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691A -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691A
KR20140036691A KR1020120103092A KR20120103092A KR20140036691A KR 20140036691 A KR20140036691 A KR 20140036691A KR 1020120103092 A KR1020120103092 A KR 1020120103092A KR 20120103092 A KR20120103092 A KR 20120103092A KR 20140036691 A KR20140036691 A KR 20140036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gnition
speed
crankshaft
rotatio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106B1 (ko
Inventor
정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일교육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일교육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일교육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10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1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16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the view from a vehicle being sim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자동차 엔진의 작동을 외부에 보여주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가 개시된다.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는, 자동차 엔진의 연료분사부를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후, 분사되는 연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연료분사부 하우징으로 감싼, 연료 분사 확인부; 상기 자동차 엔진의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점화장치 확인부; 상기 자동차 엔진을 자동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속도보다 저속으로 구동하는 저속 구동부; 상기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축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상기 자동차 엔진의 캠축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의 센서값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위치를 복수개의 고속 회전위치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의 측정값으로부터 해당되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의 값으로 변환하는 센서값 변환부; 상기 센서값 변환부의 출력값 및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의 출력값으로 부터 상기 연료분사부의 연료분사 및 상기 점화장치의 점화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발화신호를 발생하는 발화신호 발생부; 상기 발화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한 발화신호에 따라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작동하는 발화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속으로 구동되는 엔진을 사용하여, 저속으로 구동함에도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이에 맞춰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Engine Simulator}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엔진의 작동을 외부에 보여주는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수만가지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동작관계가 매우 복잡하며, 생산 및 정비에 수많은 전문인력이 필요한 제품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동작관계를 외부에 보여주거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용으로 자동차의 주요부품에 대한 많은 시뮬레이터가 개발되었다.
엔진은 실린더에 연료가 분사되고 점화장치의 작동으로 폭발이 일어나, 자동차를 구동하는 가장 핵심이 되는 부품이다. 그러나, 연료의 분사 및 폭발은 밀폐된 실린더의 내부에서 발생되므로, 실제 동작관계를 외부로 보여주기가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종래에는 단순히 크랭크축 및 캠축을 강제로 구동하여, 실린더 및 밸브의 동작을 보여주는 데 그쳤으며, 크랭크축 및 캠축의 회전에 따른 생생한 연료의 분사 및 점화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여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젝터의 연료 분사 및 점화플러그의 점화 작동을 생생히 보여 줄 수 있는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자동차 엔진의 연료분사부를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후, 분사되는 연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연료분사부 하우징으로 감싼, 연료 분사 확인부; 상기 자동차 엔진의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점화장치 확인부; 상기 자동차 엔진을 자동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속도보다 저속으로 구동하는 저속 구동부; 상기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축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상기 자동차 엔진의 캠축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의 센서값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위치를 복수개의 고속 회전위치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의 측정값으로부터 해당되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의 값으로 변환하는 센서값 변환부; 상기 센서값 변환부의 출력값 및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의 출력값으로 부터 상기 연료분사부의 연료분사 및 상기 점화장치의 점화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발화신호를 발생하는 발화신호 발생부; 상기 발화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한 발화신호에 따라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작동하는 발화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발화제어부는, 급가속 모드에서, 한 번의 상기 발화신호에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의 작동을 2회 이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한 번의 발화신호의 지속 중에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가 중복하여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센서값 변환부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에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위치 변동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발화신호 발생부는, 상기 크랭크축 회전위치 변동 신호 발생시 상기 발화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화제어부는, 급가속 모드 상태에서는 1회의 발화신호에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2회 이상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된 상기 저속 회전위치영역의 수는 분할된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의 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료분사부 하우징에서 회수된 상기 연료를 수거하는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탱크에 모아진 연료를 상기 연료분사부로 송출하는 연료펌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화장치 확인부는, 상기 점화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점화장치의 작동시 점화되는 표시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속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크랭크축 및 상기 캠축을 구동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는, 고속으로 구동되는 엔진을 사용하여, 저속으로 구동함에도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이에 맞춰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속으로 구동할 때 주어진 작동구간에서 연료분사 및 점화가 수없이 반복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했다.
그리고, 간단한 구성으로 급가속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의 간략도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저속 회전위치영역과 고속 회전위치영역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4는 발화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메인루틴에 대한 순서도
도 5는 고속 회전위치영역 값의 변화가 있을 때, 작동하는 서브루틴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의 간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에의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는, 자동차 엔진(1)의 연료분사부(110)를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후, 분사되는 연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연료분사부 하우징(120)으로 감싼, 연료 분사 확인부(100)와, 상기 자동차 엔진에서 점화장치(210)의 점화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점화장치 확인부(200)와, 상기 자동차 엔진을 자동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속도보다 저속으로 구동하는 저속 구동부(300)와, 크랭크축(410)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축(41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와, 캠축(51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520)와, 상기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와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520)의 센서값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분사부(110) 및 상기 점화장치(21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통상 엔진의 연료분사부는 엔진 내부에 깊숙히 위치하여, 연료분사부(110)를 외부에 드러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엔진의 실린더 헤드를 실린더 블록에서 분리하여 상향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조립하여야 한다. 그 다음,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 등으로 연료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연료를 수거할 수 있도록 연료분사부 하우징(120)을 형성한다.
또한, 연료분사 확인부(100)는, 상기 연료분사부 하우징(120)에서 회수된 상기 연료를 수거하는 연료탱크(130)와, 상기 연료탱크(130)에 모아진 연료를 상기 연료분사부(110)로 송출하는 연료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연료펌프는 저속구동부(300)와 별도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장비의 간소화를 위해 저속구동부(300)의 구동장치와 동일한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점화장치 확인부(200)는, 상기 점화장치(210)와 연결되어, 상기 점화장치의 작동시 점화되는 표시등(220)을 포함한다. 표시등(220)은 엘이디, 고전압 벌브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표시등(220)은 스파크 플러그에 공급되는 전원 혹은 점화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저속 구동부(30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크랭크축(410) 및 상기 캠축(510)을 구동하는 동력 전달부(320)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320)는 풀리, 체인 혹은 기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520)는 캠축의 회전위치를 감지(즉, 1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캠축(510)이 1회전하는 경우 1개의 신호(이하, 'CMP신호'라 부름)를 발생시킨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저속 회전위치영역과 고속 회전위치영역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크랭크축(410)의 회전위치를 복수 개의 고속 회전위치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의 측정값으로부터 해당되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421a)의 값으로 변환하는 센서값 변환부(610)와, 상기 센서값 변환부(610)의 출력값 및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520)의 출력값으로 부터 상기 연료분사부의 연료분사 및 상기 점화장치의 점화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발화신호를 발생하는 발화신호 발생부(620)와, 상기 발화신호 발생부(620)로부터 발생한 발화신호에 따라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작동한는 발화제어부(63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크랭크축(410) 및 캠축(510)은 매우 고속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통상의 엔진의 작동 속도로 구동하는 경우, 고속회전으로 인하여 쉽게 작동관계를 파악하기 힘들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저속구동부로 자동차의 엔진을 매우 저속으로 구동하여, 동작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저속으로 엔진이 구동되는 경우, 통상의 자동차에 부착된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출력전압이 낮아 제어에 쉽게 이용할 수 없다. 회전위치 감지센서로 자기장을 이용하는 센서를 사용하는 데, 고속에 맞춰져 위치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어 저속에서는 자기장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감지 자체가 어렵다.
그 결과, 훨씬 민감한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는 고속으로 구동되는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에 비해서 매우 민감하게 센싱할 수 있다.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도 자기장을 이용하는 센서를 사용하였다.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는 크랭크축의 회전위치를 복수개의 저속회전 위치 영역(421b)으로 분할하였으며, 저속회전위치 영역(421b)에 변화가 있을 때, 위치 변화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속회전위치 영역(421b)는 360개 정도로 분할되었다.
이에 반해, 고속회전위치영역(421a)는 58개 정도로 분할되어있다. 저속회전위치 영역(421b)과 고속회전위치영역(421a)의 관계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센서값 변환부(610)는 이러한 저속회전 위치영역(421b)의 값을 해당하는 고속회전위치영역(421a)의 값으로 변환한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는 그 작동을 용이하게 관찰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종래에 관찰하기 힘든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의 작동을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의 엔진을 저속으로 구동하고, 이들 신호를 자동차 엔진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의 작동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저속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저속회전 위치영역(421b)이 하나의 고속회전위치영역(421a)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저속회전 위치영역(421b)의 변동시마다, 발화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게 되면, 하나의 고속회전위치영역(421a)에서 복수개의 발화신호를 발생하게 되어,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가 여러 번 오작동하게 된다. 즉, 하나의 고속회전위치영역(421a)에서는 급속모드가 아닌 이상, 한번만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가 작동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한 번의 발화신호의 지속 중에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가 중복하여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어부(600)에 구현하였다.
즉, 상기 센서값 변환부(610)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421a)에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크랭크축(410)의 회전위치 변동 신호('CKP 신호'라 부름)를 발생하며, 상기 발화신호 발생부(620)는, 상기 크랭크축 회전위치 변동 신호 발생시 상기 발화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420)는, 상기 저속회전위치 영역(421b)의 변화가 있을 때,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센서값 변환부(610)는, 상기 저속회전위치 값(421b)에 대응하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 값(421a)으로 변환한다.
상기 발화신호 발생부(620)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 값(421a)의 변화가 있을 때,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작동하는 발화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별도로, 상기 발화제어부(630)는, 급가속 모드 상태에서는 1회의 발화신호에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2회 이상 작동하도록 하여, 간단히 급가속 모드를 구현하도록 한다.
도 4는 발화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메인루틴에 대한 순서도, 도 5는 고속 회전위치영역 값의 변화가 있을 때, 작동하는 서브루틴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발화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캠축 회전 감지센서(420)로부터 CMP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CMP신호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S110)와, CMP 신호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S110)에서 신호가 발생한 경우 카운트 값(n)을 '0'으로 초기화하는 단계(S120)와, 급가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와, 급가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에서 급가속 모드인 경우 발화제어부(630)를 호출하여 연료분사부 및 점화장치를 2회 이상 작동하는 급가속 제어단계(S140)와, 급가속 제어단계(S140) 완료 후 혹은 급가속 모드가 아닌 경우, 1 행정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행정완료 판단단계(S150)를 포함한다.
카운트 값(n)은 후술하는 서브루틴이 호출되는 수 만큼 증가하는 것으로서, 고속 회전위치영역(421a)의 값 변화 수이다. 즉, 카운트 값(n)은 크랭크축의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크랭크축의 1회전은 58개의 고속 회전위치영역(421a)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선정하였다.
행정완료 판단단계(S150)에서 4 실린더를 기준으로 크랭크축이 2회전을 하는 경우 행정이 완료되므로, 카운트 값(n)이 116(58*2)이 되는 경우 행정이 완료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행정완료 판단단계(S150)에서 행정이 완료되면, 다시 최초의 CMP신호 발생 판단하는 단계(S110)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메인루틴 실행 중, 상기 센서값 변환부(610)에서 고속 회전위치영역 값의 변화가 있으면(즉, CKP 신호가 발생하면), 도 5의 서브루틴이 호출된다.
서브루틴은 카운트 값(n)을 1씩 증가하는 카운트 증가단계(S210)와, 카운트 증가단계(S210) 실행 후, 카운트 값(n)이 연료분사 및 점화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발화시기 판단단계(S220)와, 발화시기 판단단계(S220)의 출력값이 '예'인경우 발화제어부(630)에 발화신호를 발생하는 발화신호 발생단계(S230)을 포함한다.
발화시기 판단단계(S220)에서의 발화시기는 엔진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는, 고속으로 구동되는 엔진을 사용하여, 저속으로 구동함에도 연료분사 및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이에 맞춰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속으로 구동하여 연료분사 및 점화가 1회신호에 수없이 반복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했다.
그리고, 간단한 구성으로 급가속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 연료분사부 120: 연료분사부 하우징
100: 연료 분사 확인부 210: 점화장치
200: 점화장치 확인부 300: 저속 구동부
410: 크랭크축
420: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510: 캠축 520: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600: 제어부 421a: 고속 회전위치영역
610: 센서값 변환부 620: 발화신호 발생부
630: 발화제어부 421b: 저속회전위치 영역
130: 연료탱크 310: 모터
320: 동력 전달부

Claims (11)

  1. 자동차 엔진의 연료분사부를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후, 분사되는 연료를 회수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연료분사부 하우징으로 감싼, 연료 분사 확인부;
    상기 자동차 엔진의 점화장치의 점화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점화장치 확인부;
    상기 자동차 엔진을 자동차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속도보다 저속으로 구동하는 저속 구동부;
    상기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축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상기 자동차 엔진의 캠축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와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의 센서값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위치를 복수개의 고속 회전위치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의 측정값으로부터 해당되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의 값으로 변환하는 센서값 변환부;
    상기 센서값 변환부의 출력값 및 상기 캠축 회전위치 감지센서의 출력값으로 부터 상기 연료분사부의 연료분사 및 상기 점화장치의 점화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발화신호를 발생하는 발화신호 발생부;
    상기 발화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한 발화신호에 따라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작동하는 발화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제어부는,
    급가속 모드에서, 한 번의 상기 발화신호에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의 작동을 2회 이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한 번의 발화신호의 지속 중에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가 중복하여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값 변환부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에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위치 변동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발화신호 발생부는, 상기 크랭크축 회전위치 변동 신호 발생시 상기 발화신호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용 크랭크축 회전위치 감지센서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위치를 복수개의 저속회전위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저속회전위치 영역의 변화가 있을 때,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센서값 변환부는, 상기 저속회전위치 값에 대응하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 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값 변환부는,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 값의 변화가 있을 때,
    상기 발화신호부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제어부는,
    급가속 모드 상태에서는 1회의 발화신호에 상기 연료분사부 및 상기 점화장치를 2회 이상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할된 상기 저속 회전위치영역의 수는 분할된 상기 고속 회전위치영역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부 하우징에서 회수된 상기 연료를 수거하는 연료탱크; 및
    상기 연료탱크에 모아진 연료를 상기 연료분사부로 송출하는 연료펌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 확인부는, 상기 점화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점화장치의 작동시 점화되는 표시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크랭크축 및 상기 캠축을 구동하는 동력 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시뮬레이터.
KR1020120103092A 2012-09-18 2012-09-18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KR101427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092A KR101427106B1 (ko) 2012-09-18 2012-09-18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092A KR101427106B1 (ko) 2012-09-18 2012-09-18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91A true KR20140036691A (ko) 2014-03-26
KR101427106B1 KR101427106B1 (ko) 2014-08-07

Family

ID=5064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092A KR101427106B1 (ko) 2012-09-18 2012-09-18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1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8699A (zh) * 2014-05-29 2014-08-27 浙江工业大学 凸轮实验教具
CN105575248A (zh) * 2016-03-15 2016-05-11 青岛延林汽车修理有限公司 一种发动机演示台
CN108831277A (zh) * 2018-08-23 2018-11-16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多功能发动机教学台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2355B (zh) * 2015-07-30 2017-12-08 邵阳学院 内燃机原理声光教学演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261A (ko) * 1992-12-08 1994-07-20 안석현 교육용 다중연료분사방식 가솔린 기관의 연료분사장치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다중연료분사방식의 교육방법
KR19990042828A (ko) * 1997-11-28 1999-06-15 정몽규 직접 분사 엔진용 연소실 유동 관찰장치
JP2004177619A (ja) 2002-11-26 2004-06-24 Suzuka Circuitland Co Ltd 教材用エンジン
KR20100115125A (ko) * 2009-04-17 2010-10-27 주식회사 대성지이-쓰리 Crdi 디젤 엔진 제어 시스템 교육 장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8699A (zh) * 2014-05-29 2014-08-27 浙江工业大学 凸轮实验教具
CN104008699B (zh) * 2014-05-29 2016-04-13 浙江工业大学 凸轮实验教具
CN105575248A (zh) * 2016-03-15 2016-05-11 青岛延林汽车修理有限公司 一种发动机演示台
CN105575248B (zh) * 2016-03-15 2018-05-01 青岛延林汽车修理有限公司 一种发动机演示台
CN108831277A (zh) * 2018-08-23 2018-11-16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多功能发动机教学台架
CN108831277B (zh) * 2018-08-23 2024-05-14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多功能发动机教学台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106B1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106B1 (ko)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CN102953890B (zh) 用以评估内燃发动机的起动系统的方法和设备
EP2693032B1 (en) Fault diagnosis method, fault diagnosis system, and fault diagnosis device for engine
CN102066729B (zh) 通过分析发动机气缸压力信号和曲轴速度信号的燃料系统诊断
KR100959214B1 (ko) 내연 기관의 실화 검출 장치
CN100436784C (zh) 用于随选排量型(dod)发动机的断火检测系统
RU2011108660A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в системе впрыска топлив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US11215530B2 (en) Engine health diagnosis and fault isolation with cranking test
US10551275B2 (en) Cam angle sensor fault diagnosis apparatus for straddled vehicle, engine system, and straddled vehicle
KR100762096B1 (ko) 차량의 연비측정 및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45573A (ko)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JP5385482B2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40049419A (ko)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 시뮬레이터
KR100749272B1 (ko) 캠 센서가 없는 자동차 엔진 구동 방법
CN102555809A (zh) 汽车安全监控设备及其监控方法
CN205370762U (zh) 汽车发动机动态数据监测仪
CN115144668A (zh) 故障检测方法、信号模拟器及故障检测系统
KR20220105419A (ko) 자기장 센서를 이용한 스타트 모터 고장진단장치
JP5277275B2 (ja) エンジンの故障診断方法及び故障診断装置
JP5277274B2 (ja) エンジンの故障診断方法及び故障診断装置
KR100775313B1 (ko) 자동차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CN105003489B (zh) 双离合变速箱阀体液压测试装置
EP2078841B1 (en) Monitoring unit and method
CN105545481A (zh) 汽车发动机动态数据监测仪
ITTO20011087A1 (it) Procedimento di diagnosi di anomalie di funzionamento o guasti di un sistema ndicatore del livello del carburante contenuto nel serbatoio d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