 사용하여 50㎕의 MHII 브로쓰를 갖는 2개의 미세역가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5. 세포 50㎕를 첨가하기 전에 0.5㎕의 각각의 희석물(w/Matrix 자동-피펫터)을 50㎕의 배지/미세역가 웰로 옮겼다. 화합물의 통상의 출발 농도는 배지 + 세포로 1/200 희석 후 8㎍/mL이었다 - 화합물 농도는 미세역가 플레이트의 행을 가로질러 2x 단계로 감소하였다. 모든 MIC는 이중으로 수행하였다.
6. 모든 웰을 50㎕의 희석된 세포 현탁액(상기 참조)으로 100㎕의 최종 용적으로 되도록 접종하였다.
7. 접종물을 가한 후, 각각의 웰을 수동 다중채널 피펫터로 철저하게 혼합하였다; 동일한 미세역가 플레이트에서 약물의 저농도에서 고농도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팁을 사용하였다.
8. 플레이트를 37℃에서 적어도 18시간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9. 플레이트를 18시간 후 시험 판독 거울로 보고, MIC를 성장이 관찰되지 않는 약물의 최종 농도로서 기록하였다(웰에서의 광학 투명도).
S. 아우레우스 + 50% 사람 혈청, S. 아우레우스 + 50% 랫트 혈청 또는 S. 아우레우스 + 50% 마우스 혈청의 제조.
1. 15mL의 MHII + 15mL 사람 혈청 - 총 30mL를 배합함으로써 50% 혈청 배지를 제조하였다. 1개 이상의 화합물 플레이트를 시험하는 경우 30mL 증분으로 용적을 증가시켰다.
2. 상기한 바와 같은 S. 아우레우스 ATCC #29213의 동일한 BBL Prompt 접종물을 사용하고, 상기 제조된 50% 사람 혈청 배지 30mL에 세포 0.15mL를 옮겨 1/200로 희석시키고(약 5x105개 세포/mL), 혼합되도록 와류시켰다.
3. 목적하는 갯수의 미세역가 플레이트의 모든 시험 웰을 50% 혈청 배지 중의 세포 100㎕로 채웠다.
4. 각각의 화합물 희석액(w/Matrix 자동-피펫터) 0.5㎕를 세포/배지 100㎕로 옮겼다. 화합물의 통상의 출발 농도는 배지 + 세포로 1/200 희석 후 8㎍/mL이었다 - 화합물 농도는 미세역가 플레이트의 행을 가로질러 2x 단계로 감소하였다. 모든 MIC는 이중으로 수행하였다.
5. 각각의 웰을 수동 다중채널 피펫터로 철저하게 혼합하였다; 동일한 미세역가 플레이트에서 약물의 저농도에서 고농도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팁을 사용하였다.
6. 플레이트를 37℃에서 적어도 18시간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항온배양한 후, 0.01% 레자주린 25㎕를 각각의 웰에 가하고, 37℃에서 추가로 적어도 1시간 동안 또는 레자주린 색이 변할 때까지 계속해서 항온배양하였다.
7. 플레이트를 시험 판독 거울로 보고, MIC를 기록하였다. 레자주린을 사용하는 경우, 성장이 없는 웰에서는 염료의 색이 짙은 청색에서 밝은 분홍색으로 변하였다. 염료가 분홍색으로 되돌아가는 약물의 최저 농도가 MIC이었다.
프로토콜 2: 미량희석 브로쓰 방법을 사용한 그램 음성에 대한 화합물의 자이라제 MIC 측정
재료:
환저 96-웰 미세역가 플레이트 (Costar 3788)
Mueller Hinton II 한천 플레이트 (MHII; BBL 프리믹스)
Mueller Hinton II 액체 브로쓰 (MHII; BBL 프리믹스)
BBL Prompt 접종 시스템 (Fisher b26306)
시험 판독 거울 (Fisher)
신선하게 제조된 단일 콜로니에 스트리크된 세균을 갖는 한천 플레이트
멸균 DMSO
균주 (모두에 대해 MHII 배지; 브로쓰 및 한천):
1. 에세리키아 콜리 ATCC # 25922
2. 에세리키아 콜리,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
3. 에세리키아 콜리 AG100 WT
4. 에세리키아 콜리 AG100 tolC
5. 아시네토박터 바우만니 ATCC # BAA-1710
6. 아시네토박터 바우만니 ATCC # 19606
7. 아시네토박터 바우만니,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
8.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 ATCC # BAA-1705
9.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 ATCC # 700603
10.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
11.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ATCC# 25238
12.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ATCC# 49143
13. 모락셀라 카타랄리스,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
14.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ATCC 49247
15.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Rd1 KW20) ATCC 51907
16.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Rd0894 (AcrA-)
17.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
18. 수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PAO1
19. 수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
20.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
21. 엔테로박터 클로아케, JMI 수집 균주, 표 9 참조
22.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 ATCC BAA-84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 ATCC13637
접종물 제조:
1. BBL Prompt 키트를 사용하여, 한천 배지에서 성장된 배양물로부터 5개의 큰 또는 10개의 작은, 웰-분리된 콜로니를 선발하고, 키트에 들어있는 멸균 염수 1mL를 접종하였다.
2. 웰을 약 30초 동안 볼텍싱하여 약 108개 세포/mL의 현탁액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현탁액의 희석액을 플레이팅하여 실제 밀도를 확인할 수 있다.
3. 시험되는 화합물의 각각의 플레이트에 대해 0.15mL의 세포를 15mL(약 106개 세포/mL) 멸균 브로쓰(아래 참조)로 옮겨 현탁액을 1/100으로 희석시킨 다음 혼합되도록 와류시켰다. 화합물 23 또는 24를 포함한, 화합물(> 8개 화합물)의 1개 이상의 플레이트를 시험하고자 하는 경우, 용적을 이에 따라 증가시켰다.
4. 50㎕의 세포(약 5 x 104개 세포)를 사용하여, 브로쓰에 희석된 50㎕의 약물을 함유하는 각각의 미세적정 웰에 접종하였다(아래 참조).
약물 희석, 접종, MIC 측정:
1. 모든 약물/화합물 스톡은 통상적으로 100% DMSO에서 12.8mg/mL 농도로 제조하였다.
2. DMSO 50㎕에서 약물/화합물 스톡을 200x 목적하는 최종 농도로 되도록 희석시켰다. MIC의 출발 농도가 8㎍/mL 최종 농도인 경우, 스톡 6.25㎕ + DMSO 43.75㎕가 필요하다. 각각 200x 스톡을 새로운 96 웰 미세역가 플레이트의 열 1의 별도의 행에 배치하였다.
3. DMSO 25㎕를 200x 화합물 스톡을 함유하는 미세역가 플레이트의 모든 행의 열 2-12에 가하고, 25㎕를 열 1에서 열 11까지 연속 희석시키고, 각각의 열 뒤에 팁을 변경하였다. 즉, 25㎕ 화합물 + 25㎕ DMSO = 2x 희석. 대조를 위해 시리즈의 말기에 "화합물 없음" DMSO 웰을 남겨 놓았다.
4. 각각의 시험되는 균주에 대해, Matrix 피펫터를 사용하여 50㎕의 MHII 브로쓰를 갖는 2개의 미세역가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5. 세포 50㎕를 첨가하기 전에 0.5㎕의 각각의 희석물(w/Matrix 자동-피펫터)을 50㎕의 배지/미세역가 웰로 옮겼다. 화합물의 통상의 출발 농도는 배지 + 세포로 1/200 희석 후 8㎍/mL이었다 - 화합물 농도는 미세역가 플레이트의 행을 가로질러 2x 단계로 감소하였다. 모든 MIC는 이중으로 수행하였다.
6. 모든 웰을 50㎕의 희석된 세포 현탁액(상기 참조)으로 100㎕의 최종 용적으로 되도록 접종하였다.
7. 접종물을 가한 후, 각각의 웰을 수동 다중채널 피펫터로 철저하게 혼합하였다; 동일한 미세역가 플레이트에서 약물의 저농도에서 고농도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팁을 사용하였다.
8. 플레이트를 37℃에서 적어도 18시간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9. 플레이트를 18시간 후 시험 판독 거울로 보고, MIC를 성장이 관찰되지 않는 약물의 최종 농도로서 기록하였다(웰에서의 광학 투명도).
프로토콜 #3: 한천 희석 방법을 사용한 화합물의 자이라제 MIC 측정
재료:
페트리 플레이트 60 x 15mm (Thermo Scientific Cat. # 12567100)
원심분리 튜브, 15mL (Costar)
BBL Prompt 접종 시스템 (Fisher b26306)
신선하게 제조된 단일 콜로니에 스트리크된 세균을 갖는 한천 플레이트
멸균 DMSO
GasPakTM 항온배양 용기 (BD Cat. #260672)
GasPak TM EZ 혐기성 생물 용기 시스템 샤쉐 (BD Cat. #260678)
GasPak TM EZ C02 용기 시스템 샤쉐 (BD Cat. #260679)
GasPak TM EZ Campy 용기 시스템 샤쉐 (BD Cat. #260680)
균주:
1.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 ATCC BAA-1382;
2.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 CMI 수집 균주, 표 8 참조
3. 클로스트리디움 페르프링겐스, CMI 수집 균주, 표 8 참조
4. 박테로이드 프라길리스 및 박테로이드 종, CMI 수집 균주, 표 8 참조
5. 푸소박테리움 종, CMI 수집 균주, 표 8 참조
6. 펩토스트렙토코쿠스 종, CMI 수집 균주, 표 8 참조
7. 프레보텔라 종, CMI 수집 균주, 표 8 참조
8. N. 고노로에아에 ATCC 35541
9. N. 고노로에아에 ATCC 49226
10. 네이세리아 고노로에아에, JMI 수집 균주, 표 8 참조
11. 네이세리아 메닝기티디스, JMI 수집 균주, 표 8 참조
배지 제조 및 성장 조건:
각각의 미생물 종에 대해 권장되는 성장 배지는, 문헌[참조: "M07-A8 Methods for Diluti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for Bacteria that Grow Aerobically; Approved Standard--Eighth Edition (2009)"]에 따라 배지를 제조하는 N. 고노로에아에 및 N. 메닝기티디스를 제외하고는, CLSI 공보[참조: 'M11-A7 Metho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of Anaerobic Bacteria; Approved Standard - Seventh Edition (2007)']에 따라 제조하였다.
플레이트 혼주:
1.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시험 화합물의 100x 약물 스톡을 제조하였다. 15mL 원심분리 튜브를 사용하고, 각각의 약물 스톡 100uL를 10mL의 용융된 한천(수욕에서 약 55℃로 냉각시킴)에 가하였다. 튜브를 2-3x 역전시켜 혼합한 다음 개별적으로 표지된 60X15mm 페트리 디쉬에 부었다.
2. 일반적인 시험 농도는 다음과 같다: 0.002ug/mL - 16ug/mL(14개 플레이트).
3. 4개의 약물 비함유 플레이트를 부었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2개, 호기성 대조군으로서 2개.
4. 플레이트를 건조시켰다. 당일에 사용하거나, 실온에서 밤새 저장하거나, 4℃에서 3일까지 저장하였다.
5. 플레이트를 약물 농도 및 균주 배치에 대해 이에 따라 표지하였다.
혐기성 환경의 유지를 필요로 하는 세포의 성장:
1. 혐기성 세균으로 수행하는 모든 작업은 가능한 한 신속하게 수행하였다; 생물안전 캐비넷(즉, 호기성 환경)에서 수행하는 작업은 혐기성 챔버로 되돌아오기 전에 30분 미만내에 완료하였다.
2. 혐기성 세균의 항온배양은 GasPakTM 챔버를 사용하여 달성하였다. 대형 박스 스타일 챔버(VWR 90003-636)는 2개의 혐기성 샤쉐(VWR 90003-642)를 필요로 하는 반면, 높은 실린더 스타일 챔버(VWR 90003-602)는 단지 1개의 샤쉐를 필요로 하였다.
플레이트 접종(생물안전 캐비넷에서 수행함):
1. 상기한 바와 같이 개별 한천 플레이트에 각각의 균주를 스트리크시켰다. 필요한 시간 및 환경 조건(즉, 혐기성, 미호기성 등)에서 항온배양하였다.
2. 직접 콜로니 현탁법(direct colony suspension method)을 사용하여, 새로 스트리크된 세포의 루프를 약 4mL 0.9% NaCl2에 현탁시키고 볼텍싱시켰다.
3. 현탁액을 O.D.600 0.05(5x10e7 cfu/mL)로 조절하였다. 혼합되도록 볼텍싱하였다.
4. 약 0.2mL의 조절되고 혼합된 배양액을 96 웰 플레이트로 옮겼다. ≤ 5개 균주를 시험하는 경우, 모든 균주를 단일 행에 함께 정렬시켰다. > 5개 균주를 시험하는 경우, 5개 이상의 균주가 단일 행에 있지 않도록 균주를 플레이트로 옮겼다. 이것은 작은 플레이트에 피팅시키는데 필요하였다.
5. 다중-채널 피펫터를 사용하고, 제조된 96개 웰 플레이트로부터의 각각의 균주 0.002mL를 각각의 MIC 시험 플레이트에 스폿팅하였다. 이것은 약 1x10e5 cfu/스폿을 야기하였다. C. 디피실레을 시험할 때, 균주는 성장하는 경우 무리를 이루지만, 다중-채널 피펫터 스폿 간의 거리는, 무리를 이루는 세포가 검정 결과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멀었다.
a. 2개의 약물 비함유 플레이트를 먼저 접종하는 반면, 다른 2개의 약물 비함유 플레이트는 MIC 시험 플레이트 후에 마지막에 접종하였다. 전자 및 후자는 성장 및 접종 대조군으로서 작용하였다. 필요한 대기 조건하에서 약물-비함유 대조군의 각각의 세트로부터의 하나의 플레이트를 항온배양하고, MIC 플레이트와 하나의 플레이트는 호기성 세균으로의 오염에 대해 시험하기 위해 호기성으로 설정하였다. 호기성 배양물은 엄격한 혐기성 또는 미호기성 균주와 작용시키는 경우 성장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N. 고노로에아에에서는 약간의 성장이 눈에 보였다.
6. 접종물을 건조(필요한 만큼 짧은 시간 동안)시킨 다음 적당한 수의 샤쉐 및 항온배양물을 갖는 GasPak에 거꾸로 뒤집어 배치하였다.
7. 네이세리아 종을 37℃에서 5% CO2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MIC 측정:
정확한 항온배양 시간 후 시험 플레이트를 실험하고, 양성 대조군 플레이트에서의 성장에 비해 시험 플레이트에서의 성장의 출현에 있어서 현저한 감소가 발생하는 농도에서 MIC 종점을 판독하였다.
Figure pct00033
프로토콜 #4. 마이코박테리움 종에 대한 MIC 측정 과정
재료
환저 96-웰 미세역가 플레이트 (Costar 3788) 또는 유사품
필름 플레이트 씰 (PerkinElmer, TopSeal-A #6005250 또는 유사품)
0.2% 글리세롤을 갖는 Middlebrook 7H10 브로쓰
0.2% 글리세롤을 갖는 Middlebrook 7H10 한천
Middlebrook OADC 농축물(Enrichment)
M. 투베르쿨로시스에 대한 접종물 제조:
1. -70℃에서 저장된 동결 제조된 M. 투베르쿨로시스 스톡을 사용하였다. M. 투베르쿨로시스를 7H10 브로쓰 + 10% OADC에서 성장시킨 다음 100 Klett 또는 5 x 107cfu/ml의 농도에서 동결시켰다.
2. 1ml의 동결 스톡을 제거하여 1:20 희석액을 제조하고, 이를 19ml의 7H10 브로쓰 + 10% OADC에 가하였다(최종 농도 2.5 x 106cfu/ml).
3. 이러한 희석액으로부터 2차 1:20 희석물을 제조하고, 1ml를 덜어내어, 이를 19ml의 신선한 브로쓰에 가하였다. 이는 96-웰 플레이트에 첨가되는 최종 접종물이었다.
M. 칸사시, M. 아비움, M. 아브세수스 및 노카르디아( Nocardia ) 종에 대한 접종물 제조:
1. 10 Klett 또는 5 x 107/ml의 농도로 7H10 브로쓰에서 성장시킨 신선한 배양액 또는 배양액의 동결 제조된 스톡을 사용하였다.
2. 1.0ml의 배양물 스톡을 제거하여 1:20 희석액을 제조하고, 이를 19ml의 7H10 브로쓰에 가하였다(최종 농도 2.5 x 106cfu/ml).
3. 이러한 희석액으로부터 1:20 희석물을 제조하고, 1ml를 덜어내어, 이를 19ml의 신선한 브로쓰에 가하였다(최종 현탁액).
플레이트 제조:
1. 플레이트를 표지화하였다.
2. 50㎕의 7H10 브로쓰 + 10% OADC를 다중채널 전자 피펫터를 사용한 MIC 측정에 사용되는 모든 웰에 가하였다.
3. 시험하고자 하는 약물의 스톡 용액(예를 들면, 1mg/ml 농도)을 제조하였다.
4. 7H10 브로쓰 + 10% OADC를 사용하여 동결된 스톡 용액을 해동시키고 희석시켜 시험된 최대 농도의 4x 작업 용액을 수득하였다(예를 들면, 최종 농도 32㎍/ml, 시험된 최고 농도는 8㎍/ml이었다). 희석액은 스톡 용액으로부터 제조하였다. 1㎍/ml의 농도에서 시작하기 위해, 약물을 출발 농도가 1㎍/ml로 되도록 4㎍/ml에서 제조하였다. 25㎕의 1mg/ml 스톡을 덜어내어, 6.2ml의 브로쓰에 가하였다. 약물의 모든 희석은 브로쓰에서 수행하였다.
5. 50㎕의 4x 작업 용액을 지정된 행의 제1 웰에 가하였다. 모든 화합물을 계속해서 시험하였다. 다중채널 전자 피펫터를 사용하여, 11번째 웰을 거쳐 4X 및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혼합하였다. 남은 50㎕는 버렸다. 12번째 웰을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6. 플레이트를 37℃에서 M. 투베르쿨로시스는 약 18일; M. 아비움 및 M. 칸사시는 약 7일; 노카르디아 및 M. 아브세수스는 약 4일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필름으로 밀봉하였다.
7. 육안으로 판독하고, 결과를 기록하였다. MIC는 성장이 관찰되지 않는 약물의 최저 농도로서 기록하였다(웰에서의 광학 투명도).
프로토콜 #5.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 혈청 전위(Shift) MIC 검정을 위한 프로토콜
재료 및 시약:
Costar #3904 블랙-측면, 평저 96-웰 미세역가 플레이트
0.2% 글리세롤을 갖는 Middlebrook 7H9 브로쓰 (BD271310)
Middlebrook OADC 농축물
태아 소 혈청
카탈라제(Sigma C1345)
덱스트로스
NaCl2
BBL Prompt 접종 시스템 (Fisher b26306)
단일 콜로니에 스트리크된 세균을 갖는 한천 플레이트(0.2% 글리세롤 및 OADC 농축물을 갖는 Middlebrook 7H11)
멸균 DMSO
배지 제조:
1. 혈청 전위된 MIC를 위해서는, 모두 7H9 + 0.2% 글리세롤의 베이스를 갖는 3개의 상이한 배지가 필요하였다. MIC 이전에 모든 배지 및 보충물을 멸균시키는 것이 중요하였다.
2. 모든 배지를 아래에 제조하고, 다음 부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접종하였다. 각각의 배지를 사용하여 Mtb에 대해 모든 화합물들을 시험하였다.
a. 7H9 + 0.2% 글리세롤 + 10% OADC ("표준" MIC 배지).
b. 7H9 + 0.2% 글리세롤 + 2g/L 덱스트로스 + 0.85g/L NaCl + 0.003g/L 카탈라제 (0% FBS).
c. 등용적의 태아 소 혈청(50% FBS)과 배합된, 2x 7H9 + 0.2% 글리세롤 + 2g/L 덱스트로스 + 0.85g/L NaCl + 0.003g/L 카탈라제.
접종물 제조:
1. BBL Prompt를 사용하여, 5-10개의 웰-분리된 콜로니를 선발하고, 키트에 들어있는 1ml 멸균 염수를 접종하였다. 배양물에서의 이러한 유기체의 느린 성장으로 인해, 전형적으로 플레이트는 2 내지 3주령이었다.
2. 웰을 볼텍싱한 다음 수욕에서 30초 동안 초음파처리하여, 약 108개 세포/ml의 현탁액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현탁액의 희석액을 플레이팅하여 실제 밀도를 확인할 수 있다.
3. BBL Prompt 현탁액을 1/200로 희석시킴으로써(예를 들면: 0.2ml의 세포를 40ml의 배지에 옮김) 각각 3개의 배지 제형으로 접종물을 제조하여 약 106개 세포/ml의 출발 세포 밀도를 수득하였다.
4. 100㎕ 세포(약 5 x 104개 세포)를 사용하여, DMSO 중의 1㎕의 약물을 함유하는 각각의 미세역가 웰에 접종하였다(아래 참조).
약물 희석, 접종, MIC 측정:
1. 대조 약물 스톡 이소니아지드 및 노보바이오신은 100% DMSO에서 10mM로 제조하는 반면 시프로플록사신 및 리팜핀은 각각 50% DMSO 및 100% DMSO에서 1mM로 제조하였다. 희석액을 제조하였다-스톡 용액 100㎕를 96-웰 플레이트의 제1 열에 분배하였다. 열 1로부터 50㎕를 열 2에서 DMSO 50㎕로 옮겨 각각의 화합물에 대해 행을 가로질러 11-단계, 2배 연속 희석물을 제조하였다. 혼합하고 각 열에서 팁을 변화시키면서 열 2에서 열 11을 거쳐 50㎕를 계속해서 옮겼다. 대조군으로서 단지 DMSO를 갖는 열 12를 남겨뒀다.
2. 세포 100㎕를 가하기 전에 텅빈 미세역가 웰에 각각의 희석액 1㎕를 옮겼다. 이소니아지드 및 노보바이오신의 출발 농도는 배지 + 세포로 희석시킨 후 100μM이었다; 시프로플록사신 및 리팜핀의 출발 농도는 배지 + 세포로 희석시킨 후 10μM이었다. 화합물 농도는 미세역가 플레이트의 행을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2x 단계로 감소하였다. 모든 MIC는 각각 3개의 배지 조건에서 이중으로 수행하였다.
3. 화합물의 시험 세트는 전형적으로 10mM 및 50㎕ 용적이었다.
4. 다중채널 피펫터를 사용하고, 각 열의 마스터 플레이트로부터 용적 전부를 제거하고, 새로운 96-웰 미세역가 플레이트의 제1 열로 옮겼다.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의 열 1로 옮기면서, 마스터 플레이트에서 각 열의 화합물에 대해 반복하였다.
5. 대조군 화합물에 대해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DMSO를 희석제로서 사용하여 각각의 화합물의 2배, 11점 희석액을 생성하였다. 모든 경우에, 대조군을 위해 단지 DMSO로서 열 12를 남겨두었다. 일단 모든 희석이 완료되면, 대조군 화합물에 대해 수행한 바와 같이 세포 100㎕를 가하기 전에 다시 각각의 희석액 1㎕를 텅빈 미세역가 웰로 옮겼다.
6. 모든 웰에 100㎕의 희석된 세포 현탁액을 접종하였다(상기 참조).
7. 접종물을 가한 후, 플레이트의 측면을 부드럽게 두드려서 플레이트를 혼합하였다.
8. 플레이트를 가습된 37℃ 챔버에서 9일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9. 9일째에 25㎕ 0.01% 멸균 레자주린을 각 웰에 가하였다. 여기 492nm, 방출 595nm에서 백그라운드 형광을 측정하고, 플레이트를 또다른 24시간 동안 항온배양기로 보냈다.
10. 24시간 후, 각 웰의 형광을 여기 492nm, 방출 595nm에서 측정하였다.
11. 소정의 화합물에 의한 억제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억제율(%) = 100-([웰 형광-평균 백그라운드 형광]/[DMSO 대조군-평균 백그라운드 형광]x100). MIC는 소정의 배지 조건에서 레자주린 감소('%-억제') 신호를 ≥70% 억제하는 최저 화합물 농도로서 모든 3개의 배지 조건에 대해 채점하였다.
표 6은 본 발명의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에 대한 MIC 검정 결과를 보여준다.
표 6 및 하기 표 및 실시예에서, "화합물 24"는 화합물 23의 메실레이트 염이고, 실시예 1.j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상기함).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상기 화합물 및 염을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숫자가 사용된다.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표 7은 본 발명의 선택된 화합물에 대한 MIC90 검정 결과를 보여준다.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아래 표 8에서, 용어 "CMI"는 오레곤주 윌슨빌에 위치한 더 클리니컬 마이크로바이올로지 인스티튜트(The Clinical Microbiology Institute)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아래 표 9에서, 용어 "JMI"는 아이오와주 노쓰 리버티에 위치한 더 존스 마이크로바이올로지 인스티튜트(The Jones Microbiology Institute)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Figure pct00062
Figure pct00063
Figure pct00064
Figure pct00065
Figure pct00066
Figure pct00067
Figure pct00068
Figure pct00069
Figure pct00070
Figure pct00071
Figure pct00072

Claims (24)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고체 형태 I:
    화학식 I
    Figure pct00073
  2. 제1항에 있어서,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이 약 5 내지 약 38°2θ에서 수집되는 경우 9.3, 11.7, 12.1, 12.4, 14.5, 15.9, 16.3, 16.6, 18.5, 19.4, 21.5, 22.3, 22.8, 23.8, 24.5, 25.7, 28.1, 28.4, 30.3 및 33.4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3개 이상의 근사 피크 위치(°2θ ± 0.2)를 포함하는 XRPD를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태 I.
  3. 제1항에 있어서,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이 약 5 내지 약 38°2θ에서 수집되는 경우 9.3, 16.6, 18.5, 19.4, 21.5 및 25.7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3개 이상의 근사 피크 위치(°2θ ± 0.2)를 포함하는 XRPD를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태 I.
  4. 제3항에 있어서,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이 실질적으로 도 1과 유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태 I.
  5. 제4항에 있어서, 온도를 분당 약 10℃로 주사하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약 318℃의 개시 온도를 갖는 흡열 피크를 추가로 특징으로 하는, 고체 형태 I.
  6. 제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유리 염기의 고체 물질을 알콜 및 에테르를 포함하는 용매 시스템에 현탁시키고 상기 고체를 분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결정 형태 I을 제조하는 방법.
  7.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산 염:
    화학식 I
    Figure pct00074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고체 형태 II인, 염산 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형태 II가,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이 약 5 내지 약 38°2θ에서 수집되는 경우 6.7, 9.2, 16.7, 18.6, 19.5, 20.5, 25.6 및 27.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3개 이상의 근사 피크 위치(°2θ ± 0.2)를 포함하는 XRPD를 특징으로 하는, 염산 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형태 II가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이 실질적으로 도 4와 유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산 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형태 II가 추가로, 온도를 분당 약 10℃로 주사하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약 252℃의 개시 온도를 갖는 흡열 피크를 특징으로 하는, 염산 염.
  12.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유리 염기를 하나 이상의 에테르성 용매 및 물을 포함하는 산성 용매 혼합물에 현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8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고체 형태 II를 제조하는 방법.
  13. 하기 화학식 I의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무정형 형태 III:
    화학식 I
    Figure pct00075
  14. 제13항에 있어서, 식별가능한 회절 피크가 없는 광범위한 할로를 특징으로 하는 Cu Kα 방사선을 사용한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무정형 형태 III.
  15. 제13항에 따른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용액을 동결건조, 분무 건조, 드럼 건조 또는 펄스 전환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13항에 따른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무정형 형태 III를 제조하는 방법.
  16. 하기 화학식 I의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무정형 형태 IV:
    화학식 I
    Figure pct00076
  17. 제16항에 있어서, 식별가능한 회절 피크가 없는 광범위한 할로를 특징으로 하는 Cu Kα 방사선을 사용한 X-선 분말 회절 패턴(XRPD)을 특징으로 하는, 6-플루오로 벤즈이미다졸릴 우레아 화합물의 메실레이트 염의 무정형 형태 IV.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형태 II가 75% 이하의 상대 습도 하에 약 40℃의 온도에서 1개월 이상 동안 안정한, 염산 염.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형태가 75% 이하의 상대 습도 하에 약 40℃의 온도에서 1개월 이상 동안 안정한, 고체 형태 I.
  20. 제1항에 따른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1. 제20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게서 병원내 세균성 감염 또는 비-병원내 세균성 감염의 전진, 중증도 또는 효과를 억제, 치료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성 감염이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Streptococcus pneumoniae), 스타필로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엔테로코쿠스 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모락셀라 카타랄리스(Moraxella catarrhalis), 네이세리아 고노로에아에(Neisseria gonorrhoeae), 네이세리아 메닝기티디스(Neisseria meningitidis),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콤플렉스(Mycobacterium avium complex), 마이코박테리움 아브세수스(Mycobacterium abscessus), 마이코박테리움 칸사시(Mycobacterium kansasii), 마이코박테리움 울세란스(Mycobacterium ulcerans), 클라미도필라 뉴모니아에(Chlamydophila pneumoniae),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Haemophilus influenzae), 스트렙토코쿠스 피오게네스(Streptococcus pyogenes) 또는 β-용혈성 스트렙토코쿠스(β-haemolytic streptococci) 중의 하나 이상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성 감염이 상기도 감염, 하기도 감염, 귀 감염, 흉막폐 및 기관지 감염, 복잡성 요로 감염, 비복잡성 요로 감염, 복강내 감염, 심혈관 감염, 혈류 감염, 패혈증, 균혈증, CNS 감염, 피부 및 연부 조직 감염, GI 감염, 뼈 및 관절 감염, 생식기 감염, 눈 감염, 또는 육아종성 감염, 비복잡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uSSSI), 복잡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cSSSI), 카테터 감염, 인후염, 부비동염, 외이도염, 중이염, 기관지염, 농흉, 폐렴, 지역사회-획득성 세균성 폐렴(CABP), 병원-획득성 폐렴(HAP), 병원-획득성 세균성 폐렴,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당뇨병성 족부 감염,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콕시 감염, 방광염 및 신우신염, 신결석, 전립선염, 복막염, 복잡성 복강내 감염(cIAI) 및 기타의 복강내 감염, 투석 관련 복막염, 내장 농양, 심내막염, 심근염, 심낭염, 수혈 관련 패혈증, 수막염, 뇌염, 뇌 농양, 골수염, 관절염, 생식기 궤양, 요도염, 질염, 자궁경부염, 치은염, 결막염, 각막염, 내안구염, 낭포성 섬유증 환자에서의 감염 또는 발열성 호중구 감소증 환자의 감염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성 감염이 지역사회-획득성 세균성 폐렴(CABP), 병원-획득성 폐렴(HAP), 병원-획득성 세균성 폐렴,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균혈증, 당뇨병성 족부 감염, 카테터 감염, 비복잡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uSSSI), 복잡성 피부 및 피부 구조 감염(cSSSI), 반코마이신 내성 엔테로콕시 감염 또는 골수염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20137018402A 2011-01-14 2012-01-13 자이라제 억제제 (r)­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고체 형태 KR101900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33169P 2011-01-14 2011-01-14
US61/433,169 2011-01-14
PCT/US2012/021280 WO2012097273A1 (en) 2011-01-14 2012-01-13 Solid forms of gyrase inhibitor (r)-1-ethyl-3-[6-fluoro-5-[2-(1-hydroxy-1-methyl-ethyl) pyrimidin-5-yl]-7-(tetrahydrofuran-2-yl)-1h-benzimidazol-2-yl]ur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030A true KR20140037030A (ko) 2014-03-26
KR101900249B1 KR101900249B1 (ko) 2018-11-02

Family

ID=4555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402A KR101900249B1 (ko) 2011-01-14 2012-01-13 자이라제 억제제 (r)­1­에틸­3­[6­플루오로­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고체 형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8476281B2 (ko)
EP (1) EP2663562B1 (ko)
JP (1) JP6120775B2 (ko)
KR (1) KR101900249B1 (ko)
CN (1) CN103403000B (ko)
AR (1) AR085308A1 (ko)
AU (1) AU2012205419B2 (ko)
BR (1) BR112013017985B1 (ko)
CA (1) CA2824403C (ko)
CL (1) CL2013002027A1 (ko)
ES (1) ES2705923T3 (ko)
IL (1) IL227408B (ko)
MX (1) MX341342B (ko)
RU (1) RU2625305C2 (ko)
SG (1) SG191927A1 (ko)
TW (1) TWI535714B (ko)
WO (1) WO2012097273A1 (ko)
ZA (1) ZA20130523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029A (ko) * 2011-01-14 2014-03-26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자이라제 억제제 (r)­1­에틸­3­[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고체 형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25305C2 (ru) 2011-01-14 2017-07-13 Сперо Тринем, Инк. Твердые формы ингибитора гиразы (r)-1-этил-3-[6-фтор-5[2-(1-гидрокси-1-метил-этил) пиримидин-5-ил]-7-(тетрагидрофуран-2-ил)-1н-бензимидазол-2-ил] мочевины
AU2012205415B2 (en) 2011-01-14 2017-02-02 Spero Therapeutics, Inc. Pyrimidine gyrase and topoisomerase IV inhibitors
WO2012097274A1 (en) * 2011-01-14 2012-07-19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ion Process of making gyrase and topoisomerase iv inhibitors
TWI554515B (zh) * 2011-06-20 2016-10-21 維泰克斯製藥公司 旋轉酶(gyrase)及拓樸異構酶抑制劑之磷酸酯
US9572809B2 (en) 2012-07-18 2017-02-21 Spero Trinem, Inc. Combination therapy to treat Mycobacterium diseases
US9018216B2 (en) * 2012-07-18 2015-04-28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Solid forms of (R)-2-(5-(2-(3-ethylureido)-6-fluoro-7-(tetrahydrofuran-2-yl)-1H-benzo[d]imidazol-5-yl)pyrimidin-2-yl)propan-2-yl dihydrogen phosphate and salts thereof
CA2938459A1 (en) 2014-02-03 2015-08-06 Spero Gyrase, Inc. Antibacterial compounds
TWI705814B (zh) * 2014-06-20 2020-10-01 美商梅琳塔有限責任公司 醫藥組成物及其用途
US11535613B2 (en) * 2018-03-05 2022-12-27 Guangdong Raynovent Biotech Co., Ltd. Crystal form and salt form of pyridoimidazole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5676A1 (de) 1970-04-02 1971-10-21 Farbenfabriken Bayer Ag, 5090 Leverkusen Neue Imine der 2-Formyl-chinoxalindi-N-oxidcarbon-säure-(3) und deren Salz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antimikrobielle Mittel
US4174400A (en) 1978-09-13 1979-11-13 Merck & Co., Inc. Anthelmintic benzimidazoles
US4512998A (en) 1980-10-20 1985-04-23 Schering Corporation Anthelmintic benzimidazole carbamates
CA2028530A1 (en) 1989-11-21 1991-05-22 Christian Hubschwerlen Substituted pyrimidobenzimidazole derivatives
DE19514313A1 (de) 1994-08-03 1996-02-08 Bayer Ag Benzoxazolyl- und Benzothiazolyloxazolidinone
HRP960159A2 (en) 1995-04-21 1997-08-31 Bayer Ag Benzocyclopentane oxazolidinones containing heteroatoms
US5643935A (en) 1995-06-07 1997-07-01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Method of combatting infectious diseases using dicationic bis-benzimidazoles
TW538046B (en) 1998-01-08 2003-06-21 Hoechst Marion Roussel Inc Aromatic amides having antiobiotic activities and the preparation processes, intermediat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AUPP873799A0 (en) 1999-02-17 1999-03-11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Pyridine compounds
US6156373A (en) 1999-05-03 2000-12-05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device coating methods and devices
GB9911594D0 (en) 1999-05-19 1999-07-21 Smithkline Beecham Plc Novel compounds
GB9912413D0 (en) 1999-05-28 1999-07-28 Pfizer Ltd Compounds useful in therapy
US6258121B1 (en) 1999-07-02 2001-07-10 Scimed Life Systems, Inc. Stent coating
US7419678B2 (en) 2000-05-12 2008-09-02 Cordis Corporation Coated medical devic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scular disease
US20040018228A1 (en) 2000-11-06 2004-01-29 Afmedic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scar tissue formation
PT1341769E (pt) * 2000-12-15 2007-12-31 Vertex Pharma Inibidores de girase bacteriana e suas utilizações
US20030229390A1 (en) 2001-09-17 2003-12-11 Control Delivery Systems, Inc. On-stent delivery of pyrimidines and purine analogs
US20040044405A1 (en) 2001-10-25 2004-03-04 Wolff Matthew R. Vascular stent or graft coated or impregnated with protein tyrosine kinase inhibitors and method of using same
US6939376B2 (en) 2001-11-05 2005-09-06 Sun Biomedical, Ltd. Drug-delivery endovascular stent and method for treating restenosis
US20030204168A1 (en) 2002-04-30 2003-10-30 Gjalt Bosma Coated vascular devices
DE60309701T2 (de) * 2002-06-13 2007-09-06 Vertex Pharmaceuticals Inc., Cambridge 2-ureido-6-heteroaryl-3h-benzoimidazol-4-carbonsäurederivate und verwandte verbindungen als gyrase und/oder topoisomerase iv inhibitoren zur behandlung von bakteriellen infektionen
US8404852B2 (en) 2003-01-31 2013-03-26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Gyr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8193352B2 (en) 2003-01-31 2012-06-05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Gyr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7618974B2 (en) 2003-01-31 2009-11-17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Gyr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AR042956A1 (es) 2003-01-31 2005-07-13 Vertex Pharma Inhibidores de girasa y usos de los mismos
US7569591B2 (en) 2003-01-31 2009-08-04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Gyr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US7582641B2 (en) 2003-01-31 2009-09-01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Gyr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AU2006311729A1 (en) 2005-11-07 2007-05-18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Benzimidazole derivatives as gyrase inhibitors
US8481544B2 (en) 2006-06-22 2013-07-09 Biota Europe Limited Antibacterial compositions
GB0612428D0 (en) 2006-06-22 2006-08-02 Prolysis Ltd Antibacterial agents
GB0724349D0 (en) 2007-12-13 2008-01-30 Prolysis Ltd Antibacterial agents
JP2010511682A (ja) 2006-12-04 2010-04-15 アストラゼネカ アクチボラグ 抗菌性の多環系尿素化合物
GB0724342D0 (en) 2007-12-13 2008-01-30 Prolysis Ltd Anitbacterial compositions
WO2009156966A1 (en) 2008-06-25 2009-12-30 Ranbaxy Laboratories Limited Benzothiazoles and aza-analogues thereof use as antibacterial agents
WO2011032050A2 (en) 2009-09-11 2011-03-17 Trius Therapeutics, Inc. Gyrase inhibitors
MX339000B (es) 2009-10-16 2016-05-09 Melinta Therapeutics Inc Compuestos antimicrobianos y metodos para fabricar y utilizar los mismos.
AU2011313820A1 (en) 2010-10-08 2013-04-11 Biota Europe Ltd Antibacterial compounds
RU2625305C2 (ru) 2011-01-14 2017-07-13 Сперо Тринем, Инк. Твердые формы ингибитора гиразы (r)-1-этил-3-[6-фтор-5[2-(1-гидрокси-1-метил-этил) пиримидин-5-ил]-7-(тетрагидрофуран-2-ил)-1н-бензимидазол-2-ил] мочевины
KR101897950B1 (ko) * 2011-01-14 2018-09-12 스페로 트리넴, 인코포레이티드 자이라제 억제제 (r)­1­에틸­3­[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고체 형태
WO2012097274A1 (en) * 2011-01-14 2012-07-19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ion Process of making gyrase and topoisomerase iv inhibitors
AU2012205415B2 (en) * 2011-01-14 2017-02-02 Spero Therapeutics, Inc. Pyrimidine gyrase and topoisomerase IV inhibitors
TWI554515B (zh) 2011-06-20 2016-10-21 維泰克斯製藥公司 旋轉酶(gyrase)及拓樸異構酶抑制劑之磷酸酯
US9604976B2 (en) 2012-03-22 2017-03-28 Spero Gyrase, Inc. Antibacterial compounds
US9018216B2 (en) * 2012-07-18 2015-04-28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Solid forms of (R)-2-(5-(2-(3-ethylureido)-6-fluoro-7-(tetrahydrofuran-2-yl)-1H-benzo[d]imidazol-5-yl)pyrimidin-2-yl)propan-2-yl dihydrogen phosphate and salts thereof
US9572809B2 (en) * 2012-07-18 2017-02-21 Spero Trinem, Inc. Combination therapy to treat Mycobacterium disea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029A (ko) * 2011-01-14 2014-03-26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자이라제 억제제 (r)­1­에틸­3­[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고체 형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09678A (zh) 2013-03-01
TWI535714B (zh) 2016-06-01
KR101900249B1 (ko) 2018-11-02
ZA201305231B (en) 2014-11-26
RU2013137752A (ru) 2015-02-20
CL2013002027A1 (es) 2013-12-13
ES2705923T3 (es) 2019-03-27
EP2663562A1 (en) 2013-11-20
CN103403000A (zh) 2013-11-20
NZ612918A (en) 2015-10-30
MX2013008161A (es) 2013-08-27
AU2012205419A1 (en) 2013-08-01
BR112013017985B1 (pt) 2021-06-29
SG191927A1 (en) 2013-08-30
EP2663562B1 (en) 2018-11-07
CN103403000B (zh) 2017-05-31
CA2824403C (en) 2019-09-24
JP6120775B2 (ja) 2017-04-26
MX341342B (es) 2016-08-17
AU2012205419B2 (en) 2016-12-15
BR112013017985A2 (pt) 2019-10-01
IL227408A0 (en) 2013-09-30
RU2625305C2 (ru) 2017-07-13
US8476281B2 (en) 2013-07-02
US20130267540A1 (en) 2013-10-10
WO2012097273A1 (en) 2012-07-19
JP2014502640A (ja) 2014-02-03
US9040542B2 (en) 2015-05-26
IL227408B (en) 2018-04-30
AR085308A1 (es) 2013-09-25
US20120184564A1 (en) 2012-07-19
CA2824403A1 (en)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0542B2 (en) Solid forms of gyrase inhibitor (R)-1-ethyl-3-[6-fluoro-5-[2-(1-hydroxy-1-methyl-ethyl)pryimidin-5-yl]-7-(tetrahydrofuran-2-yl)-1H-benzimidazol-2-yl]urea
JP5977344B2 (ja) ジャイレースおよびトポイソメラーゼ阻害剤のリン酸エステル
KR101897950B1 (ko) 자이라제 억제제 (r)­1­에틸­3­[5­[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피리미딘­5­일]­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벤즈이미다졸­2­일]우레아의 고체 형태
US8969359B2 (en) Gyrase and topoisomerase IV inhibitors
WO2014015105A1 (en) Solid forms of (r)-2-(5-(2-(3-ethylureido)-6-fluoro-7-(tetrahydrofuran-2-yl)-1h-benzo[d]imidazol-5-yl)pyrimidin-2-yl)propan-2-yl dihydrogen phosphate and salts thereof
NZ612912B2 (en) Solid forms of gyrase inhibitor (r)-1-ethyl-3-[5-[2-{1-hydroxy-1-methyl-ethyl}pyrimidin-5-yl]-7-(tetrahydrofuran-2-yl}-1h-benzimidazol-2-yl]urea
NZ612918B2 (en) Solid forms of gyrase inhibitor (r)-1-ethyl-3-[6-fluoro-5-[2-(1-hydroxy-1-methyl-ethyl) pyrimidin-5-yl]-7-(tetrahydrofuran-2-yl)-1h-benzimidazol-2-yl]u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